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576B1 -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6576B1 KR101616576B1 KR1020140135431A KR20140135431A KR101616576B1 KR 101616576 B1 KR101616576 B1 KR 101616576B1 KR 1020140135431 A KR1020140135431 A KR 1020140135431A KR 20140135431 A KR20140135431 A KR 20140135431A KR 101616576 B1 KR101616576 B1 KR 1016165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ing
- bag
- turret
- conveyor belt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용 포대의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체가 수용된 포대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컨베이어밸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일측으로 포대가 공급되어 안내되도록 포대공급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타측으로 포대가 배출되게 안내되도록 포대배출가이드(130)가 형성되고,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와 포대배출가이드(130) 사이에 직육면상의 포대터닝프레임(140)이 기립형성되어 컨베이어밸트(110)의 구동에 따라 포대가 공급되고 터닝되어 배출되도록 마련된 포대이송수단(100)과; 상측에 터닝축(220)이 형성되고, 상기 터닝축(220) 하측으로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를 통해 투입된 포대가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중앙에 위치시, 포대 상단을 파지하도록 클램핑척수단(240)이 형성된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파지수단(200) 상측에 형성된 터닝축(220)이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터닝축(220)을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 선회시키도록 상기 터닝축(220) 중앙측에 축결합되어 편심링크된 터닝편(330)이 형성된 포대터닝수단(300)과;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을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상하로 조정하여 직각 터닝된 포대를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상에 눕혀 상기 포대배출가이드(130)의 안내에 따라 컨베이어밸트(110)의 배출되는 끝단측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포대승하강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 포대의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가 수용된 포대를 로봇에 의해 적재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포대 방향을 직각으로 선회시키고, 로봇에 의해 적재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주변 장치 및 가이드에 간섭이 없도록 하며, 포대 내부의 분체가 특정방향으로 치우치는 현상으로 인한 형상의 틀어짐 없이 적재하기 용이한 정확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확한 포대 형상을 형성함에 따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 로봇에 의한 포대 적재를 위한 정확한 위치에 멈춰서 적재가 가능하여 적재불량이 방지되는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를 포장하는 설비는 저장호퍼, 차단변 혹은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분체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오우거피더 등의 분체배출수단, 분체를 수납하는 포대(Bag)를 고정하는 포대고정수단, 포대를 받치면서 유동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벨로우즈실린더 및 진동기를 포함하는 테이블설비, 포대에 담긴 분체의 중량을 계량하는 로드셀, 수납완료된 포대를 이송하는 포대이송컨베이어 및 분진포집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체포장설비의 구성을 통해 포대에 분체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포대가 포대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분체배출수단를 통해 분체가 포대 내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분체가 포대 내부에 정량으로 적층수용되도록 데이블설비의 진동기와 벨로우즈실린더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 및 상하유동되어 분체가 포대 내부에 정량수용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체포장설비를 통해 분체가 포장된 포대는 차량으로 이동하거나 적재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하지만, 통상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에는 포대를 정량 수용하고, 밀봉한 상태에서 컨베이어에 눕혀 이동하는 만큼 포대 내부의 분체가 어느 한측으로 쏠리거나 포대 면이 불규칙하여 이동을 위한 적재 또는 적재장소에 적재하는 데 불량을 초래하고, 상당히 많은 적재공간을 차지하여 실제 적재량보다 적게 적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포대가 불규칙한 면을 가지게 되면 컨베이어 말단에 형성된 스톱퍼 선상에 포대이송이 정확히 멈추지 않아 포대가 바닥에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와 포대를 작업자나 로봇이 파지하여 적재하는 데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컨베이어에 올바르게 포대가 위치하지 않게 되면 컨베이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등의 주변장치에 간섭되어 포대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전체 포대 이송과정을 올스톱하여 처리해야 하고, 이로 인해 포대 이송처리가 늦어지게 되어 전체 공정에 많은 시간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포대 내부에 수용되는 분체에 의해 포대 형상이 유지되고, 컨베이어의 말단에서의 스톱퍼에 의한 정확한 위치에서의 멈춤으로 인해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며, 포대 형상이나 