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40B1 -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40B1
KR101614440B1 KR1020140107029A KR20140107029A KR101614440B1 KR 101614440 B1 KR101614440 B1 KR 101614440B1 KR 1020140107029 A KR1020140107029 A KR 1020140107029A KR 20140107029 A KR20140107029 A KR 20140107029A KR 101614440 B1 KR101614440 B1 KR 10161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gb
color
primary color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638A (ko
Inventor
지지앙 헤
Original Assignee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TFT회로층; TFT회로층 위에 설치한 OLED발광층; 및 상기 OLED발광층 위에 설치한 커버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OLED발광층은 RGB3원색 발광체와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각각 대응하게 설치한 RGB3원색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에 존재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상 이점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증가하고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다.

Description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FULL COLOR OL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자체발광 특성을 가지는데 매우 얇은 유기재료코팅과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전류 통과 시, 유기재료 코팅이 발광하게 한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디스플레이 화면 시야각이 넓고 전기에너지를 현저히 절감하기에 현재 넓게 활용되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RGB3원색으로 풀컬러 표시를 실현하는데, 현재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대량생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도 1은 기존기술의 첫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도이다. 첫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10)는 TFT회로층(101); TFT회로층(101)위에 형성된 각각 적색 발광체(102), 녹색 발광체(103)와 청색 발광체(104)인 3원색 발광체; 및 RGB3원색 발광체 위에 형성된 커버유리(105)를 포함한다. 적색 발광체(102), 녹색 발광체(103) 및 청색 발광체(104)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수 있다. 다만, 해당 첫번째 구조(10)는 제작능력의 제한을 받는데, 3원색 발광체 사이에 혼합색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로 할수 없다. 즉, 3개 발광체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있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상 이점을 대폭 줄인다. 도 2는 기존기술의 두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도이다. 두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20)는 TFT회로층(201); TFT회로층(201)위에 형성된 백색 발광층(202); 백색 발광층(202)위에 형성된 RGB3원색 컬러필터; 및 3원색 컬러필터위에 형성된 커버유리(206)를 포함한다. RGB3원색 컬러필터는 적색 컬러필터(203), 녹색 컬러필터(204) 및 청색 컬러필터(205)를 포함하며, 두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20)는 제작방법이 간단하고, RGB3원색 컬러필터의 개구율을 최대로 할수 있다. 다만, 화이트광이 RGB3원색 컬러필터를 통과 후, RGB3원색광의 휘도가 낮아서 높은 휘도를 유지하려면 전압을 증가하여야 하기에 전력소비가 증가하고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에 존재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상 이점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증가하고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TFT회로층; TFT회로층 위에 설치한 OLED발광층; 및 상기 OLED발광층 위에 설치한 커버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OLED발광층은 RGB3원색 발광체와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각각 대응하게 설치한 RGB3원색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RGB3원색 발광체, 즉 적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청색 발광체와 RGB3원색 컬러필터, 즉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청색 컬러필터를 결합하는 기술방식을 채택하는데, RGB3원색 컬러필터를 대응하는 발광체 위에 설치하기에 RGB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로 크게 할수 있으며, 혼합색은 RGB3원색 컬러필터로 필터링하기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상 이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혼합색은 오직 RGB3원색 발광체와 인접한 위치에서 발생하기에 혼합색의 수량이 매우 적어 RGB3원색 컬러필터로 필터링 가능하다. 대량의 RGB3원색광은 RGB3원색 컬러필터를 투과하기에, RGB3원색광이 기본상 손실되지 않으며, 전압을 증가하여 휘도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효율을 제고한다. 또한, 상기 기술방식을 채택하면 대응하는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투과율을 증가하는 역할을 할수 있어 출광강도를 확보할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풀컬러 표시효과가 취득가능하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중의 임의의 하나의 일분분이 인접한 한개 또는 두개의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결합된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컬풀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상기 RGB3원색 발광체의 두께가 상이하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임의의 두개의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가 중첩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중첩구간에 혼합색이 형성된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가 상이하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는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는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 투과광의 1/4파장을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로 나눈 값이다.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은,
