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648B1 -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48B1
KR101599648B1 KR1020147002719A KR20147002719A KR101599648B1 KR 101599648 B1 KR101599648 B1 KR 101599648B1 KR 1020147002719 A KR1020147002719 A KR 1020147002719A KR 20147002719 A KR20147002719 A KR 20147002719A KR 101599648 B1 KR101599648 B1 KR 10159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foldable
folding
panel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995A (ko
Inventor
알렉스 알. 카예
Original Assignee
알렉스 알. 카예 앤드 프랜시스 카예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5518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996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렉스 알. 카예 앤드 프랜시스 카예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알렉스 알. 카예 앤드 프랜시스 카예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4003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Special W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 172)을 갖는 접이식 보트(130, 170)가 기술된다. 접이식 보트(130, 170)는 접이식 보트(130, 170)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연장될 수 있는 복수의 패널(134, 136)로부터 형성된 접이식 선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패널(134, 136)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널(134, 136)과 연결되어 있다. 접이식 선체는 접혀진 형태와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 172)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134, 136)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 172)과 시트는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접이식 보트는 확장된 형태에서 접이식 선체를 지지하기 위해 팽창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내부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12월 30일자 출원된 미합중국 출원 번호 12/650,340의 일부 계속 출원인, 발명의 명칭이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인 2011년 6월 30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13/174,577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모든 기술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휴대용 보트는 예를 들어, 스포츠맨 등에게 인기가 있다. 많은 이러한 보트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쉽게 수송되며, 이것은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하게 한다. 이러한 보트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인기있는 형태는 예를 들면, 평평한 트랜섬(transom)과 더블-엔드 선체(double-ended hull)를 가진 날카로운 선체를 포함하는 강성 보트(rigid boat)이다. 이러한 강성 보트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알루미늄, 목재, 유리 섬유 등의 공지된 재료의 범위에서 제조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강성 보트는 복수의 가로방향 시트를 포함한다.
다른 인기있는 형태는 접이식 보트이다. 예시적인 접이식 보트는 미합중국 특허 제4,556,009호; 제4,660,499호; 및 제5,524,570호에 기술되어 있다. 많은 기존의 접이식 보트는 접었을 때 혼자서 운반할 수 있을 만큼 가볍다.
또 다른 인기있는 형태는 팽창가능한 보트이다. 기존의 팽창가능한 보트는 팽창가능한 측면 부재와, 팽창가능한 측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시트를 가진다.
휴대용 보트는 계속 필요하기 때문에, 개선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보강 기능을 갖춘 휴대용 보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단순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주요한 키/핵심 요소를 식별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묘사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의 예시로서 단순화된 형태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갖는 접이식 보트가 제공된다. 기술된 보트는 접혀진 선체 형태와 확장된 선체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선체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포함한다. 기술된 보트는 팽창시 확장된 선체 형태에서 선체 패널을 제약하는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개된 보트는 설치시(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확장된 선체 형태에서 선체 패널을 제약하는 하나 이상의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된{예를 들어, 힌지된(hinged)} 솔리드 시트(solid seats)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보트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 주위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추가적인 부력을 분배하는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보트는 접혀진 형태에서는 쉽게 수송할 수 있으면서, 그 크기에 대하여 상당한 용량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기술된 보트는 비교적 경량이며, 종종 보트 트레일러 없이 이송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는 확장된 상태와 시트 표면에서 선체를 모두 안정화시킨다. 선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의 사용은 배치 공정을 단순화하여 보트의 사용자에게 상당한 편의를 제공한다. 선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힌지 부착된 솔리드 시트의 사용은 고속 선체의 배치 공정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측면에서, 보트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접이식 선체와,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를 포함한다. 접이식 선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각 패널은 복수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다. 선체는 접혀진 형태 및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일 때 복수의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팽창 가능하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가요성 다이어프램(flexible diaphragm)을 포함한다.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보트의 제2 단부에 배치된) 각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rear margin)에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콤팩트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선체와 연결된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포함한다. 외부 부재는, 팽창되면,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 주위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를 연장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제거가능한 강성 트랜섬, 또는 선체가 접혀진 형태 일 때 부착된 채로 유지되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한다. 제거가능한 트랜섬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기 위해 탈착될 수 있다. 접이식 트랜섬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강성 트랜섬은 선외 모터(outboard motor)의 설치를 허용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체 패널(hull panels)은 복수의 좌현측 패널(port side panels)과 복수의 우현측 패널(starboard side panel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체 패널은 좌현측 패널, 좌현측 패널과 연결된 좌현 바닥 패널, 좌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 바닥 패널 및 우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측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팽창 내부 부재는 복수의 가로방향 부재를 포함한다. 각 가로방향 부재는 가로방향 부재가 팽창할 때 확장된 형태에서 측면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우현측 패널과 좌현측 패널을 연결할 수 있다. 가로방향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시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팽창 내부 부재는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부재를 포함한다. 세로방향 부재는 복수의 가로방향 부재와 선체 사이에 배치된, 가로방향 부재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배향되고,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해 팽창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는 부착 멤브레인(membranes)을 통해 선체에 연결되어있다. 예를 들어, 좌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은 선체의 좌현측 패널의 상부 에지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은 좌현측 패널 상부 에지 아래의 좌현측 패널과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좌현 외부 부착 부재는 좌현측 패널과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우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은 선체의 우현측 패널의 상부 에지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우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은 우현측 상부 에지 아래의 우현측 패널과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우현 외부 부착 부재는 우현측 패널과 우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내부 팽창가능한 부재와 측면 패널 사이의 연결은 외부의 팽창가능한 부재와 측면 패널 사이의 연결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트는 좌현측 패널과 좌현 외부 부착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구(fastener)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현측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를 연결하는 좌현 내부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트는 우현측 패널과 우현 외부 부착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현측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를 연결하는 우현 내부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보트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접이식 선체,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또는 힌지된 솔리드 시트, 및 선체에 연결되는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포함한다. 접이식 선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각 패널은 복수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다. 선체는 접혀진 형태 및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 가능하다. 외부 부재는 팽창될 때,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 주위를 연장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에 있을 때, 설치시 복수의 패널을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또는 힌지된 솔리드 시트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가요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보트의 제2 단부에 배치된) 각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콤팩트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제거가능한 강성 트랜섬, 또는 선체가 접혀진 형태 일 때 부착한 채로 유지되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한다. 제거가능한 트랜섬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기 위해 탈착될 수 있다. 접이식 트랜섬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강성 트랜섬은 선외 모터의 부착을 허용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제거가능한 또는 힌지된 솔리드 시트를 포함한다. 설치시에, 제거가능한 시트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을 제한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체 패널은 복수의 좌현측 패널과 복수의 우현측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체 패널은 좌현측 패널, 좌현측 패널과 연결된 좌현 바닥 패널, 좌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 바닥 패널 및 우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측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거가능한 또는 힌지된 시트는 시트 보드(seat board)와 지지 스트럿(supporting strut)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거가능한 또는 힌지된 시트는 선체가 확장 상태에 있을 때, 좌현측 패널과 우현측 패널 사이에 걸쳐있는 시트 보드와, 시트 보드와 적어도 하나의 바닥 패널 사이에 걸쳐있는 스트럿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는 부착 멤브레인을 통해 선체에 연결되어있다. 예를 들어, 좌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은 선체의 좌현측 패널의 상부 에지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은 좌현측 패널 상부 에지 아래의 좌현측 패널과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좌현 외부 부착 부재는 좌현측 패널과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우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은 선체의 우현측 패널의 상부 에지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우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은 우현측 상부 에지 아래의 우현측 패널과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우현 외부 부착 부재는 우현측 패널과 우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거가능한 또는 힌지된 시트와 측면 패널 사이의 연결은 외부의 팽창가능한 부재와 측면 패널 사이의 연결과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트는 좌현측 패널과 좌현 외부 부착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현측 패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시트를 연결하는 좌현 내부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트는 우현측 패널과 우현 외부 부착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현측 패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시트를 연결하는 우현 내부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보트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접이식 선체와, 복수의 가로방향의 팽창가능한 부재와, 팽창가능한 길이 부재와,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포함한다. 접이식 선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각 패널은 복수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다. 선체는 접혀진 형태 및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패널은 좌현측 패널과 우현측 패널을 포함한다.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는 우현측 패널과 좌현측 패널을 연결한다. 각 가로방향 부재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측면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팽창 가능하다. 팽창가능한 길이 부재는 복수의 가로방향 부재와 선체 사이에 배치된, 가로방향 부재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향하고,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해 팽창될 수 있다.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는 선체에 연결되어, 외부 부재는 선체가 팽창되면,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를 연장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보트의 제2 단부에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트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보트의 제2 단부에서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부착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강성 트랜섬을 포함할 수 있고,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콤팩트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가요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고,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보트의 제2 단부에 방수 장벽을 제공한다. 보트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보트의 제2 단부에서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부착되어 유지되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트랜섬을 갖는 접이식 보트가 또한 제공된다. 기술된 보트는 선체가 접혀진 형태와 선체가 확장된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선체 패널과,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는 접이식 트랜섬을 포함한다. 접이식 트랜섬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선체에 부착 한 채로 유지되고, 이것은 보트가 접혀진 형태에서 확장한 형태로 재구성하고, 그 반대로도 재구성되어 공정을 단순화하게 한다.
