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540B1 -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540B1
KR101614540B1 KR1020090066953A KR20090066953A KR101614540B1 KR 101614540 B1 KR101614540 B1 KR 101614540B1 KR 1020090066953 A KR1020090066953 A KR 1020090066953A KR 20090066953 A KR20090066953 A KR 20090066953A KR 101614540 B1 KR101614540 B1 KR 101614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signal
time series
time
detecting
esca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913A (ko
Inventor
히로유키 츠타다
다카시 히라이
다카히데 히라이
고지 요시다
유타카 이토
히데키 니시야마
마사키 히키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25Escalators of variable spe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커트 가드(3)로의 물체(5)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6)와, 접근 물체의 유무에 따라 상기 근접 센서의 시계열 신호를 생성하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와, 상기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접근 검출부(410)와, 접근 검지 결과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에게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1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SAFETY SYSTEM FOR AN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과 스커트 가드(skirt guard)의 간극, 또는 스텝과 라이저(riser)의 간극에, 구두나 의복 등의 물체가 끼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다수의 계단이 연결되어서 무단 형상의 계단열로서 운전된다. 또한, 계단의 좌우에는 계단과 근소한 간극을 거쳐서 스커트 가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예컨대 우산이나 구두, 승객의 의복 등의 이물이 계단의 라이저부와 계단 사이에 끼거나, 또는 계단과 스커트 가드 사이에 상기 이물이 끼거나 하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여러가지 안전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스커트 가드 부분에 발광부 및 수광부를 대향시킨 투과형 광전 장치를 마련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에 수반하여, 계단이 일정 주기에서 광속을 차광하는 것을 이용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일정한 주기성을 갖는 차광 동작을 이용해서 계단 기준 신호를 작성한다. 이러한 계단 기준 신호의 발생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계단의 이동 거리는 상대 관계에 있다. 따라서, 계단 기준 신호의 발생시로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 범위 내를 유효 검출대 영역으로 설정하고, 이 유효 검출대 영역에 있어서, 투과형 광전 장치 또는 반사형 광전 장치가 물체를 검출한 경우, 승객의 위험 위치 탑승을 검출한다. 여기서, 계단 기준 신호의 발생시라는 것은, 발광부 및 수광부에 의한, 계단마다의 최장 수광 시간 이후, 차광 동작으로 옮긴 시점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제 1983-56763 호 공보
상술의 특허문헌 1에 의한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 기준 신호의 발생시라는 것은, 투과형 광전 장치에 있어서, 계단마다의 최장 수광 시간 이후, 차광 동작으로 옮긴 시점으로 하고, 계단 기준 신호 발생기로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 범위 내에 있어서의 차광 동작에 의해 승객의 위험 위치 탑승을 검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계단의 형상에 있어서는, 올바른 검지를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투광형 광전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올바른 검지를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가 운전 중에 변경된 경우에는, 계단의 이동 거리가 변화되는 점으로부터, 올바른 검지를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 비교해서 오검출을 저감해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킨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종래예와 같은 차광형 광전 장치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올바른 검지가 실행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속도 변화에도 대응 가능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는, 근접 센서와, 시계열 신호 생성부와, 접근 검출부와, 경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근접 센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에 있어서의 발판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커트 가드로의 상기 발판 상의 물체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접속되어, 접근 물체의 유무에 따른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발판의 이동에 대응한 시간 경과에 따르는 시계열 신호로서 생성한다.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에 기인해서 발생한 상기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경고부는 상기 접근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검출부의 접근 검지 결과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에 경고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접근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시계열 신호인 기준 시계열 신호의 패턴과, 검출시에 있어서의 시계열 신호인 검출 시계열 신호의 패턴의 불일치 기간이 발판 통과 주기보다도 긴 것을 검지해서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접근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시계열 신호인 기준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온 또는 오프 시간 간격과, 검출시에서의 시계열 신호인 검출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온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의 상위를 검지해서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발판 통과 주기로 반복되어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의 상위를 검지해서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는,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발판의 이동 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발판 통과 주기를 상기 시계열 신호로부터 검출하고, 검출한 발판 통과 주기에 따라 상기 기준 시계열 신호의 패턴을 변화시킨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는, 운전 정지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운전 정지 검출부는,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시계열 신호가 시간 경과에 걸쳐 불변인 것을 검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적어도 2개의 센서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개소에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는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는,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발판 통과 주기로 반복된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에 