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395B1 - 공구 홀더 - Google Patents

공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395B1
KR101611395B1 KR1020117013470A KR20117013470A KR101611395B1 KR 101611395 B1 KR101611395 B1 KR 101611395B1 KR 1020117013470 A KR1020117013470 A KR 1020117013470A KR 20117013470 A KR20117013470 A KR 20117013470A KR 101611395 B1 KR101611395 B1 KR 10161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older
coolant
lubricant
tension ro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324A (ko
Inventor
조세프 라이나우엘
Original Assignee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910022199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9022199B4/de
Application filed by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filed Critical 마팔 파브릭 퓌어 프래찌지온스베르크쪼이게 독토르 크레쓰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9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46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with an intermediary tool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6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 B23B31/261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clamping the end of the toolholder sh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976Milling with means to control temperature or lubricate
    • Y10T409/304032Cutter or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2Milling with cutter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85Tool rest
    • Y10T82/2587Turret type holder [e.g., multiple tool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85Tool rest
    • Y10T82/2589Quick release tool or holder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9), 공구의 중공 샤프트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갖는 척 장치(5), 중심축(9)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과 협력함으로써, 텐션 로드(13)의 제1기능 위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척 위치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려나고, 텐션 로드(13)의 제2기능 위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이 중심축(9)의 방향에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텐션 로드(13), 및 텐션 로드(13)와 협력하는 가동 유닛(27)을 갖는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를 포함하는 공구 홀더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유닛(27)은 가동 요소(31)를 갖고, 이 가동 요소는 중심축(9)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이동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33)를 포함하고, 텐션 로드(13)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99)를 가지며, 가동부(33) 및 맞물림부(99)는 쐐기 메커니즘을 형성함으로써, 가동 요소(31)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할 경우, 가동부(33)는 텐션 로드(13)의 축 변위를 유발한다.

Description

공구 홀더{TOOL HOLD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공구 홀더에 관련된다.
중공 테이퍼 생크 척(hollow taper shank chucking) 장치를 갖는 공구 홀더는 공지되어 있고, 중공 테이퍼 생크의 구조는 DIN 및 ISO에 명시되어 있다.
이 형태의 공구 홀더는 중공 테이퍼 생크를 구비하는 공구 뿐만 아니라 어댑터, 커넥터 등을 지지하고 이를 장착대에 단단하게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식으로 고정된 공구는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칩은 선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가공대상물로부터 제거된다. 공구는 정지 상태로 남고, 즉 예를 들어 공구 홀더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형태의 공구 홀더는 공구가 드릴링, 리밍, 또는 밀링에 사용될 수 있도록 공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은 일반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많은 경우에서 전체 축 길이, 즉 공구 홀더의 중심축 방향에서 측정된 길이는 매우 커서, 이러한 공구 홀더의 적용 분야를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축의 방향에서 측정된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서, 공간 제약 하에서도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를 지지할 수 있는 공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공구 홀더가 제안된다. 이 공구 홀더는 중심축, 척 장치, 이 척 장치와 협력하는 텐션 로드(tension rod), 및 텐션 로드를 가동, 즉 변위시킬 수 있는 가동 유닛을 갖는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를 포함한다. 공구 홀더는 가동 유닛이 중심축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움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를 포함하는 가동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텐션 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를 구비한다. 공구 홀더의 구별되는 특징은 가동부 및 맞물림부가 쐐기(wedge) 메커니즘을 형성한다는 것인데, 이 메커니즘은 가동 요소의 반경 방향 운동, 즉 중심축에 수직인 변위를, 중심축의 방향으로 텐션 로드의 축 방향 변위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된다. 통상적인 텐션 로드는 공구 홀더를 통해 연장되고, 공구 홀더의 내부에 위치하는 그 단부에서 잡히고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경우에서는 유압, 공압, 또는 전기 액추에이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공구 홀더의 전체 축 길이가 매우 큼이 명백하다. 이 경우에서는 쐐기 메커니즘을 통해 일어나는 텐션 로드의 운동의 결과로서, 공구 홀더의 전체 길이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구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쐐기 메커니즘은 이중-작용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태양에서 텐션 로드를 두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척 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척 장치를 가동시켜 공구의 중공 테이퍼를 단단히 조이고, 척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collet chuck)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변위하며, 척 장치를 그 풀림 위치로 적극적으로 이동시켜 공구의 중공 생크를 풀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텐션 로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공구의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여 공구를 빼낸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가동 요소는 텐션 로드와 측면으로 맞물린다. 가동 요소의 가동부는 텐션 로드의 맞물림부에 활동적으로 연결되어 텐션 로드의 축 운동을 개시시킨다. 따라서, 힘이 텐션 로드에 측면으로 도입되도록 쐐기 메커니즘이 설계될 때, 공구 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텐션 로드의 단부는 자유롭게 되어서, 냉각제/윤활제가 그 위치에 도입될 수 있다. 냉각제/윤활제는 이후 적절하고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된 공구의 작동 절삭날로 전달되어 공구를 냉각 및 윤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 홀더의 전체 길이가 축 방향으로 짧아질 뿐만 아니라, 냉각제/윤활제가 특별한 구성 노력 없이 전달되게 한다. 또한, 텐션 로드를 통해 구동축, 푸시 로드(push rod), 또는 일부 다른 가동 요소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구 홀더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구비되고, 이 것에 의해 공구 홀더 내에서 냉각제/윤활제의 경로가 좌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로부터 다양한 경로로 공구에 전달될 수 있다.
공구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냉각제/윤활제 튜브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것은 중심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하고 텐션 로드에 삽입되며, 고정된 공구, 특히 공구에 중앙으로 구비된 냉각제/윤활제 채널에 냉각제/윤활제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는, 냉각제/윤활제가 공급원으로부터, 공구 홀더의 중심축의 영역에 위치하고 냉각제/윤활제 튜브 내부에 구비되는 채널 섹션에 공급되도록,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조절된다.
공구 홀더의 다른 태양은 종속항에서 유래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는 중심축의 방향에서 측정된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서, 공간 제약 하에서도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가 조여진 공구 홀더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가 풀림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공구 홀더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 및 2에 따른 절단면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명백히 보이는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스타 터릿(star turret)의 일부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공구 홀더의 말단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위치하는 평면에서 공구 홀더의 단면도를 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서는 이전 도면에서 변형된 실시 태양이 도시되고;
도 6은 도 5에 비해 90°로 회전된 경우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상세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이 경우에서는 드럼 터릿으로 설계된, 도 5에 따른 공구 홀더의 말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공구 홀더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도 1 내지 4에 따른 공구 홀더의 실시 태양에 사용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제1기능 위치에 있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도 10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공구 홀더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의 말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위치하는 평면에서 도 12의 공구 홀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제2기능 위치에 있는 도 10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도 14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제2기능 위치에 있는 도 12에 따른 공구 홀더의 말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7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위치하는 평면에서 도 16의 공구 홀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3)를 갖는 공구 홀더(1)를 나타낸다.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갖는 척 장치(5)를 포함한다. 공구 홀더(1)에 조여진 공구(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의 중공 생크에 가능한 가장 균일한 조임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척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구 홀더(1)의 중심축(9)에 대하여 동심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등거리로 이격된 콜릿 척(7)을 갖는다. 이 콜릿 척은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공구의 중공 생크에 맞물리고 중공 생크의 내면에 구비된 조임 표면과 협력하며, 콜릿 척(7)에서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나오는, 즉 중심축(9)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작용하고 공구 홀더(1)의 지지 표면에 중공 테이터 생크를 가압하는 힘 성분, 및 중심축(9)의 방향으로 공구의 중공 생크를 끌어당기는 힘으로 분할되도록 설계된다. 이 형태의 콜릿 척을 갖는 척 장치는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공구 홀더(1)는 중심축(9)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중심축과 동심으로 위치하고, 말단면(15)에서 시작하여 공구 홀더(1)의 내부로까지 연장되는 텐션 로드(13)를 갖는다. 텐션 로드(13)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 구조를 가지며, 말단면(15) 쪽으로 넓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놓이는 테이퍼된 제1외면부(17)를 갖는다. 텐션 로드(13)가 공구 홀더(1)의 내부(도 1에서 우측)로 이동할 때,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제1외면부(17)를 따라 활주하고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된다.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은 제1외면부(17)로부터 반대편으로 위치하는 단부(19)를 갖는데, 이것은 텐션 로드(13)가 오른쪽으로 움직일 때,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이 중심축(9)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지만, 단부(19)의 영역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지지부(21)에 수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위한 지지부(21)는 중심축(9)에 대하여 동심으로 위치하고 지지부(21)를 둘러싸는 내부 공간을 에워싸는 스페이서 디스크(23)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서 오른쪽에 위치하는 내부 공간의 영역은 작은 내경을 갖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놓이는 축 방향 스톱 숄더(stop shoulder)(25)를 형성하며, 콜릿 척은 중심축(9)의 방향으로(도 1의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없다.
