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88B1 -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88B1
KR101604188B1 KR1020140056371A KR20140056371A KR101604188B1 KR 101604188 B1 KR101604188 B1 KR 101604188B1 KR 1020140056371 A KR1020140056371 A KR 1020140056371A KR 20140056371 A KR20140056371 A KR 20140056371A KR 101604188 B1 KR101604188 B1 KR 10160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roller
unit
output unit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427A (ko
Inventor
김성진
김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씨테크
김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441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41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씨테크, 김락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씨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 탑승함의 수평여부를 상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함의 하부에 장착되어 탑승함의 수평상태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탑승함의 하부에 장착되고 메인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OF HORIZONTALITY FOR HIGH LIFT WORK VECHICLE}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 탑승함의 수평상태 여부를 상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트럭 등과 같은 화물차량에 크레인이 장착된 구조로서, 탑승함에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하여 높이 14m 내지 35m의 고공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고소작업차는 이와 같이 매우 높은 고공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탑승함에 탑재되는 화물의 과적에 의해서 고소작업차의 기계장치에 과부하가 걸려서 탑승함이 기울어지거나 작업반경내에서 탑재함이 충돌하면서 탑승함이 기울어지는 것을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쉽사리 인식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탑승함이 전복되는 사고가 일어나기 쉬워 고소작업차에는 이러한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평유지장치 등과 같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4730호 공보에는, 탑승함이 작업범위를 이탈하거나 과하중으로 인하여 탑승함이 기울어지는 것을 붐의 모멘트가 증가하는 것으로써 감지하여 고소작업차의 내부의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결과적으로는 장비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고소작업차의 다중 안전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714730호의 발명이나 또는 종래의 고소작업차의 안전장치 수단들을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고소작업차를 상기 안전장치가 장착된 고소작업차로 대체하거나 오랜 시간과 비용을 들여 기존 고소작업차를 개조하여야만 한다. 그래서 기존의 고소작업차에 장치를 간단하게 부착하기만 하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종래의 안전장치 수단들은 기존의 고소작업차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장비들을 빠르게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표시장치가 탑승함 하부에 설치되어 탑승함의 수평여부와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구비된 출력부를 통하여 지상의 작업자가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빛이나 소리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탑승함에 별도의 결합장치가 없이도 수평표시장치가 탑승함에 간단하게 탈부착이 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표시장치가 장착될 때 고소작업차량에 따라서 달라지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탑승함에 대응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 탑승함 수평표시장치는, 상기 탑승함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탑승함의 수평상태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탑승함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탑승함의 수평여부를 감지하는 센서회로부와, 상기 센서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기준각도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표시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센서회로부, 상기 제어회로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회로부, 제어회로부 및 전원부가 내부에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센서회로부에서 출력되고 있는 신호의 값을 영점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영점 스위치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회로부가 탑승함의 평형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비교값이 되는 기준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가변저항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작업자가 빛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소리로 인식할 수 있는 음향장치 및 탑승함측의 유압을 차단할 수 있는 유압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밸브는, 탑승함이 기설정된 기준각도를 벗어나면 탑승함측의 유압을 차단하되, 탑승함이 기설정된 기준각도로 복귀되면 유압이 개방되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발광장치의 빛 또는 상기 음향장치의 소리를 반사하여 상기 빛이나 소리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출력부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장착되되 하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출력부에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탑승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그네틱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에 의하면, 수평표시장치의 출력부는 발광장치의 빛이나 음향장치의 소리와 등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고소작업차 탑승함의 수평상태와 기울어짐을 상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에 의하면, 출력부에 소리와 빛이 반사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하는 반사판이 장착되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도 인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에 의하면,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가 탑승함에 쉽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 및 메인 컨트롤러에 마그네틱 층이 장착되기 때문에, 기존의 고소작업차에 별도의 개조없이도 쉽고 빠르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기존의 고소작업차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 및 고소작업차의 현장작업시 수평표시장치에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수평표시장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에 의하면, 수평표시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와 표시수단 사이의 연결부를 다수의 연결파이프로 구성하여 연결부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고 연결파이프와 메인 컨트롤러를 체결하는 체결구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표시장치를 고소작업차의 종류에 따른 탑승함의 크기와 모양에 구애됨이 없이 적합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에 의하면, 수평표시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와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에는 절곡 가능한 재질의 연결파이프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고소작업차의 현장작업시 수평표시장치에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컨트롤러를 고소작업차의 탑승함의 측면 또는 하면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로이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시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출력부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100)는, 탑승함(112)의 하부에 장착되어 탑승함(112)의 수평상태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이를 신호로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러(120) 및 탑승함(112)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탑승함(112)의 수평여부를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130)을 포함한다.