대해,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으로서 모든 상기 근접 센서가 송출하는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이 동시에 상위한 것을 검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변화라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에 접속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변화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검출부 또는 상기 경고 부를 무효화하는 오동작 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발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상기 계단의 배치 간격의 양의 정수배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의 시계열 신호를 비교해서,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해도 좋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는 차광 센서를 더 구비해도 좋으며, 이 차광 센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에 있어서의 발판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계단의 라이저로의 발판 상의 물체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 경우,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는, 또한 상기 차광 센서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시계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접근 검출부는, 또한 상기 라이저로의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중심축이 대향하도록 적어도 좌우 각 1쌍 이상이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상기 접근 검출부는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의 시계열 신호를 비교해서,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의하면, 근접 센서 및 접근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근접 센서의 출력에 근거해 형성되어 접근 물체의 유무에 기인해서 변화되는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해서 접근 물체의 유무 를 판단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차광 센서를 이용하여 계단 위치의 검출을 실행하는 일 없이 물체의 접근을 검출할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해 오검출을 저감하여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같은 구성 부분에 있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장치는,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하는 계단의 좌우에 마련되어 있는 스커트 가드와 발판의 간극 및 발판과 라이저의 간극의 적어도 한쪽에 승객의 의복 등의 이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커트 가드 및 라이저의 적어도 한쪽에 이물이 접근한 것을 검출해 승객에게 경고를 발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이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의 기본적 구성으로서는, 도 7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제 3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접 센서와, 시계열 신호 생성부와, 접근 검출부와, 경고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95)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에스컬레이터(40)의 안전 장치(95)는, 접근 검출 센서로서의 일례에 해당하는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와, 시계열 신호 생성부(8)와,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와, 접근 검출부(10)와, 경고부(11)를 구비한다. 이하에 이들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근접 센서(6)는 센서에 비접촉으로 검출 물체가 가까이 간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에스컬레이터의 계단(1)의 좌우에 마련되어 있는 스커트 가드(3)의 측면의 안쪽, 발판(2)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영역에, 발판(2)과 간섭하지 않도록 스커트 가드(3)로부터 계단(1)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설치된다. 또한, 근접 센서(6)로서, 예컨대 고주파 발진형이나 정전 용량형의 근접 센서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접 센서(6)를 좌우의 스커트 가드(3)에 각 1개씩, 발판(2)의 폭방향(2b)을 따라 양쪽 센서의 중심축을 일치시켜서 대향해서 일직선 상에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발판(2)의 이동 궤적과 교차하는 위치이면 설치 개수, 장소에 제한은 없다. 또한, 근접 센서(6)로서, 계단(1) 외에, 예컨대 승객의 발 부분이나 의복 등의 피검출체 즉 물체(5)가 설정 거리 이하로 접근한 경우에 온 출력, 그 이외에서는 오프 출력을 송출하는 것이 이용되며, 상기 설정 거리는 예컨대 20㎜ 정도로 설정된다.
또한, 근접 센서(6) 대신에 계단(1)이나 물체(5)와의 거리에 따른 출력이 얻어지는 거리 센서를 사용하여, 그 출력이 설정 거리 이하이면 온 출력, 그 이외는 오프 출력이 되는 것과 같은 처리 회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이 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차광 센서(7)는 한쌍의 투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고, 스커트 가드(3)의 측면 의 안쪽, 발판(2)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영역에, 발판(2)과 간섭하지 않도록 스커트 가드(3)로부터 계단(1)측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발판(2)의 폭방향(2b)을 따라 광축을 일치시켜서 대향해서 일직선 상에 설치된다. 차광 센서(7)는, 투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 계단(1)이나 물체(5)가 접근해서 차광된 경우에 온 출력, 그 이외는 오프 출력이 되는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특성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단(1)의 라이저(4)와 발판(2)의 간극에 물체(5)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물체(5)가 라이저(4)에 근접한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차광 센서(7)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그 설치 위치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판(2)과 라이저(4)의 경계 부분을 광속이 통과하는 것과 같은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 양쪽을 마련하고 있지만, 적어도 한쪽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시계열 신호 생성부(8)는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에 접속되어, 이동하는 발판(2) 및 라이저(4)를 검출하는 것은 물론, 스커트 가드(3)나 라이저(4)에 접근한 승객의 발 부분이나 의복 등의 접근 물체의 유무에 따라,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로부터의 온 오프 출력에 대해서, 일정 샘플링 시간 간격에서 샘플링하고, 발판(2)의 이동에 대응한 시간 경과에 따르는 시계열 신호(19)로서 생성한다.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에 접속되어, 시계열 신호 생성부(8)에서 생성된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의 시계열 신호(19)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20)(도 2)를 검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스텝 통과 주기(20)는 발판(2)의 이동 속도, 즉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에 따라 변화된다.