TFT회로층 위에 적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및 청색 발광체를 형성하여, RGB3원색 발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색 발광체 위에 적색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녹색 발광체 위에 녹색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청색 발광체 위에 청색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RGB3원색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색 컬러필터, 상기 녹색 컬러필터, 상기 청색 컬러필터위에 커버유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은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를 인접한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은,
TFT회로층 위에 적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및 청색 발광체를 형성하여 RGB3원색 발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커버유리의 밑면에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청색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RGB3원색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를 대응하는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설치하고, 그다음에 상기 구조를 패키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일보된 개선으로서,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조방법은 상기 RGB3원색 발광체 형성 시, 임의의 서로 인접한 두개의 RGB3원색 발광체는 중첩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중첩구간에는 혼합색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RGB3원색 발광체와 RGB3원색 컬러필터를 결합하는 기술방식을 채택하기에 RGB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로 크게 할수 있다. 개구율을 최대로 크게 할 경우, RGB3원색 발광체의 인접한 위치에 적은 수량의 혼합색이 발생하는데, 해당 혼합색은 RGB3원색 컬러필터로 필터링하기에 RGB3원색 발광체의 발광량에 기본상 영향을 주지 않으며, RGB3원색 컬러필터를 투과하는 빛이 RGB3원색광이기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성능상 이점을 보장한다. RGB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로 크게 하여 발광량을 증가하기에 RGB3원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발광하는 빛의 조도를 보장하며, 기존 기술의 두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와 비교할 경우, 전압을 증가할 필요가 없이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효율을 제고한다. RGB3원색 컬러필터는 상이한 두께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반사방지기능을 가지게 되어 RGB3원색광의 출광율을 보장하고 RGB3원색광의 색순도를 제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방법이 간단하고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않기에 화면의 해상도와 제품의 양품율을 제고하고 원가를 절감한다.
도 1는 기존기술의 첫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기존기술의 두번째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구조도이고,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는 RGB3원색 발광체와 RGB 3원색 컬러필터를 결합하는 기술방식을 채택하여 풀컬러 표시를 실현한다. 그중, RGB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로 크게 할수 있기에 발광 휘도를 증가하고, 또한 RGB3원색 컬러필터로 혼합색을 필터링하고 혼합색은 오직 RGB3원색 발광체와 인접한 위치에서만 발생하기에 혼합색의 수량이 매우 적으며 전체 RGB3원색광의 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대량의 원색광이 RGB3원색 컬러필터를 투과하기에 RGB3원색광의 출광율을 효과적으로 보장함과 동시에 RGB3원색광의 색순도를 제고하며,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력소비를 감소하고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진다.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기존구조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제작방법이 간단하고 제품의 양품율을 제고하고 원가를 절감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30)는 TFT회로층(301), TFT회로층(301) 위에 설치한 OLED발광층 및 OLED발광층 위에 설치한 커버유리(308)를 포함한다.
그중, OLED발광층은 RGB3원색 발광체 및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대응되게 설치한 RGB3원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RGB3원색 발광체는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및 청색 발광체(304)이고, RGB3원색 컬러필터는 적색 컬러필터(305), 녹색 컬러필터(306) 및 청색 컬러필터(307)이다.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및 청색 발광체(304)를TFT회로층(301) 위에 설치하되, 그중 녹색 발광체(303)는 적색 발광체(302)와 청색 발광체(304)사이에 설치하고, 녹색 발광체(303)는 양측의 적색 발광체(302)와 청색 발광체(304)와 인접하게 설치하여 RGB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한 크게 확보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RGB3원색 발광체의 배열은 적색 발광체(302)를 녹색 발광체(303)와 청색 발광체(304)사이, 또는 청색 발광체를 적색 발광체(302)와 녹색 발광체(303)사이에 설치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GB3원색 발광체의 두께는 동일으며, 임의의 서로 인접한 두개의 RGB3원색 발광체는 서로 인접해 결합되어 있다.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청색 발광체(304) 사이의 길이가 동일하다. 즉, 개구율이 동일하다. 이로써,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청색 발광체(304)가 발광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이 동일한 조도, 색도를 가지게 되며 색상효과를 확보한다.