먼저, 메인컨트롤러(120)는, 탑승함(112)의 수평여부를 감지하는 센서회로부(126)와, 센서회로부(12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기준각도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표시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127)와, 센서회로부(126), 제어회로부(127) 및 출력부(1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28)를 포함한다.
센서회로부(126)에는 수평상태와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센서회로부(126)에는 통상의 기울기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평형감지 센서가 장착 된다. 센서회로부(126)의 센서는 고소작업차(110)의 탑승함(112)이 수평상태일 때에 그에 따르는 전기적 신호를, 탑승함(112)이 앞뒤로 기울었을 때에 그에 따르는 전기적 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제어회로부(127)로 전송한다.
제어회로부(127)는 센서회로부(126)에서 출력된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기준각도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값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출력부(130)에 출력될 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부(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회로부(127)에 저장되어있는 기설정된 기준각도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3도에서 최대 7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전원부(128)는 메인컨트롤러(120)의 각각의 회로부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출력부(13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러한 전원부(128)는 충전용 건전지나 일반 건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 탑승함 수평표시장치(100)가 지상에 있는 고소작업차(110)의 제어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센서회로부(126), 제어회로부(127) 및 전원부(128)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121)에 내장 되는데, 이 때 케이스(121)에는 메인 컨트롤러(120)의 센서회로부(126)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신호의 값을 영점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영점 스위치(122), 및 제어회로부(127)가 탑승함(112)의 평형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비교값이 되는 기준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가변저항 스위치(123)가 장착된다.
여기서, 영점 스위치(122)는 센서회로부(126)에서 출력되는 현재 탑승함(112)의 기울기에 따른 전기신호의 값을 영점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영점 스위치(122)는 제어회로부(127)의 내부에 메모리 소자와 연결되는데, 전원부(128)에서 전원이 인가된 후 영점 스위치(122)를 누르면 자동으로 현재의 탑승함의 기울기 상태를 영점으로 설정되도록 하면서 제어회로부(127)에 영점으로 설정된 전기적 신호 값을 저장되게 한다.
그리고, 가변저항 스위치(123)는 메인 컨트롤러(120)의 제어회로부(127)가 센서회로부(126)에서 출력되는 값과 비교하게 되는 기설정되는 기준각도 값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회로부(127)가 출력부(140)의 신호를 바꾸는 탑승함(112)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기준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변저항 스위치(123)는 가변저항으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드라이버 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각도의 범위 안에서 기설정된 기준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즉, 가변저항의 변환된 저항값은 기설정되는 기준각도에 대응하는 값이 된다.
이와 같은, 메인콘트롤러(12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탑승함(112) 하부에 장착된 유압모터(115)와 붐(114)을 연결하는 힌지부(116)의 측면에 장착된다.
한편, 출력부(130)는 작업자가 빛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발광장치(137), 또는 소리로 인식할 수 있는 음향장치(138), 또는 탑승함(112) 측의 유압을 차단할 수 있는 유압밸브(139)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출력부(130)에서는 최종적으로 발광장치(137)나, 음향장치(138), 또는 유압밸브(139)가 각각의 상황에 따르는 기설정된 빛이나 소리를 방출하거나 유압을 제어한다.
여기서, 발광장치(137)로서는 LED, 경광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휘도 LED를 사용할 수 있다. 고휘도 LED를 사용하면 여러 가지 색상의 빛을 상황에 맞게 송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소작업차(110)의 탑승함(112)이 전방으로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으로 기울면 적색빛으로 점멸되고, 반대로 후방으로 기설정 기준각도 이상으로 기울면 청색빛으로 점멸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기준각도 내에 탑승함(112)이 위치하게 되면 녹색빛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의 빛은 작업자가 고소작업차(110)의 탑승함(112)의 기울기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북쪽을 나타내는 적색은 전방의 기울기, 남쪽을 나타내는 청색은 후방의 기울기, 그리고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녹색은 평형상태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장치(138)로서는 부저, 사이렌 등과 같은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유압밸브(139)는, 탑승함(112)이 기설정된 기준각도를 벗어나면 메인 컨트롤러(120)에서 이를 감지 및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탑승함(112) 측의 유압을 차단하여 탑승함(112)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안전한 방향으로 탑승함(112)을 제어하면 탑승함(112) 측의 유압이 개방되어 작동 되도록 한다. 이렇게 출력부(130)에 장착되는 유압밸브(139)는 메인 컨트롤러(120)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유압밸브(139)를 제어하여 유압유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유압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장치(137), 또는 음향장치(138)로 이루어진 출력부(130)는 빛 또는 소리를 반사하여 빛이나 소리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는 반사판(134)을 더 포함한다(도 4, 도 5 참조).
