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79B1 - 스루 앵커 - Google Patents

스루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79B1
KR101614479B1 KR1020157002213A KR20157002213A KR101614479B1 KR 101614479 B1 KR101614479 B1 KR 101614479B1 KR 1020157002213 A KR1020157002213 A KR 1020157002213A KR 20157002213 A KR20157002213 A KR 20157002213A KR 101614479 B1 KR101614479 B1 KR 10161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ebbing
displacement
vehicl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020A (ko
Inventor
타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ublication of KR2015009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31Belt guides comprising a slotted plate sliding in its plane, e.g. inside circular guides

Abstract

스루 앵커(10)에서는, 차량의 긴급시에 탑승자가 웨빙(28)에 의해 구속되었을 때, 웨빙(28)이 탑승자의 관성이동에 의해 가이드 피스(18)의 삽입통과구멍(20)을 차량 전측으로 이동되어,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이 가이드 피스(18)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가이드 피스(18)에서는, 변위벽(26)의 강성이 변위구멍(24)에 의해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차량 전측으로 변형되어 변위됨으로써,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편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루 앵커{THROUGH ANCHOR}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webbing)이 삽입통과되는 스루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91446호에 기재된 스루 앵커에서는, 금속판에 웨빙 삽입통과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수지 몰드부가 금속판의 웨빙 삽입통과구멍 주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지 몰드부에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통과구멍에 웨빙이 길이방향으로 삽입통과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루 앵커에서는, 삽입통과구멍에 있어서의 웨빙의 폭방향으로의 편향(이른바, 재밍(jamming))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91446호
본 발명은, 상기의 사실을 고려하여, 삽입통과구멍에 있어서의 웨빙의 폭방향으로의 편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스루 앵커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스루 앵커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 주위에 고정되는 동시에,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길이방향으로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웨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둘레면(周面)을 구성하는 변위부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변위부의 상기 삽입통과구멍과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웨빙의 폭방향 단면(端面)이 상기 변위부에 접촉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변위부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변위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변위구멍이 상기 본체 부재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변위구멍이 상기 슬라이딩 지지 부재를 관통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상기 웨빙 폭방향 단부(端部)를 상기 웨빙 폭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연신(延伸)시키는 동시에, 상기 변위부 및 상기 변위구멍을 상기 웨빙 폭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본체 부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부재의 관통구멍 주위에 슬라이딩 지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삽입통과구멍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통과되고, 슬라이딩 지지 부재가 웨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설치된 변위부가 삽입통과구멍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설치된 변위구멍이 변위부의 삽입통과구멍과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어, 웨빙의 폭방향 단면이 변위부에 접촉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변위부의 변위를 변위구멍이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웨빙의 폭방향 단면이 변위부에 접촉되었을 때, 변위부가 변위됨으로써, 삽입통과구멍에 있어서의 웨빙의 폭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에 있어서의 웨빙의 폭방향으로 편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변위구멍이 본체 부재를 통과한다. 이 때문에, 변위구멍의 깊이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어, 웨빙의 폭방향 단면이 변위부에 접촉되었을 때 변위부가 효과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변위구멍이 슬라이딩 지지 부재를 관통한다. 