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112Y1 -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112Y1
KR0125112Y1 KR2019950017195U KR19950017195U KR0125112Y1 KR 0125112 Y1 KR0125112 Y1 KR 0125112Y1 KR 2019950017195 U KR2019950017195 U KR 2019950017195U KR 19950017195 U KR19950017195 U KR 19950017195U KR 0125112 Y1 KR0125112 Y1 KR 0125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guide
fixed
ca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7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18U (ko
Inventor
이기군
Original Assignee
이기군
주식회사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군, 주식회사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기군
Priority to KR2019950017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112Y1/ko
Publication of KR970005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딩(Feeding)되어지는 사면체 형상의 물품, 예로서 시멘트, 밀가루, 곡물류등의 포대를 다단으로 적재함에 있어 적재작업의 용이성, 견고성에 의한 적재효율 및 안전성을 도모하고자 물품의 방향을 전환이송하여 적정의 배열로 적재할 수 있도록한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컨베이어 상을 타고 피딩되어오는 물품의 이송력에 의해 방향전환기의 터닝바에 상기 물품의 일측모서리부가 걸려 자연스럽게 90도 회전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이송되는 간편한 구조의 물품의 이송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함에 받침판(팰리트)상에 적층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취해지는 2횡열 3종열방식의 적층배열을 구득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전환기의 터닝바를 선택적으로 로크, 해제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물품을 2횡열 3종열 배열을 연속적으로 취할 수 있어 장치사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요부인 방향전환기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단면 구성도.
제6도는 제4도의 평면구성도.
제7도는 제4도의 배면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벨트컨베이어 22:가이드 플레이트
30:방향전환기 33:마그네트
35:아암 42:회동축
43:래칫판 5:터닝바
50:스토퍼볼트
본 고안은 피딩(Feeding)되어지는 사면체 형상의 물품, 예로서 시멘트, 밀가루, 곡물류등의 포대를 다단으로 적재함에 있어 적재작업의 용이성, 견고성에 의한 적재효율 및 안전성을 도모하고자 물품의 방향을 전환이송하여 적정의 배열로 적재할 수 있도록한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에 넣은 시멘트와 같은 물품은 시멘트 서어비스 스테이션에서 자동포장기에 의해 일정량을 포대에 포장하여 운송수단에 의해 도매상, 작업현장, 기타사용장소에 운반되어 사용된다.
종래에는 자동포장기로부터 벨트컨베이어등에 순차적 이송되어져 오는 포대에 포장된 시멘트를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에 정렬하여 적재하는 작업은 다수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행해져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같은 노동력의 확보곤란 및 작업능률의 저하로 자동화 장치가 요망되었고, 이러한 자동화 기술로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하여 이송대기중인 받침판(팰리트)를 적재위치에 고정배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소정의 이송수단, 예로서 벨트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등을 통하여 수송된 규격화된 물품을 캐리지를 이용하여 받침판(팰리트)위치로 실어나르게 되고 상기 캐리지는 한층에 설정된 수량을 평면적으로 정연하게 적재한후 그 위에 다음층을 적재하는 일련의 적재작업을 수행한후, 상기 받침판과 그 위에 일정높이로 적층된 물품을 한꺼번에 리프팅 운반수단에 의해서 트럭과 같은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자동화물 적재기(Palletizer)가 주지되고 있다.
그러나 받침판(팰리트)에 물품을 설정된 수량만큼 평면적으로 정연하게 다단으로 적층함에 있어서는 그 물품의 갖는 형상이 직사면체로 이루어지고, 받침판(팰리트)역시 직사면체로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직사면체의 받침판에 직사면체의 물품적층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물품의 배열을 2개는 가로방향, 3개는 세로방향의 2횡열 3종열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1차의 물품적층 배열에 대해 물품의 적층배열이 좌,우로 상반되게 바뀌도록 받침판을 90도 회전하여 층과 층사이의 물품끼리 서로 엇물리게 하므로써 적층강도를 높이도록 하는 방법이 주지되었다.
