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225B1 -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225B1
KR101596225B1 KR1020107021811A KR20107021811A KR101596225B1 KR 101596225 B1 KR101596225 B1 KR 101596225B1 KR 1020107021811 A KR1020107021811 A KR 1020107021811A KR 20107021811 A KR20107021811 A KR 20107021811A KR 101596225 B1 KR101596225 B1 KR 101596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ase oil
viscosity
present
lubr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454A (ko
Inventor
가즈오 다가와
신이치 시라하마
마사히로 다구치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5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2Specified values of viscosity or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10M101/02Petroleum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02Hydrocarbon polymers; Hydrocarbon polymers modified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7/00Special methods of preparation of lubricating compositions; 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of components or of the whole of a lubricating composition,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2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10Lubricating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06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10M2203/1025Aliphatic frac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7Fisher Tropsch reaction products
    • C10M2205/173Fisher Tropsch reaction product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1Cloud poi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3Iodine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5Distillation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7Specific gravity or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65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67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71Branched cha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8Resistance to extreme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40Low content or no content compositions
    • C10N2030/43Sulfur free or low sulfur cont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 인화점이 250℃ 이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의 제조 방법은,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원료유에 관해서,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 인화점이 250℃ 이상이 되도록,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를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Lubricant base oil,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lubricant oil composition}
본 발명은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윤활유에는 에너지 절약성 및 안전성에 관한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다. 에너지 절약 특성으로서는, 기기의 설계 최고 온도에서의 점도를 확보하면서, 실용 범위에서의 점도를 낮출 목적으로 고점도 지수의 기유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공업용 분야에서는, 40℃ 동점도가 약 32㎟/s인 ISO VG32 그레이드가 주류이며, 이러한 점도역에서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계 시동시의 점성 저항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저온 점도가 낮은 기유가 요구되고 있다. 통상, 저온 특성의 개량은 고도 정제 광유 등의 윤활유 기유에 유동점 강하제 등을 첨가하여, 저온 특성을 개량하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참조: 특허 문헌 1 내지 3].
한편, 안전성의 점에서는, 윤활유에 포함되는 중금속 등의 제거에 더하여, 유황분 함유량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는 소방법에 의해, 윤활유의 인화점에서 공장 전체에서의 보유량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관리상의 문제에서 소방법의 비위험물이 되는 인화점 250℃ 이상의 윤활유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고점도 지수 기유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천연이나 합성의 노르말파라핀을 포함하는 원료유에 관해서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에 의한 윤활유 기유의 정제를 실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참조: 특허 문헌 4 내지 6]. 또한, 다른 성상을 희생하지 않고 고인화 점화를 도모하는 윤활유 기유의 제조법 또는 고인화점을 갖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해서도 알려져 있다[참조: 특허 문헌 7 내지 8]
윤활유 기유 및 윤활유의 저온 점도 특성의 평가 지표로서는, 유동점, 흐림 점, 응고점 등이 일반적이다. 또한, 노르말파라핀이나 이소파라핀의 함유량 등의 윤활유 기유에 기초하여 저온 점도 특성을 평가하는 수법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36391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68082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120193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54760호 특허 문헌 5: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2006-502298호 특허 문헌 6: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2006-502303호 특허 문헌 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50504호 특허 문헌 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82931호