위치의 변동에 따른 주변 장치 및 가이드에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한 설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포대 내부에 분체가 투입되어 밀봉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시 분체 투입된 상태인 세로방향으로 기립된 포대를 기립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터닝하고, 터닝된 포대를 컨베이어 상에 바르게 눕혀 정렬하여 적재하거나 이동하기 위해 적재하고자 하는 곳으로 바로 이송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포대에 분체가 수용된 후, 포대 내부에서의 분체가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포대 형상이 틀어지거나, 분체가 포대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포대 형상이 적재하기 용이한 편평한 형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부분을 터닝을 통해 포대 내부에 분체가 고르게 수용되도록 함은 물론, 컨베이어 말단에서 포대가 스톱퍼수단에 의한 정지선에 정렬이 용이하여 로봇에 의한 포대의 적재가 용이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한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대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정렬이 올바르지 못할 경우 컨베이어 주변에 설치되는 가이드 등의 설비에 간섭으로 발생되는 포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포대를 컨베이어상에 눕혀 이송함에 따른 안전이송이 가능한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용 포대의 터닝장치는 분체가 수용된 포대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컨베이어밸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일측으로 포대가 공급되어 안내되도록 포대공급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타측으로 포대가 배출되게 안내되도록 포대배출가이드(130)가 형성되고,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와 포대배출가이드(130) 사이에 직육면상의 포대터닝프레임(140)이 기립형성되어 컨베이어밸트(110)의 구동에 따라 포대가 공급되고 터닝되어 배출되도록 마련된 포대이송수단(100)과; 상측에 터닝축(220)이 형성되고, 상기 터닝축(220) 하측으로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를 통해 투입된 포대가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중앙에 위치시, 포대 상단을 파지하도록 클램핑척수단(240)이 형성된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파지수단(200) 상측에 형성된 터닝축(220)이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터닝축(220)을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 선회시키도록 상기 터닝축(220) 중앙측에 축결합되어 편심링크된 터닝편(330)이 형성된 포대터닝수단(300)과;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을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상하로 조정하여 직각 터닝된 포대를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상에 눕혀 상기 포대배출가이드(130)의 안내에 따라 컨베이어밸트(110)의 배출되는 끝단측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포대승하강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은 직사각 판체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 상부면 중앙으로 상향 돌출형성된 터닝축(220)과; 상기 베이스(210) 하부면 좌우에 대칭형성되고, 하향작동되는 클램핑로드(232)가 형성된 클램핑실린더(230)와; 상기 클램핑로드(232)의 하향작동에 따라 하향이동되는 "┏┓" 형상의 링크베이스(242)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베이스(242) 양단에 결합되어 링크베이스의 하향이동에 따라 내측으로 회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244)가 좌우대칭 형성되며, 상기 링크바(244)의 회절작동에 따라 내측으로 선회되어 서로 맞닿는 클램핑척(246)으로 형성된 클램핑척수단(2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은 측면이 개방형성되고, 하부 중앙으로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의 터닝축(220)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육면체상의 베이스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일측면 외측으로 결합되고, 터닝로드(322)가 상기 터닝축(22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터닝실린더(320)와; 상기 터닝축(220)에 축결합되고,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상기 터닝로드(322)와 링크결합되는 링크암(332)이 형성된 터닝편(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포대승하강수단(400)은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 상부면 중앙에 승하강로드(412) 하단이 결합되는 승하강실린더(410)와; 상기 승하강실린더(410) 좌우측으로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 상부면 좌우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의 승하강을 흔들림없이 안내되도록 좌우대칭 구비되는 가이드바(4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대 내부에 분체가 투입되어 밀봉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시 분체 투입된 상태인 세로방향으로 기립된 포대를 기립된 상태에서 직각으로 터닝하고, 터닝된 포대를 컨베이어 상에 바르게 눕혀 정렬하여 적재하거나 이동하기 위해 적재하고자 하는 곳으로 바로 이송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포대에 분체가 수용된 후, 포대 내부에서의 분체가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포대 형상이 틀어지거나, 분체가 포대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포대 형상이 적재하기 용이한 편평한 