스텝 통과 주기(20)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에스컬레이터(40)의 발판(2)을 일정 속도로 발판(2)의 이동 방향(90)에 있어서의 상승 방향(90a)으로 운전시켰을 때의,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의 시계열 신호(8a, 8b)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의 시계열 신호(8a, 8b)는,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가 계단(1)을 검지하는 것으로부터, 발판(2)이나 라이저(4) 등의 계단(1)의 형상에 따라, 특정한 시계열 신호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계열 신호 패턴의 주기를 구하는 것으로, 스텝 통과 주기(20)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구한 스텝 통과 주기(20)는 후술의 접근 검출부(10)로 송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통과 주기(20) 내에서 각 센서(6, 7)의 시계열 신호(8a, 8b)가 오프→온→오프를 2회 반복하는 것을 이용해서, 그 출현 시간 간격으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20)를 구한다. 혹은, 또한 시계열 신호(8a) 또는 시계열 신호(8b)에 있어서의, 어떤 개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폭의 시계열 신호 패턴(P)을 기억해 두고, 개시점을 샘플링 시간씩 시프트(shift)시킨 같은 시간폭의 시계열 신호 패턴(P')과의 일치도를 구해서, 가장 일치도가 높은 시프트 시간량을 스텝 통과 주기(20)로 해도 좋다. 상기 소정 시간폭은 임의로 설정해도 좋지만, 오검지를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20)가 취할 수 있는 범위의 최대치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통과 주기(20)는 시계열 신호(8a) 또는 시계열 신 호(8b)로부터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단(1)의 이동 속도, 즉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가 변화될 때에는 당연히 변화되는 것이다.
또한, 시계열 신호 패턴의 반복 주기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의 방법이 다수 존재하고 있고, 스텝 통과 주기(20)를 구하는 방법으로서, 이들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물체(5)가 스커트 가드(3) 및 라이저(4)에 접근한 경우, 스텝 통과 주기(20)는 올바르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최근 구한 복수 회의 스텝 통과 주기(20)로부터 그 평균값이나 중간값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고, 복수 센서에서 얻어진 검출값끼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거에 구한 스텝 통과 주기(20)로 대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외부의 센서 등으로부터 계단(1)의 운전 속도 신호가 얻어진 경우에는, 얻어진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와, 미리 측정해 두었거나 이미 알고 있는 계단(1)의 설치 간극 치수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가 스텝 통과 주기(20)를 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운전 속도가 고정되어 상시 일정 속도이며 운전 속도를 변경하지 않는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운용 전에 미리 스텝 통과 주기(20)를 설정해 두는 것으로,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를 생략해도 좋다.
접근 검출부(10)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 및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하고 또한 시계열 신호의 차이 검출에 발판 통과 주기(20)를 반영시켜서, 발판 통 과 주기(20)를 반영시킨 시계열 신호의 차이로부터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근 검출부(10)는 소정 시간폭의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을 비교해서, 시계열 신호 패턴끼리가 일치하지 않는 기간이 스텝 통과 주기(20)보다도 클 경우에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의 간극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여기에서, 스텝 통과 주기(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1)의 이동 속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변화된 스텝 통과 주기(20)가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로부터 접근 검출부(10)로 공급된다. 따라서, 물체(5)가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의 간극에에 접근하고 있다는 판정에 해당해서, 계단(1)의 이동 속도의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이용하여, 상술의 판정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계단(1)을 일정 속도로 상승 방향(90a)으로 운전시킨 조건으로, 계단(1)이나 물체(5)가 근접 센서(6)에 접근한 경우에 있어서의 시계열 신호(8a)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차광 센서(7)의 시계열 신호(8b)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6)의 시계열 신호(8a)는, 발판(2)이나 라이저(4) 등의 계단 형상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시계열 신호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운용 개시전 또는 시동시와 같은 상기 접근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계단(1)을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고,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때의 소정 시간폭(101)에 있어서의 시계열 신호(8a)를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으로서 접근 검출부(10)는 기억한다. 또한, 소정 시간폭(101)은 임의 시간으로 설정 가능하지만, 오검지를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20)의 시간폭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컬레이터(40)의 운전시에는, 접근 검출부(10)는 샘플링 시간마다 근접 센서(6)의 시계열 신호(8a)로부터 소정 시간폭(101)에서 최신 시계열 신호 패턴을 취출한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한, 예컨대 현재의 즉 검출시에 있어서의 시계열 신호 패턴을 103으로 한다. 또한, 도 3b에 있어서, 샘플링 시간마다에 있어서의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을 각각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접근 검출부(10)는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과,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의 일치도를 구한다. 일치도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 및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의 각 개시점으로부터 순차로, 대응하는 시간끼리의 온 오프 출력이 일치하고 있는 개수를 조사해 가고, 일치한 개수를 소정 시간폭(101)에서 정규화한다. 이 일치도가 미리 설정한 역치 이상이면,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과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이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처리를 샘플링 시간마다 반복해서 실행하면, 물체(5)가 근접 센서(6)에 접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통과 주기(20)마다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과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은 일치한다. 한편, 물체(5)가 근접 센서(6)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통과 주기(20)를 경과해도 기준 시계열 신 호 패턴(102)과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근 검출부(10)는,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과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103)이 일치하지 않는 기간이 스텝 통과 주기(20)의 시간폭보다도 큰 경우에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를 온으로 해서 출력한다.
