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475B1 - 박막 트랜지스터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475B1
KR101600475B1 KR1020140076654A KR20140076654A KR101600475B1 KR 101600475 B1 KR101600475 B1 KR 101600475B1 KR 1020140076654 A KR1020140076654 A KR 1020140076654A KR 20140076654 A KR20140076654 A KR 20140076654A KR 101600475 B1 KR101600475 B1 KR 10160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layer
gate insulating
gate
drai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349A (ko
Inventor
치아-체 수
치아-치 후앙
웨이-팅 첸
민-칭 수
Original Assignee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4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01L2029/786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with an LDD consisting of more than one lightly doped zone or having a non-homogeneous dopant distribution, e.g. graded LD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상기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는 상기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보다 낮다.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조 방법{THIN FILM TRANSISTOR AN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13년6월21일이고 출원번호가 201310251969.1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부 내용을 인입한다.
본 발명은 능동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막 트랜지스터, 당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어셈블리 및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에 관한것이다.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AMOLED)는 차세대 표시 장치 기술로서 자기발광, 광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 낮은 전력소비, 높은 응답속도, 고해상도, 풀 컬러, 박형화 등 장점이 있다. 따라서, AMOLED는 미래의 주류적인 표시 장치 기술 중의 하나로 될 희망이 있다.
AMOLED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배열 어셈블리 부분은, 일반적으로 저온 폴리실리콘(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공정을 채용한다. AMOLED의 최종 표시 품질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배열 어셈블리의 품질에 의해 결정된다.
AMOLED 또는 기타 전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을 갖고 있다.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은 쇼트 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와 핫-캐리어 효과 (Hot Carrier Effect)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전압하에서 어셈블리를 조작할 때, 어셈블리의 고장/크래시(crash)와 심각한 누설전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예를 들어 고해상도 표시 장치 어셈블리에서는 TFT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누설전류 영향을 진일보 피하여야 한다.
상기 배경기술 부분에서 개시된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업자들이 알고 있는 기존기술이 아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당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Ioff(셧다운 전류)를 진일보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성과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을 통해 알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해 알수 있다.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상기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중의 하나는 상기 소스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는 상기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보다 낮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질; 위에 상기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질 위에 위치한 완충층; 상기 반도체층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해도 된다.
제1 게이트 절연층은 산화 실리콘층이여도 된다.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는 질화 실리콘을 포함해도 된다.
반도체층은 저온 폴리실리콘을 포함해도 된다.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 알루미늄, 알루미늄-니켈 합금, 몰리브덴-텅스텐 합금, 크롬, 동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의 두께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기타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게이트 전극의 폭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폭보다 작아도 된다.
본 발명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기질, 상기 기질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및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가장자리의 두께가 기타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을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을 상기 반도체층에 이온주입하여,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상기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중의 하나는 상기 소스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가 상기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 보다 낮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을 커버하게끔 제1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층의 중간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에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의 상면과 상기 개구 내부에 위치한 측벽표면 및 상기 반도체층의 노출표면을 커버하게끔 제2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에 상기 개구를 완전히 충전하지 않게끔 게이트 금속층을 침적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금속층에 제2 포토 레지스트층을 도포하고 베이크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층의 일 부분을 제거하여 정 상부 표면이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정 상부 표면보다 낮게끔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상기 개구 내부에 남기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를 형성한 후,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을 2차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제2 포토 레지스트층은 상기 개구를 완전히 충전하고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정 상부를 커버해도 된다.