RGB3원색 컬러필터는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한다. 즉, 적색 컬러필터(305)를 적색 발광체(302)위에 결합하여 설치하며, 녹색 컬러필터(306)는 녹색 발광체(303) 위에 결합하여 설치하며, 청색 컬러필터(3070는 청색 발광체(304) 위에 결합하여 설치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 발광체(303)를 적색 발광체(302)와 청색 발광체(304)사이에 설치하고 녹색 발광체(303)는 양측의 적색 발광체(302)와 청색 발광체(304)와 인접하기에 녹색 컬러필터(306)도 적색 컬러필터(305)와 청색 컬러필터(307)사이에 설치하고, 녹색 컬러필터(306)를 양측의 적색 컬러필터(305)와 청색 컬러필터(307)와 인접하게 한다. 적색 컬러필터(305), 녹색 컬러필터(306) 및 청색 컬러필터(307)사이의 후막을 서로 다르게 할수 있으며, 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적색 컬러필터(305),녹색 컬러필터(306) 및 청색 컬러필터(307)가 반사방지막의 기능을 가지게 하여 출광율을 증가할수 있다.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는 광학원리에 따라 선택할수 있는 바, 컬러필터의 바람직한 투광율의 두께계산식은 n*d=λ*1/4이며, 그중, n은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이고, d는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이고, λ는 RGB컬러필터 투과광의 파장이다. 즉,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는 RGB3원색 컬러필터 투과광의 1/4파장을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로 나눈 값이다. 이로써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은 박막의 재료에 의해 결정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굴절률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컬러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런 경우 두께d가 얇아진다. RGB3원색 컬러필터 재료를 선정한 후, 굴절률은 고정값이 되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d는 투과광의 파장으로 계산하며, 두께d의 RGB3원색 컬러필터는 비교적 우수한 반사방지효과를 가진다. 상기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면, 적색 컬러필터(305)의 두께는 적색광의 1/4파장을 적색 컬러필터(305)의 굴절률로 나누어 얻으며, 녹색 컬러필터(306)의 두께는 녹색광의 1/4파장을 녹색 컬러필터(306)의 굴절률로 나누어 얻으며, 청색 컬러필터(307)의 두께는 청색광의 1/4파장을 청색 컬러필터(307)의 굴절률로 나누어 얻는다. 적색광의 파장이 RGB3원색광 중에서 가장 길기에 적색 컬러필터(305)가 녹색 컬러필터(306)와 청색 컬러필터(307)보다 두꺼우며, 청색광의 파장은 RGB3원색광 중에서 제일 짧기에 청색 컬러필터(307)가 적색 컬러필터(305)와 녹색 컬러필터(306)보다 얇다.