또한, 접근 검출부(10)에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20)가 공급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통과 주기(20)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검출시에 있어서의 스텝 통과 주기(20)에 따라,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는 소정 시간폭(101)을 변경하고,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을 변경하여, 접근 검출부(1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접근 검출부(10)는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을 기억했을 때의 기준 스텝 통과 주기와, 현재의 즉 검출시에 있어서의 검출시 스텝 통과 주기의 비율을 구하고, 해당 비율에서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의 시간폭을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이로써, 스텝 주기 통과(20)이 변경된 경우에도 올바른 물체 접근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된다.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로의 물체(5)의 접근의 유무를 판정하는 별도의 방법으로서 다음의 방법도 있다. 즉, 접근 검출부(10)는 스텝 통과 주기(20) 내에 존재하는 시계열 신호(8a)의 온 시간 간격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다를 경우에는, 물체(5)가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시계열 신호이다. 에스컬레이터의 운용 개시전 또는 시동시와 같은 물체(5)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일정 속도로 운전시키고, 접근 검출부(10)는 스텝 통과 주기(301) 내에 존재하는 시계열 신호(8a)의 온 시간 간격(302, 303) 및 오프 시간 간격(304, 305)을 기준값으로서 미리 기억해 둔다. 또한, 도시하는 오프 시간 간격(305)과 같이, 스텝 통과 주기(301)의 경계에 해당하는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열 신호가 루프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간주해서 시간 간격을 구하는 것으로 한다.
에스컬레이터(40)의 운전시에는, 접근 검출부(10)는 일정시간 간격마다 예컨대 샘플링 시간마다, 스텝 통과 주기(301)의 시간폭에서, 최신의 즉 검출시의 시계열 신호 패턴을 취출하여, 해당 검출 시계열 신호 패턴에 있어서의 온 시간 간격 및 오프 시간 간격을 조사한다. 도 4b에 도시하는 시계열 신호 패턴(306)의 경우, 온 시간 간격은 307, 308이 되고, 오프 시간 간격은 309, 310이 된다. 이들의 온 시간 간격 및 오프 시간 간격을 미리 기억한 기준값인 온 시간 간격(302, 303) 및 오프 시간 간격(304, 305)과 비교한다. 물체(5)가 근접 센서(6)에 접근해 있는 경우에는, 미리 기억하고 있었던 값과 현재의 값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근 검출부(10)는, 스텝 통과 주기(301) 내에 존재하는 시계열 신호(8a)의 온 시간 간격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다른 경우에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의 간극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를 온으로 해서 출력한다.