이러한, 반사판(134)은, 출력부(130)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장착되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빛이나 소리는 반사판(134)에 부딪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전방의 방향으로만 나아가므로 같은 크기의 소리나 빛이라고 하더라도 작업자가 더욱 먼 거리에서도 빛이나 소리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반사판(134)은 유리나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100)는, 메인 컨트롤러(120) 및 출력부(130)는 자기력에 의해 탑승함(112)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그네틱층(125, 136)이 형성된다(도 3, 도 5 참조).
이러한 마그네틱층(125, 136)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120) 및 출력부(130)는 체결수단 없이도 고소작업차(110)의 탑승함(112)에 자유로이 탈부착된다. 또한 마그네틱층(125, 136)은 고소작업차(110)가 현장에서 작업할 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평표시장치(100)가 부착된 위치에서 자연스럽게 밀려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고정되었을 때와는 달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10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20)와 출력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140)는, 반원의 링 형상을 가지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체결구(148)와, 각각의 체결구(148)로부터 인접한 출력부(130)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144) 및 각각의 출력부(130)으로부터 메인 컨트롤러(120) 측으로 연장되되 인접한 제 1 연결파이프(144)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146)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연결파이프(144)는 절곡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출력부(130) 측으로 일자형으로 연장되거나 절곡 가능하게 연장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20)가 탑승함(112)의 측면에 장착될 때에는 제 1 연결파이프(144)는 절곡되어 탑승함(112)의 하면에 장착된 표시수단(130)과 연결되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120)가 탑승함(112)의 하면에 장착될 때에는 표시수단(130)과 함께 일자형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2 연결파이프(144,146)는 고소작업차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탑승함(112)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수평표시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케이블(142)를 감싸며 보호하기 때문에 고소작업차가 현장 작업을 할 때 수평표시장치(100)에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수평표시장치(100)의 케이블(142)이 절단되거나 피복이 벗겨지는 것과 같은 사태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각각의 연결파이프(144,146)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시로써 제1 연결파이프(144)와 제2 연결파이프(146)를 도시하였다.
한편, 케이스(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는 홈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케이블홀(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블홀(124)에는 각각의 출력부(130)로부터 상기 제 1 연결파이프(144)와 제 2 연결파이프(146)를 지나 체결구(148)를 관통하여 연장된 케이블(142)이 메인 컨트롤러(120)과 연결되게 하는데, 여기서 케이블(142)은 제 1, 2 연결파이프(144,146)가 단축되거나 연장될 때에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 내부로 말려 들어가거나 내부에서 딸려 나올 수 있도록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는 여유있는 빈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체결구(148)의 양쪽 끝단에는 체결구(148)의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데, 어느 하나의 플랜지와 또 다른 플랜지는 서로 맞대어지고, 서로 맞대어진 플랜지는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케이스(121)에 형성된 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체결구(148)는 메인 컨트롤러(120)의 주위에서 회전하면서 체결구(148)와 제 1, 2 연결파이프(144)로 연결된 표시수단(1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4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8의 a)는 연결부(140)의 제 1, 2 연결파이프(144,146)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내부의 케이블(142)은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접혀 들어간 상태이다. 그리고 도 8의 b)는 제 1, 2 연결파이프(144,146)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때는 제 1, 2 연결파이프(144,146)가 연장됨과 동시에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접혀있는 케이블(142)이 딸려 나오게 된다.
또한, 도 8의 c)는 연결부(140)가 회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2 연결파이프(144,146)의 내부에 위치한 케이블(142)은 케이블 홀(124)을 통과하여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접혀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8의 d)는 연결부(140)가 90도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연결부(140)의 체결구(148)가 회전할 때 메인 컨트롤러(120)의 케이스(121)에 내부에 접혀져 있던 케이블(142)은 케이블홀(124)을 따라 움직이면서 풀려나오게 된다.
