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242B1 - 냉매 증발기 - Google Patents

냉매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242B1
KR101748242B1 KR1020157032023A KR20157032023A KR101748242B1 KR 101748242 B1 KR101748242 B1 KR 101748242B1 KR 1020157032023 A KR1020157032023 A KR 1020157032023A KR 20157032023 A KR20157032023 A KR 20157032023A KR 101748242 B1 KR101748242 B1 KR 10174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core portion
tank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780A (ko
Inventor
나오히사 이시자카
다츠히코 니시노
쇼타 쟈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06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0983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0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22823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5014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09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 F28F9/021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transversal partitions the partitions being separate elements attached to header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guiding means or impingement means inside the head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Abstract

제 1 증발부(20) 및 제 2 증발부(10)는 제 1 연통부(31a, 32b, 33a) 및 제 2 연통부(31b, 32a, 33b)를 가진 냉매 교체부(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 1 증발부(20)의 탱크부(22)에는 제 1 탱크 내 공간(221)과 제 2 탱크 내 공간(222)으로 구획하는 제 1 구획 부재(24)가 설치되고, 제 1 구획 부재(24)에는 제 1 탱크 내 공간(221)과 제 2 탱크 내 공간(222)을 연통시키는 제 1 연통 구멍(241)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증발부(10)의 탱크부(12)에는 제 3 탱크 내 공간(121)과 제 4 탱크 내 공간(122)으로 구획하는 제 2 구획 부재(14)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구획 부재(14)에는 제 3 탱크 내 공간(121)과 제 4 탱크 내 공간(122)을 연통시키는 제 2 연통 구멍(141)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냉매 증발기{REFRIGERANT EVAPORATOR}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5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3―106144호와 2013년 5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3―110056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들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냉매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냉매 증발기는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예를 들면,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내부를 흐르는 냉매(액상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피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용 열교환기로서 기능한다.
이 종류의 냉매 증발기로서는, 복수의 튜브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열교환 코어부 및 복수의 튜브의 양단부에 접속된 한쌍의 탱크부를 구비하는 제 1, 제 2 증발부를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고, 각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탱크부끼리를 한쌍의 연통부를 통하여 연결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특허 문헌 2를 참조).
이 특허 문헌 1과 특허 문헌 2의 냉매 증발기에서는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를 흐른 냉매를 각 증발부의 한쪽의 탱크부 및 상기 탱크부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통부를 통하여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흘릴 때에 냉매의 흐름을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좌우 방향)에서 교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냉매 증발기는 한쌍의 연통부 중, 한쪽의 연통부에 의하여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을 흐르는 냉매를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으로 흘리는 것과 함께, 다른쪽의 연통부에 의하여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을 흐르는 냉매를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으로 흘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매 증발기에서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바람 상측 증발부의 상측 탱크부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서 냉매의 분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는,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 유량이 적은 저유량 운전 시에 있어서,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을 흐르는 냉매를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으로 흘리는 냉매 통로(AA) 및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을 흐르는 냉매를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으로 흘리는 냉매 통로(BB) 중, 냉매 통로(AA)에 모든 액상 냉매가 흐르고, 냉매 통로(BB)에 전혀 액상 냉매가 흐르지 않을 염려가 있다.
이 경우, 냉매 통로(AA)에는 액상 냉매가 흐르기 때문에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일측과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폭방향 타측에는 액상 냉매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냉매 증발기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 및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에 액상 냉매가 흐른다.
이와 같이, 액상 냉매가 분포하는 냉매 증발기에서는 각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냉매가 송풍 공기로부터 현열 및 잠열을 흡열하기 때문에 송풍 공기를 충분히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저유량 운전 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액상 냉매의 분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제 1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냉매를 분배하는 입구측 탱크부에 있어서,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 도입부로부터 제 2 증발부의 2개의 열교환 코어부의 경계와 대향하는 위치(이하, 경계 대향 부위라 한다)까지 냉매를 흘릴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특허 문헌 3에, 냉매 도입부에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저유량 운전 시에 있어서도 입구측 탱크부의 안측(냉매 도입부와 반대측의 단부)까지 액상 냉매를 보냄으로써 액상 냉매의 분배성을 향상시키는 냉매 증발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62568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제412413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제4106998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매 증발기에서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바람 하측 증발부에 있어서의 탱크부의 세로 방향(튜브의 적층 방향)의 단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기 때문에 바람 하측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서는 유입된 냉매의 관성력, 중력, 바람 상측 증발부의 튜브의 배압 및 바람 상측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있어서의 피냉각 유체의 분포의 영향에 의해 냉매 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 유량이 많은 고유량 시에는 냉매의 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냉매의 관성력에 의해 냉매는 냉매 도입부에 가까운 측의 튜브로 흐르기 어렵고, 냉매 도입부로부터 먼 측으로 흐르기 쉽다. 한편,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 유량이 적은 저유량 시에는 냉매의 유속이 늦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받기 쉬워져서, 냉매 도입부로부터 먼 측의 튜브로 냉매가 흐르기 어렵고, 냉매 도입부에 가까운 측으로 흐르기 쉽다.
따라서,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매 증발기에서는 냉매의 유량 변동에 의하여 바람 하측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에서 냉매 분배의 편향이 발생하고, 바람 상측 증발부의 2개의 열교환 코어로의 냉매 공급량도 그에 동반하여 편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냉매 분배성이 악화한다.
