KR101620988B1 -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 Google Patents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988B1
KR101620988B1 KR1020150140103A KR20150140103A KR101620988B1 KR 101620988 B1 KR101620988 B1 KR 101620988B1 KR 1020150140103 A KR1020150140103 A KR 1020150140103A KR 20150140103 A KR20150140103 A KR 20150140103A KR 101620988 B1 KR101620988 B1 KR 10162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ribs
mounting portions
portion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김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식 filed Critical 김현식
Priority to KR102015014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988B1/ko
Priority to PCT/KR2016/010985 priority patent/WO2017061737A1/ko
Priority to JP2018518490A priority patent/JP6650029B2/ja
Priority to US15/766,235 priority patent/US10779679B2/en
Priority to CN201690001228.5U priority patent/CN208864117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가 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거치대와, 양측부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다수의 살대를 포함하는 조립식 그릴을 제공함으로써 세척시 상기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와 상기 살대의 세척이 비교적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ASSEMBLY GRILL AND GRILL BRID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리가 가능하여 세척이 용이한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이나 야영시에 어류, 육류 또는 가공식품(소시지 등) 등과 같은 각종 구이물을 구워서 섭식하기 위하여 화로대가 사용된다. 화로대는 장작이나 숯을 연소시켜 구이물을 굽는 장치로서, 장작이나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과, 연소된 장작이나 숯으로부터 발생되는 재를 수집하기 위한 재받침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로대와 그릴 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그릴브릿지(혹은 화로대 테이블이라고도 함)가 사용된다. 그릴브릿지는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의 테이블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 공간에는 화로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화로대에서 제공되는 열원에 의해 그 상부에 설치되는 그릴에 놓여진 각종 구이물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기존의 그릴은 일반적으로 테두리 내부에 격자 형태의 그릴망이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데, 용접이 이루어지는 구석 부위의 세척이 어려워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부피가 커서 여분의 그릴을 구비하거나 휴대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5570호(등록일: 2014. 07. 25.)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72132호(등록일: 2014. 06. 05.)가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5570호에는 석쇠봉수납홈부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석쇠봉수납홈부에 조립되어 그릴망을 형성하는 다수의 석쇠봉을 구비하여 상기 석쇠봉을 상기 몸체부의 석쇠봉수납홈부로부터 쉽게 분리시킨 후 각각의 석쇠봉을 세척함으로써 기존의 일체형 그릴 구조에 비해 세척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72132호 또한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측판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에 석쇠봉을 삽입시켜 그릴망을 형성함으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5570호와 마찬가지로 상기 석쇠봉을 측판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킨 후 각각의 석쇠봉을 세척함으로써 기존의 일체형 그릴 구조에 비해 세척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5570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72132호는 상면과 하면이 수평을 이루는 원형 구조의 다수의 석쇠봉을 이용하여 그릴망을 형성함에 따라 그릴망의 상부에 놓여진 각종 구이물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이 상기 석쇠봉을 따라 그릴망의 하부에 위치된 화로대로 낙하하여 각종 발암성 유해성분들을 포함하는 연기를 다량 발생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KR 10-1425570 B1, 2014. 07. 25. KR 10-1407213 B1, 2014. 06. 05.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세척이 용이한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구이물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외측으로 배출시켜 그릴의 하부에 위치되는 화로대로 기름이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각종 발암성 유해성분들을 포함하는 연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구이물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부와, 판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부에 각각 끼움홈이 마련되어 일측부가 상기 제1 거치부의 슬롯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거치부의 슬롯에 끼움 결합된 다수의 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는 각각 상판, 하판 및 측판을 포함하여 후방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상판에서 상기 측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살대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는 각각 상기 상판의 후방측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상판의 후방측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된 밀림 방지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하판보다 길게 연장된 연장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살대는 각각 상면이 수평을 이루고, 하면이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살대는 각각 정면과 후면이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기름 배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양측부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에 끼움 결합된 상기 다수의 살대의 고정공에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에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그릴이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상기 거치 프레임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중앙부에 화로대가 거치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의 외측에 거치되어 상기 조립식 그릴에서 낙하하는 기름을 수집하는 기름 받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브릿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거치대와, 양측부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다수의 살대를 포함하는 조립식 그릴을 제공함으로써 세척시 상기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로부터 쉽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와 상기 살대의 세척이 비교적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은 수평을 이루고, 하면은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 즉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살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살대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물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상기 살대의 중앙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된 하면을 따라 상기 살대의 외측, 즉 제1 및 제2 거치대 측으로 배출되어 그릴의 하부에 위치되는 화로대로 기름이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살대의 정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살대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신장된 기름 배출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름 배출로를 통해 구이물을 굽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기름을 외측으로 안정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구이물로부터 유출된 기름이 화로대로 곧바로 