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656B1 -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656B1
KR101611656B1 KR1020130060787A KR20130060787A KR101611656B1 KR 101611656 B1 KR101611656 B1 KR 101611656B1 KR 1020130060787 A KR1020130060787 A KR 1020130060787A KR 20130060787 A KR20130060787 A KR 20130060787A KR 101611656 B1 KR101611656 B1 KR 10161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imit
sheet
sheets
sheet processing
set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532A (ko
Inventor
마사히로 무츠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77Fol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후처리의 상한 매수를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실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후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한 매수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한 매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SHEE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시트(또는 용지)를 처리하는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부에 기억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피니셔(finisher)의 기능으로서, 스테이플링, 새들스티치(saddle stitch) 북바인딩, 새들스티치 바인딩 접기 등과 같은 후처리를 실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0-33071호). 후처리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계적 제한으로 인해 후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한 매수가 미리 정해져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0-330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에서는 스테이플링 등과 같은 후처리의 상한 매수가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에서는, 보통지를 기준으로 60매까지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보통지보다 두께가 얇은 종이를 사용하면, 80매까지 한번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있지만, 그러한 유형의 종이를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80매의 박지(薄紙)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시트 처리 장치에서 취급할 수 있는 시트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스테이플링 처리뿐만 아니라 접기 처리(folding process) 등과 같은 다른 후처리에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후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한 매수를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완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된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실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시트 처리 장치는, 후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한 매수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한 매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과 함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하기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피니셔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시트 처리 장치에 대한 설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UI(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시트 처리 장치의 다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시트 종류와 평량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시트 처리 장치에 대한 설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의 설명>
[제 1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며,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100), 화상 입력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캐너(117), 화상 출력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프린터 엔진(118) 및 피니셔(119)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 유닛(151)과, 스캐너(117)에 연결된 스캐너 처리 유닛(115)을 구비한다. 프린터 엔진(118)은 피니셔(119)에 연결되며, 프린터 처리 유닛(116)에도 연결된다. 또한, 스캐너(117), 프린터 엔진(118), 조작 유닛(151)은 각각 컨트롤러 유닛(100)에 연결됨으로써, 컨트롤러 유닛(100)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어된다.
도 1에서, 컨트롤러 유닛(100)은 CPU(중앙 처리 유닛)(101)를 포함하며, CPU(101)는 시스템 버스(108)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102), ROM(Read Only Memory)(103), HDD(Hard Disk Drive)(104), 화상 패스 I/F(인터페이스)(105), 조작 유닛 I/F(106) 및 네트워크 I/F(107)에 연결된다. RAM(102)은 CPU(101)의 작업 영역을 제공하기 사용되는 메모리이며, RAM(102)은 파라미터 설정을 임시 기억하기 위한 설정값 메모리 및 각종 화상 데이터를 임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ROM(103)은 시스템 부트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부트 ROM이며, HDD(104)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설정값 이력, 화상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이다.
CPU(101)는 ROM(103)에 기억된 시스템 부트 프로그램을 RAM(102)에 독출(讀出)하여, 독출된 시스템 부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조작 유닛 I/F(106)는 조작 유닛(151)과 컨트롤러 유닛 간에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유닛 I/F(106)는 CPU(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표시할 화상 데이터를 조작 유닛(151)에 출력하며, 조작 유닛 I/F(106)는 사용자가 조작 유닛(151)을 통해 입력한 정보를 CPU(101)에 전송한다.
LAN(Local Area Network)(120)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I/F(107)는 LAN(120) 대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해 사용된다. RIP(Raster Image Processor)(110)은 LAN(120)으로부터 수취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코드를 비트맵 화상으로 전개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상 신장 유닛(113)은, 프린터 처리 유닛(116)이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프린터 엔진(118)이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HDD(104)에 압축되고 부호화되어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전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화상 압축 유닛(114)은, RIP(110) 또는 스캐너 처리 유닛(115)으로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HDD(104)에 저장할 때, 소정의 압축 방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바이스 I/F(111)는 스캐너 처리 유닛(115)과 프린터 처리 유닛(116)을 통해 컨트롤러 유닛에 스캐너(117), 프린터 엔진(118) 및 피니셔(119)를 각각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화상 데이터를 동기식 및 비동기식으로 변환하고, 설정값, 조정값 및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캐너 처리 유닛(115)은 스캐너(117)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보정, 편집, 화상 분리, 배율 변경, 2진화 처리 등과 같은 각종 처리를 실시한다.