형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부분을 터닝을 통해 포대 내부에 분체가 고르게 수용되도록 함은 물론, 컨베이어 말단에서 포대가 스톱퍼수단에 의한 정지선에 정렬이 용이하여 로봇에 의한 포대의 적재가 용이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대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정렬이 올바르지 못할 경우 컨베이어 주변에 설치되는 가이드 등의 설비에 간섭으로 발생되는 포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포대를 컨베이어상에 눕혀 정렬하여 이송함에 따른 안전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포대파지수단의 정면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도 3 A-A선에서 포대파지수단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터닝수단의 정면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도 5 B-B선 터닝수단의 평면 요부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승하강 요부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포대파지수단의 정면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도 3 A-A선에서 포대파지수단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터닝수단의 정면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도 5 B-B선 터닝수단의 평면 요부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승하강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포대파지수단의 정면 및 측면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포대파지수단의 정면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도 3 A-A선에서 포대파지수단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터닝수단의 정면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도 5 B-B선 터닝수단의 평면 요부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의 승하강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는 분체가 수용된 포대를 로봇에 의해 적재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분체를 수용하고 밀봉되어 기립되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는 포대 방향을 직각으로 선회시키고, 로봇에 의해 적재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주변 장치 및 가이드에 간섭이 없도록 하며, 포대 내부의 분체가 특정방향으로 치우치는 현상으로 인한 형상의 틀어짐 없이 적재하기 용이한 정확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정확한 포대 형상을 형성함에 따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 로봇에 의한 포대 적재를 위한 정확한 위치에 멈춰서 적재가 가능하여 적재불량이 방지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이송수단(100), 포대파지수단(200), 포대터닝수단(300), 포대승하강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대이송수단(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를 투입받은 포대를 로봇에 의해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분체가 수용된 포대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컨베이어밸트(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일측으로 포대가 공급되어 안내되도록 포대공급가이드(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는 포대가 분체를 투입받아 기립된 상태에서 밀봉된 상태로 이송시, 포대가 쓰러지지 않도록 기립된 포대의 상측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타측으로 포대가 배출되게 안내되도록 포대배출가이드(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대배출가이드는 후술되는 포대파지수단, 포대터닝수단, 포대승하강수단에 의해 기립된 상태의 정면상에서 가로방향으로 진행하는 포대를 직각으로 터닝하여 가로진행방향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컨베이어밸트상에 가로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승하강수단에 의해 눕혀 컨베이어밸트(110)에 의해 이송시, 눕혀진 상태의 포대가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로 흐트러짐이나 주변 장치의 간섭없이 정확히 안내되도록 포대가 눕혀진 상태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컨베이어밸트 외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와 포대배출가이드(130) 사이에 직육면상의 포대터닝프레임(140)이 기립형성되어 후술되는 포대승하강수단이 고정결합됨과 함께 포대승하강수단과 결합되는 포대파지수단 및 포대터닝수단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술한 포대이송수단(100)의 포대공급가이드(120)를 통해 공급되는 포대의 상단을 파지하여 후술되는 포대터닝수단에 의해 직각선회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측에 터닝축(220)이 형성되고, 상기 터닝축(220) 하측으로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를 통해 투입된 포대가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중앙에 위치시, 포대 상단을 파지하도록 클램핑척수단(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210), 터닝축(220), 클램핑실린더(230), 클램핑척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0)는 직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포대파지수단을 형성하는 각 구성이 결합되는 기초가 된다.
상기 터닝축(210)은 전술한 상기 베이스(210) 상부면 중앙으로 상향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닝축(220)은 후술되는 포대터닝수단의 베이스프레임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을 관통하지는 않는다.