같은 컬러의 발광체 위에 같은 컬러의 컬러필터를 설치하면 발광체의 개구율을 ?대로 크게 할수 있고, 개구율을 증가하면 발광휘도를 증가시키고 전력소비를 감소하며 효율을 제고할수 있다. 두께가 서로 다른 대응하는 컬러의 컬러필터를 설치하면 원색광의 순도와 출광율을 제고할수 있으며, 이러한 풀컬러 표시구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양품율을 제고하고 생산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화면 해상도를 제고할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와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별은 다음과 같다. RGB3원색 컬러필터의 일부분이 인접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결합되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컬러필터(305)의 일부분이 녹색 컬러필터(306) 위에 결합되고, 녹색 컬러필터(306)의 일부분이 청색 컬러필터(307) 위에 결합되고, 돌출된 부분은 그와 인접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결합되기에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가 발생한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와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별은 다음과 같다. RGB3원색 발광체 사이 부분이 중첩되어 중첩구간을 포함하는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발광체(302) 부분이 녹색 발광체(303) 위에 결합되고, 녹색 발광체(303)부분이 청색 발광체(304) 위에 결합되고, 상기 부분의 결합구간이 중첩구간이며, 해당 중첩구간에 혼합색이 발생하게 된다. 적색 발광체(302)와 녹색 발광체(303)의 중첩구간 위에 녹색 컬러필터(306)가 결합되고, 해당 부분의 혼합색이 녹색 컬러필터(306)에 의해 필터링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녹색 발광체(303)와 청색 발광체(304) 사이의 중첩구간에서 발생하는 혼합색은 그 위에 있는 청색 컬러필터(307)에 의해 필터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와 도 5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별은 다음과 같다. RGB3원색 컬러필터의 일부분이 인접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결합되는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컬러필터(305)의 일부분이 녹색 컬러필터(306) 위에 결합되고, 녹색 컬러필터(306)의 일부분이 청색 컬러필터(307) 위에 결합되고, 돌출된 부분은 그와 인접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결합되기에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가 발생한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와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별은 RGB3원색 발광체의 두께가 상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와 도 7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별은 다음과 같다. RGB3원색 컬러필터의 일부분이 인접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결합되는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컬러필터(305)의 일부분이 녹색 컬러필터(306) 위에 결합되고, 녹색 컬러필터(306)의 일부분이 청색 컬러필터(307) 위에 결합되고, 돌출된 부분은 그와 인접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결합되기에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가 발생한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와 도 7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구별은 다음과 같다. RGB3원색 발광체 사이의 부분이 중첩되어 중첩구간을 포함하는데,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 발광체(303) 부분이 적색 발광체(302)내에 결합되어 제1중첩구간을 형성하며, 해당 제1중첩구간 위에 적색 발광체(30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제1중첩구간에 혼합색이 발생한다. 청색 발광체(304) 부분은 녹색 발광체(303) 내에 결합되어 제2중첩구간을 형성하며, 해당 제2중첩구간 위에 녹색 발광체(303)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제2중첩구간에 혼합색이 발생한다. 제1중첩구간과 제2중첩구간에 발생한 혼합색은 그 위에 설치한 RGB3원색 컬러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로서 RGB3원색 발광체의 두께와 길이가 상이한데, 그중 청색 발광체(304)가 제일 얇고 제일 길며, 그 다음으로 녹색 발광체(303)이고, 제일 두껍고 제일 짧은 것은 적색 발광체(302)이며, RGB3원색 발광체의 구조는 녹색 발광체(303)의 단부의 일부분이 적색 발광체(302)내부에 결합되고, 해당 결합부분이 제1중첩구간을 형성하며, 제1중첩구간의 윗부분은 적색 발광체(302)이고, 해당 제1중첩구간에 혼합색이 발생한다. 청색 발광체(304)의 단부의 일부분이 녹색 발광체(303)내에 결합되고, 해당 결합부분이 제2중첩구간을 형성하며, 중첩구간의 윗부분은 녹색 발광체이고, 해당 제2중첩구간에 혼합색이 발생한다.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와 길이가 상이하며, 두께의 선택은 상술한 두께계산식으로 계산하는데, 그중 적색 컬러필터(305)가 제일 두껍고 제일 길며, 그 다음으로는 녹색 컬러필터(306)이고, 청색 컬러필터(307)가 제일 얇고 제일 짧으며, 적색 컬러필터(305)는 적색 발광체(302)위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일부분은 인접한 녹색 컬러필터(306)위에 결합된다. 적색 컬러필터(305)가 제1중첩구간에 발생한 혼합색을 필터링한다. 또한, 적색 컬러필터(305)의 일부분이 녹색 컬러필터(306)위에 결합되기에 해당 일부분의 적색 컬러필터(305)부분에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으며, 녹색 컬러필터(306)가 녹색빛을 투과하기에 해당 녹색빛은 상기 일부분의 적색 컬러필터(305)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컬리필터를 설치하는 것은 혼합색의 빛을 완전히 필터링하기 위해서이다. 