따라서, 다른 측면에서, 보트는 접이식 선체 및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한다. 접이식 선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진다. 선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각 패널은 다른 패널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다. 선체는 접혀진 형태 및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가능하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한다. 그리고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인 경우에는 선체에 부착한 채로 유지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단일 섹션 트랜섬으로,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선체에 부착한 채로 유지되는 제1 단부와,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할 때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고정하기 위해 선체에 탈착 가능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섹션의 일례로서,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별도의 제1 및 제2 섹션을 포함 수 있고, 제1 및 제2 섹션으로,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되게 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면서,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고정하기 위해 제2 섹션에 부착 가능하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접이식 선체의 좌현 및 우현 패널과 강성 트랜섬과 상호 접속한다. 예를 들어,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각각 좌현 및 우현측 패널과 상호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좌현측 표면 및 우현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선체에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좌현 및 우현측 패널은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상호 접속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트는 공통 힌지 라인(common hinge line)을 갖는 하나 이상의 힌지를 포함하고, 공통 힌지 라인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트랜섬의 좌현 및 우현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힌지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선체에 연결되어 유지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공통 힌지 라인을 갖는 하나 이상의 힌지를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힌지는 선체가 접혀진 형태의 경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선체에 연결되어 유지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패널의 적어도 두개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제한되도록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정된 양으로 선체에 대해 공통 힌지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정된 양으로 공통 힌지 라인을 따르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이동 능력은 이동의 예정된 양을 허락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힌지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힌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힌지와, 제3 부재 및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4 부재는 선체 또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및 제3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및 제4 부재는 선체에 대하여 공통 힌지 라인을 따르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예정된 이동 양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및 제3 부재로부터 옵셋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할 때, 강성 트랜섬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해제가능한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해제가능한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배향된 유지 핀(retaining pins)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해제가능한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재구성될 수 있는 래치 부재(latch members)를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그 사이를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재구성될 수 있는 래치 부재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재구성될 수 있는 래치 부재는 선체에 연결될 수 있고,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할 때,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슬롯에 인접하여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각 패널은 보트의 제2 단부에 배치된 후방 가장자리를 가지며, 접이식 선체는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와 연결된 가요성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콤팩트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선외 모터를 위한 지지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모터 마운트(motor mount)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모터 마운트는, 모터 마운트가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연결되는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일 부분은 모터 마운트와 접이식 강성 트랜섬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 마운트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및/또는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보트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보트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를 제한하기 위해 팽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트는 외부 부재가, 팽창되어 있을 때,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를 연장하기 위해, 선체와 연결된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부재는 선체의 패널을 제한하는 복수의 가로방향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보트는 좌현측 채널과, 좌현측 패널과 연결된 좌현 바닥 패널과, 좌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 바닥 패널과, 우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측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로방향 부재는 좌현측 채널을 우현측 패널에 연결할 수 있어 가로방향 부재가 팽창되면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측면 패널을 제한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로방향 부재는 시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부재는 세로방향 부재를 포함한다. 세로방향 부재는 가로방향 부재에 대해 횡단하게 배향될 수 있고, 가로방향 부재와 선체 사이에 배치된다. 세로방향 부재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팽창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접이식 보트 선체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접이식 보트 선체를 접혀진 형태에서 확장된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와, 선체에 대하여 강성 트랜섬을 배치된 형태로 회전시키는 단계로서, 강성 트랜섬이 선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고, 강성 트랜섬이 선체가 접혀진 형태에 있을 때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회전시키는 단계와, 강성 트랜섬을 배치된 형태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및 팽창된 형태에서 팽창가능한 부재를 갖는 접이식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와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외부 팽창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별도로 도시하는, 도 1의 접이식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와 제거가능한 트랜섬 부재를 도시하는, 도 1의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 1의 보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측면 패널을 갖는 가로방향의 팽창가능한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부착된 멤브레인을 도시하는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보트의 가로방향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와 도 1의 보트의 측면 패널을 갖는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의 연결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와 비 팽창 제거가능한 시트를 갖는 접이식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와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별도로 도시하는, 도 8의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혀진 상태에서 도 1의 접이식 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보트에 대한 팽창 공정 중에 제1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의 팽창과, 제거가능한 트랜섬의 설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Oc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보트에 대한 팽창 공정 중에 제2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의 팽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d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보트에 대한 팽창 공정 중에 제3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의 팽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e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보트에 대한 팽창 공정 중에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부재의 팽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f 내지 10h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보트에 대한 팽창 공정 중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의 팽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비-시트 위치에서 우현측 패널에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 위치에서 우현측 패널에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를 도시하며, 팽창가능한 외부 튜브의 상부 측을 좌현측 및 우현측 선체 패널과 연결하는 우현측 및 좌현측 볼트 로프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를 도시하며, 팽창가능한 외부 튜브의 바닥 측을 좌현측 및 우현측 선체 패널과 연결하는 우현측 및 좌현측 하부 튜브 플랩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5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하부 튜브 플랩과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 부착 플랩을 선체 패널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부착 판을 도시한다.
도 16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좌현측 볼트 로프와 연결하기 위한 좌현측 선체 패널 상의 부착 돌출부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7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에 대한 마찰을 회피하기 위해 트림된 현연 부재(gunwale members)를 도시한다.
도 18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보트의 선미 단부에 대하여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위치화를 도시한다.
도 19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볼트 로프와 선체 패널 사이의 연결의 선미 단부에서 아이 볼트와 그로밋(grommet)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0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하부 튜브 플랩과 선체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판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1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하부 튜브 플랩과 선체 패널 사이의 비-가로방향 부재의 부착 위치에서 펜더 와셔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2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설치 중에 팽창가능한 내부 가로방향 부재를 배향하기 위해 사용되는 팽창가능한 내부 가로방향 부재상의 심(seam)을 도시한다.
도 23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내부 가로방향 부재와 선체 패널 사이의 연결을 도시한다.
도 24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선체의 좌현측 패널 사이의 좌현측 해제가능한 연결을 도시하는, 접이식 선체와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하는 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24의 보트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접이식 선체의 우현측 패널 사이의 우현측 연결을 도시한다.
도 27은 도 24의 좌현측 해제가능한 연결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좌현과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우현 섹션 사이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도시하는, 접이식 선체와 두 개의 섹션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하는 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두 개의 섹션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접이식 선체의 좌현측 패널 사이의 좌현측 연결을 도시하는, 접이식 선체와 선체 형태를 갖는 접이식 경질 트랜섬을 포함하는 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30의 보트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접이식 선체의 우현측 패널 사이의 우현측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도시한다.
도 32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해제가능한 커넥터를 통해 고정된 접이식 선체와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하는 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접이식 선체와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의 패널에 대하여 도 32의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고정하기 위한 래치 부재의 재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를 확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구성과 설명이 실시 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상세함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잘 알려진 특징은 설명되는 실시예가 불명료하게 되지 않도록 생략 또는 간소화될 수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을 통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는 강성, 반 강성 또는 가요성 선체 패널과, 하나 이상의 내부 및/또는 외부 팽창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선체를 가진 보트이다. 선체는 보관 형태로 접혀지거나 또는 접어지게 되며, 사용시에 확장되는, 솔리드 형태의 선체이다. 외부 팽창가능한 부재는 보트의 현연(gunwale)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요성 튜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약간 날카로운 선수(12)와 평면의 선미(14)를 가지고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접이식 선체(16), 세 개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내부 부재(20), 외부 조립체(22) 및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을 포함한다.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이식 선체(16)를 지지하는 내부 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승객용 시트를 제공한다.
