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929A - 벨트 부착구 - Google Patents

벨트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929A
KR20150102929A KR1020157004030A KR20157004030A KR20150102929A KR 20150102929 A KR20150102929 A KR 20150102929A KR 1020157004030 A KR1020157004030 A KR 1020157004030A KR 20157004030 A KR20157004030 A KR 20157004030A KR 20150102929 A KR20150102929 A KR 2015010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elt
anchor
main body
protru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ublication of KR2015010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앵커(10)에서는, 앵커 본체(36)에 관통 삽입 구멍(4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삽입 구멍(42)에 벨트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또, 앵커 본체(36)에 관통 삽입 구멍(42)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44)가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돌출부(44)가 관통 삽입 구멍(4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의 돌출부(44)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하여도, 벨트의 관통 삽입 구멍(42)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벨트 부착구{BELT FITTING}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관통 삽입되는 동시에 차량에 부착되는 벨트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3281226호 공보에 기재된 벨트 부착 금구(金具)(a metal belt fitting)에서는, 기판에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긴 구멍에 시트 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관통 삽입된다. 또한, 기판의 긴 구멍 주위에, 볼록조(凸條, ridge)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조는, 긴 구멍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 벨트 부착 금구의 재료는, 고장력 강판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부착 금구에서는, 기판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하면, 긴 구멍의 외주면의 기판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져, 긴 구멍의 외주면의 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벨트의 긴 구멍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일본 특허 제328122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본체 부재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벨트 부착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벨트 부착구는,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차량에 부착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을 구성하며, 상기 관통 삽입 구멍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벨트 부착구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벨트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이 상기 관통 삽입 구멍 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彎曲)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벨트 부착구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벨트 부착구에 있어서, 탄소강(carbon steel)을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본체 부재, 상기 관통 삽입 구멍 및 상기 돌출부를 형성한 후에 해당 탄소강을 열처리하여 제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벨트 부착구에서는, 차량에 부착되는 본체 부재에 관통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관통 삽입 구멍에 관통 삽입된다. 또, 본체 부재에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돌출부가 관통 삽입 구멍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의 돌출부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이로써, 본체 부재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하여도,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벨트의 관통 삽입 구멍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부재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벨트 부착구에서는,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이 관통 삽입 구멍 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벨트 부착구는, 탄소강을 프레스 가공하여 본체 부재, 관통 삽입 구멍 및 돌출부를 형성한 후에, 해당 탄소강을 열처리하여 제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탄소강을 열처리하기 전에 프레스 가공하여 본체 부재, 관통 삽입 구멍 및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본체 부재, 관통 삽입 구멍 및 돌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그 후, 탄소강을 열처리함으로써, 본체 부재 및 돌출부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차량 좌측의 비스듬한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2의 4-4선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부착구로서의 앵커(anchor; 10)가 정면도로 나타내어져 있으며, 도 3에는, 앵커(10)가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에는, 앵커(10)가 적용된 차량(12; 자동차)의 주요부가 차량 좌측의 비스듬한 전방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앵커(10)의 표면 측을 화살표(SF)로 나타내고, 앵커(10)의 선단 측을 화살표(TP)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10)는, 차량(12)의 시트 벨트 장치(14)에 이용되고 있으며, 시트 벨트 장치(14)는, 차 실내의 탑승자(예컨대 운전자) 착좌(着座)용의 시트(16)에 장비되어 있다.
시트 벨트 장치(14)에는, 수납 장치(storing device)(18; 권취(捲取)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납 장치(18)는, 시트(16)의 차폭 방향 외측이자 하측에 있어서, 차체(시트(16)여도 무방함)에 부착되어 있다. 수납 장치(18)에는, 벨트(20)인 길이가 긴 띠형상의 시트 벨트(22; 웨빙(webbing))가 기단(基端) 측으로부터 권취되어 수납되어 있으며, 수납 장치(18)는, 시트 벨트(22)에 권취 방향으로의 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을 작용시키고 있다.
