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176A -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176A
KR20200017176A KR1020180092458A KR20180092458A KR20200017176A KR 20200017176 A KR20200017176 A KR 20200017176A KR 1020180092458 A KR1020180092458 A KR 1020180092458A KR 20180092458 A KR20180092458 A KR 20180092458A KR 20200017176 A KR20200017176 A KR 20200017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orrection
cylinder
horizonta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667B1 (ko
Inventor
강남국
Original Assignee
강남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국 filed Critical 강남국
Priority to KR102018009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6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붐을 수평방향으로 펼칠 경우 긴 길이의 붐이 휨으로 인해 그 끝단에 결합된 작업대가 기울어짐에 따라 붐의 지지하는 실린더의 유압을 통해 작업대의 수평을 보장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고소작업용 작업대(50, bucket); 상기 작업대(50)를 신장과 수축을 통해 회전기둥(30)으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작동시키기 위한 붐(20, boom); 및 상기 붐(20) 일측이 연결되어 작업대(50) 및 붐(20)이 회전되는 기둥인 회전기둥(30, post)를 포함하고, 상기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작업대(50)가 회전기둥(30)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면서, 작업대(50) 및 붐(20)의 신장으로 인한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지는 휨현상과 함께 작업대(50)가 휨현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처짐현상, 그리고 휨현상 및 처짐현상으로 인해 작업대(50)의 외향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기울어짐현상이 발생됨에, 기울어진 작업대(50) 외향 부분을 상향으로 회동시켜 수평을 이루도록 보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FOR HIGH PLACE WORKING VEHICLE WITH HORIZONTAL LEVEL CORRECTOR FOR WORKING TABLE}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붐을 수평방향으로 펼칠 경우 긴 길이의 붐이 휨으로 인해 그 끝단에 결합된 작업대가 기울어짐에 따라 붐의 지지하는 실린더의 유압을 통해 작업대의 수평을 보장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다단으로 신장되고 수축되는 붐이 펼쳐져 작업대를 멀리보내면서 작업대를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로써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체로 높은 곳이다. 접근하기가 곤란한 먼 거리를 손쉽게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편리한 것이다.
이러한 고소작업차가 필요한 경우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먼 거리의 수평방향으로 다단 붐을 신장시켜 작업대를 멀리 보낼 경우, 신장된 붐의 하중이 고소작업차의 본체로부터 먼 거리로 펼쳐짐에 의해 하중이 증가하고 또한 작업대가 중앙으로부터 멀리 이격됨에 의해서도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할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펼쳐진 붐 끝부분이 휘어지게 되고 작업대도 외향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져 작업자가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작업대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대가 먼 거리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경우에 작업대가 기울었을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한 수평의 보상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1604188호(2016년 03월 10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864098호(2018년 05월 28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단 붐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하는 중에 붐과 연결된 실린더에 의한 작동유를 이용해서 작업대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작동함으로써 작업대를 회동시켜 작업대의 기울기를 보상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 붐을 회동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기복실린더의 하중 지지에 따른 유압력을 작업대의 슬레이브실린더 측으로 전달하여 작업대의 수평을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 붐의 수평 및 기울기에 따른 지지력을 이용하여 작업대의 수평을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보정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작업대(50, bucket); 상기 작업대(50)를 신장과 수축을 통해 회전기둥(30)으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작동시키기 위한 붐(20, boom); 및 상기 붐(20) 일측이 연결되어 작업대(50) 및 붐(20)이 회전되는 기둥인 회전기둥(30, post)를 포함하고, 상기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작업대(50)가 회전기둥(30)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면서, 작업대(50) 및 붐(20)의 신장으로 인한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지는 휨현상과 함께 작업대(50)가 휨현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처짐현상, 그리고 휨현상 및 처짐현상으로 인해 작업대(50)의 외향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기울어짐현상이 발생됨에, 기울어진 작업대(50) 외향 부분을 상향으로 회동시켜 수평을 이루도록 보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회전기둥(30)에 연결되고 타측이 붐(20)에 연결되어 회전기둥(30)에 대해 붐(20)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복실린더(41, derrick cylinder)를 포함하고, 작업대(50) 아래에 구비되어 슬레이브실린더(51)의 로드가 연결되는 수평링크(52, level link); 및 작업대(50) 아래에서 수평링크(52)와 실린더로드가 연결되어 작업대(50)를 회동시키는 슬레이브실린더(51, slave cylinder)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보정장치는, 상기 기복실린더(41)와, 수평링크(52) 및 슬레이브실린더(51)를 포함하고,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붐(20) 및 