상기 클램핑실린더(230)는 전술한 상기 베이스(210) 하부면 좌우에 대칭형성되고, 하향작동되는 클램핑로드(2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실린더(230)의 클램핑로드의 상하운도에 따라 후술되는 클램핑척수단(240)이 작동되어 포대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척수단(240)은 포대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클램핑로드(232)의 하향작동에 따라 하향이동되는 "┏┓" 형상의 링크베이스(2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베이스(242) 양단에 결합되어 링크베이스의 하향이동에 따라 내측으로 회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244)가 좌우대칭 형성되고, 상기 링크바(244)의 회절작동에 따라 내측으로 선회되어 서로 맞닿는 클램핑척(246)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핑척수단(240)은 클램핑로드(232)와 결합된 링크베이스(242)가 클램핑로드의 하향이동에 다라 하향이동되고, 이에 따라 좌우 대칭구비되어 있는 링크바(244)가 좌우로 벌어지면서 링크바에 각각 링크 결합된 상기 클램핑척(244)이 내측으로 선회하면서 오므려지도록 형성되어 포대를 파지하게 된다. 포대 파지의 해지는 역순으로 작동된다.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은 앞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분체가 포대에 수용된 상태에서 밀봉된 상태로 기립되어 가로방향으로 컨베이어밸트를 통해 이송되면 컨베이어밸트 중앙측에 형성된 포대터닝프레임(140)에 위치된 부분에서 직각으로 포대를 선회시켜 포대의 넓은 면이 컨베이어밸트에 정확히 눕혀짐과 함께 포대 내부의 분체가 고르게 포대 내부에 분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컨베이어밸트 끝단측으로 포대가 정확한 형태로 위치되어 로봇이나 작업자가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포대파지수단(200) 상측에 형성된 터닝축(220)이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터닝축(220)을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 선회시키도록 상기 터닝축(220) 중앙측에 축결합되어 편심링크된 터닝편(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10), 터닝실린더(320), 터닝편(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은 사각의 육면체상으로 전후좌우 측면이 개방형성되고, 하부 중앙으로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의 터닝축(220)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터닝축(2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닝축(2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상측을 관통하여 축결합되지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후술되는 포대승하강수단의 승하강로드가 상기 터닝축(220)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터닝축 회전에 따라 포대파지수단이 터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상하측은 후술되는 포대승하강수단과 전술한 포대파지수단이 결합되고, 측면은 후술되는 터닝실린더의 작동에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닝실린더(3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하측으로 통해 축결합된 터닝축(220)을 회전시켜 포대가 터닝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일측면 외측으로 결합되고, 터닝로드(322)가 상기 터닝축(22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최초 터닝로드(322)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포대파지수단이 정위치되고, 상기 터닝실린더(320)의 작동에 따라 터닝로드가 작동하면 터닝축(220)을 90도로 선회시켜 포대파지수단이 터닝되도록 한다.
상기 터닝편(330)은 상기 터닝축(220)에 축결합되고,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상기 터닝로드(322)와 링크결합되는 링크암(332)이 형성된다. 즉, 터닝로드(322)와 링크암(332), 터닝축(220)의 구성이 2절결합되어 터닝로드(322)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터닝축(220)이 축선상에 직교되는 수평면상에서 90도 각도로 선회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을 통해 포대가 가로방향이 직각으로 선회작동되어 포대의 넓은 면이 컨베이어밸트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어 컨베이어밸트에 눕혀짐으로써, 포대의 넓은 면적의 직사각형상 모양이 정확히 유지되어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컨베이어밸트 끝단측에 적재를 위한 스톱핑장치의 인식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립된 포대의 상측의 공극부분을 포대 터닝과 눕힘을 통해 포대 내부의 분체를 컨베이어밸트 이송과정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역할과 포대의 상중하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어 직육면체상의 포대 형상을 형성하여 포대 적재시 적재성이 용이하고, 로봇이나 작업자가 적재작업에 용이하다.
상기 포대승하강수단(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술한 포대터닝수단(300)을 통해 터닝된 포대를 컨베이어밸트상에 눕혀 이송하도록 포대터닝수단과 포대파지수단을 승하강시키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을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상하로 조정하여 직각 터닝된 포대를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상에 눕혀 상기 포대배출가이드(130)의 안내에 따라 컨베이어밸트(110)의 배출되는 끝단측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포대승하강수단(400)은 승하강실린더(410), 가이드바(420)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410)는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 상부면 중앙에 승하강로드(412) 하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승하강로드(412)의 승하강작동에 따라 포대터닝수단과 포대파지수단이 컨베이어밸트측으로 승하강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420)는 상기 승하강실린더(410) 좌우측으로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 상부면 좌우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의 승하강을 흔들림없이 안내되도록 좌우대칭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분체가 수용되어 밀봉된 포대가 기립된 상태로 포대이송수단(100)의 컨베이어밸트(110)로 투입된다. 이때, 포대공급가이드(120)에 의해 포대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컨베이어밸트(110) 중앙측에 형성된 포대터닝프레임(140) 중앙으로 위치함과 함께 포대파지수단(200)에 의해 포대가 파지된다.
다음으로, 포대터닝수단(300)의 터닝실린더(320)가 작동하면서 터닝로드(322)가 터닝축(220)측으로 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터닝로드(322)의 끝단에 링크결합된 터닝편(330)을 밀어냄에 따라 터닝축(220)이 터닝로드(322)의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회전함으로써, 포대파지수단(200)에 의해 파지된 포대가 터닝된다.
