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361B1 -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361B1
KR101126361B1 KR1020050066977A KR20050066977A KR101126361B1 KR 101126361 B1 KR101126361 B1 KR 101126361B1 KR 1020050066977 A KR1020050066977 A KR 1020050066977A KR 20050066977 A KR20050066977 A KR 20050066977A KR 101126361 B1 KR101126361 B1 KR 101126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ing
shading level
value
correction
color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120A (ko
Inventor
박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3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02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 H04N1/6005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with luminance or chrominance signals, e.g. LC1C2, HSL or YU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감마(Gamma) 보정시 환경적인 영향 또는 시료 차이에 따른 화질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SHADING 레벨값과 기 설정된 일정 범위를 갖는 기준 SHADING 레벨값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기준 SHADING 레벨 범위의 최상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감소시키고, 최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증가시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 제어함으로써, SHADING 보정 및 GAMMA 보정시 색차를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in image scanning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기기에서 색차 보정을 위한 내부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 균형을 위한 그레이 패치가 설치된 화상 형성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기의 색차 보정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기기의 색차 보정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HADING 레벨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를 통한 SHADING 레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0 :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110 : SHADING 레벨 검출부
120 : 전압 제어부 130 : 형광 램프
200 : SHADING 보정부 300 : GAMMA 보정부
본 발명은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마(Gamma) 보정시 환경적인 영향 또는 시료 차이에 따른 화질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스캐닝 시스템 즉, 스캐너는 문서나 그림, 필름 등을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주는 장비로서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진을 그래픽 파일로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책이나 문서 등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로 바꿀 수 있다.
스캐너의 작동 순서는 먼저, 대상물에 빛을 주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의 양을 측정한 후, 빛의 양에 비례하는 수치의 전압을 발생시켜, 전압을 스캐너에 내장된 회로에 의해 일정한 화소 패턴으로 변환한다. 결국 빛을 반사시켜 그 양을 측정하고 그것을 이미지화 하는 것이 스캐너인 셈이다.
스캐너는, 작동 방식에 따라 스캐닝할 대상 위에서 스캐너를 움직이는 장비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핸드(Hand) 스캐너와, 잉크젯 프린터처럼 위쪽에 종이를 밀어 넣으면 종이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스캐닝하는 시트피드(sheet feed) 방식 스캐 너, 그리고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유리판 위에 스캐닝할 대상물을 올려놓으면 유리판 아래쪽에서 스캐닝모듈이 움직이면서 스캐닝하는 플랫베드(flat bed) 방식 스캐너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캐너에서 대상물의 화상영역을 검출하는 데는 그레이(gray) 스캔 방법과 칼라 스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스캐닝 시스템의 칼라 영상에서 회색(Gray)는 R, G, B 값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적절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회색을 스캐닝할 경우 R,G,B 값을 각각 같도록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된 감마 보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이미지 센서 및 스캐닝 시스템 내부에 있는 형광 램프 조명의 변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회색 균형 스캐닝 장치"를 2002년 12월 02일에 특허출원(출원 제 10-2002-76032호)하였다.
상기 특허 출원 제 2002-76032호에 게재된 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기기에서 색차 보정을 위한 내부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 균형을 위한 그레이 패치가 설치된 화상 형성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시스템 내부에 샘플링된 회색 패치(31)를 설치하고 컬러 영상 스캐닝시 미리 스캐닝하여 그레이 밸런싱(Gray Balancing)을 수행하며 보정 감마 테이블을 생성하여 균형된 영상 출력을 얻는 것 이다.
이러한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보기로 하자.
종래 기술에 따른 회색 균형 스캐닝 장치는, 센서 및 ADC(Analog/Digtal Converter)(10), SHADING 보정부(20), GRAY 보정부(30) 및 GAMMA 보정부(40)를 포함한다.
센서 및 ADC(10)는 스캐너 또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 획득 즉, 센서를 통해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GAMMA 보정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색 패치 패턴을 읽어 R, G, B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SHADING 보정부(20)는 센서 및 ADC(10)에서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의 화이트(White)와 블랙(Black)값에 기 설정된 기준값 및 광학계 특성에 기인한 광원의 불균형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센서 및 ADC(10)로부터 생성된 R, G, B 데이터를 SHADING 보정하여 R', G', B'데이터로 변환한다.
GRAY 밸런싱부(30)는 스캐닝 시스템 내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부착된 GRAY 패치에 의해 각 단계별로 독취된 R(n), G(n), B(n)값을 평균화하여 R'g(n), G'g(n), B'g(n)값을 얻어내고 이 데이터로부터 감마 보정을 위한 GRAY 레밸런싱 함수를 생성하여 GAMMA보정부(40)로 제공한다.
