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925B1 - 냉매 증발기 - Google Patents

냉매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925B1
KR101613925B1 KR1020147026267A KR20147026267A KR101613925B1 KR 101613925 B1 KR101613925 B1 KR 101613925B1 KR 1020147026267 A KR1020147026267 A KR 1020147026267A KR 20147026267 A KR20147026267 A KR 20147026267A KR 101613925 B1 KR101613925 B1 KR 10161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core
core por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213A (ko
Inventor
나오히사 이시자카
노리마사 바바
이치오 가메이
겐고 가자리
쇼타 쟈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4013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08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side by side or with individual headers, e.g. section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냉매 증발기는 4개의 코어부를 갖는다. 냉매의 일부는 제 1 코어부(1021a)와 제 4 코어부(1011b)를 지난다. 냉매의 잔부는 제 2 코어부(1021b)와 제 3 코어부(1011a)를 지난다. 전환부(1030)는 냉매가 흐르는 위치를 전환한다. 제 2 코어부와 제 3 코어부를 연통하는 통로(1033b)는 중간 탱크부(1033) 내에서 스로틀 통로(1033k)를 경유한다. 스로틀 통로와 중간 탱크부의 단부는 냉매의 흐름을 구획 부재(1013c)를 향하도록 반전시킨다. 중간 탱크부와 분배부(1013a, 1013b)를 연통하는 연통부(1032a, 1032b)는 가늘고 긴 개구를 갖고 있다. 스로틀 통로에 의하여 액상 냉매의 분포가 조절되기 때문에 제 3 코어부에 있어서의 출구(1012a)의 근처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의 하류에 위치하는 코어부에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냉매 증발기{REFRIGERANT EVAPORATOR}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해당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 출원에 편입된, 2011년 11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11―240411 및 2012년 3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12―049573을 토대로 하고 있다.
본 개시는 피냉각 유체로부터 흡열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으로 피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냉매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냉매 증발기는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예를 들면,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내부를 흐르는 냉매(액상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으로 피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용 열교환기로서 기능한다.
이 종류의 냉매 증발기로서는, 적층한 복수의 튜브를 갖는 열교환 코어부 및 복수의 튜브의 양단부에 접속된 한쌍의 탱크부를 구비하는 제 1, 제 2 증발부를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고, 각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탱크부끼리를 한쌍의 연통부(連通部)를 통하여 연결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의 냉매 증발기에서는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를 흐른 냉매를 각 증발부의 한쪽의 탱크부 및 해당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통부를 통하여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흘릴 때에 냉매의 흐름을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좌우 방향)에서 전환한다. 즉, 냉매 증발기에서는 한쌍의 연통부 중, 한쪽의 연통부를 통하여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을 흐르는 냉매는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으로 흐르는 것과 함께, 다른쪽의 연통부에 의하여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을 흐르는 냉매는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으로 흐른다.
특허 문헌 1―3은 냉매 증발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냉매 증발기는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 예를 들면,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내부를 흐르는 냉매를 증발시킨다. 이 결과, 냉매 증발기는 피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용 열교환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개시된 냉매 증발기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직렬로 배치된 제 1 증발부와, 제 2 증발부를 구비한다. 각 증발부는 복수의 튜브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코어부 및 복수의 튜브의 양단부에 접속된 한쌍의 탱크부를 구비한다. 제 1 증발부의 코어부는 폭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 제 2 증발부의 코어부도 폭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구분되어 있다.
특허 문헌 1―3이 개시하는 냉매 증발기는 하류의 제 1 증발부로터 상류의 제 2 증발부로 냉매를 흘리는 연통 부분에 냉매를 좌우 방향으로 전환하는 전환부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부는 2개의 연통부에 의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연통부는 제 1 증발부의 한쪽 부분, 예를 들면, 우측 부분으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제 2 증발부의 다른쪽 부분, 예를 들면, 좌측 부분으로 유도한다. 또, 다른 하나의 연통부는 제 1 증발부의 다른쪽 부분, 예를 들면, 좌측 부분으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제 2 증발부의 한쪽 부분, 예를 들면, 우측 부분으로 유도한다. 전환부는 교차 유로라고도 부를 수 있다.
특허 문헌 4는 냉매 증발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냉매 증발기는 복수의 열교환 튜브로 냉매의 분배성을 조절하기 위해, 탱크 내에 스로틀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 4124136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제 4024095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제 4625687호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 제 3391339호
본원의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특허 문헌 1―3이 개시하는 냉매 증발기에서는 전환부에 기인하여 제 2 증발부의 코어부의 내부에 있어서, 액상 냉매의 바람직하지 않은 편중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액상 냉매의 바람직하지 않은 편중은 코어부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온도 분포를 만들어낼 염려가 있다. 또, 액상 냉매의 바람직하지 않은 편중은 액상 냉매가 냉매 증발기로부터 유출되는 액 역류(backflow of the liquid)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예를 들면, 전환부와 제 2 증발부의 탱크부의 접속 부분 근처에 위치하는 열교환용의 튜브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쉬운 경우가 있다. 반대로, 접속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튜브에는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또, 전환부를 갖는 냉매 증발기에서는 냉매 증발기의 내부에서 유로가 적어도 2개로 분할된다. 이 때문에, 전환부 내 및 탱크 내에서 냉매의 유속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전환부를 갖는 냉매 증발기에서는 전환 유로 때문에 냉매가 흐르는 거리가 길다. 이들에 기인하여, 전환부를 갖는 냉매 증발기에서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분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분리된 액상 냉매는 전환부와 탱크의 벽면에 부착하면서 흐른다. 이 때문에, 일부의 튜브에 액상 냉매가 집중하는 일이 있었다.
액상 냉매의 바람직하지 않은 편중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 문헌 4가 개시하는 탱크 내의 스로틀 부재를 채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탱크 내의 스로틀 부재는 냉매가 탱크의 일단으로부터 탱크의 타단으로 흐르는 탱크에서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전환부를 갖는 냉매 증발기에서는 탱크 내에서의 냉매의 흐름이 복잡하다. 이 때문에, 탱크 내의 스로틀 부재에서는 소기의 효과를 얻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 특허 문헌 1의 냉매 증발기와 같이, 각 증발부의 한쪽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통부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로부터의 냉매가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로 흐를 때에, 액상 냉매가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일부에 치우쳐서 분배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배성이 악화하면,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있어서,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열교환이 유효하게 실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여, 냉매 증발기의 냉각 성능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본 개시는 냉매의 분배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냉매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코어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분포를 개선한 냉매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전환부의 하류에 위치하는 코어부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바람직하지 않은 집중을 억제할 수 있는 냉매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환부의 하류에 위치하는 코어부에 있어서의 출구에 가까운 부분으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을 억제할 수 있는 냉매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제 1 태양에서는, 냉매 증발기는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한다. 냉매 증발기는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피냉각 유체의 일부와 냉매의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1 코어부와,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피냉각 유체의 다른 일부와 냉매의 다른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2 코어부와,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제 1 코어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배치되고, 피냉각 유체의 다른 일부와 냉매의 다른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3 코어부와,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제 2 코어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배치되고, 피냉각 유체의 일부와 냉매의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4 코어부와, 제 1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의 냉매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제 1 코어부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집합부와, 제 2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의 냉매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제 2 코어부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집합부와, 제 3 코어부의 냉매의 상류단에 설치되어, 제 3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에 냉매를 분배하는 제 1 분배부와, 제 4 코어부의 냉매의 상류단에 설치되어, 제 4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에 냉매를 분배하는 제 2 분배부와, 제 1 집합부와 제 2 분배부를 연통하는 제 1 통로 및 제 2 집합부와 제 1 분배부를 연통하는 제 2 통로를 갖는 중간 탱크부를 구비한다. 중간 탱크부는 제 1 분배부를 따라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 2 통로는 중간 탱크부의 연장 설치 방향 단부를 향하여 냉매를 흘리는 스로틀 통로와, 스로틀 통로의 하류에 설치되어,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관하여 스로틀 통로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제 1 분배부와 연통한 단부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분배부는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단부 통로보다도 길고, 단부 통로와 스로틀 통로의 양쪽과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스로틀 통로는 단부 통로의 연장 설치 방향 단부의 벽면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분배부는 단부 통로보다 길고, 제 1 분배부는 단부 통로와 스로틀 통로의 양쪽과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 1 분배부와 단부 통로는 제 1 분배부의 일부에 있어서만 연통해 있으며, 제 1 분배부는 연통부로부터 떨어진 안쪽부(back portion)를 갖고 있다. 스로틀 통로를 흐른 냉매는 단부 통로에서 감속되는 것과 함께, 벽면에서 반전하여 제 1 분배부의 안쪽부를 향하여 흐른다. 이 때문에, 제 1 분배부의 안쪽을 향하여 액상 냉매가 흘려 넣어진다. 이 결과, 제 3 코어부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가 개선된다.
본 개시의 제 2 태양에서는, 스로틀 통로와 단부 통로의 사이에는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관한 단면적을 급격히 확대하는 확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 통로와 제 1 분배부는 확대부의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를 통하여 연통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3 태양에서는, 연통부는 단부 벽면의 근처와 확대부의 근처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도 좋다. 또, 본 개시의 제 4 태양에서는, 연통부의 수는 하나이어도 좋고, 연통부는 단부 벽면의 근처로부터 확대부의 근처까지 연장되는 개구를 가져도 좋다. 본 개시의 제 5 실시 태양에서는, 연통부의 수는 복수이어도 좋고, 복수의 연통부는 단부 벽면의 근처와 확대부의 근처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6 태양에서는, 냉매 증발기는 제 3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의 냉매 흐름 방향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제 3 코어부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집합부로서,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의 단부에 냉매의 출구를 구비하는 출구 집합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7 태양에서는,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관한 단부 통로의 단면적은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관한 제 1 분배부의 단면적보다 커도 좋다.
본 개시의 제 8 태양에서는, 중간 탱크부는 통형상의 부재와,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구획 부재는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에서 통형상의 부재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 통로는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로 방향에 있어서 구획 부재와 중간 탱크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구획 부재는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를 둘레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제 1 통로와 제 2 통로의 스로틀 통로를 제공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9 태양에서는, 구획 부재는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구획 부재는 제 1 통로와 제 2 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가져도 좋고, 구획벽은 통형상의 부재의 벽에 대하여 통형상의 부재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10 태양에서는, 제 1 집합부와 제 2 집합부를 갖는 일련의 집합 탱크부와, 제 1 분배부와 제 2 분배부를 갖는 일련의 분배 탱크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중간 탱크부는 집합 탱크부와 분배 탱크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 탱크부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집합 탱크부 및 분배 탱크부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11 태양에서는, 제 1 증발부 및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제 1 증발부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된 제 2 증발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제 1 증발부는 제 1 코어부 및 제 2 코어부를 갖는 하류측 코어부와, 하류측 코어부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하류측 코어부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하류측 탱크부를 가져도 좋다. 제 2 증발부는 제 3 코어부 및 제 4 코어부를 갖는 상류측 코어부와, 상류측 코어부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상류측 코어부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상류측 탱크부를 가져도 좋다. 한쌍의 하류측 탱크부의 한쪽은 제 1 집합부 및 제 2 집합부를 가져도 좋다. 한쌍의 상류측 탱크부의 한쪽은 제 1 분배부 및 제 2 분배부를 가져도 좋다.
본 개시의 제 12 태양에서는, 냉매 증발기는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냉매 증발기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 1 증발부 및 제 2 증발부와, 제 1 증발부와 제 2 증발부를 연결하는 냉매 전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증발부는 적층되어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복수의 제 1 튜브를 갖는 열교환 코어부와, 복수의 제 1 튜브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접속되어, 복수의 제 1 튜브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탱크부를 갖고 있다.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는 복수의 제 1 튜브 중, 일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1 코어부 및 잔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2 코어부를 갖고 있다. 제 2 증발부는 적층되어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복수의 제 2 튜브를 갖는 열교환 코어부와, 복수의 제 2 튜브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 2 튜브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튜브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탱크부를 갖고 있다.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는 복수의 제 2 튜브 중,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코어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을 갖는 제 3 코어부 및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코어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을 갖는 제 4 코어부를 갖고 있다.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한쪽의 탱크부는 제 1 코어부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집합부, 제 2 코어부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집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한쪽의 탱크부는 제 3 코어부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1 분배부, 제 4 코어부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2 분배부와, 제 1 분배부 및 제 2 분배부를 제 2 튜브의 적층 방향에서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다른쪽의 탱크부는 제 2 튜브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도출구를 포함하고 있다. 냉매 전환부는 제 1 집합부의 냉매를 제 2 분배부에 유도하는 제 1 연통부 및 제 2 집합부의 냉매를 제 1 분배부에 유도하는 제 2 연통부를 갖고 있다. 제 1 연통부는 냉매가 제 2 분배부로 유출되는 제 1 유출구를 갖고 있다. 제 2 연통부는 냉매가 제 1 분배부로 유출되는 제 2 유출구를 갖고 있다. 제 1 유출구는 제 2 튜브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제 2 유출구보다도 냉매 도출구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해 있다. 제 1 유출구는 구획 부재 근처로부터 제 2 튜브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분포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3 태양에서는, 제 1 연통부는 제 1 집합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구를 더 갖고, 제 2 연통부는 제 2 집합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를 더 가져도 좋다. 제 1 연통부 및 제 2 연통부 중,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서는 유출구는 복수의 튜브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에 있어서, 유입구보다도 커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증발부로부터 제 2 증발부로 냉매를 유도하는 제 1 연통부 및 제 2 연통부 중,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출구의 개구폭을 확대하는 것으로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각 튜브와,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출구를 근접한 배치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증발부에 있어서 각 분배부로부터 열교환 코어부로의 액상 냉매의 분배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증발부의 한쪽의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통부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냉매의 분배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피냉각 유체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개시의 제 14 태양에서는, 제 1 연통부 및 제 2 연통부 중,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출구의 개구폭은 제 3 코어부 및 제 4 코어부 중, 유출구에 연통해 있는 코어부의 적층 방향의 폭의 절반 이상이어도 좋다.
본 개시의 제 15 태양에서는, 제 1 연통부 및 제 2 연통부 중,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 있어서, 유입구의 개구 면적은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아도 좋다.
이에 따르면,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의 개구 면적을 냉매의 유출구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게 하는 것으로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측에서의 액상 냉매 등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어서, 제 1 증발부를 통과한 액상 냉매를 제 2 증발부에 적절히 분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코어부 및 제 4 코어부에서는 각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 중, 적층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튜브로 냉매가 흐르기 어려워서, 냉매의 분배성이 악화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제 16 태양에서는, 제 1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출구는 제 4 코어부의 튜브군 중, 적어도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고, 제 2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출구는 제 3 코어부의 튜브군 중, 적어도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각 연통부의 냉매의 유출구가 제 3, 제 4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 중, 적어도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에 대향하도록 개구해 있다. 따라서, 제 3, 제 4 코어부의 적층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튜브에도 냉매가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냉매의 분배성의 악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제 17 태양에서는, 냉매 전환부는 제 1, 제 2 집합부에 입구측 연통 구멍을 통하여 연통하는 것과 함께, 제 1, 제 2 분배부에 출구측 연통 구멍을 통하여 연통하는 중간 탱크부를 갖고, 중간 탱크부의 내부에는 제 1 집합부로부터의 냉매를 제 2 분배부로 유도하는 제 1 냉매 통로와, 제 2 집합부로부터의 냉매를 제 1 분배부로 유도하는 제 2 냉매 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연통부는 제 1 냉매 통로를 갖고, 제 2 연통부는 제 2 냉매 통로를 가져도 좋다.