다음으로, 포대의 넓은 면적이 컨베이어밸트의 진행방향으로 터닝되면 포대승하강수단(400)의 작동에 따라 포대가 컨베이어밸트 상에 안전하게 안착되고, 이후, 포대는 컨베이어밸트의 이동방향과 수평하게 형상을 취하면서 기립된 상태에서의 포대 공간에 분체가 고르게 체워진다.
다음으로, 포대는 포대배출가이드(130)의 안내에 따라 컨베이어밸트(110)의 배출단 끝단측에 위치되어 로봇이나 작업자에 의해 적재하고자 하는 장소로의 이동이나 이동을 위한 화물적재가 가능한 것이다.
즉, 포대를 터닝하는 과정과 컨베이어밸트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포대 내부에 수용된 분체는 고르게 펼쳐진 상태로 포대배출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파손이나 손상없이 포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포대이송수단 110 : 컨베이어밸트
120 : 포대공급가이드 130 : 포대배출가이드
140 : 포대터닝프레임 200 : 포대파지수단
210 : 베이스 220 : 터닝축
230 : 클램핑실린더 232 : 클램핑로드
240 : 클램핑척수단 242 : 링크베이스
244 : 링크바 246 : 클램핑척
300 : 포대터닝수단 310 : 베이스프레임
320 : 터닝실린더 322 : 터닝로드
330 : 터닝편 332 : 링크암
400 : 포대승하강수단 410 : 승하강실린더
412 : 승하강로드 420 : 가이드바
120 : 포대공급가이드 130 : 포대배출가이드
140 : 포대터닝프레임 200 : 포대파지수단
210 : 베이스 220 : 터닝축
230 : 클램핑실린더 232 : 클램핑로드
240 : 클램핑척수단 242 : 링크베이스
244 : 링크바 246 : 클램핑척
300 : 포대터닝수단 310 : 베이스프레임
320 : 터닝실린더 322 : 터닝로드
330 : 터닝편 332 : 링크암
400 : 포대승하강수단 410 : 승하강실린더
412 : 승하강로드 420 : 가이드바
Claims (4)
- 분체가 수용된 포대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컨베이어밸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일측으로 포대가 공급되어 안내되도록 포대공급가이드(120)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타측으로 포대가 배출되게 안내되도록 포대배출가이드(130)가 형성되고,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와 포대배출가이드(130) 사이에 직육면상의 포대터닝프레임(140)이 기립형성되어 컨베이어밸트(110)의 구동에 따라 포대가 공급되고 터닝되어 배출되도록 마련된 포대이송수단(100)과; 상측에 터닝축(220)이 형성되고, 상기 터닝축(220) 하측으로 상기 포대공급가이드(120)를 통해 투입된 포대가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중앙에 위치시, 포대 상단을 파지하도록 클램핑척수단(240)이 형성된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파지수단(200) 상측에 형성된 터닝축(220)이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터닝축(220)을 축선을 중심으로 직각 선회시키도록 상기 터닝축(220) 중앙측에 축결합되어 편심링크된 터닝편(330)이 형성된 포대터닝수단(300)과;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포대파지수단(200)과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을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내측 상하로 조정하여 직각 터닝된 포대를 상기 컨베이어밸트(110) 상에 눕혀 상기 포대배출가이드(130)의 안내에 따라 컨베이어밸트(110)의 배출되는 끝단측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포대승하강수단(400);으로 형성되되,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은 직사각 판체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 상부면 중앙으로 상향 돌출형성된 터닝축(220)과; 상기 베이스(210) 하부면 좌우에 대칭형성되고, 하향작동되는 클램핑로드(232)가 형성된 클램핑실린더(230)와; 상기 클램핑로드(232)의 하향작동에 따라 하향이동되는 "┏┓" 형상의 링크베이스(242)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베이스(242) 양단에 결합되어 링크베이스의 하향이동에 따라 내측으로 회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바(244)가 좌우대칭 형성되며, 상기 링크바(244)의 회절작동에 따라 내측으로 선회되어 서로 맞닿는 클램핑척(246)으로 형성된 클램핑척수단(240);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은 측면이 개방형성되고, 하부 중앙으로 상기 포대파지수단(200)의 터닝축(220)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육면체상의 베이스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10) 일측면 외측으로 결합되고, 터닝로드(322)가 상기 터닝축(22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터닝실린더(320)와; 상기 터닝축(220)에 축결합되고,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상기 터닝로드(322)와 링크결합되는 링크암(332)이 형성된 터닝편(330);이 형성되며, 상기 포대승하강수단(400)은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 상부면 중앙에 승하강로드(412) 하단이 결합되는 승하강실린더(410)와; 상기 승하강실린더(410) 좌우측으로 상기 포대터닝프레임(140)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포대터닝수단(300) 상부면 좌우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포대터닝수단(300)의 승하강을 흔들림없이 안내되도록 좌우대칭 구비되는 가이드바(4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용 포대의 터닝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431A KR101616576B1 (ko) | 2014-10-07 | 2014-10-07 |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431A KR101616576B1 (ko) | 2014-10-07 | 2014-10-07 |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2270A KR20160042270A (ko) | 2016-04-19 |