스캐너(117)는 압판(platen) 독취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원고(또는 사본)의 화상를 독취한다. 또한, 스캐너(117)는 ADF(자동 연속 원고 이송 장치)에 의해 복수의 원고를 반송함과 동시에 반송되는 원고의 단면 또는 양면을 독취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는 압판 커버의 개폐 여부 감지, 원고의 존재 여부 감지 및 원고 크기 검출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된 정보나 스캐너(117)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등이 스캐너 처리 유닛(115)과 디바이스 I/F(111)를 통해 CPU(101)에 전달된다.
프린터 처리 유닛(116)은 인쇄-출력될 화상 데이터에 대해 프린터 엔진(118)에 따른 보정,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각종 처리를 실시하고, 인쇄된 화상의 인쇄 위치 조정 처리를 또한 실시한다. 또한, 프린터 처리 유닛(116)은 CPU(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스테이플링 처리, 펀칭 처리,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처리 등과 같은 각종 후처리를 수행하는 피니셔(119)를 제어하는 처리도 실시한다.
프린터 엔진(118)은 인쇄에 사용될 시트가 보관된 급지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급지하고, 급지된 각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여, 화상이 인쇄된 시트를 화상 형성 장치 외부로 배지한다. 급지 카세트에는 보관된 시트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 검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CPU(101)는 크기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시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프린터 엔진(118), 프린터 처리 유닛(116) 및 디바이스 I/F(111)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CPU(101)는 피니셔(119)의 구성 정보와 상태 정보, 각 급지 카세트에 보관된 시트의 잔량을 나타내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 각 급지 카세트의 개폐 상태 등을 프린터 처리 유닛(116)과 디바이스 I/F(111)를 통해 수신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명>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각 소프트웨어 모듈은 CPU(101)가 ROM(103)으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RAM(102)으로 독출하여 독출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주로 실현된다.
도 2에서, 잡 컨트롤(job control) 처리부(2010)는 도시된/도시되지 않은 각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어하여, 화상 처리 장치에서 발생하는 복사 잡, 인쇄 잡, 스캐닝 잡, UI 처리 잡 등과 같은 모든 잡을 더 제어하는 모듈이다.
UI 처리부(2020)는 조작 유닛(151)과 조작 유닛 I/F(106)를 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UI 처리부는 사용자가 조작 유닛(151)을 조작한 내용을 잡 컨트롤 처리부(2010)에 통지하고,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조작 유닛(151)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한다. 또한, UI 처리부는 조작 유닛(151)에 표시되는 묘화 데이터의 편집을 실시한다.
네트워크 처리부(2030)는 네트워크 I/F(107)를 통해 이루어지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처리부는 LAN(120)의 각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처리부(2030)는 LAN(120)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취하면, 수취한 내용을 잡 컨트롤 처리부(2010)에 통지한다. 또한, 네트워크 처리부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LAN(120)의 각 디바이스에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RIP 처리부(2040)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PDL 코드의 해석과 RIP(110)의 제어하에서 렌더링을 실시하여, 비트맵 화상으로 PDL 코드를 전개하는 모듈이다.
화상 편집 처리부(2050)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처리 유닛(112)을 제어하여 지정된 화상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모듈이다. 화상 편집 처리부(2050)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 화상 데이터 또는 화상 정보(화상 데이터 크기, 컬러 모드, 해상도 등)를 수취한다. 그리고, 화상 편집 처리부는 화상 처리 유닛(112), 화상 신장 유닛(113) 및 화상 압축 유닛(114)을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적절한 화상 처리를 실시한 다음, 화상 처리 후 취득한 화상을 잡 컨트롤 처리부(2010)에 통지한다.
스캔 처리부(2060)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스캐너(117)와 스캐너 처리 유닛(115)을 제어하여 스캐너(117) 위에 설치되어 있는 원고의 판독을 지시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스캔 처리부는 판독한 원고 화상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시하도록 스캐너 처리 유닛(115)에 지시한다. 또한, 스캔 처리부는 스캐너 처리 유닛(115)과 스캐너(117)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한 상태 정보를 잡 컨트롤 처리부(2010)에 통지한다.