시트 벨트(22)는, 수납 장치(18)보다 선단 측에 있어서, 스루 앵커(through-anchor; 24)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으며, 스루 앵커(24)는, 시트(16)의 차폭 방향 외측이자 상측에 있어서, 차체(시트(16)여도 무방함)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 벨트(22)는, 스루 앵커(24)보다 선단 측에 있어서, 텅(tongue, 26)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다.
시트 벨트(22)의 선단은, 앵커(10)인 벨트 앵커(28)에 부착되어 있으며, 벨트 앵커(28)는, 시트(16)의 차폭 방향 외측이자 하측에 있어서, 차체(시트(16)여도 무방함)에 부착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시트 벨트 장치(14)에는, 버클(buckle; 30)이 설치되어 있으며, 버클(30)은, 벨트(20)인 길이가 긴 띠형상의 부착 벨트(32; 웨빙)의 선단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 벨트(32)의 기단은, 앵커(10)인 부착 앵커(34)에 부착되어 있으며, 부착 앵커(34)는, 시트(16)의 차폭 방향 내측이자 하측에 있어서, 차체(시트(16)여도 무방함)에 부착되어 있다(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텅(26)은, 버클(30)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텅(26)이 버클(30)에 장착됨에 따라, 시트(16)에 착좌한 탑승자에 대해 시트 벨트(22)가 장착된다. 이로써, 시트 벨트(22)의 스루 앵커(24)와 텅(26) 사이의 부분(숄더 벨트부)이 탑승자의 상반신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걸쳐지는 동시에, 시트 벨트(22)의 텅(26)과 벨트 앵커(28) 사이의 부분(랩 벨트부(a lap belt portion))이 탑승자의 허리부에 횡방향으로 걸쳐진다. 또, 차량의 긴급시(예컨대 충돌시)에는, 수납 장치(18)가 시트 벨트(22)의 인출(引出)을 로크(lock)함으로써, 탑승자를 시트(16)에 구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10; 벨트 앵커(28) 및 부착 앵커(34))는, 재료가 이른바 탄소강(붕소강 등)으로 되어 있으며, 앵커(10)는, 탄소강이 열처리되어,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10)에는, 본체 부재로서의 판형상의 앵커 본체(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는, 종래의 앵커 본체의 판 두께 치수(예컨대 3.2㎜)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예컨대 1.6㎜로 되어 있다). 앵커 본체(36)는, 탄소강이 열처리되기 전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 본체(36)의 선단측 부분(길이방향 일측 부분)은, 앵커 본체(36)의 기단측 부분(길이방향 타측 부분)에 대해 굴곡되어, 앵커 본체(36)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본체(36)의 표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앵커 본체(36)의 기단측 부분에는, 원형상의 부착 구멍(38)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 구멍(38)은, 탄소강이 열처리되기 전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38)에는, 부착 볼트(40, 도 1 참조)가 관통되어 끼움 결합되어 있으며, 부착 볼트(40)가 차체에 체결(締結)되는 동시에, 부착 볼트(40)의 헤드부와 차체의 사이에 앵커 본체(36)의 부착 구멍(38) 주위가 끼움 지지됨에 따라, 앵커(10)가 차체에 부착되어 있다.
앵커 본체(36)의 선단측 부분에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 형상인 관통 삽입 구멍(4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삽입 구멍(42)은, 탄소강이 열처리되기 전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관통 삽입 구멍(42)은, 앵커 본체(36)의 폭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되어 있으며,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은, 앵커 본체(36) 기단측의 기단(42A)이 정면에서 볼 때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기단(42A)의 근방 부분(42B)이 정면에서 볼 때 오목한 형상의 만곡선(curved line)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앵커 본체(36)의 선단측의 선단부(42C)가 정면에서 볼 때 앵커 본체(36) 선단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만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앵커 본체(36)의 선단측 부분에는, 관통 삽입 구멍(42)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타원의 통형상인 돌출부(44;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44)는, 탄소강이 열처리되기 전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4)는, 앵커 본체(36)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44)는, 앵커(10)의 관통 삽입 구멍(42) 형성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하고, 또한, 앵커(10)의 관통 삽입 구멍(42) 형성 부분을 보강하고 있다. 돌출부(44)의 내주면은,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관통 삽입 구멍(42)은, 돌출부(44)에 의해 앵커 본체(36) 판 두께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또,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할 경우에, 돌출부(44)의 돌출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어, 돌출부(44)의 앵커 본체(36) 판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L, 도 5 참조)가 크게 되어 있다(예컨대 4.4㎜로 되어 있다).