녹색 컬러필터(306)는 녹색 발광체(303) 위에 결합되는 동시에 여전히 그 일부분이 인접한 청색 컬러필터(307) 위에 결합되며, 해당 부분의 녹색 컬러필터(306)가 청색 컬러필터(307) 위에 더 많이 결합되는 원리는 상기 적색 컬러필터(305)가 녹색 컬러필터(306) 위에 더 많이 결합되는 것과 동일하다.청색 컬러필터(307)는 청색 발광체(304) 위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는 RGB3원색 컬러필터부분이 인접한 컬러의 컬러필터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하고 출광하는 빛의 색순도를 확보할수 있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RGB3원색 컬러필터를 커버유리(308) 뒷면에 설치한 후 TFT회로층(301) 위에 설치한 RGB3원색 발광체와 함께 패키징한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RGB3원색 컬러필터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의 윗부분에 설치되고, 적색 컬러필터(305)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녹색 컬러필터(303)의 윗부분에 설치되고, 녹색 컬러필터(306)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청색 발광체(304)의 윗부분에 설치되며, 이로써 RGB3원색 발광체와 인접한 부분의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할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RGB3원색 컬러필터의 일부분이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에 결합되기에 RGB3원색 컬러필터가 3원색의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할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는 RGB3원색 컬러필터를 커버유리(308)의 뒷면에 결합하여 설치하고 RGB3원색 발광체를 TFT회로층 위에 설치한후 양자를 패키징하여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할수 있다. 상기 도 3내지 도 10의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와 RGB3원색 발광체의 결합방식과 같이, 이러한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TFT회로층 위에 RGB3원색 발광체를 형성한다. 즉,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청색 발광체(304)를 형성하되, 그중 녹색 발광체(303)는 양측의 적색 발광체(302)와 청색 발광체(304)사이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RGB3원색 발광체의 개구율을 최대한 크게 확보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RGB3원색 발광체의 배열은 적색 발광체(302)를 녹색 발광체(303)와 청색 발광체(304)사이, 또는 청색 발광체를 적색 발광체(302)와 녹색 발광체(303)사이에 설치할수 있다. RGB3원색 발광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증착공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퍼터링공정이나 프린팅기술로 형성할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형성된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청색 발광체(304) 사이의 길이가 동일하기에 동일한 조도, 색도를 확보하여 색상효과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및 청색 발광체(304) 사이의 길이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적색 발광체(302), 녹색 발광체(303) 및 청색 발광체(304) 사이의 두께 및 길이가 모두 상이하다. 계속하여 다음 단계S2를 진행한다.
단계S2: RGB3원색 발광체 위에 RGB3원색 컬러필터를 형성한다. 즉, 적색 발광체(302) 위에 적색 컬러필터(305)를 형성하고, 녹색 발광체(303) 위에 녹색 컬러필터(306)를 형성하고, 청색 발광체(304) 위에 청색 컬러필터(307)를 형성한다. 형성하는 방법은 증착공정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퍼터링공정이나 프린팅기술로 RGB3원색 컬러필터를 형성할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RGB3원색 컬러필터의 길이가 상이하며, 그리고 형성과정에 RGB3원색 컬러필터를 인접한 컬러필터 위에 형성하여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할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RGB3원색 컬러필터의 길이가 동일하며, 길이가 상이한 RGB3원색 발광체에 결합시키며, RGB3원색 컬러필터의 일부분을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위에 결합하여 혼합색을 완전히 필터링 할수 있도록 보장한다. RGB3원색 컬러필터가 RGB3원색 발광체의 혼합색을 필터링할수 있기에 RGB3원색 발광체가 발광하는 빛이 RGB3원색 컬러필터를 투과후 여전히 3원색이며 혼합색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혼합색은 오직 RGB3원색 발광체와 인접한 위치에서만 매우 작은 량의 혼합색이 발생하며, RGB3원색 컬러필터로 필터링한후에 광량이 기본상 손실되지 않기에 RGB3원색 컬러필터를 대응하는 RGB3원색 발광체 위에 설치하면 양호한 색순도와 출광율을 갖게 되고 화면 색상의 포화도를 보장하고 색상효과를 확보하며, 화면의 해상도를 제고한다. 적색 컬러필터(305), 녹색 컬러필터(306), 청색 컬러필터(307) 사이의 후막을 서로 다르게 할수 있으며, 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적색 컬러필터(305), 녹색 컬러필터(306) 및 청색 컬러필터(307)가 반사방지막의 기능을 가지게 하여 발광휘도를 증가할수 있다.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는 광학원리에 따라 선택할수 있는 바, 컬러필터의 바람직한 투광율의 두께계산식은 n*d=λ*1/4이며, 그중, n은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이고, d는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이고, λ는 RGB컬러필터 투과광의 파장이다.즉,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는 RGB3원색 컬러필터 투과광의 1/4파장을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로 나눈 값이다. 