낙하해서 다량으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거치대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슬롯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살대의 양측부에 각각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살대의 끼움홈을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의 슬롯에 끼워 결합시키는 단순 작업만으로도 쉽게 그릴 조립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단순 작업만으로 그릴을 조립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에 결합시켜 조립시킨 상태에서, 고정핀을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살대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살대의 양측부가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의 거치대 내에서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그릴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살대가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살대의 이탈에 따른 사용자 부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대의 양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손가락 걸림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살대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에 끼움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 상기 살대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단순 조작만으로 상기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는 거치대의 상판 후방측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림 방지편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거치부가 그릴브릿지의 거치 프레임 내측에서 유동이 제한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릴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그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그릴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그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살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살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대를 제1 및 제2 거치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브릿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릴브릿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그릴브릿지의 정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그릴브릿지의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릴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그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그릴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그릴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릴(10)은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와, 제1 및 제2 거치부(11, 11')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살대(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릴(10)은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살대(12)에 관통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핀(13, 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5의 (a)는 제1 및 제2 거치부를 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거치부를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거치부(11, 11')는 각각 상판(111-1)과, 하판(111-2)과, 전방측으로 상판(111-1)과 하판(111-2)를 상호 연결하는 측판(111-3)을 포함하고, 후방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대(111)를 포함한다.
상판(111-1)은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거치부(11, 11')가 그릴브릿지(20, 도 9참조)의 거치 프레임(21)에 거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하판(111-2)의 양측부에 비해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된 연장편(111-1a)을 구비한다.
거치대(111)에는 다수의 살대(12)가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슬롯(111a)이 상판(111-1)에서 측판(111-3)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때 슬롯(111a) 간의 간격은 끼움 결합되는 살대(12) 간의 간격을 일정 크기로 유지시켜 각종 구이물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살대(12)의 양측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0.6mm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0.8mm로 이격시켜 형성된다.
거치대(111)는 상판(111-1)의 후방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112)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거치대(11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판(111-1)의 후방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와 같이, 거치대(111)는 상판(111-1)의 후방측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림 방지편(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림 방지편(113)은 거치대(111)가 그릴브릿지(20, 도 9참조)의 거치 프레임(21) 내측에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 프레임(21)의 내측에 밀착되어 구이물을 굽는 과정에서 거치대(111)가 거치 프레임(21)의 내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살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6의 (a)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된 살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살대(12)는 정면과 후면이 평평한 판(板)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는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슬롯(111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2a)이 구비된다. 이때 끼움홈(12a)은 살대(12)의 하측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홈으로 형성되되, 일측부가 살대(12)의 하측으로 개구됨에 따라 개구된 부위를 통해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슬롯(111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2 및 도 6과 같이, 살대(12)는 양측부에 각각 고정핀(13, 13')이 관통 결합되는 고정공(12b)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살대(12)가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각 살대(12)의 고정공(12b)을 관통하여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핀(13, 13')에 의해 살대(12)가 이웃하는 것끼리 상호 고정되어 그룹화됨으로써 구이물이 놓여지는 그릴망이 형성된다.
고정핀(13, 13')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각 살대(12)의 고정공(12b)을 관통하여 각 살대(12)를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종단부에 손잡이(13a, 13a')가 구비될 수 있다.
살대(12)는 또한 도 6과 같이 양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12c)는 살대(12)가 도 1과 같이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슬롯(111a)에 끼움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살대(12)를 제1 및 제2 거치부(11, 1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걸림돌기(12c)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림되도록 하여 살대(12)를 제1 및 제2 거치부(11, 11')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살대(12)는 도 6의 (a)와 같이, 상면(121)은 수평을 이루고, 하면(122)은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 즉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살대(12)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물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살대(12)의 중앙부에서 곧바로 하부의 화로대로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살대(12)의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면(122)을 따라 살대(12)의 양측부로 배출된다.