이러한 상황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40℃에서의 동점도가 50㎟/s 미만인 기유의 인화점을 25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α-올레핀의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이 경우는 제품이 고가가 되어 버린다. 또한, 폴리-α-올레핀은 합성유이며, 그 점도 지수는 통상 135 정도이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성의 목적으로 이 방법에 의해 새로운 고점도 지수화를 도모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광유계 기유의 경우, 종래의 용제 정제 또는 수소화 분해에 의해 점도 지수 및 인화점의 양자를 높이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에너지 절약 특성의 향상을 첨가제에 의존한 경우에는, 첨가제의 소모·열화에 의한 장기 신뢰성의 저하가 우려된다. 에너지 절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유의 점도를 저하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지만, 인화점이 저하되기 때문에, 단순한 저점도화만으로는, 본 과제의 쌍방을 해결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한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에 의한 윤활유 기유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는, 노르말파라핀의 이소파라핀으로의 이성화율의 향상 및 윤활유 기유의 저점도화에 의해 저온 점도 특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의 조건의 최적화가 검토되고 있지만, 점도-온도 특성(특히 고온에서의 점도 특성)과 저온 점도 특성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을 양립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예를 들면, 노르말파라핀의 이소파라핀으로의 이성화율을 높게 하면, 저온 점도 특성은 개선되지만, 점도 지수가 저하되는 등 점도-온도 특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동점이나 응고점 등의 지표가 윤활유 기유의 저온 점도 특성의 평가 지표로서 반드시 적절하지 않은 것도,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 조건의 최적화가 곤란해지는 것의 한가지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을 고수준으로 균형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한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당해 윤활유 기유를 함유하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 인화점이 2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기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요소 어덕트값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칭량한 시료유(윤활유 기유) 100g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요소 200g, 톨루엔 360ml 및 메탄올 40ml을 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것에 의해, 반응액 중에 요소 어덕트물로서 백색의 입상 결정이 생성된다. 반응액을 1미크론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생성된 백색 입상 결정을 채취하고, 수득된 결정을 톨루엔 50ml으로 6회 세정한다. 회수한 백색 결정을 플라스크에 넣고, 순수 300ml 및 톨루엔 300ml을 더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분액 깔때기로 수상을 분리 제거하고, 톨루엔상을 순수 300ml으로 3회 세정한다. 톨루엔상에 건조제(황산나트륨)를 가하고 탈수 처리를 실시한 후,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요소 어덕트물의 시료유에 대한 비율(질량백분률)을 요소 어덕트값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40℃에 있어서의 동점도 및 후술하는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 및 점도 지수란, 각각 JIS K 2283-1993에 준거하여 측정된 40℃ 또는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 및 점도 지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35℃에서의 CCS 점도란, JIS K 2010-1993에 준거하여 측정된 점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화점이란, JIS K 2265(개방식 인화점)에 준거하여 측정된 인화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의하면, 요소 어덕트값, 40℃에 있어서의 동점도, 점도 지수, CCS 점도 및 인화점이 각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을 고수준으로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유동점 강하제 등의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는, 그 첨가 효과를 유효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최근 저온 점도 특성, 점도-온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의 양립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는 윤활유 기유로서 대단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의하면, 상기한 우수한 점도-온도 특성에 의해 실용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점도 저항이나 교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0℃ 이하의 저온 조건에 있어서, 점성 저항이나 교반 저항을 대폭 저감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당해 윤활유 기유가 적용되는 장치에 있어서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여, 에너지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종래,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에 의한 윤활유 기유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 노르말파라핀으로부터 이소파라핀으로의 이성화율의 향상이 검토되고 있는 것은 상기와 같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단순히 노르말파라핀의 잔존량을 저감시키는 것만으로는 저온 점도 특성을 충분히 개선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이소파라핀 중에도 저온 점도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포함되지만, 종래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는 그 점에 관해서 충분히 인식되고 있지 않다. 또한, 노르말파라핀 및 이소파라핀의 분석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나 NMR 등의 분석 수법이 적용되지만, 이러한 분석 수법으로는 이소파라핀 중에서 저온 점도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분리 또는 특정하는 것은, 번잡한 작업과 엄청난 시간을 요하는 등 실용상 유효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소 어덕트값의 측정에 있어서는, 요소 어덕트물로서, 이소파라핀 중 저온 점도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 또한 윤활유 기유 중에 노르말파라핀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의 당해 노르말파라핀을 정밀하고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 기유의 저온 점도 특성의 평가 지표로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GC 및 NMR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요소 어덕트물의 주성분이, 노르말파라핀 및 주쇄의 말단으로부터 분기 위치까지의 탄소수가 6 이상인 이소파라핀의 요소 어덕트물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원료유에 관해서,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이며, 인화점이 250℃ 이상이 되도록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를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한 윤활유 기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이며, 인화점이 250℃ 이상이 되도록,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원료유에 관해서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를 실시함으로써,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을 고수준으로 양립시킨 윤활유 기유를 확실하게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을 고수준으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윤활유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그 첨가 효과를 유효하게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각종 첨가제를 적합하게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을 고수준으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한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당해 윤활유 기유를 함유하는 윤활유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 인화점이 250℃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요소 어덕트값은, 점도-온도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저온 점도 특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상기한 대로 4질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이다. 