KR101616576B1 true KR101616576B1 (ko) | 2016-04-29 |
Family
ID=5591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5431A KR101616576B1 (ko) | 2014-10-07 | 2014-10-07 |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657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7381A (ko) | 2022-07-08 | 2024-01-16 |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 포대 적재장치의 포대 터닝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3163B1 (ko) * | 2016-06-14 | 2017-03-07 | 김재석 |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
CN109879019B (zh) * | 2019-03-12 | 2023-11-28 | 安徽步乐自动化设备有限公司 | 一种旋转倒包装置 |
CN111776705B (zh) * | 2020-06-30 | 2024-07-19 | 江苏亨通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输送线自动上下料装置 |
KR102320719B1 (ko) * | 2021-07-02 | 2021-11-01 | 조병수 | 내화물 가공품 제조방법 |
CN117049156B (zh) * | 2023-09-12 | 2024-05-14 | 深圳市晶新科技有限公司 | 一种大批量包装袋自动堆垛设备 |
CN117023107B (zh) * | 2023-10-07 | 2023-12-19 | 江油中化炉窑工程有限公司 | 一种核屏蔽材料制备用袋装粉料上料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396Y1 (ko) * | 2000-08-14 | 2001-02-15 | 김홍노 | 포대 포장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40700A (ja) * | 1991-11-15 | 1993-06-08 | Mazda Motor Corp | フエライト系耐熱鋳鋼部材及びその製造法 |
KR0125112Y1 (ko) | 1995-07-12 | 1998-08-17 | 이기군 |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
-
2014
- 2014-10-07 KR KR1020140135431A patent/KR1016165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396Y1 (ko) * | 2000-08-14 | 2001-02-15 | 김홍노 | 포대 포장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7381A (ko) | 2022-07-08 | 2024-01-16 |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 포대 적재장치의 포대 터닝장치 |
KR102680401B1 (ko) * | 2022-07-08 | 2024-07-02 |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 포대 적재장치의 포대 터닝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2270A (ko) | 2016-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6576B1 (ko) |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 |
CN102275648B (zh) | 一种瓷砖自动包装生产线 | |
KR102221767B1 (ko) | 자동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포장 적재 시스템 | |
CN108128636A (zh) | 上下料设备 | |
CN201472690U (zh) | 一种大规格陶瓷砖包装设备 | |
JP6941384B2 (ja) | カートンに緩衝要素を梱包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CN107810155B (zh) | 用于装载存储区域的装置和方法 | |
CN110104237A (zh) | 一种自动装箱机 | |
CN104925522A (zh) | 自动收发料机 | |
KR101993693B1 (ko) | 분체포장시스템 | |
CN110482243A (zh) | 一种包装材料用自动化码垛设备的工作方法 | |
CN201890373U (zh) | 一种便捷式大米包装缝包输送装置 | |
KR101537976B1 (ko) |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박스 적재시스템 | |
KR102014096B1 (ko) | 포대 자동 공급장치 | |
CN208631628U (zh) | 一种自动装料机 | |
JP7294628B2 (ja) |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 |
JP3470076B2 (ja) | 充填包装装置 | |
CN204623899U (zh) | 一种重膜包装机 | |
JPH05330528A (ja) | ケースの自動開箱・物品取り出し・折畳装置 | |
WO2019044878A1 (ja) | 卵パックの箱詰めシステム | |
CN109592137B (zh) | 一种立式装管机 | |
CN109159988B (zh) | 一种微动开关包装设备 | |
CN209701075U (zh) | 一种立式装管机 | |
KR101214885B1 (ko) | 책 제본기의 책 자동공급장치 | |
CN208007454U (zh) | 一种活性炭的包装生产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