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063B1 -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063B1
KR101608063B1 KR1020090097740A KR20090097740A KR101608063B1 KR 101608063 B1 KR101608063 B1 KR 101608063B1 KR 1020090097740 A KR1020090097740 A KR 1020090097740A KR 20090097740 A KR20090097740 A KR 20090097740A KR 101608063 B1 KR101608063 B1 KR 10160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evel
amount
refere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464A (ko
Inventor
김경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063B1/ko
Priority to US12/923,618 priority patent/US8462402B2/en
Priority to EP10187473.3A priority patent/EP2312825B1/en
Publication of KR2011004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6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references outside the pi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고,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in image scanning apparatus}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는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에 광을 주사하고, 주사된 광의 반사 광에 대하여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광전 변환(photoelectric tranformation)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ED) 등이 사용되고, 광원의 수명은 온도, 습도,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등의 사용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높고,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가 높을수록 광원의 열화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동일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주사되는 광의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즉, 광원의 누적 사용 시간에 따라 광량이 저하되고, 또한 화상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학 소자의 장치 내부에 미세 먼지가 누적됨에 따라 투과율 및 반사율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의 광량 저하 및 광학 소자의 투과율과 반사율의 저하에 따라 독취된 화상의 품질이 열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독취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는 단계; 상기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상기된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 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는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원고에 주사된 광이 반사된 광으로부터 상기 원고를 이미지 형태로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 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고, 상기 광량이 제어된 광원으로부터 독취대상에 주사된 광이 반사된 광으로부터 상기 독취대상을 이미지 형태로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 및 상기 화상독취장치에서 독취된 화상데이터를 나타내는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에 마련된 광원의 특성 편차 및 누적 사용 시간에 따라 독취되는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화상독취장치에서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화상을 독취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의 광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화상독취장치(200)는 광원제어장치(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및 출력부(220)로 구성된다. 광원제어장치(100)는 광원(110), 전원 인가부(120), 검출부(130), 저장부(140), 기준레벨 결정부(150), 비교부(160), 및 광량 제어부(170)로 구성되고, 검출부(130)는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 및 쉐이딩레벨 검출부(134)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상독취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 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광원제어장치(100)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200)에 결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독립적인 광원제어장치(100)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200)는 독취대상(180)을 독취한다. 이때, 독취라함은 사진, 그림, 문서 등의 독취대상(180)에 해당하는 원고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변환된 화상데이터는 화상독취장치(200)의 출력부(220)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또는 화상독취장치(200)와 출력부(220)를 통하여 연결된 호스트 장치, 범용 컴퓨터 시스템,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거나, 화상독취장치(20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팩시밀리 전송, 복사, 이메일 전송, 서버 전송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독취장치(2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하고, 출력부(22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220)는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이동식 저장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독취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조작하 여 독취대상(180)인 원고를 독취할 수 있다. 즉, 광원(110)이 독취대상(180)인 원고에 광을 주사하고,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를 통과한 화상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또는 출력부(220)를 통하여 화상독취장치(200)와 연결된 외부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광원(110)은 독취대상(180)에 광을 주사한다. 이때, 광원(110)은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독취대상(180)을 독취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고 전류 또는 전압을 이용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든 광원 장치를 포함한다.
전원 인가부(120)는 광원(110)을 구동시키는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인가부(120)는 광원제어장치(10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광원제어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를 포함한다.
검출부(130)는 독취대상(180)에 주사된 광의 반사 광에 대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검출부(130)는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 및 쉐이딩레벨 검출부(134)를 포함한다.