또,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노즐을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냉매 증발기에 적용한 경우, 제 1 증발부의 2개의 열교환 코어부 중, 냉매 도입부에 가까운 측의 열교환 코어부(이하, 입구측 열교환 코어부라 한다)에 액상 냉매를 충분히 흘리기 위해서는, 냉매 도입부로부터 상기 경계 대향 부위보다도 안측까지 액상 냉매를 보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냉매 도입부로부터 상기 경계 대향 부위보다도 안측까지 액상 냉매를 보내면, 입구측 열교환 코어부에 흐르는 액상 냉매의 유량이 부족하여, 냉매 증발기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액상 냉매가 흐르지 않는 영역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냉매 증발기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게 된다.
본 개시는 액상 냉매의 분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냉매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 냉매 증발기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냉매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는,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냉매 증발기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제 1 증발부 및 제 2 증발부를 구비한다. 제 1 증발부 및 제 2 증발부 각각은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튜브를 적층하여 구성된 열교환 코어부와, 복수의 튜브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복수의 튜브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탱크부를 가진다.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는 복수의 튜브 중 일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1 코어부 및 잔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2 코어부를 가진다.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는 복수의 튜브 중,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제 1 코어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3 코어부 및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제 2 코어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4 코어부를 가진다.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한쪽의 탱크부는 제 1 코어부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냉매 집합부와, 제 2 코어부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냉매 집합부를 포함한다.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한쪽의 탱크부는 제 3 코어부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1 냉매 분배부와, 제 4 코어부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2 냉매 분배부를 포함한다. 제 1 증발부 및 제 2 증발부는 제 1 냉매 집합부의 냉매를 제 2 냉매 분배부로 유도하는 제 1 연통부 및 제 2 냉매 집합부의 냉매를 제 1 냉매 분배부로 유도하는 제 2 연통부를 가진 냉매 교체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다른쪽의 탱크부에는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의 탱크 내 공간을 튜브의 세로 방향으로 제 1 탱크 내 공간과 제 2 탱크 내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 1 구획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구획 부재에는 제 1 탱크 내 공간과 제 2 탱크 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연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 중, 다른쪽의 탱크부에는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의 탱크 내 공간을 튜브의 세로 방향으로 제 3 탱크 내 공간과 제 4 탱크 내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 2 구획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구획 부재에는 제 3 탱크 내 공간과 제 4 탱크 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연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연통 구멍 및 제 2 연통 구멍은 제 1 증발부의 다른쪽의 탱크부와 제 2 증발부의 다른쪽의 탱크부의 사이의 중심을 지나서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구획 부재에 제 1 탱크 내 공간과 제 2 탱크 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연통 구멍을 설치하고, 제 2 구획 부재에 제 3 탱크 내 공간과 제 4 탱크 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2 연통 구멍을 설치하고, 제 1 연통 구멍 및 제 2 연통 구멍을 제 1 증발부의 다른쪽의 탱크부와 제 2 증발부의 다른쪽의 탱크부의 사이의 중심을 지나서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냉매 증발기를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증발부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 및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의 튜브의 압력 손실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코어부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 냉매 증발기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증발부의 한쌍의 탱크부 중, 다른쪽의 탱크부에 있어서의 튜브의 적층 방향의 단부에는 다른쪽의 탱크부 내부로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증발부의 다른쪽의 탱크부 내에는 냉매 도입부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하는 댐부가 설치되어 있다. 댐부는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제 3 코어부와 제 4 코어부의 경계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증발부의 다른쪽의 탱크부 내에 냉매 도입부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하는 댐부를 설치함으로써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도 냉매 도입부와 댐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로 액상 냉매를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또, 댐부를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제 3 코어부와 제 4 코어부의 경계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증발부에 있어서의 제 3 코어부 및 제 4 코어부 중, 냉매 도입부와 댐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와 대향하지 않는 쪽의 코어부로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냉매 증발기를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증발부 및 제 2 증발부의 열교환 코어부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으로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 냉매 증발기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냉매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탱크부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중간 탱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의 각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 유량이 고유량인 경우의 각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제 1 구획 부재 및 제 2 구획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제 1 구획 부재 및 제 2 구획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제 1 구획 부재 및 제 2 구획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제 1 구획 부재 및 제 2 구획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냉매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 근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댐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각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의 각 열교환 코어부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 근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 근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 상호에 있어서, 서로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에는 도면 중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는 차실내의 온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에 적용되고, 차실내에 송풍하는 송풍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냉매(액상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송풍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용 열교환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공기가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에 상당한다.
냉동 사이클은 주지와 같이, 냉매 증발기(1) 이외에, 도시하지 않는 압축기, 방열기(응축기), 팽창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열기와 팽창 밸브의 사이에 수액기를 배치하는 리시버 사이클(receiver cycle)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냉동 사이클의 냉매에는 압축기를 윤활하기 위한 냉동기유가 혼입되어 있고, 냉동기유의 일부는 냉매와 함께 사이클을 순환한다.
여기에서, 도 2에서는 후술하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에 있어서의 튜브(111, 211) 및 핀(112, 21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매 증발기(1)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X)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2개의 증발부(10, 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증발부(10, 20) 중, 송풍 공기의 공기 흐름 방향의 바람 상측(상류측)에 배치되는 증발부를 바람 상측 증발부(10)라 부르고,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의 바람 하측(하류측)에 배치되는 증발부를 바람 하측 증발부(20)라 부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증발부(10)가 “제 2 증발부”를 구성하고, 바람 하측 증발부(20)가 “제 1 증발부”를 구성한다.
바람 상측 증발부(10) 및 바람 하측 증발부(20)의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고, 각각 열교환 코어부(11, 21)와, 열교환 코어부(11, 21)의 상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탱크부(12, 13, 22, 23)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를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라 부르고,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열교환 코어부를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라 부른다. 또,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12, 13) 중, 상측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라 부르고, 하측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라 부른다. 마찬가지로,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한쌍의 탱크부(22, 23) 중, 상측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라 부르고, 하측에 배치되는 탱크부를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라 부른다.