또한 살대(12)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의 종단부(123)(끼움홈(12a)의 외측) 하부가 다른 부위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살대(12)의 끼움홈(12a)을 거치대(111)의 슬롯(111a)에 간편하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살대(12)의 두께는 살대(12)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물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안정적으로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1.5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T로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살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7의 (a)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살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살대(12')는 도 6에 도시된 살대(12)와 마찬가지로, 끼움홈(12a'), 고정공(12b') 및 걸림돌기(12c')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살대(12')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물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이 하측에 위치하는 화로대로 낙하하지 않고 살대(12')의 외측으로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배출시키는 기름 배출로(12d')가 정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름 배출로(12d')는 살대(12')의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신장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거나, 혹은 살대(12')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살대(12')의 하면 구조에 대응하여 '∧'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름 배출로(12d')는 도 7과 같이 홈(오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홈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록(엠보싱) 구조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후면에는 볼록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적층된 적층으로 배치되거나, 혹은 단층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살대(12')와 같이, 살대(12')의 정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살대(12')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신장된 기름 배출로(12d')가 형성됨에 따라 살대(12')의 상부에 놓여진 구이물로부터 유출된 기름은 살대(12')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기름 배출로(12d')에 유입된 후중앙부에서 양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기름 배출로(12d')를 따라 이동하여 살대(12')의 양측부, 즉 제1 및 제2 거치부(11, 11') 측으로 흘러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살대(12')는 살대(12')의 정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된 기름 배출로(12d')를 통해 구이물을 굽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기름을 외측으로 안정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구이물로부터 유출된 기름이 화로대로 곧바로 낙하해서 다량으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대를 제1 및 제2 거치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의 (a) 및 (b)와 같이, 제1 및 제2 거치부(11, 11')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상부에 살대(12)를 위치시킨 후 살대(12)를 하방으로 하강시켜 살대(12)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2a)을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슬롯(111a)에 끼워 결합시켜 살대(12)를 제1 및 제2 거치부(11, 11') 사이에 조립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살대들을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에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도 1과 같이 그릴망을 조립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릴(10)은 제1 및 제2 거치대(11, 11')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슬롯(111a)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살대(12)의 양측부에 각각 끼움홈(12a)을 형성함으로써 살대(12)의 끼움홈(12a)을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슬롯(111a)에 끼워 결합시키는 단순 작업만으로도 쉽게 그릴망을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단순 작업만으로도 그릴망을 조립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에 따라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그릴(10)은 다수의 살대(12)를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에 결합시켜 조립시킨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고정핀(13, 13')을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살대(12)의 고정공(12b)을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다수의 살대(12)의 양측부가 고정핀(12b)에 의해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거치대(111) 내에서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다수의 살대(12)가 독립적으로 제1 및 제2 거치부(11, 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에게 부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브릿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릴브릿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그릴브릿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그릴브릿지의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브릿지(20)는 그릴(10)이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21)과, 거치 프레임(21)의 양측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하고 중앙부에 화로대(40)가 거치되는 지지다리(22)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다리(22)의 외측에 거치되는 기름받이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프레임(21)은 도 10과 같이, 그릴(10)이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릴(10)은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의 양측부, 즉 거치대(111)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연장편)가 거치 프레임(21)에 거치된 상태에서 그릴(10)의 하부 일부가 거치 프레임(21)의 중앙부로 인입되게 된다.
지지다리(22)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서로 대칭 구조로 거치 프레임(21)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 프레임(2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한다. 이처럼 지지다리(22)는 거치 프레임(21)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됨에 따라 그릴브릿지(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지다리(22)를 거치 프레임(21)과 수평하게 대면하도록 지지다리(22)를 접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지지다리(22)는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의 걸이봉(221)이 구비된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다리(22)는 도 11과 같이, 중앙부에 화로대(40)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그 외측, 바람직하게는 그릴(10)의 제1 및 제2 거치부(11, 11')가 거치되는 방향으로 외측에는 기름 받이대(30)가 거치된다.