또한, 노이즈나, 계단(1)의 속도의 미소한 변동에 의해 오검출하지 않도록, 검출시에 있어서의 시계열 신호(8a)의 온 시간 간격 또는 오프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가 기준값과 일정값 이상 다른 경우에만,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근 검출부(10)에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로부터 스텝 통과 주기(20)가 공급되어 있으며, 스텝 통과 주기(20)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접근 검출부(10)는 검출시에 있어서의 스텝 통과 주기(20)에 따라 기준값인 온 시간 간격(302, 303) 및 오프 시간 간격(304, 305)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기준값을 기억시켰을 때의 기준 스텝 통과 주기와 검출시에 있어서의 검출시 스텝 통과 주기의 비율로, 모든 온 시간 간격(302, 303) 및 오프 시간 간격(304, 305)을 변경한다. 이로써, 스텝 통과 주기(20)가 변경된 경우에도, 올바르게 물체 접근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 시간 간격 및 오프 시간 간격의 양자를 판단 재료에 사용하고 있지만, 온 시간 간격 및 오프 시간 간격의 적어도 한쪽을 판단 재료에 사용해도 좋다.
경고부(11)는 접근 검출부(10)의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가 온인 경우, 승객에 대해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의 간극에 발 부분이나 의복 등의 물체(5)가 접근하고 있는 취지를 경고한다. 경고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스피커를 이용하여 버저 울림 동작이나 음성 경고를 해도 좋고, 발광체를 점멸하는 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고 동작에 의해, 물체(5)가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의 간극에 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술의 설명에서는, 근접 센서(6)에 의한 스커트 가드(3)의 간극으로의 물체(5)의 접근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차광 센서(7)에 의한 라이저(4)의 간극으로의 물체(5)의 접근에 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검출 가능한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전 장치(95)에 의하면,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103)을 비교하는 것으로, 또는 시계열 신호(19)에 있어서의 온 시간 간격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의 기준값과, 현재값을 비교함으로써, 스커트 가드(3)나 라이저(4)와 물체(5)의 접근을 판단하도록 한 점으로부터, 종래에 비교해서 오검출이 저감되어서 고밀도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를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40)의 운전 속도가 변화한 경우라도, 그 변화에 따라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102)이나, 온 시간 간격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의 기준값이 변화 가능하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40)의 운전 속도 변화에 대응해서 물체(5)의 접근 검출을 실행할 수 있어서, 에스컬레이터(40)의 운전 속도 변화에 기인하는 오검출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라이저(4)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차광 센서(7)를 배치한 것으로부터, 물체(5)가 라이저(4)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96)의 구 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 다른 구성 부분만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운전 정지 검출부(12),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13) 및 오동작 방지부(14)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상위한다.
운전 정지 검출부(12)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에 접속되어, 접근 센서(6) 또는 차광 센서(7)에 의한 시계열 신호(19)가 시간 경과에 걸쳐 불변인, 즉 일정 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는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운전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운전 정지 판정 결과 신호(22)를 온으로 해서 출력한다.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13)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 및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에 접속되어, 발판 통과 주기, 즉 상술의 스텝 통과 주기(20)에서 반복된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과, 피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으로서, 접근 센서(6) 및 차광 센서(7)의 전부가 송출하는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을 비교하여,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에 대해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이 동시에 상위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가 변화했다고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13)는, 상술한 접근 검출부(10)와 같은 방법으로,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의 시계열 신호 패턴의 일치도를 조사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가 변화되면, 모든 근접 센서(6) 및 차광 센서(7)의 시계열 신호 패턴의 길이가 변화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 통과 주기(20)의 시간폭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과거의 시계열 신호 패턴(31)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32)을 취출해서 일치도를 조사하면, 모든 센서에서 일치도가 낮아진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접근 센서(6)가 좌우의 스커트 가드(3)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경우, 즉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구두 등의 물체(5)가 전 센서에 대해 동시에 접근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따라서, 센서로의 물체 접근을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변화로서 오검지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센서의 일치도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도 작으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변화라고 판정하여, 운전 속도 변화 판정 결과 신호(23)를 온으로 해서 출력한다.
오동작 방지부(14)는, 운전 정지 검출부(12) 및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13)에 접속되어, 운전 정지 판정 결과 신호(22)가 온인 경우 또는 운전 속도 변화 판정 결과 신호(23)가 온인 경우에, 일정 기간만 무효화 신호(24)를 온 출력한다.