이와 같이, 냉매 전환부의 연통부가 중간 탱크부를 가지면, 각 증발부의 한쪽의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통부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을 구체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제 18 태양에서는, 냉매 전환부는 제 1 집합부에 연통하는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집합부에 연통하는 제 2 연결 부재와, 제 1 분배부에 연통하는 제 3 연결 부재와, 제 2 분배부에 연통하는 제 4 연결 부재와, 제 1, 제 2 연결 부재 및 제 3, 제 4 연결 부재에 연결된 중간 탱크부를 가져도 좋다. 중간 탱크부는 내부에, 제 1 연결 부재로부터의 냉매를 제 4 연결 부재로 유도하는 제 1 냉매 통로와, 제 2 연결 부재로부터의 냉매를 제 3 연결 부재로 유도하는 제 2 냉매 통로를 가져도 좋고, 제 1 연통부는 제 1 연결 부재, 제 4 연결 부재 및 제 1 냉매 통로를 갖고, 제 2 연통부는 제 2 연결 부재, 제 3 연결 부재 및 제 2 냉매 통로를 가져도 좋다.
이와 같이, 냉매 전환부의 연통부가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 중간 탱크부를 가지면, 각 증발부의 한쪽의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통부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을 구체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증발부에는 제 1 증발부를 통과할 때에 기화한 냉매(기상 냉매)가 흐르는 과열도 영역이 발생하는 것에서,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피냉각 유체의 냉각 성능은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피냉각 유체의 냉각 성능에 비하여 낮아질 염려가 있다. 또한, 과열도 영역에서는 냉매가 피냉각 유체로부터 현열분을 흡열할 뿐이기 때문에 피냉각 유체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제 19 태양에서는, 제 2 증발부는 제 1 증발부보다도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각 증발부의 냉매 증발 온도와 피냉각 유체의 온도차를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피냉각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0 태양에서는, 제 1 유출구의 폭은 제 2 튜브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제 1 유출구와 연통해 있는 제 4 코어부의 폭의 절반 이상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비교예의 냉매 증발기의 냉매 전환부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3b는 제 1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냉매 전환부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의 각 코어부의 복수의 튜브와 제 3, 제 4 연결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간 탱크부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제 1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는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비교예의 냉매 증발기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나타내는 분포와 도 7(b)에 나타내는 분포를 합성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b)는 제 1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나타내는 분포와 도 8(b)에 나타내는 분포를 합성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9(b)는 비교예의 냉매 증발기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 및 중간 탱크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0(b)는 제 1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 및 중간 탱크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냉매 전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제 2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제 3, 제 4 연결 부재를 도 1의 화살표 Y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간 탱크의 분해도이다.
도 13(a)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각 탱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각 탱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각 탱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제 4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각 탱크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 5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 5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7은 제 5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복수의 탱크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 5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공기 상류측의 코어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9는 제 5 실시 형태의 복수의 탱크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5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중간 탱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5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의 구획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 5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 5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가 제공하는 전환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24는 제 5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냉매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제 5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 내의 냉매의 흐름 모델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6은 제 5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제 5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28은 제 5 실시 형태의 전환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모델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제 6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부분적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 6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공기 상류측의 코어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제 7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중간 탱크부가 제공하는 전환부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 8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복수의 탱크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3은 제 8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중간 탱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제 8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제 9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분해도이다.
도 36은 제 9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냉매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제 9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복수의 탱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38은 제 9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제 9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중간 탱크부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0은 제 9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의 전환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모델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1은 비교예의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2는 제 9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제 10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 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는 차실내의 온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에 적용되고, 차실내로 송풍하는 송풍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냉매(액상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으로 송풍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용 열교환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공기가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에 상당한다.
냉동 사이클은 주지와 같이, 냉매 증발기(1a) 이외에, 도시하지 않는 압축기, 방열기(응축기), 팽창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열기와 팽창 밸브의 사이에 수액기를 배치하는 리시버 사이클로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의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냉매 증발기(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후술하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에 있어서의 튜브(111, 211) 및 핀(112, 21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1a)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X)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2개의 증발부(10, 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증발부(10, 20) 중, 송풍 공기의 공기 흐름 방향의 바람 상측(상류측)에 배치되는 증발부를 바람 상측 증발부(10)(제 2 증발부)라 부르고,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의 바람 하측(하류측)에 배치되는 증발부를 바람 하측 증발부(20)(제 1 증발부)라 부른다.
바람 상측 증발부(10) 및 바람 하측 증발부(20)의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고, 각각 열교환 코어부(11, 21)와, 열교환 코어부(11, 21)의 상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탱크부(12, 13, 22, 23)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를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라 부르고,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를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라 부른다. 또,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12, 13) 중, 위쪽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라 부르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라 부른다. 마찬가지로,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22, 23) 중, 위쪽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라 부르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라 부른다.
본 실시 형태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 및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튜브(111, 211)와, 이웃하는 튜브(111, 211)의 사이에 접합되는 핀(112, 212)가 번갈아 적층 배치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복수의 튜브(111, 211) 및 복수의 핀(112, 212)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적층 방향을 튜브 적층 방향이라 부른다.
여기에서,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는 복수의 튜브(111)(제 2 튜브) 중, 일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제 3 코어부) 및 잔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제 4 코어부)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는 튜브 적층 방향의 우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와, 튜브 적층 방향의 좌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는 복수의 튜브(211)(제 1 튜브) 중, 일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제 1 코어부) 및 잔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제 2 코어부)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우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와, 튜브 적층 방향의 좌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 및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1a) 각각이 중합(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과 함께,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 각각이 중합(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튜브(111, 211)로서,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 유통로를 갖는 것과 함께, 그 단면 형상이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편평 형상으로 되는 편평 튜브가 이용되고 있다.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튜브(111)는 세로 방향의 일단측(상단측)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의 타단측(하단측)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튜브(211)는 세로 방향의 일단측(상단측)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의 타단측(하단측)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어 있다.
각 핀(112, 212)은 박판재를 물결상으로 구부려서 성형한 코러게이트 핀이고, 튜브(111, 211)에 있어서의 평탄한 외면측에 접합되어, 송풍 공기와 냉매의 전열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열교환 촉진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튜브(111, 211) 및 핀(112, 212)의 적층체에는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에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보강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13, 2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13, 213)는 튜브 적층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핀(112, 212)에 접합되어 있다.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는 일단측(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좌측단부)이 폐쇄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우측단부)에 탱크 내부로부터 압축기(도시 생략)의 흡입측에 냉매를 도출하기 위한 냉매 도출구(12a)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는 저부에 각 튜브(111)의 일단측(상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는, 그 내부 공간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튜브(111)에 연통해 있으며,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냉매 집합부로서 기능한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는 일단측이 폐쇄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에 탱크 내부에 팽창 밸브(도시 생략)로 감압된 저압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구(22a)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는 저부에 각 튜브(211)의 일단측(상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는, 그 내부 공간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각 튜브(211)에 연통해 있으며,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각 코어부(21a, 21b)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부로서 기능한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는 천정부에 각 튜브(111)의 타단측(하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는, 그 내부 공간이 각 튜브(111)에 연통해 있다.
또,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구획 부재(1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구획 부재(131)에 의하여 탱크 내부 공간이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의 각 튜브(111)가 연통하는 공간과,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의 각 튜브(111)가 연통하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내부 중,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의 각 튜브(111)에 연통하는 공간이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에 냉매를 분배하는 제 1 분배부(13a)로서 이용되고,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의 각 튜브(111)에 연통하는 공간이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에 냉매를 분배하는 제 2 분배부(13b)로서 이용된다.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는 천정부에 각 튜브(211)의 타단측(하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는, 그 내부 공간이 각 튜브(211)에 연통해 있다.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구획 부재(2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구획 부재(211)가 연통하는 공간과,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의 각 튜브(211)가 연통하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내부 중,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의 각 튜브(211)에 연통하는 공간이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집합부(23a)로서 이용되고,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의 각 튜브(211)가 연통하는 공간이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집합부(23b)로서 이용된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 각각은 냉매 전환부(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냉매 전환부(30)는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있어서의 제 1 집합부(23a) 내의 냉매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있어서의 제 2 분배부(13b)로 유도하는 것과 함께,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있어서의 제 2 집합부(23b) 내의 냉매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있어서의 제 1 분배부(13a)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냉매 전환부(30)는 냉매의 흐름을 각 열교환 코어부(11, 21)에서 코어 폭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전환부(30)는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있어서의 제 1, 제 2 집합부(23a, 23b)에 연결된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있어서의 각 분배부(13a, 13b)에 연결된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와,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및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각각에 연결된 중간 탱크부(33)를 갖고 있다.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은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통로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으며, 그 일단측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이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중, 한쪽이 제 1 연결 부재(31a)(제 1 집합부 연결 부재)이다. 제 1 연결 부재(31a)는 일단측이 제 1 집합부(23a)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1 냉매 통로(33a)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중, 다른쪽이 제 2 연결 부재(31b)(제 2 집합부 연결 부재)이다. 제 2 연결 부재(31b)는 일단측이 제 2 집합부(23b)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2 냉매 통로(33b)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연결 부재(31a)의 일단측이 제 1 집합부(23a) 중, 구획 부재(231)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고, 제 2 연결 부재(31b)의 일단측이 제 2 집합부(23b) 중,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폐쇄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은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유통로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으며, 그 일단측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이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중, 한쪽이 제 3 연결부(32a)(제 1 분배부 연결 부재)이다. 제 3 연결 부재(32a)는 일단측이 제 1 분배부(13a)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2 냉매 통로(33b)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3 연결 부재(32a)는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통로(33b)를 통하여 상기의 제 2 연결 부재(31b)와 연통해 있다.
또,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중, 다른쪽이 제 4 연결 부재(32b)(제 2 분배부 연결 부재)이다. 제 4 연결 부재(32b)는 일단측이 제 2 분배부(13b)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1 냉매 통로(33a)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4 연결 부재(32b)는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통로(33a)를 통하여 상기의 제 1 연결 부재(31a)와 연통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연결 부재(32a)의 일단측이 제 1 분배부(13a) 중,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폐쇄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고, 제 4 연결 부재(32b)의 일단측이 제 2 분배부(13b) 중, 구획 부재(131)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은 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의 일례로서 이용되고,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은 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출구의 일례로서 이용되고 있다.
우선,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 각각에서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1′, Lb2′)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1′, La2′)과 같은 치수로 된다(La1′= La2′=Lb1′=Lb2′).
이에 대하여,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 각각에서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1, Lb2)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1, La2)보다도 커진다. 즉, 제 3 연결 부재(32a)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1)은 제 1 연결 부재(32a)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1)보다도 커지고(Lb1>La1), 제 4 연결 부재(32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2)은 제 2 연결 부재(31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2)보다도 커진다(Lb2>La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a1=La2<La1′=La2′, Lb1=Lb2>Lb1′= Lb2′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1, Lb2)은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 중, 연결된 측의 코어부에 있어서의 코어폭(튜브 적층 방향의 폭)(Lc3, Lc4)의 절반 이상으로 된다. 즉, 제 3 연결 부재(32a)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1)은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의 코어폭(Lc3)의 절반 이상으로 된다(Lb1≥ Lc3/2). 그리고 제 4 연결 부재(32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b2)은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의 코어폭(Lc4)의 절반 이상으로 된다(Lb2≥Lc4/2).
한편,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1, La2)은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각 코어부(21a, 21b) 중, 연결된 측의 코어부에 있어서의 코어폭(튜브 적층 방향의 폭)(Lc1, Lc2)의 절반 미만으로 된다. 즉, 제 1 연결 부재(31a)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1)은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의 코어폭(Lc1)의 절반 미만으로 되고(La1<Lc1/2), 제 2 연결 부재(31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a2)은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의 코어폭(Lc2)의 절반 미만으로 된다(La2<Lc2/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c1=Lc2=Lc3=Lc4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의 단면적(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의 단면적)은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단면적(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출구)보다도 작아져 있다.
여기에서,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 있어서의 각 코어부(11a, 11b)에서는 각 코어부(11a, 11b)의 복수의 튜브(111) 중, 적층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튜브로 냉매가 흐르기 어려워서, 냉매의 분배성이 나쁘다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에서는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1 분배부(13a)에 있어서의 폐쇄된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11) 및 구획 부재(131)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11)에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에서는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분배부(13b)에 있어서의 폐쇄된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11) 및 구획 부재(131)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11)에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는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의 복수의 튜브(111)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도록 개구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연결 부재(32a)에 대해서는, 그 개구부가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의 복수의 튜브(111)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제 1 분배부(13a) 중,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폐쇄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해 있다. 한편, 제 4 연결 부재(32b)에 대해서는,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의 복수의 튜브(111)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제 2 분배부(13b) 중, 구획 부재(131)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해 있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의 복수의 튜브(111)와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중간 탱크부(3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이 중간 탱크부(33)는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33)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그 일부(위쪽의 부위)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와 중합하고, 타부(아래쪽의 부위)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와 중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탱크부(33)의 일부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와 중합하지 않도록 배치하면,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 바람 상측 증발부(10) 및 바람 하측 증발부(20)를 근접한 배치 형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탱크부(3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냉매 증발기(1a)의 체격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탱크부(33)의 내부에는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에 구획 부재(3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구획 부재(331)에 의하여 탱크 내부의 공간이 제 1 냉매 통로(33a)와 제 2 냉매 통로(33b)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냉매 통로(33a)는 제 1 연결 부재(31a)로부터의 냉매를 제 4 연결 부재(32b)로 유도하는 냉매 유통로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제 2 냉매 통로(33b)는 제 2 연결 부재(31b)로부터의 냉매를 제 3 연결 부재(32a)로 유도하는 냉매 유통로로서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연결 부재(31a), 제 4 연결 부재(32b),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1 냉매 통로(33a)가 제 1 집합부(23a)의 냉매를 제 2 분배부(13b)로 유도하는 제 1 연통부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 1 연결 부재(31a)가 제 1 연통부의 유입구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제 4 연결 부재(32b)가 제 1 연통부의 제 1 유출구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 제 2 연결 부재(31b), 제 3 연결 부재(32a),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2 냉매 통로(33b)가 제 2 집합부(23b)의 냉매를 제 1 분배부(13a)로 유도하는 제 2 연통부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 2 연결 부재(31b)가 제 2 연통부의 유입구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제 3 연결 부재(32a)가 제 2 연통부의 제 2 유출구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밸브(도시 생략)로 감압된 저압 냉매는 화살표 A와 같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일단측에 설치된 냉매 도입구(22a)로부터 탱크 내부에 도입된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부에 도입된 냉매는 화살표 B와 같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를 하강하는 것과 함께, 화살표 C와 같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를 하강한다.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를 하강한 냉매는 화살표 D와 같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1 집합부(23a)에 유입된다. 한편,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를 하강한 냉매는 화살표 E와 같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2 집합부(23b)에 유입된다.
제 1 집합부(23a)에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F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31a)를 통하여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통로(33a)에 유입된다. 또, 제 2 집합부(23b)에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G와 같이 제 2 연결 부재(31b)를 통하여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통로(33b)에 유입된다.