인쇄 처리부(2070)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처리 유닛(112), 프린터 처리 유닛(116) 및 프린터 엔진(118)을 제어하여 지정된 화상 처리와 지정된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모듈이다. 또한, 인쇄 처리부(2070)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 화상 데이터, 화상 정보(화상 데이터 크기, 컬러 모드, 해상도 등), 레이아웃 정보(오프셋, 확대/축소, 정판(imposition) 등) 및 출력 용지 정보(크기, 인쇄 방향) 등과 같은 정보를 수취한다.
또한, 인쇄 처리부는 화상 신장 유닛(113), 화상 압축 유닛(114), 화상 처리 유닛(112) 및 프린터 처리 유닛(116)을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적절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프린터 엔진(118)을 제어하여 인쇄 용지로의 인쇄를 실시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인쇄 처리부는 프린터 처리 유닛(116)과 프린터 엔진(118)을 제어하여 인쇄 용지로의 인쇄를 실시하도록 지시한다. 프린터 엔진(118)은 프린터 처리 유닛(116)으로부터 수취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되지 않은 디바이스 유닛의 CPU로부터 피니셔(119)로 지시를 전송하여 피니셔(119)를 제어한다. 그리고, 인쇄 처리부는 프린터 처리 유닛(116), 프린터 엔진(118) 및 피니셔(119)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한 정보를 잡 컨트롤 처리부(2010)에 통지한다.
도 3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트 처리 장치의 예인 화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프린터 엔진(118)은, CPU(101)로부터 급지 요구를 수신하면, 급지 카세트(202) 또는 급지 카세트(203)에 인쇄에 필요한 시트(즉, 용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존재하고 있는 시트를 급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시트가 존재하고 급지할 수 있다고 결정한 경우, CPU(101)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빔을 감광 드럼(200)에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인쇄 데이터에 따른 잠상 형성하며, 감광 드럼(200)의 잠상 부분에 현상기(201) 내의 토너를 부착시킨다.
그리고, 프린터 엔진(118)은 레이저 빔의 조사 개시와 동기화하여, 급지 카세트(202) 또는 급지 카세트(203)로부터 시트를 급지하고, 급지된 시트를 전사 유닛(204)으로 반송하며, 감광 드럼(200)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를 반송된 시트에 전사한다.
그리고, 프린터 엔진(118)은 토너가 부착된 시트를 중간 전사 벨트(205)로부터 정착 유닛(206)으로 반송하고, 정착 유닛(206)에서 열과 압력으로 토너를 시트에 정착시킨다. 정착 유닛(206)을 통과한 시트는 배지 롤러(207)에 의해 배지되고, 피니셔(119)를 통해 배지 트레이(208)로 실제로 배지된다. 전사 작업 후, 프린터 엔진(118)은 감광 드럼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토너 박스(209)로 배출한다.
또한, 인쇄 잡에서 양면 인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 엔진(118)은 1면 인쇄되어 배지 롤러(207)까지 운반된 시트를, 배지 롤러(207)의 회전 방향을 역전시켜, 플래퍼(210)를 통해 재급지 반송로(211)로 안내한다. 그리고, 프린터 엔진은 해당 시트를 재급지 반송로(211)로부터 전사 유닛(204)으로 반송한다.
또한, 프린터 엔진(118)은 2면 인쇄된 시트를 배지 롤러(207)에 의해 반송하고, 반송된 시트를 피니셔(119)를 통해 배지 트레이(208)로 배지한다. 그런데, 급지가 불가능한 경우, 프린터 엔진(118)은 급지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상태를 CPU(101)에 송신하고, 상술한 잠상 형성, 급지, 시트 반송, 화상 전사 및 화상 정착을 위한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인쇄 설정에 스테이플링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 잡을 화상 형성 장치가 수취한 경우, CPU(101)는 피니셔(119)를 제어하여 기록지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한다.
그때, CPU(101)는 스테이플링 처리를 위해 설정된 매수에 도달할 때까지 시트를 피니셔(119)의 내부 트레이(303) 상에 남기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CPU(101)는, 내부 트레이(303) 상에 남겨진 매수가 스테이플링 처리를 위해 설정된 매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피니셔(119)에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하도록 지시한다. 피니셔(119)는, 스테이플링 처리 지시를 수취하면, 내부 트레이(303) 상에 남겨진 시트에 대해 스테이플을 이용하여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하도록 스테이플러(304)를 제어하고, 스테이플링 처리에 의해 스테이플링된 시트 다발을 배지 트레이(208)로 배지한다.