본 실시 형태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 및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튜브(111, 211)와, 이웃하는 튜브(111, 211)의 사이에 접합되는 핀(112, 212)이 번갈아 적층 배치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복수의 튜브(111, 211) 및 복수의 핀(112, 212)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적층 방향을 튜브 적층 방향이라 부르고, 튜브(111, 211)의 세로 방향을 튜브 세로 방향이라 부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튜브(111, 21)의 세로 방향이 연직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고, 튜브 적층 방향이 수평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는 복수의 튜브(111) 중 일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 및 잔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가 “제 3 코어부”를 구성하고,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가 “제 4 코어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우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가 구성되고, 튜브 적층 방향의 좌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가 구성되어 있다.
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는 복수의 튜브(211) 중 일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 및 잔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가 “제 1 코어부”를 구성하고,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가 “제 2 코어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튜브 적층 방향의 우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가 구성되고, 튜브 적층 방향의 좌측에 존재하는 튜브군으로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 및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 각각이 중합(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과 함께,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 각각이 중합(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튜브(111, 211)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 통로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그 단면 형상이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편평 형상으로 되는 편평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튜브(111)는 세로 방향의 일단측(상단측)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의 타단측(하단측)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튜브(211)는 세로 방향의 일단측(상단측)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의 타단측(하단측)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어 있다.
각 핀(112, 212)은 박판재를 물결 형상으로 구부려서 성형한 코러게이트 핀(corrugate fin)이고, 튜브(111, 211)에 있어서의 평탄한 외면측에 접합되어, 송풍 공기와 냉매의 전열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열교환 촉진부를 구성한다.
튜브(111, 211) 및 핀(112, 212)의 적층체에는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에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보강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13, 2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113, 213)는 튜브 적층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핀(112, 212)에 접합되어 있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는 일단측이 폐쇄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에, 탱크 내부로 팽창 밸브(도시 생략)에서 감압된 저압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부(22a)가 형성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는 저부에 각 튜브(211)의 일단측(상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는, 그 내부 공간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각 튜브(211)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각 코어부(21a, 21b)로 냉매를 분배하는 냉매 분배부로서 기능한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부에는 튜브(2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의 부위에 제 1 구획 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구획 부재(24)에 의하여 탱크 내부 공간이 튜브 세로 방향으로 제 1 탱크 내 공간(221)과 제 2 탱크 내 공간(222)의 2개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구획 부재(24)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부에 있어서의 튜브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획 부재(24)에는 제 1 탱크 내 공간(221)과 제 2 탱크 내 공간(222)을 연통시키는 제 1 연통 구멍(24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 1 연통 구멍(241)은 제 1 구획 부재(2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 근처에 1개씩 합계 2개 설치되어 있다.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구획 부재(231)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획 부재(231)에 의하여 탱크 내부 공간이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구성하는 각 튜브(211)가 연통하는 공간과,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구성하는 각 튜브(211)가 연통하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내부 중,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구성하는 각 튜브(211)에 연통하는 공간이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냉매 집합부(23a)를 구성하고,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구성하는 각 튜브(211)가 연통하는 공간이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냉매 집합부(23b)를 구성한다.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는 일단측(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좌측단부)이 폐쇄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우측단부)에 탱크 내부로부터 압축기(도시 생략)의 흡입측으로 냉매를 도출하기 위한 냉매 도출부(12a)가 형성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는 저부에 각 튜브(111)의 일단측(상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는, 그 내부 공간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튜브(111)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각 코어부(11a, 11b)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냉매 집합부로서 기능한다.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내부에는 튜브(1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와 반대측의 부위에 제 2 구획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구획 부재(14)에 의하여 탱크 내부 공간이 튜브 세로 방향으로 제 3 탱크 내 공간(121)과 제 4 탱크 내 공간(122)의 2개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구획 부재(14)는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내부에 있어서의 튜브 세로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획 부재(14)에는 제 3 탱크 내 공간(121)과 제 4 탱크 내 공간(122)을 연통시키는 제 2 연통 구멍(14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연통 구멍(141)은 제 2 구획 부재(1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중앙부 근처에 3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연통 구멍(141)은 제 1 연통 구멍(241)보다도 구멍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은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와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사이의 중심을 지나서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과 직교하는 가상선(LL)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은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구획 부재(1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연통 구멍(141)의 총 면적이 제 1 구획 부재(2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의 총 면적보다 크다. 또, 각 제 2 연통 구멍(141)의 면적이 각 제 1 연통 구멍(241)의 면적보다 크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는 천정부에 각 튜브(111)의 타단측(하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는, 그 내부 공간이 각 튜브(111)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구획 부재(131)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획 부재(131)에 의하여 탱크 내부 공간이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를 구성하는 각 튜브(111)가 연통하는 공간과,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구성하는 각 튜브(111)가 연통하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내부 중,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를 구성하는 각 튜브(111)에 연통하는 공간이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에 냉매를 분배하는 제 1 냉매 분배부(13a)를 구성하고,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구성하는 각 튜브(111)에 연통하는 공간이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에 냉매를 분배하는 제 2 냉매 분배부(13b)를 구성한다.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는 천정부에 각 튜브(211)의 타단측(하단측)이 삽입 접합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는, 그 내부 공간이 각 튜브(211)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 각각은 냉매 교체부(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냉매 교체부(30)는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있어서의 제 1 냉매 집합부(23a) 내의 냉매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있어서의 제 2 냉매 분배부(13b)로 유도하는 것과 함께,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있어서의 제 2 냉매 집합부(23b) 내의 냉매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있어서의 제 1 냉매 분배부(13a)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냉매 교체부(30)는 냉매의 흐름을 각 열교환 코어부(11, 21)에서 코어 폭방향으로 교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교체부(30)는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냉매 집합부(23a, 23b)에 연결된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있어서의 각 냉매 분배부(13a, 13b)에 연결된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와,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및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각각에 연결된 중간 탱크부(33)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은 내부에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유통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이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중, 한쪽을 구성하는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는 일단측이 제 1 냉매 집합부(23a)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1 냉매 유통로(33a)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쪽을 구성하는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는 일단측이 제 2 냉매 집합부(23b)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2 냉매 유통로(33b)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의 일단측이 제 1 냉매 집합부(23a) 중, 구획 부재(231)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고,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의 일단측이 제 2 냉매 집합부(23b) 중,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폐쇄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은 내부에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유통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이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타단측이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중, 한쪽을 구성하는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는 일단측이 제 1 냉매 분배부(13a)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2 냉매 유통로(33b)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는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유통로(33b)를 통하여 상기의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와 연통해 있다.