기름 받이대(30)는 도 10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고리부(31)가 구비되어 지지다리(22)의 걸이봉(221)에 거치된다. 이때 기름 받이대(30)는 지지다리(22)의 걸이봉(221)에 거치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폭방향(기름 받이대(30)가 거치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그릴(10)의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와 중첩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그릴(10)의 살대(12)로부터 제1 및 제2 거치부(11, 11')로 유도된 기름은 제1 및 제2 거치부(11, 11')에서 낙하하여 기름 받이대(30)로 수집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조립식 그릴(10)을 제외한, 그릴브릿지(20)의 지지다리(22)와 화로대(40)의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조립식 그릴
11 : 제1 거치대
11' : 제2 거치대
12 : 살대
13 : 제1 고정핀
13' : 제2 고정핀
20 : 그릴브릿지
30 : 기름 받이대
40 : 화로대

Claims (7)

  1.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제1 및 제2 거치부; 및
    판 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부에 각각 끼움홈이 마련되어 일측부가 상기 제1 거치부의 슬롯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거치부의 슬롯에 끼움 결합된 다수의 살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는 각각 상판, 하판 및 측판을 포함하여 후방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상판에서 상기 측판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살대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슬롯을 갖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는 각각,
    상기 상판의 후방측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상판의 후방측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된 밀림 방지편;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하판보다 길게 연장된 연장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살대는 각각 상면이 수평을 이루고, 하면이 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살대는 각각 정면과 후면이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기름 배출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릴.
  6.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부가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에 끼움 결합된 상기 다수의 살대의 고정공에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살대를 상기 제1 및 제2 거치부에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그릴.
  7. 제 1 항 또는 제3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그릴이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중앙부에 화로대가 거치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지지다리의 외측에 거치되어 상기 조립식 그릴에서 낙하하는 기름을 수집하는 기름 받이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브릿지.
KR1020150140103A 2015-10-06 2015-10-06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KR10162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03A KR101620988B1 (ko) 2015-10-06 2015-10-06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PCT/KR2016/010985 WO2017061737A1 (ko) 2015-10-06 2016-09-30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JP2018518490A JP6650029B2 (ja) 2015-10-06 2016-09-30 組立式グリル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グリルブリッジ
US15/766,235 US10779679B2 (en) 2015-10-06 2016-09-30 Assemblable grill and grill bridge having same
CN201690001228.5U CN208864117U (zh) 2015-10-06 2016-09-30 组装式烤架及具备其的烤架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03A KR101620988B1 (ko) 2015-10-06 2015-10-06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988B1 true KR101620988B1 (ko) 2016-05-13

Family

ID=5602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103A KR101620988B1 (ko) 2015-10-06 2015-10-06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9679B2 (ko)
JP (1) JP6650029B2 (ko)
KR (1) KR101620988B1 (ko)
CN (1) CN208864117U (ko)
WO (1) WO201706173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581A (ko) * 2018-04-26 2018-05-30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101917989B1 (ko) 2018-10-26 2018-11-12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20180132581A (ko) * 2018-12-03 2018-12-12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20190112556A (ko) * 2018-03-26 2019-10-07 박용일 다중 경사진 석쇠용 철선
KR20190129800A (ko) * 2019-11-12 2019-11-20 박용일 다중경사진 석쇠용 철선
KR102132584B1 (ko) * 2019-10-28 2020-07-09 강한석 연기와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직화그릴