제 1 냉매 통로(33a)에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H와 같이 제 4 연결 부재(32b)를 통하여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분배부(13b)에 유입된다. 또, 제 2 냉매 통로(33b)에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I와 같이 제 3 연결 부재(32a)를 통하여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1 분배부(13a)에 유입된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분배부(13b)에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J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를 상승한다. 한편, 제 1 분배부(13a)에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K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를 상승한다.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를 상승한 냉매 및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를 상승한 냉매는 각각 화살표 L, M과 같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탱크 내부에 유입되고, 화살표 N과 같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일단측에 설치된 냉매 도출구(12a)로부터 압축기(도시 생략) 흡입측으로 도출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는 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각 연통부의 냉매의 유출구의 일례로서 이용되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이 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각 연통부의 냉매의 유입구의 일례로서 이용되는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보다도 커져 있다(도 3b 참조).
이 때문에,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각 분배부(13a, 13b)에 있어서,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의 각 튜브(111)와,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에 있어서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접속 부분을 튜브 적층 방향에 근접한 배치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각 분배부(13a, 13b)로부터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로의 액상 냉매의 분배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송풍 공기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7(a) 내지 도 7(c)는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도 3a에 나타내는 냉매 전환부(30)를 구비하는 냉매 증발기)의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의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냉매 증발기(1a)를 도 1의 화살표 Y방향(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의 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 중의 망점(hatched) 부분으로 나타내는 곳이 액상 냉매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우선,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7(b) 및 도 8(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 동일하고, 각각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에 있어서의 일부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 오른쪽 아래쪽의 공동(hollow) 부분)이 발생한다.
한편,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바람 상측 코어부(11a, 11b)에서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가 설치된 측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쉽고,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워져 있다.
그리고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일부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 우측의 공동 부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액상 냉매가 분포하는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는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에서 냉매가 송풍 공기로부터 현열분을 흡열하는 것만으로 송풍 공기를 충분히 냉각할 수 없다. 이 결과, 냉매 증발기(1a)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해 버리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바람 상측 코어부(11a, 11b)에서는 튜브 적층 방향으로 균등하게 액상 냉매가 흐르기 쉬워져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로의 액상 냉매의 분배의 편중이 억제되게 된다.
그리고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에 액상 냉매가 흐른다.
이와 같이, 액상 냉매가 분포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냉매가 송풍 공기로부터 현열 및 잠열을 흡열하기 때문에 송풍 공기를 충분히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냉매 증발기(1a)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을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 중, 연결된 측의 코어부에 있어서의 코어폭(튜브 적층 방향의 폭)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각 분배부(13a, 13b)로부터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로의 냉매의 분배의 편중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9는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도 3a에 나타내는 냉매 전환부(30)를 구비하는 냉매 증발기)의 중간 탱크부(33)를 흐르는 냉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간 탱크부(33)를 흐르는 냉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는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의 단면적(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의 단면적)이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단면적(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출구)보다도 작아져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개구 면적(개구폭(La1, La2))이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의 제 1, 제 2 연결 부재의 개구 면적(개구폭(La1′, La2′))보다도 작아져 있다.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는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개구 면적(개구폭(La1’, La2’))이 큰 것에서,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로부터 중간 탱크부(33)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속이 느려서, 중간 탱크부(33)에 액상 냉매나 오일 등이 체류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에서는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개구 면적(개구폭(La1, La2))을 작게 하고 있으며,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로부터 중간 탱크부(33)에 유입되는 냉매의 유속이 빠르고, 그 유속에 의하여 중간 탱크부(33)에 유입되는 액상 냉매나 오일 등이 교반되기 때문에 중간 탱크부(33)에 액상 냉매나 오일 등이 체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바람 상측 증발부(10)에는 바람 하측 증발부(20)를 통과했을 때에 기화한 냉매(기상 냉매)가 흐르는 과열도 영역(슈퍼 히트 영역)이 발생하는 것에서,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송풍 공기의 냉각 성능이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송풍 공기의 냉각 성능에 비하여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과열도 영역에서는 냉매가 송풍 공기로부터 현열분을 흡열할 뿐이기 때문에 송풍 공기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1a)에서는 바람 상측 증발부(10)를 바람 하측 증발부(20)보다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의 상류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증발부(10, 20)의 냉매 증발 온도와 송풍 공기의 온도차를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송풍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가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 있어서의 각 코어부(11a, 11b)의 복수의 튜브(111)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도록 개구해 있기 때문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 있어서의 각 코어부(11a, 11b)의 적층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튜브로도 냉매가 흐르기 쉬워져 있다. 이 결과, 냉매의 분배성의 악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구성이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의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는 복수의 연결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연결부)를 갖고 있다. 복수의 연결부 각각은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통로를 구비하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으며, 그 일단측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이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는 복수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개구폭(=k)의 전체폭(=Ld)이 각 바람 상측 코어부(11a, 11b)의 코어폭(L)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L/2≤Ld).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를 갖는 복수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개구폭의 전체폭이 각 바람 상측 코어부(11a, 11b)의 코어폭(L)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각 분배부(13a, 13b)로부터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로의 냉매의 분배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전환부(30)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개구폭이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의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a)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 중,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로의 액상 냉매의 분배성이 나쁘고,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이 발생한다(도 7(c) 참조).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에 연결된 제 4 연결 부재(32b)의 튜브 적층 방향의 개구폭(Lb2)을 제 3 연결 부재(32a)의 개구폭(Lb1)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중간 탱크부(33)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제 2 분배부(13b)로부터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로의 냉매의 분배의 편중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각 열교환 코어부(11, 21) 중, 액상 냉매의 분포의 편중이 발생하기 쉬운 열교환 코어부(11, 21)에 연결된 제 3, 제 4 연결 부재의 개구폭을 다른 쪽보다도 길게 하면, 냉매의 분배의 편중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송풍 공기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 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전환부(30)의 구성이 제 1∼제 3 실시 형태와 상이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제 3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의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냉매 전환부(30)에 대해서는, 도 13,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각 탱크부(13, 23, 33)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단면도)이다.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매 전환부(30)는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및 중간 탱크부(33)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전환부(30)는 연결 부재(31a, 31b, 32a, 32b)를 갖고 있지 않고, 중간 탱크부(33)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33)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 각각에 대하여 직접 접합되어 있으며, 그 접합부에 입구측 연통 구멍(332) 및 출구측 연통 구멍(3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 및 중간 탱크부(33)는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평탄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평탄면끼리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의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중간 탱크부(33)는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평탄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평탄면끼리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전환부(30)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입구측 연통 구멍(332)은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1 집합부(23a)와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통로(33a)를 연통시키는 제 1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a)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2 집합부(23b)와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통로(33b)를 연통시키는 제 2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b)를 갖고 있다.
또, 출구측 연통 구멍(333)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1 분배부(13a)와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통로(33b)를 연통시키는 제 1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a) 및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분배부(13b)와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통로(33a)를 연통시키는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33)는 입구측 연통 구멍(332)의 제 1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a)를 통하여 제 1 집합부(23a)에 연통하는 것과 함께, 출구측 연통 구멍(333)의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를 통하여 제 2 분배부(13b)에 연통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33)는 입구측 연통 구멍(332)의 제 2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b)를 통하여 제 2 집합부(23b)에 연통하는 것과 함께, 출구측 연통 구멍(333)의 제 1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a)를 통하여 제 1 분배부(13a)에 연통해 있다.
그리고 출구측 연통 구멍(333)의 각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a, 333b)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이 입구측 연통 구멍(332)의 각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a, 332b)보다도 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구측 연통 구멍(333)의 각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a, 333b)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 중, 연결된 측의 코어부에 있어서의 코어폭(튜브 적층 방향의 폭)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각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a, 333b)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 있어서의 각 코어부(11a, 11b)의 복수의 튜브(111)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도록 개구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1 냉매 통로(33a)가 제 1 연통부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2 냉매 통로(33b)가 제 2 연통부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1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a)가 제 1 연통부의 유입구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가 제 1 연통부의 제 1 유출구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2 입구측 연통 구멍부(332b)가 제 2 연통부의 냉매 유입구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고, 제 1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a)가 제 2 연통부의 제 2 유출구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매 전환부(30)의 연통부로서 중간 탱크부(33)에 설치된 각 냉매 통로(33a, 33b)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증발부(10, 20)의 한쪽의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통부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을 구체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제 1∼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그들로부터 용이하게 치환할 수 있는 범위에도, 또한 당업자가 통상 갖는 지식에 기초하는 개량을 적절히 부가할 수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상기의 제 1∼4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보다도 커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매 전환부(30)에 있어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 중, 한쪽의 연결 부재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중, 대응하는 연결 부재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보다도 커져도 좋다.
상기의 제 1∼4 실시 형태와 같이,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튜브 적층 방향의 개구폭을, 연결되는 각 바람 상측 코어부(11a, 11b)의 코어폭의 절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보다도 커져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보다도 커져 있으면,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의 단면적이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의 단면적보다도 커져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의 제 1∼제 3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전환부(30)는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및 중간 탱크부(33)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냉매 전환부(30)의 중간 탱크부(33)를 없애고, 각 연결 부재(31a, 31b, 32a, 32b)끼리를 직접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제 1∼4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증발기(1a)로서,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 및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가 중합하도록 배치되는 것과 함께,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가 중합하도록 배치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매 증발기(1a)로서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코어부(11a) 및 제 1 바람 하측 코어부(21a)의 적어도 일부가 중합하도록 배치하거나, 제 2 바람 상측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코어부(21b)의 적어도 일부가 중합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상기의 제 1∼4 실시 형태와 같이, 냉매 증발기(1a)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증발부(10)를 바람 하측 증발부(20)보다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람 상측 증발부(10)를 바람 하측 증발부(20)보다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제 1∼4 실시 형태에서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는 복수의 튜브(111, 211)와 핀(112, 212)을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는 복수의 튜브(111, 211)만을 가져도 좋다. 또, 각 열교환 코어부(11, 21)가 복수의 튜브(111, 211)와 핀(112, 212)을 갖는 경우, 핀(112, 212)은 코러게이트 핀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핀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의 제 1∼4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증발기(1a)를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급탕기 등에 이용되는 냉동 사이클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제 1∼4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유출구의 일례로서 이용되는 제 4 연통부(32b) 및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의 일단측은 구획 부재(131)의 근처에 위치해 있다. 즉, 제 4 연통부(32b) 및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는 구획 부재(131)의 근처로부터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4 연통부(32b) 또는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는 제 3 코어부(11a)보다도 냉매 도출구(12a)로부터 먼 제 4 코어부(11b)와 연통해 있다. 제 4 연통부(32b) 또는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가 구획 부재(131)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 4 코어부 내에서 냉매의 분포에 편중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제 1∼4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4 연통부(32b) 및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의 일단측을 구획 부재(131)의 근처에 위치시킴으로써 제 4 코어부(11b)에 있어서의 냉매의 분포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연통부(32b) 및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의 폭은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제 4 코어부(11b)의 폭의 절반 이상이어도 좋다. 또, 제 4 연통부(32b) 및 제 2 출구측 연통 구멍부(333b)의 일단측은 구획 부재(131)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없도록 인접해도 좋다.
(제 5 실시 형태)
도 15―도 28을 참조하여 제 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냉매 증발기(1b)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냉매 증발기(1b)는 실내를 향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용 열교환기이다. 냉매 증발기(1b)는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의 저압측 열교환기이다. 냉매 증발기(1b)는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냉매, 즉, 액상 냉매를 증발시킨다. 실내를 향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냉매 증발기(1b)의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이다.
냉매 증발기(1b)는 냉동 사이클의 구성 부품의 하나이다. 냉동 사이클은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기 등의 구성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은 방열기와 팽창기의 사이에 수액기를 갖는 리시버 사이클이다.
도 15에 있어서, 냉매 증발기(1b)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냉매 증발기(1b)의 복수의 구성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에는 각 코어부(1011, 1021)에 있어서의 튜브(1011c, 1021c) 및 핀(1011d, 1021d)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냉매 증발기(1b)는 2개의 증발부(1010, 1020)를 구비한다. 2개의 증발부(1010, 1020)는 공기의 흐름 방향, 즉,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X)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 흐름 방향(X)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증발부(1010)는 공기 상류 증발부(1010)라고도 불린다. 이하, 공기 상류 증발부(1010)를 AU증발부(1010)라 부른다. 공기 흐름 방향(X)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증발부(1020)는 공기 하류 증발부(1020)라고도 불린다. 이하, 공기 하류 증발부(1020)를 AD증발부(1020)라 부른다. 2개의 증발부(1010, 1020)는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해서도 상류측과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냉매는 AD증발부(1020)를 흐른 후에 AU증발부(1010)를 흐른다.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본 경우, AD증발부(1020)는 제 1 증발부라 불리고, AU증발부(1010)는 제 2 증발부라 불린다. 냉매 증발기(1b)는 전체적으로 냉매의 흐름 방향과 공기의 흐름 방향이 대향하는 대향류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AU증발부(1010) 및 AD증발부(1020)의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다. AU증발부(1010)는 열교환을 위한 코어부(1011)(상류측 코어부)와, 코어부(1011)의 양단에 배치된 한쌍의 탱크부(1012, 1013)(한쌍의 상류측 탱크부)를 갖는다. AD증발부(1020)는 열교환을 위한 코어부(1021)(하류측 코어부)와, 코어부(1021)의 양단에 배치된 한쌍의 탱크부(1022, 1023)(한쌍의 하류측 탱크부)를 갖는다.
AU증발부(1010)에 있어서의 코어부(1011)는 AU코어부(1011)라 불린다. AD증발부(1020)에 있어서의 코어부(1021)는 AD코어부(1021)라 불린다. AU증발부(1010)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1012, 1013)는 위쪽에 배치되는 제 1 AU탱크부(1012)와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 2 AU탱크부(1013)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AD증발부(1020)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1022, 1023)는 위쪽에 배치되는 제 1 AD탱크부(1022)와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 2 AD탱크부(1023)를 구비한다.
AU코어부(1011) 및 AD코어부(1021)는 복수의 튜브(1011c, 1021c)와 복수의 핀(1011d, 1021d)을 구비한다. AU코어부(1011) 및 AD코어부(1021)는 복수의 튜브(1011c, 1021c)와 복수의 핀(1011d, 1021d)이 번갈아 적층 배치된 적층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튜브(1011c)는 한쌍의 탱크부(1012, 1013)의 사이를 연통한다. 복수의 튜브(1021c)는 한쌍의 탱크부(1022, 1023)의 사이를 연통한다. 복수의 튜브(1011c, 1021c)는 도면 중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핀(1011d, 1021d)은 이웃하는 튜브(1011c, 1021c)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에 접합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적층체에 있어서의 복수의 튜브(1011c, 1021c) 및 복수의 핀(1011d, 1021d)의 적층 방향을 튜브 적층 방향이라 부른다.