그중,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은 박막의 재료에 의해 결정되며, 굴절률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컬러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런 경우 두께d가 얇아진다. RGB3원색 컬러필터 재료 선정 후, 굴절률은 고정값이 되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d는 투과광의 파장으로 계산하며, 두께d의 RGB3원색 컬러필터는 비교적 우수한 반사방지효과를 가진다. 상기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면, 적색 컬러필터(305)의 두께는 적색광의 1/4파장을 적색 컬러필터(305)의 굴절률로 나누어 얻으며, 녹색 컬러필터(306)의 두께는 녹색광의 1/4파장을 녹색 컬러필터(306)의 굴절률로 나누어 얻으며, 청색 컬러필터(307)의 두께는 청색광의 1/4파장을 청색 컬러필터(307)의 굴절률로 나누어 얻는다. 적색광의 파장이 RGB3원색광 중에서 가장 길기에 적색 컬러필터(305)가 녹색 컬러필터(306)와 청색 컬러필터(307)보다 두꺼우며, 청색광의 파장은 RGB3원색광 중에서 제일 짧기에 청색 컬러필터(307)가 적색 컬러필터(305)와 녹색 컬러필터(306)보다 얇다. 계속하여 다음 단계S3를 진행한다.
단계S3: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커버유리(308)를 형성한다. 커버유리(308)는 접합제를 사용하여 3원색 컬러필터 위에 접합하거나 라미네이팅공정으로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형성할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형성된다. 전체적인 제작방법이 간단하고 여러 단계에 대한 기술요구가 높지 않기에 제품의 양품율을 제고하고 생산원가를 절감할수 있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과 구별되는 점이 다음과 같다. 즉, RGB3원색 발광체를 TFT회로층(301) 위에 형성한 후에 RGB3원색 컬러필터를 커버유리(308) 위에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두가지 구조를 함께 패키징하여 본 발명의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RGB3원색 컬러필터를 대응하는 RGB3원색 발광체 위에 설치하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가 상이하기에 RGB3원색 컬러필터와 RGB3원색 발광체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지만 해당 공극은 컬러필터의 출광율과 광 필티링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하게 변경할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중의 세부적인 내용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를 그 보호범위로 한다.
10,20,30 :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101,201,301 : TFT회로층
102,302 : 적색 발광체
103,303 : 녹색 발광체
104,304 : 청색 발광체
105,206,308 : 커버유리
202 : 백색 발광층
203,305 : 적색 컬러필터
204,306 : 녹색 컬러필터
205,307 : 청색 컬러필터

Claims (10)

  1. TFT회로층;
    TFT회로층 위에 설치한 OLED발광층; 및
    상기 OLED발광층 위에 설치한 커버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OLED발광층은 RGB3원색 발광체와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각각 대응하게 설치한 RGB3원색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중의 임의의 하나의 일부분이 인접한 한개 또는 두개의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GB3원색 발광체의 두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임의의 두개의 인접한 RGB3원색 발광체가 중첩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중첩구간에 혼합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의 두께는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 투과광의 1/4파장을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의 굴절률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7. TFT회로층 위에 적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및 청색 발광체를 형성하여, RGB3원색 발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색 발광체 위에 적색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녹색 발광체 위에 녹색 컬러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청색 발광체 위에 청색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RGB3원색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색 컬러필터, 상기 녹색 컬러필터, 상기 청색 컬러필터위에 커버유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는 인접한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
  8. 삭제
  9. TFT회로층 위에 적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및 청색 발광체를 형성하여 RGB3원색 발광체를 형성하는 단계;
    커버유리의 밑면에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청색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RGB3원색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RGB3원색 컬러필터를 대응하는 상기 RGB3원색 발광체 위에 설치하고, 그 구조를 패키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GB3원색 발광체 형성 시, 임의의 서로 인접한 두개의 RGB3원색 발광체는 중첩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중첩구간에는 혼합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의 제작방법.