도 1은 공구 홀더(1)의 중심축(9) 방향으로 텐션 로드(13)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가동 유닛(27)을 나타낸다. 말단면(15)에서 보았을 때, 가동 유닛은 공구 홀더(1)에서 더 깊이 위치하고, 스페이서 디스크(23)를 넘어 공구 홀더(1)의 내부 쪽으로 돌출되는 텐션 로드(13)의 단부(29)와 협력한다. 가동 유닛은 트러스트 슬리브(thrust sleeve)로도 불리고 이 경우에서는 공구 홀더(1)의 중심축(9)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요소(31)를 갖는다. 가동 요소는 중심축(9)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변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가동 요소는 텐션 로드(13)에 구비되는 맞물림부(여기서는 볼 수 없음)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33)를 가짐으로써, 쐐기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이 쐐기 메커니즘은 가동 요소(31)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때, 가동부(33)가 축 방향 변위, 즉 텐션 로드(13)의 중심축(9) 방향 변위를 일으키도록 설계된다.
도 1에서 가동 요소는 중심축(9)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즉 공구 홀더(1)에 안쪽으로 변위한다. 이는 텐션 로드(13)가 도 1의 오른쪽으로, 즉 공구 홀더(1)의 내부로 이동하게 한다. 그 결과,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은 제1외면부(17)를 따라 활주하며, 조여진 위치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려 들어가고 공구의 중공 생크(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는 공구 홀더(1)에 단단히 조여진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척 장치(5)의 모든 콜릿 척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공구의 중공 생크는 매우 균일한 방식으로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게 되고, 공구 홀더(1)에 대하여 지지되면서 정확하게 정렬된다.
가동 요소(31)는 적절한 구동장치에 의해 중심축(9)에 대하여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유압, 공압, 또는 전기 구동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동 나사로 설계되고,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선을 갖는 두 외부 나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는 나사 스핀들(threaded spindle)(35)을 이용하여 가동 요소(31)를 수동으로 변위시키는 것은 특히 간단하다. 제1나사부는 가동 요소(31)와 협력하고, 제2나사부는 공구 홀더(1)에 맞물린다. 제작상 이유로, 여기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공구 홀더(1)에 고정될 수 있는 나사 요소(37)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나사 스핀들(35)의 외부 나사선과 협력하는 내부 나사선을 구비한다. 나사 요소(37)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나사선에 의해 공구 홀더(1)에 고정될 수 있는 나사 링으로 설계된다.
공구 홀더(1)가 조립될 때,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3)가 설치되기 전에 가동 요소(31)는 공구 홀더(1)에 삽입된다. 외부적으로 접근가능한 개구(39)를 통해 원하는 범위에 걸쳐 가동 요소(31)로 나사 스핀들(35)을 조이고, 이후 나사 스핀들(35)을 지지하는 동안에, 공구 홀더(1)로 나사 링을 조이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동부(33)가 중심축(9)에 대하여 이동하려고 할 때, 나사 스핀들(35)은 한편으로는 가동 요소(31)에, 다른 한편으로는 공구 홀더(1)에 지지될 수 있다.
텐션 로드(13)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더(1)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중심축(9)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가동 요소(31)가 안쪽으로 움직일 때, 반경 방향 힘은 가동부(33)를 통해 텐션 로드(13)의 단부(29)로 도입된다. 텐션 로드는 텐션 로드(13)의 본체(45)에서 시작되어, 도 1에 도시된 중심축(9)에서 봤을 때,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받침대(41)에 놓이는 돌출부(43)에 의해 받침대(41)에 지지될 수 있다.
가동 요소(31)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움직일 때, 반경 방향으로(도 1에서 윗쪽으로) 작용하는 힘은 쐐기 메커니즘을 통해 텐션 로드(13)의 단부(29)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유도된 텐션 로드(13)의 경사 운동은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 상에서 텐션 로드(13)의 힘의 불균일한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축(9)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핀(47)이 구비되어 돌출부(43)에 고정되고 공구 홀더(1)의 적절한 리세스(49)에서 활주할 수 있다. 그러나, 공구 홀더(1)에 핀(47)을 고정하고 핀(47)과 리세스(49) 사이에 슬라이딩 끼움(sliding fit)을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핀(47)은 중심축(9) 방향으로 텐션 로드(13)의 축 방향 변위가 방해되지 않지만, 대신에 가동 요소(31)가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그리고/또는 바깥쪽으로 움직일 때 텐션 로드가 안내될 뿐만 아니라 유지 및 지지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도 1에서 명백하듯이, 가동 요소(31)는 스페이서 디스크(23)의 안쪽으로 위치하는 측면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지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가동 요소(31)는 공구 홀더(1) 내부의 지지 표면(53)에 의해 안내된다. 이 결과로 공구 홀더(1)의 매우 컴팩트한 구조가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로드(13)는 척 장치(5)를 단지 약간 넘어 공구 홀더(1)의 내부로 돌출되고, 자유 단부(29)는 가동 요소(31)가 단부(29)와 협력하기에 충분할 정도로만 스페이서 디스크(23)를 넘어 돌출된다.
기본적으로, 텐션 로드(13)의 자유 단부(29)를 닫힌 벽으로 제공하고, 이 위치에서 가동 요소(31)와 협력하는 쐐기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텐션 로드(13)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짧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은 가동 요소(31)가 텐션 로드(13)의 우측 말단면의 영역이 아니라, 대신에 텐션 로드(13)의 단부(29)에서 외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텐션 로드(13)는 중공 형태로 구비되고 단부(29)에서 개방된 채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텐션 로드(13)의 내부 공간(55)은 공구 홀더(1)의 캐비티(57)에 대응하고, 내부 공간(55)과 캐비티(57)는 중심축(9)과 동일 평면 및 동축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텐션 로드(13)의 내부 공간(55)을 관통하고 공구 홀더에 삽입된 공구에 맞물리는, 구동 요소(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로 불리는 구동축, 푸시 로드, 또는 일부 가동 요소를 공구 홀더(1)를 통해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하는 절삭 날을 갖는 공구가 제공될 수 있어서, 드릴링, 리밍, 밀링 등이 가능하다. 그 위치에서 공구 부품 등을 가동시키기 위해, 텐션 로드(13)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시 로드를 통해 전단 및/또는 인장력이 공구에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은 매우 짧은 길이를 갖고, 가동 유닛(27)의 특정 구조로 인해 텐션 로드(13)가 중공일 수 있어서, 공구 홀더(1)에 삽입된 공구에 구동축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선반 절삭을 위한, 정지된 절삭 날을 갖는 공구만이 여기에 기술된 공구 홀더(1)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보어홀(borehole)을 형성 및/또는 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구를 지지하거나, 가공대상물의 적절한 가공을 위해 밀링 커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푸시 로드에 의해 유도되는 힘의 결과로 공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슬라이더 등을 포함하는 공구가 공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공구 홀더(1)는 공구 홀더(1)의 말단면 영역을 덮는 장착 플랜지(59)를 갖고 이것으로 지지될 공구가 공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장착 플랜지는 공구 홀더(1)의 내부로 연장되고, 공구 홀더(1)에서 가동 요소(31) 및 스페이서 디스크(23)를 둘러싸며, 그 위치에서 상기 요소들을 고정한다. 다른 측면에서, 장착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지지부(21)에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이 목적을 위해, 스페이서 디스크(23)와 인접하는 그 단부(61)에서 장착 플랜지는 지지부(21)의 것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단부(61) 및 스페이서 디스크(23)의 스톱 숄더(25) 사이에 지지 영역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의 단부(19)가 지지됨으로써, 이 단부는 축 방향으로, 즉 중심축(9)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지 않지만, 회전할 수 있다. 텐션 로드(13)는 지지부(21)에서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단단히 지지하는 외경을 가짐으로써, 콜릿 척은 반경 방향 안쪽으로, 즉 중심축(9)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척 장치(5) 및 이의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위한 단순하고 확고한 보유가 텐션 로드(13)의 외면 및 공구 홀더(1)의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 플랜지(59)의 단부(61) 그리고 스페이서 디스크(23) 사이에 단순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을 나타낸다.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도 1에 대한 설명이 참고된다.