또한, 케이블홀(124)은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타공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구(148)가 회전할 때 급격하게 케이블(142)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2 연결파이프가 단축될 때에 케이블(142)이 케이스(121)의 내부로 케이블홀(124)이 가지는 길게 형성된 공간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표시장치(100)는 발광장치(137)의 빛이나 음향장치(138)의 소리와 등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고소작업차 탑승함(112)의 수평상태와 기울어짐을 상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100)는 출력부(130)에 소리와 빛이 반사되어 직진성을 갖도록 하는 반사판(134)이 장착되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도 인식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표시장치(100)는 탑승함(112)에 쉽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130) 및 메인 컨트롤러(120)에 마그네틱 층(125, 136)이 장착되기 때문에, 기존의 고소작업차에 별도의 개조없이도 쉽고 빠르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소작업차의 현장작업시 수평표시장치(100)에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수평표시장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 탑승함 수평 표시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10: 고소작업차 112: 탑승함
114: 붐 115: 유압 모터
116: 힌지부 120: 메인 컨트롤러
121: 케이스 122: 영점 스위치
123: 가변저항 스위치 124: 케이블 홀
125: 메인컨트롤러측 마그네틱층 126: 센서회로부
127: 제어회로부 128: 전원부
130: 출력부 134: 반사판
136: 표시수단측 마그네틱층 137: 발광장치
138: 음향장치 139: 유압밸브
140: 연결부 142: 케이블
144: 제 1 연결파이프 146: 제 2 연결파이프
148: 체결구

Claims (7)

  1.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탑승함의 수평상태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탑승함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탑승함의 수평여부를 감지하는 센서회로부;
    상기 센서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기준각도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표시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상기 센서회로부, 상기 제어회로부 및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회로부, 제어회로부 및 전원부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센서회로부에서 출력되고 있는 신호의 값을 영점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영점 스위치;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회로부가 탑승함의 수평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비교값이 되는 기준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가변저항 스위치;가 장착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작업자가 빛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발광장치, 또는 소리로 인식할 수 있는 음향장치, 또는 탑승함 측의 유압을 차단할 수 있는 유압밸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압밸브는,
    상기 탑승함이 기설정된 기준각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회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탑승함 측으로 유입되는 유압을 차단하되, 작업자가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내로 탑승함을 제어하면 상기 제어회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탑승함 측으로 유압이 유입되게 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발광장치의 빛 또는 상기 음향장치의 소리를 반사하여 상기 빛이나 소리가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출력부의 양측면에 마주보게 장착되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출력부에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탑승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그네틱층이 형성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KR1020140056371A 2014-05-12 2014-05-12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KR10160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371A KR101604188B1 (ko) 2014-05-12 2014-05-12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371A KR101604188B1 (ko) 2014-05-12 2014-05-12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27A KR20150129427A (ko) 2015-11-20
KR101604188B1 true KR101604188B1 (ko) 2016-03-16

Family

ID=5484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371A KR101604188B1 (ko) 2014-05-12 2014-05-12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76A (ko) 2018-08-08 2020-02-18 강남국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KR20200041071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인명 구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7577A1 (de) * 2017-08-02 2019-02-07 Cartesy Gmbh Überwachungsvorrichtung
KR102299311B1 (ko) 2018-02-14 2021-09-07 (주)다스 방향 및 수평 레벨 탐지 표시용 전자 탐지 디바이스
KR20190101512A (ko) 2018-02-14 2019-09-02 (주)다스 방향 및 수평 레벨 탐지 표시용 전자 탐지 디바이스
KR102123867B1 (ko) 2018-12-14 2020-06-17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안전 보조장치
KR102088874B1 (ko) 2019-10-08 2020-03-13 (주)다스 방향 및 수평 레벨 탐지 표시용 전자 탐지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286A (ja) * 1999-11-10 2001-05-22 Aichi Corp 作業車
KR101182716B1 (ko) 2012-03-06 2012-09-13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
KR101303087B1 (ko) 2012-10-29 2013-09-04 김병진 고소작업차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286A (ja) * 1999-11-10 2001-05-22 Aichi Corp 作業車
KR101182716B1 (ko) 2012-03-06 2012-09-13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
KR101303087B1 (ko) 2012-10-29 2013-09-04 김병진 고소작업차용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76A (ko) 2018-08-08 2020-02-18 강남국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KR20200041071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인명 구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7667B1 (ko) 2018-10-11 2020-05-07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인명 구조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27A (ko) 201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188B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US9283819B2 (en) Vehicle wheel assembly external illumination lamp
CA2557512C (en) Improvements in aircraft doors
JP2013510043A (ja) 移動監視モジュールを展開するための車両
BRPI0612606A2 (pt) dispositivo de controle de altura
KR102461886B1 (ko) 토노 커버
US9677335B2 (en)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ladder with status indicators
US8638209B1 (en) Traffic control board mount for vehicles
US9642223B2 (en) Vehicle wheel assembly illumination lamp
US11378440B2 (en) Payload balance indicator
US20150066290A1 (en) Indication system for a machine
US9688198B2 (en) Vehicle back-up assist system
JPH02215696A (ja) クレーンの旋回規制機構
JP2009249138A (ja) トラッククレーン
KR102649589B1 (ko) 차량 안전 배리어
JP6891787B2 (ja) 有人運転無人運転兼用型の産業車両
JP2007011874A (ja) 車両の後側方警報システム
KR20130007735A (ko) 엘리베이터 기울기 감지장치
JP2006298358A (ja) 発光シート、作業システム及び作業用乗物
KR101585911B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JPH11106185A (ja) タワークレーンの休車姿勢異常警報装置
JP5777021B2 (ja) ライ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4421726B2 (ja) 車載式作業機の旋回停止装置
KR20210104978A (ko) 굴삭기의 주정차시 어태치먼트 안전장치 및 방법
KR101535459B1 (ko) 탑승함의 수평유지를 위한 고소작업차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