작업대(50)의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 작업대(50)가 기울면서 붐(20) 및 작업대(50)의 하중 증대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기복실린더(41)의 실린더헤더의 유압력이 슬레이브실린더(51)로 전달되어 슬레이브실린더(51) 작동으로 수평링크(52)를 회동시켜 기울어진 작업대(50)의 수평을 보정하는 수평보정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장치는, 상기 기복실린더(41)와 슬레이브실린더(51) 사이의 유압 경로 중에 연결되고 붐(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정실린더(60)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실린더(60)의 실린더헤드측으로 기복실린더(41)로부터 유입된 유압유를 공급받고, 로드측의 유압유가 슬레이브실린더(5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정실린더(60)는, 기복실린더(41)로부터의 유압유가 공급되는 보정헤드측(61); 슬레이브실린더(51)의 헤드 측으로 유압유를 공급하게 되는 보정로드측(62);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압력이 작용하는 보정피스톤(64); 상기 보정피스톤(64)과 연동되는 보정로드(63); 및 보정로드측(62) 측의 유압유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정로드커버(66)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로드측(62) 내에 위치되어 기복실린더(4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압력을 받는 보정스프링(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정실린더(60)는, 상기 기복실린더(41)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력에 의해서 보정스프링(65)을 가압함에 따라 보정스프링(65) 및 보정헤드측(61) 사이에 위치된 보정피스톤(64)이 보정로드(63) 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보정로드측(62) 내의 유압유를 슬레이브실린더(51) 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단 붐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하는 중에 붐과 연결된 실린더에 의한 작동유를 이용해서 작업대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작동함으로써 작업대를 회동시켜 작업대의 기울기를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다단 붐을 회동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기복실린더의 하중 지지에 따른 유압력을 작업대의 슬레이브실린더 측으로 전달하여 작업대의 수평을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다단 붐의 수평 및 기울기에 따른 지지력을 이용하여 작업대의 수평을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보정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구성을 단일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다단 붐이 인입된 상태의 붐 및 작업대에 대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2는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다단 붐 및 작업대 아래에 설치된 마스터실린더 및 슬레이브실린더에 대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3은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다단 붐이 신장되었을 경우 다단 붐의 끝부분 및 작업대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보정실린더 및 수평보정장치의 구성들에 있어서의 연결구성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있어서의 보정실린더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보정실린더 내에 구비된 보정스프링에 대한 작동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다단 붐이 신장되었을 경우 작업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는 첨부된 도면들에서와 같이, 인출로 다단으로 이루어진 붐이 펼쳐져 작업대를 멀리보내는 신장 작동 및 다단 붐이 인입으로 접혀 작업대가 고소작업차 본체로 근접되는 수축 작동을 이루는 다단의 붐을 포함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을 이루는 작업대를 포함하여, 원거리, 또는 높은 위치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차가 필요한 경우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먼 거리의 수평방향으로 다단 붐을 신장시켜 작업대를 멀리 보낼 경우, 신장된 붐의 하중이 고소작업차의 본체로부터 먼 거리로 펼쳐짐에 의해 하중이 증가하고 또한 작업대가 중앙으로부터 멀리 이격됨에 의해서도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할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펼쳐진 붐 끝부분이 휘어지게 되고 작업대도 외향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져 작업자가 작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작업대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용 작업대(50, bucket); 상기 작업대(50)를 신장과 수축을 통해 회전기둥(30)으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작동시키기 위한 붐(20, boom); 및 상기 붐(20) 일측이 연결되어 작업대(50) 및 붐(20)이 회전되는 기둥인 회전기둥(30, post)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작업대(50)가 회전기둥(30)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면서, 작업대(50) 및 붐(20)의 신장으로 인한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지는 휨현상과 함께 작업대(50)가 휨현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처짐현상, 그리고 휨현상 및 처짐현상으로 인해 작업대(50)의 외향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기울어짐현상이 발생됨에, 기울어진 작업대(50) 외향 부분을 상향으로 회동시켜 수평을 이루도록 보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세부 구성을 보면, 일측이 회전기둥(30)에 연결되고 타측이 붐(20)에 연결되어 회전기둥(30)에 대해 붐(20)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복실린더(41, derrick cylinder)를 포함하고, 작업대(50) 아래에 구비되어 슬레이브실린더(51)의 로드가 연결되는 수평링크(52, level link), 그리고 작업대(50) 아래에서 수평링크(52)와 실린더로드가 연결되어 작업대(50)를 회동시키는 슬레이브실린더(51, slave cylinder)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도 1 및 도 2에서처럼, 고소작업차의 작업대(50)는 붐(20)의 각도와 관계없이 항상 수평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기복실린더(41)의 인출, 인입에 따라 붐(20)의 각도가 변화되면 회전기둥(30)과 1단 붐(20) 사이에 설치된 마스터실린더(43)가 수동적으로 인출, 인입하게 된다. 이러한 마스터실린더(43)와 슬레이브실린더(51)가 유압호스로 연결되어 마스터실린더(43) 작동에 따라 슬레이브실린더(51)가 연동된다.