도 2는 풀림 위치에 있는, 즉 공구의 중공 테이퍼 생크가 공구 홀더(1)에 쉽게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척 장치(5)를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은 그 단부(29)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헤드(29')는 중심축(9)의 방향으로 단부(29)에 대하여 안쪽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헤드(29')는 더 이상 텐션 로드(13)의 제1외면부(17)에 위치하지 않고, 대신에 텐션 로드(13)의 외면에 함몰에 의해 형성되고 제1외면부(17)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외면부(17')에 놓인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의 헤드(29')는 내부에 충분히 멀리 위치함으로써, 공구의 중공 생크가 공구 홀더(1)의 내부, 즉 장착 플랜지(59)에 방해 없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의 헤드(29')가 중심축(9)의 방향에서 뒤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텐션 로드(13)는 중심축(9)의 방향으로 공구 홀더(1)로부터 바깥쪽으로(도 2에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나사 스핀들(35)의 도움으로 중심축(9)에서 바깥쪽으로 가동 유닛(27)의 가동 요소(31)를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가동 요소(31)의 가동부(33)도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가동 요소는 텐션 로드의 맞물림 요소(여기서는 볼 수 없음)와 쐐기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때문에, 가동 요소(31)의 바깥쪽 운동은 좌측으로 텐션 로드(13)의 축 변위로 전환된다.
텐션 로드(13)의 변위 경로는 텐션 로드의 말단면(63)이 공구(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와 부딪혀서 공구를 공구 홀더(1)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공구 홀더(1)는 쐐기 메커니즘의 도움으로 중심축(9)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텐션 로드(13)가 제1방향으로(도 1에서 우측으로)의 운동으로 공구를 공구 홀더(1)에 조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도 2에서 좌측으로)의 운동으로 조여진 공구를 풀고, 적절히 설계될 경우, 공구를 공구 홀더(1)에서 빼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요소(31)는 중심축(9)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이동할 필요는 없다. 쐐기 메커니즘이 적절히 설계될 경우, 가동 요소(31)의 이동 경로는 중심축(9)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연장될 수도 있다.
텐션 로드(13)의 축 방향 운동 중에, 텐션 로드는 반경 방향으로 핀(47)에 의해 지지될 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 즉 중심축(9)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척 장치(5)의 풀림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다. 오히려, 콜릿 척은 공구의 중공 생크가 공구 홀더(1)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때 중심축(9)의 방향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의 강제 복귀가 바람직하게는 제공된다. 이것은 이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의 헤드(29') 영역에, 빠짐에 대해 적절하게 고정되는 탄성 복원 요소(R)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복원 요소는 O-링으로 또는 환형 스프링 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에 외부 홈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복원 요소(R), 예를 들어 O-링이 삽입된다. 여기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처럼, 다수의 콜릿 척(7)이 척 장치(5)를 구현하는 주변을 따라 등거리 간격으로 구비될 경우, 복원 요소(R)는 모든 콜릿 척을 둘러싸고 이들을,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텐션 로드(13)에 의해 생성되지 않자마자, 중심축(9)의 방향으로 들어가게 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에 대한 복원력은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그 단부(19)에서 프리텐션 힘을 받아서, 중심축(9)의 방향으로 헤드(29')를 밀어내어 헤드가 텐션 로드(13)의 제2외면 영역(17')에 놓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명백하듯이, 쐐기 메커니즘은 두 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돌출부로 설계되는 맞물림부가 텐션 로드(13)에 맞물리도록, 가동 요소(31) 상에 가동부(33)가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역기능 또한 가능한데, 즉 가동부(33)로서 사용되고 텐션 로드의 맞물림부를 제공하는 텐션 로드(13)의 홈에 맞물리도록 가동 요소에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명백하듯이, 두 경우에서 가동부(33)는 중심축(9)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예각으로 경사진다. 이에 따라, 맞물림부는 쐐기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해 텐션 로드(13)에서 경사진다.
중심축(9)에서 가동 요소(31)의 바깥쪽 변위는 텐션 로드(13)를 바깥쪽으로(도 2에서 좌측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 결과, 나사 스핀들(35)은 회전하게 되고, 그 외부 나사선은 가동 요소(31) 및 나사 링으로 설계되는 나사 요소(37)와 맞물린다. 적절한 회전 방향을 위해, 숄더(65)는 나사 요소(37)가 중심축(9)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사실로 인해, 가동 요소(31)는 바깥쪽으로 당겨진다. 나사 요소(37)가 외부 나사선을 구비할 경우, 외부 나사선은 공구 홀더(1)의 내부 나사선과 대응되게 맞물리고, 이 경우에서 숄더(65)는 기본적으로 필요 없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텐션 로드(13)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풀림 또는 조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텐션 로드(13)를 조임 또는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쐐기 메커니즘은 스프링 요소를 방해하는 힘을 적용할 필요만 있다. 이후 이중-작용 쐐기 메커니즘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도 3은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된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을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서 절단면은 도 1 및 2의 것에 대하여 경사진다.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도 3에서 명백하듯이, 공구 홀더(1)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를 가지며, 이것에 의해 냉각제/윤활제가 공구 홀더(1)에 주입된다. 이 매체는 공구 홀더(1) 내부의 냉각제/윤활제 채널(69)을 통해 이송되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에 이르게 된다. 제1섹션(73)은 이 경우에서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중심축(9)에 수직인 냉각제/윤활제 채널(69)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연장된다. 제1섹션은 외부로 개방됨으로써,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제1섹션(7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섹션(73)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보어홀로 설계됨으로써, 여기에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원통형 본체가 삽입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더(1)의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갖는다. 그러나, 단지 제1섹션(73)에 삽입되는 요소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외부로부터 냉각제/윤활제 채널(69)과 유체 연결 상태에 있는 제1섹션(73)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75)를 갖는다.
제1밀봉부(75)로부터 일정 거리에 제2밀봉부(77)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에 구비되어 제1섹션(73)을 안쪽으로 밀봉함으로써, 매체가 중심축(9)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1섹션(73)은 냉각제/윤활제 채널(69)과 유체 연결 상태에 있다. 그 위치에서 흐르는 매체는 두 밀봉부(75 및 77)의 다른 면에는 도달할 수 없다.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2섹션(79)은 두 밀봉부 사이에 있다. 엄밀히 예를 들면, 냉각제/윤활제 채널(69) 및 제2섹션(79)은 중심축(9)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섹션(73)은 본질적으로 거기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단지 중요한 것은 냉각제/윤활제 채널(69)이 제1섹션(73)을 통해 제2섹션(79)과 유체 연결 상태에 있고, 제2섹션(79)은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 영역으로 개방된다는 것이다. 제2섹션(79)은 도 3의 절단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서 제2섹션(79)의 개구는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 영역에서는 볼 수 없다.
도 3에 따른 도면에서 척 장치(5)는 도 1과 동일하게 조임 위치에 있다.
장착 플랜지(59)는 예를 들어 이 경우에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81)를 이용하여 공구 홀더(1)의 본체에 적절히 부착된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을 말단면도로, 즉 말단면(15)의 평면도로 나타낸다. 여기에서도,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도 4는 A-A선을 통해 도 1 및 2에 따른 종단면도의 절단면을 나타내고, B-B선을 통해 도 3의 종단면도의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에 위치한다. 이 수직선에 대한 각도는 여기에 기술된 공구 홀더(1)의 기능에 별로 중요하지 않고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2섹션(79)이 말단면(15)으로 개방됨으로써, 텐션 로드(13)의 내부 공간(55)이 냉각제/윤활제 공급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내부 공간은 공구 홀더(1)에서 캐비티(57)와 함께, 이 경우에서는 구동축으로 설계되는 가동 요소를 통해 안내하는데 이용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공구 홀더(1)에 지지되는 공구의 회전가능한 공구 요소가 회전할 수 있다.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2섹션(79)에 있는 개구(83)를 통해 공구 홀더(1)에 지지되는 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대상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2섹션(79)은 이것이 B-B 절단면에서 그 전체 길이로 있을 필요가 없음에도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말단면(15)의 개구(83)는 이 경우에서 장착 플랜지(59)가 4개의 나사(81)를 이용하여 공구 홀더(1)에 부착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공구 홀더의 태양은 스타 터릿의 일부의 예로서, 이것의 원주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구 홀더가 위치한다.
도 5는 공구 홀더(1)의 변경된 실시 태양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4에 따른 제1실시 태양에도 존재하는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진다. 다른 측면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도 5에 도시된 공구 홀더(1)는 다시 한번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 바람직하게는 둘레를 따라 등거리로 이격된 다수의 콜릿 척(7)을 갖는 척 장치(5)를 구비한다. 텐션 로드(13)는 공구 홀더(1)의 중심축(9)에 대하여 동축으로 위치하고, 가동 유닛(27)에 의해 이 중심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가동 유닛(27)의 가동 요소(31)가 중심축(9)에 대해 일정 각도, 이 경우에서는 90°로 이동할 때, 텐션 로드(13)는 도 5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텐션 로드(13)의 원주면 상에 있는 제1외면부(17)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바깥쪽으로 회전하면서, 공구 홀더(1)에 삽입되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는 공구의 중공 테이퍼 생크와 맞물리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은 중공 테이퍼 생크에 내향(inward) 힘을 가함으로써, 중공 테이퍼 생크가 한편으로는 지지 표면(11)에 대해 가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구 홀더(1)의 내부로 당겨지며, 이에 따라 단단히 고정된다.