또, 다른쪽을 구성하는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는 일단측이 제 2 냉매 분배부(13b)에 연통하도록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측이 후술하는 중간 탱크부(33) 내의 제 1 냉매 유통로(33a)에 연통하도록 중간 탱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는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유통로(33a)를 통하여 상기의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와 연통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의 일단측이 제 1 냉매 분배부(13a) 중,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폐쇄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고,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의 일단측이 제 2 냉매 분배부(13b) 중, 구획 부재(131)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각각은 냉매 교체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입구를 구성하고,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각각은 냉매 교체부(30)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출구를 구성한다.
중간 탱크부(33)는 양단측이 폐쇄된 통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간 탱크부(33)는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탱크부(33)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그 일부(상측의 부위)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와 중합하고, 타부(하측의 부위)가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와 중합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탱크부(33)의 일부를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 및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와 중합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에 있어서, 바람 상측 증발부(10) 및 바람 하측 증발부(20)를 근접한 배치 형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탱크부(3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냉매 증발기(1)의 체격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탱크부(33)의 내부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구획 부재(331)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획 부재(331)에 의하여 탱크 내부의 공간이 제 1 냉매 유통로(33a)와 제 2 냉매 유통로(33b)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냉매 유통로(33a)는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로부터의 냉매를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로 유도하는 냉매 유통로를 구성한다. 한편, 제 2 냉매 유통로(33b)는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로부터의 냉매를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로 유도하는 냉매 유통로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1 냉매 유통로(33a)가 “제 1 연통부”를 구성한다. 또,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 중간 탱크부(33)에 있어서의 제 2 냉매 유로(33b)가 “제 2 연통부”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밸브(도시 생략)에서 감압된 저압 냉매는 화살표 A와 같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일단측에 형성된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탱크 내부로 도입되고, 제 2 구획 부재(24)의 제 1 연통 구멍(241)을 통과한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부로 도입된 냉매는 화살표 B와 같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하강한다. 또, 제 1 구획 부재(24)의 제 1 연통 구멍(241)을 통과한 냉매는 화살표 C와 같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하강한다.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하강한 냉매는 화살표 D와 같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1 냉매 집합부(23a)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하강한 냉매는 화살표 E와 같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2 냉매 집합부(23b)로 유입된다.
제 1 냉매 집합부(23a)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F와 같이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를 통하여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유통로(33a)로 유입된다. 또, 제 2 냉매 집합부(23b)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G와 같이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를 통하여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유통로(33b)로 유입된다.
제 1 냉매 유통로(33a)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H와 같이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를 통하여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냉매 분배부(13b)로 유입된다. 또, 제 2 냉매 유통로(33b)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I와 같이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를 통하여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1 냉매 분배부(13a)로 유입된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냉매 분배부(13b)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J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상승한다. 한편, 제 1 냉매 분배부(13a)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K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를 상승한다.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상승한 냉매 및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를 상승한 냉매는 각각 화살표 L, M과 같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탱크 내부로 유입되고, 화살표 N과 같이 제 2 구획 부재(14)의 제 2 연통 구멍(141)을 통과하여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일단측에 형성된 냉매 도출부(12a)로부터 압축기(도시 생략) 흡입측으로 도출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제 1 구획 부재(24)에 제 1 연통 구멍(241)을 설치하고, 제 2 구획 부재(14)에 제 2 연통 구멍(141)을 설치하고,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와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사이의 중심을 지나서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과 직교하는 가상선(LL)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2 구획 부재(14)에 제 2 연통 구멍(141)을 설치하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복수의 튜브(111)에 있어서의 제 2 연통 구멍(141) 근처에 배치되는 튜브(이하, 바람 상측 중앙 튜브(111)라 한다) 및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복수의 튜브(211) 중,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중앙 튜브(111)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튜브(이하, 바람 하측 중앙 튜브(211)라 한다)의 압력 손실이 저하한다.
이때,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있어서, 바람 하측 중앙 튜브(211)의 압력 손실이 저하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튜브(211)에 있어서 배압이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서는 튜브 적층 방향의 중앙부로 액상 냉매가 흐르기 쉬워지고,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로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구획 부재(24)에 제 1 연통 구멍(241)을 설치하고 있고, 또한,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와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사이의 중심을 지나서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과 직교하는 가상선(LL)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연통 구멍(241)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연통 구멍(141)과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복수의 튜브(211)에 있어서의 제 1 연통 구멍(241) 근처에 배치되는 튜브(이하, 바람 하측 단부 튜브(211)라 한다) 및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복수의 튜브(111) 중,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하측 단부 튜브(211)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튜브(이하, 바람 상측 단부 튜브(111)라 한다)의 압력 손실이 저하한다.