검출부(130)는 독취대상(180)의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고, 또한, 독취대상(180)인 원고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광원제어장치(100)의 광원(110)과 같은 광원 소자와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등의 성 능(performance)에 따라 생성된 화상데이터의 품질이 결정된다. 즉, 광원(110)의 누적 사용 시간, 결상 렌즈(131)의 반사율 편차, 결상 렌즈(131)의 투과율 편차, 이미지 센서(132)의 감도 편차 등에 의하여 검출부(1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쉐이딩레벨에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광원제어장치(100)는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을 이용하여 쉐이딩레벨의 편차를 제거한다.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은 광원제어장치(100)에 마련된 쉐이딩패치(shading patch), 참고원고(shading patch reference member) 등을 포함한다. 이때, 기준면은 광원제어장치(100)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원제어장치(100)는 기준면의 반사율이 나타내는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이때, 소정의 반사율은 기준면에 주사된 광이 반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준면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뿐이며 특정한 비율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준면의 반사율이 나타내는 기준레벨은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검출부(130)는 독취대상(180)이 기준면인 경우 상기 기준면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검출한다. 광원(110)은 독취대상(180)인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고, 기준면에 주사된 광의 반사 광은 결상 렌즈(131)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32)에 결상(結像)된다. 이미지 센서(132)는 결상된 광이 나타내는 빛 에너지를 전류 또는 전압 등의 전기 에너지로 광전 변환(photoelectric transformation)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는 광전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이때, 결상 렌즈(131)는 광학의 반사, 굴절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독취대 상(180)의 상을 만드는 장치를 의미하고, 이미지 센서(132)는 결상 렌즈(131)로부터 획득되는 독취대상(180)의 정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132)는 광원(110)에서 주사된 광이 독취대상(180)인 기준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는 이미지 센서(132)로부터 출력되는 연속된 출력전압을 이산화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는 자명하기에 상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쉐이딩레벨 검출부(134)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주사된 광이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한다. 쉐이딩레벨 검출부(134)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기준면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검출한다. 이때, 소정의 조건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이 검출된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조건은 광량 측정 영역에서 측정된 화소들 각각의 쉐이딩레벨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는 경우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 주사된 광이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132)의 출력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이 결상 렌즈(131)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위치에 대응하여 도시한 그래프(21)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그래프(21)는 독취대상(180)의 위치는 한쪽 끝면을 기준으로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된 경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주사 방향으로 주사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2)의 출력전압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에 의하여 각 화소별 쉐이딩레벨을 나타내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쉐이딩 검출부(134)는 변환된 디지털 값이 나타내는 화소들 각각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참조하여 상기 기준면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검출한다.
이때, 쉐이딩레벨 검출부(134)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기준면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준면의 모든 화소들 각각에 대한 쉐이딩레벨의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면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거나, 또는 기준면의 특정 영역(211)에 포함된 화소들 각각에 대한 쉐이딩레벨의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면에 대한 쉐이딩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쉐이딩레벨 검출부(134)에서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소정의 조건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을 검출할 때 이용된 소정의 조건과 동일하다. 즉, 광원제어장치(10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기에, 쉐이딩레벨과 기준레벨은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검출되어야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저장부(140)는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40)는 롬(Read 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의 일 종인 하드디스크(hard disk),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모두 포함한다.
기준레벨은 광원제어장치(100)의 제작 시에, 또는 광원제어장치(100)의 누적 사용 등에 따른 광원(100)의 광량 저하, 결상 렌즈(131)의 투과율 및 반사율의 저하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이전에 검출되어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다.
따라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은 동일한 기준면에 대한 반사된 광량을 나타내지만, 광원제어장치(100)의 광원(100),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등의 성능 감소에 따라 쉐이딩레벨과 기준레벨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광원제어장치(100)는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에서 독취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쉐이딩레벨과 기준레벨의 차이를 이용하여 광원(10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또한, 기준레벨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 검출되고, 소정의 조건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쉐이딩레벨의 검출시에 사용된 소정의 조건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저장부(140)는 기준레벨을 하나의 값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기준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관계식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에 기준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관계식이 저장된 경우, 기준레벨 결정부(150)에 의하여 기준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기준레벨 결정부(150)는 화상독취장치(200)의 독취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준레벨을 결정한다. 화상독취장치(200)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 속성에 따라 독취 해상도(resolution), 주사 속도, 이미지 센서(132)의 노광 시간(exposure time) 등을 결정하고, 기준레벨 결정부(150)는 화상독취장치(200)의 독취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독취 해상도(resolution), 주사 속도, 이미지 센 서(132)의 노광 시간(exposure time) 등을 참조하여 기준레벨을 결정한다.
이때, 화상독취장치(200)의 사용자는 해상도 등을 설정할 수 있고, 화상독취장치(200)는 설정된 해상도에 따른 주사 속도 및 이미지센서(132)의 노광 시간 등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준레벨 결정부(150)는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준면에 대한 기준레벨을 결정한다.