돌출부(44)의 돌출 기단측 부분은,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돌출부(44)의 돌출 선단측 부분은, 관통 삽입 구멍(4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컬링(curl))되어 있으며, 돌출부(44)의 두께 치수는, 예컨대,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 이하로 되어 있다. 돌출부(44)의 관통 삽입 구멍(42)과는 반대측(관통 삽입 구멍(42) 지름방향 외측)의 부분에는, 단면(斷面)이 대략 직사각 형상인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46)는, 관통 삽입 구멍(42)과는 반대측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외주면의 각 모서리부(46A)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돌출부(44)의 내주면을 포함함)의 단면(斷面)은, 대략 반원호(半圓弧)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은, 관통 삽입 구멍(42)측(관통 삽입 구멍(42) 지름방향 내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관통 삽입 구멍(42)에는, 벨트(20; 시트 벨트(22) 또는 부착 벨트(32))가 관통 삽입되어 있으며, 벨트(20)는, 관통 삽입 구멍(42) 관통 삽입 위치에 있어서 되접어 꺽이는 동시에, 관통 삽입 구멍(42) 관통 삽입 위치 근방에 있어서 포개진 상태로 봉합(縫合)되어 있다. 이로써, 벨트(20)가 앵커(10)에 부착되어 있다. 차량의 긴급시(예컨대 충돌시)에, 수납 장치(18)가 시트 벨트(22)의 인출을 로크한 상태에서, 시트 벨트(22)에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되었을 때에는, 벨트(20; 시트 벨트(22) 및 부착 벨트(32))가 탑승자에 의해 잡아 당겨짐에 따라, 벨트(20)가, 관통 삽입 구멍(42) 외주면의 선단부(42C)를 따라 휜 상태에서, 관통 삽입 구멍(42) 외주면의 선단부(42C)에 면접촉(面接觸)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앵커(10)에서는, 앵커 본체(36)에 부착 구멍(38)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10)가 부착 구멍(38)에 있어서 차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앵커 본체(36)에 관통 삽입 구멍(42)이 관통 형성되는 동시에, 앵커 본체(36)에 관통 삽입 구멍(42)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44)의 내주면이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벨트(20)가 관통 삽입 구멍(42)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앵커(10)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부(44)의 돌출 기단측 부분이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돌출부(44)의 돌출 선단측 부분이 관통 삽입 구멍(4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의 돌출부(44)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하여도,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벨트(20)의 관통 삽입 구멍(42)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벨트(20)의 손상(마모 및 파단(破斷))을 억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앵커(10)를 경량화할 수가 있다.
또한,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를 작게 하여도, 돌출부(44)의 돌출 치수를 크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의 돌출부(44)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벨트(20)의 관통 삽입 구멍(42)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을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벨트(20)의 손상(마모 및 파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관통 삽입 구멍(42)의 외주면(돌출부(44)의 내주면을 포함함)이 관통 삽입 구멍(42) 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20)의 손상(마모 및 파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앵커(10)가, 탄소강을 프레스 가공하여 앵커 본체(36), 부착 구멍(38), 관통 삽입 구멍(42) 및 돌출부(44)를 형성한 후에, 해당 탄소강을 열처리하여 제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탄소강을 열처리하기 전에 프레스 가공하여, 앵커 본체(36), 부착 구멍(38), 관통 삽입 구멍(42) 및 돌출부(44)를 형성함으로써, 앵커 본체(36), 부착 구멍(38), 관통 삽입 구멍(42) 및 돌출부(4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특히, 앵커(10)를 경량화(박판화)하기 위해 앵커(10)의 재료를 초(超)고장력 강판으로 하는 경우와 달리, 앵커 본체(36)에 돌출부(4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그 후, 탄소강을 열처리함으로써,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치수 및 돌출부(44)의 두께 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앵커(10; 앵커 본체(36) 및 돌출부(44))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차량의 긴급시(예컨대 충돌시)에, 수납 장치(18)가 시트 벨트(22)의 인출을 로크한 상태에서, 벨트(20; 시트 벨트(22) 및 부착 벨트(32))가 탑승자에 의해 잡아 당겨졌을 때에도, 벨트(20)로부터 앵커(10)에 입력되는 하중에 의해 앵커(10; 앵커 본체(36), 부착 구멍(38), 관통 삽입 구멍(42) 및 돌출부(44))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4)의 돌출 기단측 부분을 앵커 본체(36)의 판 두께 방향으로 돌출시켰다. 그러나, 돌출부(44)의 돌출 기단측 부분을 관통 삽입 구멍(42)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앵커 본체(36)의 표면측으로 돌출부(44)를 돌출시켰다. 그러나, 앵커 본체(36)의 표면측 및 이면측 중 적어도 일방(一方)으로 돌출부(44)를 돌출시키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앵커 본체(36)의 관통 삽입 구멍(42)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돌출부(44)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앵커 본체(36)에 관통 삽입 구멍(42)의 둘레 방향 일부(특히 차량의 긴급시(예컨대 충돌시)에 있어서의 벨트(20)와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돌출부(44)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10; 앵커(벨트 부착구)