AU코어부(1011)는 제 1 AU코어부(1011a)(제 3 코어부) 및 제 2 AU코어부(1011b)(제 4 코어부)를 갖고 있다. 제 1 AU코어부(1011a)는 복수의 튜브(1011c)의 일부를 갖는다. 제 1 AU코어부(1011a)는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된 일군의 튜브(1011c)를 갖고 있다. 제 2 AU코어부(1011b)는 복수의 튜브(1011c)의 잔부를 갖는다. 제 2 AU코어부(1011b)는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된 일군의 튜브(1011c)를 갖고 있다. 제 1 AU코어부(1011a)와 제 2 AU코어부(1011b)는 튜브 적층 방향으로 나열해 있다. 제 1 AU코어부(1011a)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우측에 배치된 튜브군을 갖고 있다. 제 2 AU코어부(1011b)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좌측에 배치된 튜브군을 갖고 있다. 제 1 AU코어부(1011a)는 제 2 AU코어부(1011b)보다 제 1 AU탱크부(1012)의 냉매 출구(1012a)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AU탱크부(1012)는 냉매 증발기(1b)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최후의 집합용의 탱크이다. 제 1 AU탱크부(1012)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복수의 튜브(1011c)의 냉매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제 1 AU코어부(1011a)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집합부이다. 제 1 AU탱크부(1012)(출구 집합부)는 후술하는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의 단부에 냉매의 출구(1012a)를 구비하는 출구 집합부의 일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AD코어부(1021)는 제 1 AD코어부(1021a)(제 1 코어부) 및 제 2 AD코어부(1021b)(제 2 코어부)를 갖고 있다. 제 1 AD코어부(1021a)는 복수의 튜브(1021c)의 일부를 갖는다. 제 1 AD코어부(1021a)는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된 일군의 튜브(1021c)를 갖고 있다. 제 2 AD코어부(1021b)는 복수의 튜브(1021c)의 잔부를 갖는다. 제 2 AD코어부(1021b)는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된 일군의 튜브(1021c)를 갖고 있다. 제 1 AD코어부(1021a)와 제 2 AD코어부(1021b)는 튜브 적층 방향으로 나열해 있다. 제 1 AD코어부(1021a)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우측에 배치된 튜브군을 갖고 있다. 제 2 AD코어부(1021b)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좌측에 배치된 튜브군을 갖고 있다. 제 1 AD코어부(1021a)는 제 2 AD코어부(1021b)보다 탱크부(1022)의 냉매 입구(1022a)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부(1022)는 냉매 증발기(1b)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최초의 분배용의 탱크이다.
제 1 AD코어부(1021a)는 제 1 코어부라 불린다. 제 2 AD코어부(1021b)는 제 2 코어부라 불린다. 제 1 AU코어부(1011a)는 제 3 코어부라 불린다. 제 2 AU코어부(1011b)는 제 4 코어부라 불린다.
제 1 AU코어부(1011a) 및 제 1 AD코어부(1021a)는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서로 중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AU코어부(1011a) 및 제 1 AD코어부(1021a)는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대향해 있다. 제 2 AU코어부(1011b) 및 제 2 AD코어부(1021b)는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서로 중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AU코어부(1011b) 및 제 2 AD코어부(1021b)는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대향해 있다.
복수의 튜브(1011c, 1021c)의 각각은 내부에 냉매를 흘리기 위한 통로를 구획 형성한다. 복수의 튜브(1011c, 1021c)의 각각은 편평 튜브이다. 복수의 튜브(1011c, 1021c)의 각각은 편평한 단면이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AU코어부(1011)의 튜브(1011c)는 세로 방향의 일단, 즉, 상단이 제 1 AU탱크부(1012)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의 타단, 즉, 하단이 제 2 AU탱크부(1013)에 접속되어 있다. 또, AD코어부(1021)의 튜브(1021c)는 세로 방향의 일단, 즉, 상단이 제 1 AD탱크부(1022)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의 타단, 즉, 하단이 제 2 AD탱크부(1023)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핀(1011d, 1021d)의 각각은 코러게이트 핀이다. 복수의 핀(1011d, 1021d)의 각각은 박판재를 물결상으로 구부려서 성형되어 있다. 복수의 핀(1011d, 1021d)의 각각은 튜브(1011c, 1021c)에 있어서의 평탄한 외면에 접합되고, 공기와의 전열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열교환 촉진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튜브(1011c, 1021c) 및 핀(1011d, 1021d)의 적층체에는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에 각 코어부(1011, 1021)를 보강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011e, 1021e)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011e, 1021e)는 튜브 적층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핀(1011d, 1021d)에 접합되어 있다.
제 1 AU탱크부(1012)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제 1 AU탱크부(1012)는 일단, 즉,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본 좌단이 폐쇄되어 있다. 제 1 AU탱크부(1012)는 타단, 즉,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본 우단에 냉매 출구(1012a)를 갖는다. 냉매 출구(1012a)는 탱크 내부로부터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의 흡입측에 냉매를 도출한다. 제 1 AU탱크부(1012)의 도면 중의 저부에는 복수의 튜브(1011c)의 일단이 삽입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AU탱크부(1012)는, 그 내부 공간이 AU코어부(1011)의 복수의 튜브(1011c)에 연통해 있다. 제 1 AU탱크부(1012)는 AU코어부(1011)의 복수의 튜브(1011c)로부터 냉매를 모으기 위한 집합부로서 기능한다.
제 1 AD탱크부(1022)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제 1 AD탱크부(1022)는 일단이 폐쇄되어 있다. 제 1 AD탱크부(1022)는 타단에 냉매 입구(1022a)를 갖는다. 냉매 입구(1022a)는 도시되지 않는 팽창 밸브로 감압된 저압 냉매를 도입한다. 제 1 AD탱크부(1022)의 도면 중의 저부에는 복수의 튜브(1021c)의 일단이 삽입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AD탱크부(1022)는, 그 내부 공간이 AD코어부(1021)의 복수의 튜브(1021c)에 연통해 있다. 제 1 AD탱크부(1022)는 AD코어부(1021)의 복수의 튜브(1021c)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로서 기능한다.
제 2 AU탱크부(1013)는 양단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제 2 AU탱크부(1013)의 천정부에는 복수의 튜브(1011c)의 타단이 삽입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AU탱크부(1013)는, 그 내부 공간이 복수의 튜브(1011c)에 연통해 있다. 제 2 AU탱크부(1013)는 AU코어부(1011)의 복수의 튜브(1011c)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로서 기능한다.
제 2 AU탱크부(1013)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구획 부재(1013c)가 배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1013c)는 제 2 AU탱크부(1013)의 내부 공간을 제 1 분배부(1013a)와 제 2 분배부(1013b)로 구획한다. 제 1 분배부(1013a)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복수의 튜브(1011c)에 연통하는 공간이다. 제 1 분배부(1013a)는 제 1 AU코어부(1011a)에 냉매를 공급한다. 제 1 분배부(1013a)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복수의 튜브(1011c)에 냉매를 분배한다. 제 2 분배부(1013b)는 제 2 AU코어부(1011b)의 복수의 튜브(1011c)에 연통하는 공간이다. 제 2 분배부(1013b)는 제 2 AU코어부(1011b)에 냉매를 공급한다. 제 2 분배부(1013b)는 제 2 AU코어부(1011b)의 복수의 튜브(1011c)에 냉매를 분배한다. 따라서, 제 1 분배부(1013a)와 제 2 분배부(1013b)는 일련의 분배 탱크부(1013)를 구성한다.
제 2 AD탱크부(102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제 2 AD탱크부(1023)의 천정부에는 복수의 튜브(1021c)의 타단이 삽입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AD탱크부(1023)는, 그 내부 공간이 복수의 튜브(1021c)에 연통해 있다.
제 2 AD탱크부(1023)(집합 탱크부)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구획 부재(1023c)가 배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1023c)는 제 2 AD탱크부(1023)의 내부 공간을 제 1 집합부(1023a)와 제 2 집합부(1023b)로 구획한다. 제 1 집합부(1023a)는 제 1 AD코어부(1021a)의 복수의 튜브(1021c)로부터 냉매를 모은다. 제 2 집합부(1023b)는 제 2 AD코어부(1021b)의 복수의 튜브(1021c)에 연통하는 공간이다. 제 2 집합부(1023b)는 제 2 AD코어부(1021b)의 복수의 튜브(1021c)로부터 냉매를 모은다. 제 2 AD탱크부(1023)는 제 1 AD코어부(1021a)의 냉매와 제 2 AD코어부(1021b)의 냉매를 따로 따로 모으는 집합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1 집합부(1023a)와 제 2 집합부(1023b)는 일련의 집합 탱크부(1023)를 구성한다.
제 2 AU탱크부(1013)와 제 2 AD탱크부(1023)의 사이는 전환부(10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전환부(1030)는 제 2 AD탱크부(1023)에 있어서의 제 1 집합부(1023a) 내의 냉매를 제 2 AU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2 분배부(1013b)로 유도한다. 전환부(1030)는 제 2 AD탱크부(1023)에 있어서의 제 2 집합부(1023b) 내의 냉매를 제 2 AU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1 분배부(1013a)로 유도한다.
즉, 전환부(1030)는 AD코어부(1021)의 일부를 흐른 냉매가 AU코어부(1011)의 타부를 흐르도록 냉매의 흐름을 전환한다. 상기 AD코어부(1021)의 일부와 AU코어부(1011)의 타부는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중복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전환부(1030)는 제 2 AD탱크부(1023)로부터 제 2 AU탱크부(1013)로 향하는 냉매를 공기의 흐름 방향(X)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전환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환부(1030)는 냉매의 흐름을 코어부(1011)와 코어부(1021)의 사이에서 코어 폭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전환부(1030)는 제 1 AD코어부(1021a)를 흐른 냉매를 제 2 AU코어부(1011b)에 안내하는 제 1 연통로와, 제 2 AD코어부(1021b)를 흐른 냉매를 제 1 AU코어부(1011a)에 안내하는 제 2 연통로를 제공한다.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는 교차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부(1030)는 한쌍의 연결 부재(1031a, 1031b)와, 한쌍의 연결 부재(1032a, 1032b)와, 중간 탱크부(1033)를 구비한다.
제 1 연결 부재(1031a)(제 1 집합 연통부), 제 2 연결 부재(1031b)(제 2 집합 연통부)의 각각은 제 2 AD탱크부(1023)에 있어서의 제 1 집합부(1023a)와 제 2 집합부(1023b)에 연통해 있다.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는 각각 내부에 냉매가 유통하는 통로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에 의하여 제공되어 있다.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는 각각, 그 일단이 제 2 AD탱크부(102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이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연결 부재(1031a)의 일단은 제 2 AD탱크부(1023)에 있어서의 제 1 집합부(1023a)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연결 부재(1031a)는, 그 일단에서 제 1 집합부(1023a)에 연통한다. 제 1 연결 부재(1031a)의 타단은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연결 부재(1031a)는, 그 타단에서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1033) 내의 제 1 통로(1033a)에 연통한다.
제 2 연결 부재(1031b)의 일단은 제 2 AD탱크부(1023)에 있어서의 제 2 집합부(1023b)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는, 그 일단에서 제 2 집합부(1023b)에 연통한다. 제 2 연결 부재(1031b)의 타단은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는, 그 타단에서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1033) 내의 제 2 통로(1033b)에 연통한다.
제 1 연결 부재(1031a)의 일단은 제 1 집합부(1023a)의 외주 벽면 상으로서, 제 1 집합부(1023a)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만 연통해 있다. 제 1 연결 부재(1031a)는 구획 부재(1023c)의 근처에만 연통해 있다. 제 1 연결 부재(1031a)의 일단은 제 1 집합부(1023a) 중, 제 2 AD탱크부(1023)의 단부보다도 구획 부재(1023c)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연통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의 일단은 제 2 집합부(1023b)의 외주 벽면 상으로서, 제 2 집합부(1023b)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만 연통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는 제 2 AD탱크부(1023)의 단부 근처에만 연통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의 일단은 제 2 집합부(1023b) 중, 구획 부재(1023c)보다도 제 2 AD탱크부(1023)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연통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제 1 분배부 연통부), 제 4 연결 부재(1032b)(제 2 분배부 연통부)의 각각은 제 2 AU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1 분배부(1013a)와 제 2 분배부(1013b)에 연통해 있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는 각각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는 통로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에 의하여 제공되어 있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는 각각, 그 일단이 제 2 AU탱크부(101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이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는 각각 제 2 AU탱크부(1013)와의 연통부와, 중간 탱크부(1033)와의 연통부의 양쪽에 있어서, 튜브 적층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슬릿상의 개구를 갖는다.
제 3 연결 부재(1032a)(연통부)는 제 2AU 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1 분배부(1013a)에 연결되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는 제 2 AU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2 분배부(1013b)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의 일단은 제 2 AU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1 분배부(1013a)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그 일단에서 제 1 분배부(1013a)에 연통한다. 제 3 연결 부재(1032a)의 타단은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그 타단에서 중간 탱크부(1033) 내의 제 2 통로(1033b)에 연통한다. 즉, 제 3 연결 부재(1032a)는 제 2 통로(1033b)를 통하여 제 2 연결 부재(1031b)와 연통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의 일단은 제 2 AU탱크부(1013)에 있어서의 제 2 분배부(1013b)에 연결되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는, 그 일단에서 제 2 분배부(1013b)에 연통한다. 제 4 연결 부재(1032b)의 타단은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는, 그 타단에서 중간 탱크부(1033) 내의 제 1 통로(1033a)에 연통한다. 즉, 제 4 연결 부재(1032b)는 제 1 통로(1033a)를 통하여 제 1 연결 부재(1031a)와 연통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의 일단은 제 1 분배부(1013a)의 외주 벽면 상으로서, 제 1 분배부(1013a)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 치우쳐서 연통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제 2 AU탱크부(1013)의 단부에만 연통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의 일단은 제 1 분배부(1013b) 중, 구획 부재(1013c)보다도 제 2 AU탱크부(1013)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연통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의 일단은 제 2 분배부(1013b)의 외주 벽면 상으로서, 제 2 분배부(1013b)의 세로 방향의 단부에 치우쳐서 연통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는 구획 부재(1013c)의 근처에만 연통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의 일단은 제 2 분배부(1013b) 중, 제 2 AU탱크부(1013)의 단부보다도 구획 부재(1013c)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연통해 있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 및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는 각각 전환부(10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입구를 제공한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는 각각 전환부(10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출구를 제공한다. 전환부(1030)는 교차하는 통로를 내부에 구비한다.
도 17은 냉매 증발기(1b)의 하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탱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 연결 부재(1031a)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11)을 갖는다. 제 2 연결 부재(1031b)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12)을 갖는다. 개구폭(L11, L12)은 제 2 AD탱크부(1023)와 중간 탱크부(1033)의 양쪽에 있어서의 개구의 폭이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13)을 갖는다. 제 4 연결 부재(1032b)는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L14)을 갖는다. 개구폭(L13, L14)은 제 2 AU탱크부(1013)와 중간 탱크부(1033)의 양쪽에 있어서의 개구의 폭이다.
