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008B1 -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008B1
KR101607008B1 KR1020140111765A KR20140111765A KR101607008B1 KR 101607008 B1 KR101607008 B1 KR 101607008B1 KR 1020140111765 A KR1020140111765 A KR 1020140111765A KR 20140111765 A KR20140111765 A KR 20140111765A KR 101607008 B1 KR101607008 B1 KR 101607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kirt
coupled
guid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662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Landscapes

  • Chutes (AREA)

Abstract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가 개시된다. 이송물이 통과 가능한 슈트부, 상기 슈트부를 통과한 상기 이송물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고,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상기 슈트부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로 유입되는 상기 이송물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물의 이송 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감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CHUTE APPARATUS FOR CONVEYING GOODS}
본 발명은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료 및 원료는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여러 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조합하여 장거리 이송 또는 이송의 방향 전환을 이루기도 한다. 그 중 일 예로, 단일의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 복수의 상부 벨트 컨베이어를 연이어 위치시키는 형상으로 조합하기도 한다.
한편, 상부 벨트 컨베이어에서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연료 및 원료 등의 이송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송물이 벨트 외부로 이탈하는 이송물의 낙광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낙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벨트 컨베이어에서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 장치에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사이드 스커트를 설치하고, 벨트의 폭 방향으로는 반달형 스커트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일의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 복수의 상부 벨트 컨베이어를 연이어 배치시키는 이송 라인의 경우, 슈트 장치 또한 복수개가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이송물은 이송 라인을 따라 연이어 놓인 슈트 장치를 지나게 되고, 슈트 장치에 설치된 반달형 스커트는 이송물과 간섭을 일으켜 이송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이송물의 이송 흐름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하여 폭 방향으로 설치된 스커트를 제거하는 경우, 슈트 장치 내에서 비산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집진 배관의 효율은 크게 저하된다. 슈트 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폭 방향의 스커트를 제거하면, 슈트 장치에는 추가적인 개구 영역이 발생하게 되고, 집진 배관은 개구 영역을 통하여 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슈트 장치 외부의 공기까지 흡입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낙광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커트는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 흐름을 방해하고, 스커트를 제거하는 경우 집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5267호(2006.07.04, 벨트 컨베이어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송물의 낙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커트를 구비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슈트 장치 내에서 비산하는 분진의 집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물이 통과 가능한 슈트부, 상기 슈트부를 통과한 상기 이송물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고,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상기 슈트부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로 유입되는 상기 이송물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물의 이송 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감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는 상기 슈트부 내의 분진을 포집하도록 상기 슈트부에 장착되는 집진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슈트부는 상부 슈트, 상기 상부 슈트에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슈트의 하면에 장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중 상기 슈트부 입구의 양 측면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측면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한 스커트 지지판 및 상기 스커트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커트 루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암 및 상기 회전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물과 접촉되는 감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부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이드 링크, 상기 감지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스커트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롤러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회전 가능한 스커트부를 슈트 장치에 결합함으로써, 슈트 장치를 지나는 이송물과 스커트부의 간섭을 막아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을 제공하며, 이송물의 낙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슈트 장치에 결합된 스커트부가 일 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슈트 장치 내에서 비산하는 분진의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 복수개의 슈트 장치가 이송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의 일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4는 이송물이 슈트 장치를 지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 복수개의 슈트 장치(100)가 이송물의 이송 방향(D1)을 따라 연이어 배치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 대로, 이송물의 장거리 이송을 위하여 또는 이송물의 이송 방향 전환을 위하여 단일 또는 복수개의 슈트 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1과 같이 이송물의 이송 방향(D1)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단일의 슈트 장치(100)로 독립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는 슈트부(210), 컨베이어부(220), 스커트부(230), 감지부(240) 및 가이드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는 하나의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 배치되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의 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벨트 컨베이어의 진행방향(D2)을 나타내며, 컨베이어부(220) 상의 이송물은 상기 방향(D2)을 따라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의 일 구성요소인 슈트부(210)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슈트부(210)는 이송물이 통과 가능한 통로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슈트부(210)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 시키기 위하여, 이송물이 통과 가능한 개구 영역(211)을 구비한다. 이러한 개구 영역(211)을 통하여 이송물은 상부 벨트 컨베이어에서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는 슈트부(210)를 통과한 이송물을 길이 방향(L)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길이 방향(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L)을 의미하고, 컨베이어부(220)는 길이 방향(L)과 교차하는 폭 방향(W)을 갖는다.