12; 차량
14; 시트 벨트 장치
20; 벨트
36; 앵커 본체(본체 부재)
42; 관통 삽입 구멍
44; 돌출부

Claims (3)

  1.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의 벨트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차량에 부착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을 구성하며, 상기 관통 삽입 구멍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를 구비한 벨트 부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삽입 구멍의 외주면을 상기 관통 삽입 구멍 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彎曲)시킨 벨트 부착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탄소강(炭素鋼)을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본체 부재 및 상기 돌출부를 형성한 후에 해당 탄소강을 열처리하여 제조된 벨트 부착구.
KR1020157004030A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20150102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1721 WO2015111226A1 (ja) 2014-01-27 2014-01-27 ベルト取付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008A Division KR20160105821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929A true KR20150102929A (ko) 2015-09-09

Family

ID=5368105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747A KR20210016098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177012028A KR20170054547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237002869A KR20230016718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197016421A KR20190067278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157004030A KR20150102929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167020008A KR20160105821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747A KR20210016098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177012028A KR20170054547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237002869A KR20230016718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KR1020197016421A KR20190067278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008A KR20160105821A (ko) 2014-01-27 2014-01-27 벨트 부착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12574B2 (ko)
EP (1) EP2923895B1 (ko)
JP (1) JPWO2015111226A1 (ko)
KR (6) KR20210016098A (ko)
CN (2) CN104955683A (ko)
HK (1) HK1211548A1 (ko)
MX (1) MX370485B (ko)
WO (1) WO2015111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4726A (zh) * 2018-04-26 2020-11-27 株式会社远州 带穿过件
KR102428803B1 (ko) * 2020-03-04 2022-08-04 주식회사 금토일산업 자동차용 필러앵커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14486U1 (de) 1978-05-12 1979-01-18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Umlenkung fuer sicherheitsgurte
DE3306095A1 (de) * 1983-02-22 1984-08-30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Umlenkbeschlag fuer sicherheitsgurte in kraftfahrzeugen
JPH0528763U (ja) 1991-09-27 1993-04-16 富士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アンカープレート
JP3247548B2 (ja) * 1994-06-14 2002-01-15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用スリップアンカー
JP3095967B2 (ja) 1994-08-31 2000-10-10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
JP2644456B2 (ja) 1995-01-11 1997-08-25 有限会社睦道研究所 ベルト連結用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21867B1 (en) 1995-01-11 2001-11-28 Yugengaisha Mutsumichi Kenkyujo Belt connecting metal fit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EP0760316B1 (en) * 1995-02-10 2004-03-17 Enshu Co., Ltd. Seat belt suspender
JP3485714B2 (ja) 1995-03-08 2004-01-13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吊持具
JP3281226B2 (ja) 1995-08-30 2002-05-13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