도 2는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의 레스트(rest)로부터 분리된 외부 조립체(22)를 보여준다. 외부 조립체(22)는 튜브 형태이며 선체(16)의 주변부를 둘러싸게 구성된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를 포함한다. 외부 조립체(22)는 좌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28),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30), 우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32) 및 우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34)을 포함한다. 부착 멤브레인(28, 30, 32, 34)은 접이식 선체(16)에 외부 조립체(22)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조립체(22)는 또한 선수에서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에 부착된 선수 멤브레인(36)을 포함한다.
접이식 선체(16)는 선수(12)와 선미(14)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호 연결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패널은 강성, 반 강성 또는 가요성일 수 있다. 패널은 접혀진 형태와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확장된 형태일 때, 선체(16)는 방수 보트의 비 팽창 구조 부분을 형성한다. 반면 임의의 수효의 패널이 사용될 때, 선체(16)는 4 개의 패널을 포함한다.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되듯이, 선체(16)는 한 쌍의 상호연결된 하부 또는 바닥 패널과 각각의 바닥 또는 바닥 패널과 연결된 한 쌍의 측면 패널을 포함한다. 선체(16)는 가요성 또는 굴곡가능한 다이어프램 또는 패널의 선미 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가요성 트랜섬을 포함하여,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이식 선체의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특허 제5,524,570호에 기술되어 있고, 그 모든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병합된다. 여기에 제공된 상세한 내용은 접이식 선체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다른 많은 접이식 구성이 강성, 반 강성, 가요성, 및/또는 다른 힌지되고, 구부리고, 접고 또는 다른 움직임을 부여하는 다른 솔리드 부품을 갖고 사용될 수 있어, 접이식 상태 및 확장 상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블-엔드 확장 형태(double-ended expanded configuration)를 갖는 접이식 선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는 각각 좌현 내부 부착 부재(42) 및 우현 내부 부착 부재(44)를 통해 좌현측 패널(38)과 우현측 패널(40)에 연결되어 있다. 팽창하면, 각각의 가로방향 부재(18)는 측면 패널(38, 40) 사이에 컬럼 지지(column support)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확장된 형태에서 접이식 선체(16)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가로방향 부재(18)는 또한 그 상호 연결 라인을 따라 바닥 패널에 대해 수직 제한을 제공하기 위해 접이식 선체(16)의 바닥 패널과 접속하도록 위치되는,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내부 부재(20)에 대한 상부 제한의 역할을 한다. 가로방향 부재(18)는 세로방향 부재(20)에서 내부 부착 부재(42, 44)를 통해 측면 패널(38, 40) 안으로의 수직 하중에 반응한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선수와 선미 부품을 포함한다. 선수 패널 단부 커버(46)는 선체 패널의 선수 단부에 설치되어, 선체 패널의 선수 단부와 외부 조립체(22) 사이의 접촉과 상대 운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 손상으로부터 외부 조립체(22)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이 그 장착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다양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용접된 금속 조립체 등과 같은 단일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이식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선체 패널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제거가능한 트랜섬(24)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측면 패널(38, 40)의 하나와 접속하는 트랜섬(24)의 에지를 따라 배치된 힌지를 통해 트랜섬(24)을 측면 패널(38, 40)에 부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외부 조립체(22), 접이식 선체(16),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내부 부재(20), 선수 패널 단부 커버(46), 제거가능한 트랜섬(24) 및 좌현 내부 부착 부재(42)를 별도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내부 부재(20)는 하나 이상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단순히 삽입되어 가로방향 부재(18)와 접이식 선체(16) 사이의 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접이식 선체(16)는 좌현측 패널(38), 선수(12)와 선미(14)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부(50)를 따라 좌현측 패널(38)에 연결된 좌현 바닥 패널(48), 선수(12)와 선미(14)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부(54)를 따라 좌현 바닥 패널(48)에 연결된 우현 바닥 패널(52), 선수(12)와 선미(14)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부(56)를 따라 우현 바닥 패널(52)에 연결된 우현측 패널(40)을 포함한다. 접이식 선체(16)는 또한 선체(16)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하기 위해 선체 패널(38, 48, 52, 40)의 선미 단부에 부착되는 선미(14)에서 가요성 다이어프램(58)을 포함한다. 가요성 다이어프램(58)은 선체(16)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컴팩트 한 구성을 가지게 구성되고, 선체(16)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에 도시됨).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선체(16)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선체 패널(38, 48, 52, 40)(패널 뒤쪽 가장자리)의 선미 단부를 제한하기 위해 접이식 선체(16)에 삽입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접이식 선체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미합중국 특허 제5,524,570호에 기술되어 있는 선체 패널의 표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긴 부재(elongated members)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에 끼워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또한 제거가능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패널 뒤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가요성 다이어프램(58)과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을 모두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이러한 부품은 모두 적절한 비율(예를 들어, 제거가능한 방수 트랜섬, 팽창가능한 트랜섬, 제거가능한 트랜섬이 없는 가요성 다이어프램, 접이식 강성 트랜섬)로 대체가능하다.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임의의 적절한 솔리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 4는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의 평면도이고,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 및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부재(20)의 내부 레이아웃을 보여준다. 각각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는 좌현 내부 부착 부재(42)를 통해 좌현측 패널(38)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는 우현 내부 부착 부재(44)를 통해 우현측 패널(40)에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 중 하나의 단부를 도시한다. 측면 부착 멤브레인(62)은 각각의 가로방향 부재(18)의 각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측면 부착 멤브레인(62)은 측면 부착 멤브레인(62)의 단부 부분에서 가로방향 부재(18)의 단부에 부착된(예를 들어, 접착된) 직사각형의 멤브레인이 될 수 있다. 부착 멤브레인(62)의 길이는 부착 멤브레인(62)이 도 5에 도시된 설치 형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의 단면 6-6(도 4에 정의된 바와 같은)을 나타낸다. 이 단면 6-6은 접이식 선체(16),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 중 하나, 팽창가능한 길이 부재(20), 및 외부 조립체(22)를 나타내고 있다.
접이식 선체(16)는 좌현측 패널(38), 선수(12)와 선미(14)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부(50)를 따라 좌현측 패널(38)에 연결된 좌현 바닥 패널(48), 선수(12)와 선미(14)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부(54)를 따라 좌현 바닥 패널(48)에 연결된 우현 바닥 패널(52), 선수(12)와 선미(14)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부(56)를 따라 우현 바닥 패널(52)에 연결된 우현측 패널(40)을 포함한다. 연결부(50, 54, 56)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5,524,57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선체 패널은 어떤 상당한 손상을 받지 않고 여러 번 접혀지고 펴질 수 있는 능력을 가져 유익한,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코폴리머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선체 패널은 또한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할 수 있지만, 이들은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재료만큼 효율적이거나 강하지 않다. 네오프렌 또는 기타 유사한 재료가 연결부(50, 54, 56)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동일한 특성을 갖지 않는다.
각각의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는 확장된 상태에서 접이식 선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로방향 부재(18)는, 팽창되었을 때, 좌현측 패널(38)과 우현측 패널(40) 사이에 컬럼 지지를 제공하여, 접이식 선체(16)의 확장된 형태에서 측면 패널(38, 40) 사이에서 분리되어 유지된다. 또한 각 가로방향 부재(18)는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부재(20)를 아래로 밀고, 또한 접이식 선체(16)의 확장된 형태를 유지하는 데 더욱 도움을 주기 위해 그들의 상호 연결부(54)를 따라 바닥 패널(48, 52)을 민다. 각 가로방향 부재(18)는 측면 부착 멤브레인 (62)과 좌현 내부 부착 부재(42)를 통해, 세로방향 부재(20)로부터 좌현측 패널(38)로, 그리고 측면 부착 멤브레인(62)과 우현 내부 부착 부재(44)를 통해 측면 부착 패널(40)로의 상승 부하에 반응한다.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부재(20)는 그 상호 연결부(54)를 따라 바닥 패널(48, 52)을 계속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세로방향 부재(20)에 발생하는 상승 부하는 가로방향 부재(18)와 반응한다.
도 7은 접이식 선체(16)와 외부 조립체(22)의 연결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접이식 선체(16)와 가로방향 부재(18) 중 하나의 연결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좌현측이 도시되어 있지만, 많은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우현 연결부는 좌현 연결부와 동일하다.