또한, 윤활유 기유의 요소 어덕트값은, 0질량%이라도 양호하지만, 충분한 저온 점도 특성, 높은 점도 지수 및 높은 인화점의 윤활유 기유를 수득할 수 있고, 또한 이성화 조건을 완화할 수 있어 경제성도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점도 지수는, 점도-온도 특성의 관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140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점도 지수가 140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한 연비 절약 특성을 수득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40℃에서의 동점도는, 25 내지 50㎟/s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40㎟/s,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35㎟/s,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4㎟/s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3㎟/s이다. 40℃에서의 동점도가 25㎟/s 미만인 경우에는, 윤활 부위에 있어서의 유막 유지성 및 증발성에 문제를 나타낼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4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s 이상인 경우에는, 저온 점도 특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s,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s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s이다. 윤활유 기유의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4.0㎟/s 미만인 경우, 증발 손실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100℃에서의 동점도가 10.0㎟/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점도 특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35℃에서의 CCS 점도는, 15,000mPa·s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2,0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0mPa·s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0mPa·s 이하이다. -35℃에 있어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를 초과하면, 그 윤활유 기유를 사용한 윤활유 전체의 저온 유동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에너지 절약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CCS 점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요소 어덕트값의 관계, 점도 지수, 인화점 및 수율 등의 경제성의 균형으로부터, 2000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mPa·s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0mPa·s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인화점은, 250℃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5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 이상이다. 인화점이 250℃ 미만인 경우는, 소방법상의 비위험물이 되지 않고, 고온 사용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제조할 때, 노르말파라핀, 또는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왁스를 함유하는 원료유를 사용할 수 있다. 원료유는, 광물유 또는 합성유 중 어느 것이라도 양호하고,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료유는, ASTM D 86 또는 ASTM D 2887에 규정하는 윤활유 범위에서 비등하는 왁스 함유 원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유의 왁스 함유율은, 원료유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이다. 원료 왁스 함유율은, 핵자기 공명 분광법(ASTM D 5292), 상관환분석(n-d-M)법(ASTM D 3238), 용제법(ASTM D 3235) 등의 분석 수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왁스 함유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라피네이트와 같은 용제 정제법에 유래하는 오일, 부분 용제 탈랍유, 탈력유, 유출물, 감압 가스 오일, 코커 가스 오일(coker gas oil), 슬랙 왁스, 푸츠(foots)유, 피셔트롭쉬·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슬랙 왁스 및 피셔트롭쉬·왁스가 바람직하다.
슬랙 왁스는, 전형적으로는 용제 또는 프로판 탈랍에 의한 탄화수소 원료에 유래한다. 슬랙 왁스는 잔류유를 함유할 수 있지만, 이 잔류유는 탈유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푸츠유는 탈유된 슬랙 왁스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피셔트롭쉬·왁스는, 소위 피셔트롭쉬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원료유로서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파라플린트(Paraflint)80(수소화 피셔트롭쉬 왁스) 및 쉘 MDS 왁스질 라피네이트(Shell MDS Waxy Raffinate)(수소화 및 부분 이성화 중간 유출물 합성 왁스질 라피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제 추출에 유래하는 원료유는, 상압 증류로부터의 고비점 석유 유분(留分)을 감압 증류 장치로 보내고, 이 장치로부터의 증류 유분을 용제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이다. 감압 증류로부터의 잔사는, 탈력되어도 된다. 용제 추출법에 있어서는, 보다 파라핀성 성분을 라피네이트상으로 남긴 채 추출상에 방향족 성분을 용해한다. 나프텐은, 추출상과 라피네이트상으로 분배된다. 용제 추출용의 용제로서는, 페놀, 푸르푸랄 및 N-메틸피롤리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용제/유비(溶劑/留比), 추출 온도, 추출되어야 할 유출물과 용제의 접촉 방법 등을 제어함으로써, 추출상과 라피네이트상의 분리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료로서, 보다 높은 수소화 분해능을 갖는 연료유 수소화 분해 장치를 사용하고, 연료유 수소화 분해 장치로부터 수득되는 보텀 유분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의 원료유에 관해서,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점도 지수가 100 이상이 되도록,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를 실시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수득할 수 있다.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 공정은,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 및 점도 지수가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 공정은,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원료유에 관해서, 수소화 처리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처리하는 제1 공정과,
제1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피처리물에 관해서, 수소화 탈랍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탈랍하는 제2 공정과,
제2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피처리물에 관해서, 수소화 정제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정제하는 제3 공정
을 구비한다.