이러한 물품의 적층배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피딩되어오는 물품을 선택적으로 방향전환, 즉 90도로 전환시켜 주는 장치가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피딩되어오는 물품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턴테이블이나 구동로울러를 이용한 장치가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제작경비가 수반되는 것이어서 실용성이 저하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이송되는 물품을 상부에 회전구동하는 분배기(Distributor)가 양방의 집게로 잡아 90도 회전하여 컨베이어 상부에 다시 얹혀놓는 기술이 주지되고 있으나, 이런 기술 역시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공간 점유율이 커서 비효율적이고 특히 물품을 집게로 잡아들어 이송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물품의 상,하면이 평탄화되지 않아 오히려 다단적층 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컨베이어 상을 타고 피딩되어오는 물품의 이송력에 의해 방향전환기의 터닝바에 상기 물품의 일측모서리부가 걸려 자연스럽게 90도 회전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이송되는 간편한 구조의 물품의 이송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판(팰리트)상에 적층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취해지는 2횡열 3종열방식의 적층배열을 구득하기 위하여 상기 방향전환기의 터닝바를 선택적으로 로크, 해제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물품을 2횡열 3종열 배열을 연속적으로 취할 수 있어 장치사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징적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즉,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10)와 상부의 방향전환기(30)로 대별구성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0)는 기대(11)저부에 취부되는 구동모터(12)의 구동타이밍풀리(13)와 연동롤(14)의 연동타이밍풀리(15)가 타이밍벨트(16)로 연결되고 상기 연동롤(14)의 대향타측에는 종동롤(17)이 축착되어 무한벨트(18)로 연결되되, 이를 양롤(14,17)사이에는 다수의 가이드롤(19)과 지지롤(20)이 상기 무한벨트(18)를 안내, 지지하여 상,하부에서 접면상태로 축착된다.
상기 종동롤(17)은 롤축양방이 상기 기대(11)상에서 어드저스트볼트(21)에 의해 좌,우수평이동케 축결합되어 이의 수평이동조절에 의한 상기 무한벨트(18)의 텐션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기대(11)의 상부 일측에는 좌,우양방에 가이드블록(24,24)이 취부되고 이에 가이드 샤프트(25,25)가 상기 가이드블록(24,24)에서 전,후진 가능케 결합되고 상부의 고정볼트(23)로 길이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25)의 선단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2)가 각도변환가능케 취부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는 양측가이드 샤프트(25,25)에 가이드 브라켓(26,26)이 고정볼트(27)로 축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의 각도변화에 따른 각도변화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토록 상기 일측의 가이드브라켓(26)에는 가이드 장홈(28)을 형성하고 결합되었다.
상기 방향전환기(30)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에 볼트(29)로 고정취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상부에 케이싱(32)이 고정취부되고 상기 케이싱(32)상부에 마그네트(33)가 취부되며 상기 케이싱(32)내에 상기 마그네트(33)에 의해서 자력발생, 차단으로 승,하강 작동하는 승강축(34) 내설되어 래칫돌기(36)를 갖는 아암(35)과 조인트바(37)로 상호 연결핀(38)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아암(35)은 상기 케이승(32) 내측에 고정된 브라켓(39)에 일측이 연결핀(40)으로 지지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32)일측에 고정되는 베어링(41)을 통하여 내외부로 돌출되어서 회동축(42)이 축착되되, 내측단에는 상부에 래칫돌기(44)를 형성한 래칫판(43)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래칫돌기(44)가 상기 아암(35)의 래칫돌기(36)와 맞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외측단에는 터닝바(45)가 수직향으로 고정취부되며 상기 터닝바(45)의 하단내측에 중량유지판(46)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32)의 외측일측에 지지브라켓(47)이 고정취부되고 선단에 고정너트(48)가 취부되어 이에 선단에 완충스톱구(49)를 갖는 스토퍼 볼트(50)가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1은 개폐문을, 52는 개폐문 힌지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컨베이어(미도시됨)로부터 시멘트 또는 이와 유사한 물품을 포대에 넣어 포장되어 이송되는 물품(P)이 평탄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상,하면의 평탄작업이 