텐션 로드(13)의 축 방향 변위는 핀(47)에 의해 안내되는데, 이것은 또한 텐션 로드(13)의 반경 방향 지지체를 제공한다. 핀(47)은 예를 들어 중공 스프링 요소로서 설계되는데, 이것은 종방향 슬롯을 구비함으로써, 텐션 로드(13)의 내부 단부(29)에서 시작되는 텐션 로드(13)의 돌출부(43)에 용이하게 결합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 도면에 대한 설명이 참고된다.
도 1 내지 4에 따른 실시 태양과 동일하게, 이 경우에서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냉각제/윤활제 채널(69),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을 포함한다. 여기에서도, 외부로부터 제1섹션(73)으로 삽입될 수 있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구비된다. 이 경우에서는 나사가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으로 사용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외부로부터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제1섹션(73)을 밀봉하고, 이 경우에서는 제2섹션(79)도 밀봉하는 제1밀봉부(75)를 가짐으로써, 냉각제/윤활제 채널(69)에 도입된 냉각제/윤활제가 제2섹션(79)으로 지나갈 수 없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도 1 내지 4의 실시 태양에서 변경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제1밀봉부(75)만을 갖는다. 제1밀봉부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제1섹션(73) 내부에서 연장되고, 숄더(85)를 포함하는데, 이것의 외경은 제1섹션(73)의 것보다 더 작다. 숄더(85)는 중심축(9)을 향해 공구 홀더(1)에서 캐비티(57)로 돌출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냉각제/윤활제 튜브(87)가 중심축(9)과 중공 텐션 로드(13)에 대하여 동심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서 캐비티(57)는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에 도시된 공구 홀더(1)는 구동축을 통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공구 홀더(1)는 척 장치(5)의 중공 테이퍼 생크를 통해 공구 홀더(1)에 단단히 연결되는 정지된 공구에 적합하다.
냉각제/윤활제 튜브(87)는 말단면 상의 그 내부 단부에서 폐쇄된다. 냉각제/윤활제 튜브는 그 원주면에 도입되는 환형 홈(91)을 갖는데, 여기에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숄더(85)가 맞물리고 이에 따라 축 방향으로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고정한다. 이 경우에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위한 고정 나사로서 설계된다. 제1섹션(73)은 환형 홈(91)과 유체 연결 상태에 있다; 즉 냉각제/윤활제 채널(69)에 도입되는 공구 냉각 및/또는 윤활용 매체는 제1섹션(73)을 통해 환형 홈(91)까지 통과한다. 이 환형 홈은 적어도 하나의 보어홀(93),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보어홀(93)을 통해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95)에 연결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에 의해 제공되는 매체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통해 공구 홀더(1)에 지지되는 공구까지 이송될 수 있다.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방식으로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좌측 단부에 삽입되는 냉각제/윤활제 연결부를 갖는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채널 섹션은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 공간에 의해 제공된다.
결국,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 및 5에 따른 두 공구 홀더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나, 예외적으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특정 태양에서 제공된 매체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제2섹션(79)을 통해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에 전달되지 않고, 오히려 중공 텐션 로드(13)에 삽입되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에 안쪽으로 전달됨으로써, 이 경우에서는 중앙 집중화된 냉각제/윤활제 공급을 달성한다.
척 장치(5)를 풀기 위해, 가동 유닛(27)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된 것처럼 가동됨으로써, 가동 요소(31)가 중심축(9)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에 있는 나사 스핀들(35)에 의해 바깥쪽으로, 즉 중심축(9)에서 멀리 이동한다. 여기에서도, 쐐기 메커니즘이 가동 유닛(27) 및 텐션 로드(13) 사이에 이루어짐으로써, 가동 요소(31)의 외향(outward) 운동이 좌측으로 텐션 로드(13)의 축 변위를 일으키고, 따라서 선택적으로는 복원 요소(R)의 작용 하에,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중심축(9)의 방향에서 뒤로 회전한다. 여기에서도, 그 말단면(63)이 공구 홀더(1)에 삽입된 공구를 빼낼 때까지, 텐션 로드(13)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척 장치(5)가 가동될 때, 즉 텐션 로드(13)가 움직일 때,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환형 홈(91)에 맞물리는 숄더(85)는 공구 홀더(1)의 캐비티(57)에서 이 튜브의 축 변위를 방지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 채널(69) 및 제1섹션(73)을 통해 연장되는 냉각제/윤활제 공급이 연속적으로 보장된다.
도 6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데, 절단면은 도 5의 도면에 대하여 90°로 회전되고 도 5의 B-B선을 따라 연장된다.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장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공구 홀더(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바람직하게는 사용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은 외부로부터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제1섹션(73)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75)를 포함한다. 유체 연결은 숄더(85) 옆에 구비되고 제1섹션(73)과 환형 홈(91) 사이에서 연장되는 홈 또는 보어홀에 의해 구축됨으로써, 냉각제/윤활제 매체가 적어도 하나의 보어홀(93)을 통해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95)로 지나갈 수 있고 공구 홀더(1)에 지지되는 공구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서 명백하듯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다시 한번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위치한다. 그러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은 냉각제/윤활제가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에 도달할 수 없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사용될 때, 개구(83)가 밀봉됨으로써, 냉각제/윤활제는 이 위치에서 빠져나갈 수 없고, 중앙 집중화된 공급부의 모든 매체가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95)를 통해 제공된다.
도 7에 따른 도면에서 명백하듯이, 장착 플랜지(59)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81), 이 경우에서는 4개의 나사에 도움으로 공구 홀더(1)의 본체에 고정된다. 도 5 및 6을 참고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 홀더는 그 말단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공구 홀더(1)를 갖는 드럼 터릿으로 설계된다.
도 8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부품들을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중공 텐션 로드(13)에 삽입될 수 있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갖는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이 여기에서 기술된다.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 단부(89)에 있는 말단면 마감재뿐만 아니라, 그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보어홀(93)을 갖는 환형 홈(91)이 명백히 보이는데, 이 보어홀은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95)를 환형 홈(91)에 연결한다. 공구 홀더(1)의 조립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나사로 사용되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숄더(85)가 이 환형 홈에 맞물린다.
이 경우에서는 서로로부터 이격된 다수의 콜릿 척(7)을 갖는 척 장치(5)는 장착 플랜지(59)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데, 이 장착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81)가 관통한다. 콜릿 척(7)은 척 장치(5)의 우측 단부에 있는 유지 요소(97)를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척 장치(5)의 설치를 크게 단순화시킨다. 유지 요소(97)는 스페이서 디스크(23)에 수용되고 장착 플랜지(59)에 가압된다. 따라서 콜릿 척(7)이 링(97)로부터 바람직한 방향으로 시작되게 함으로써, 콜릿 척이 예를 들어 프리텐션 하에 텐션 로드(13)의 외면에 놓이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콜릿 척(7)의 헤드(29') 영역에 탄성 복원 요소(R)로서 O-링을 구비함으로써, 텐션 로드(13)에 콜릿 척의 헤드(29')를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공구 홀더(1)의 사시도에서, 텐션 로드(13)의 돌출부(43) 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텐션 로드(13)를 안내하는데 사용되는 핀(47)이 명확하게 식별 가능하다.
가동 요소(31)의 가동부(33)와 협력하는, 텐션 로드(13)의 외부에 있는 텐션 로드(13)의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99)가 여기서 명백히 보인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텐션 로드(13)는 2개의 마주하여 위치하는 맞물림부(99)를 가짐으로써,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텐션 로드(13)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텐션 로드가 기울지 않는다.
가동 요소(31)는 가동부(33)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면(103)을 갖는 수용 슬롯(101)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서, 가동 요소(31)는 2개의 본질적으로 평행한 내면(103)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텐션 로드913)의 단부(29)가 안착되는 수용 슬롯(101)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가동 요소(31)에서, 가동부(33)가 구비되는 하나의 내면(103)에 측면으로 개방되는 수용 슬롯(101)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션 로드(13)는 핀(47) 또는 공구 홀더(1)의 내면 상에 적절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내면(103)이 구비됨으로써, 텐션 로드(13)의 양면에 맞물리는 2개의 마주하여 위치하는 가동부(33)를 구비함에 따라 균일하게 힘을 도입할 수 있다. 가동부(33) 및 맞물림부(99)는 쐐기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두 부품 중 어느 것이 돌출부로 구비되고 어느 것이 홈으로 구비되는가는 관계없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가동 요소(31)의 수용 슬롯(101)의 내면(103)에 홈이 구비됨으로써, 돌출부로서 설계되는 텐션 로드(13)의 맞물림부(99)와 협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33) 및 맞물림부(99)는 공구 홀더(1)의 가상 중심축(9)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연장된다. 텐션 로드(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한 쐐기 메커니즘과 관련된 부품의 변위 경로의 균형 비율을 얻기 위해, 중심축(9)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하여 약 40°의 각도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중요한 것은 힘이 텐션 로드(13) 및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통해 공구의 중공 생크에 전달되고 공구 홀더(1)에서 단단한 조임을 확보하기에 충분히 큰 것이다.