이때 끝단의 붐(20)과 수평링크(52) 사이에 설치된 슬레이브실린더(51)의 움직임에 따라 작업대(50)가 수평이 유지되는 기울기보상작동을 이루게 된다.
즉 마스터실린더(43)가 인출되면 슬레이브실린더(51)는 인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방식에 있어서 작업대(50)의 수평유지작동은 붐(20)의 휨현상에 대해 적절히 대응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좀더 붐(20)의 작동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최대 인출 시에, 붐(20)의 휨현상에 대해 작업대(50)에 대한 수평이 붐(20)의 휨량에 따라 적절히 반영되어 보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마련되는 수평보정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붐(20)의 휨현상에 따른 처짐은 수평/최대 인출상태에서 가장 커지고, 수직 최소 인출상태에서 최소가 된다.
그리고 붐(20)의 각도가 수평에 가깝고, 최대 인출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기복실린더(41)의 압력은 높아지고 붐(20)의 처짐도 더 커지게 된다. 즉 붐(20)의 처짐은 기복실린더(41)의 작용 압력과 비례한다. 이러한 상태에 따른 수평보정장치의 작동을 구성하게 된다.
( 붐(20)의 처짐 ∝ 기복실린더(41) 압력 ∝ 작업대 각도 오차 )
이에 따른 상기 수평보정장치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기복실린더(41)와, 수평링크(52) 및 슬레이브실린더(51)를 포함하고,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붐(20) 및 작업대(50)의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 작업대(50)가 기울면서 붐(20) 및 작업대(50)의 하중 증대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기복실린더(41)의 실린더헤더의 유압력이 슬레이브실린더(51)로 전달되어 슬레이브실린더(51) 작동으로 수평링크(52)를 회동시켜 기울어진 작업대(50)의 수평을 보정하는 수평보정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상기 수평보정장치는, 도 4 등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기복실린더(41)와 슬레이브실린더(51) 사이의 유압 경로 중에 연결되고 붐(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정실린더(60)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보정실린더(60)의 실린더헤드측으로 기복실린더(41)로부터 유입된 유압유를 공급받고, 로드측의 유압유가 슬레이브실린더(51)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정실린더(60)는, 기복실린더(41)로부터의 유압유가 공급되는 보정헤드측(61); 슬레이브실린더(51)의 헤드 측으로 유압유를 공급하게 되는 보정로드측(62);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압력이 작용하는 보정피스톤(64); 상기 보정피스톤(64)과 연동되는 보정로드(63); 및 보정로드측(62) 측의 유압유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정로드커버(66)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정로드측(62) 내에 위치되어 기복실린더(4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압력을 받는 보정스프링(6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보정실린더(60)에서의 작동을 보면, 상기 기복실린더(41)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력에 의해서 보정스프링(65)을 가압함에 따라 보정스프링(65) 및 보정헤드측(61) 사이에 위치된 보정피스톤(64)이 보정로드(63) 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보정로드측(62) 내의 유압유를 슬레이브실린더(51) 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슬레이브실린더(51)의 로드측과 연결된 수평링크(52)를 회동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보(20)의 끝단 부분에 대해서 작업대(50)를 회동시킴으로써, 작업대(50)에 대한 수평을 이루어 수평보정작동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수평보정장치에 대한 세부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복실린더(41)에 작용하는 압력과 작업대(50)의 기울어진 각도 오차가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기복실린더(41)에서 형성된 압력을 보정실린더(60)에 공급하여 보정실린더(60)가 인출되면 보정실린더(60)의 보정로드측(62)에서 유압유가 슬레이브실린더(51)에 공급됨으로써 작업대(50) 각도 오차를 보정한다.