스커트부(230)는 컨베이어부(220)의 폭 방향(W)으로 형성되는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다. 즉, 스커트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220)의 폭 방향(W)으로 연결된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슈트부(21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스커트부(230)의 회전 방향은 이송물의 이송 방향(D2)과 나란하고, 이송물의 이송 방향(D2)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일치한다.
도 2에서는 스커트부(230)의 회전축(231)이 폭 방향(W)으로 연장된 단일의 바디로 양 단이 슈트부(21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양 단 중 어느 일 단만이 슈트부(21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며, 복수의 바디로 구성되어도 동일 축 상에 놓여 있어 스커트부(23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슈트부(210)에 결합되어 있다면 스커트부(230)의 회전축(231)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의 스커트부(230)는 이송물이 유입되는 슈트부(210)의 입구를 덮도록 슈트부(210)에 결합된다. 컨베이어부(220) 상에 놓인 이송물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D2)을 따라 이송된다. 이송물의 이송이 진행됨에 따라, 이송물은 슈트부(210)의 입구를 통하여 슈트부(210) 내부로 유입되고, 이송 방향(D2)을 따라 반대 측에 위치한 슈트부(210)의 출구를 통하여 슈트부(210) 외부로 유출된다.
감지부(240)는 스커트부(230)로 유입되는 이송물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된다. 즉, 이송물은 감지부(240)를 지난 후, 스커트부(230)로 유입된다. 이로써, 감지부(240)는 이송물이 스커트부(230)로 유입되기 전에, 스커트부(230)로 유입되는 이송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40)는 이송물의 이송 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부(220) 상에 놓인 이송물은 이송이 진행됨에 따라 감지부(240)가 설치된 이송 경로를 지나게 된다. 이때 이송물은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된 감지부(240)와 접촉하고, 이송물은 감지부(240)를 가압한다. 이러한 이송물의 이송 압력에 의하여 감지부(240)는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는 감지부(24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스커트부(230)를 가압하도록 스커트부(230)와 감지부(240)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250)를 포함한다. 감지부(240)는 스커트부(230)로 유입되는 이송물을 스커트부(230)에 유입되기 전에 감지하여야 하므로, 스커트부(230)와 감지부(24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이송물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격되어 설치된 감지부(240)와 스커트부(230) 사이에 가이드부(250)가 설치된다.
가이드부(250)는 감지부(240)와 스커트부(230)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감지부(24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스커트부(23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컨베이어부(220) 상에 놓인 이송물이 감지부(240)를 지나면 감지부(240)는 이송물의 이송 압력에 의하여 회전 운동하고, 이에 따라 감지부(240)는 가이드부(250)를 이송물의 이송 방향(D2)으로 밀어낸다. 결과적으로, 스커트부(230)를 향하여 밀린 가이드부(250)는 연이어 스커트부(230)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스커트부(230)는 슈트부(210)의 내측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슈트부(210)의 입구를 덮도록 슈트부(210)에 결합된 스커트부(230)는 가이드부(250)에 의하여 회전하고, 스커트부(230)의 하단은 컨베이어부(220)와 멀어져 일정 공간이 생성된다. 이로써, 스커트부(230)는 컨베이어부(220) 상에 놓인 이송물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장치(200)는 슈트 장치(200)를 지나는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슈트 장치(200)를 지나는 이송물이 없을 경우에는, 스커트부(230)는 슈트부(210)의 입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장치(200)는 이송물이 상부 벨트 컨베이어에서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슈트부(210)를 통과하는 이송물의 낙광을 종래 기술에 따른 슈트 장치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는 슈트부(210) 내의 분진을 포집하도록 슈트부(210)에 장착되는 집진배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장치(200)는 이송물을 상부 벨트 컨베이어에서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컨베이어부(220) 상에 놓인 이송물이 슈트 장치(200) 내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을 포집하기 위하여 집진배관(260)을 더 포함한다.