제 1 AD코어부(1021a)는 튜브 적층 방향에 관하여 코어폭(LC1)을 갖는다. 제 2 AD코어부(1021b)는 튜브 적층 방향에 관하여 코어폭(LC2)을 갖는다. 제 1 AU코어부(1011a)는 튜브 적층 방향에 관하여 코어폭(LC3)을 갖는다. 제 2 AU코어부(1011b)는 튜브 적층 방향에 관하여 코어폭(LC4)을 갖는다. 모든 코어폭은 동등하다(LC1=LC2=LC3=LC4).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와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에서는 개구폭(L13, L14)이 개구폭(L11, L12)보다 커져 있다. 개구폭(L13)은 개구폭(L11)보다도 크다(L13>L11). 또, 개구폭(L14)은 개구폭(L12)보다도 크다(L14>L12). 개구폭(L11)과 개구폭(L12)은 동등하다(L11=L12). 개구폭(L13)과 개구폭(L14)은 동등하다(L13=L14).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에서는 그들의 개구폭(L13, L14)이, 대응하는 코어부(1011a, 1011b)의 코어폭(LC3, LC4)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폭(L13)은 코어폭(LC3)의 절반 이상이다(L13≥LC3/2). 개구폭(L14)은 코어폭(LC4)의 절반 이상이다(L14≥LC4/2).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에서는 그들의 개구폭(L11, L12)이 대응하는 코어부(1021a, 1021b)의 코어폭(LC1, LC2)의 절반 미만으로 되어 있다. 개구폭(L11)은 코어폭(LC1)의 절반 미만이다(L11<LC1/2). 개구폭(L12)은 코어폭(LC2)의 절반 미만이다(L12<LC2/2).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가 제공하는 냉매의 통로의 단면적은 전환부(1030)로의 냉매의 입구의 단면적, 즉, 입구 단면적으로 대표할 수 있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가 제공하는 냉매의 통로의 단면적은 전환부(1030)로부터의 냉매의 출구의 단면적, 즉, 출구 단면적으로 대표할 수 있다.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와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에서는 입구 단면적이 출구 단면적보다 작아져 있다.
도 18은 도 17의 Ⅳ―Ⅳ선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X)의 하류에서 본, AU코어부(1011)와 제 2 AU탱크부(1013)의 평면도이다. 복수의 튜브(1011c)와 제 2 AU탱크부(101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에 의하여 제공되는 개구부가 도시되어 있다. AU코어부(1011)의 복수의 튜브(1011c)와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AU코어부(1011)에 있어서의 각 코어부(1011a, 1011b)에서는 각 코어부(1011a, 1011b)의 복수의 튜브(1011c) 중, 적층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튜브로 냉매가 흐르기 어려워서, 냉매의 분배성이 나쁘다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AU코어부(1011a)에서는 제 2 AU탱크부(1013)의 제 1 분배부(1013a)에 있어서의 폐쇄된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011c) 및 구획 부재(1013c)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011c)에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 제 2 AU코어부(1011b)에서는 제 2 AU탱크부(1013)의 제 2 분배부(1013b)에 있어서의 폐쇄된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011c) 및 구획 부재(1013c) 부근에 위치하는 튜브(1011c)에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의 튜브로의 냉매의 분배를 개선하도록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를 배치하고 있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튜브(1011c)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연결 부재(1032a)는, 그 개구부가 튜브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튜브(1011c)와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제 2 AU탱크부(1013)의 폐쇄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 1 분배부(1013a)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연결 부재(1032b)는, 그 개구부가 튜브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튜브(1011c)와 대향하여 개구하도록 구획 부재(1013c)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 2 분배부(1013b)에 접속되어 있다.
도 19는 도 17의 Ⅴ―Ⅴ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중간 탱크부(1033)는 양단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2 AU탱크부(1013)와 제 2 AD탱크부(10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탱크부(1033)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중간 탱크부(1033)의 일부, 즉, 도면 중 위쪽의 부위가 제 2 AU탱크부(1013) 및 제 2 AD탱크부(1023)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탱크부(1033)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중간 탱크부(1033)의 타부, 즉, 아래쪽의 부위가 제 2 AU탱크부(1013) 및 제 2 AD탱크부(1023)에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중간 탱크부(1033)는 냉매를 집합시키기 위한 탱크부(1023)와 냉매를 분배시키기 위한 탱크부(1013)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집합 탱크부(1023) 및 분배 탱크부(1013)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집합 탱크부(1023)와, 분배 탱크부(1013)와, 중간 탱크부(1033)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구성은 AU증발부(1010)와 AD증발부(1020)를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결과, 중간 탱크부(103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냉매 증발기(1b)의 체격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 내지 도 23에 기초하여 중간 탱크부(1033)를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 탱크부(1033)의 내부에는 구획 부재(1033c)가 배치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획 부재(1033c)는 브래킷(각괄호 형상, コ자)형의 판부재이다. 구획 부재(1033c)는 중간 탱크부(1033)의 내부를 직경 방향에 관하여 분할하는 분할벽(1033d)을 갖는다. 분할벽(1033d)은 중간 탱크부(1033)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 즉,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분할벽(1033d)은 중간 탱크부(1033)의 직경에 상당하는 폭을 갖는다. 분할벽(1033d)의 양단에는 반원형의 단벽(1033e, 1033f)이 설치되어 있다. 단벽(1033e, 1033f)은 분할벽(1033d)에 의하여 구획된 한쪽 공간의 단부를 폐쇄한다. 이에 따르면, 블래킷형의 판부재에 의하여 제 1 통로(1033a)와 제 2 통로(1033b)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 탱크부(1033)는 통형상의 부재와 구획 부재(1033c)를 구비한다. 통형상의 부재는 반통형(半筒形)의 2개의 판재(1033g, 1033h)를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판재(1033g, 1033h)는 서로 조합되고, 접합됨으로써 원통상의 중간 탱크부(1033)가 설치된다. 구획 부재(1033c)는 중간 탱크부(1033) 내에 접합된다. 구획 부재(1033c)는 도면 중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1033c)는 통형상의 부재(1033g, 1033h)의 내부에 후술하는 단부 통로(1033m, 1033n)를 남기도록 통형상의 부재(1033g, 1033h)의 세로 방향의 일부분만에 설치된다. 구획 부재(1033c)는 통형상의 부재(1033g, 1033h)의 내부를 직경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제 1 통로(1033a)와 제 2 통로(1033b)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제 2 통로(1033b) 내에 후술하는 스로틀 통로(1033k)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통형상의 부재(1033g, 1033h)의 내부를 구획 부재(1033c)에 의하여 구획함으로써 제 1 통로(1033a)와 제 2 통로(1033b)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1033c)가 통형상의 부재(1033g, 1033h)의 일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 통로(1033m, 1033n)와 스로틀 통로(1033k)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 탱크부(1033)의 내부에는 구획 부재(1033c)에 의하여 반원주상(半圓柱狀)의 제 1 실(1033a)이 구획된다. 또, 중간 탱크부(1033)의 내부에는 양단에 원주상(圓柱狀) 부분을 갖고, 그들 원주상 부분을 반원주상의 공간에 의하여 연결한 철 아령상의 제 2 실(1033b)이 구획된다. 제 1 실(1033a)은 제 1 통로(1033a)라고도 부를 수 있다. 제 2 실(1033b)은 제 2 통로(1033b)라고도 부를 수 있다.
제 1 통로(1033a)는 제 1 연결 부재(1031a)로부터의 냉매를 제 4 연결 부재(1032b)로 유도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 2 통로(1033b)는 제 2 연결 부재(1031b)로부터의 냉매를 제 3 연결 부재(1032a)로 유도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 1 연결 부재(1031a), 제 4 연결 부재(1032b),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1 통로(1033a)가 제 1 연통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연결 부재(1031a)가 제 1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입구를 제공한다. 제 4 연결 부재(1032b)가 제 1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출구를 제공한다.
제 2 연결 부재(1031b), 제 3 연결 부재(1032a),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2 통로(1033b)가 제 2 연통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가 제 2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입구를 제공한다. 제 3 연결 부재(1032a)가 제 2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출구를 제공한다.
도 24는 냉매 증발기(1b)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지 않는 팽창 밸브로 감압된 저압 냉매는 화살표 AA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냉매 증발기(1b)에 공급된다. 냉매는 제 1 AD탱크부(1022)의 일단에 설치된 냉매의 입구(1022a)로부터 제 1 AD탱크부(1022)의 내부에 도입된다. 냉매는 최초의 분배 탱크인 제 1 AD탱크부(1022) 내에서 2개로 분할된다. 냉매는 화살표 BB와 같이 제 1 AD코어부(1021a)를 하강하는 것과 함께, 화살표 CC와 같이 제 2 AD코어부(1021b)를 하강한다.
냉매는 제 1 AD코어부(1021a)를 하강한 후에 화살표 DD와 같이 제 1 집합부(1023a)에 유입된다. 냉매는 제 2 AD코어부(1021b)를 하강한 후에 화살표 EE와 같이 제 2 집합부(1023b)에 유입된다.
냉매는 화살표 FF와 같이, 제 1 집합부(1023a)로부터 제 1 연결 부재(1031a)를 통하여 제 1 통로(1033a)에 유입된다. 냉매는 화살표 GG와 같이, 제 2 집합부(1023b)로부터 제 2 연결 부재(1031b)를 통하여 제 2 통로(1033b)에 유입된다.
냉매는 화살표 HH와 같이, 제 1 통로(1033a)로부터 제 4 연결 부재(1032b)를 통하여 제 2 분배부(1013b)에 유입된다. 냉매는 화살표 II와 같이, 제 2 통로(1033b)로부터 제 3 연결 부재(1032a)를 통하여 제 1 분배부(1013a)에 유입된다.
냉매는 화살표 JJ와 같이, 제 2 분배부(1013b)로부터 제 2 AU코어부(1011b)를 상승한다. 냉매는 화살표 KK와 같이, 제 1 분배부(1013a)로부터 제 1 AU코어부(1011a)를 상승한다.
냉매는 화살표 LL과 같이, 제 2 AU코어부(1011b)로부터 제 1 AU탱크부(1012)의 내부에 유입된다. 냉매는 화살표 MM과 같이, 제 1 AU코어부(1011a)로부터 제 1 AU탱크부(1012)의 내부에 유입된다. 따라서, 냉매는 최후의 집합 탱크인 제 1 AU탱크부(1012) 내에서 하나의 흐름으로 통합된다. 냉매는 화살표 NN과 같이, 제 1 AU탱크부(1012)의 일단에 설치된 냉매 출구(1012a)로부터 냉매 증발기(1b)의 외부로 흘러 나온다. 이후, 냉매는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의 흡입측에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b)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폭(L13, L14)이 개구폭(L11, L12)보다 커져 있다. 개구폭(L13, L14)은 각각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개구폭인 것과 함께, 전환부(1030)에 있어서의 연통부의 냉매의 출구이다. 개구폭(L11, L12)은 각각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의 개구폭인 것과 함께, 전환부(1030)에 있어서의 연통부의 냉매의 입구이다.
이 때문에, 제 2 AU탱크부(1013)의 분배부(1013a, 1013b)에 있어서, AU코어부(1011)의 코어부(1011a, 1011b)의 튜브(1011c)와,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에 있어서의 제 2 AU탱크부(1013)의 접속 부분을 튜브 적층 방향에 근접한 배치 형태로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AU코어부(1011a)의 복수의 튜브(1011c)의 절반 이상이 제 3 연결 부재(1032a)의 개구 가까이에 위치된다. 절반 이상의 튜브(1011c)가 개구폭(L13)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또, 제 2 AU코어부(1011b)의 복수의 튜브(1011c)의 절반 이상이 제 4 연결 부재(1032b)의 개구 가까이에 위치된다. 절반 이상의 튜브(1011c)가 개구폭(L14)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 2 AU탱크부(1013)의 분배부(1013a, 1013b)로부터 AU코어부(1011)의 코어부(1011a, 1011b)로의 액상 냉매의 분배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냉매 증발기(1b)에 있어서의 공기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5는 제 2 통로(1033b) 내에 있어서의 냉매의 거동을 나타내는 모델을 나타낸다. 제 2 통로(1033b)는 스로틀 통로(1033k)를 갖는다. 스로틀 통로(1033k)는 구획 부재(1033c)에 의하여 구획된 반원주상의 통로 부분에 의하여 제공되어 있다. 스로틀 통로(1033k)는 중간 탱크부(1033)의 직경 방향에 관하여 제 3 연결 부재(1032a)의 개구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탱크부(1033)의 직경 방향에 관한 스로틀 통로(1033k)의 위치와 제 3 연결 부재(1032a)의 개구의 위치는 중간 탱크부(1033)의 중심축에 관하여 반대측에 위치해 있다. 도시의 배치 상태에 있어서는, 제 3 연결 부재(1032a)는 중간 탱크부(1033)의 상부로서, 약간 경사 측부에 개구해 있다. 스로틀 통로(1033k)는 중간 탱크부(1033)의 하부에 구획되어 있다. 스로틀 통로(1033k)는 중간 탱크부(1033)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중간 탱크부(1033)의 단부의 벽면을 지향하고 있으며, 중간 탱크부(1033)의 연장 설치 방향 단부를 향하여 냉매를 흘린다. 바꾸어 말하면, 스로틀 통로(1033k)의 출구는 중간 탱크부(1033)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중간 탱크부(1033)의 단부의 벽면을 지향하고 있다. 이때, 중간 탱크부(1033)의 단부의 벽면은 스로틀 통로(1033k)의 냉매 흐름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스로틀 통로(1033k)의 양단에는 스로틀 통로(1033k)보다 통로 단면적이 큰 단부 통로(1033m, 1033n)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는 상류측의 단부 통로(1033m)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하류측의 단부 통로(1033n)에 연결되어 있다. 단부 통로(1033n)는 스로틀 통로(1033k)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단부 통로(1033n)는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스로틀 통로(1033k)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단부 통로(1033n)는 제 1 분배부(1013a)와 연통해 있다.
스로틀 통로(1033k) 내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한 스로틀 통로(1033k)의 단면적은 단부 통로(1033m, 1033n)의 단면적보다 작다. 스로틀 통로(1033k)는 단부 통로(1033n)의 단부의 벽면(1033p)을 지향하고 있다.
스로틀 통로(1033k)의 하류단에는 스로틀 통로(1033k)와 단부 통로(1033n)의 사이에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한 단면적을 급격히 확대하는 확대부(1033s)가 설치된다. 확대부(1033s)는 냉매의 흐름을 급격히 감속시킨다. 확대부(1033s)에서는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한 단면적이 불연속적으로 확대되어 있다. 확대부(1033s)에서는 액상 냉매가 벽면에 부착하여 체류한다. 확대부(1033s)에서는 주로 기상 냉매가 단부 통로(1033n) 내를 향하여 곧바로 분출된다.
확대부(1033s)는 냉매의 흐름에 관하여 구획 부재(1033c)의 뒤에 위치해 있다. 확대부(1033s), 즉, 구획 부재(1033c)의 냉매 흐름 방향 하류측은 중간 탱크부(1033) 내에 있어서,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뒤가 되고, 냉매의 흐름이 방해되는 사류역을 형성한다. 사류역에서는 액상 냉매가 축적되기 쉽다.
구획 부재(1033c)는 중간 탱크부(103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도 중간 탱크부(1033)의 상부에 개구해 있다. 즉, 구획 부재(1033c)와 제 3 연결 부재(1032a)는 중간 탱크부(1033)의 공통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3 연결 부재(1032a)는 구획 부재(1033c)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류역의 연장상에 위치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확대부(1033s)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단부 통로(1033n)와 제 1 분배부(1013a)는 확대부(1033s)의 근처에 있어서, 제 3 연결 부재(1032a)를 통하여 연통해 있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벽면(1033p)의 근처와 확대부(1033s)의 근처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3 연결 부재(1032a)는 단부 벽면(1033p)의 근처로부터 확대부(1033s)의 근처로 연장되는 개구를 갖고 있다. 이에 따르면, 넓은 범위에 걸쳐서 단부 통로(1033n)와 제 1 분배부(1013a)가 연통된다.