본 실시예의 시트 처리 장치는 스택 트레이(302), 내부 트레이(또는 처리 트레이)(303), 스테이플러(304), 부클릿(booklet) 트레이(305),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유닛(306)을 포함한다. 또한, 피니셔(119)는, 스테이플링 처리 이외에, 시트의 중앙을 바인딩하고 시트를 2개로 접어 제본물을 생성하는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 및 시트의 중앙을 바인딩하지 않고 시트를 2개로 접어 제본물을 생성하는 넌바인딩(nonbinding) 접기 처리 등과 같은 후처리(피니싱 처리)를 실행한다.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에 있어서, CPU(101)는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유닛(306)을 제어하여 시트의 중앙 부분의 2개소를 바인딩한 다음, 시트의 중앙 부분을 롤러에 집어넣음으로써 시트를 2개로 접는다. 그리고,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유닛(306)에 의해 북바인딩 처리된 시트는 부클릿 트레이(305)로 배출된다.
넌바인딩 접기 처리에 있어서, CPU(101)는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유닛(306)을 제어하여 시트의 중앙 부분을 롤러에 집어넣음으로써 시트를 2개로 접는다. 그리고, 접힌 시트는 부클릿 트레이(305)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대한 설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조작 유닛(151)의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되는 입력가능한 피니싱 처리 기능(스테이플링, 새들스티치 바인딩, 넌바인딩 접기)에 대한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조작 화면(401)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섹션(402)에서, 스테이플링될 상한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섹션(405)에서, 상한 매수로서, 예를 들면, "2" 내지 "200" 범위 내의 매수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섹션(403)에서, 새들스티치 바인딩될 상한 매수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섹션(406)에서, 상한 매수로서, 예를 들면, "2" 내지 "50" 범위 내의 매수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섹션(404)에서, 넌바인딩 접기될 상한 매수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섹션(407)에서, 상한 매수로서, 예를 들면, "1" 내지 "16" 범위 내의 매수를 초기에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화면에 표시된 값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가 보통지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후처리의 상한 매수로서 각각 적당한 값이다. 즉, 스테이플링 처리의 상한 매수로서 "100"매가 설정되어 있으며,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의 상한 매수로서 "25"매가 설정되어 있고, 넌바인딩 접기의 상한 매수로서 "5"매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한 매수의 설정 범위를 수치로 표시하고, 표시된 수치 이외의 수치는 설정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표시된 수치를 초과하는 값이 입력되어도, 해당 입력값이 수취되지 않도록 CPU(101)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링 처리, 새들스티치 바인딩, 넌바인딩 접기 처리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처리마다 상한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급지 카세트(202) 또는 급지 카세트(203)에 설치할 시트의 종류를 고려하여 후처리의 종류마다 상한 매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지보다 얇은 시트를 급지 카세트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테이플링 처리의 상한 매수의 설정값을 증가시킴으로써, 보통지의 상한 매수보다 상한 매수가 더 많은 시트 다발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와 넌바인딩 접기 처리 각각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의 상한 매수와는 다른 상한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통지보다 얇은 용지를 급지 카세트에 설치하는 경우, 스테이플링 처리의 상한 매수를 "100"매에서 "150"매로 늘리고,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의 상한 매수를 "25"매에서 "40"매로 늘리며, 넌바인딩 접기 처리의 상한 매수를 "5"매에서 "10"매로 늘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보통지보다 두꺼운 용지를 급지 카세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후처리의 상한 매수를 줄이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신된 1개의 잡에서 설정되는 시트의 종류가 복수인 경우, 각 시트의 종류마다 상한 매수가 다르다면, CPU(101)는 시트 처리가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를 조작 유닛(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시트를 사용하는 잡에서 시트 다발에 대한 시트 처리가 불가능하게 된 상태를 사전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4에 도시된 UI에 상한 매수를 입력하였을 때 실시되는 시트 처리를 포함한 인쇄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실시되는 처리는, 도 1에 도시된 CPU(101)가 도 2에 도시된 모듈을 RAM(102)에 로딩하고 로딩된 모듈을 실행하는 조건에서, 실현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모듈을 제어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LAN(120)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의 인쇄 지시 및 조작 유닛(151)으로부터의 인쇄 지시를 소프트웨어 모듈로서의 역할을 하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가 수신한다(단계 S501).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한 경우,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지시 내용(즉, 인쇄 설정 내용)이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로 송신된다. 그리고, 조작 유닛(151)으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한 경우, 스캐너(117)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독취되며, 독취된 원고 화상이 취득된다. 이 경우, 인쇄 지시 내용(즉, 인쇄 설정 내용)이 조작 유닛(151)을 통해 수신된다. 여기서, 인쇄 지시 내용(즉, 인쇄 설정 내용)에는 인쇄 해상도, 인쇄 레이아웃 설정, 후처리 설정 등이 포함된다.