또한, 종래의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에 있어서도, 수소화 탈랍 촉매의 피독 방지를 위한 탈황·탈질소를 목적으로 하여, 수소화 탈랍 공정의 전단에 수소화 처리 공정이 마련되는 경우는 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공정(수소화 처리 공정)은, 제2 공정(수소화 탈랍 공정)의 전단에서 원료유 중의 노르말파라핀의 일부(예를 들면 10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를 분해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며, 당해 제1 공정에 있어서도 탈황·탈질소는 가능하지만, 종래의 수소화 처리와는 목적을 달리한다. 이러한 제1 공정을 마련하는 것은, 제3 공정후에 수득되는 피처리물(윤활유 기유)의 요소 어덕트값을 확실하게 4질량% 이하로 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소화 촉매로서는, 6족 금속, 8-10족 금속,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금속으로서는,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코발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수소화 촉매는, 이들의 금속을 내열성 금속산화물 담체 위에 담지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 금속은 담체 위에서 산화물 또는 황화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속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금속의 양이 촉매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30질량% 이상인 벌크 금속 촉매로서 존재해도 양호하다. 금속산화물 담체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또는 티타니아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나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루미나는, γ형 또는 β형의 다공질 알루미나이다. 금속의 담지량은, 촉매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35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9-10족 금속과 6족 금속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9족 또는 10족 금속 중 어느 하나가, 촉매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질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6족 금속은 5 내지 30질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의 담지량은, 원자 흡수 분광법,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광 분석법 또는 개개의 금속에 관해서, ASTM에서 지정된 다른 방법에 의해 측정되어도 된다.
금속산화물 담체의 산성은, 첨가물의 첨가, 금속산화물 담체의 성질의 제어(예를 들면, 실리카-알루미나 담체 중에 도입되는 실리카의 양의 제어)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첨가물의 예에는, 할로겐, 특히 불소, 인, 붕소, 이트리아,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산화물, 및 마그네시아를 들 수 있다. 할로겐과 같은 조촉매는, 일반적으로 금속산화물 담체의 산성을 높이지만, 이트리아 또는 마그네시아와 같은 약염기성 첨가물은 이러한 담체의 산성을 약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수소화 처리 조건에 관해서, 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이며, 수소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20000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0 내지 14000kPa이며, 액 공간 속도(LHSV)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hr-1, 보다 바람직하게 0.1 내지 5hr-1이며, 수소/유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780㎥/㎥, 보다 바람직하게는 89 내지 890㎥/㎥이다. 또한, 상기의 조건은 일례이며, 제3 공정후에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 및 점도 지수가 각각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제1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처리 조건은, 원료, 촉매, 장치 등의 차이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정에 있어서 수소화 처리된 후의 피처리물은, 그대로 제2 공정에 제공해도 양호하지만, 당해 피처리물에 관해서 스트립핑 또는 증류를 실시하여, 피처리물(액상 생성물)로부터 가스 생성물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을, 제1 공정과 제2 공정 사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피처리물에 포함되는 질소분 및 유황분을, 제2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탈랍 촉매의 장기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레벨로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스트립핑 등에 의한 분리 제거의 대상은 주로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 이물이며, 스트립핑은 플래시 드럼, 분류기 등의 통상의 수단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처리의 조건이 마일드한 경우에는,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잔존하는 다환 방향족분이 통과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러한 이물은, 제3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정제에 의해 제거되어도 양호하다.