게이트 금속 패턴의 노출된 상면은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 의 아래에 위치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의 상면과 일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액티브층에 직렬식LDD를 형성할 수 있다. 직렬LDD는 TFT의 Ioff(셧다운 전류)를 진일보 낮출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와 기타특징 및 장점은 더욱 분명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른 TFT 반도체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른 TFT구성 및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 4, 5, 6, 7, 8, 9, 10, 11, 12, 13, 14와 15는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라 AMOLED 배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전면적으로 예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하기 실시 형태에 제한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반대로 제공된 이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전면적이고 완전하게끔 하며, 예시 실시 형태의 사상을 당업자에게 전면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영역과 층의 두께를 과장 표시하여 선명성을 도모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하고자 하는 특징, 구성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는 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제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는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기 특정 세부사항 중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없어도 또는 기타 방법, 요소, 재료 등을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게 된다. 기타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불명확함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성, 재료 또는 조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른 TFT 반도체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의 TFT 반도체층은 소스 영역(100a)과 드레인 영역(100b), 채널 영역(100c),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d, 100e) 및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f, 100g)을 포함한다.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100d, 100e)은 채널 영역(100c)에 인접한다.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f, 100g)은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d, 100e)에 인접한다.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f, 100g)의 도핑농도는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d, 100e)보다 낮다.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f, 100g)과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d, 100e)이 인접하여 직렬식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100f, 100g)은 보다 낮은 도핑농도를 갖고 있기에 보다 높은 저항을 갖는다. 직렬식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은 어셈블리의 리크전류(leak current)를 진일보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TFT의AMOLED 어셈블리를 사용하면, 보다 좋은 전기적 특성 조건을 가질 수 있어 보다 우수한 표시 품질에 도달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른 TFT의 구성 및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기질(200), 기질(200)위에 위치하는 완충층(202, 204), 완충층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206P), 반도체층(206P)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216), 제1 게이트 절연층(216)위에 위치하는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 및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220b)을 포함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반도체층은 저온 폴리 실리콘층(LTPS)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의 폭은 제1 게이트 절연층(216)의 폭보다 작다. 제1 게이트 절연층(216)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층일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는 예를 들면 질화 실리콘일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의 가장자리 두께가 기타 부분의 두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20b)의 폭은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의 폭보다 작다.
게이트 전극(220b)과 질화 실리콘 푸트(218a)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를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을 반도체층에 이온주입하여 소스 영역(206Pa)과 드레인 영역(206Pb)을 형성한다. 질화 실리콘 푸트의 구조에 의해,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206Pd, 206Pe) 및 도핑농도가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206Pd, 206Pe)보다 낮은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206Pf, 206Pg)을 자기정렬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206Pd, 206Pe)과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206Pf, 206Pg)이 인접하여 직렬식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220b)의 아래에 위치하는 반도체 영역이 바로 채널 영역이다. 이렇게 직렬식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를 얻을 수 있다. 직렬 LDD는 TFT의 Ioff(셧다운 전류)를 진일보 낮출 수 있다. 이후, 당업자들이 숙지한 기타 후속공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술하지 않는다.
도3, 4, 5, 6, 7, 8, 9, 10, 11, 12, 13, 14와 15는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라 AMOLED 배열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른 AMOLED 배열 기판에 사용되는 직렬식 LDD를 가진 PMOS TFT 및/또는 NMOS TFT를 기질위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타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TFT를 제조하여도 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른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우선 위에 완충층을 가지는 기질(200)을 준비한다. 기질(200)은 유리기질이거나 가요성 기질일 수 있고 기타 적합한 기질일 수도 있다. 완충층은 질화 실리콘층(202)과 질화 실리콘층 위에 위치하는 산화 실리콘층(204)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옵션으로, O2, N2, NH3, H2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산화 실리콘층의 상면을 처리하여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 등 결함수량을 감소하는 것을 통해 계면의 누설전류를 개선한다.
그 다음, 기질에 반도체층(206P, 206N)을 형성한다. 반도체층은 저온 폴리실리콘층(LTP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 강화 화학증착(PEVCD) 방법 등을 통해 기질에 비정질 실리콘 박막(a-Si)을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ELA) 등 방법을 통해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시켜 폴리 실리콘(Poly-Si)막을 얻는다. 그 다음, 기질에 포토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포토 에칭을 이용하여 패터닝를 통해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얻는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폴리 실리콘 막에 대하여 패터닝를 실행하여 복수 개의 반도체층(206P, 206N)을 형성한다. 그 후,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시킨다.