따라서, 냉매 증발기(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 및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의 튜브(111, 211)의 압력 손실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 코어부(11, 21)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냉매 증발기(1)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의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이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가 저유량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7이 냉동 사이클 내를 순환하는 냉매가 고유량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7(a)는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고, 도 6(b) 및 도 7(b)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냉매 증발기(1)를 도 1의 화살표 Y방향(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의 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중의 음영 부분(shaded portion)으로 나타낸 부분이 액상 냉매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 도 6 및 도 7에 있어서의 파선은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에 제 1 구획 부재(24) 및 제 1 연통 구멍(24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냉매 증발기)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의 선단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는 중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도 6(a)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 도입부(22a)에 가까운 측의 튜브(211)로 냉매가 유입되기 쉬워지고,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먼 측으로 냉매가 흐르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도 6(a)의 사선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먼 측으로 냉매가 흐르기 쉬워져 있다.
또,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있어서 냉매 도입부(22a)에 가까운 측의 튜브(211)로 냉매가 유입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서는 도 6(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에서는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보다도 액상 냉매의 유량이 적어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도 6(b)의 사선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액상 냉매의 유량이 보다 균일해진다.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고유량인 경우,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는 관성력에 의해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먼 측으로 흐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도 7(a)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 도입부(22a)에 가까운 측으로 냉매가 흐르기 어려워지고,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먼 측의 튜브(211)로 냉매가 유입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도 7(a)의 사선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 도입부(22a)에 가까운 측으로 냉매가 흐르기 쉬워져 있다.
또,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있어서의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먼 측의 튜브(211)로 냉매가 유입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에서는 도 7(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에서는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보다도 액상 냉매의 유량이 많아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도 7(b)의 사선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액상 냉매의 유량이 보다 균일해진다.
그런데 냉매는 냉매 흐름 하류측을 향할수록 팽창하여 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 2 구획 부재(1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연통 구멍(141)의 총 면적을 제 1 구획 부재(2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의 총 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으로 냉매가 팽창한 경우에도 제 2 연통 구멍(141)으로 냉매가 유입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제 2 연통 구멍(141) 및 제 1 연통 구멍(241)의 구성이 다른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 중 일부의 제 1 연통 구멍(241a)은 제 2 연통 구멍(1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 중 잔부의 제 1 연통 구멍(241b)은 제 2 연통 구멍(1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연통 구멍(141) 중 일부의 제 2 연통 구멍(141a)은 제 1 연통 구멍(2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 2 연통 구멍(141) 중 잔부의 제 2 연통 구멍(141b)은 제 1 연통 구멍(2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은 제 1 구획 부재(24) 및 제 2 구획 부재(14)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c)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잔부의 제 1 연통 구멍(241b)은 제 1 구획 부재(2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일부의 제 1 연통 구멍(241a)은 잔부의 제 1 연통 구멍(241b)에 이웃하도록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잔부의 제 2 연통 구멍(141b)은 제 2 구획 부재(1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중앙부에 하나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일부의 제 2 연통 구멍(141a)은 잔부의 제 2 연통 구멍(141b)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 중 잔부의 제 1 연통 구멍(241b)이 제 2 연통 구멍(1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실시 형태)
제 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3에서는 후술하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에 있어서의 튜브(111, 211) 및 핀(112, 21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부에는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상기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하는 댐부로서의 댐 플레이트(524)가 설치되어 있다.
댐 플레이트(524)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있다. 또, 댐 플레이트(524)에는, 그 표리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52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241)은 댐 플레이트(524)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상측(튜브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댐 플레이트(524)의 연직 방향 하측(튜브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가까운 측)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524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이하, 댐부(5242)라 한다)에 있어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댐부(5242)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댐부(5242)의 상측 단부는 튜브(2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해 있다.
또, 댐 플레이트(524)의 연직 방향 상측(튜브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524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이하, 돌출부(5243)라 한다)에 있어서,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유입될 때에 비산한 액상 냉매를 낙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5243)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상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 플레이트(524)는 냉매 증발기(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위치(도 14 중의 일점쇄선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경계(5110)는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 중앙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댐 플레이트(524)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댐 플레이트(524)(보다 상세하게는 댐부(5242))가 “댐부”를 구성하고, 돌출부(5243)가 “돌출부”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 있어서의 냉매의 흐름에 대하여 도 1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밸브(도시 생략)에서 감압된 저압 냉매는 화살표 A와 같이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일단측에 형성된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탱크 내부로 도입된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부로 도입된 냉매는 화살표 B와 같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하강한다. 또, 댐 플레이트(524)의 관통 구멍(5241)을 통과한 냉매는 화살표 C와 같이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의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하강한다.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하강한 냉매는 화살표 D와 같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1 냉매 집합부(23a)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를 하강한 냉매는 화살표 E와 같이 제 2 바람 하측 탱크부(23)의 제 2 냉매 집합부(23b)로 유입된다.
제 1 냉매 집합부(23a)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F와 같이 제 1 집합부 연결 부재(31a)를 통하여 중간 탱크부(33)의 제 1 냉매 유통로(33a)로 유입된다. 또, 제 2 냉매 집합부(23b)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G와 같이 제 2 집합부 연결 부재(31b)를 통하여 중간 탱크부(33)의 제 2 냉매 유통로(33b)로 유입된다.