도 8은 또한 이 경우에서는 나사 링으로 설계되는 2개의 나사부, 즉 가동 요소(31)에 맞물리는 제1섹션, 및 나사 요소(37)에 맞물리는 제2섹션을 갖는 나사 스핀들(35)을 나타낸다. 나사 스핀들(35)의 나사부는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피치(pitch)를 구비함으로써, 나사 스핀들의 회전 운동은 가동 요소(31)의 상대적으로 큰 변위를 한 방향으로 유발한다.
마지막으로, 도 9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공구 홀더(1)의 실시 태양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을 나타낸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이 실시 태양은 중심축(9)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냉각제/윤활제 공급부의 두 채널을 서로 연결하고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으로부터 매체가 빠져나가게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도면에서 명백하듯이, 다양한 냉각제/윤활제 안내가 드럼 터릿 또는 스타 터릿으로 설계되는 공구 홀더(1)에 가능하다. 양 실시 태양 모두에서,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으로부터의 배출뿐만 아니라, 공구의 지지 영역으로 냉각제/윤활제 매체의 중앙 배출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따른 실시 태양에서,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1섹션(73) 및 캐비티(57) 사이의 유체 연결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면서,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은 가능할 수 있도록,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설계된다. 따라서, 도 3의 실시 태양에 따른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사용될 경우, 제1밀봉부(75) 및 제2밀봉부(77)의 구성은 냉각제/윤활제가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로부터 제1섹션(73)을 통해 제2섹션(79)으로 흐르도록 한다. 동시에, 제2밀봉부(77)는 캐비티(57)에 대하여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를 밀봉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의 단 하나의 분산된 공급이 제공되는데,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에 있는 개구(83)에서 가능하다.
도 5에 따른 실시 태양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을 나타내는데,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1섹션(73) 및 냉각제/윤활제 튜브(87) 사이의 유체 연결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면서,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은 폐쇄될 수 있도록,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이 설계된다. 따라서, 이 실시 태양에서, 냉각제/윤활제 채널(69) 및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2섹션(79) 사이의 연결은 제1밀봉부(75)에 의해 차단되면서, 제2밀봉부(77)는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냉각제/윤활제가 냉각제/윤활제 채널(69)로부터 제1섹션(73)을 통해 냉각제/윤활제 튜브(87)까지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단 하나의 중앙 집중화된 냉각제/윤활제 공급이 달성되고,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통해 공구에 중앙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는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에 있는 개구(83)에 도달할 수 없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도 3 및 5에 도시된 각 실시 태양에서, 다른 공급 경로는 차단되면서, 2개의 가능한 공급경로, 즉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된 공급 경로 중 정확하게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구비된다.
도 10은 본질적으로 두 기능 위치를 갖거나 추정할 수 있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을 나타낸다. 이 목적을 위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은 외부 분배 요소(105) 및 그 종축을 따라 그 안에서 변위 가능하게 위치하는 가동기(107)를 갖는다. 도 10은 제1기능 위치에 있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내부 가동기(107)는 분배 요소(105)에 대하여 상위 위치로 이동하고, 가동기(107)의 상단은 분배 요소(105)로부터 돌출된다.
분배 요소(105)는 바람직하게는 헤드(109)로 설계되는 최대 직경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더(1)에 분배 요소(105)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그 원주면에, 공구 홀더(1)의 대응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갖는다. 가동 유닛(111)이 구비되는데, 이것에 의해 분배 요소(105)가 공구 홀더(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가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71)의 종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슬롯으로 설계된다. 외부 나사선의 도움으로 공구 홀더(1)의 대응 내부 나사선에 헤드(109)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드라이버가 여기에 공지된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가동기(107)는 마찬가지로 가동 유닛(113)을 갖는데, 이것에 의해 가동기가 분배 요소(105) 내에서 변위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가동 유닛은 육각형 원주면을 갖는 리세스로 설계되고, 육각형 외면을 갖는 렌치, 예를 들어 알렌(Allen) 렌치가 공지된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분배 요소(105)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즉 종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보어홀을 갖는데, 이 중 상부 보어홀(115)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이 보어홀은 냉각제/윤활제 흐름을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도 11은 도 10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제어 유닛(71)은 또한 도 11에서 제1기능 위치로 도시된다.
상부 보어홀(115)과 더불어, 마찬가지로 제어 유닛(71)의 종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하부 보어홀(117)이 명백히 보인다.
가동기(107)는 상부 영역(119)을 포함하는데, 그 원주면은 적어도 여러 군데에 외부 나사선을 갖는다. 외부 나사선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영역(119)의 전체 원주면에 걸쳐서 연장된다. 외부 나사선은 분배 요소(105)의 내주면(121)에 적어도 여러 군데에 위치하는 내부 나사선과 맞물린다. 환형 홈으로 설계되는 언더컷(undercut)(123)이 헤드(109)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원주면(121)의 내부 나사선은 축 방향에서 봤을 때 언더컷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된다. 이 내부 나사선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보어홀(117)의 영역가지 연속된다.
가동기(107)는 하부 영역(125)을 갖는데, 그 외경은 분배 요소(105)의 내경보다 더 작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가동기(107)의 하부(125)의 외주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분배 요소(105)의 내주면은 냉각제/윤활제가 흐를 수 있는 환형 공간(127)을 경계 짓는다.
하부 영역(125)은 축 방향으로 봤을 때 그 하단부(129)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되, 바람직하게는 상부 영역(119)보다는 하단부(129)에 더 가까운 반경 방향 돌출부(131)를 갖는다. 반경 방향 돌출부(131)는 분배 요소(105)의 내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돌출부(131)는 그 원주를 따라 밀봉 요소(13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이 경우에서는 분리 요소로 설계되는 밀봉 요소(135), 바람직하게는 O-링을 수용할 수 있는 환형 홈(133)이 돌출부(131)에 구비된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밀봉 부재(135)는 돌출부(131)와 일체형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성 영역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제1기능 위치에서, 돌출부(131)가 분배 요소(105)에 본질적으로 완전히 위치할 때까지, 가동기(107)는 위쪽으로 이동한다. 밀봉 부재(135)는 분배 요소(105)의 내주면에 놓이고, 분배 요소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환형 공간(127)은 밑에서 밀봉된다.
도시된 기능 위치에서, 다른 밀봉 요소(139)가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밀봉 요소(135)와 대략 동일 높이로 분배 요소(105)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분배 요소(105)의 외주면은 환형 홈(137)을 포함하는데, 여기에 이 경우에서는 분리 요소로 설계되는 밀봉 부재(139), 바람직하게는 O-링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밀봉 부재는 공구 홀더(1)의 내주면에 밀봉 접촉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1로부터 다음이 명백하다: 환형 공간(127)은 밀봉 요소(135)에 의해 아래에서 밀봉되고, 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미세-피치 나사선으로 설계되고 내주면(121)에 위치하는 나사선과 맞물리는 상부 영역(119)의 외부 나사선이 밀봉 기능을 맡는다. 따라서 환형 홈(127)은 위와 아래에서 밀봉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밀봉 요소, 예를 들어 O-링(도시되지 않음)을 언더컷(123)에 삽입함으로써, 이 위치에서 추가적인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도시된 제1기능 위치에서, 환형 공간(127)은 보어홀(115, 117)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다.
도 12는 도 10의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제1기능 위치에 있는 공구 홀더(1)의 일 실시 태양의 말단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도 4 및 7에 도시된 실시 태양과는 달리, 이 경우에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개구(83)와 본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제어 유닛의 작동 모드에서 중요하지는 않다.