단계 S501에서 수신한 인쇄 지시로부터,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인쇄 지시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으로부터 스테이플링 등과 같은 피니싱 정보(후처리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502).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지시에 스테이플링 지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S502에서,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취득한 피니싱 정보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UI를 통해 기억된 피니싱 처리에 대한 제한 매수(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지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한 매수)를 취득한다(단계 S503). 그리고,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인쇄 처리부(2070)가 인쇄 처리를 개시작한다(단계 S504).
그 다음, 인쇄 처리부(2070)는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의 인쇄가 완료되었고 처리된 시트가 피니셔(119)의 내부 트레이(303)에 남겨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5). 여기서,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의 인쇄 완료는 각 피니싱에 대응하는 인쇄물의 인쇄 완료와 동일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한 부(one copy)에 해당하는 시트의 인쇄가 완료되는 경우, 처리된 시트가 트레이에 남겨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의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인쇄 처리부(2070)가 판단한 경우, 인쇄 처리를 계속 실시한다.
한편,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의 인쇄가 완료되었고 처리된 시트가 내부 트레이(303)에 남겨진 것으로 단계 S505에서 인쇄 처리부(2070)가 판단한 경우, 인쇄 처리부는 단계 S503에서 취득한 상한 매수와 배지 매수를 서로 비교하여 배지 매수가 상한 매수 이하인지의 여부를 더 판단한다(단계 S506). 그런데, 상기 배지 매수는 내부 트레이(303)로 배지된 시트의 매수이며, 이 배지 매수는 내부 트레이(303)로 시트를 배지하는 배지구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계수된다.
단계 S506에서 배지 매수가 상한 매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쇄 처리부(2070)는 내부 트레이(303)에 남겨진 시트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하게 한다(단계 S507). 그리고, 단계 S508에서, 인쇄 처리부(2070)는 후처리된 인쇄물을 스택 트레이(302)로 배지시킨다.
한편, 배지 매수가 상한 매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쇄 처리부(2070)는 단계 S508에서 내부 트레이(303)에 남겨진 시트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스택 트레이(302)로 배지시킨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링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 또는 넌바인딩 접기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새들스티치 바인딩 처리 또는 넌바인딩 접기 처리에서는, 시트가 내부 트레이(303) 대신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유닛(306)에 남겨진다는 점과, 시트가 스택 트레이(302) 대신 부클릿 트레이(305)로 배지된다는 점에서, 처리 자체가 스테이플링 처리와 다르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피니셔(119)가 실행할 수 있는 후처리에 있어서, 상한 매수를 설정가능한 상한 및 하한 사이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상한 매수에 따라 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출력 용지와 시트에 대응한 후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피니셔(119)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후처리의 상한 매수를 변경할 경우, 인쇄에 사용되는 시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변경된 상한 매수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시트의 종류마다 후처리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한 매수를 HDD(104)에 기억할 수도 있다. 그리고, CPU(101)는, 인쇄 지시를 수취한 경우, 인쇄 지시의 내용을 분석하고, 인쇄에 필요한 시트의 종류와 후처리의 종류를 특정한다. 그 다음, CPU(101)는 특정된 시트의 종류와 특정된 후처리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한 매수를 HDD(104)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CPU는 인쇄되어 트레이에 남겨진 시트 매수가 상한 매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되어 트레이에 남겨진 시트 매수가 상한 매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시트를 후처리하지 않고 배지한다. 한편, 인쇄되어 트레이에 남겨진 시트 매수가 상한 매수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시트에 대해 후처리를 실시하고, 처리된 시트를 배지한다. 따라서, 시트의 종류가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상한값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시트의 종류마다 적당한 상한 매수로 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피니셔의 후처리에 대해 상한 매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보통지에 대해 피니싱 처리의 제한 매수를 설정하는 경우의 각종 시트에 대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처리 장치를 포함한 화상 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과 그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제한 매수 설정 화면(UI)을 통해 사용자가 피니싱 처리의 제한 매수를 설정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UI에 상한 매수를 입력할 경우 실시되는 시트 처리를 포함한 인쇄 처리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실시되는 처리는, 도 1에 도시된 CPU(101)가 도 2에 도시된 모듈을 RAM(102)에 로딩하고 로딩된 모듈을 실행하는 조건에서, 실현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모듈을 제어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UI에 피니싱 처리의 상한 매수가 설정되어 있고, 시트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시트 처리를 할 수 있는 매수가 제한된 시트 종류를 선택한 것으로 상정한다.