  10. 삭제
KR1020140107029A 2014-04-21 2014-08-18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KR101614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60300.6 2014-04-21
CN201410160300.6A CN103943662B (zh) 2014-04-21 2014-04-21 全彩有机发光二极管结构及其制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638A KR20150121638A (ko) 2015-10-29
KR101614440B1 true KR101614440B1 (ko) 2016-04-21

Family

ID=5119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029A KR101614440B1 (ko) 2014-04-21 2014-08-18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5835B2 (ko)
KR (1) KR101614440B1 (ko)
CN (1) CN103943662B (ko)
TW (1) TWI538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9572A (zh) * 2017-10-20 2018-03-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US10707274B2 (en) 2017-10-20 2020-07-0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281524A (zh) * 2018-01-23 2018-07-13 苏州市悠文电子有限公司 一种全彩柔性rgb面板及其制作方法
CN111312727A (zh) 2020-02-26 2020-06-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以及电子装置
CN113471382B (zh) * 2021-06-23 2024-03-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面板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6657A (ja) 2008-02-05 2009-08-20 Dainippon Printing Co Ltd 染料顔料複合型カラーフィルタ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12190626A (ja) * 2011-03-10 2012-10-04 Panasonic Corp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186A (ja) * 2001-12-06 2003-08-2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15723B2 (en) * 2001-12-28 2004-11-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JP2003257657A (ja) * 2001-12-28 2003-09-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222704A (ja) * 2004-02-03 2005-08-18 Tdk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42372B1 (ko) * 2005-11-29 2007-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5764289B2 (ja) * 2009-10-27 2015-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5459142B2 (ja) * 2010-08-11 2014-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6657A (ja) 2008-02-05 2009-08-20 Dainippon Printing Co Ltd 染料顔料複合型カラーフィルタ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12190626A (ja) * 2011-03-10 2012-10-04 Panasonic Corp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638A (ko) 2015-10-29
JP5945835B2 (ja) 2016-07-05
TWI538196B (zh) 2016-06-11
TW201541630A (zh) 2015-11-01
CN103943662B (zh) 2017-03-15
JP2015207544A (ja) 2015-11-19
CN103943662A (zh)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106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614440B1 (ko) 풀컬러 유기발광다이오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US20210202620A1 (en) Integrat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TWI538193B (zh) 有機發光裝置及其製作方法
KR101434362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US99602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KR10212635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TWI378740B (en) Full-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ethod thereof
WO2006116346A3 (en) Multicolor oled displays
WO2018032728A1 (zh) 一种顶发射woled显示器
JPH10162958A (ja) El素子
JP2007003825A (ja) 表示装置及び発光パネル
CN107634084B (zh) 顶发射白光oled显示装置
JPWO2010150535A1 (ja) 多色発光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8412A (ja) Led発光装置
US1112134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10134814B2 (en) OL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90051852A1 (en)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
US11223031B2 (en) Full color 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WO2024016600A1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备方法
WO2018152933A1 (zh) 一种oled显示器件、其制备方法及oled显示器
WO2022227452A1 (zh) 顶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007040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8649132B (zh) 有机发光显示器件
CN112099122A (zh) 滤光膜以及显示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