KR102203805B1 (ko) * 2020-02-08 2021-01-14 노인숙 조립식 석쇠
KR102250910B1 (ko) * 2020-12-01 2021-05-10 노인숙 조립식 석쇠
KR20220101031A (ko) * 2021-01-10 2022-07-19 노인숙 다용도 조립식 석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6462B2 (en) * 2017-08-16 2020-08-11 Greg Jones Hofer Portable cooking grill system
KR102250839B1 (ko) * 2020-01-17 2021-05-11 임택순 구이기구
KR102321521B1 (ko) * 2020-04-01 2021-11-02 임택순 구이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98Y1 (ko) * 2000-03-23 2000-09-15 권태균 숯불구이용 로스터
US20080311264A1 (en) 2007-03-09 2008-12-18 Thermodyne Foodservice Products, Inc. Grill plate
KR101425570B1 (ko) * 2013-06-05 2014-08-01 주식회사 하츠 구이용 조립식 그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565U (ko) * 1975-08-27 1977-03-07
US4541406A (en) * 1984-05-24 1985-09-17 Dasambiagio Alberto O Portable grill
US4569327A (en) * 1984-12-24 1986-02-11 Velten S Dean Collapsible folding barbecue unit
US5243961A (en) * 1992-09-02 1993-09-14 Harris Ecil J Portable cooker and support arrangement
US5452706A (en) * 1994-10-28 1995-09-26 Meza; Frank Roll-up barbecue apparatus
US6439111B1 (en) * 2002-02-07 2002-08-27 Chien-Chang Lu Collapsible barbecue grill
KR20050093031A (ko) * 2004-03-18 2005-09-23 조진형 대나무 석쇠
DE202009017435U1 (de) * 2009-12-23 2010-07-22 Esbit Compagnie Gmbh Faltbarer Grill
CN202698891U (zh) 2012-08-10 2013-01-30 赵福贵 自动烧烤炉
KR20140120120A (ko) * 2013-04-02 2014-10-13 김종학 숯불구이기용 그릴구조
KR101407213B1 (ko) * 2013-07-05 2014-06-13 서명훈 휴대용 조립식 그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98Y1 (ko) * 2000-03-23 2000-09-15 권태균 숯불구이용 로스터
US20080311264A1 (en) 2007-03-09 2008-12-18 Thermodyne Foodservice Products, Inc. Grill plate
KR101425570B1 (ko) * 2013-06-05 2014-08-01 주식회사 하츠 구이용 조립식 그릴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393B1 (ko) 2018-03-26 2020-01-07 박용일 다중 경사진 석쇠용 철선
KR20190112556A (ko) * 2018-03-26 2019-10-07 박용일 다중 경사진 석쇠용 철선
KR102076908B1 (ko) * 2018-04-26 2020-02-13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20180057581A (ko) * 2018-04-26 2018-05-30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101917989B1 (ko) 2018-10-26 2018-11-12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102019610B1 (ko) 2018-12-03 2019-09-09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20180132581A (ko) * 2018-12-03 2018-12-12 박용일 직화구이용 그릴
KR102132584B1 (ko) * 2019-10-28 2020-07-09 강한석 연기와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직화그릴
KR20190129800A (ko) * 2019-11-12 2019-11-20 박용일 다중경사진 석쇠용 철선
KR102100597B1 (ko) 2019-11-12 2020-05-15 박용일 다중경사진 석쇠용 철선
KR102203805B1 (ko) * 2020-02-08 2021-01-14 노인숙 조립식 석쇠
KR102250910B1 (ko) * 2020-12-01 2021-05-10 노인숙 조립식 석쇠
KR20220101031A (ko) * 2021-01-10 2022-07-19 노인숙 다용도 조립식 석쇠
KR102446457B1 (ko) * 2021-01-10 2022-09-21 노인숙 다용도 조립식 석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9679B2 (en) 2020-09-22
JP2018534041A (ja) 2018-11-22
US20180317708A1 (en) 2018-11-08
JP6650029B2 (ja) 2020-02-19
WO2017061737A1 (ko) 2017-04-13
CN208864117U (zh)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988B1 (ko) 조립식 그릴 및 이를 구비한 그릴브릿지
US6024014A (en) Portable reversible grill with improved fluid drainage
US4598634A (en) Broiler/griddle
KR100776351B1 (ko) 숯불구이장치
US6481343B1 (en) Barbecue grill grate
US9788688B1 (en) Combination barbecue grill and smoker apparatus
CN106662335B (zh) 具有外部滴油盘模块的垂直烤架
US11576527B2 (en) Thermally efficient cooking grate
KR200433479Y1 (ko) 직화 구이 석쇠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101571499B1 (ko) 다용도 불판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100120450A (ko) 숯불 구이판
KR101187145B1 (ko) 구이판
US9060641B1 (en) Grill grate with removable bars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0659580B1 (ko) 구이틀
KR20130023434A (ko) 구이기
KR101118792B1 (ko) 바비큐 장치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200466227Y1 (ko) 휴대용 불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