LAN(120)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의 인쇄 지시 및 조작 유닛(151)으로부터의 인쇄 지시를 소프트웨어 모듈로서의 역할을 하는 잡 컨트롤 처리부(2010)가 수신한다(단계 S801).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한 경우,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지시 내용(인쇄 설정 내용)이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로 송신된다. 그리고, 조작 유닛(151)으로부터 인쇄 지시를 수신한 경우, 스캐너(117)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독취되며, 독취된 원고 화상이 취득된다. 이 경우, 인쇄 지시 내용(인쇄 설정 내용)이 조작 유닛(151)을 통해 수신된다. 여기서, 인쇄 지시 내용(인쇄 설정 내용)에는 인쇄 해상도, 인쇄 레이아웃 설정, 후처리 설정 등이 포함된다.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인쇄 지시 내용을 분석하여, 스테이플링 등과 같은 피니싱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802).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단계 S802에서 취득한 피니싱 정보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UI를 통해 기억된 각 피니싱 처리에 대한 적당한 상한 매수를 취득한다(단계 S803).
그리고,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인쇄 지시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트의 종류와 피니셔의 상한 매수를 각각 비교하여 지시된 시트 매수가 상한 매수를 초과할 가능성을 판단한다(단계 S809). 여기서, 전술한 비교 처리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UI에 입력된 피니셔의 제한 매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한 매수의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시트(예컨대, 보통지) 종류의 평량(Wd(gsm))과 인쇄 지시에 기초하여 지정된 시트 종류의 평량(Ws)을 비교함으로써 실시된다. 그렇지 않으면, 비교 처리는 상한 매수의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시트(예컨대, 보통지) 종류의 상한 매수(Fd)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상한 매수(F)를 비교함으로써 실행된다.
Ws > Wd이면서 F > Fd 인 경우, 인쇄에 사용되는 시트의 평량이 보통지의 평량보다 높아도, 보통지보다 많은 상한 매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잡 컨트롤 처리부(2010)가 Ws > Wd이면서 F > Fd 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피니싱 처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처리는 단계 S810으로 진행한다. 즉, 시트 종류와 평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피니싱 처리의 상한 매수는 보통지를 기준으로 섹션(405)에서 "100"매이고, 현재 설정값을 "200"매로 상정한다.
사용자가 인쇄 지정시 후지(厚紙)를 선택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지의 평량이 보통지의 평량보다 높아도, 보통지에 적합한 상한 매수보다 많은 피니싱 처리의 상한 매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그러한 상황이 NG인 것으로 판단하며, 처리는 단계 S810으로 진행한다. 한편, 피니싱 처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잡 컨트롤 처리부(2010)가 판단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804로 진행한다.
잡 컨트롤 처리부(2010)는 피니싱 처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단계 S809의 판단 결과를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조작 유닛(151)에 표시한다(단계 S810).
여기서, 사용자가 OK 버튼(701)을 누른 것으로 잡 컨트롤 처리부(2010)가 판단한 경우, 처리는 단계 S804로 진행하여 인쇄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811). 한편, 사용자가 CANCEL 버튼(702)을 누른 것으로 잡 컨트롤 처리부(2010)가 판단한 경우, 인쇄 지시에 기초한 인쇄를 중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804에서, 잡 컨트롤 처리부(20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인쇄 처리부(2070)는 인쇄 처리를 개시한다. 인쇄 처리부(2070)는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가 피니셔(119)의 내부 트레이(303) 또는 새들스티치 북바인딩 유닛(306)에 남겨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05).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가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인쇄 처리부(2070)가 판단한 경우, 인쇄 처리를 계속 실시한다.
한편, 한 다발에 해당하는 시트가 남겨진 것으로 단계 S805에서 인쇄 처리부(2070)가 판단한 경우, 인쇄 처리부는 단계 S803에서 취득한 상한 매수에 기초한 상한 매수와 배지 매수를 비교한다. 그리고, 인쇄 처리부(2070)는 배지 매수가 상한 매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06). 그런데, 상기 배지 매수는 내부 트레이(303)로 배지된 시트의 매수와 동일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배지 매수는 내부 트레이(303)로 시트를 배지하는 배지구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계수된다.