또한, 해당 안전 장치(96) 이외에 마련한 센서 등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신호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신호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오동작 방지부(14)는 이들의 신호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운전 정지 또는 운전 속도 변화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일정 기간만 무효화 신호(24)를 온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접근 검출부(210)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 및 오동작 방지부(14)에 접속되어, 스텝 통과 주기(20)의 시간폭에서 연속하는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을 비교한다. 그 결과, 양자의 시계열 신호 패턴과 다른 경우에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의 간극에 접속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에스컬레이터(40)를 일정 속도로 상승 방향(90a)으로 운전시킨 조건에서, 물체(5)가 근접 센서(6)에 접근한 경우의 시계열 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접근 검출부(210)는 우선 스텝 통과 주기(20)의 시간폭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과거의 시계열 신호 패턴(31)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32)을 취출한다. 그리고, 시계열 신호 패턴(31, 32)끼리의 일치도를 조사한다. 이 일치도의 검출 방법은 상술한 동작과 같다. 그리고 접근 검출부(210)는, 일치도가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도 작으면, 시계열 신호 패턴(31)과 시계열 신호 패턴(32)이 다른 것으로 하여, 즉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의 간극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를 온 출력한다. 또한, 오동작 방지부(14)로부터 온 상태의 무효화 신호(24)가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의 일치도의 판정에 관계없이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를 오프 출력으로 한다.
경고부(211)는 접근 검출부(210) 및 오동작 방지부(14)에 접속되고, 무효화 신호(24)가 오프로서,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가 온인 경우에, 승객에게 스커트 가드(3) 또는 라이저(4)의 간극에 승객의 발 부분이나 의복 등의 물체(5)가 접근하고 있는 취지를 경고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근접 센서(6)에 의한 스커트 가드(3)의 간극으로의 물체 접근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차광 센서(7)에 의한 라이저(4)의 간극으로의 물체 접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검출 가능한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전 장치(96)에 의하면, 스텝 통과 주기폭에서 연속하는 과거의 시계열 신호 패턴(31)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32)을 비교함으로써, 물체(5)의 접근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했다. 따라서, 종래에 비교해서 오검출이 저감되어서 고밀도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를 구비하는 점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40)의 운전 속도가 변화된 경우라도, 오검출이 발생되는 일은 없다.
또한, 단순히 종전과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상승 운전시와 하강 운전시로 나눠서 따로 따로의 기준 패턴이나 기준값을 준비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비해서 물체(5)의 접근 판단 동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정지 검출부(12)를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상황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얻는 일 없이, 해당 안전 장치(96)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13)를 구비하는 것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상황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얻는 일 없이, 해당 안전 장치(96)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의 변화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오동작 방지부(14)를 구비한 것으로부터, 운전 정지 검출부(12)나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13)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나 운전 속도 변화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접근 검출부 또는 경고부를 일정 기간만 무효화함으로써, 운전 정 지나 운전 속도 변화에 기인하는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97)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해당 안전 장치(97)는, 서두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의 기본적 구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체 접근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근접 센서(6)만을 마련하고 있다. 근접 센서(6)는 발판(2)의 폭방향(2b)을 따라 센서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적어도 좌우 각 한쌍 이상을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좌우의 스커트 가드(3)에 배치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마련하고 있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는 마련하고 있지 않다.
접근 검출부(410)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8)에 접속되어,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6)로부터의 각 시계열 신호(19)의 패턴끼리를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근 검출부(410)는 물체(5)가 좌우의 스커트 가드(3) 중 어느 한쪽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즉, 발판(2)의 형상은 좌우 대칭이므로, 중심축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쌍을 이루는 각 근접 센서(6)의 출력은,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한 시계열 신호 패턴이 된다. 한편, 구두 등의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6)에 대해 같은 타이밍에서 물체(5)가 접근할 가능성은 극히 낮기 때문에,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6)의 각각의 시계열 신호(19)가 불일치하게 된다고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6)의 각 시계열 신호(19)가 소정 시간 이상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접근 검출부(410)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으면 판정하여,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를 온 출력한다.
경고부(11)는 온 상태의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가 공급될 때에는, 승객에 대해 경고를 발한다.
이상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전 장치(97)에 의하면, 차광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점으로부터, 차광 동작 불량에 기인하는 오검출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비해서 장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98)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과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체 접근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근접 센서만을 마련하고 있다. 근접 센서(501, 502)는 발판(2)의 이동 방향(90)에 평행으로, 발판(2)의 설치 간격의 양의 정수배로 적어도 한쌍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에 존재하는 스커트 가드(3) 중 어느 한쪽만에 대해 근접 센서(501, 50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근접 센서(501, 502) 대신에 차광 센서(7)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마련하고 있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9)는 마련하고 있지 않다.