계속하여 반도체층(206P, 206N)에 대하여 채널 표면 도핑을 실행하여 역치 전압(Vth)을 조절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BF3을 이용하여 반도체층(206P)과 반도체층(206N)에 대하여 동시에 채널 표면 도핑을 진행한다. 그 후, 상기 얻어진 구조에 포토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패터닝를 실행하여 NMOS TFT를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을 노출시켜, 예를 들면 BF3과 같은 P형 도펀트를 이용하여 NMOS TFT반도체층에 대하여 2차 채널 주입을 진행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얻어진 구조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여 NMOS TFT의 예정 소스/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킨다.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도록 P, As와 같은 N형 불순물을 이용하여 NMOS TFT 반도체층의 예정 소스/드레인 영역에 대하여 도핑을 진행한다. 그 다음,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시킨다. 상기 얻어진 구조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MOS TFT 반도체 액티브층이 소스 영역(206Na), 드레인 영역(206Nb) 및 소스 영역(206Na)과 드레인 영역(206N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분(206Nc)을 포함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화학증착(CVD) 방법을 이용하여 반도체층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216)을 형성한다. 제1 게이트 절연층(216)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 층일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게이트 절연층(216)을 커버하는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260)을 형성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260)은 반도체층(206N)과 반도체층(206P)의 중간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2602)를 가지고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제2 게이트 절연층(218)을 상기 얻어진 구조에 침적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218)은 예를 들면 질화 실리콘 재료층일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220)을 제2 게이트 절연층(218)에 침적한다. 게이트 금속층에는 통상적으로 몰리브덴, 알루미늄, 알루미늄-니켈 합금, 몰리브덴-텅스텐 합금, 크롬 또는 동 등 금속을 사용한다. 상기 몇 가지 재료 박막의 조합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예시 실시 형태에서는 Mo를 게이트 금속층(220)으로 사용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218)과 게이트 금속층(220)은 포토 레지스트 패턴(260)의 상면 및 개구(2602) 내부에 위치하는 측벽표면을 커버한다.
도8을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층(262)을 상기 얻어진 구조에 도포하고 베이크한다. 포토 레지스트층(262)은 개구(2602)를 충전하고 게이트 금속층(220)의 상부를 커버한다.
도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회분화(ashing) 공정을 통해 포토 레지스트층(262)의 일 부분을 제거하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을 개구(2602) 내부에 남긴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의 정 상부 표면은 게이트 금속층(220)의 정 상부 표면보다 낮아야 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의 정 상부 표면이 게이트 금속층(220)의 정 상부 표면보다 높을 경우, 그 후의 웨트 에칭으로 게이트 금속층(220)의 일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게이트 금속층 위에 포토 레지스트가 존재하므로 웨트 에칭으로 게이트 금속층을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게이트 금속층(220)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금속 패턴(220a)을 형성한다. 게이트 금속 패턴(220a)의 노출된 상면은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의 하면에 위치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220a)의 상면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도11을 참조하면 웨트 에칭을 통해 제2 게이트 절연층(218)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foot)(218a)를 형성한다.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의 노출된 상면은 게이트 금속 패턴(220a)의 하면에 위치한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의 상면보다 높다. 즉,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218a)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12를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게이트 금속 패턴(220a)을 2차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220b)을 얻는다. 게이트 전극(220b)의 폭은 채널 영역의 폭과 대응된다. 게이트 전극(220b)의 아래에 위치한 반도체 영역이 바로 채널 영역이다.
그 다음 포토 레지스트 패턴(260)과 포토 레지스트 패턴(262a)을 박리시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절연층이 손실되지 않은 구조를 얻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링부분을 참조하면 산화 실리콘의 손실이 없다.