이루어진 상태로 하여 본 고안의 벨트컨베이어(10)상부면으로 진입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물품(P)는 사면체 길이방향으로 벨트컨베이어(10)의 무한벨트(18)에 의해서 이송되어지는바, 상기 물품(P)의 적층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채택되는 2횡열 3종열 방식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벨트컨베이어(10)의 무한벨트(18)에 의하여 일방향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물품(P)은 방향이 전환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이송되느냐, 90도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이송되느냐는 상기 방향전환기(30)를 이루는 케이싱(32)상부에 구성된 마그네트(33)의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먼저 90도 방향전환과정을 제2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마그네트(33)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승강축(34)이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에 연결된 아암(35)의 래칫돌기(36)와 회동축(42)에 결합고정된 래칫판(43)의 래칫돌기(44)가 서로 맞결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회동축(42)에 결합고정된 터닝바(45)는 회동작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10)의 무한벨트(18)를 타고 이송되는 물품(P)는 가이드 플레이트(22)일측면이 안내되어 이송하면서 상기 터닝바(45)의 선단에 일측 모서리부가 맞닿게 되게 되고 결국 물품(P)의 이송력에 의한 상기 일측 모서리부를 지점으로 물품(P)은 90도 회전하여 폭방향(종열방향)으로 전환되어 벨트컨베이어(10)에 의해서 정렬이송공급장치(미도시됨)로 이송되어 위치된다.
이렇게 이송시키는 작업을 3번 반복하여 물품(P)이 3종열로 이송되면 정렬이송공급장치(미도시됨)에 의해서 3종열 물품(P) 전체를 들어 전방에 위치시키는 작업과 연계되어 상기 방향전환기(30)의 마그네트(33)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마그네트(33)의 승강축(34)이 상승하게되고 이의 선단에 조인트바(37)로 연결된 아암(35)이 브라켓(39)의 연결핀(40)을 지점으로 회동승강하여 래칫판(43)의 래칫돌기(44)에 맞결합된 래칫돌기(35)와 결합상태를 상부로 이탈시키게 된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물품(P)이 가이드 플레이트(22)를 타고 이송하면서 상기 터닝바(45)에 일측 모서리부가 맞닿아 이송하더라도 상기 터닝바(45)가 회동축(42)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이 이루어져 결국 상기 물품(P)는 방향이 전환되지 않은 즉,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 3종열 상태로 대기중인 물품(P)의 후면에 이송위치공정이 2번 반복하여 정렬이송공급장치(미도시됨)에 2횡열 3종열로 배열되고 상기 정렬이송공급장치에 의해 2횡열 3종열 물품(P)전체를 적재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그네트(33)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며, 이러한 마그네트(33)의 전원의 차단과 동시에 상기 아암(35)의 자체중량으로 연결핀(40)을 지점으로 하향회동하여 상기 회동축(42)의 래칫판(43)의 래칫돌기(36)와 맞결합되어 회동축(42)의 회동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물품(P)이 방향전환이 않된 상태로 이송됨에 있어서 상기 물품(P)이 터닝바(45)의 선단을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터닝바(45)의 선단내측에 결합고정된 중량유지판(46)에 의하여 상기 터닝바(45)는 회동축(42)지점으로 하향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터닝바(45)의 상단후방에 지지브라켓(47)에 고정취부된 스토퍼볼트(50)의 완충스토구(49)에 의해서 더이상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터닝바(45)는 최초의 수직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가이드플레이트(22)는 가이드샤프트(25)의 전,후길이를 조정함에 의해서 상부의 방향전환기(30)와 같이 그 각도 또는 벨트컨베이어(10)의 무한벨트(18)상부면 폭을 조정하여 진입되는 물품(P)방향에 맞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 상을 타고 피딩되어오는 물품의 이송력에 의해 방향전환기의 터닝바의 선택적, 고정의해 상기 물품의 일측모서리부를 걸어 90도의 방향전환, 즉 폭이송을 제공하거나 그대로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받침판(팰리트)상에 적층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취해지는 2횡열 3종렬 방식의 적층배열을 구득할 수 있어 물품 적재기에 의한 물품의 다단 적층에 따른 적층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작업능률 및 작업의 연속성이 제공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기대(11)저면에 취부된 구동모터(12)에 의해 무한벨트(18)를 연동롤(14)과 종동롤(1) 및 다수의 가이드롤(19)과 지지로울(20)로 안내지지하여 물품(P)를 이송공급토록한 통상의 벨트컨베이어(10)에 있어서, 상기 기대(11)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2)가 