JP3281308B2 (ja) 1997-12-25 2002-05-13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装置用ベルト取付金具の製造方法
US6138328A (en) * 1998-08-27 2000-10-31 Takata Corporation Webbing insertion member
US6324730B1 (en) * 1998-08-27 2001-12-04 Takata Corporation Webbing insertion member
JP3101256B2 (ja) * 1999-01-21 2000-10-23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取付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6467850B1 (en) * 1999-05-12 2002-10-22 Nsk Autoliv Co. Ltd. Seat belt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through anchor
US6526630B2 (en) * 2000-02-07 2003-03-04 Nsk Autoliv Co. Ltd. Seat belt device
JP3445241B2 (ja) * 2000-06-30 2003-09-08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吊持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11777A (ja) * 2001-06-28 2003-01-15 Tokai Rika Co Ltd スルーアンカ
DE102004032063B4 (de) * 2004-07-01 2006-10-12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Straffeinrichtung mit abgebogenem Rohr
DE602005003069T2 (de) * 2004-07-29 2008-08-14 Delphi Korea Corp., Yongin Kraftfahrzeug Sicherheitsgurt-Umlenkbeschlag und Verfahren zur seinen Herstellung
DE102004041665B4 (de) 2004-08-27 2015-01-15 Trw Automotive Gmbh Gurtführung sowie Gurtaufroller mit einer solchen Gurtführung
DE102004061434A1 (de) 2004-12-17 2006-06-29 J & S Gmbh Automotive Technology Umlenkelement für Sicherheitsgurtsysteme in Fahrzeugen
DE102005034804B3 (de) * 2005-07-21 2006-10-12 J & S Gmbh Automotive Technology Umlenkelement für Sicherheitsgurtsysteme in Fahrzeugen
JP2007050824A (ja) 2005-08-19 2007-03-0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8296895A (ja) * 2007-06-01 2008-12-11 Hankook Capability Co Ltd ベルトブッシュおよびベルトブッシュの組立方法
CN201080168Y (zh) * 2007-09-19 2008-07-02 无锡市雄伟精工机械厂 固定片
JP2012171587A (ja) 2011-02-24 2012-09-10 Enshu:Kk ベルト取付具及びベルト取付具の製造方法
US9988012B2 (en) 2014-03-05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bel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87053A (zh) 2019-07-09
KR20170054547A (ko) 2017-05-17
MX370485B (es) 2019-12-13
KR20190067278A (ko) 2019-06-14
CN104955683A (zh) 2015-09-30
US10112574B2 (en) 2018-10-30
JPWO2015111226A1 (ja) 2017-03-23
MX2015001937A (es) 2016-03-16
US20160039386A1 (en) 2016-02-11
KR20210016098A (ko) 2021-02-10
EP2923895A4 (en) 2016-09-28
KR20160105821A (ko) 2016-09-07
EP2923895B1 (en) 2017-09-06
EP2923895A1 (en) 2015-09-30
CN109987053B (zh) 2021-10-29
HK1211548A1 (en) 2016-05-27
KR20230016718A (ko) 2023-02-02
WO2015111226A1 (ja)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5445B2 (ja) 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845055B2 (ja) スルーアンカ、スルーアン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50102929A (ko) 벨트 부착구
JP5888293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プレート取付け構造
JP2012171587A (ja) ベルト取付具及びベルト取付具の製造方法
JP5848449B2 (ja) スルーアンカ
JP4886049B2 (ja) 安全ベルトバックル用ベルト結合具(safetybeltving−singstructure)
JP2017159902A (ja) ベルト取付具
JP6493878B2 (ja) ベルト取付具
US11192520B2 (en) Seat belt device for a vehicle seat
KR20110085568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JP2019018854A (ja) ベルト取付具
KR20240068786A (ko) 벨트 부착구
JP2008260415A (ja) 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844466B2 (ja) スルーアンカ
JP606736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3107422A (ja) タ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2224253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タングプレート固定構造
JP6223393B2 (ja) スルーアンカ
JP4565957B2 (ja) ウエビング挿通部材
JP2015110422A (ja) ベルト取付具及びベルト取付具の製造方法
JP627225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用アンカ
JPWO2015092890A1 (ja) スルーアンカ
JP2020011671A (ja) ブッシュ
KR20210125848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2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1

Effective date: 2017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