화상독취장치(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해상도 등에 따라 결정된 주사 속도 및 이미지센서(132)의 노광 시간에 의하여 기준면의 쉐이딩레벨이 검출부(130)에서 검출되기에, 기준레벨 결정부(150)도 동일한 독취 속성에 따라 기준레벨을 결정한다. 따라서, 광원(100),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등의 성능 감소 외의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기준레벨과 쉐이딩레벨을 비교하여 광원(110)의 광량을 제어함에 따라 화상독취장치(200)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교부(16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과 비교한다. 이때, 기준레벨은 기준레벨 결정부(150)에 의하여 결정된 기준레벨일 수도 있다. 또한, 비교부(160)는 상기 쉐이딩레벨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의 소정의 범위와 비교한다. 소정의 범위는 기준레벨 대비 90% 이상 110% 이하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광량 제어부(170)는 비교부(160)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100)으로부터 주 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즉, 광량 제어부(170)는 전원 인가부(120)에서 광원(11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조정하여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광량 제어부(170)는 상기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정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광원(110)이 LED 또는 OLED 등인 경우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정하여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광량 제어부(17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한다.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에 비례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이 변화되고, 주사되는 광량의 변화에 따라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선형적으로 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대비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31)를 참조하면,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면, 이미지 센서(132)의 출력전압이 선형으로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고, 제어된 광량에 따라 이미지 센서(132)의 출력전압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광량 제어부(17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원(110)의 특성을 이용하여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원(110)으 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광량 제어부(170)에 의하여 조정되는 전류는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2968824-pat00001
이때, 수학식 1에서 If는 기준면의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원 인가부(120)에서 광원(110)에 인가하는 전류, Ifc는 광량 제어부(170)에 의하여 제어된 전류, Lo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 Lc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 k는 유리수이다.
상기 수학식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광량 제어부(170)는 쉐이딩레벨에 대한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한다. 즉, 쉐이딩레벨 대비 기준레벨이 더 큰 경우,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크기를 증가시켜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쉐이딩레벨 대비 기준레벨이 더 작은 경우,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크기를 감소시켜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광원(110),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등의 특성에 따라 화상독취장치(200)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량 제어부(17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의 듀티비(duty ratio)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조정하여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한다.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에 비례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이 변화되고, 주사되는 광량의 변화에 따라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선형적으로 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 대비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41)를 참조하면, 광원(110)에 인가되는 듀티비를 증가시키면, 이미지 센서(132)의 출력전압이 선형으로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를 조정하여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고, 제어된 광량에 따라 이미지 센서(132)의 출력전압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광량 제어부(17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원(110)의 특성을 이용하여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를 조정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광량 제어부(170)에 의하여 조정되는 전류의 듀티비는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2968824-pat00002
이때, 수학식 2에서 DR는 기준면의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원 인가부(120)에서 광원(110)에 인가하는 전류의 듀티비, DRc는 광량 제어부(170)에 의하여 제어된 전류의 듀티비, Lo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 Lc는 저장 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 k는 유리수이다.
상기 수학식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광량 제어부(170)는 쉐이딩레벨에 대한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한다. 즉, 쉐이딩레벨 대비 기준레벨이 더 큰 경우,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쉐이딩레벨 대비 기준레벨이 더 작은 경우,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광원(110),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등의 특성에 따라 화상독취장치(200)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펄스폭변조 방식의 듀티비를 이용하여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광량 제어부(170)는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소정 값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이용하여 광량을 제어한다. 이는 광원(110)에 과전류(over current)가 인가되어 광원(110)을 손상시키는 경우를 막기 위함이다. 이때, 소정의 값은 광원(110)의 허용전력 범위 내에 해당하는 전류의 크기이다. 즉, 소정의 값은 광원(110)에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류 또는 최대 전압이 될 수 있다.