이 때문에, 변위구멍의 깊이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어, 웨빙의 폭방향 단면이 변위부에 접촉되었을 때 변위부가 효과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삽입통과구멍의 웨빙 폭방향 단부가 웨빙 폭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여기서, 변위부 및 변위구멍이 웨빙 폭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의 폭방향 단면이 접촉되는 변위부의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에 있어서의 웨빙의 폭방향으로의 편향이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를 나타낸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를 나타낸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의 앵커 플레이트를 나타낸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를 나타낸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를 나타낸 단면도(도 5의 6-6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10)(웨빙 행거(webbing hanger))가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스루 앵커(10)가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스루 앵커(10)가 단면도(도 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스루 앵커(10)가 차량에 부착된 경우의 차량 전방을 화살표(FR)로 나타내고, 차폭방향 내측을 화살표(IN)로 나타내며, 상방을 화살표(UP)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10)는, 이른바, 슬립 조인트(숄더 앵커)로서, 이른바, 3점식(3點式) 안전 벨트 장치에 이용되고 있으며, 스루 앵커(10)는, 차량(자동차)의 탑승자 착좌용(着座用) 시트(도시 생략)의 차폭방향 외측이면서 차량 후측에 있어서의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루 앵커(10)는, 본체 부재(강도(强度) 부재)로서 금속(강재(鋼材))제이며 판형상인 앵커 플레이트(12)(도 4 참조)를 가지고 있으며, 앵커 플레이트(12)는, 프레스 타발 가공(打拔加工, punch press working)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하 중간부는, 굴곡되어 있으며, 앵커 플레이트(12)의 굴곡부보다 하측 부분은,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부에는, 부착부로서의 원형상의 고정구멍(14)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앵커 플레이트(12)는, 고정구멍(14)에 끼워 넣어진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부착된다). 이 때문에, 스루 앵커(10)는, 볼트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하방향 중간부의 굴곡부에는, 차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U자 형상인 관통구멍(16)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6)의 중앙부는, 중앙 관통구멍(16A)으로 되어 있고, 중앙 관통구멍(16A)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관통구멍(16)의 차량 전측 단부 및 차량 후측 단부는, 끝단(端) 관통구멍(16B)으로 되어 있으며, 끝단 관통구멍(16B)은, 중앙 관통구멍(16A)에 차량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연통(連通)되는 동시에, 중앙 관통구멍(16A)에 대해 상방(직교(교차)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삽입통과부)로서의 수지제 가이드 피스(guide piece; 18)가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18)는,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의 전체 둘레(관통구멍(16)의 둘레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 및 내주면)를 차폭방향 내측, 차폭방향 외측 및 관통구멍(16)측으로부터 피복하고 있다. 가이드 피스(18)는, 관통구멍(16)의 전체 둘레 근방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18)는, 앵커 플레이트(12)의 외주 단면(12A) 전체를 피복하고 있지 않다.
가이드 피스(18)의 중앙부는, 중앙 지지부(18A)로 되어 있으며, 중앙 지지부(18A)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18)의 차량 전측 단부 및 차량 후측 단부는, 끝단(端) 지지부(18B)로 되어 있으며, 끝단 지지부(18B)는, 중앙 지지부(18A)에 차량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연결되는 동시에, 중앙 지지부(18A)에 대해 상방(직교(교차)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18)에는, 차폭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U자 형상인 삽입통과구멍(20)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통과구멍(20)은,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관통구멍(16)에 대해 작은, 대략 서로 닮은 형상(相似形狀)으로 되어 있다. 삽입통과구멍(20)의 중앙부는, 중앙 삽입통과구멍(20A)으로 되어 있고, 중앙 삽입통과구멍(20A)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삽입통과구멍(20)의 차량 전측 단부 및 차량 후측 단부는,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으로 되어 있고,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은, 중앙 삽입통과구멍(20A)에 차량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연통되는 동시에, 중앙 삽입통과구멍(20A)에 대해 상방(직교(교차)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삽입통과구멍(20)의 하측면은, 슬라이딩면(22)(지지면)으로 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면(22)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단면(斷面)이 대략 반(半)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18)의 각 끝단 지지부(18B)에는,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의 중앙 삽입통과구멍(20A)과 반대되는 측의 근방에 있어서, 변위구멍(24)(두께 감소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변위구멍(24)은, 차폭방향 외측(가이드 피스(18)의 이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변위구멍(24)은, 상하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단면이 직사각형상(矩形狀)으로 되어 있으며, 변위구멍(24)은, 앵커 플레이트(12)(관통구멍(16)의 끝단 관통구멍(16B))가 통과되어, 가이드 피스(18)(끝단 지지부(18B))의 차폭방향 내측면의 근방까지 도달함으로써, 깊이 사이즈(차폭방향 사이즈)가 크게 되어 있다. 변위구멍(24)은,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변위구멍(24)은,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의 상측 및 하측까지 도달되어 있다. 변위구멍(24)의 둘레면은, 앵커 플레이트(12)의 끝단 관통구멍(16B)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변위구멍(24)은, 앵커 플레이트(12)(끝단 관통구멍(16B)의 둘레면)를 노출시키고 있지 않다.