종래에는 이송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벨트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커트를 제거하였고, 이와 같은 슈트 장치에서 분진 등을 포집하는 경우 분진을 포함하지 않은 슈트 장치 외부의 공기까지 집진 배관에 의하여 흡기되었다. 따라서 집진 효율은 크게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는 벨트의 폭 방향(W)으로 설치되는 스커트부(230)를 포함하여 슈트부(210)의 입구를 덮도록 구성되므로,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장치(200)는 슈트부(210)의 입구를 덮는 스커트부(230)에 의해서 슈트 장치(200) 외부의 공기가 슈트 장치(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200)의 슈트부(210)는 상부 슈트(212), 지지판(213) 및 측면 덮개(21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슈트(212)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부 슈트(212)에는 이송물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관통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부(210)는 상부 슈트(212)에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부 슈트(212)의 하면에 장착되는 지지판(213)을 포함한다. 즉, 지지판(213)은 상부 슈트(212)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 슈트(212)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부 슈트(212)를 통과한 이송물이 지지판(213)을 통과할 수 있도록 지지판(213)에는 상부 슈트(212)의 관통 영역에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지지판(213)이 상부 슈트(212)의 하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판(213)의 면적은 상부 슈트(212) 하면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2는 상부 슈트(212)와 지지판(213)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장치(200)의 슈트부(210)는 측면 덮개(214)를 포함한다. 측면 덮개(214)는 지지판(213)의 측면 중 슈트부(210) 입구의 양 측면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덮개(214)는 컨베이어부(2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판(213)의 양 측면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슈트부(210)의 측면 덮개(214)는 슈트부(210)의 입구를 덮고 있는 폭 방향(W)의 스커트부(230)와 교차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장치(200)는 폭 방향(W)으로 설치되는 스커트부(230)뿐만 아니라 측면 덮개(214) 또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송물의 낙광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300)의 일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300)의 스커트부(330)는 스커트 지지판(332) 및 스커트 루버(333)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커트 지지판(332)은 회전축(331)에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커트 지지판(332)의 길이는 컨베이어부(320)와 접촉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선택 가능하다.
스커트 루버(333)는 스커트 지지판(332)의 하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커트 루버(333)는 하방향으로 스커트 지지판(332)의 하부에 결합되고, 컨베이어부(320)의 벨트 표면에 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커트 루버(333)의 하부 단면의 형상은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커트 루버(333)의 하부 단면은 컨베이어부(320)의 길이 방향(L)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스커트 루버(333)의 하부 단면이 형성되는 경우, 낙광을 방지하기 위한 스커트부(330)의 역할이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이며, 스커트부(330)가 컨베이어부(320)와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마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300)의 감지부(340)는 지지부재(341), 회전암(342) 및 감지 롤러(3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40)의 지지부재(341)는 일단이 슈트부(310)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341)의 일단은 슈트부(310)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341)는 슈트부(310)에 결합되어 있는 일단으로부터 이송 방향(D3)의 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송 방향(D3)의 역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341)의 타단에는 회전암(342)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지지부재(341)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일단이 슈트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에 회전암(342)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경우라면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지지부재(341)가 될 수 있다.
회전암(342)은 지지부재(341)의 타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회전암(342)과 지지부재(341)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 등과 같은 부품이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지부(340)는 회전암(342)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송물과 접촉되는 감지 롤러(343)를 포함한다. 이송물과 접촉되는 부분에 감지 롤러(343)를 부착함으로써, 이송물의 이송 압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암(342)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감지 롤러(343)는 회전을 하면서 이송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이송물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회전암(342)에 더욱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300)의 가이드부(350)는 가이드 지지부재(351), 가이드 링크(352), 제1 롤러(353) 및 제2 롤러(3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50)의 지지부재(351)는 일단이 슈트부(310)에 결합되고, 지지부재(351)의 타단에는 관통홀(351')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지지부재(351)의 일단은 슈트부(31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지지부재(351)는 슈트부(310)에 결합되는 일단에서 이송 방향의 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지지부재(351)의 타단에는 관통홀(351')이 형성되고, 관통홀(351')은 감지부와 스커트부 사이에 위치한다.
가이드 링크(352)는 가이드 지지부재(351)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351')에 삽입되어 컨베이어부(32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때,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D3)은 컨베이어부(320)의 길이 방향(L)과 일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50)의 제1 롤러(353)는 감지부(340)와 접촉 가능하도록 가이드 링크(352)의 일단에 결합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롤러(354)는 스커트부(330)와 접촉 가능하도록 가이드 링크(352)의 타단에 결합된다.