제 1 냉매 유통로(33a)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H와 같이 제 2 분배부 연결 부재(32b)를 통하여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냉매 분배부(13b)로 유입된다. 또, 제 2 냉매 유통로(33b)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I와 같이 제 1 분배부 연결 부재(32a)를 통하여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1 냉매 분배부(13a)로 유입된다.
제 2 바람 상측 탱크부(13)의 제 2 냉매 분배부(13b)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J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상승한다. 한편, 제 1 냉매 분배부(13a)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K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를 상승한다.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를 상승한 냉매 및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를 상승한 냉매는 각각 화살표 5L, 5M과 같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탱크 내부로 유입되고, 화살표 N과 같이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일단측에 형성된 냉매 도출부(12a)로부터 압축기(도시 생략) 흡입측으로 도출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에,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상기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하는 댐 플레이트(524)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도 냉매 도입부(22a)와 댐 플레이트(524)의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211)(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구성하는 튜브(211))로 액상 냉매를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댐 플레이트(524)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와 대향하지 않는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로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냉매 증발기(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 및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으로 액상 냉매를 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 냉매 증발기(1)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에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7은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에 댐 플레이트(524)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냉매 증발기)의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의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a) 및 도 18(a)는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7(b) 및 도 18(b)는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7(c) 및 도 18(c)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의 합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냉매 증발기(1)를 도 12의 화살표 Y방향(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의 역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중의 음영 부분으로 나타낸 부분이 액상 냉매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 도 18에 있어서의 파선은 설명을 위해,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 있어서의 액상 냉매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17(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의 일부 및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의 대부분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의 여백 부분)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에서는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보다도 액상 냉매의 유량이 적어지고,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 및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양쪽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의 여백 부분)이 발생한다.
그리고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 및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일부에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 여백 부분)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서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부에 댐 플레이트(52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18(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댐 플레이트(524)에 의해 저지된 액상 냉매가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의 대략 전역으로 액상 냉매가 흐른다. 한편,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에는 액상 냉매가 거의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의 대략 전역으로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의 여백 부분)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를 흐르는 액상 냉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의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로 유입되는 액상 냉매의 유량이 증가하여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대략 전역으로 액상 냉매가 흐른다. 한편,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로 유입되는 액상 냉매의 유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의 대략 전역으로 액상 냉매가 흐르기 어려운 부분(도면 중의 여백 부분)이 발생한다.
그리고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냉매 증발기(1)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 및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에 있어서의 중합하는 부위의 전역에 액상 냉매가 흐른다.
(제 4 실시 형태)
제 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9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 형태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댐부의 구성이 달라 있다.
여기에서,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복수의 튜브(211) 중,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부위(도면 중의 일점쇄선 참조)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튜브(211)를 경계 튜브(5211a)라 한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부에 있어서, 경계 튜브(5211a)의 세로 방향 단부가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복수의 튜브(211) 중, 경계 튜브(5211a) 이외의 튜브(2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으로 돌출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튜브(211)의 상측 단부가 바람 하측 증발부(20)에 있어서의 복수의 튜브(211) 중, 경계 튜브(5211a) 이외의 튜브(211)의 상측 단부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 경계 튜브(5211a)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부에 배치되는 부위에 의하여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도면 중의 점해칭 부분)의 흐름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도 냉매 도입부(22a)와 경계 튜브(5211a)의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211)(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구성하는 튜브(211))로 액상 냉매를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계 튜브(5211a)가 “댐부”를 구성한다.
(제 5 실시 형태)
제 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0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 형태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댐부의 구성이 달라 있다.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에 있어서의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 상측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와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부위(도면 중의 일점쇄선 참조)에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525)가 상기 경계(5110)와 중합하는 부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525)는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 자체를 탱크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25) 중, 상측, 즉, 튜브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바람 하측 코어부(21)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부위(이하, 제 1 볼록부(5251)라 한다)에 있어서,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유입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할 수 있다. 