도 13은 B-B선에 따른 도 1의 공구 홀더(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도 13에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공구 홀더(1)에서 제1기능 위치에 있다.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 태양에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은 공구 홀더(1)의 리세스에 확고하게 단단히 삽입될 수 있는 장착 장치로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 태양에서 헤드(109)는 그 원주면에, 공구 홀더(1)의 대응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동 유닛(111)(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의 도움으로 공구 홀더(1)에 제어 유닛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공구 홀더(1)에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을 확고하게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을 수용하는 공구 홀더(1)의 리세스는 동시에 제1섹션(73)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그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리세스는 헤드(109)가 맞닿는 숄더(141)를 가짐으로써,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그 축 방향에서 봤을 때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여기에서 제1기능 위치로 도시된다. 이것은 돌출부(131)가 분배 요소(105) 내부에 본질적으로 완전히 위치할 때까지, 가동기(107)는 분배 요소(105)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형 공간(127)은 밀봉 요소(135)에 의해 아래에서 폐쇄되면서, 위에서는 내주면(121)에 구비되고 가동기(107)의 대응 외부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선에 의해 폐쇄된다.
도시되지 않은 바람직한 일 실시 태양에서, 밀봉 요소, 예를 들어 O-링이 언더컷(123)에 구비됨으로써, 위쪽에 환형 공간(127)의 추가적인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제1기능 위치에서,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채널(69)을 통해 제1섹션(73)으로 흐를 수 있다. 제1섹션(73)의 내경은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냉각제/윤활제 채널(69)을 제2섹션(79)에 연결하는 영역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분배 요소(105)의 외경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섹션(73)은 상기 영역에서 분배 요소(105)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환형 공간(143)을 포함한다.
냉각제/윤활제는 이 환형 공간(143)으로부터 보어홀(117)을 통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으로 지나간다. 환형 공간(143)은 매우 작은 부피 및 마찬가지로 매우 작은 흐름 단면을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채널(69)로부터 그리고 꽤 큰 흐름 단면을 갖는 보어홀(117)을 통해 흐름으로써, 단지 냉각제/윤활제 흐름의 작은 부분만이 환형 공간(143)에 분배된다.
냉각제/윤활제는 보어홀(117)을 통해 환형 공간(127)으로 지나가는데, 이 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는 밀봉 요소(135)에 의해 밀봉되고, 위에서는 기술된 나사선에 의해 밀봉된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는 보어홀(115)로부터 재출현하고 다시 한번 환형 공간(143)을 경유하여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2섹션(79)으로 지나간다. 장착 플랜지(59)를 관통하고 개구(83)를 갖는 보어홀(145)이 제2섹션과 인접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태양에서, 이 위치에서 냉각제/윤활제 공급을 원하지 않을 경우, 개구(83)는 멈춤 나사(14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후 멈춤 나사(147)는 개구(83)로부터 냉각제/윤활제를 빼내기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개구(83)를 폐쇄하기 위해, 다른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 다른 형태의 나사 또는 적절한 마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단지 중요한 것은 개구로부터 냉각제/윤활제가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개구(83)는 신뢰할 수 있게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구 홀더(1)의 장착 플랜지(59)와 면하는 표면에 홈(149)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제/윤활제는 이 홈을 통해 다양한 보어홀(145) 또는 다양한 개구(83)에 분배될 수 있다. 역기능의 의미 내에서,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 홈(149)은 공구 홀더(1)와 면하는 장착 플랜지(59)의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냉각제/윤활제가 배출되지 않는 개구는 예를 들어 멈춤 나사(147)를 이용하여 폐쇄될 수 있고, 반면에 냉각제/윤활제가 배출되는 개구는 멈춤 나사(147) 또는 다른 마감재를 갖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접근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요소(105)는 그 하단부에 제1섹션(73)의 내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요소(139)는 제1섹션(73)의 내벽에 밀봉 접촉을 제공함으로써, 환형 공간(143)이 밀봉 요소에 의해 하부에서 밀봉된다. 또한, 환형 공간(143)은 헤드(109)에 위치하고 공구 홀더(1)의 대응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에 의해 상부에서 밀봉된다. 숄더(141)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언더컷(151)이 위치하는데,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 태양에서 이 언더컷에 밀봉 요소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밀봉 요소는 상부에서 환형 공간(143)의 추가적인 밀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이 명백하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제1기능 위치에 있을 때,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이 본질적으로는 보어홀(117), 환형 공간(127) 및 보어홀(115)을 통해 가능하다. 냉각제/윤활제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환형 공간(143)을 통해 흐른다. 그러나, 이 위치를 통해 흐르는 양은 환형 공간의 작은 부피 및 매우 작은 흐름 단면으로 인해 무시할만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35 및 139) 각각에 의해 하부에서 폐쇄되는 환형 공간(127) 및 환형 공간(143)이 차단됨으로써, 냉각제/윤활제 제1섹션(73)에서 캐비티(57)로 지나갈 수 없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제1기능 위치에서는, 냉각제/윤활제의 분산화된 공급만이 제공되고, 반면에 냉각제/윤활제 튜브(8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캐비티(57)에 대한 접근이 차단됨으로써, 제1기능 위치에서 냉각제/윤활제의 중앙 집중화된 공급이 차단된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실시 태양을 나타내는데, 그러나 이 경우에서는 제2기능 위치에 있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이 경우에서는 가동기가 헤드(109)의 말단면에 있는 스톱(153)과 맞닿을 때까지, 가동기(107)는 분배 요소(105)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스톱(153)은 예를 들어 스냅 링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이것은 가동기(107)에 구비된 홈에 삽입된다. 다른 실시 태양에서는 스톱(153)을 가동기(107)와 일체형으로 설계하거나, 다른 적절한 요소,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제2기능 위치에서는, 밀봉 부재(135)와 함께 돌출부(131)가 분배 요소(105)로부터 돌출된다.
가동기(107)는 바람직하게는 가동 요소(113)를 가동시킴으로써, 제1기능 위치에서 제2기능 위치로 이동한다. 가동기(107)가 분배 요소(105)의 대응 내부 나사선과 맞물리는 외부 나사선을 가질 경우, 제1기능 위치에서 제2기능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가동기는 가동 요소(113)를 통해 분배 요소(105)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제2기능 위치에서 제1기능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가동기는 분배 요소(105)로부터 풀려나갈 수 있다. 다른 변위 메커니즘이 도시되지 않는 다른 실시 태양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기능 위치에 해당하는 가동기(107)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디텐트(detent) 위치가 분배 요소(105)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가동기(107)는 선택적으로는 순전히 축 변위에 의해서, 또는 축 변위와 회전 또는 선회 운동을 겹침으로써, 제1에서 제2디텐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 요소(113)는 또한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따라 제2기능 위치에 있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도 15에서 명백하듯이, 돌출부(131)는 분배 요소(105)로부터 완전히 외부에 위치한다. 동시에, 가동기(107)의 상부 영역(119)은 분배 요소로 깊이 이동함으로써, 가동기의 원주면에 위치하는 외부 나사선은 축 방향에서 봤을 때 보어홀(115) 밑에 위치하는 영역에서도 내주면(121)에 위치하는 내부 나사선과 맞물린다. 따라서 환형 공간(127)은 도 11에 도시된 제1기능 위치와 비교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어 환형 공간은 가동기(107)에 위치하는 나사선 또는 내주면(121)에 의해 상부에서 밀봉됨으로써 보어홀(115)이 접근 불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바람직한 일 실시 태양에서, 밀봉 요소는 또한 상부 영역(119)의 하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상부에서 환형 공간(127)의 추가적인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가동기(107)와 일체형으로, 또는 분리 밀봉 요소로, 예를 들어 홈에 삽입되는 O-링으로 설계되는 돌출부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31)가 완전히 분배 요소(105)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밀봉 요소(135)는 그 내부 벽에 밀봉 접촉을 만들지 못하고, 환형 공간(127)은 그 하단부에 개구(155)를 갖는다.
또한 숄더(85)로 설계되는 가동기(107)의 하부 영역(125)의 단부(129)가 명백히 보이는데,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6은 공구 홀더(1)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의 말단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여기에 도시된 공구 홀더(1)에서는, 도 14 및 15에 따라 설계되고 제2기능 위치에 있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구비된다. 또한, 냉각제/윤활제 튜브(87)는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공구 홀더(1)에 위치함이 명백하다. 공구 홀더는 장착 플랜지(59)와 면하는 말단면부터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폐쇄된 단부(89)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관통하는 중공 내부(95)를 갖는다.
도 17은 도 16의 공구 홀더(1)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동일하고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고 부호가 주어져서, 이전 설명이 참고된다. 중공 내부(95)에 연장되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폐쇄된 단부(89)가 여기에서 명백히 보인다.