또한, 제2 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소화 탈랍 촉매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 중 어느 재료를 포함해도 양호하다. 결정질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노실리케이트(제올라이트) 또는 실리코알루미노포스페이트(SAPO)를 주성분으로 하는, 10 또는 12원환 통로를 갖는 몰레큘러시브를 들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구체예로서는, ZSM-22, ZSM-23, ZSM-35, ZSM-48, ZSM-57, 페리에라이트, ITQ-13, MCM-68, MCM-71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루미노포스페이트의 예로서는, ECR-42를 들 수 있다. 몰레큘러시브의 예로서는, 제올라이트 베타, 및 MCM-68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ZSM-48, ZSM-22 및 ZSM-23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ZSM-48이 특히 바람직하다. 몰레큘러시브는 바람직하게는 수소형이다. 수소화 탈랍 촉매의 환원은, 수소화 탈랍시에 그 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미리 환원 처리가 가해진 수소화 탈랍 촉매를 수소화 탈랍에 제공해도 된다.
또한, 수소화 탈랍 촉매의 비정질 재료로서는, 3족 금속으로 도핑된 알루미나, 플루오르화물화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플루오르화물화 실리카-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탈랍 촉매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2관능성, 즉, 적어도 1개의 6족 금속, 적어도 1개의 8-10족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금속 수소 첨가 성분이 장착된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금속은, Pt, Pd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9-10족 귀금속이다. 이들의 금속의 장착량은, 촉매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질량%이다. 촉매 조제 및 금속 장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해성 금속염을 사용하는 이온 교환법 및 함침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몰레큘러시브를 사용하는 경우, 수소화 탈랍 조건하에서의 내열성을 갖는 바인더 재료와 복합화해도 되며, 또는 바인더 없이(자기 결합)라도 양호하다. 바인더 재료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실리카와 티타니아, 마그네시아, 트리아, 지르코니아 등과 같은 다른 금속 산화물과의 2성분의 조합, 실리카-알루미나-트리아, 실리카-알루미나-마그네시아 등과 같은 산화물의 3성분의 조합 등의 무기산화물을 들 수 있다. 수소화 탈랍 촉매 중의 몰레큘러시브의 양은, 촉매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00질량%이다. 수소화 탈랍 촉매는, 분무 건조, 압출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수소화 탈랍 촉매는, 황화물화 또는 비황화물화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황화물화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수소화 탈랍 조건에 관해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75 내지 350℃이고, 수소 분압은 바람직하게는 791 내지 20786kPa(100 내지 3000psig), 보다 바람직하게는 1480 내지 17339kPa(200 내지 2500psig)이며, 액 공간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hr-1,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hr-1이며, 수소/유비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780㎥/㎥(250 내지 10000scf/B), 보다 바람직하게는 89 내지 890㎥/㎥(500 내지 5000scf/B)이다. 또한, 상기의 조건은 일례이며, 제3 공정후에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 및 점도 지수가 각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2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탈랍 조건은, 원료, 촉매, 장치 등의 차이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정에서 수소화 탈랍된 피처리물은, 제3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정제에 제공된다. 수소화 정제는, 잔류 헤테로 원자 및 색상체의 제거에 더하여, 올레핀 및 잔류 방향족 화합물을 수소화에 의해 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일드한 수소화 처리의 1형태이다. 제3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정제는, 탈랍 공정과 캐스케이드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3 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소화 정제 촉매는, 6족 금속, 8-10족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금속산화물 담체에 담지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금속으로서는, 귀금속, 특히 백금, 팔라듐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금속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금속의 양이 촉매를 기준으로 하여 30질량% 또는 그 이상인 벌크 금속 촉매로서 존재해도 양호하다. 촉매의 금속 함유율은, 비귀금속에 관해서는 20질량% 이하, 귀금속에 대해서는 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산화물 담체로서는, 비정질 또는 결정질 산화물 중 어느 것이라도 양호하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또는 티타니아와 같은 저산성 산화물을 들 수 있고, 알루미나가 바람직하다. 방향족 화합물의 포화의 관점에서는, 다공질담체 위에 비교적 강한 수소 첨가 기능을 갖는 금속이 담지된 수소화 정제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수소화 정제 촉매로서, M41S 클래스 또는 계통의 촉매에 속하는 메소 세공성 재료를 들 수 있다. M41S 계통의 촉매는, 높은 실리카 함유율을 갖는 메소 세공성 재료이며, 구체적으로는, MCM-41, MCM-48 및 MCM-50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소화 정제 촉매는 15 내지 100Å의 세공 직경을 갖는 것이며, MCM-41이 특히 바람직하다. MCM-41은, 똑같은 사이즈의 세공의 육방정계 서열을 갖는 무기의 다공질 비층화상이다. MCM-41의 물리 구조는, 스트로우의 개구부(세공의 셀 직경)가 15 내지 100Å의 범위인 스트로우 다발과 같은 것이다. MCM-48은, 입방체 대칭을 가지며, MCM-50은, 층상 구조를 가진다. MCM-41은, 메소 세공성 범위가 상이한 사이즈의 세공 개구부로 제조할 수 있다. 