외부 조립체(22)는 좌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28) 및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30)을 통해 접이식 선체(16)의 좌현측과 연결되어 있다. 좌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28)은 좌현측 패널(38)의 좌현 패널 상부 에지(64) 위에 감겨있고, 일련의 부착 체결구(66)(예를 들어, 스테이플)를 이용하여 좌현측 상부 에지(64)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68)는 좌현 상부 부착 멤브레인(28) 및 좌현 상부 에지(64) 사이의 연결을 통해 설치되고, 좌현 상부 에지(64)를 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접이식 선체(16)를 위한 좌현 현연을 형성한다.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30)은 좌현 외부 부착 부재(70)와 일련의 부착 체결구(72)(예를 들어, 리벳)를 통해 좌현측 패널 상부 에지(64) 아래의 좌현측 패널(38)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부재(18)와 좌현측 패널(38) 사이의 부착은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30)과 좌현측 패널(38) 사이의 연결과 일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가로방향 부재(18) 내로 직접 하중 경로를 제공하여 좌현 하부 부착 멤브레인(30)에 의해 좌현측 패널(38)에 부여된 부하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또한 공통 부착 체결구(72)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가로방향 부재(18)는 측면 부착 멤브레인(62)을 통해 좌현측 패널(38)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착 멤브레인(62)은 좌현 내부 부착 멤브레인(42)을 통해 측면 패널(38)에 접혀서 클램프된다. 도시된 접혀진 형태는 좌현 내부 부착 부재(42)와 가로방향 부재(18) 사이에서 측면 부착 멤브레인(62)의 부분을 위치시키고, 이것은 가로방향 부재(18)를 좌현 내부 부착 부재(42)와의 접촉 및 상대 운동으로부터의 마찰 손상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
비 팽창 내부 부재를 갖는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
도 8과 도 9는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를 도시하며,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는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102) 및 확장된 형태에서 접이식 선체(106)를 지지하는 제거가능한 트랜섬(104)을 채용한다. 접이식 선체(106)는 상술한 접이식 선체(16)의 모든 적당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선체는 미합중국 특허 제5,524,570호에 기술된 대로 구성될 수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08)를 포함한다. 외부 조립체(108)는 상술한 외부 조립체(22)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외부 조립체(22) 및 접이식 선체(16)에 대해 상술한 것과 같은 접이식 선체(106)에 부착될 수 있다.
보트 팽창{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
도 10a는 접혀진 형태의 도 1의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를 나타내고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팽창가능한 부재(18, 20, 26)는 비 팽창 형태로 있고, 측면 패널(38, 40)은 수축된 내부 부재(18, 20) 위에 접힘 되어 있고, 내부 부재(18, 20)는 아래로 접혀진 측면 패널(38, 40)과 바닥 패널(48, 52) 사이에 배치된다. 가요성 다이어프램(58)은 역시 접혀진 형태로 있다. 스트랩(straps)(74)은 접혀진 형태에서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접혀져 있을 때,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또는 상부에서 콤팩트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운반될 수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를 확장하기 위해, 측면 패널(38, 40)은 팽창가능한 내부 부재(18, 2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바닥 패널(48, 52)에 대해 떨어져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팽창은 바닥 패널(48 및 52)에 대해 떨어져서 측면 패널(38, 40)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이 제거된, 접혀진 형태의 보트가 있고,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된 팽창 튜브는 액세스 가능한 위치로 확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패널(38, 40, 48, 52)의 뒤쪽 에지를 넘어}, 여기서 선택된 팽창가능한 부재를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그로 인하여 바닥 패널(48, 52)에 대해 떨어져서 측면 패널(38, 40)을 이동시키게 된다. 하나 이상의 가로방향 팽창가능한 부재(18)는 많은 실시예에서, 바닥 패널(48, 52)에 대하여 떨어져 측면 패널(38, 40)을 이동시키도록 팽창 튜브를 통해 팽창될 수 있는 반면, 팽창가능한 중앙 가로방향 부재(18)는 바닥 패널(48, 52)에 대하여 떨어져 측면 패널(38, 40)을 이동시키도록 팽창한다. 내부 부재(18, 20)의 팽창은 접이식 선체(16)를 확장된 형태로 재구성한다. 특히, 가로방향 부재(18)의 팽창은 확장된 형태에서 측면 패널(38) 사이에서 분리되어 유지되도록, 측면 패널(38, 40) 사이에 컬럼 지지를 제공한다. 도 1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공정은 중앙 가로방향 부재(18)의 팽창과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의 설치와 함께 시작될 수 있다. 다음, 전방 가로방향 부재(18)는 도 10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가로방향 부재(18)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 부재(20)의 팽창은 바닥 패널(48, 52)의 상술한 작동중에 지지를 제공한다. 그 결과, 내부 부재(18, 20)의 팽창은 접이식 선체(16)를 확장된 형태로 작동시키고, 그 후에 접이식 선체(16)를 확장된 형태로 유지시킨다. 외부 팽창가능한 부재(26)는 또한 도 10f 내지 10h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의 팽창중에 팽창된다. 특정 팽창 순서는 도 10a 내지 10h에 도시되는 반면, 내부 부재(18, 20)의 팽창, 외부 부재(26)의 팽창, 및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의 설치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성취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각각의 내부 부재(18, 20)는 별도의 팽창 오리피스 또는 밸브를 통해서 팽창되는 별도의 팽창가능한 부재이다. 도 10f 내지 10h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팽창가능한 부재(26)는 하나 이상의 별도의 확장가능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별도의 팽창 오리피스 또는 밸브를 통해 팽창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팽창 수단은 예를 들어, 핸드 펌프, 전기 펌프, 공기 압축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핸드 펌프에 의해,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는 약 10분 내지 20분 내에 팽창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트랜섬(24)은 또한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의 팽창 중에 장착된다. 임의의 적당한 부착 수단이 많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제거가능한 트랜섬은 제거가능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패널 후방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제거가능한 트랜섬이 많은 실시예에서, 가요성 다이어프램(58)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지만, 트랜섬(24)은 가요성 다이어프램(5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트랜섬(24)은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의 팽창 중에 어느 지점에나 부착될 수 있지만, 팽창된 내부 부재(18, 20)에 의해 공급된 제한에 기인해 내부 부재(18, 20)중 적어도 하나의 팽창 후에 트랜섬(24)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반면, 트랜섬(24)에 의해 공급된 제한에 기인해 트랜섬(24)의 부착 후에 내부 부재(18, 20)를 쉽게 팽창시킬 수 있다.
보트 팽창{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는 비 팽창 형태로 있고, 접이식 선체(106)의 측면 패널은 접이식 선체(106)의 바닥 패널 위에 접혀져 있다. 접이식 선체(106)의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또한 접혀진 형태로 있다. 접혀졌을 때,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또는 상부에서 콤팩트하게,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운반될 수 있다.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를 팽창시키기 위해, 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에 대하여 분리되어 이동되고,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102)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사이에 놓인다. 각각의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102)는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102)의 하부에 고정된 다리 또는 스트럿(미도시)을 포함하고, 아래로 연장되어, 세로방향의 전후 연결부를 따라 바닥 패널 사이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틈에 끼워진다.
제거가능한 트랜섬(104)은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의 팽창 중에 부착된다. 임의의 적절한 부착 수단이 많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제거가능한 트랜섬(104)이 제거가능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패널 후방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제거가능한 트랜섬(104)은 많은 실시예에서 접이식 선체(106)의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지만, 트랜섬(104)은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트랜섬(104)은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의 팽창 중에 어느 지점에나 부착될 수 있지만,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102)에 의해 공급된 제한에 기인해 제거가능한 솔리드 시트(102) 중 적어도 하나의 팽창 후에 트랜섬(24)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는 접이식/팽창가능한 보트(100)의 팽창중에 팽창한다. 외부 부재(26)의 팽창과 제거가능한 시트(102)의 설치는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성취될 수 있다.
제조중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설치
도 11 내지 도 23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의 구성과 설치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11은 비-시트 위치에서(즉, 대응하는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가 없는 위치에서)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와 우현측 패널(40)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의 상부는 부착 돌출부(112)와 볼트 로프(bolt rope)(114)를 통해 우현측 패널(40)에 부착되어 있다. 볼트 로프(114)는 부착 돌출부(112)와 멤브레인에 의해 활주식으로 수용된 에지 로프(edge rope)를 포함하고,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의 상부와 에지 로프를 연결한다.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의 바닥 단부에서, 하부 튜브 플랩(116)은 우현측 패널(40)과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플레이트(118)와 볼트(120)는 우현측 패널(40)에 하부 튜브 플랩(116)을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펜더 와셔(fender washer)(122)는 우현측 패널(40)의 영역 상에 볼트(120)의 클램핑 힘을 분배하기 위해 우현측 패널(40)의 내부 측면에서 사용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2 개의 볼트(120)는 접이식 선체에 각각의 하부 튜브 플랩(116)을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는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 및 시트 위치의 우현측 패널(40) 사이의 연결(예를 들면, 대응하는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의 위치에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의 상세함은 도 11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지만, 펜더 와셔(122)가 우현측 패널(40)과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18)의 부착 플랩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부착 플레이트(118)로 대체되어 있다.