이 경우에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도 13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구 홀더(1)에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그 도면에 대한 설명이 참고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는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제2기능 위치에 있음으로써, 가동기(107)는 분배 요소(105)에 대하여 최대 거리, 즉 스톱(153)에 의해 제공되는 한계까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1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환형 공간(127)은 보어홀(115) 하부 영역에서, 가동기(107)에 위치하는 나사선 및 내주면(121)에 의해 상부에서 밀봉됨으로써, 이 보어홀은 환형 공간(127)으로부터 접근 불가능하다. 대신에, 돌출부(131)가 완전히 분배 요소(105) 외부에 위치한다는 사실로 인해 개구(155)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서 단부(129)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환형 공간(91)에 연장되는 숄더(85)로서 기능하고 이를 축 방향으로 고정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도시된 기능 위치에서,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채널(69)로부터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제1섹션(73)으로, 특히 보어홀(117)을 통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환형 공간(127)으로 흐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환형 공간은 보어홀(115)에 대하여 상부에서 폐쇄됨으로써, 냉각제/윤활제가 이 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는 개구(155)를 통해 제1섹션(73)의 하부 영역(157)으로 흐른다. 여기에서부터, 냉각제/윤활제는 환형 홈(91)을 통과하는데, 이 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홀(93)이 도 5 및 6과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구비되고, 이를 통해 냉각제/윤활제가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95)를 통과할 수 있다.
제1섹션(73)의 하부 영역(157)은 밀봉 요소(139)에 의해 환형 공간(143)에 대하여 밀봉됨으로써, 냉각제/윤활제가 이 위치에서 반대로 흐를 수 없다.
환형 공간(143)에 대한 보어홀(117)의 흐름 단면의 비율로 인해, 단지 소량의 냉각제/윤활제만이 환형 공간(143)을 통과한다. 그러나, 이 냉각제/윤활제는 제2섹션(79), 그리고 또한 보어홀(145) 또는 개구(83)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냉각제/윤활제는 이 위치에서 거의 또는 전혀 빠져나가지 못하는데, 이것은 환형 공간(143)으로 들어가는 냉각제/윤활제 흐름의 분율이 너무 작기 때문이다. 냉각제/윤활제가 개구(83)를 빠져나가는 것을 완전히 그리고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기 위해, 개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멈춤 나사(147)를 이용하여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 태양에서는, 환형 공간(143)이 구비되지 않도록, 분배 요소(105)의 외경을 제1섹션(73)에 적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냉각제/윤활제는 보어홀(117 및 115) 또는 개구(155)를 통해서만 흐를 수 있음으로써, 특히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제2기능 위치에서는 냉각제/윤활제가 제2섹션(79)을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다음이 명백하다: 제2기능 위치에서는 제1섹션(73) 및 냉각제/윤활제 튜브(87) 사이의 유체 연결이 보어홀(117), 환형 공간(127), 개구(155), 하부 영역(157), 환형 홈(91), 및 적어도 하나의 보어홀(93)을 통해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각제/윤활제는 냉각제/윤활제 채널(69)로부터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95)로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앙 집중화된 냉각제/윤활제 공급이 가능하다. 동시에, 제2섹션(79)으로의 냉각제/윤활제 흐름이 실질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방지됨으로써, 제1섹션(73) 및 이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을 차단한다. 따라서 분산화된 냉각제/윤활제 공급은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제2기능 위치에서는 배제된다.
상기의 견지에서, 여기에 기술된 공구 홀더(1)의 모든 실시 태양에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사용될 수 있어서,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화된 냉각제/윤활제 공급 사이의 간단한 전환을 보장한다.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의 이 실시 태양은 공급을 전환하기 위해 교체될 필요는 없고, 대신에 제1기능 위치에서 제2기능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어서, 두 기능 위치는 다른 형태의 공급에 대응한다. 따라서 공급 전환은 개별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각 형태의 공급마다 구비되어야 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빠르고 덜 복잡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제어 유닛을 보관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실될 수도 없다.
공구 홀더(1)의 두 태양에서, 구동축으로 설계되는 가동 요소를 예를 들어 중공 텐션 로드(13)를 통해 안내하고, 공구 홀더(1)에 삽입된 공구의 절삭 날을 회전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다.
특히 유리하게는, 가동 유닛(27)이 텐션 로드(13)의 측면 상에 작용한다는 사실로 인해 공구 홀더(1)가 매우 짧은 구조를 가질 수 있음으로써, 공구 홀더(1) 내부에서 텐션 로드의 자유 단부(29)는 개방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가동 요소에 접근 가능하다. 중공 텐션 로드(13)에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도입하고 이를 중앙 집중화된 냉각제/윤활제 공급을 달성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고정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다.
모든 경우에서 짧은 구조 및 중앙 통로가 공구 홀더(1)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1: 공구 홀더 3: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
5: 척 장치 7: 콜릿 척
9: 중심축 11: 지지 표면
13: 텐션 로드 15: 공구 홀더 말단면
17: 텐션 로드 제1외면부 19: 콜릿 척 단부
21: 지지부 23: 스페이서 디스크
25: 스톱 숄더 27: 가동 유닛
29: 텐션 로드 단부 31: 가동 요소
33: 가동부 35: 나사 스핀들
37: 나사 요소 39: 외부 접근 가능한 개구
41: 받침대 43: 텐션 로드 돌출부
45: 텐션 로드 본체 47: 핀
49: 공구 홀더 리세스 53: 공구 홀더 지지 표면
55: 텐션 로드 내부 공간 57: 캐비티
59: 장착 플랜지 61: 장착 플랜지 단부
63: 텐션 로드 말단면 65: 숄더
67: 냉각제/윤활제 공급부 69: 냉각제/윤활제 채널
71: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 73: 제1섹션
75: 제1밀봉부 77: 제2밀봉부
79: 제2섹션 81: 나사
83: 제2섹션 개구 85: 제1밀봉부 숄더
87: 냉각제/윤활제 튜브 89: 냉각제/윤활제 튜브 내부 단부
91: 환형 홈 93: 환형 홈 보어홀
95: 냉각제/윤활제 튜브 내부 97: 유지 요소
99: 맞물림부 101: 수용 슬롯
103: 수용 슬롯 내면 105: 분배 요소
107: 가동기 109: 헤드
111: 가동 유닛 113: 가동 유닛
115: 상부 보어홀 117: 하부 보어홀
119: 가동기 상부 영역 121: 분배 요소 내주면
123: 언더컷 125: 가동기 하부 영역
127: 환형 공간 129: 하부 영역 하단부
131: 하부 영역 돌출부 133: 환형 홈
135: 밀봉 요소 137: 환형 홈
139: 밀봉 요소 141: 숄더
143: 제1섹션 환형 공간 145: 보어홀
147: 멈춤 나사 149: 홈
151: 언더 컷 153: 스톱
155: 개구 157: 제1섹션 하부 영역

Claims (25)

  1. 중심축(9);
    공구의 중공 샤프트에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을 갖는 척 장치(5);
    중심축(9)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과 협력함으로써, 텐션 로드(13)의 제1기능 위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7)이 척 위치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밀려나고, 텐션 로드(13)의 제2기능 위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콜릿 척이 중심축(9)의 방향에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텐션 로드(13); 및
    텐션 로드(13)와 협력하는 가동 유닛(27)을 갖는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를 포함하는 공구 홀더에 있어서,
    가동 유닛(27)은 가동 요소(31)를 갖고, 이 가동 요소는 중심축(9)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이동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가동부(33)를 포함하고,
    텐션 로드(13)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99)를 가지며,
    가동부(33) 및 맞물림부(99)는 쐐기 메커니즘을 형성함으로써, 가동 요소(31)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할 경우, 가동부(33)는 텐션 로드(13)의 축 변위를 유발하고,
    텐션 로드(13)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텐션 로드(13)는 공구 홀더의 내부로 돌출되며 개방된 단부(29)를 포함하고,
    가동 요소(31)는 텐션 로드(13)와 상기 단부(29)에서 측면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쐐기 메커니즘은 이중-작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가동 요소(31)는 수용 슬롯(101)을 포함하고, 이 슬롯은 2개의 내면(103)을 가지며, 이 내면은 서로 평행하고 텐션 로드(13)가 위치할 수 있는 중심축(9)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고, 가동부(33)는 적어도 하나의 내면(103)에 구비되어 텐션 로드(13)의 맞물림부(99)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가동부(33)는 양 내면(103)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가동 유닛(27)은 나사 스핀들(35)을 갖고, 이 나사 스핀들은 한편으로는 가동 요소(31)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구 홀더(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공구 홀더(1)에 도입될 수 있고, 나사 스핀들(35)을 위한 내부 나사선을 포함하며, 외부 나사선을 갖는 나사 링으로 설계되는 나사 요소(37)를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를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가동 요소는 중공 텐션 로드(13)를 통해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텐션 로드(13)에 삽입될 수 있고 중심축(9)에 대하여 동축으로 연장되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냉각제/윤활제 튜브(87)의 내부 단부(89)에 맞물리는 고정 장치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4. 제13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는 중심축(9)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5. 제9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냉각제/윤활제 공급부(67)의 냉각제/윤활제 채널(69)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6. 제15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채널(69)은 공구 홀더에서 수용부에 이르는 제1섹션(73)을 갖고, 이 수용부는 중공 텐션 로드(13)에 삽입될 수 있고 중심축(9)에 대하여 동축으로 연장되는 냉각제/윤활제 튜브(87)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채널(69)은 중공 테이터 생크를 갖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 홀더(1)의 말단면(15)에 이르는 제2섹션(7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8. 제17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제1섹션(73) 및 캐비티(57) 사이의 유체 연결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면서,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은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9. 제17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제1섹션(73) 및 냉각제/윤활제 튜브(87) 사이의 유체 연결이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면서,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은 폐쇄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0. 제17항에 있어서, 냉각제/윤활제 제어 유닛(71)은 본질적으로 2개의 기능 위치를 가지며,