GAMMA 보정부(40)는 상기 GRAY 밸런싱부(30)로부터 생성된 GRAY 밸런싱 함수에 의해 일정한 휘도값을 갖는 R, G, B 값이 일정한 밝기를 갖도록 감마 보정 함수 를 수정하게 된다. 이렇게 GRAY 패치의 R, G, B 각각에 대하여 얻은 GRAY 밸런싱 함수와 GAMMA 보정 함수를 이용하여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LUT)를 구성하고 실제 영상 스캐닝시에 SHADING 보정에 의해 출력되는 결과 영상에 LUT를 적용함으로서 GRAY 밸런싱을 만족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GRAY 밸런싱을 통한 GAMMA 보정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종래의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는 GRAY 밸런싱 칼라 영상 스캐닝을 위해 스캐닝 영역 앞단의 스캐닝 시스템 내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GRAY 패치(31)를 구비하여 영상 스캐닝시에 미리 스캐닝된 GRAY 패치의 R, G, B값 및 일정 휘도값으로부터 GRAY 밸런싱 함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GAMMA 보정부(40)는 상기 GRAY 밸런싱부(30)에서 생성된 GRAY 밸런싱 함수에 따라 R, G, B 값이 일정한 밝기값을 갖도록 GAMMA 보정 함수를 수정하며, 상기 GRAY 밸런싱 함수 및 수정된 GAMMA 함수로부터 감마 보정값을 구성하여 상기 스캐닝된 영상에 상기 수정된 GAMMA 보정함수를 적용하여 GRAY 밸런싱을 만족하는 영상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밸런싱 스캐닝을 위한 감마 보정방법으로서 GAMMA 보정 함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샘플링된 GRAY 패치를 구비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 및 조명에 의한 스캐너의 특성을 보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샘플링된 GRAY 패치를 구비하여야 하며, 감마 보정을 위해 GRAY 패치를 독취하여 GAMMA 룩업 테이블을 수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감마 보정 의 기준이 되는 샘플링된 GRAY 패치의 밝기차 또는 색차에 대한 편차는 출력 화상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GRAY 패치를 스캐닝 시스템 선단에 주주사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에 배치된 패치는 센서부와 거리상으로 가까이 존재하게 되어 센서 모듈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장기간 열로 인해 변색 또는 탈색되어 기준 자체가 변하게 되므로 기준 패치의 상태에 따라 출력 화상의 색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RAY 패치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GRAY 패치를 부착하기 위한 공간이 할당되어야 하며,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밝기값의 개수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해당 밝기값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선형 보간법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밝기값의 개수에 따라 감마 보정의 정확성이 결정되며, GRAY 패치 또한 제조 비용이 높으므로 간소한 시스템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인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감마 보정시 환경적인 영향 및 시료 차이에 따른 화질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형광 램프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여 검출된 SHADING 레벨과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의 비교 결과에 따라 형광 램프의 광량을 제어하여 색차를 최소화 시키는 색차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색차 제어부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는 SHADING 레벨 검출부; 상기 SHADING 레벨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SHADING 레벨값과 기 설정된 일정 범위를 갖는 기준 SHADING 레벨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기준 SHADING 레벨 범위의 최상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감소시키고, 최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증가시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색차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 제어되는 램프의 광량에 따라 색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보정 및 GAMMA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SHADING 레벨 검출부에서의 SHADING 레벨 검출은, 스캐닝 영역중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내에 임의의 픽셀에 대한 각각의 SHADING값을 합산한 후 이를 평균화하여 검출한다.