도 13과 도 14는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의 부착 특성의 구성을 나타낸다. 접이식 선체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의 상부 단부를 부착하기 위해, 좌현측과 우현측 볼트 로프는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선미에 바로 인접한 곳으로부터,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의 선수 단부 뒤의 위치로 연장한다. 접이식 선체에 팽창가능한 외부 부재(26)의 하부 단부를 부착하기 위해, 4 개의 좌현측 하부 튜브와 4 개의 우현측 하부 플랩이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되어 있다. 좌현측과 우현측 하부 플랩은 선미 플랩(stern flap), 시트 플랩(seat flap), 및 선수 플랩(bow flap)을 포함한다.
도 15는 부착 플레이트(118)를 도시하고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부착 플레이트(118)는 5인치 만큼 분리된 2 개의 부착 구멍을 가지는 2인치 곱하기 8인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이다.
도 16은 좌현측 패널(38)에 있는 부착 돌출부(112)의 위치를 도시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접이식 선체에 대한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의 부착은 부착 돌출부(112)가 접이식 선체의 좌현과 우현측에 설치되어 시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착 돌출부(112)는 접이식 선체의 전방 에지로부터 4인치에서, 접이식 선체의 선미 에지로부터 16과 1/2 인치만큼 연장한다. 돌출부(112)는 각 단부로부터 1 인치에서 시작하여 대략 매 4 인치 정도 접이식 선체에 리벳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리벳은 그 제조된 헤드를 선체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배향되어 있다. 사용되는 리벳 길이는 리벳이나 볼트 로프(114) 사이의 임의의 잠재적인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7은 접이식 선체의 현연 부재가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의 후방에 대한 잠재적인 마찰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트리밍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의 후방이 마찰 손상에 대해 강화되어 있고, 현연 부재의 도시된 단부 트림은 이러한 마찰 손상을 회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
부착 돌출부(112)가 접이식 선체와 현연 부재의 트리밍에 부착된 후에, 부착 돌출부(112)는 부착 돌출부(112) 내로 좌현측 및 우현측 볼트 로프를 설치하기 전에 예를 들어, 비누와 물 또는 상업적 윤활제로 윤활될 수 있다. 부착 돌출부(112) 내로 볼트 로프(114)를 설치하는 것은 접이식 선체의 선수에서 시작하여, 선미 하부 튜브 플랩(116)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선체의 선미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까지, 접이식 선체의 선미를 향해 진행한다. 부착 돌출부(112) 내로 볼트 로프(114)를 설치하는 것은 예를 들어, 선체의 한 측면에서 부착 돌출부(112)를 따라 볼트 로프의 길이의 약 1/2을 활주하여 시작되고, 다른 볼트 로프(114)를 설치하도록 스위칭하여 성취될 수 있다.
도 19는 또한 접이식 선체에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를 더욱 고정하기 위한 아이 볼트(eye bolt)와 그로밋(grommet)의 사용을 도시한다. 좌현측 및 우현 구멍(즉, 1/4 인치 아이 볼트 용)이 접이식 선체에 뚫릴 수 있고, 펜더 와셔(도시 없음)는 좌현측 및 우현측 선체 패널의 해당 영역에 임의의 클램프 힘을 분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그로밋은 볼트 로프(114)의 선미 단부에서 좌현측 및 우현측 볼트 로프(114)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볼트 로프(114)의 멤브레인에 부착된다. 이들 좌현측과 우현측 아이 볼트 연결은 볼트 로프(114)가 부착 돌출부(112)로부터 활주하는 것을 방지한다.
팽창가능한 외부 조립체(110)가 정확히 전/후 위치에 있을 때, 하부 튜브 플랩(116)에 미리 설치된 구멍은 접이식 선체에서 대응하는 맞물림 구멍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의 수직 위치는 부착 플레이트(118)를 사용하여 선체에 대하여 하부 튜브 플랩(116)을 가압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인 구멍의 수직 위치는 예를 들면, 부착 돌출부(112)의 중앙선으로부터 대략 8과 2분의 1인치 만큼, 부착 돌출부(112)로부터 예상된 분리와 비교될 수 있다. 중앙의 2 개의 플랩에 대한 구멍은 또한 시트 부착 플랩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어, 시트 부착 플랩의 부착에 대해 이러한 위치의 적합성이 선체 패널에 구멍을 뚫기 전에 검증될 수 있다. 이들 구멍은 예를 들어, 4분의 1인치의 볼트에 대한 틈새 구멍의 크기(예를 들어, 16분의 5 인치 직경, 8분의 3 인치 직경)가 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각각의 하부 튜브 플랩(116)과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의 각각의 부착 플랩은 부착 플레이트(118)에 의해 접이식 선체에 부착되어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부착 플레이트(118)는 산화에 대한 내성을 위한 블랙 양극산화된 알루미늄 플레이트이다. 선수와 선미 하부 튜브 플랩(116)의 경우, 부착 볼트(120)는 부착 플레이트(118) 내의 구멍을 통해, 하부 튜브 플랩(116)의 구멍을 통해, 선체 패널의 구멍을 통해, 그리고 펜더 와셔(112)를 통해,(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와 함께 부착되고, 자기-잠금 너트로 고정된다. 두 개의 중앙 하부 튜브 플랩(116)에 있어서, 대응하는 수축된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는 각각의 하부 튜브 플랩(116)과 마주하고 배향될 수 있어,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부재(18) 내의 심(seam)(도 22에 도시됨)이 접이식 선체와 마주한다. 부착 플레이트(118) 중 하나는 선체 내의 구멍과 시트 플랩 내의 구멍을 정렬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설치된 일정한 와셔를 갖는 부착 볼트(120)는 이들 구멍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도 23에 도시된 구성이 된다). 선체 패널의 외부 측면에서, 하부 튜브 플랩(116)은 볼트 위에 놓일 수 있고, 부착 플레이트(118)는 하부 튜브 플랩(116) 위에 놓일 수 있고, 일정한 와셔와 자기-잠금 너트와 고정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스테인리스 육각 머리 볼트는 부착 볼트(120)로서 사용되고, 그 길이는 외부 팽창가능한 조립체(110)의 가능한 마찰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너트를 지나는 볼트의 초과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접이식 트랜섬
도 24 내지 도 34는 접이식 선체를 가지는 보트와 연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많은 실시예에서,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되고,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접이식 선체의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약하기 위해 배치된 형태로 회전하며, 그로 인하여 보트가 접혀진 상태에서 확장한 형태로 재구성되고, 그 반대로도 되어, 그 공정을 간단하게 한다.
도 24는 확장된 형태로 있는 접이식 보트(130)를 도시하고 있다. 보트(130)는 접이식 선체 및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을 포함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은 접이식 선체의 우현측 패널(134)에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배치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트랜섬(132)은 접이식 선체의 좌현측 패널(136)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현측 패널(136)과 트랜섬(132) 사이의 연결은 좌현 및 우현측 패널(136, 134)에 대하여 트랜섬을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배치된 형태에서,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은 선체가 확장된 형태일 때, 좌현 및 우현측 패널(136, 134)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한다. 그리고 보트가 접혀진 상태일 때,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은 측면 패널과 접이식 선체 바닥 패널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은 트랜섬 부재(138)와 관절식 모터 마운트(140)를 포함한다. 모터 마운트(140)는 트랜섬 부재(138)에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 마운트(140)는 상승된 형태로 놓일 수 있고, 이것은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이 그 배치된 형태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들어갈 때, 접이식 선체의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와 연결된 (예를 들어, 도 3의 가요성 다이어프램(58)처럼) 가요성 다이어프램과의 간섭을 회피한다. 일단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이 그 배치 형태에 도달하면, 모터 마운트(140)는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모터 마운트(140)와 트랜섬 부재(138) 사이의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일 부분을 트래핑하게 된다.