    - 제1기능 위치에서 제1섹션(73) 및 캐비티(57) 사이의 유체 연결은 폐쇄될 수 있으면서,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은 가능할 수 있고,
    - 제2기능 위치에서 제1섹션(73) 및 냉각제/윤활제 튜브(87) 사이의 유체 연결은 가능할 수 있으면서, 제1섹션(73) 및 제2섹션(79) 사이의 유체 연결은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1. 제1항에 있어서, 공구 홀더(1)에서 텐션 로드(13)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안내 유닛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2. 제1항에 있어서,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가 공구 홀더(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플랜지(59)를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3. 제1항에 있어서, 공구 홀더(1)는 다수의 중공 테이퍼 생크 척 장치(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4. 제1항에 있어서, 공구 홀더는 드럼 터릿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25. 제1항에 있어서, 공구 홀더는 스타 터릿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KR1020117013470A 2008-11-27 2009-11-25 공구 홀더 KR101611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0164 2008-11-27
DE102008060164.0 2008-11-27
DE200910022199 DE102009022199B4 (de) 2009-05-20 2009-05-20 Werkzeugaufnahme
DE102009022199.9 2009-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324A KR20110095324A (ko) 2011-08-24
KR101611395B1 true KR101611395B1 (ko) 2016-04-12

Family

ID=4151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470A KR101611395B1 (ko) 2008-11-27 2009-11-25 공구 홀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30004B2 (ko)
EP (1) EP2370222B1 (ko)
JP (1) JP5762301B2 (ko)
KR (1) KR101611395B1 (ko)
CN (1) CN102227276B (ko)
BR (1) BRPI0921950A2 (ko)
WO (1) WO2010060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5062A1 (de) * 2011-05-31 2012-12-14 Su Matic Corp Revolverscheibe und Werkzeughalter für eine Werkzeugmaschine.
DE102012105759A1 (de) * 2012-06-29 2014-01-02 Röhm Gmbh Spannkopf
SE537043C2 (sv) * 2013-04-11 2014-12-1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Första kopplingsdel och verktygskoppling
DE102014104623B4 (de) * 2013-07-01 2016-05-25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aufnahme
CN103630061A (zh) * 2013-11-08 2014-03-12 吴中区木渎蒯斌模具加工厂 一种角度调节参照棒
CN103639844A (zh) * 2013-11-08 2014-03-19 吴中区木渎蒯斌模具加工厂 一种角度调节参照棒的应用方法
CN106270710B (zh) * 2014-05-21 2019-08-13 昆山科森科技股份有限公司 微创手术用手术刀的加工方法
CN103976775B (zh) * 2014-05-21 2016-09-28 昆山科森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手术刀的制造工艺
CN106238798B (zh) * 2014-05-26 2018-08-17 昆山科森科技股份有限公司 微创手术用铝管加工机构
CN104404883B (zh) * 2014-11-19 2016-05-25 中交四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桥墩快速施工内工作平台及施工方法
US10639726B2 (en) 2016-06-14 2020-05-05 Schaublin Sa Flexible coupling for attaching a collet to a draw bar
CN106181382B (zh) * 2016-07-13 2018-10-09 广州市昊志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车铣复合加工机床
CN107552819B (zh) * 2017-10-20 2023-06-20 江苏扬碟钻石工具有限公司 一种硬质合金切削刀具
US11420269B2 (en) * 2019-09-11 2022-08-23 Kennametal Inc. Clamping assembly, a toolholder assembly comprising a clamping assembly and a toolholder, and a method of changing a toolholder in a toolholder assembly
WO2024057337A1 (en) * 2022-09-17 2024-03-21 Qureshi Jaheda A single unit tool holder device for easy clamping and de-clamping of a tool shan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456A (ja) * 2006-10-31 2008-05-15 Yukiwa Seiko Inc 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344A (en) * 1990-02-01 1991-10-08 Kennametal Inc. Quick change clamping mechanism
DE4028775C1 (ko) * 1990-03-28 1991-07-25 Ott Maschinentechnik Gmbh, 8960 Kempten, De
DE4117765A1 (de) 1991-04-03 1992-12-17 Mapal Fab Praezision Schnittstelle
DE59209205D1 (de) * 1991-04-03 1998-04-02 Mapal Fab Praezision Schnittstelle
DE4220873C2 (de) 1992-06-25 2003-12-24 Guehring Joerg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zweier Teile
US5466102A (en) * 1993-12-16 1995-11-14 Kennametal Inc. System for coupling machine tools
US5415066A (en) * 1994-04-08 1995-05-16 Kennametal Inc. Apparatus for holding a toolholder shank
DE19618278B4 (de) * 1996-05-07 2008-09-25 Fritz Schunk GmbH & Co KG Fabrik für Spann- und Greifwerkzeuge Adapter zur Längeneinstellung eines Schaftwerkzeugs in einem Spannfutter mit Hohlschaftkegel
IL120763A (en) * 1997-05-02 2001-04-30 Iscar Ltd Rotary tool and method of using it
US5997455A (en) * 1997-07-23 1999-12-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ool clamp mechanism with shortened spindle
DE10241860B4 (de) * 2002-09-09 2016-08-18 Sigma Gmbh Exzenterspanner zum Spannen von Hohlschaft-Kegelwerkzeugen
CN2637042Y (zh) * 2003-08-12 2004-09-01 黄宗响 伸缩式内圆定芯弹性夹具
DE102004051031B3 (de) * 2004-10-20 2006-04-27 Ott-Jakob Gmbh & Co. Spanntechnik Kg Spannvorrichtung
DE102005015787A1 (de) * 2005-04-03 2006-10-05 It Compact Spindel Und Spanntechnologie Gmbh Exzenterspannvorrichtung zum axialen Spannen zweier voneinander lösbarer Maschinenbaute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456A (ja) * 2006-10-31 2008-05-15 Yukiwa Seiko Inc 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0222A1 (de) 2011-10-05
US8430004B2 (en) 2013-04-30
JP5762301B2 (ja) 2015-08-12
BRPI0921950A2 (pt) 2018-05-22
WO2010060603A1 (de) 2010-06-03
JP2012509776A (ja) 2012-04-26
EP2370222B1 (de) 2015-08-12
KR20110095324A (ko) 2011-08-24
CN102227276B (zh) 2014-06-25
US20110217135A1 (en) 2011-09-08
CN102227276A (zh)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395B1 (ko) 공구 홀더
US4863323A (en) Changing and chucking tool
KR101148357B1 (ko) 척에 콜릿을 고정시키는 클램핑 장치
US7192228B2 (en) Depth adjustment for a clamping chuck
US11135657B2 (en) Interface between a collet holder and a tool adapter
US20120321401A1 (en) Tap driver for rigid/synchronous tapping
KR20160005660A (ko) 터닝 툴로의 냉각액 또는 윤활액의 공급
US10226845B2 (en) Machine tool
JP2018058201A (ja) クーラント供給装置、及び工作機械用のクーラント供給装置を有する研削ツール
US6974287B2 (en) Tool clamping device
JPH0899245A (ja) 工具ホルダの給液用キャップ
US6257595B1 (en) Collect chuck with quick-change cap
US6241261B1 (en) Chuck
KR20220137655A (ko) 선삭 공구
US4775160A (en) Clamping chuck for drill bits and chisel bits
US5683212A (en) Clamping assembly for tapered hollow shank of tooling system
KR101098270B1 (ko) 공구의 인터페이스
RU2443512C2 (ru) Резцедержатель
JPH08112731A (ja) 工具ホルダ
US5228813A (en) Tool for use in machine tools
JPH09117811A (ja) ドリルチャック
KR100549264B1 (ko) 콜릿 척 수용기가 구비된 공구 지지부
JP2000326113A (ja) 特に工具のための迅速締め付け装置
JPH0740047U (ja) 工具ホルダー
JPH1158109A (ja) 工作機械用コレット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