또한, 광량 제어부(17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 의 비율에 따라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압의 조정은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대비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다만, 전압을 이용하여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함에 따른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은, 전류로 제어하는 경우보다 더 급격하게 증가하고, 또한, 광원(110)에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이 높지 않기에 세심하게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경우, k를 1 이하의 작은 값으로 유지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광량 제어부(17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전원 인가부(120)에서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독취장치(200)는 광원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광원제어장치(100)의 광원(110), 결상 렌즈(131), 이미지 센서(132) 등의 성능 열하와 무관하게 향상된 품질을 가지는 화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의 누적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주사되는 광의 광량이 감소하면, 이미지 센서(132)로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함에 따라 이미지 센서(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저하된다. 이는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의 저하를 야기하여 화상독취장치(200)에서 독취된 화상의 노이즈(noise)가 증가하게 되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과 이미지 센서(132)의 노광 시간의 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경우, 광원(110)의 성능 저하에 따른 영향을 고려할 수 없기에,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광원(110)뿐만 아니라 결상 렌즈(131) 및 이미지 센서(132)의 성능 저하에 대응하여 화상독취장치(200)에서 생성되는 화상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20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200)의 각 구성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광원제어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광원제어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501 단계에서 광원(110)은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한다. 이때, 기준면은 광원제어장치(100)에 마련될 수 있다.
502 단계에서 검출부(130)는 주사된 광이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을 나타내 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한다.
503 단계에서 비교부(160)는 502 단계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한다. 이때, 기준레벨은 저장부(140)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504 단계에서 광량 제어부(170)는 503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정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류의 크기뿐만 아니라 전류의 펄스폭변조 방식에 따른 듀티비의 조정, 또는 전압의 조정에 의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601 단계에서 전원 인가부(120)는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If) 및 듀티비(DR)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류를 광원(110)에 인가한다.
602 단계에서 광원(110)은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한다.
603 단계에서 검출부(130)는 주사된 광이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Lo)을 검출한다.
604 단계에서 비교부(160)는 검출된 쉐이딩레벨(Lo)을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 율을 나타내는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기준레벨(Lc)과 비교한다. 즉,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Lo)을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Lc)의 소정의 범위와 비교한다. 이때, 소정의 범위를 △L이라고 하면, 비교부(160)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2968824-pat00003
수학식 3에 따른 비교 결과에 따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Lo)이 상기 소정의 범위에 속할 경우 현재 설정된 전류 및 듀티비에 따른 광원(110)에서 주사되는 광량이 적절하기에 광원제어장치(100)는 절차를 종료한다.
수학식 3에 따른 비교 결과에 따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Lo)이 상기 소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605 단계로 진행한다.
605 단계에서 광량 제어부(170)는 쉐이딩레벨(Lo)과 기준레벨(Lc)을 이용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광량 제어부(170)는 쉐이딩레벨(Lo)에 대한 기준레벨(Lc)의 비율에 따라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할 수 있고, 광량 제어부(170)에서 전류를 조정하는 것은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2968824-pat00004
이때, If는 전원 인가부(120)에서 광원(110)에 인가하는 전류, Ifc는 광량 제어부(170)에 의하여 제어된 전류, Lo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쉐이딩레벨, Lc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레벨, k는 유리수가 될 수 있다. k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1이 될 수 있다.
606 단계에서 광량 제어부(170)는 광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정된 전류의 크기(Ifc)가 소정 값(Ifs)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광량 제어부(170)의 판단의 수학식 5와 같은 비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2968824-pat00005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의 값(Ifs) 이상인 경우 607 단계로 진행하고, 소정의 값(Ifs) 미만인 경우 601 단계로 진행한다. 즉, 광량 제어부(170)는 광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정된 전류의 크기(Ifc)가 소정 값(Ifs) 미만인 경우 605 단계에서 조정된 전류의 크기(Ifc)를 광원(110)에 인가하여 광원(11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607 단계에서 광량 제어부(170)는 소정 값(Ifs)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이 용하여 광량을 제어한다. 즉, 광원(110)에 소정 값(Ifs)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인가한다. 이는 광원(1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광원제어장치(100)는 광원(110)의 특성 편차 및 누적 사용 시간에 따른 화상 품질의 편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화상독취장치(200)에서 균일한 화상 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200)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쉐이딩 보정(shading correction)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준면을 이용하기에 추가되는 하드웨어 없이 간편하게 광원(110)에 인가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독취장치(200)는 쉐이딩 보정 수행시 기준면에서 검출되는 쉐이딩레벨이 특정 값 이하 또는 특정 값 이상인 경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화상독취장치(200)에서 일정 횟수 이상의 독취를 수행한 후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 값이 변경되면,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재수행하기 이전까지는 변경된 전류 또는 전압 값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독취장치(200)는 광원제어장치(100)에서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을 이용하여 원고의 화상을 독취함으로써, 독취된 화상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700)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700)는 제어부(710), 통신 인터페이스부(7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30), 저장부(740), 화상형성부(750), 팩스부(760), 전송기능 수행부(770) 및 화상독취장치(200)로 구성된다.