도 25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의 상세함과,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과 접이식 선체의 좌현 및 우현측 패널 간의 연결을 나타내고 있다. 트랜섬 부재(138)는 강성이고, 가로방향 플랫 웹(142), 웹(142)에 부착된 좌현 및 우현측 플랜지(144, 146), 웹(142)에 부착된 가로방향 플랜지(148, 150), 및 측면 플랜지(144, 146)를 포함한다. 트랜섬 부재(138)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예를 들면, 5000 또는 6000 계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적절한 알루미늄 합금, 적절한 스테인리스 스틸, 적절한 합성 물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트랜섬 부재(138)는 용접 조립체 및/또는 빌트-업(built-up) 조립체(예를 들면, 웹에 고정 및/또는 용접된 별도의 강성 요소)로서 제작될 수 있다.
트랜섬 부재(138)는 선체의 확장된 형태와 일치되는 접이식 선체의 좌현과 우현측의 패널 사이에서 소정의 분리를 유지하는 강성 컬럼을 제공한다. 확장된 형태에서,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태를 취함으로써, 좌현과 우현측의 패널을 제한하는 데 도움을 주고, 따라서 각각 트랜섬 부재(138)와 접이식 선체의 좌현 및 측면 패널 사이의 접촉을 유지한다. 좌현측 플랜지(144)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좌현측 패널(136)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좌현측 표면(152)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우현측 플랜지(146)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에 있을 때 우현측 패널(134)과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우현측 표면(154)을 제공한다.
트랜섬 부재(138)는 제1 힌지(156) 및 제2 힌지(158)를 통해 우현측 패널(134)과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힌지(156, 158)는 공통 힌지 라인(160)을 제공하고, 이에 대하여 트랜섬 부재(138)가 우현측 패널(134)에 대해 회전한다. 제1 힌지(156)는 우현측 패널(134)에 부착된 제1 부재(156a)와 우현측 플랜지(146)에 부착된 제2 부재(156b)를 포함한다. 제2 힌지(158)는 우현측 패널(134)에 부착된 제3 부재(158a)와 우현측 플랜지(146)에 부착된 제4 부재(158b)를 포함한다. 제1 부재(156a)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2 부재(156b)에 의해 수납되는 힌지 핀을 가진다. 제3 부재(158a)는 위쪽으로 뻗어 있으며, 제4 부재(158b)에 의해 수납되는 힌지 핀을 가진다. 제2 부재와 제4 부재(156b, 158b)는 제1 부재(156a)와 제3 부재(158a) 사이에서 걸려서,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트랜섬 부재(138)가 우현측 패널(134)에 부착되어 유지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부재와 제4 부재(156b, 158b)는 우현측 패널(134)에 부착되어 있고, 제1 부재(156a)와 제3 부재(158a)는 우현측 플랜지(146)에 부착되어 있다.
트랜섬 부재(138)는 탈착 가능한 커넥터로서 작용하는, 제3 힌지(162)와 제4 힌지(164)를 통해 좌현측 패널(136)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힌지(162)는 제5 부재(162a)와 제6 부재(16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4 힌지(164)는 제7 부재(164a)와 제8 부재(164b)를 포함한다. 제5 부재(162a)와 제7 부재(164a)는 좌현측 패널(136)에 부착되어 있고, 각각 위쪽으로 뻗어 있고 제6 부재(162b)와 제8 부재(164b)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는 힌지 핀을 포함한다.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재구성될 때, 트랜섬 부재는 그 전개 위치에서 회전되고, 제6 부재(162b) 및 제8 부재(164b)가 제5 부재(162a) 및 제7 부재(164a)의 힌지핀과 맞물리고 수납되게 조작된다. 도 27은 또한 접이식 강성 트랜섬(132)의 부품과, 트랜섬 부재(138)와 좌현측 패널(136) 사이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더 도시하는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26은 제1 및 제2 힌지(156, 158)가 공통 힌지 라인(160)을 따라 트랜섬 부재(138)를 소정 양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의 제2 부재(156b)는 제1 힌지의 제1 부재(156a)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오프셋되고, 따라서 트랜섬 부재(138)가 소정 양만큼 선체에 대해 공통 힌지 라인(16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착을 제공하며, 또한 트랜섬 부재(138)와 우현측 패널(134) 사이에 회전 연결을 제공하여. 선체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부착된 채로 유지되게 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소정 양의 이동은 제6 및 제8 부재(162b, 164b)에 의해 제5 및 제7 부재(162a, 164a)의 힌지 핀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 및 사용되어, 트랜섬 부재(138)가 선체에 대해서 상승하게 하고, 제6 및 제8 부재(162b, 164b)와 함께 제5 및 제7 부재(162a, 164a)의 힌지 핀을 정렬하기 위해 공통 힌지 라인(160) 주변에서 선체에 대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5 및 제7 부재(162a, 164a)의 힌지 핀이 제6 및 제8 부재(162b, 164b) 안으로 삽입되게 한다. 도 27은 제5 및 제7 부재(162a, 164a)의 힌지 핀이 제6 및 제8 부재(162b, 164b)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28과 도 29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와 두 섹션의 접이식 강성 트랜섬(172)을 도시한다. 두 섹션의 접이식 강성 트랜섬(172)은 좌현측 패널(136)에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좌현측 섹션(174)과, 우현측 패널(134)에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우현측 섹션(176)을 포함한다. 좌현측 섹션(174)은 제1 근위 단부(부착 단부) 및 제1 근위 단부와 대향하는 제1 원위 단부(자유 단부)를 가지며,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제1 근위 단부는 좌현측 패널(136)에 연결되어 유지되고, 우현측 섹션(176)은 제2 근위 단부(부착 단부) 및 제2 근위 단부와 대향하는 제2 원위 단부(자유 단부)를 가지며,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제2 근위 단부는 우현측 패널(134)에 연결되어 유지된다. 힌지(178)는 좌현측 섹션(174)을 좌현측 패널(136)에 회전식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그리고 힌지는 마찬가지로 우현측 섹션(176)을 우현측 패널(134)에 회전식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좌현측 섹션(174)은 플랫 웹(180), 플랫 웹(180)에 부착된 좌현측 플랜지(182), 그리고 웹(180)과 좌현측 플랜지(182)에 부착된 두 개의 가로방향 보강재(184, 186)를 포함한다. 우현측 섹션(176)은 플랫 웹(188), 플랫 웹(188)에 부착된 우현측 보강재(190), 그리고 웹(188)과 우현측 보강재(190)에 부착된 두 개의 가로방향 보강재(192, 194)를 포함한다. 두 개의 가로방향 보강재(184, 186)는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좌현측 섹션(174)과 우현측 섹션(176)이 선체 패널에서 제한되도록 위치되면, 두 개의 가로방향 보강재(192, 194)에서 대응하는 긴 구멍(200) 및 슬롯(202)과 정렬하기 위해 위치된 긴 구멍(196) 및 슬롯(198)을 포함한다. 제거가능한 체결구(204)는 좌현 및 우현측 섹션(174, 176)을 서로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좌현측 섹션(174)은 결합 구성부(206)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전술한 모터 마운트(140)와 같은 모터 마운터가 좌현측 섹션(174)에 회전식 및/또는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트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좌현측 섹션(174)과 우현측 섹션(176)은 각각 접이식 선체의 측면과 바닥 패널 사이에서 샌드위치 된다.
도 30과 도 31은 많은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선체와 프레임 구성을 갖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212)을 갖는 보트(210)를 도시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212)은 가로방향 프레임 부재, 좌현측 프레임 부재, 좌현측 중간 프레임 부재, 우현측 중간 부재, 및 우현측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힌지(214)는 좌현측 프레임 부재를 좌현측 패널(136)에 회전식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탈착 가능한 커넥터(216)는 우현측 프레임 부재를 우현측 패널(134)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32, 도 33 및 도 34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와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을 갖는 보트(220)를 도시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은 힌지(224)를 통해 접이식 선체의 우현측 패널(134)과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은 선체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우현측 패널(134)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재구성 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커넥터(226)는 좌현측 패널(136)에 고정식으로 부착한다.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은 배치된 위치 안으로 회전가능하고, 여기서 재구성 가능한 래치 부재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 내의 슬롯(228)을 통해 수용되고, 이를 통해 연장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구성 가능한 래치 부재는 슬롯(228)에 인접한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의 맞물림에 의해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고정시키는 위치 안으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접이식 선체의 패널에 대한 접이식 강성 트랜섬(222)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35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선체를 확장시키기 위한 방법(230)의 단계를 나타낸다. 이 방법(230)은 여기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선체가 접혀진 형태에 있을 때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갖는 임의의 적당한 접이식 보트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접혀진 보트를 접혀진 상태에서 확장된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단계 232)와, 선체가 확장된 상태에서,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배치된 형태로 회전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강성 트랜섬은 선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며, 선체가 접혀진 상태일 때 강성 트랜섬이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회전시키는 단계(단계 234)와, 강성 트랜섬을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단계(단계 236)를 포함한다.