제 1 분배부(1013a)는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단부 통로(1033n)보다도 길다. 도면 중에는 원통상의 제 1 분배부(1013a)의 세로 방향의 길이(L13a)와 단부 통로(1033n)의 길이(L33n)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분배부(1013a)는 단부 통로(1033n)와 스로틀 통로(1033k)의 양쪽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분배부(1013a)는 단부 통로(1033n)와 스로틀 통로(1033k)의 양쪽과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1 분배부(1013a)와 단부 통로(1033n)는 제 3 연결 부재(1032a)를 통하여 제 1 분배부(1013a)의 세로 방향의 일부에 있어서만 연통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3 연결 부재(1032a)는 제 1 분배부(1013a)와 스로틀 통로(1033k)가 평행하게 중복되어 위치하는 범위에 있어서는, 제 1 분배부(1013a)의 외주 측면에서 개구해 있지 않다.
제 1 분배부(1013a)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통로(1033n)보다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 1 분배부(1013a)는 단부 통로(1033n)의 옆으로부터 확대부(1033s)를 넘어서 길이(Lb)만큼 더 연장되어 있다. 길이(Lb)의 범위에서는 제 1 분배부(1013a)는 제 1 통로(1033a) 및 스로틀 통로(1033k)의 옆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제 1 분배부(1013a)는 제 3 연결 부재(1032a)로부터 떨어진 안쪽부를 갖고 있다. 안쪽부는 길이(Lb)의 범위에 상당한다. 제 1 분배부(1013a)의 안쪽부는 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방이다. 제 1 분배부(1013a)의 안쪽부는 스로틀 통로(1033k)와 평행하게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 1 분배부(1013a)의 안쪽부는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확대부(1033s)로부터 연장 돌출해 있다.
스로틀 통로(1033k) 중에 있어서는, 기상 냉매가 가속되고, 액상 냉매는 벽면에 부착된다. 액상 냉매는 확대부(1033s)에서 체류하고, 두꺼운 액막을 만든다.
기상 냉매는 스로틀 통로(1033k)로부터 나온 후에 중간 탱크부(1033)의 단부의 벽면에 충돌한다. 벽면에 충돌한 후의 기상 냉매는 중간 탱크부(1033)의 직경 방향으로 전향할 뿐만 아니라, 약간 반전하여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흐르고자 한다. 즉, 기상 냉매는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흐르는 성분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냉매는 약간 반전하면서 제 3 연결 부재(1032a)를 통하여 제 1 분배부(1013a)에 유입된다. 기상 냉매는 제 3 연결 부재(1032a)로부터 제 1 분배부(1013a)로 흘러든다. 이때, 기상 냉매는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약간 기울어서 흐른다. 이 결과, 제 1 분배부(1013a) 내에 있어서, 구획 부재(1013c)의 근처를 향하는 냉매의 흐름이 발생한다.
또한, 스로틀 통로(1033k)로부터 나온 기상 냉매는 벽면에 부착된 액상 냉매를 감으면서 흐른다. 액상 냉매의 일부는 비말로 되어 기상 냉매의 흐름을 타고 흐른다. 또, 액상 냉매의 일부는 기상 냉매의 흐름에 눌려서 벽면을 따라 흐른다. 기상 냉매는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흐르기 때문에 액상 냉매도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흐른다. 이 결과, 스로틀 통로(1033k)를 흐른 냉매는 단부 통로(1033n)에서 감속되는 것과 함께, 벽면(1033p)에서 반전하기 때문에 제 1 분배부(1013a)의 안쪽부를 향하여 흐른다.
기상 냉매는 제 3 연결 부재(1032a)에 있어서 많은 액상 냉매를 감는다. 제 3 연결 부재(1032a)는 구획 부재(1033c)에 의하여 형성된 사류역에 개구해 있기 때문에 사류역에 체류한 액상 냉매가 제 3 연결 부재(1032a)에 흘러들기 쉽다. 이 때문에, 제 3 연결 부재(1032a)에서 많은 액상 냉매가 감겨서 흐른다. 액상 냉매의 일부는 비말로 되고, 또, 액상 냉매의 일부는 벽면을 따라 제 1 분배부(1013a) 내를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흐른다. 구획 부재(1013c)에 가까운 제 3 연결 부재(1032a)의 가장자리는 구획 부재(1033c)의 근처, 즉, 사류역의 가까이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제 3 연결 부재(1032a)의 구획 부재(1013c)에 가까운 가장자리로부터 많은 액상 냉매가 흘러든다. 따라서, 많은 액상 냉매가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흐른다.
스로틀 통로(1033k)는 중간 탱크부(1033)의 하측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기상 냉매는 아래에 축적된 액상 냉매를 감아 올리면서 흐른다. 이 때문에, 구획 부재(1013c)를 향하여 많은 액상 냉매가 흐른다.
도 25에 있어서, 단부 통로(1033n)는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비교적 큰 단면적(A33n)을 갖는다. 한편, 제 1 분배부(1013a)는 스로틀 통로(1033k)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비교적 작은 단면적(A13a)을 갖는다. 단면적(A33n)은 단면적(A13a)보다 크다(A33n>A13a). 단면적(A33n, A13a)은 지면과 수직인 면에 있어서의 단면적이다.
이에 따르면, 스로틀 통로(1033k)로부터 나온 냉매는 단부 통로(103n)에서 감속된 후에 제 1 분배부(1013a)에 유입된다. 제 1 분배부(1013a)의 단면적(A13a)이 작은 것에 의해 제 1 분배부(1013a)의 내부에서의 냉매의 분포의 변화는 억제된다. 이 때문에, 단부 통로(1033n)로부터 제 1 분배부(1013a)로 냉매가 흐르는 과정에서 주어진 액상 냉매의 바람직한 분포가 제 1 분배부(1013a)의 내부에서 유지된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냉매 증발기(1b)의 코어부(1011, 10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다. 액상 냉매의 분포는 온도 분포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분포(a)는 AU코어부(10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낸다. 분포(b)는 AD코어부(10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낸다. 분포(c)는 코어부(1011, 10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의 합성을 나타낸다. 도면 중에는 냉매 증발기(1b)를 도 15의 화살표 Y방향, 즉, 공기의 흐름 방향(X)의 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액상 냉매의 분포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 중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액상 냉매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분포(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코어부(10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는 개구폭(L11―L14)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분포(b)의 공동 부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AD코어부(1021b)에 있어서의 냉매 입구(1022a)로부터 가장 멀고, 냉매의 흐름의 하류인 오른쪽 아래 부분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이 발생한다.
분포(a)에는 파선에 의하여 비교예에 의한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파선(C11)은 제 1 비교예에 의한 분포를 나타낸다. 제 1 비교예에서는 전환부(1030)를 채용하지 않고, 같은 굵기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탱크 간을 연통했다. 제 1 비교예에서는 개구폭(L11―L13)이 모두 동등하다. 또한, 제 2 통로(1033b)에 있어서의 스로틀 통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파선(C11)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AU코어부(1011a)의 가장자리에만 액상 냉매가 집중해 있다. 또한, 액상 냉매는 냉매의 출구(1012a) 근처에 있어서, 제 1 AU탱크부(1012)에까지 도달해 있다. 이래서는 냉매 증발기(1b)로부터 액상 냉매가 유출되는 액 역류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파선(C21, C22)은 제 2 비교예에 의한 분포를 나타낸다. 제 2 비교예에서는 개구폭(L11―L13)이 모두 동등하다. 제 2 비교예에서는, 제 2 통로(1033b)에는 스로틀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파선(C21)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이 완화되어 있다. 이 완화는 제 2 통로(1033b)에 설치된 스로틀 통로에 의한 액상 냉매의 흐름의 개선에 의해서도 초래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파선(C22)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는, 액상 냉매가 제 2 AU코어부(1011b)의 가장자리에만 집중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포(a)에 실선(E11, E12)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AU코어부(10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는 튜브 적층 방향으로 넓게 퍼져 있다. 실선(E1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AU코어부(1011a)에서는 액상 냉매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대략 전폭(全幅)에 걸쳐서 대략 균등하게 분포해 있다. 실선(E12)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AU코어부(1011b)에서는 액상 냉매는 제 2 AU코어부(1011b)의 대략 전폭에 걸쳐서 분포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U코어부(1011)의 전폭에 있어서, 튜브 적층 방향으로 균등하게 액상 냉매가 흐르기 쉽게 되어 있다. 즉, 냉매 증발기(1b)는 AU코어부(1011)의 각 코어부(1011a, 1011b)로의 액상 냉매의 분배의 편중이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튜브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폭(L13, L14)을 확대함으로써 AU코어부(1011)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분포(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매 증발기(1b)의 전체에 액상 냉매를 존재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AU코어부(1011b)와 제 2 AD코어부(1021b)에 있어서, 액상 냉매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상 냉매의 분포는 냉각되는 공기의 온도 분포를 억제한다.
냉매 증발기(1b)에서는 코어부(1011, 1021)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냉매가 공기로부터 현열 및 잠열을 흡열한다. 따라서, 냉매 증발기(1b)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부를 충분히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냉매 증발기(1b)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분포가 억제된다.
하나의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개구폭은, 그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하나가 연결된 하나의 코어부(1011a, 1011b)의 코어폭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분배부(1013a, 1013b)로부터 AU코어부(1011a, 1011b)로의 냉매의 분배의 편중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7은 제 2 집합부(1023b)의 단부와 제 2 연결 부재(1031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제 2 연결 부재(1031b)는 제 2 집합부(1023b)의 단부의 근처에 위치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연결 부재(1031b)는 중간 탱크부(1033)의 단부의 근처에 위치해 있다. 제 2 연결 부재(1031b)의 개구폭(L12)은 코어부(1021b)의 코어폭에 비하여 명백히 작다.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의 단면적, 즉, 전환부(10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입구의 단면적은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단면적, 즉, 전환부(10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출구의 단면적보다도 작다.
도 28은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로부터 중간 탱크부(1033)에 유입되는 냉매는 비교적 빠른 유속(V1)을 갖는다. 유속(V1)의 냉매는 중간 탱크부(1033) 내에서 강한 교반류(SPL)를 발생시킨다. 교반류(SPL)는 중간 탱크부(1033)에 유입된 액상 냉매나 오일등을 교반하여, 흐르기 쉬운 상태로 한다. 이 결과,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나 오일 등의 체류가 억제된다.
AU증발부(1010)에는 AD증발부(1020)를 통과했을 때에 기화한 기상 냉매가 흐르는 과열 영역, 즉, 슈퍼 히트 영역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AU증발부(1010)에 있어서의 공기의 냉각 성능이 AD증발부(1020)에 있어서의 공기의 냉각 성능에 비하여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과열 영역에서는 냉매가 공기로부터 현열분을 흡열할 뿐이기 때문에 공기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다.
냉매 증발기(1b)에서는 AU증발부(1010)를 AD증발부(1020)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X)의 상류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증발부(1010, 1020)의 냉매 증발 온도와 공기의 온도차를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송풍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AU코어부(1011)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 제 1 분배부(1013a)의 단부에 위치하는 튜브(1011c)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을 완화하여, 구획 부재(1013c)에 가까운 튜브(1011c)로도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개선은 제 2 통로(1033b)에 있어서의 스로틀 통로 및/또는 제 3 연결 부재(1032a)의 넓은 개구폭(L13)에 의하여 제공된다. 또,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 구획 부재(1013c)의 근처에 위치하는 튜브(1011c)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을 완화하여, 제 2 분배부(1013b)의 단부에 가까운 튜브(1011c)로도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개선은 제 4 연결 부재(1032b)의 넓은 개구폭(L14)에 의하여 제공된다.
(제 6 실시 형태)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의 대체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1232a, 1232b)는 복수의 개구를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 5 실시 형태의 일부분만을 변형하고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실시 형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1232a, 1232b)를 나타낸다. 도 29는 도 16의 하부만에 상당하는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18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탱크부(1033)와 제 1 분배부(1013a)의 사이에 복수의 제 3 연결 부재(1232a)(연통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3개의 제 3 연결 부재(1232a)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연결 부재(1232a)는 서로 근접하여 튜브 적층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연결 부재(1232a)는 단부 벽면(1033p)의 근처와 확대부(1033s)의 근처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넓은 범위에 걸쳐서 단부 통로(1033n)와 제 1 분배부(1013a)가 연통된다.
중간 탱크부(1033)와 제 2 분배부(1013b)의 사이에 복수의 제 4 연결 부재(1232b)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3개의 제 4 연결 부재(1232b)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4 연결 부재(1232b)는 서로 근접하여 튜브 적층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제 4 연결 부재(1232a, 1232b)는 내부에 냉매가 유통되는 통로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 3, 제 4 연결 부재(1232a, 1232b)는 일단이 제 2 AU탱크부(101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이 중간 탱크부(1033)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제 4 연결 부재(1232a, 1232b)의 각각은 튜브 적층 방향에 관하여 개구폭(m)을 갖는다. 복수의 제 3 연결 부재(1232a)는 근접한 복수의 개구에 의하여 개구폭(L23)을 제공한다. 개구폭(L23)은 개구폭(m)의 합계이다. 개구폭(L23)은 제 1 AU코어부(1011a)의 코어폭(LC3)의 절반 이상이다(LC3/2<L23 또는 LC3=L23). 복수의 제 4 연결 부재(1232b)는 근접한 복수의 개구에 의하여 개구폭(L24)을 제공한다. 개구폭(L24)은 개구폭(m)의 합계이다. 개구폭(L24)은 제 2 AU코어부(1011b)의 코어폭(LC4)의 절반 이상이다(LC4/2<L24 또는 LC4=L24).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AU증발부(1010)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실시 형태)
제 7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의 대체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1332a, 1332b)는 제 5 실시 형태와 다른 개구폭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는 제 5 실시 형태의 일부분만을 변형하고 있다.
도 31은 도 23에 상당하는 전환부(1030)의 2개의 통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AU코어부(1011b)에 연결된 제 4 연결 부재(1332b)의 튜브 적층 방향의 개구폭(L34)은 제 3 연결 부재(1332a)의 개구폭(L33)보다도 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연결 부재(1331b)의 개구폭은 제 1 연결 부재(1331a)의 개구폭보다 작다.
도 26에 파선(C2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AU코어부(1011b)에는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분포를 억제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폭(L34)을 가능한 한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2 AU코어부(1011b)의 대부분의 튜브(1011c)가 개구폭(L34)의 범위 내에 위치된다. 이 때문에,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편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상 냉매의 분포의 편중이 발생하기 쉬운 코어부(1011b)에 연결된 제 3, 제 4 연결 부재의 개구폭(L34)은 다른 개구폭보다도 길어진다. 이에 따라, 냉매의 분포의 편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냉매 증발기(1b)에 있어서의 공기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8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부(1030)의 대체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중간 탱크부(1033)와 탱크부(1013, 1023)의 접속 및 연통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는 제 5 실시 형태의 일부분만을 변형하고 있다.
도 32는 도 5에 상당하는 전환부(103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3은 전환부(1030)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전환부(10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부(1030)는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 제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 및 중간 탱크부(1033)를 구비한다. 이에 대신하여, 본 실시 형태는 연결 부재(1031a, 1031b, 1032a, 1032b)를 이용하지 않는 전환부(1030)를 제공한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2 AU탱크부(1013) 및 제 2 AD탱크부(1023)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 2 AD탱크부(1023) 및 중간 탱크부(1033)에는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평탄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AD탱크부(1023) 및 중간 탱크부(1033)는 그들의 평탄면을 밀착시켜서 접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의 제 2 AU탱크부(1013) 및 중간 탱크부(1033)는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평탄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AU탱크부(1013) 및 중간 탱크부(1033)는 그들의 평탄면을 밀착시켜서 접합되어 있다.