제어부(710)는 화상형성장치(7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720)는 화상형성장치(700)의 기능에 따라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외부장치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장치로서 팩시밀리, 컴퓨터 시스템, 모바일,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서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30)는 화상형성장치(7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740)는 화상형성장치(7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인쇄데이터, 스캔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화상 형성부(750)는 다큐먼트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고, 팩스부(760)는 다큐먼트의 팩스 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전송기능 수행부(770)는 다큐먼트를 서버, 이동식저장매체, 컴퓨터 시스템 등의 외부 장치로의 전송 작업을 수행한다.
화상독취장치(200)는 독취대상(180)인 원고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화상독취장치(200)에는 화상독취장치(200)의 광원을 제어하는 광원제어장치(100)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200)를 통하여 생성된 화상데이터는 스캔데이터로서 저장부(74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30)를 통하여 표시되거나,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20)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200)를 통하여 생성된 화상데이터는 화상 형성부(750)를 통하여 인쇄데이터로 변환되어 인쇄용지에 인쇄되거나, 팩스부(760)를 통하여 팩스데이터로 변환되어 팩스 전송되거나, 또는 전송기능 수행부(770)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light guide)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 가이드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는 원고대(810), 독취대상(820), 제 1 광원(830a), 제 2 광원(830b), 제 1 광 가이드(840a), 제 2 광 가이드(840b),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미러(850), 결상 렌즈(860) 및 이미지 센서(870)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광 가이드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는 부 주사방향 x(880)으로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이다. 제 1 광원(830a) 및 제 2 광원(830b)은 원고대(810) 상의 원고 등의 독취대상(820)에 광을 주사한다. 독취대상(820)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미러(850)에 의하여 결상 렌즈(860)로 안내되고, 결상 렌즈(860)는 독취대상(820)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이미지 센서(870)에 결상시키고, 이미지 센서(870)는 결상된 광이 나타내는 빛 에니지를 전기 에너지로 광전 변환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는 주 주사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원고대(810)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 1 광 가이드(840a) 및 제 2 광 가이드(8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840a, 840b)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광 가이드(840a, 840b)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 가이드(840a, 840b)는 주 주사방향 y(910)를 길이 방향으로 하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장치(830)에 마련된 제 1 광원(830a) 및 제 2 광원(830b)은 제 1 광 가이드(840a) 및 제 2 광 가이드(840b)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광원장치(830)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부분(920)을 참조하면, 광원장치(830)는 제 1 광원(830a), 제 2 광원(830b) 및 제 1 광원(830a)과 제 2 광원(830b)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판(830c)을 포함한다. 즉, 광 가이드(840a, 840b)의 양단부 각각에 광원장치(830)가 마련될 수 있다.
광 가이드(840a, 840b)는 광원(830a, 830b)에서 주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여 원고대(810) 상의 독취대상(820)에 광을 조명한다. 즉, 광 가이드(840a, 840b)는 광원(830a, 830b)에서 주사된 광을 조명위치로 가이드한다. 이때, 광원(830a, 830b)은 발광다이오드인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830a, 830b)은 광원제어장치(100)에 의하여 광원(830a, 830b)으로부터 제어되는 광량이 제어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광원(830a, 830b), 결상렌즈(860), 이미지 센서(870)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광원제어장치(100)의 광원(110), 결상렌즈(131) 및 이미지 센서(132)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광 가이드(840a, 840b)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에 의하면, 광 가이드에 의하여 독취대상(820)에 충분한 광량이 확보될 수 있고, 또한, 결상되는 이미지가 각 화소별로 균일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조명 광분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에 포함된 광원제어장치(100)에 의하여 광원(830a, 830b)의 특성 편차 및 누적 사용 시간에 무관하게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광 가이드(840a, 840b)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800)에서 광원(830a, 830b)과 같은 네 개의 광원들 및 광 가이드(840a, 840b)와 같은 두 개의 광 가이드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광원(830a, 830b) 및 가이드(840a, 840b)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였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 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으로 주사된 광이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의 출력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 대비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의 듀티비 대비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light guide)가 마련된 화상독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Claims (19)

  1.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는 단계;
    상기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독취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준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결정된 기준레벨과 비교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결정된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의 듀티비(duty ratio)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조정하여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소정 값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이용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화상을 독취(scanning)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상기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저장된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저장된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된 쉐이딩 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광원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독취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기준레벨을 결정하는 기준레벨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광원제어장치.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의 듀티비(duty ratio)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조정하여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광원제어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광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정된 전류의 크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소정 값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를 이용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광원제어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주사되는 광의 경로를 상기 기준면으로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광원제어장치.