다른 변형들은 본 발명의 정신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및 대안적인 구성이 가능하지만, 특정하게 예시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그러나 기술된 특정 형태 또는 형태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모든 수정, 대안적인 구성 및 등가물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개념에서(특히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의 개념에서) 사용된 용어 "하나(a)" 및 " 하나(an)" 및 "상기(the)" 및 유사한 참조는 여기서 다르게 지시하지 않거나 또는 문맥상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단수와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v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함유하는(containing)"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개방된 용어(open-ended terms){즉, "포함하는(including)" 것을 의미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연결된다(connected)" 라는 용어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범위 값의 열거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여기에 포함되는 각각의 개별 값에 대해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간편한 방법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각각의 개별 값은 여기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여기서 기술된 모든 방법은 달리 명시하지 않거나 분명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예들의 사용, 또는 여기서 제공되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과 같은(such as)}"는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양호하게 하고자 의도된 것이며, 거절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은 전술한 내용을 읽으면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자가 이러한 변형을 적절히 사용하여, 여기서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을 제외한 방법으로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다는 것을 예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법률이 허용하는 한 여기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주제의 모든 수정 사항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더욱이, 그 모든 가능한 변형에 있어서 상술한 요소의 임의의 결합은 달리 나타내거나 또는 개념에 분명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여기서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 간행물, 특허 출원서, 및 특허들은, 각 문헌이 참조로서 개별적이고 특별하게 병합되며, 그 전체가 여기에 기재되어있는 것처럼, 동일한 정도로 참고로서 병합된다.
10 보트 12 선수
14 선미 16 접이식 선체
18 팽창가능한 가로방향 내부 부재 20 팽창가능한 세로방향 내부 부재
24 트랜섬

Claims (23)

  1. 보트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접이식 선체(collapsible hull)로서, 상기 접이식 선체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널과 연결되고, 각각의 패널은 상기 보트의 제2 단부에 배치된 후방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패널은 좌현측 패널 및 우현측 패널을 포함하는 측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선체는 접혀진 형태와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이식 선체는 상기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와 연결된 가요성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상기 보트가 접혀진 형태와 확장된 형태 사이에서 구성될 때 상기 패널의 후방 가장자리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상기 접이식 선체가 접혀진 형태일 때 실질적으로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은,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일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하는, 접이식 선체; 및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분리된 접이식 강성 트랜섬으로서,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상기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내부에 대하여 정렬되는,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상기 접이식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좌현측 패널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제1 근위 단부 및 상기 제1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제1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제1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상기 접이식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우현측 패널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제2 근위 단부 및 상기 제2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제2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제2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상기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고 있을 때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섹션의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제1 원위 단부에서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상기 제1 섹션의 상기 제1 원위 단부에 부착가능한, 보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좌현측 표면과 우현측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좌현측 표면과 상기 우현측 표면은,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패널의 상기 좌현측 패널 및 상기 우현측 패널과 각각 상호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공통 힌지 라인을 갖는 하나 이상의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 힌지 라인은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좌현측 및 우현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힌지는 상기 접이식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 및 상기 접이식 선체와 결합되어 유지되는, 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공통 힌지 라인을 갖는 하나 이상의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힌지는 상기 접이식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 및 상기 접이식 선체와 결합되어 유지되는, 보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상기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는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을 용이하게 구성하기 위해 예정된 양만큼 상기 접이식 선체에 대하여 상기 공통 힌지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보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힌지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힌지; 및
    제3 부재와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및 제4 부재는 상기 접이식 선체 또는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 중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및 제4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제3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4 부재는 상기 접이식 선체에 대하여 상기 공통 힌지 라인을 따라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예정된 이동 양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3 부재로부터 옵셋되어 있는, 보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상기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고 있을 때,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보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배향된 유지 핀을 포함하는, 보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재구성 가능한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보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은 그곳을 통해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재구성 가능한 래치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재구성 가능한 래치 부재는 상기 접이식 선체와 결합되어,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이 상기 패널의 적어도 두 개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고 있을 때,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슬롯에 인접한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맞물리도록 구성가능한, 보트.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선외 모터를 위한 지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터 마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마운트는 모터 마운트가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결합되는,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일 부분은 상기 모터 마운트와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 사이에 배치되는, 보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는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회전식으로 결합되는, 보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트.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접이식 강성 트랜섬과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트.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접이식 선체를 제한하기 위해 팽창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외부 부재가, 팽창되어 있을 때, 상기 접이식 선체의 주변의 적어도 일 부분 주위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접이식 선체와 연결된 팽창 가능한 외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트.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좌현측 패널;
    상기 좌현측 패널과 연결된 좌현 바닥 패널;
    상기 좌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우현 바닥 패널; 및
    상기 우현 바닥 패널과 연결된 상기 우현측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가능한 내부 부재는 복수의 가로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부재는, 상기 가로방향 부재가 팽창되어,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측면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좌현측 패널을 우현측 패널과 연결하는, 보트.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로방향 부재는 좌석면을 포함하는, 보트.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가능한 내부 부재는 세로방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방향 부재는 가로방향 부재를 가로지르게 배향되고, 복수의 가로방향 부재와 상기 접이식 선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로방향 부재는 상기 접이식 선체가 확장된 형태로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제한하기 위해 팽창가능한, 보트.