계속하여 도14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220b)과 질화 실리콘 푸트(218a)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를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어 P, As등 도펀트를 사용하여 NMOS반도체층에 대하여 자기정렬방식으로 N-도핑을 진행하여, NMOS TFT의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Nd, 206Ne)을 얻는다.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Nd, 206Ne)은 채널 영역에 인접한다. 동시에, 도핑농도가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Nd, 206Ne)보다 낮은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Nf, 206Ng)도 얻을 수 있다.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Nf, 206Ng)과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Nd, 206Ne)이 인접하여 직렬식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얻어진 구조위에 포토 레지스트를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224)를을 형성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224)은 PMOS영역을 노출시키고 NMOS영역을 커버한다. 게이트 전극(220b)과 질화 실리콘 푸트(218a)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를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어 BF3와 같은 P형 도펀트를 PMOS TFT 반도체층에 이온주입하여 PMOS TFT의 소스 영역(206Pa)과 드레인 영역(206Pa, 206Pb)을 형성한다. 질화 실리콘 푸트의 구조에 의해 당해 공정에서는 P형 저 도핑 드레인 영역(206Pd, 206Pe), 및 도핑농도가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Pd, 206Pe)보다 낮은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Pf, 206Pg)을 자기정렬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Pd, 206Pe)과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LDD)(206Pf, 206Pg)이 인접하여 직렬식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220b)의 아래에 위치한 반도체 영역이 바로 채널 영역이다.
계속하여, 상기 얻어진 구조에 대하여 후속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후속공정은 일반적인 공정과 유사하며 여기서 상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얻어진 구조에 층간유전제층을 형성한다. 층간유전제층에 에칭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에칭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키는 접촉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얻어진 구조에 데이터선층을 침적하여 상기 접촉 구멍을 충전한다. 패터닝을 통해 소스 전극/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을 형성한다. 소스 전극/드레인 전극은 접촉구멍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에 전기적 연결된다. 그 후, 상기 데이터 배선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기타 후속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시 실시 형태에 의하면, SiN에 대한 에칭을 통해 그 가장자리에 돌출부가 형성되게 할 때, 이온주입 공정에서 액티브층에 직렬식 LDD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직렬 LDD는 TFT의 Ioff(셧다운 전류)를 진일보 하강시킬 수 있다.
예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TFT의 AMOLED 배열 기판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가 감소될 수 있고, 누설 전류의 과대로 인한 어셈블리 조작의 불온정, 심지어 실효를 면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우수한 TFT 균일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영상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LTPS-LCD 등 차세대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반대로 본 발명은 당해 특허청구항의 범위의 사상과 범위내에 포함되는 각종 수정과 균등배치를 포괄한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기질, 상기 기질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 상기 반도체층의 중간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 제2 게이트 절연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에 상기 개구를 완전히 충전하지 않게끔 게이트 금속층을 침적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금속층에 제2 포토 레지스트층을 도포하고 베이크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층의 일 부분을 제거하여 정 상부 표면이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정 상부 표면보다 낮게끔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상기 개구 내부에 남기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가장자리의 두께가 기타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및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을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을 상기 반도체층에 이온주입하여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상기 소스 영역/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는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중의 하나는 상기 소스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드레인 영역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가 상기 제1 저 도핑 드레인 영역의 도핑농도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상기 기질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을 커버하는 제1 게이트 절연층, 상기 반도체층의 중간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 제2 게이트 절연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이트 절연층을 커버하게끔 제1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층의 중간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에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의 상면과 상기 개구 내부에 위치한 측벽표면 및 상기 반도체층의 노출표면을 커버하게끔 제2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및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게이트 절연층 푸트를 형성한 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웨트 에칭을 통해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을 2차 에칭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 알루미늄, 알루미늄-니켈 합금, 몰리브덴-텅스텐 합금, 크롬, 동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층은 상기 개구를 완전히 충전하고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정 상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의 노출된 상면은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의 아래에 위치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의 상면과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76654A 2013-06-21 2014-06-23 박막 트랜지스터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조 방법 KR101600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51969.1A CN104241390B (zh) 2013-06-21 2013-06-21 薄膜晶体管和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组件及制造方法