중간 탱크부(1033)와 제 2 AD탱크부(1023)의 사이의 접합부에 입구측의 집합부 연통 구멍(1431a, 1431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집합부 연통 구멍(1431a)은 제 1 집합부(1023a)와 제 1 통로(1033a)를 연통한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1 집합부 연통 구멍(1431a)을 통하여 제 1 집합부(1023a)에 연통한다. 제 2 집합부 연통 구멍(1431b)은 제 2 집합부(1023b)와 제 2 통로(1033b)를 연통한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2 집합부 연통 구멍(1431b)을 통하여 제 2 집합부(1023b)에 연통한다.
중간 탱크부(1033)와 제 2 AU탱크부(1013)의 사이의 접합부에 출구측의 분배부 연통 구멍(1432a, 1432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분배부 연통 구멍(1432a)(연통부)은 제 1 분배부(1013a)와 제 2 통로(1033b)를 연통한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1 분배부 연통 구멍(1432a)을 통하여 제 1 분배부(1013a)에 연통한다. 제 2 분배부 연통 구멍(1432b)은 제 2 분배부(1013b)와 제 1 통로(1033a)를 연통한다. 중간 탱크부(1033)는 제 2 분배부 연통 구멍(1432b)을 통하여 제 2 분배부(1013b)에 연통한다.
연통 구멍(1432a, 1432b)의 개구폭은 연통 구멍(1431a, 1431b)의 개구폭보다도 크다. 연통 구멍(1432a, 1432b)의 개구폭은 그들이 연통하는 코어부(1011a, 1011b)의 코어폭의 절반 이상이다.
또한, 연통 구멍(1432a, 1432b)은 AU코어부(1011)에 있어서의 코어부(1011a, 1011b)의 복수의 튜브(1011c) 중,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도록 개구해 있다.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1 통로(1033a)는 제 1 연통부를 제공한다.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2 통로(1033b)는 제 2 연통부를 제공한다.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1 집합부 연통 구멍(1431a)은 제 1 연통부의 냉매의 입구를 제공한다.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2 분배부 연통 구멍(1432b)이 제 1 연통부의 냉매의 출구를 제공한다. 또, 중간 탱크부(1033)에 있어서의 제 2 집합부 연통 구멍(1431b)이 제 2 연통부의 냉매의 입구를 제공한다. 제 1 분배부 연통 구멍(1432a)이 제 2 연통부에 있어서의 냉매의 출구를 제공한다.
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환부(1030)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연통부를 중간 탱크부(1033) 및 탱크부(1013, 1023)에 설치된 개구부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 9 실시 형태)
제 9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부(1030)의 대체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1531a, 1531b, 1532a, 1532b)는 서로 같은 개구폭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는 제 5 실시 형태의 일부분만을 변형하고 있다.
도 35는 도 16에 상당하는 분해 사시도로서, 본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1b)를 나타낸다. 도 36은 도 24에 상당하는 분해 사시도로서, 냉매 증발기(1b)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7은 도 17에 상당하는 평면도로서, 전환부(1030)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1531a, 1531b, 1532a, 1532b)는 서로 같은 개구폭(L51=L52=L53=L54)으로 된다. 연결 부재(1531a, 1531b, 1532a, 1532b)는 서로 같은 개구 면적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 1, 제 2 연결 부재(1531a, 1531b)의 개구폭(L51, L52)은 각각 제 5 실시 형태의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의 개구폭(L11, L12)보다 크다. 본 실시 형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1532a, 1532b)의 개구폭(L53, L54)은 제 5 실시 형태의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개구폭(L13, L14)보다 작다. 개구폭(L53, L54)은 대응하는 코어부(1011a, 1011b)의 코어폭(LC3, LC4)의 절반 이하이다(L53≤LC3/2, L54≤LC4/2).
도 38은 도 26에 상당하는 평면도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AU코어부(1011a, 1011b)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1532a, 1532b)가 설치된 부위에 액상 냉매가 약간 흐르기 쉽고, 제 3, 제 4 연결 부재(1532a, 1532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 액상 냉매가 약간 흐르기 어려워져 있다. 이 때문에, 분포(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증발기(1b)의 일부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 액상 냉매의 집중이 완화되어, 액상 냉매가 널리 분포하는 분포 특성(E51)이 얻어지고 있다. 액상 냉매는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는, 제 1 AU탱크부(1012)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냉매 출구(1012a)의 근처에 액상 냉매가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는, 액상 냉매가 구획 부재(1013c)의 근처에 집중한다. 그러나 제 2 AU코어부(1011b)는 냉매 출구(1012a)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액 역류의 염려는 적다.
도 39는 도 27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40은 도 2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연결 부재(1531b)가 제공하는 개구부가 비교적 크다. 이 때문에, 제 2 연결 부재(1531b)로부터 중간 탱크부(1033)로 흘러드는 냉매의 유속(V2)은 비교적 낮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속(V2)은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속(V1)보다 낮다(V1>V2). 이 때문에, 중간 탱크부(1033)의 내부에 액상 냉매나 오일 등이 체류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액상 냉매의 액 축적(POL)이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도 2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냉매의 흐름이 중간 탱크부(1033) 내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구획 부재(1013c)의 방향으로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이 결과, 냉매 출구(1012a)의 근처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1은 제 3 비교예에 의한 액상 냉매의 분포의 일례이다. 제 3 비교예에서는 전환부(1030)를 채용하지 않고, 일정한 굵기의 관(1933)에 의하여 제 2 집합부(1023b)와 제 1 분배부(1013a)가 연통해 있다. 관(1933)과 제 1 분배부(1013a)의 사이에는 슬릿상의 연통 구멍(1932a)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 구멍(1932a)은 제 1 AU코어부(1011a)의 코어폭에 대략 상당하는 넓은 개구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 1 AU코어부(1011a)의 대략 모든 튜브(1011c)는 연통 구멍(1932a)의 개구폭의 범위 내에 위치되어 있다.
제 3 비교예에서는 실선(C31)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액상 냉매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단부에 집중한다. 특히, 냉매 출구(1012a)의 근처에 있어서 액상 냉매는 집중하기 쉽다. 이 때문에, 액상 냉매가 제 1 AU탱크부(1012)에 도달하여, 출구(1012a)로부터 유출될 염려가 있다. 또, 실선(C32)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도, 단부에 액상 냉매가 집중하기 쉽다.
도 4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액상 냉매의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선(E51)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집중이 완화된다. 액상 냉매는 제 1 AU코어부(1011a)의 단부에 집중하지 않고, 제 1 AU코어부(1011a)의 코어폭의 전체에 걸쳐서 널리 분포해 있다. 실선(E52)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AU코어부(1011b)에 있어서는, 제 3 비교예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는 보이지 않는다.
이상으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통로(1033b) 내에 스로틀 통로(1033k)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냉매의 흐름이 가속된다. 냉매의 흐름은 중간 탱크부(1033)의 단부에서 반전되고, 구획 부재(1013c)를 향하는 흐름 성분이 부여된다. 이 결과, 제 3 연결 부재(1532a)(연통부)가 개구해 있지 않은 구획 부재(1013c)의 근처를 향하여 냉매를 흘릴 수 있다. 또한, 스로틀 통로(1033k)의 출구로부터 구획 부재(1013c)의 근처를 향하여 액상 냉매가 흐르기 쉬운 배치가 제공된다. 이 결과, 제 1 AU코어부(1011a)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제 10 실시 형태)
제 10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 부재(1033c)의 대체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 형상의 구획 부재(1633c)가 채용된다. 본 실시 형태는 제 5 실시 형태의 일부분만을 변형하고 있다.
도 43은 도 25에 상당하는 단면도로서, 본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1b)를 나타낸다. 중간 탱크부(1033)에는 보빈 형상의 구획 부재(1633c)가 수용되어 있다. 구획 부재(1633c)는 관부(1633d)와, 그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부(1633e, 1633f)를 구비한다. 관부(1633d)의 내부에는 스로틀 통로(1633k)가 설치된다. 관부(1633d)의 외측에는 환상의 제 1 통로(1033a)가 구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 5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개시된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개시된 개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지 않고,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조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기재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개구폭을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의 개구폭보다도 크게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한쪽의 개구폭만을, 그에 대응하는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의 개구폭보다도 크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L13>L11 또는 L14>L12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서술한 바와 같이,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개구폭은 그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AU코어부(1011a, 1011b)의 코어폭의 절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3, 제 4 연결 부재(1032a, 1032b)의 개구폭이 제 1, 제 2 연결 부재(1031a, 1031b)의 개구폭보다도 크다면, 코어폭과의 관계는 상기 조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탱크부(1033)를 채용했다. 이에 대신하여, 중간 탱크부(1033)를 없애고, 대응하는 연결 부재(1031a, 1031b, 1032a, 1032b)를 직접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제 1 AU코어부(1011a)와 제 1 AD코어부(1021a)가 완전히 중복되고, 제 2 AU코어부(1011b)와 제 2 AD코어부(1021b)가 완전히 중복되어 있다. 그러나 냉매 증발기(1b)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어부의 관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기의 흐름 방향(X)에 관하여 상류의 코어부와 하류의 코어부가 부분적으로 중복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AU코어부(1011a)와 제 1 AD코어부(1021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시킬 수 있다. 또, 제 2 AU코어부(1011b)와 제 2 AD코어부(1021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서술한 바와 같이, AU증발부(1010)는 AD증발부(1020)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대신하여, AU증발부(1010)를 AD증발부(1020)보다도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부(1011, 1021)가 복수의 튜브(1011c, 1021c)와 핀(1011d, 1021d)을 갖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열교환을 위한 코어부의 구성은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튜브(1011c, 1021c)를, 코어부(1011, 1021)는 갖고, 핀(1011d, 1021d)을 폐지해도 좋다. 또, 코어부(1011, 1021)를 복수의 튜브(1011c, 1021c)와 핀(1011d, 1021d)으로 구성하는 경우, 핀(1011d, 1021d)은 코러게이트 핀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핀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증발기(1b)를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매 증발기(1b)는 급탕기 등에 이용되는 냉동 사이클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부는 가늘고 긴 슬릿상 또는 직사각형의 개구를 제공했다. 이에 대신하여, 연통부는 원형 또는 장원형의 개구를 제공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3, 제 4 연결 부재(1232a, 1232b)에 대신하여, 원통상의 관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의 흐름 방향(X)이 수평인 경우를 예시했다. 이에 대신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X)은 수직 또는 경사로 설정할 수 있다. 그들의 경우에 따라서 2개의 코어부(1011a, 1011b)가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나열하도록 냉매 증발기(1b)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코어부(1011a, 1011b)가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상하로 또는 경사로 나열하도록 냉매 증발기(1b)를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냉매는 경사로 또는 수평으로 흐르도록 냉매 증발기(1b)를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전환부(1030)가 상부에 또는 가로에 위치하도록 냉매 증발기(1b)를 배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 전후 등의 설명은 예시로서, 냉매 증발기(1b)는 예시된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배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탱크부는 제 1 분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중간 탱크부는 중간 탱크부의 세로 방향과 제 1 분배부의 세로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중간 탱크부(1033)는, 그 세로 방향이 제 2 AU탱크부(1013)와 제 2 AD탱크부(1023)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또, 상기 제 5∼10 실시 형태를 상기 제 1∼4 실시 형태에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이에 따라, 코어부에 있어서의 냉매 분포의 편중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0)

  1.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상기 피냉각 유체의 일부와 상기 냉매의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1 코어부(1021a)와,
    상기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상기 피냉각 유체의 다른 일부와 상기 냉매의 다른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2 코어부(1021b)와,
    상기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제 1 코어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냉각 유체의 다른 일부와 상기 냉매의 다른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3 코어부(1011a)와,
    상기 냉매가 유통되는 복수의 튜브를 갖고,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상기 제 2 코어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냉각 유체의 일부와 상기 냉매의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 4 코어부(1011b)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상기 복수의 튜브의 상기 냉매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코어부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집합부(1023a)와,
    상기 제 2 코어부의 상기 복수의 튜브의 상기 냉매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코어부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집합부(1023b)와,
    상기 제 3 코어부의 상기 냉매의 상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코어부의 상기 복수의 튜브에 상기 냉매를 분배하는 제 1 분배부(1013a)와,
    상기 제 4 코어부의 상기 냉매의 상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4 코어부의 상기 복수의 튜브에 상기 냉매를 분배하는 제 2 분배부(1013b)와,
    상기 제 1 집합부와 상기 제 2 분배부를 연통하는 제 1 통로(1033a) 및 상기 제 2 집합부와 상기 제 1 분배부를 연통하는 제 2 통로(1033b)를 갖는 중간 탱크부(1033)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탱크부는 상기 제 1 분배부를 따라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중간 탱크부의 연장 설치 방향 단부를 향하여 냉매를 흘리는 스로틀 통로(1033k, 1633k)와,
    상기 스로틀 통로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냉매의 흐름에 관하여 상기 스로틀 통로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상기 제 1 분배부와 연통한 단부 통로(1033n)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배부는 상기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에 관하여, 상기 단부 통로보다도 길고, 상기 단부 통로와 상기 스로틀 통로의 양쪽과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단부 통로의 상기 연장 설치 방향 단부의 벽면(1033p)을 지향하고 있는
    냉매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1033k, 1633k)와 상기 단부 통로(1033n)의 사이에는 상기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냉매의 흐름에 관한 단면적을 급격히 확대하는 확대부(1033s)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 통로와 상기 제 1 분배부는 상기 확대부의 근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1032a, 1232a, 1332a, 1432a, 1532a)를 통하여 연통해 있는
    냉매 증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1032a, 1232a, 1332a, 1432a, 1532a)는 상기 단부 벽면(1033p)의 근처와 상기 확대부의 근처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1032a, 1332a, 1432a, 1532a)의 수는 하나이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단부 벽면(1033p)의 근처로부터 상기 확대부의 근처까지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냉매 증발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1232a)의 수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연통부는 상기 단부 벽면(1033p)의 근처와 상기 확대부의 근처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코어부(1011a)의 복수의 상기 튜브의 상기 냉매 흐름 방향의 하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코어부를 통과한 냉매를 집합시키는 집합부로서, 상기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의 단부에 상기 냉매의 출구(1012a)를 구비하는 출구 집합부(1012)를 더 구비하는
    냉매 증발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냉매의 흐름에 관한 상기 단부 통로(1033n)의 단면적(A33n)은 상기 스로틀 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냉매의 흐름에 관한 상기 제 1 분배부(1013a)의 단면적(A13a)보다 큰
    냉매 증발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탱크부(1033)는,
    통형상의 부재(1033g, 1033h)와,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1033c, 1633c)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 통로(1033n)는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와 상기 중간 탱크부(1033)의 상기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를 직경 방향으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제 1 통로와 상기 제 2 통로의 스로틀 통로를 제공하는
    냉매 증발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제 1 통로와 상기 제 2 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갖고 있으며,
    상기 구획벽은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벽에 대하여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합부(1023a)와 상기 제 2 집합부(1023b)를 갖는 일련의 집합 탱크부(1023)와,
    상기 제 1 분배부(1013a)와 상기 제 2 분배부(1013b)를 갖는 일련의 분배 탱크부(101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탱크부(1033)는 상기 집합 탱크부와 상기 분배 탱크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탱크부(1033)는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X)을 따라서 상기 집합 탱크부 및 상기 분배 탱크부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증발부(1020) 및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증발부(1020)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된 제 2 증발부(10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증발부(1020)는 상기 제 1 코어부(1021a) 및 상기 제 2 코어부(1021b)를 갖는 하류측 코어부(1021)와, 상기 하류측 코어부(1021)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하류측 코어부(1021)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하류측 탱크부(1022, 1023)를 갖고,
    상기 제 2 증발부(1010)는 상기 제 3 코어부(1011a) 및 상기 제 4 코어부(1011b)를 갖는 상류측 코어부(1011)와, 상기 상류측 코어부(1011)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상류측 코어부(1011)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상류측 탱크부(1012, 1013)를 갖고,
    상기 한쌍의 하류측 탱크부의 한쪽(1023)은 상기 제 1 집합부(1023a) 및 상기 제 2 집합부(1023b)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상류측 탱크부의 한쪽(1013)은 상기 제 1 분배부(1013a) 및 상기 제 2 분배부(1013b)를 갖고 있는
    냉매 증발기.