상기 전압 제어부에서, 형광 램프 공급 전압의 제어는 PWM 회로를 이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SHADING 레벨과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색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형광 램프의 광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기준 SHADING 레벨 범위의 최상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감소시키고, 최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증가시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하게 유지 제어되는 램프의 광량에 따라 색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보정 및 GAMMA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HADING 레벨 검출은, 스캐닝 영역중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내에 임의의 픽셀에 대한 각각의 SHADING값을 합산한 후 이를 평균화하여 검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일반적인 광전 변환 소자의 경우 광량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나 반사된 빛에 대한 사람의 시각 특성과 다르므로 GAMMA보정을 통해 밝기차 또는 색차를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의 시각 시스템은 입사되는 최대 광량에 따라 조리개가 조절되어 광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광량에 따른 색차를 최소화하도록 조절되나, 광전 변환 소자의 경우 광량에 따라 감도가 달라지게 되어 각기 다른 광량에 대하여 동일한 GAMMA 보정을 수행할 경우 색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색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광량에 따라 각기 다른 GAMMA를 생성하거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동일한 GAMMA를 사용하여 색차를 줄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광 램프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색차를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한 램프 제어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제어장치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 SHADING 레벨 검출부(110), 전압 제어부(120), 형광 램프(130), SHADING 보정부(200) 및 GAMMA 보정부(300)를 포함한다.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및 ADC로서, 스캐너 또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 획득 즉, 센서를 통해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아날로그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SHADING 레벨 검출부(110)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각 픽셀에 대하여 SHADING 보정을 위해 화이트 및 블랙 SHADING의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화이트 및 블랙 SHADING 기준값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전압 제어부(120)는 SHADING 레벨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을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값(최소 허용값과 최대 허용값)을 각각 비교하여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상 허용값보다 높은 경우 형광 램프(13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감소시켜 공급하고,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하 허용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형광램프(13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높여 공급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SHADING 보정부(200)는, 상기 형광 램프(130)로부터 발산되는 광량에 따라 일정하게 SHADING 보정을 수행하고, SHADING 보정된 데이터는 GAMMA 보정부(300)에서 GAMMA 보정이 수행되어 색차 없는 화상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SHADING 보정 및 GAMMA 보정에 대하여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램프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먼저,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0)로부터 스캐닝될 이미지 디지털 데이터가 획득되면, SHADING 레벨 검출부(110)에서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각 픽셀에 대하여 SHADING 보정을 위해 화이트 및 블랙 SHADING의 기준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화이트 및 블랙 SHADING 기준값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광량을 판단하기 위해 화이트 SHADING 시의 SHADING 데이터를 참조하게 되는데, 광전 변환 소자의 경우 광량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광량에 비례한 출력 전압이 발생하게 되어 SHADING 레벨은 선형 관계이기 때문에 상기 형광 램프(130)의 광량을 판정하기 위해 SHADING 획득시 화이트 SHADING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이 가장 큰 형광 램프(130)의 중앙(Center) 영역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구하거나, 형광 램프(130)의 왼쪽(Left), 중앙(Center), 오른쪽(Right)에 대해 평균값을 SHADING 레벨로 판정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법 중 후자의 방법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HADING 레벨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12005040113952-pat00001
전압 제어부(120)는 SHADING 레벨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을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값(최소 허용값과 최대 허용값)을 각각 비교하여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상 허용값보다 높은 경우 형광 램프(13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감소시켜 공급하고,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하 허용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형광램프(13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높여 공급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가지 방법으로 SHADING 레벨이 적정 SHADING 레벨이 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광량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를 통한 SHADING 레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최상 허용값과 최하 허용값 값 범위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형광 램프(130)의 전원 전압 제어 없이 검출된 SHADING 레벨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의 SHADING 보정과 GAMMA 보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적정 SHADING 레벨은 기준 SHADING 레벨을 중심으로 전압 조정 허용오차를 포함하는 SHADING 레벨의 최고 기준값과 최저 기준값으로 정의하게 된다.
상기에서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 제어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구동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SHADING 보정부(200)는, 상기 전압 제어부(120)의 전원 전압 제어에 따른 상기 형광 램프(130)로부터 발산되는 광량에 따라 일정하게 SHADING 보정을 수행하고, SHADING 보정된 데이터는 GAMMA 보정부(300)에서 GAMMA 보정이 수행되어 색차 없는 화상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GAMMA 보정부(300)는 색차를 제거하기 위해 사람의 시각 특성에 맞도록 GAMMA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GAMMA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해 보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센서를 통해 이미지 디지털 데이터가 획득되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각 픽셀에 대하여 SHADING 보정을 위해 화이트 및 블랙 SHADING의 기준값을 획득한다(S101).
상기 획득된 화이트 및 블랙 SHADING 기준값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S102). 여기서, SHADING 레벨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량이 가장 큰 형광 램프의 중앙(Center) 영역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구하거나, 형광 램프의 왼쪽(Left), 중앙(Center), 오른쪽 (Right) 3 영역에 대해 30개의 데이터를 각각 합산하고 합산된 값의 평균값을 SHADING 레벨로 판정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법 중 후자의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어, 상기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을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값(최소 허용값과 최대 허용값)을 각각 비교하여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상 허용값보다 높은지를 비교 판단하게 된다(S103).
판단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상 허용값보다 높은 경우 형광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감소시켜 공급하고(S104),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설정된 최상 허용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하 허용값보다 낮은지를 비교 판단하게 된다(S105).
판단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설정된 최하 허용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형광램프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높여 공급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S10).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가지 방법으로 SHADING 레벨이 적정 SHADING 레벨이 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광량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6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제어를 통한 SHADING 레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최고 허용값과 최하 허용값 값 범위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 제어 없이 검출된 SHADING 레벨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의 SHADING 보정과 GAMMA 보정을 수행한 후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S107, S108).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기로 하자.