접근 검출부(510)는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501, 502)에 접속되어, 각 근접 센서(501, 502)로부터 공급되는 시계열 신호(19)의 각 패턴끼리를 비교하고,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즉, 근접 센서(501, 502)는 발판(2)의 이동 궤적에 평행으로, 발판(2)의 설치 간극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근접 센서(501, 502)가 출력하는 각 시계열 신호 패턴은 동일하게 된다. 한편, 구두 등의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501, 502)에 대해 같은 타이밍으로 물체(5)가 접근할 가능성은 극히 낮기 때문에,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501, 502)가 출력하는 각 시계열 신호(19)는 일치하지 않게 된다고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501, 502)의 각 시계열 신호(19)가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근 검출부(510)는 물체(5)가 스커트 가드(3)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접근 판정 결과 신호(21)를 온 출력한다.
또한, 근접 센서(501, 502) 대신에 차광 센서(7)를 사용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얻어지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센서가 3개 이상 배치된 경우라도 그들을 1조로 간주하는 것으로, 상술과 같이 동작 가능한 것은 두말 할 필요도 없다. 또한, 좌우의 스커트 가드(3)의 양쪽에 상술한 배치로 근접 센서를 배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안전 장치(98)에 의하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술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또한 다음 효과도 얻어진다. 즉,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발판(2)이 근접 센서(6) 앞을 통과할 때만에 있어서의 물체 접근의 유무가 판단되는 것에 대해, 해당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근접 센서가 계단(1)의 이동 방향(90)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체 접근의 유무를 연속해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연속해서 물체 접근이 검출될 때에는, 정말로 물체 접근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오검출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가지 실시형태 중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당히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의 갖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에 숙련한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되면 이해될 만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과 스커트 가드의 간극, 또는 스텝과 라이저의 간극에, 구두나 의복 등의 물체가 끼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 및 차광 센서의 각 출력으로부터 생성되는 시계열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 물체 접근을 검출했을 때의 시계열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도 2에 도시한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온, 오프 기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도 2에 도시한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 물체 접근을 검출했을 때의 시계열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접근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 계단 2 : 발판
3 : 스커트 가드 4 : 라이저
5 : 물체 6 : 근접 센서
7 : 차광 센서 8 : 시계열 신호 생성부
9 :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 10 : 접근 검출부
11 : 경고부 12 : 운전 정지 검출부
13 :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 14 : 오동작 방지부
19 : 시계열 신호 20 : 스텝 통과 주기
95 내지 98 : 에스컬레이터 안전 장치

Claims (12)

  1.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skirt guard)에 있어서의 발판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커트 가드로의 상기 발판 상의 물체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근접 센서에 접속되어, 접근 물체의 유무에 따른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발판의 이동에 대응한 시간 경과에 따르는 시계열 신호로서 생성하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와,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상기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접근 검출부와,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발판의 이동 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발판 통과 주기를 상기 시계열 신호로부터 검출하고, 검출한 발판 통과 주기에 따라 상기 접근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시계열 신호인 기준 시계열 신호의 패턴을 변화시키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와,
    상기 접근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검출부의 접근 검지 결과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에게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기준 시계열 신호 패턴과, 검출시에 있어서의 시계열 신호인 검출 시계열 신호의 패턴의 불일치 기간이 발판 통과 주기보다도 긴 것을 검지해서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3.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skirt guard)에 있어서의 발판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커트 가드로의 상기 발판 상의 물체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근접 센서에 접속되어, 접근 물체의 유무에 따른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발판의 이동에 대응한 시간 경과에 따르는 시계열 신호로서 생성하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와,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상기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접근 검출부와,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발판의 이동 속도에 따라 변화되는 발판 통과 주기를 상기 시계열 신호로부터 검출하고, 검출한 발판 통과 주기에 따라 상기 접근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시계열 신호인 기준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온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을 변화시키는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와,
    상기 접근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검출부의 접근 검지 결과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에게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발판 통과 주기에서 반복된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과,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의 상위를 검지해서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부는, 상기 기준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상기 온 또는 오프 시간 간격과, 검출시에서의 시계열 신호인 검출 시계열 신호에 있어서의 온 또는 오프 시간 간격의 상위를 검지해서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7.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skirt guard)에 있어서의 발판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스커트 가드로의 상기 발판 상의 물체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근접 센서에 접속되어, 접근 물체의 유무에 따른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발판의 이동에 대응한 시간 경과에 따르는 시계열 신호로서 생성하는 시계열 신호 생성부와,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상기 시계열 신호의 차이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접근 검출부와,