  12.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냉매 증발기로서,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 1 증발부(20) 및 제 2 증발부(10)와,
    상기 제 1 증발부(20)와 상기 제 2 증발부(10)를 연결하는 냉매 전환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증발부(20)는,
    적층되어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복수의 제 1 튜브(211)를 갖는 열교환 코어부(21)와,
    상기 복수의 제 1 튜브(2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튜브(211)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탱크부(22, 23)를 갖고,
    상기 제 1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21)는 상기 복수의 제 1 튜브(211) 중, 일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1 코어부(21a) 및 잔부의 튜브군을 갖는 제 2 코어부(21b)를 갖고,
    상기 제 2 증발부(10)는,
    적층되어 냉매가 내부를 흐르는 복수의 제 2 튜브(111)를 갖는 열교환 코어부(11)와,
    상기 복수의 제 2 튜브(111)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튜브(1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튜브(111)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탱크부(12, 13)를 갖고,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11)는 상기 복수의 제 2 튜브(111) 중,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부(21a)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을 갖는 제 3 코어부(11a) 및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부(21b)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을 갖는 제 4 코어부(11b)를 갖고,
    상기 제 1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탱크부(22, 23) 중, 한쪽의 탱크부(23)는 상기 제 1 코어부(21a)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집합부(23a), 상기 제 2 코어부(21b)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집합부(23b)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탱크부(12, 13) 중, 한쪽의 탱크부(13)는 상기 제 3 코어부(11a)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1 분배부(13a), 상기 제 4 코어부(11b)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2 분배부(13b)와, 상기 제 1 분배부(13a) 및 상기 제 2 분배부(13b)를 상기 제 2 튜브(111)의 상기 적층 방향에서 구획하는 구획 부재(13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탱크부(12, 13) 중, 다른쪽의 탱크부(12)는 상기 제 2 튜브(111)의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도출구(12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냉매 전환부(30)는 상기 제 1 집합부(23a)의 냉매를 상기 제 2 분배부(13b)로 유도하는 제 1 연통부(31a, 32b, 33a) 및 상기 제 2 집합부(23b)의 냉매를 제 1 분배부(13a)로 유도하는 제 2 연통부(31b, 32a, 33b)를 갖고,
    상기 제 1 연통부(31a, 32b, 33a)는 냉매가 상기 제 2 분배부(13b)로 유출되는 제 1 유출구(32b, 333b)를 갖고,
    상기 제 2 연통부(31b, 32a, 33b)는 냉매가 상기 제 1 분배부(13a)로 유출되는 제 2 유출구(32a, 333a)를 갖고,
    상기 제 1 유출구(32b, 333b)는 상기 제 2 튜브(111)의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출구(32a, 333a)보다도 상기 냉매 도출구(12a)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유출구(32b, 333b)는 상기 구획 부재(131) 근처로부터 상기 제 2 튜브(111)의 상기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통부(31a, 32b, 33a)는 상기 제 1 집합부(23a)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구(31a, 332a)를 더 갖고,
    상기 제 2 연통부(31b, 32a, 33b)는 상기 제 2 집합부(23b)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31b, 332b)를 더 갖고,
    상기 제 1 연통부(31a, 32b, 33a) 및 상기 제 2 연통부(31b, 32a, 33b) 중,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서는 상기 유출구(32a, 32b, 333a, 333b)는 상기 복수의 튜브(111, 211)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1a, 31b, 332a, 332b)보다도 큰
    냉매 증발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부(31a, 32b, 33a) 및 상기 제 2 연통부(31b, 32a, 33b) 중, 상기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유출구(32a, 32b, 333a, 333b)의 상기 개구폭은 상기 제 3 코어부(11a) 및 상기 제 4 코어부(11b) 중, 상기 유출구(32a, 32b, 333a, 333b)에 연통해 있는 코어부의 상기 적층 방향의 폭의 절반 이상인
    냉매 증발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부(31a, 32b, 33a) 및 상기 제 2 연통부(31b, 32a, 33b) 중, 상기 적어도 한쪽의 연통부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1a, 31b, 332a, 332b)의 개구 면적은 상기 유출구(32a, 32b, 333a, 333b)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냉매 증발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유출구(32b, 333b)는 상기 제 4 코어부(11b)의 튜브군 중, 적어도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연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유출구(32a, 333a)는 상기 제 3 코어부(11a)의 튜브군 중, 적어도 적층 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튜브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전환부(30)는 상기 제 1, 제 2 집합부(23a, 23b)에 입구측 연통 구멍(332)을 통하여 연통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제 2 분배부(13a, 13b)에 출구측 연통 구멍(333)을 통하여 연통하는 중간 탱크부(33)를 갖고,
    상기 중간 탱크부(33)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집합부(23a)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제 2 분배부(13b)로 유도하는 제 1 냉매 통로(33a)와, 상기 제 2 집합부(23b)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제 1 분배부(13a)로 유도하는 제 2 냉매 통로(33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연통부는 상기 제 1 냉매 통로(33a)를 갖고,
    상기 제 2 연통부는 상기 제 2 냉매 통로(33b)를 갖고 있는
    냉매 증발기.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전환부(30)는,
    상기 제 1 집합부(23a)에 연통하는 제 1 연결 부재(31a)와,
    상기 제 2 집합부(23b)에 연통하는 제 2 연결 부재(31b)와,
    상기 제 1 분배부(13a)에 연통하는 제 3 연결 부재(32a)와,
    상기 제 2 분배부(13b)에 연통하는 제 4 연결 부재(32b)와,
    상기 제 1, 제 2 연결 부재(31a, 31b) 및 제 3, 제 4 연결 부재(32a, 32b)에 연결된 중간 탱크부(33)를 갖고,
    상기 중간 탱크부(33)는 내부에,
    상기 제 1 연결 부재(31a)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제 4 연결 부재(32b)로 유도하는 제 1 냉매 통로(33a)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31b)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로 유도하는 제 2 냉매 통로(33b)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연통부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31a), 상기 제 4 연결 부재(32b) 및 상기 제 1 냉매 통로(33a)를 갖고,
    상기 제 2 연통부는 상기 제 2 연결 부재(31b),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 및 상기 제 2 냉매 통로(33b)를 갖고 있는
    냉매 증발기.
  18.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증발부(10)는 상기 제 1 증발부(20)보다도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19.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출구(32b, 333b)의 폭은 상기 제 2 튜브(111)의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출구(32b, 333b)와 연통해 있는 상기 제 4 코어부(11b)의 폭의 절반 이상인
    냉매 증발기.
  20. 삭제
KR1020147026267A 2012-03-06 2013-03-04 냉매 증발기 KR101613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9573 2012-03-06
JP2012049573A JP5796518B2 (ja) 2012-03-06 2012-03-06 冷媒蒸発器
PCT/JP2013/001333 WO2013132826A1 (ja) 2012-03-06 2013-03-04 冷媒蒸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213A KR20140135213A (ko) 2014-11-25
KR101613925B1 true KR101613925B1 (ko) 2016-04-20

Family

ID=4911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267A KR101613925B1 (ko) 2012-03-06 2013-03-04 냉매 증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31841B2 (ko)
JP (1) JP5796518B2 (ko)
KR (1) KR101613925B1 (ko)
CN (1) CN104160234B (ko)
BR (1) BR112014021682B8 (ko)
DE (1) DE112013001326B4 (ko)
WO (1) WO2013132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8084B2 (en) 2013-05-10 2019-01-01 Denso Corporation Refrigerant evaporator
JP6098343B2 (ja) 2013-05-10 2017-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KR101748242B1 (ko) 2013-05-20 2017-06-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냉매 증발기
JP6432275B2 (ja) * 2014-10-21 2018-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6341099B2 (ja) * 2015-01-14 2018-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6558269B2 (ja) * 2015-02-27 2019-08-14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6558268B2 (ja) * 2015-02-27 2019-08-14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US10041740B2 (en) * 2015-05-27 2018-08-07 T.Rad Co., Ltd. Heat exchang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7003140A (ja) * 2015-06-05 2017-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6477314B2 (ja) * 2015-07-14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6583080B2 (ja) * 2016-03-22 2019-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6946105B2 (ja) * 2017-08-02 2021-10-0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交換器
EP3483546A1 (en) * 2017-11-09 2019-05-15 Valeo Autosystemy SP. Z.O.O. A condenser
CN114341587A (zh) * 2019-12-24 2022-04-12 东芝开利株式会社 热交换器以及冷冻循环装置
EP3936809A1 (en) * 2020-07-08 2022-01-12 Valeo Klimasysteme GmbH Dual heat exchanger with reciever dr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263A (ja) 2004-06-28 2006-01-12 Denso Corp 冷媒蒸発器
JP2006183962A (ja) 2004-12-28 2006-07-13 Denso Corp 蒸発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418A (en) * 1972-03-20 1973-08-07 Borg Warner Evaporator and condensate collector arrangement for refrigeration apparatus
US4041727A (en) * 1975-09-02 1977-08-16 Borg-Warner Corporation Evaporator assembly
US4040268A (en) * 1976-07-15 1977-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circuited A-coil heat exchanger
US4365487A (en) * 1980-02-06 1982-12-28 Luke Limited Refrigeration apparatus
US4546820A (en) * 1983-04-01 1985-10-15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eat exchanger assemblies with bendable tube sheet flanges
JPH0370951A (ja) 1989-08-11 1991-03-26 Aisin Seiki Co Ltd 凝縮器
EP1058070A3 (en) * 1999-06-04 2002-07-31 Denso Corporation Refrigerant evaporator
JP3391339B2 (ja) 1999-07-02 2003-03-3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EP1065453B1 (en) * 1999-07-02 2004-05-06 Denso Corporation Refrigerant evaporator with refrigerant distribution
JP4254015B2 (ja) * 2000-05-15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TW552382B (en) * 2001-06-18 2003-09-11 Showa Dendo Kk Evaporat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header for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system
JP4024095B2 (ja) 2002-07-09 2007-12-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
KR100532053B1 (ko) * 2002-12-31 2005-12-01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증발기
JP4124136B2 (ja) 2003-04-21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4248931B2 (ja) * 2003-05-20 2009-04-0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
US6904963B2 (en) * 2003-06-25 2005-06-14 Valeo, Inc. Heat exchanger
WO2005040710A1 (en) 2003-10-29 2005-05-06 Showa Denko K.K. Heat exchanger
JP4625687B2 (ja) 2003-12-08 2011-02-02 昭和電工株式会社 熱交換器
JP4667077B2 (ja) * 2004-03-09 2011-04-06 昭和電工株式会社 ジョイントプレート半製品、ジョイントプレート、ジョイントプレ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
JP4120611B2 (ja) * 2004-04-08 2008-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4281634B2 (ja) 2004-06-28 2009-06-17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2006029697A (ja) * 2004-07-16 2006-02-02 Denso Corp 冷媒蒸発器
KR20060025082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채널튜브를 이용한 증발기
KR100913141B1 (ko) * 2004-09-15 200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채널튜브를 이용한 증발기
WO2006041206A1 (en) * 2004-10-13 2006-04-20 Showa Denko K.K. Evaporator
DE502007001076D1 (de) * 2006-02-10 2009-08-27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äger mit kältespeicher
US20080011463A1 (en) * 2006-07-17 2008-01-17 Advanced Distributor Products Llc Dual flow heat exchanger header
US7942020B2 (en) * 2007-07-27 2011-05-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ulti-slab multichannel heat exchanger
DE102008052331A1 (de) * 2007-10-24 2009-06-10 Denso Corp., Kariya-shi Verdampfereinheit
KR101291033B1 (ko) * 2007-11-09 2013-08-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01487669B (zh) * 2008-01-17 2012-08-22 开利公司 包括多管式分配器的热交换器
JP5320846B2 (ja) * 2008-06-20 2013-10-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5486782B2 (ja) 2008-08-05 2014-05-07 株式会社ケーヒン・サーマル・テクノロジー エバポレータ
CN101419002B (zh) * 2008-09-04 2010-09-15 王磊 一种平行流热交换器及用途
US8051906B2 (en) * 2008-11-20 2011-11-08 Delphi Technologies, Inc. Secondary loop-integral heater core and cooler
JP5257485B2 (ja) * 2011-05-13 2013-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263A (ja) 2004-06-28 2006-01-12 Denso Corp 冷媒蒸発器
JP2006183962A (ja) 2004-12-28 2006-07-13 Denso Corp 蒸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7163A1 (en) 2015-01-29
JP5796518B2 (ja) 2015-10-21
US9631841B2 (en) 2017-04-25
CN104160234A (zh) 2014-11-19
JP2013185723A (ja) 2013-09-19
WO2013132826A1 (ja) 2013-09-12
DE112013001326T5 (de) 2014-11-20
DE112013001326B4 (de) 2023-08-31
BR112014021682B8 (pt) 2020-08-18
BR112014021682B1 (pt) 2020-07-28
CN104160234B (zh) 2016-08-24
KR20140135213A (ko)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25B1 (ko) 냉매 증발기
EP2853843B1 (en) A refrigerant distributing device, and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such a refrigerant distributing device
JP5454553B2 (ja) 冷媒蒸発器
WO2015178005A1 (ja) 積層型熱交換器
US20110056667A1 (en) Integrated multi-circuit microchannel heat exchanger
US9951996B2 (en) Refrigerant evaporator
CN103270386A (zh) 多管束扁平化管翅片式热交换器
JP7278430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8169062A (ja) 空気調和機
JP6341099B2 (ja) 冷媒蒸発器
WO2014188689A1 (ja) 冷媒蒸発器
JP5998854B2 (ja) 冷媒蒸発器
JP7086279B2 (ja) 冷媒分配器、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131705B2 (ja) 冷媒蒸発器
JP3633030B2 (ja) 冷房装置用蒸発器
JP2010107131A (ja) 冷媒蒸発器
JP2014228233A (ja) 冷媒蒸発器
JP2017003140A (ja) 冷媒蒸発器
JP6098358B2 (ja) 冷媒蒸発器
WO2016063519A1 (ja) 冷媒蒸発器
JP2001227843A (ja) レシーバタンク付き熱交換器
JP2017003199A (ja) エバポレ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