이러한 보정실린더(60)에 대한 사항을 살펴보면, 기복실린더(41)에서 발생한 압력유가 보정실린더(60)의 보정헤드측(61)으로 유입되고, 보정실린더(60)의 보정로드측(62)에 설치된 보정스프링(65)을 압축시키게 되며, 보정실린더(60)의 보정로드측(62)의 작동유를 슬레이브실린더(51)의 헤드측으로 보내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기복실린더 작용압력 (kg / cm2)
A : 보정실린더 헤드측 면적 (cm2)
k : 스프링 상수 (kg / cm)
x : 보정실린더 압축높이 (cm)
Figure pat00003
: 보정실린더 토출유량 (l)
이에 보정실린더(60)의 보정로드측(62)에 설치된 보정스프링(65)의 압축높이(x)는 보정실린더(60)의 보정헤드측(610에 유입되는 기복실린더(41)의 유압유의 압력 크기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이다. 그리고 보정실린더(60)의 압축높이(x)에 따라 보정실린더(60)의 보정로드측(62)에서 슬레이브실린더(51)의 헤드측으로 유입되는 유량 및 유압의 크기도 비례한다.
즉 작업대(50)의 기울어진 각도는 붐(20)의 처짐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며 붐(20)의 처짐은 기복실린더(41)의 작용압력과 비례한다.
또한 보정스프링(65)의 압축높이(x)는 보정스프링(65)에 가해지는 힘과 비례하므로, 보정실린더(65)의 보정로드측(62)에 설치된 보정스프링(65)을 이용하여 붐(20)의 처짐에 비례하는 유압 유량으로 슬레이브실린더(51)에 공급함으로써 작업대(50)의 수평을 붐(20)의 처짐과 관계없이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고소작업차 20 : 붐
30 : 회전기둥 41 : 기복실린더
50 : 작업대 51 : 슬레이브실린더
60 : 보정실린더 65 : 보정스프링

Claims (5)

  1. 고소작업용 작업대(50, bucket);
    상기 작업대(50)를 신장과 수축을 통해 회전기둥(30)으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작동시키기 위한 붐(20, boom); 및
    상기 붐(20) 일측이 연결되어 작업대(50) 및 붐(20)이 회전되는 기둥인 회전기둥(30, post)를 포함하고,
    상기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작업대(50)가 회전기둥(30)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되면서, 작업대(50) 및 붐(20)의 신장으로 인한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지는 휨현상과 함께 작업대(50)가 휨현상으로 아래로 내려가는 처짐현상, 그리고 휨현상 및 처짐현상으로 인해 작업대(50)의 외향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기울어짐현상이 발생됨에, 기울어진 작업대(50) 외향 부분을 상향으로 회동시켜 수평을 이루도록 보정하기 위한 수평보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회전기둥(30)에 연결되고 타측이 붐(20)에 연결되어 회전기둥(30)에 대해 붐(20)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기복실린더(41, derrick cylinder)를 포함하고,
    작업대(50) 아래에 구비되어 슬레이브실린더(51)의 로드가 연결되는 수평링크(52, level link); 및
    작업대(50) 아래에서 수평링크(52)와 실린더로드가 연결되어 작업대(50)를 회동시키는 슬레이브실린더(51, slave cylinder)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보정장치는,
    상기 기복실린더(41)와, 수평링크(52) 및 슬레이브실린더(51)를 포함하고,
    붐(20)의 신장 작동에 따라 붐(20) 및 작업대(50)의 하중 증대에 의해 붐(20)이 휘어 작업대(50)가 기울면서 붐(20) 및 작업대(50)의 하중 증대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기복실린더(41)의 실린더헤더의 유압력이 슬레이브실린더(51)로 전달되어 슬레이브실린더(51) 작동으로 수평링크(52)를 회동시켜 기울어진 작업대(50)의 수평을 보정하는 수평보정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정장치는,
    상기 기복실린더(41)와 슬레이브실린더(51) 사이의 유압 경로 중에 연결되고 붐(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정실린더(60)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실린더(60)의 실린더헤드측으로 기복실린더(41)로부터 유입된 유압유를 공급받고, 로드측의 유압유가 슬레이브실린더(5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실린더(60)는,
    기복실린더(41)로부터의 유압유가 공급되는 보정헤드측(61);
    슬레이브실린더(51)의 헤드 측으로 유압유를 공급하게 되는 보정로드측(62);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압력이 작용하는 보정피스톤(64);
    상기 보정피스톤(64)과 연동되는 보정로드(63); 및
    보정로드측(62) 측의 유압유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정로드커버(66)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로드측(62) 내에 위치되어 기복실린더(4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압력을 받는 보정스프링(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실린더(60)는,