인쇄 처리부(2070)가 단계 S806에서 배지 매수가 상한 매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인쇄 처리부(2070)는 피니셔(119)가 후처리를 실시하게 한다(단계 S807). 그리고, 단계 S808에서, 인쇄 처리부(2070)는 후처리된 인쇄물을 스택 트레이(302)로 배지시킨다.
한편, 인쇄 처리부가 배지 매수가 상한 매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인쇄 처리부(2070)는 단계 S808에서 내부 트레이(303)에 남겨진 시트에 대해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스택 트레이(302)로 배지시킨다(단계 S808).
제 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피니셔(119)가 실행할 수 있는 후처리에 있어서, 상한 매수의 문제로 인해 피니싱 처리를 불가능하게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니싱 처리를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피니셔(119)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평량과 후처리의 종류에 기초하여 단계 S810의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인쇄 지시에 기초하여 실제로 인쇄될 시트 매수를 특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쇄 매수를 특정하기 위해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페이지 수를 계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쇄 개시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의 인쇄 지시와 인쇄 데이터를 수취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잡과, 조작 유닛(151)으로부터의 인쇄 지시를 수취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복사 잡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HDD(104)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에 인쇄 지시를 수취하고 해당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박스 잡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시키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디바이스)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 단계들이 실시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양태가 실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예컨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된 특허청구범위는 모든 변형들, 등가의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시트에 대하여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로서,
    수취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수취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치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 수단과,
    상기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되는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취 화면은 설정가능한 상한과 설정가능한 하한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설정가능한 상한과 상기 설정가능한 하한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스테이플링 처리의 각 종류마다 각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시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5. 삭제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잡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초과하는 매수의 시트에 대하여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상한 매수를 초과하는 매수의 시트에 대하여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가 요구되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표시 수단이 실행될 수 없는 스테이플링 처리를 더 표시하는, 시트 처리 장치.
  7. 삭제
  8. 시트에 대하여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수취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수취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치를 수취하는 단계와,
    수취되는 상기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 화면은 설정가능한 상한과 설정가능한 하한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는 상기 설정가능한 상한과 상기 설정가능한 하한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화상이 형성된 시트에 대하여 스테이플링 처리를 실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취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코드와,
    상기 수취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치를 수취하기 위한 코드와,
    수취되는 상기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 화면은 설정가능한 상한과 설정가능한 하한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는 상기 설정가능한 상한과 상기 설정가능한 하한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스테이플링 처리의 각 종류와 시트의 각 종류마다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11. 제3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링 처리의 종류는, 접기 처리와 함께 실행되는 제1 스테이플링 처리 및 상기 접기 처리 없이 실행되는 제2 스테이플링 처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12.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시트 처리를 시트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로서,
    수취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시트 처리의 각 종류마다 사용자로부터 수치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 수단과,
    상기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되는 수치에 기초하여, 시트 처리의 각 종류마다 시트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취 화면은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의 각각마다 설정가능한 상한과 설정가능한 하한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설정가능한 상한과 상기 설정가능한 하한의 범위 내에서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의 각각마다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는 적어도 스테이플링 처리, 새들 스티치 바인딩(saddle stitch binding) 처리, 및 넌바인딩 접기 처리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시트 처리의 각 종류와 시트의 각 종류마다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시트 처리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잡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를 초과하는 매수의 시트에 대하여 선택된 스테이플링 처리가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상한 매수를 초과하는 매수의 시트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스테이플링 처리가 요구되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표시 수단이 실행될 수 없는 스테이플링 처리를 더 표시하는, 시트 처리 장치.