  15.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된 쉐이딩 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원고에 주사된 광이 반사된 광으로부터 상기 원고를 이미지 형태로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주사되는 광의 경로를 상기 기준면으로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17. 소정의 반사율을 가지는 기준면에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intensity of light)을 나타내는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을 상기 기준면의 소정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준레벨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과 상기 기준레벨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고, 상기 광량이 제어된 광원으로부터 독취대상에 주사된 광이 반사된 광으로부터 상기 독취대상을 이미지 형태로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독취하는 화상독취장치; 및
    상기 화상독취장치에서 독취된 화상데이터를 나타내는 인쇄데이터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이 상기 기준면에서 반사된 광량을 나타내는 상기 쉐이딩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쉐이딩 레벨을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이 상기 기준레벨의 소정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된 쉐이딩레벨에 대한 상기 기준레벨의 비율에 따라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장치에서 독취된 화상데이터를 나타내는 팩스데이터를 팩스전송하는 팩스부; 및
    상기 화상독취장치에서 독취된 화상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송데이터를 외부장 치로 전송하는 전송기능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광을 주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주사되는 광의 경로를 상기 독취대상으로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97740A 2009-10-14 2009-10-14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40A KR101608063B1 (ko) 2009-10-14 2009-10-14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2/923,618 US8462402B2 (en) 2009-10-14 2010-09-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in image scanning apparatus
EP10187473.3A EP2312825B1 (en) 2009-10-14 2010-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in image scan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740A KR101608063B1 (ko) 2009-10-14 2009-10-14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64A KR20110040464A (ko) 2011-04-20
KR101608063B1 true KR101608063B1 (ko) 2016-03-31

Family

ID=4329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740A KR101608063B1 (ko) 2009-10-14 2009-10-14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2402B2 (ko)
EP (1) EP2312825B1 (ko)
KR (1) KR101608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529A (ko) * 2009-01-14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장치와 이를 갖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8576460B2 (en) * 2011-01-21 2013-11-0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reading device
JP2014236328A (ja) * 2013-05-31 2014-12-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9459580B2 (en) * 2014-02-10 2016-10-04 Xerox Corporation Optical sensor with multiple detect modes
US11092719B1 (en) * 2019-01-29 2021-08-17 Facebook Technologies, Llc Dynamic dot array illumina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661A1 (en) 2005-04-28 2006-1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849A (en) 1981-12-21 1984-09-25 Image Resource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version of video signals to film images
JPH0698094A (ja) * 1992-09-14 1994-04-08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3771662B2 (ja) 1997-03-12 2006-04-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JP4197563B2 (ja) * 1999-07-23 2008-12-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0661A1 (en) 2005-04-28 2006-1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2825B1 (en) 2017-08-23
EP2312825A3 (en) 2012-12-05
US8462402B2 (en) 2013-06-11
US20110085213A1 (en) 2011-04-14
KR20110040464A (ko) 2011-04-20
EP2312825A2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063B1 (ko)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의 광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0943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specifying read start position of white reference plate
JP711786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US20060061830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11151687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60563B2 (ja) 読取装置および読取方法
US20130027758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705987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4343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64570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KR101282258B1 (ko) 스캐너, 이의 화상보정방법 및 이 스캐너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126361B1 (ko)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JP5905715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4864029B2 (ja) 原稿読取装置
JP6547456B2 (ja) 画像読取装置、その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2017199998A (ja) スキャナーおよびスキャン画像の生産方法
JP2006211526A (ja) 画像読取装置
JP2022041388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増幅率調整方法
JP200825892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8147955A (ja) 画像読取装置
JP5721603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KR100689874B1 (ko) 접촉형 이미지 센서의 특성에 맞는 발광다이오드 온타임을산출하는 화상스캐닝장치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JP2021132338A (ja) 画像読取装置
JP2009200623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2002027247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