메소 세공성 재료는, 8족, 9족 또는 10족 금속 중 적어도 1개인 금속 수소 첨가 성분을 가져도 양호하며, 금속 수소 첨가 성분으로서는, 귀금속, 특히 10족 귀금속이 바람직하고, Pt, P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소화 정제의 조건에 관해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50℃이며, 전체 압은 바람직하게는 2859 내지 20786kPa(약 400 내지 3000psig)이며, 액 공간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hr-1,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hr-1이며, 수소/유비는 바람직하게는 44.5 내지 1780㎥/㎥(250 내지 10,000scf/B)이다. 또한, 상기의 조건은 일례이며, 제3 공정후에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 및 점도 지수가 각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3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화 생성 조건은, 원료나 처리 장치의 차이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공정후에 수득되는 피처리물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증류 등에 의해 소정의 성분을 분리 제거해도 양호하다.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는, 요소 어덕트값 및 점도 지수가 각각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면, 그 밖의 성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이하의 조건을 더욱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의 포화분의 함유량은, 윤활유 기유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3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다. 또한, 당해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3질량%이다. 포화분의 함유량 및 당해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의 비율이 각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점도-온도 특성 및 열·산화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당해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는, 당해 첨가제를 윤활유 기유 중에 충분히 안정적으로 용해 유지하면서, 당해 첨가제의 기능을 보다 고수준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포화분의 함유량 및 당해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의 비율이 각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윤활유 기유 자체의 마찰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그 결과, 마찰 저감 효과의 향상, 나아가서는 에너지 절약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포화분의 함유량이 90질량% 미만이면,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의 비율이 0.1질량% 미만이면,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용해성이 불충분해지고, 윤활유 기유 중에 용해 유지되는 당해 첨가제의 유효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당해 첨가제의 기능을 유효하게 수득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의 비율이 10질량%을 초과하면,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효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것은, 포화분에 차지하는 비환상 포화분이 99.9 내지 90질량%인 것과 등가이다. 여기에서, 비환상 포화분에는 노르말파라핀 및 이소파라핀의 쌍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차지하는 노르말파라핀 및 이소파라핀의 비율은, 요소 어덕트값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소파라핀의 비율은, 윤활유 기유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내지 99질량%이다. 윤활유 기유에 차지하는 이소파라핀의 비율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점도-온도 특성 및 열·산화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당해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는, 당해 첨가제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용해 유지하면서, 당해 첨가제의 기능을 한층 고수준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포화분의 함유량이란, ASTM D 2007-9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단위: 질량%)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포화분에 차지하는 환상 포화분 및 비환상 포화분의 비율이란, 각각 ASTM D 2786-9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나프텐분(측정 대상: 1환 내지 6환 나프텐, 단위: 질량%) 및 알칸분(단위: 질량%)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윤활유 기유 중의 노르말파라핀의 비율이란, 상기 ASTM D 2007-9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분리·분취된 포화분에 관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하고, 당해 포화분에 차지하는 노르말파라핀의 비율을 동정·정량했을 때의 측정값을, 윤활유 기유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환산한 값을 의미한다. 또한, 동정·정량시에는, 표준 시료로서 탄소수 5 내지 50의 노르말파라핀의 혼합 시료가 사용되며, 포화분에 차지하는 노르말파라핀은, 크로마토그램의 전체 피크 면적값(희석제에 유래하는 피크의 면적값을 제외)에 대한 각 노르말파라핀에 상당히 상당하는 피크 면적값의 합계의 비율로서 구해진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칼럼: 액상 무극성 칼럼(길이 25mm, 내부 직경 0.3mmφ, 액상 막 두께 0.1㎛)
승온 조건: 50 내지 400℃(승온 속도: 10℃/min)
캐리어 가스: 헬륨(선 속도: 40cm/min)
스플릿비: 90/1
시료 주입량: 0.5μL(이황화탄소로 20배로 희석한 시료의 주입량)
또한, 윤활유 기유 중의 이소파라핀의 비율이란, 상기 포화분에 차지하는 비환상 포화분과 상기 포화분에 차지하는 노르말파라핀의 차를, 윤활유 기유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환산한 값을 의미한다.