    상기 기복실린더(41)로부터 유입되는 유압력에 의해서 보정스프링(65)을 가압함에 따라 보정스프링(65) 및 보정헤드측(61) 사이에 위치된 보정피스톤(64)이 보정로드(63) 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보정로드측(62) 내의 유압유를 슬레이브실린더(51) 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KR1020180092458A 2018-08-08 2018-08-08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KR10208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58A KR102083667B1 (ko) 2018-08-08 2018-08-08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58A KR102083667B1 (ko) 2018-08-08 2018-08-08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176A true KR20200017176A (ko) 2020-02-18
KR102083667B1 KR102083667B1 (ko) 2020-03-02

Family

ID=6963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458A KR102083667B1 (ko) 2018-08-08 2018-08-08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6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590U (ja) * 1991-06-10 1992-12-16 萬歳工業株式会社 リフト用等量吐出シリンダ
KR200299765Y1 (ko) * 2002-08-27 2003-01-10 손창근 크레인 링크 동조 장치
KR101144311B1 (ko) * 2011-06-01 2012-05-22 주식회사 휘람 수동 리프트용 가변식 유압전달 장치
KR20130050331A (ko) * 2013-04-26 2013-05-15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정밀 수평유지가 가능한 바스켓 수평제어장치
KR101604188B1 (ko) 2014-05-12 2016-03-16 주식회사 알씨테크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KR101864098B1 (ko) 2018-01-05 2018-06-04 황인성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수평 유지장치
KR101893134B1 (ko) * 2017-05-23 2018-08-30 유오성 데릭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통한 붐의 단부에 장착되는 보조장치의 수평 자동레벨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590U (ja) * 1991-06-10 1992-12-16 萬歳工業株式会社 リフト用等量吐出シリンダ
KR200299765Y1 (ko) * 2002-08-27 2003-01-10 손창근 크레인 링크 동조 장치
KR101144311B1 (ko) * 2011-06-01 2012-05-22 주식회사 휘람 수동 리프트용 가변식 유압전달 장치
KR20130050331A (ko) * 2013-04-26 2013-05-15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정밀 수평유지가 가능한 바스켓 수평제어장치
KR101604188B1 (ko) 2014-05-12 2016-03-16 주식회사 알씨테크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수평표시장치
KR101893134B1 (ko) * 2017-05-23 2018-08-30 유오성 데릭실린더와 슬레이브실린더를 통한 붐의 단부에 장착되는 보조장치의 수평 자동레벨링 시스템
KR101864098B1 (ko) 2018-01-05 2018-06-04 황인성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수평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667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4195C (zh) 折叠式顶部弯曲装置
JP2018030716A (ja) 伸縮式接続機構及び高所作業車
CN113202525A (zh) 锚护装置
KR101329119B1 (ko) 고소작업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소작업차
CN105271047A (zh) 一种底座角度可调的千斤顶
CN104675179B (zh) 自升式钢塔安装用吊架装置及钢塔施工方法
US4197035A (en) Shield-carrying roof support unit
US9206687B2 (en) Mining roof support system
KR102083667B1 (ko) 작업대의 수평보정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
CN108750967A (zh) 一种开挖立架吊装车
WO1981000097A1 (en) Vertically movable platform
CN106246211A (zh) 一种全面支撑型端头液压支架
CN208218314U (zh) 一种自动化顶升装置
CN105036018A (zh) 一种高空作业平台的曲臂式升降装置
CN211473458U (zh) 一种钢管柱的安装调垂机
CS203073B2 (en) Facility for adjusting the cutting level of the plane or similar instrument of the hoisting engine
CN208907363U (zh) 一种开挖立架平移安装机构
CN208747175U (zh) 一种开挖立架吊装机构
CN207522782U (zh) 一种移动胯下建筑3d打印机
CN205555437U (zh) 可调节的尾车凹弧段及具有该凹弧段的尾车
CN108843353A (zh) 一种开挖立架平移安装机构
CN104150408B (zh) 高空作业工作平台调平机构
JP2019206848A (ja) 函体吊込装置
CN208280197U (zh) 一种挖泥船钢桩用平移液压拖车
EP3849933B1 (en) Below grade access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