가이드 피스(18)의 각 끝단 지지부(18B)에는, 끝단 삽입통과구멍(20B)과 변위구멍(24) 사이에 있어서, 변위부로서의 변위벽(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위벽(26)은,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의 중앙 삽입통과구멍(20A)과 반대되는 측의 둘레면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변위벽(26)의 두께 사이즈(차량의 전후방향 사이즈)는, 변위구멍(24)에 의해 작게 되어 있으며, 변위벽(26)은, 가이드 피스(18)의 다른 부분에 비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참고로, 변위벽(26)은, 변위구멍(24)의 바닥벽(차폭방향 내측벽)과 두께 사이즈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18)의 삽입통과구멍(20)의 중앙 삽입통과구멍(20A)(관통구멍(16)의 중앙 관통구멍(16A))에는, 길고 가느다란 띠형상(帶狀)의 웨빙(28)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통과(통과)되어 있다. 웨빙(28)의 삽입통과구멍(20)보다 차폭방향 외측(차량의 외측)의 기저단(基端)측은, 스루 앵커(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권취 장치(take-up device; 도시 생략)에 감겨 있으며, 권취 장치는, 탑승자 착좌용 시트의 차폭방향 외측이면서 하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웨빙(28)을 권취방향으로 가세(bias)하고 있다. 웨빙(28)의 삽입통과구멍(20)보다 차폭방향 내측(차량의 실내측)의 선단측은, 스루 앵커(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시트의 차폭방향 외측이면서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28)이 권취 장치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삽입통과구멍(20)의 슬라이딩면(22)에 접촉되어 되접어 꺽은 상태(folded state)로 지지(hangs)되어 있으며, 웨빙(28)이 삽입통과구멍(2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웨빙(28)이 슬라이딩면(22)을 슬라이딩하여 안내된다.
웨빙(28)은, 스루 앵커(10)(삽입통과구멍(20))보다 선단측에 있어서, 텅부(tongue; 도시 생략)에 삽입통과되어 있으며, 텅부는, 웨빙(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의 차폭방향 내측이면서 하측에는, 버클(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으며, 웨빙(28)이 권취 장치로부터 가세력에 저항하여 인출(引出)되어, 버클에 텅부가 걸림결합됨으로써, 웨빙(28)이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도시 생략)에게 장착된다.
웨빙(28)이 탑승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는, 웨빙(28)의 스루 앵커(10)(삽입통과구멍(20))보다 선단측이 스루 앵커(10)로부터 차량 전측의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동시에, 스루 앵커(10)가 차량 전측으로 회동된다. 또한,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는, 웨빙(28)의 권취 장치로부터의 인출이 권취 장치에 의해 로킹(locking)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루 앵커(10)에서는, 가이드 피스(18)의 삽입통과구멍(20)(중앙 삽입통과구멍(20A)에 웨빙(28)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18)의 슬라이딩면(22)에 웨빙(28)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는, 탑승자에게 장착된 웨빙(28)의 권취 장치로부터의 인출이 권취 장치에 의해 로킹되어, 탑승자가 웨빙(28)에 의해 구속된다. 이때에는, 웨빙(28)이 탑승자의 관성이동에 의해 삽입통과구멍(20)(중앙 삽입통과구멍(20A) 및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을 차량 전측(웨빙(28)의 폭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폭방향 일측 단면)이 가이드 피스(18)의 차량 전측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가이드 피스(18)에서는, 변위벽(26)의 강성이 변위구멍(24)에 의해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이 가이드 피스(18)의 차량 전측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되었을 때에는,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차량 전측(변위구멍(24)측)으로 변형(변위벽(26)의 차폭방향 내측 단부를 중심으로 한 틸팅(傾動, tilting) 변형)되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편향(이른바, 재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피스(18)에서는, 변위구멍(24)이 앵커 플레이트(12)를 통과하여 깊이 사이즈가 커짐으로써, 변위벽(26)의 강성(剛性)이 변위구멍(24)에 의해 효과적으로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端面)이 차량 전측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되었을 때에는,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차량 전측으로 효과적으로 변형되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효과적으로 넓게 할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편향(이른바, 재밍)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피스(18)에서는, 변위구멍(24) 및 변위벽(26)이 삽입통과구멍(20)의 끝단 삽입통과구멍(20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웨빙(28)이 탑승자의 관성이동에 의해 삽입통과구멍(20)을 차량 전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이 접촉되는 차량 전측의 변위벽(26)의 범위가 커져,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차량 전측으로 적절히 변형되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적절히 넓힐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편향(이른바, 재밍)이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피스(18)에서는, 변위구멍(24)이 차폭방향 외측(이면측)에만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루 앵커(10)의 차폭방향 내측에 존재하는 탑승자가 변위구멍(24)을 시인(視認)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스루 앵커(10)의 외관이 변위구멍(24)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빙(28)의 폭방향 단면이 가이드 피스(18)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되었을 때,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변형되어 변위된다. 