또, 볼록부(525) 중, 하측, 즉, 튜브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바람 하측 코어부(2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이하, 제 2 볼록부(5252)라 한다)에 있어서,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유입될 때에 비산한 액상 냉매를 낙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도 냉매 도입부(22a)와 볼록부(525)의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211)(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를 구성하는 튜브(211))로 액상 냉매를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볼록부(5251)가 “댐부”를 구성하고, 제 2 볼록부(5252)가 “돌출부”를 구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교체부(30)를 한쌍의 집합부 연결 부재(31a, 31b), 한쌍의 분배부 연결 부재(32a, 32b) 및 중간 탱크부(33)로 구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냉매 교체부(30)의 중간 탱크부(33)를 생략하고, 각 연결 부재(31a, 31b, 32a, 32b)끼리를 직접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증발기(1)로서,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 및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가 중합하도록 배치되는 것과 함께,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가 중합하도록 배치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매 증발기(1)로서는,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제 1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a) 및 제 1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a)의 적어도 일부가 중합하도록 배치하거나, 제 2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b) 및 제 2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b)의 적어도 일부가 중합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이, 냉매 증발기(1)에 있어서의 바람 상측 증발부(10)를 바람 하측 증발부(20)보다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람 상측 증발부(10)를 바람 하측 증발부(20)보다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복수의 튜브(111, 211)와 핀(112, 212)으로 구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튜브(111, 211)만으로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각 열교환 코어부(11, 21)를 복수의 튜브(111, 211)와 핀(112, 212)으로 구성하는 경우, 핀(112, 212)은 코러게이트 핀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핀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증발기(1)를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사이클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급탕기 등에 이용되는 냉동 사이클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구획 부재(14)를 제 1 바람 상측 탱크부(12)의 내부에 있어서의 튜브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튜브(1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바람 상측 열교환 코어부(11)와 반대측의 부위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구획 부재(24)를 제 1 바람 하측 탱크부(22)의 내부에 있어서의 튜브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튜브(2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바람 하측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의 부위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은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예로서, 제 1 연통 구멍(241)을 제 1 구획 부재(2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 근처에 1개씩 설치하는 것과 함께,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2 구획 부재(1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중앙부 근처에 3개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연통 구멍(241)을 제 1 구획 부재(2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양단부 근처에 3개씩 설치하는 것과 함께,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2 구획 부재(1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중앙부 근처에 3개 설치해도 좋다. 이때,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은 제 1 구획 부재(24) 및 제 2 구획 부재(14)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c)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2 구획 부재(1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냉매 도출부(12a)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 설치하고, 제 1 연통 구멍(241)을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제 2 연통 구멍(141)과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해도 좋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 중 일부의 제 1 연통 구멍(241a)을 제 2 연통 구멍(1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과 함께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 중 잔부의 제 1 연통 구멍(241b)을 제 2 연통 구멍(141)과 송풍 공기의 흐름 방향(X)에서 보았을 때에 중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예로서,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1 구획 부재(24) 및 제 2 구획 부재(14)의 튜브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c)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제 1 연통 구멍(241) 및 제 2 연통 구멍(14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제 1 연통 구멍(241)을 제 1 구획 부재(2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전역에 설치하는 것과 함께, 직경이 다른 제 2 연통 구멍(141)을 제 2 구획 부재(14)에 있어서의 튜브 적층 방향의 중앙부 근처에 복수 설치해도 좋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외부를 흐르는 피냉각 유체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냉매 증발기로서,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제 1 증발부(20) 및 제 2 증발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증발부(20) 및 상기 제 2 증발부(10) 각각은,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튜브(111, 211)를 적층하여 구성된 열교환 코어부(11, 21)와,
    상기 복수의 튜브(111, 211)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튜브(111, 211)를 흐르는 냉매의 집합 또는 분배를 실시하는 한쌍의 탱크부(12, 13, 22, 23)를 가지고,
    상기 제 1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21)는 상기 복수의 튜브(211) 중 일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1 코어부(21a) 및 잔부의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2 코어부(21b)를 가지고,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11)는 상기 복수의 튜브(111) 중,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부(21a)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3 코어부(11a) 및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어부(21b)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튜브군으로 구성되는 제 4 코어부(11b)를 가지고,
    상기 제 1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탱크부(22, 23) 중, 한쪽의 탱크부(23)는 상기 제 1 코어부(21a)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1 냉매 집합부(23a), 상기 제 2 코어부(21b)로부터의 냉매를 집합시키는 제 2 냉매 집합부(2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한쌍의 탱크부(12, 13) 중, 한쪽의 탱크부(13)는 상기 제 3 코어부(11a)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1 냉매 분배부(13a), 상기 제 4 코어부(11b)에 냉매를 분배시키는 제 2 냉매 분배부(1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증발부(20) 및 상기 제 2 증발부(10)는 상기 제 1 냉매 집합부(23a)의 냉매를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13b)로 유도하는 제 1 연통부(31a, 32b, 33a) 및 상기 제 2 냉매 집합부(23b)의 냉매를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13a)로 유도하는 제 2 연통부(31b, 32a, 33b)를 가진 냉매 교체부(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한쌍의 탱크부(22, 23) 중, 다른쪽의 탱크부(22)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211)의 적층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 내부로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부(22a)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 내에는 상기 냉매 도입부(22a)로부터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 내로 유입된 액상 냉매의 흐름을 저지하는 댐부(524, 5211a, 525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댐부(524, 5211a, 5251)는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코어부(11a)와 상기 제 4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댐부(524, 5211a, 5251)는 상기 냉매 도입부(22a)와 상기 댐부(524, 5211a, 5251)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튜브(211)에 상기 액상 냉매를 유입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제 3 코어부(11a) 및 상기 제 4 코어부(11b) 중, 상기 냉매 도입부(22a)와 상기 댐부(524, 5211a, 5251)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튜브(211)와 대향하지 않는 쪽의 코어부에 상기 액상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 증발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 내에는 판형상의 댐 플레이트(5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댐 플레이트(524)는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댐 플레이트(524)가 상기 댐부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 증발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튜브(211) 중,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코어부(11a)와 상기 제 4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부위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튜브(5211a)를 경계 튜브(5211a)로 했을 때,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 내부에 있어서, 상기 경계 튜브(5211a)의 세로 방향 단부가 상기 제 1 증발부(20)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튜브(211) 중, 상기 경계 튜브(5211a) 이외의 튜브(2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으로 돌출해 있고,
    상기 경계 튜브(5211a)가 상기 댐부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 증발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에는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52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5251)가 상기 댐부를 구성하고 있는
    냉매 증발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다른쪽의 탱크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증발부(20)의 상기 복수의 튜브(211)의 세로 방향 단부보다도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상기 열교환 코어부(21)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5243, 52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5243, 5252)는 상기 피냉각 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증발부(10)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코어부(11a)와 상기 제 4 코어부(11b)의 경계(5110)와 중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증발부(20) 및 상기 제 2 증발부(10)는 상기 튜브(111, 211)의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냉매 증발기.