가이드부(350)의 양 단에 제1 및 제2 롤러(353, 354)가 결합되어 감지부(340) 및 스커트부(330)와 각각 접촉함으로써, 접촉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가이드 링크(352)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50)는 가이드 지지부재(352)에 대하여 제2 롤러(354)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가이드 지지부재(352)와 제2 롤러(354)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체(355)는 제1 롤러(353)가 감지부(340)와 접촉하여 가이드 링크(352)가 이송 방향(D3)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전에는 어떠한 힘도 받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가이드 링크(352)가 이송 방향(D3)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스커트부(33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탄성체(355)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감지부(3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순간, 탄성체(355)는 가이드부(350)가 보다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4는 이송물(470)이 슈트 장치(400)를 지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300)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420) 상의 이송물(470)이 슈트 장치(400)를 지나는 경우, 감지부(440)는 이송물(470)의 이송 압력에 의하여 일정 각도(θ1) 회전한다. 감지부(440)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부(450)는 이송 방향(D4)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가이드부(450)의 이동에 의해서 스커트부(430) 또한 일정 각도(θ2)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430)의 회전에 의해서 컨베이어부(420) 상에 놓인 이송물(470)은 스커트부(43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히 슈트 장치(400)를 지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50)와 스커트부(430)의 접촉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스커트부(430)의 회전 각도(θ2)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00 :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210 : 슈트부
212 : 상부 슈트
213 : 상부 슈트 지지판
214 : 측면 덮개
220 : 컨베이어부
230 : 스커트부
240 : 감지부
250 : 가이드부
260 : 집진 배관
332 : 스커트 지지판
333 : 스커트 루버
341 : 지지부재
342 : 회전암
343 : 감지 롤러
351 : 가이드 지지부재
352 : 가이드 링크
353, 354 : 제1 및 제2 롤러
355 : 탄성체
470 : 이송물

Claims (7)

  1. 이송물이 통과 가능한 슈트부;
    상기 슈트부를 통과한 상기 이송물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고, 상기 이송물이 유입되는 상기 슈트부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로 유입되는 상기 이송물의 유입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물의 이송 압력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감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부재;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이드 링크;
    상기 감지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링크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스커트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링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 내의 분진을 포집하도록 상기 슈트부에 장착되는 집진 배관;
    을 더 포함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는,
    상부 슈트;
    상기 상부 슈트에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슈트의 하면에 장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중 상기 슈트부 입구의 양 측면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측면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축회전 가능한 스커트 지지판; 및
    상기 스커트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커트 루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일단이 상기 슈트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암; 및
    상기 회전암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물과 접촉되는 감지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롤러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이드 지지부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KR1020140111765A 2014-08-26 2014-08-26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KR10160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65A KR101607008B1 (ko) 2014-08-26 2014-08-26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65A KR101607008B1 (ko) 2014-08-26 2014-08-26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62A KR20160024662A (ko) 2016-03-07
KR101607008B1 true KR101607008B1 (ko) 2016-03-28

Family

ID=5554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765A KR101607008B1 (ko) 2014-08-26 2014-08-26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0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26B1 (ko) * 2016-12-15 2019-01-2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1989278B1 (ko) * 2018-05-14 2019-06-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슈트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20200061631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115B1 (ko) * 2019-01-24 2020-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진비산방지용 슈트장치
KR20230042955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비산 분진 방지용 슈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301B1 (ko) * 2018-11-30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낙광 포집 및 재분배 장치
KR102131349B1 (ko) 2019-07-01 2020-07-07 오길식 도광판을 구성한 엘이디 조명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70B1 (ko) * 2002-12-26 2010-05-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101411848B1 (ko) * 2012-09-27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05B1 (ko) * 2009-09-28 2011-07-2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슈트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70B1 (ko) * 2002-12-26 2010-05-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101411848B1 (ko) * 2012-09-27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926B1 (ko) * 2016-12-15 2019-01-2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1989278B1 (ko) * 2018-05-14 2019-06-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슈트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20200061631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098B1 (ko) * 2018-11-26 2020-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115B1 (ko) * 2019-01-24 2020-07-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분진비산방지용 슈트장치
KR20230042955A (ko) * 2021-09-23 2023-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비산 분진 방지용 슈트 장치
KR102588142B1 (ko) * 2021-09-23 2023-10-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비산 분진 방지용 슈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62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008B1 (ko) 이송물의 이송용 슈트 장치
US9358585B2 (en) Agricultural article sizer
KR101186007B1 (ko) 제품 집적 장치
RU2014153984A (ru) Устройство в духовке для передачи, имеющее прерывную транспортерную ленту
KR1013575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JP2016504970A5 (ko)
EP3362384B1 (en) Apparatus for diverting a stream of articles
KR101388008B1 (ko) 이송물 투입장치
KR101628026B1 (ko) 컨베이어의 낙하물 이송장치
KR1015166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989278B1 (ko) 벨트컨베이어슈트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9281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140006507A (ko)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및 이를 이용한 낙광방지용 벨트 컨베이어
KR101267601B1 (ko)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JP5621138B2 (ja) 棒材の搬送装置
KR20130013619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167165B1 (ko) 부착광 부착 방지장치
KR102213966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A1088965A (en) Conveyor system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20150125068A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