  16.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시트 처리를 시트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수취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시트 처리의 각 종류마다 사용자로부터 수치를 수취하는 단계와,
    수취되는 상기 수치에 기초하여, 시트 처리의 각 종류마다 시트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 화면은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의 각각마다 설정가능한 상한과 설정가능한 하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의 각각에 대한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는 상기 설정가능한 상한과 상기 설정가능한 하한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시트 처리를 시트에 대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취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코드와,
    시트 처리의 각 종류마다 사용자로부터 수치를 수취하기 위한 코드와,
    수취되는 상기 수치에 기초하여, 시트 처리의 각 종류마다 시트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시트의 상한 매수를 설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 화면은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의 각각마다 설정가능한 상한과 설정가능한 하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류의 시트 처리의 각각에 대한 상기 시트의 상한 매수는 상기 설정가능한 상한과 상기 설정가능한 하한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30060787A 2012-06-07 2013-05-29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611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9549 2012-06-07
JP2012129549A JP6039249B2 (ja) 2012-06-07 2012-06-07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532A KR20130137532A (ko) 2013-12-17
KR101611656B1 true KR101611656B1 (ko) 2016-04-11

Family

ID=4971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787A KR101611656B1 (ko) 2012-06-07 2013-05-29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6680B2 (ko)
JP (1) JP6039249B2 (ko)
KR (1) KR101611656B1 (ko)
CN (1) CN1034824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2148B2 (en) 2008-08-29 2013-05-28 Corning Cable Systems Llc Independently translatable modules and fiber optic equipment trays in fiber optic equipment
US11294135B2 (en) 2008-08-29 2022-04-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High density and bandwidth fiber optic apparatuse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WO2010148336A1 (en) 2009-06-19 2010-12-23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and bandwidth fiber optic apparatuse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US9519118B2 (en) 2010-04-30 2016-12-1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Removable fiber management sections for fiber optic housing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CN103403594B (zh) 2011-02-02 2016-11-23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适用于为设备机架中的光学底板建立光学连接的稠密的光阀遮蔽的光纤连接器及总成
JP6238614B2 (ja) 2013-07-22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58025B1 (ja) * 2014-04-30 2015-08-05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
JP6376845B2 (ja) 2014-05-30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74522A (ja) 2014-10-07 2016-05-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51759A (ja) 2015-02-19 2016-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後処理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ート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193581A (ja) 2015-04-01 2016-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13933B2 (en) * 2015-04-15 2017-07-25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6647057B2 (ja) * 2016-01-29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34413B2 (ja) * 2019-01-23 2023-08-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判断方法
JP7338417B2 (ja) * 2019-11-15 2023-09-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187A (ja) * 2006-01-27 2007-08-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後処理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033071A (ja) * 2004-12-15 2010-02-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093A (ja) * 2002-03-29 2003-10-14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9420B2 (ja) * 2003-04-09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63457A (ja) * 2004-03-19 2005-09-29 Canon Inc 後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1369112B (zh) * 2004-04-05 2012-06-06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系统和控制方法
JP3814626B2 (ja) * 2004-04-05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28685B2 (ja) * 2004-07-20 2009-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4497543B2 (ja) * 2004-12-15 2010-07-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4513694B2 (ja) * 2005-08-26 2010-07-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7931262B2 (en) * 2006-01-27 2011-04-26 Kyocera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finisher with stapler for binding printed papers
JP2008012755A (ja) * 2006-07-05 2008-01-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方法
US7738809B2 (en) * 2006-07-05 2010-06-15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finisher applying punching processing and staple processing to printed paper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printing on both surfaces of paper
JP2008221477A (ja) * 2007-03-08 2008-09-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142969B2 (ja) * 2008-12-16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処理システム、印刷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35968B2 (ja) * 2009-01-20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5550852B2 (ja) * 2009-05-26 2014-07-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071A (ja) * 2004-12-15 2010-02-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197187A (ja) * 2006-01-27 2007-08-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後処理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39249B2 (ja) 2016-12-07
KR20130137532A (ko) 2013-12-17
CN103482402A (zh) 2014-01-01
US20130328258A1 (en) 2013-12-12
CN103482402B (zh) 2016-05-04
US9016680B2 (en) 2015-04-28
JP2013252937A (ja)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656B1 (ko) 시트 처리 장치, 시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918692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toring medium, and program
US8836966B2 (en) Prin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17598B2 (en) 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5791402B2 (ja) 印刷装置、情報処理装置、印刷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26796B2 (en) System for controlling sheet folding processing
US8434751B2 (en) Z-folder for sheets of various sizes
US20100321706A1 (en) Print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inting system, and program
KR101313914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US20150344257A1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265990B2 (en)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ying sheets to shee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28379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269600A1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2465798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controlling apparatus
US8256756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prin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US8867057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medium storing a program, that control a print processing based on number of sheets required by a print job
JP202010048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9551A (ja)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84184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に接続される後処理装置で構成された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61541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94601A (ja) 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613081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