CN201310251969.1 2013-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349A KR20140148349A (ko) 2014-12-31
KR101600475B1 true KR101600475B1 (ko) 2016-03-07

Family

ID=5211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54A KR101600475B1 (ko) 2013-06-21 2014-06-23 박막 트랜지스터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59773B2 (ko)
JP (1) JP5806761B2 (ko)
KR (1) KR101600475B1 (ko)
CN (1) CN104241390B (ko)
TW (1) TWI518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8006B (zh) * 2013-03-29 2015-09-2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调整低温多晶硅晶体管阀值电压的方法
CN104409513A (zh) * 2014-11-05 2015-03-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氧化物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阵列基板
CN104659109B (zh) * 2015-03-20 2017-07-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
CN105789117B (zh) * 2016-03-23 2019-02-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Tft基板的制作方法及制得的tft基板
CN107204376B (zh) * 2017-05-26 2019-12-2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KR102495758B1 (ko) * 2018-08-10 2023-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776A (ja) 2005-05-06 2006-11-16 Seiko Epson Corp 薄膜半導体装置、電子機器、およ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13145A (ja) 2005-06-30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39043A1 (en) 2010-12-01 2012-06-07 Au Optronics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8808A (en) * 1996-08-14 1997-08-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fabricating polycrystalline silicon thin-film transistor having symmetrical lateral resistors
JP3980156B2 (ja) * 1998-02-26 2007-09-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3483484B2 (ja) * 1998-12-28 2004-01-06 富士通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画像表示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037117B2 (ja) * 2001-02-06 2008-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2001320062A (ja) * 2001-03-21 2001-11-16 Sharp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CN1763975A (zh) * 2004-10-18 2006-04-26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US7397065B2 (en) * 2006-05-02 2008-07-08 Tpo Displays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CN102569412B (zh) * 2010-12-20 2015-0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器件及其制造方法
CN104241389B (zh) * 2013-06-21 2017-09-0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薄膜晶体管和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组件及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776A (ja) 2005-05-06 2006-11-16 Seiko Epson Corp 薄膜半導体装置、電子機器、およ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13145A (ja) 2005-06-30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139043A1 (en) 2010-12-01 2012-06-07 Au Optronics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05753A (ja) 2015-01-08
CN104241390A (zh) 2014-12-24
KR20140148349A (ko) 2014-12-31
US20140374714A1 (en) 2014-12-25
JP5806761B2 (ja) 2015-11-10
US9159773B2 (en) 2015-10-13
TWI518845B (zh) 2016-01-21
CN104241390B (zh) 2017-02-08
TW201501244A (zh)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1492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1600475B1 (ko) 박막 트랜지스터와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셈블리 및 제조 방법
US6995048B2 (en) Thin film transistor and active matrix type display unit production methods therefor
JP4037117B2 (ja) 表示装置
US7709840B2 (en) Bottom gate thin film transistor,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080732B1 (ko) 이중 게이트 구조를 기반으로 한 저온 폴리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TWI548066B (zh) 薄膜電晶體和主動式矩陣有機發光二極體組件及其製造方法
US7572690B2 (en) Method of fabricating CMOS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CMOS TFT fabricated using the same
CN106847703B (zh) 低温多晶硅薄膜晶体管的制造方法和显示装置
US8766264B2 (en) Thin film transistor with concave region in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reof
JP6503459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28461A1 (zh) 薄膜晶体管及阵列基板的制备方法、阵列基板及显示装置
WO2019200824A1 (zh) Ltps tft基板的制作方法及ltps tft基板
KR100811997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한평판표시장치
KR20050042596A (ko) 폴리실리콘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1627933A (zh) 主动元件基板及其制造方法
US10361226B2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display panel
US20200227538A1 (en)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system
KR100441436B1 (ko) 투과율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30132252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67402B1 (ko) 실리콘 결정화 방법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
KR20060028123A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KR20130021285A (ko)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