취부되어 이의 상부에 방향전환기(30)가 취부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기(3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상부에 케이싱(32)이 고정취부되어 이의 상부에 마그네트(33)가 취부되고 상기 마그네트(33)의 승강축(34)에 래칫돌기(36)를 갖는 아암(35)이 조인트바(37)로 상호 연결핀(38)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아암(35)은 상기 케이싱(32)의 내측에 고정된 브라켓(39)에 일측이 연결핀(40)으로 지지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32)의 일측에는 내,외부로 돌출되어서 회동축(42)이 축착되어 내측단에는 상기 아암(35)의 래칫돌기(36)와 맞결합되는 래칫돌기(44)를 형성한 래칫판(43)이 결합고정되며 외측단에는 하단에 중량유지판(46)이 고정된 터닝바(45)가 수직방향으로 고정취부되며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32)의 외측일측에 지지브라켓(47)이 고정취부되고 선단에 고정너트(48)가 취부되어 이에 상기 터닝바(54)의 상단과 맞닿은 완충스톱구(49)를 갖는 스토퍼 볼트(50)가 나사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2.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는 상기 기대(11)의 상부에 취부되는 가이드 블록(24,24)에 전,후진 가능케 결합된 양측 가이드 샤프트(25,25)와 가이드 브라켓(26.26)이 고정볼트(27)로 축결합되어 연결되되, 각도조정에 따른 각도변화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의 가이드 브라켓(26)에 가이드 장홈(28)을 형성하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2019950017195U 1995-07-12 1995-07-12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0125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195U KR0125112Y1 (ko) 1995-07-12 1995-07-12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195U KR0125112Y1 (ko) 1995-07-12 1995-07-12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18U KR970005718U (ko) 1997-02-19
KR0125112Y1 true KR0125112Y1 (ko) 1998-08-17

Family

ID=1941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7195U KR0125112Y1 (ko) 1995-07-12 1995-07-12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1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70A (ko)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KR101713163B1 (ko) * 2016-06-14 2017-03-07 김재석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94Y1 (ko) * 2008-06-10 2010-09-10 (주)아모레퍼시픽 상품이 내장된 포장용 상자의 회전 및 간헐누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70A (ko)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포장용 포대의 터닝장치
KR101713163B1 (ko) * 2016-06-14 2017-03-07 김재석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18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8843C (en) Load former-palletizer
US5338150A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such as cartons
AU2012357643B2 (en) A palletiser
US8770909B2 (en) Layer formation table and process
US4648770A (en) Stacking profile elements in nested groups
US201100761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lletizing Items
KR0125112Y1 (ko) 물품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JPH0873036A (ja) 積付方法及び積付装置
EP0594884B1 (en) Work conveyor
KR0130054Y1 (ko) 물품의 평탄이송 공급장치
KR0125110Y1 (ko) 자동화물 적재기
KR960013622B1 (ko) 자동 적재장치
JPH07300226A (ja) 搬送物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S6130979Y2 (ko)
JP3706402B2 (ja) 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3241135B2 (ja) ケース積下ろし装置
KR0130053Y1 (ko) 물품의 적재를 위한 정렬이송 공급장치
JPH0723760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3002935B2 (ja) 積付装置
US9371200B2 (en) Device the conveying and handling of products
KR910007522B1 (ko) 자동 화물상차 시스템
JPS63101219A (ja) 荷積み装置
JPH0442284B2 (ko)
JPH06345268A (ja) パレタイザー装置
JPH03337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