    상기 접근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접근 검출부의 접근 검지 결과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승객에게 경고를 실행하는 경고부와,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시계열 신호가 시간 경과에 걸쳐 불변인 것을 검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를 판단하는 운전 정지 검출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적어도 2개의 센서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스텝 통과 주기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발판 통과 주기에서 반복된 종전의 시계열 신호 패턴에 대해, 검출시인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으로서 모든 상기 근접 센서가 송출하는 현재의 시계열 신호 패턴이 동시에 상위한 것을 검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변화로 판단하는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에 접속되어 상기 시계열 신호가 시간 경과에 걸쳐 불변인 것을 검출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를 판단하는 운전 정지 검출부, 및 상기 운전 속도 변화 검출부에 접속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정지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속도 변화를 검출해서 상기 접근 검출부 또는 상기 경고부를 무효화하는 오동작 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발판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계단의 배치 간격의 양의 정수배로 배치되며, 상기 접근 검출부는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 간의 시계열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 가드에 있어서의 발판의 이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계단의 라이저(riser)로의 발판 상의 물체의 접근의 유무를 검출하는 차광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시계열 신호 생성부는 또한 상기 차광 센서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시계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접근 검출부는 또한 상기 라이저로의 접근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중심축이 대향하도록 적어도 좌우 각 한쌍 이상이 배치되며, 상기 접근 검출부는 쌍을 이루는 근접 센서 간의 시계열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 시간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근 물체 있음으로 판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090066953A 2008-07-23 2009-07-22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KR101614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9888 2008-07-23
JP2008189888A JP5095541B2 (ja) 2008-07-23 2008-07-23 エスカレーター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13A KR20100010913A (ko) 2010-02-02
KR101614540B1 true KR101614540B1 (ko) 2016-04-21

Family

ID=4159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953A KR101614540B1 (ko) 2008-07-23 2009-07-22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95541B2 (ko)
KR (1) KR101614540B1 (ko)
CN (1) CN1016334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5811B2 (ja) * 2009-06-29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337080B2 (ja) * 2010-03-02 2013-11-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引き込まれ防止装置
JP5544991B2 (ja) * 2010-04-06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617553B2 (ja) * 2010-11-15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テップ破損検知装置
CN102167257A (zh) * 2011-05-31 2011-08-31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主机安全装置
JP6310875B2 (ja) * 2015-03-17 2018-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KR101918578B1 (ko) * 2016-01-13 2018-11-15 (주)창성 탄소마이크로코일센서를 포함하는 통행자 인식시스템
CN106744233B (zh) * 2016-12-30 2018-10-02 广东技术师范学院 一种电梯状态记录及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763U (ja) * 1981-10-14 1983-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ンコンベア踏段危険位置搭乗防止装置
JPS61169491A (ja) * 1985-01-22 1986-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の安全装置
JPS6460590A (en) * 1987-08-27 1989-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Step foreign-matter detector for escalator
JPS6450285U (ko) * 1987-09-22 1989-03-28
JPH0578082A (ja) * 1991-09-17 1993-03-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08094604A (ja) * 2006-10-16 2008-04-24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3474B (zh) 2013-07-17
KR20100010913A (ko) 2010-02-02
CN101633474A (zh) 2010-01-27
JP5095541B2 (ja) 2012-12-12
JP2010024018A (ja)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540B1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JP5089304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安全装置
US7412861B2 (en) Device for monitoring an area of coverage on a work tool
JP6816836B1 (ja) 乗客コンベアの降り口の状況検知方法
JP2009166983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および安全制御方法
JP5683993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811934B2 (ja) 滞留度検出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4967672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617553B2 (ja) ステップ破損検知装置
JP2008201509A (ja) 人物挙動判別システム
JP5325811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16216174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乗客状態推定方法
JP2012035964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6610820B1 (ja) 乗客検知センサーを具える乗客コンベア
JP5448636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り場検知装置
JP6939937B1 (ja) 乗客転倒検知装置を具える乗客コンベア
JP5776289B2 (ja)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CN106809717A (zh) 一种自动扶梯配套安全装置
JP5508296B2 (ja) 倒れ検知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5337080B2 (ja) エスカレータ引き込まれ防止装置
JP2012035763A (ja) ホームでの旅客引きずり検知システム
JPS6460590A (en) Step foreign-matter detector for escalator
CN115321326A (zh) 乘客站立危险区域检测装置及乘客输送装置
JP7074215B1 (ja) 乗客コンベアの降り口の状況検知方法
JP5995485B2 (ja) 車線内物体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