KR1020157032023A 2013-05-20 2014-05-16 냉매 증발기 KR101748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6144 2013-05-20
JP2013106144A JP6098358B2 (ja) 2013-05-20 2013-05-20 冷媒蒸発器
JP2013110056A JP2014228233A (ja) 2013-05-24 2013-05-24 冷媒蒸発器
JPJP-P-2013-110056 2013-05-24
PCT/JP2014/002590 WO2014188689A1 (ja) 2013-05-20 2014-05-16 冷媒蒸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780A KR20150140780A (ko) 2015-12-16
KR101748242B1 true KR101748242B1 (ko) 2017-06-16

Family

ID=5193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023A KR101748242B1 (ko) 2013-05-20 2014-05-16 냉매 증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1659B2 (ko)
KR (1) KR101748242B1 (ko)
CN (1) CN105229394B (ko)
WO (1) WO2014188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9955B (zh) * 2014-02-27 2018-10-1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
JP6341099B2 (ja) * 2015-01-14 2018-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CN105973031B (zh) * 2015-03-11 2018-04-10 Lg电子株式会社 热交换器
DE102018207902A1 (de) * 2018-05-18 2019-11-21 Mahle International Gmbh Wärmeübertrager, insbesondere Ladeluftkühl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N110887276B (zh) * 2018-09-07 2021-12-2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蒸发器和车辆
JP7225666B2 (ja) * 2018-10-18 2023-02-21 日本電産株式会社 冷却ユニ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716A (ja) * 2003-04-21 2005-08-04 Denso Corp 冷媒蒸発器
JP2006170598A (ja) * 2004-05-11 2006-06-29 Showa Denko Kk 熱交換器
JP2010038447A (ja) * 2008-08-05 2010-02-18 Showa Denko Kk 熱交換器
JP2012032112A (ja) * 2010-08-02 2012-02-16 Fuji Electric Co Ltd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189U (ko) * 1984-11-26 1986-06-20
JPH0739895B2 (ja) * 1986-06-23 1995-05-01 日本電装株式会社 冷媒蒸発器
JPH04106998A (ja) 1990-08-24 1992-04-08 Toshiba Corp セラミックス多層基板の製造方法
JP3121827B2 (ja) 1990-09-04 2001-01-09 メドコ・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デノシンまたはそのリン酸化誘導体を活性成分とする気管支収縮性肺疾患の診断剤
JPH08136182A (ja) * 1994-11-11 1996-05-31 Toshiba Corp 熱交換器
JP2001255095A (ja) 2000-03-15 2001-09-21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熱交換器
TW552382B (en) * 2001-06-18 2003-09-11 Showa Dendo Kk Evaporato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header for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system
JP4554144B2 (ja) * 2001-06-18 2010-09-29 昭和電工株式会社 蒸発器
JP4024095B2 (ja) 2002-07-09 2007-12-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
JP4106998B2 (ja) 2002-07-19 2008-06-2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4630591B2 (ja) * 2003-07-08 2011-02-09 昭和電工株式会社 熱交換器
AU2004254507A1 (en) 2003-07-08 2005-01-13 Showa Denko K.K. Heat exchanger
CN101270944B (zh) * 2003-07-08 2010-06-16 昭和电工株式会社 热交换器
KR20060125775A (ko) 2003-10-29 2006-12-06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JP4625687B2 (ja) 2003-12-08 2011-02-02 昭和電工株式会社 熱交換器
JP2005241170A (ja) *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
JP4120611B2 (ja) 2004-04-08 2008-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WO2005108899A1 (en) 2004-05-11 2005-11-17 Showa Denko K.K. Heat exchangers
JP4207855B2 (ja) 2004-06-28 2009-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2006029697A (ja) * 2004-07-16 2006-02-02 Denso Corp 冷媒蒸発器
JP2007327664A (ja) * 2006-06-06 2007-12-20 Japan Climate Systems Corp 熱交換器
JP5454553B2 (ja) 2011-11-01 2014-03-2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JP5796518B2 (ja) 2012-03-06 2015-10-2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716A (ja) * 2003-04-21 2005-08-04 Denso Corp 冷媒蒸発器
JP2006170598A (ja) * 2004-05-11 2006-06-29 Showa Denko Kk 熱交換器
JP2010038447A (ja) * 2008-08-05 2010-02-18 Showa Denko Kk 熱交換器
JP2012032112A (ja) * 2010-08-02 2012-02-16 Fuji Electric Co Ltd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8689A1 (ja) 2014-11-27
US10161659B2 (en) 2018-12-25
CN105229394B (zh) 2017-05-10
CN105229394A (zh) 2016-01-06
KR20150140780A (ko) 2015-12-16
US20160102893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242B1 (ko) 냉매 증발기
US20120103583A1 (en) Heat exchanger and fin for the same
US10168084B2 (en) Refrigerant evaporator
CN103270386A (zh) 多管束扁平化管翅片式热交换器
US9951996B2 (en) Refrigerant evaporator
US20150027163A1 (en) Refrigerant evaporator
US1004171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10107532B2 (en) Refrigerant evaporator having a tank external refrigerant space
US20150053376A1 (en) Vehicle interior heat exchanger and inter-header connecting member of vehicle interior heat exchanger
US20120103582A1 (en) Heat exchanger and micro-channel tube thereof
US9995513B2 (en) Refrigerant evaporator
JP6661880B2 (ja) 空気調和機
JP6322982B2 (ja) 冷媒蒸発器
JP6131705B2 (ja) 冷媒蒸発器
JP2012098016A (ja) 蒸発器
JP2014228233A (ja) 冷媒蒸発器
JP6477306B2 (ja) 冷媒蒸発器
JP2018189337A (ja) 冷媒蒸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98358B2 (ja) 冷媒蒸発器
JP5574737B2 (ja) 熱交換器
JP6458617B2 (ja) 冷媒蒸発器
JP2011158130A (ja) 熱交換器
JP6613996B2 (ja) 冷媒蒸発器
JP6432275B2 (ja) 冷媒蒸発器
JP6486212B2 (ja) エバポレ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