그러나, 이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웨빙(28)의 폭방향 단면이 가이드 피스(18)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되었을 때,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의 바닥벽(차폭방향 내측벽)이 변형(예컨대, 틸팅 변형)되어 변위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위구멍(24)이 앵커 플레이트(12)(관통구멍(16)의 끝단 관통구멍(16B))를 통과한다. 그러나, 변위구멍(24)은, 앵커 플레이트(12)(관통구멍(16)의 끝단 관통구멍(16B))에 도달되어 있으면 되며, 예컨대, 앵커 플레이트(12)(관통구멍(16)의 끝단 관통구멍(16B))의 두께방향 중간부까지 도달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40; 웨빙 행거)가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스루 앵커(40)가 단면도(도 5의 6-6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4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40)에서는, 가이드 피스(18)에 있어서, 변위구멍(24)(두께 감소 관통부)이, 앵커 플레이트(12)(관통구멍(16)의 끝단 관통구멍(16B))를 통과하여, 가이드 피스(18)의 끝단 지지부(18B)를 관통함으로써, 깊이 사이즈(차폭방향 사이즈)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위구멍(24)은, 차폭방향 외측(가이드 피스(18)의 이면측) 및 차폭방향 내측(가이드 피스(18)의 표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루 앵커(40)에서도, 변위구멍(24)이 가이드 피스(18)의 차폭방향 외측으로만 개방되는 것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이 가이드 피스(18)의 차량 전측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되었을 때에는,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차량 전측(변위구멍(24)측)으로 변형(변위벽(26)의 상하방향 양단부를 중심으로 한 틸팅 변형)되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편향(이른바, 재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피스(18)에서는, 변위구멍(24)이 가이드 피스(18)를 관통하여 깊이 사이즈를 한층 크게 함으로써, 변위벽(26)의 강성이 변위구멍(24)에 의해 한층 효과적으로 낮아져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웨빙(28)의 차량 전측 단면이 차량 전측의 변위벽(26)에 높은 하중으로 접촉되었을 때에는, 웨빙(28)에 의해 변위벽(26)이 차량 전측으로 한층 효과적으로 변형되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한층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어, 삽입통과구멍(20)에 있어서의 웨빙(28)의 차량 전측으로의 편향(이른바, 재밍)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앵커 플레이트(12)의 차폭방향 내측에 커버(피복 부재)를 부착시켜, 앵커 플레이트(12)(가이드 피스(18)의 변위구멍(24)을 포함해도 됨)의 차폭방향 내측을 커버에 의해 피복해도 된다. 이 경우, 커버에 통과 구멍을 관통형성하여, 통과 구멍에 의해 가이드 피스(18)의 삽입통과구멍(20)을 차폭방향 내측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통과 구멍에 웨빙(28)을 통과(삽입통과)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스루 앵커(10, 40)를 슬립 조인트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스루 앵커(10, 40)를 텅부에 적용해도 된다.
10 : 스루 앵커
12 : 앵커 플레이트(본체 부재)
16 : 관통구멍
18 : 가이드 피스(슬라이딩 지지 부재)
20 : 삽입통과구멍
24 : 변위구멍
26 : 변위벽(변위부)
28 : 웨빙
40 : 스루 앵커

Claims (4)

  1. 관통구멍이 형성된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 주위에 고정되는 동시에,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길이방향으로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웨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둘레면(周面)을 구성하는 변위부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변위부의 상기 삽입통과구멍과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웨빙의 폭방향 단면(端面)이 상기 변위부에 접촉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변위부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변위구멍을 구비한 스루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구멍이 상기 본체 부재를 통과하는 스루 앵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구멍이 상기 슬라이딩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스루 앵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과구멍의 상기 웨빙 폭방향 단부(端部)를 상기 웨빙 폭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연신(延伸)시키는 동시에, 상기 변위부 및 상기 변위구멍을 상기 웨빙 폭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연신시킨 스루 앵커.