  23. 접이식 보트 선체를 확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를 접혀진 형태에서 확장된 형태로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가 확장된 형태에서,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의 좌현측 패널을 따르는 위치로부터 강성 트랜섬의 제1 섹션을 회전시키고,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의 우현측 패널을 따르는 위치로부터 강성 트랜섬의 제2 섹션을 회전시켜 상기 강성 트랜섬의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배치된 형태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배치된 형태에서 상기 강성 트랜섬은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의 후방 가장자리를 제한하고, 상기 배치된 형태에서 상기 강성 트랜섬은,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가 확장된 형태에 있을 때 방수 장벽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의 후방 가장자리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요성 다이어프램의 내부에 대하여 정렬되어 배치되고, 부착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강성 트랜섬의 상기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가 접혀진 형태로 있을 때 상기 접이식 보트 선체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형태에서 상기 강성 트랜섬의 상기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상기 부착 단부에 대향하는 자유 단부에서 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강성 트랜섬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보트 선체를 확장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02719A 2011-06-30 2012-06-29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KR101599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74,577 US8539900B2 (en) 2009-12-30 2011-06-30 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US13/174,577 2011-06-30
PCT/US2012/045104 WO2013003807A1 (en) 2011-06-30 2012-06-29 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649A Division KR101626273B1 (ko) 2011-06-30 2012-06-29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995A KR20140031995A (ko) 2014-03-13
KR101599648B1 true KR101599648B1 (ko) 2016-03-03

Family

ID=46551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719A KR101599648B1 (ko) 2011-06-30 2012-06-29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KR1020167003649A KR101626273B1 (ko) 2011-06-30 2012-06-29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649A KR101626273B1 (ko) 2011-06-30 2012-06-29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8539900B2 (ko)
EP (1) EP2726363B1 (ko)
JP (2) JP5905574B2 (ko)
KR (2) KR101599648B1 (ko)
CN (1) CN102849177B (ko)
AR (2) AR086797A1 (ko)
AU (1) AU2012203790B8 (ko)
BR (1) BR112013033750A2 (ko)
CA (1) CA2781523C (ko)
CO (1) CO6930323A2 (ko)
ES (1) ES2913066T3 (ko)
HK (1) HK1178864A1 (ko)
MX (1) MX338085B (ko)
PL (1) PL2726363T3 (ko)
RU (1) RU2553394C1 (ko)
TW (2) TWI439394B (ko)
WO (1) WO2013003807A1 (ko)
ZA (1) ZA2013096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9900B2 (en) 2009-12-30 2013-09-24 Alex R. Kaye and Frances Kaye Trust 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US9278730B2 (en) 2009-12-30 2016-03-08 Alex R. Kaye and Frances Kaye Trust Brace for folding transom
CN103264749B (zh) * 2013-05-23 2015-08-12 黄佳艺 一种折叠船
CN103552663B (zh) * 2013-11-15 2016-08-17 海蛇(厦门)船艇开发有限公司 便携式钓鱼艇及其制造方法
AU2014277659B2 (en) * 2013-12-19 2015-12-24 Hudson Family, LLC Brace for folding transom
KR101667919B1 (ko) 2014-12-31 2016-10-21 주식회사 이지티 조립식 보트
JP7066148B2 (ja) * 2017-01-19 2022-05-13 浜口ウレタン株式会社 船艇
CN109159867B (zh) * 2018-10-23 2023-09-01 应急管理部上海消防研究所 一种可折叠大刚度充气式救生筏及应用方法
JP7230563B2 (ja) 2019-02-14 2023-03-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化学蓄熱反応器、および、化学蓄熱装置
CN110021243B (zh) * 2019-03-22 2020-12-18 重庆懿熙品牌策划有限公司 一种卡锁组件及其充气式广告箱
RU194717U1 (ru) * 2019-10-08 2019-12-19 Денис Викторович Дордука Складная лодка
CN110758636B (zh) * 2019-12-06 2024-01-26 青岛海舟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实心的波浪滑翔器专用船体
USD1023890S1 (en) * 2022-05-02 2024-04-23 Neil Beavers Dual motor transom for pontoon boa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684A (ja) * 1998-07-09 2000-01-25 Achilles Corp エアーボート
JP2001088772A (ja) * 1999-09-27 2001-04-03 Okamoto Ind Inc インフレータブルボ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483A (en) * 1923-09-03 1925-02-05 Erich Pophanken Improvements in means for steering ships and the like
US2346081A (en) 1942-05-04 1944-04-04 Benjamin F Randrup Collapsible boat
US2830308A (en) 1955-10-17 1958-04-15 Leland W Green Collapsible boat
US2949616A (en) 1956-08-03 1960-08-23 Zodiac Soc Collapsible boats
US3228043A (en) 1963-11-26 1966-01-11 David John Finlay Collapsible boat
US3473502A (en) 1968-06-18 1969-10-21 Joel M Wittkamp Sailboat
US3748670A (en) 1971-05-28 1973-07-31 W Musson Foldable boat
US3768035A (en) 1972-09-22 1973-10-23 Avco Corp Modular aerodynamic laser window
JPS525440Y2 (ko) * 1972-11-24 1977-02-03
US3931655A (en) 1974-01-21 1976-01-13 Luscombe Terry L Inflatable boat
US4314018A (en) 1977-04-19 1982-02-02 Mita Industrial Company, Ltd. Cleaning process for a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GB2013586B (en) 1978-02-03 1982-03-31 Lennard G A F Folding boats
US4282616A (en) 1979-05-23 1981-08-11 Ronald Battershill Rigid collapsible boat
US4449473A (en) 1982-10-29 1984-05-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nflatable boat with demountable transom
US4556009A (en) 1983-02-01 1985-12-03 Kaye Alex R Boat with stabilizing flaps
US4660499A (en) 1983-02-01 1987-04-28 Kaye Alex R Boat with stabilizing flaps
SE454518B (sv) 1984-05-21 1988-05-09 Statens Bakteriologiska Lab Forfarande for odling av diploida celler i nervaro av cellulosafibrer
DE3448029A1 (de) 1984-07-10 1986-04-24 Metzeler Kautschuk GmbH, 8000 München Schlauchboot
IT1209575B (it) 1984-07-31 1989-08-30 Adamoli Resine Sint Perfezionamenti nelle o relativi alle imbarcazioni gonfiabili con specchio di poppa rigido.
KR860003451Y1 (ko) * 1984-09-17 1986-12-06 홍광선 조립식 고무 보트
JPH0352634Y2 (ko) * 1984-09-17 1991-11-14
US4597355A (en) 1984-09-28 1986-07-01 Trevor Kirby Folding semi-rigid inflatable boat
US4911095A (en) 1988-03-29 1990-03-27 Kaye Alex R Collapsible boat with removable transom panel
GB8823586D0 (en) 1988-10-07 1988-11-16 Matthews K R Collapsible boat
RU2041117C1 (ru) * 1992-05-28 1995-08-09 Войсковая часть N 12093 Лодка
ZA933767B (en) 1992-06-05 1993-12-30 Alex R Kaye Collapsible boat
US5501167A (en) 1995-03-24 1996-03-26 Kaye Alex R Seat for collapsible boat
FR2738211B1 (fr) 1995-09-05 1997-10-24 Cittadini Daniel Bateau a panneau de poupe pliant
JPH0988497A (ja) 1995-09-27 1997-03-31 Komatsu Ltd シールド掘進機のセグメントエレクタ装置およびセグメント取り付け方法
US6007391A (en) 1997-12-24 1999-12-28 Brunswick Corporation Automatically adjustable trim system
US6164237A (en) 1998-05-11 2000-12-26 Coryell; Dale C. Inflatable watercraft
US6739278B2 (en) 2000-03-29 2004-05-25 Steven Callahan Folding rigid-bottom boat
JP4669107B2 (ja) * 2000-06-28 2011-04-13 アキレス株式会社 エアボート
JP2003118676A (ja) * 2001-10-18 2003-04-23 Okamoto Ind Inc インフレータブルボート
US7721671B2 (en) 2005-08-11 2010-05-25 Quickboats Pty Ltd. Bracing for collapsible boat
US7314018B2 (en) 2005-08-11 2008-01-01 Quickboats Pty Ltd. Collapsible boat hull
CN2863634Y (zh) * 2005-10-10 2007-01-31 顺曦有限公司 激流冲浪稳定充气船的结构
CN201154763Y (zh) 2008-01-28 2008-11-26 厦门飞鹏工业有限公司 充气橡皮艇
US8539900B2 (en) 2009-12-30 2013-09-24 Alex R. Kaye and Frances Kaye Trust 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US8413600B2 (en) 2009-12-30 2013-04-09 Alex R. Kaye and Frances Kaye Trust Collapsible boat with inflatable memb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684A (ja) * 1998-07-09 2000-01-25 Achilles Corp エアーボート
JP2001088772A (ja) * 1999-09-27 2001-04-03 Okamoto Ind Inc インフレータブルボ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309659B (en) 2015-04-29
KR101626273B1 (ko) 2016-05-31
KR20160024399A (ko) 2016-03-04
CO6930323A2 (es) 2014-04-28
HK1178864A1 (zh) 2013-09-19
JP2016040167A (ja) 2016-03-24
MX338085B (es) 2016-04-01
TW201313555A (zh) 2013-04-01
TWI439394B (zh) 2014-06-01
AR086797A1 (es) 2014-01-22
AU2012203790B2 (en) 2014-04-10
TW201431744A (zh) 2014-08-16
AU2012203790A1 (en) 2013-01-17
WO2013003807A9 (en) 2013-04-04
CA2781523C (en) 2014-10-14
EP2726363B1 (en) 2022-02-23
US20130247811A1 (en) 2013-09-26
EP2726363A1 (en) 2014-05-07
AR111092A2 (es) 2019-06-05
RU2553394C1 (ru) 2015-06-10
JP5905574B2 (ja) 2016-04-20
US8539900B2 (en) 2013-09-24
BR112013033750A2 (pt) 2017-02-07
CA2781523A1 (en) 2012-12-30
TWI531508B (zh) 2016-05-01
JP2014518179A (ja) 2014-07-28
ES2913066T3 (es) 2022-05-31
WO2013003807A1 (en) 2013-01-03
US20110265702A1 (en) 2011-11-03
CN102849177A (zh) 2013-01-02
JP6118386B2 (ja) 2017-04-19
NZ619865A (en) 2015-07-31
US9061734B2 (en) 2015-06-23
PL2726363T3 (pl) 2022-07-11
MX2013015051A (es) 2014-06-23
AU2012203790B8 (en) 2014-08-07
KR20140031995A (ko) 2014-03-13
CN102849177B (zh) 2016-02-17
AU2012203790A8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48B1 (ko) 접이식 보트용 접이식 트랜섬
US8413600B2 (en) Collapsible boat with inflatable members
US20240116604A1 (en) Collapsible watercraft
US9278730B2 (en) Brace for folding transom
AU2014277659B2 (en) Brace for folding transom
AU2013248260B2 (en) Collapsible boat with inflatable members
NZ619865B2 (en) Folding transom for a collapsible 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