먼저 본 발명은 광원의 불균형 및 적정 밝기의 범위에 대한 기준을 결정하기 위해 SHADING 획득을 통해 화이트 및 블랙 SHADING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SHADING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화상 스캐닝 시스템 또는 디지털 복합기 등에서 Copy/Fax/Scan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SHADING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SHADING 데이터로부터 SHADING 레벨을 검출하게 된다. 이때, 형광 램프의 특성으로 인해 각 영역에 따라 SHADING 레벨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SHADING 데이터들을 적절히 취합하여 SHADING 레벨을 구하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ft, center, right 3 영역에 대해 각각 30개의 데이터를 합산하고 평균값을 취하여 SHADING 레벨을 구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 구한 SHADING 레벨과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을 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기준 범위내에 도달되도록 형광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제어하고, 이를 반복하여 비교하여 광량이 일정하게 되도록 유지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한 후 이미지 데이터의 SHADING 보정 프로세스와 GAMMA 보정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색차 보정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형광 램프의 광량 조절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광량에 따른 광전 변환 소자의 감도 변화를 제거하고, 동일한 GAMMA 보정을 통해 색차 보정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며, 기술적인 구현의 복잡성을 최소화하여 고 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8)

  1.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는 SHADING 레벨 검출부;
    상기 SHADING 레벨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SHADING 레벨값과 기 설정된 일정 범위를 갖는 기준 SHADING 레벨값을 비교하고, SHADING레벨값의 비교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기준 SHADING 레벨 범위의 최상 기준값보다 큰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감소시키고, 최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증가시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스캐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HADING 레벨 검출부에서의 SHADING 레벨 검출은,
    스캐닝 영역중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내에 임의의 픽셀에 대한 각각의 SHADING값을 합산한 후 이를 평균화하여 검출하는 화상 스캐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에서, 형광 램프 공급 전압의 제어는 PWM 회로를 이용하는 화상 스캐닝 시스템.
  5.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SHADING 레벨과 기 설정된 기준 SHADING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SHADING 레벨에 대한 비교 결과, 검출된 SHADING 레벨값이 기준 SHADING 레벨 범위의 최상 기준값보다 큰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감소시키고, 최하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형광 램프의 전원 전압을 증가시켜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하게 유지 제어되는 램프의 광량에 따라 색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보정 및 GAMMA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HADING 레벨 검출은,
    스캐닝 영역중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내에 임의의 픽셀에 대한 각각의 SHADING값을 합산한 후 이를 평균화하여 검출하는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 제어되는 램프의 광량에 따라 색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SHADING 보정 및 GAMMA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스캐닝 시스템.
KR1020050066977A 2005-07-22 2005-07-22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KR10112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977A KR101126361B1 (ko) 2005-07-22 2005-07-22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977A KR101126361B1 (ko) 2005-07-22 2005-07-22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120A KR20070012120A (ko) 2007-01-25
KR101126361B1 true KR101126361B1 (ko) 2012-03-23

Family

ID=3801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977A KR101126361B1 (ko) 2005-07-22 2005-07-22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84B1 (ko) * 2006-07-06 2007-11-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N106714383B (zh) * 2017-01-19 2018-07-24 深圳市汇德科技有限公司 一种led灯光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905A (ko) * 1997-11-25 1999-06-15 윤종용 스캐너램프 제어장치
JP2001045244A (ja) 1999-07-29 2001-02-16 Hitachi Ltd 画像読取装置
JP2001045233A (ja) * 1999-08-04 2001-02-16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01197A (ko) * 2003-06-27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905A (ko) * 1997-11-25 1999-06-15 윤종용 스캐너램프 제어장치
JP2001045244A (ja) 1999-07-29 2001-02-16 Hitachi Ltd 画像読取装置
JP2001045233A (ja) * 1999-08-04 2001-02-16 Canon Inc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01197A (ko) * 2003-06-27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120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5523B1 (en) Scanning device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JP711786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US20110032380A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EP2785037B1 (en)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US100072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age correction using measurement image and image forming method
KR100274633B1 (ko) 화상스캐닝시스템의쉐이딩보정장치및방법
JP6118997B2 (ja) 画像読取装置
WO2016147524A1 (ja) 画像読取装置
US20070146750A1 (en) Method for generating calibration curve
US7224484B1 (en) Scanner calibration with dead pixel compensation
KR101126361B1 (ko) 화상 스캐닝 시스템에서의 색차 보정을 위한 램프 제어장치및 그 방법
US7889404B2 (en)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ading-unit install method
JPH04212560A (ja) 文書スキャナ
JP6263749B2 (ja) 画像読取装置
JP5817312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788831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100315639B1 (ko) 스캐닝 시스템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화질 보상 방법
KR100325806B1 (ko) 스캐닝 시스템의 쉐이딩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21097277A (ja) 画像読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644487B2 (ja) 画像読取装置
JP4414276B2 (ja) 画像読取装置
KR100813970B1 (ko) 이미지 형성장치에서의 균일한 이미지 출력 레벨 제어방법
KR100277735B1 (ko) 스캐너의 쉐이딩보정계수 검출방법
KR20070050731A (ko) 스캐닝 장치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JPH0818775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