KR1020157002213A 2013-12-18 2013-12-18 스루 앵커 KR101614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3987 WO2015092892A1 (ja) 2013-12-18 2013-12-18 スルーアン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020A KR20150090020A (ko) 2015-08-05
KR101614479B1 true KR101614479B1 (ko) 2016-04-21

Family

ID=5340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213A KR101614479B1 (ko) 2013-12-18 2013-12-18 스루 앵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7473B2 (ko)
EP (1) EP2910437B1 (ko)
JP (1) JP5844466B2 (ko)
KR (1) KR101614479B1 (ko)
CN (1) CN104884313B (ko)
HK (1) HK1210748A1 (ko)
WO (1) WO2015092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7679A1 (en) * 2018-04-26 2021-08-05 Enshu Co., Ltd Belt pass-through hardwa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125A (ja) 2009-06-15 2010-12-24 Tokai Rika Co Ltd スリップジョイント
WO2013172275A1 (ja) 2012-05-14 2013-11-2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739U (ja) 1982-07-13 1984-01-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折返し装置
JPS6328057U (ko) * 1986-08-09 1988-02-24
US5037135A (en) 1990-03-14 1991-08-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Limited rotation webbing guide
JPH09290706A (ja) * 1996-04-26 1997-11-11 Nippon Seiko Kk スリップガイド
DE19810577C2 (de) * 1998-03-11 2000-05-31 Takata Europ Gmbh Sicherheitsgurtanordnung
JP2000153750A (ja) * 1998-09-18 2000-06-06 Tokai Rika Co Ltd スル―アンカ
JP4033379B2 (ja) * 2001-07-11 2008-01-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アンカー
DE10317709B4 (de) * 2003-04-17 2005-05-12 Autoliv Development Ab Umlenk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20070138783A1 (en) * 2005-12-20 2007-06-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Guide for seat belt webbing having a deformable insert
JP4925445B2 (ja) * 2007-04-13 2012-04-25 タカタ株式会社 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8025093B4 (de) * 2008-05-26 2010-08-26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Umlenkelement mit einstückigem Verkleidungsteil
DE102009000150A1 (de) * 2009-01-12 2010-07-15 Robert Bosch Gmbh Gurtsystem für ein Insassenschutzsystem in einem Fahrzeug
JP5420353B2 (ja) * 2009-09-04 2014-02-19 タカタ株式会社 ウェビング挿通部材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845055B2 (ja) 2011-10-26 2016-01-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ルーアンカ、スルーアン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125A (ja) 2009-06-15 2010-12-24 Tokai Rika Co Ltd スリップジョイント
WO2013172275A1 (ja) 2012-05-14 2013-11-2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0437B1 (en) 2017-09-06
JP5844466B2 (ja) 2016-01-20
US20160272149A1 (en) 2016-09-22
WO2015092892A1 (ja) 2015-06-25
EP2910437A1 (en) 2015-08-26
CN104884313A (zh) 2015-09-02
HK1210748A1 (en) 2016-05-06
US9527473B2 (en) 2016-12-27
CN104884313B (zh) 2018-01-02
EP2910437A4 (en) 2016-04-13
JPWO2015092892A1 (ja) 2017-03-16
KR20150090020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012B2 (en) Seat belt system
JP2007050824A (ja) 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71978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614486B1 (ko) 스루 앵커
JP2013091446A (ja) スルーアン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614479B1 (ko) 스루 앵커
US20140306436A1 (en) Through anchor
US9204691B2 (en) Tongue and seat belt device using the same
US11192520B2 (en) Seat belt device for a vehicle seat
US20180220749A1 (en) Tongue for seatbelt device
JP6223393B2 (ja) スルーアンカ
KR20150102929A (ko) 벨트 부착구
JP2010184629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90002375A (ko) 웨빙가이드
WO2015092890A1 (ja) スルーアンカ
JP6138472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627225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アンカ
JP2021008232A (ja) スルーアン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6037181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WO2014038355A1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8189281A (ja) 自動車の側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