또한, 포화분의 분리 방법, 또는 환상 포화분, 비환상 포화분 등의 조성 분석시에는, 같은 결과가 수득되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외에, ASTM D 2425-93에 기재된 방법, ASTM D 2549-91에 기재된 방법,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방법, 또는 이들의 방법을 개량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의 방향족분은, 윤활유 기유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질량%이다. 방향족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 또한 휘발 방지성 및 저온 점도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효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방향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라도 양호하지만, 방향족분의 함유량을 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첨가제의 용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방향족분의 함유량이란, ASTM D 2007-93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방향족분에는, 통상,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이외에, 안트라센, 페난트렌 및 이들의 알킬화물, 또한 벤젠환이 4환 이상 축합된 화합물, 피리딘류, 퀴놀린류, 페놀류, 나프톨류 등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CP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99,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8,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7이다. 윤활유 기유의 %CP가 80 미만인 경우,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효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윤활유 기유의 %CP가 99를 초과하면, 첨가제의 용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CN은,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윤활유 기유의 %CN이 15를 초과하면,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CN이 1 미만이면, 첨가제의 용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CA는,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이다. 윤활유 기유의 %CA가 0.7을 초과하면,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CA는 0이라도 양호하지만, %CA를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첨가제의 용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의 %CP와 %CN의 비율은, %CP/%CN이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P/%CN이 7 미만이면,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효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CP/%CN은,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CP/%CN을 200 이하로 함으로써, 첨가제의 용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CP, %CN 및 %CA란, 각각 ASTM D 3238-85에 준거한 방법(n-d-M환 분석)에 의해 구해지는, 파라핀 탄소수의 전체 탄소수에 대한 백분률, 나프텐 탄소수의 전체 탄소수에 대한 백분률, 및 방향족 탄소수의 전체 탄소수에 대한 백분률을 의미한다. 즉, 상기한 %CP, %CN 및 %CA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값에 기초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나프텐분을 포함하지 않는 윤활유 기유라도, 상기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CN이 0을 초과하는 값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요오드값은,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며, 또한, 0.01 미만이라도 양호하지만, 그것만큼 효과가 작은 점 및 경제성의 관계에서,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다. 윤활유 기유의 요오드값을 0.5 이하로 함으로써, 열·산화 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요오드값이란, JIS K 0070 「화학 제품의 산가, 검화값, 요오드값, 하이드록실기값 및 불검화값」의 지시약 적정법에 의해 측정한 요오드값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의 유황분의 함유량은, 그 원료의 유황분의 함유량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피셔트롭쉬 반응 등에 의해 수득되는 합성 왁스 성분과 같이 실질적으로 유황을 포함하지 않는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유황을 포함하지 않는 윤활유 기유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 기유의 정제 과정에서 수득되는 슬랙 왁스나 정밀 여과 과정에서 수득되는 마이크로 왁스 등의 유황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득되는 윤활유 기유 중의 유황분은 통상 100질량ppm 이상이 된다.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는, 열·산화 안정성의 더욱 향상 및 저유황화의 점에서, 유황분의 함유량이 10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비용 절감의 점에서는, 원료로서 슬랙 왁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수득되는 윤활유 기유 중의 유황분은 50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황분이란, JIS K 2541-1996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유황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의 질소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질량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ppm 이하이다. 질소분의 함유량이 5질량ppm을 초과하면, 열·산화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질소분이란, JIS K 2609-199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질소분을 의미한다.
상기 윤활유 기유는, 요소 어덕트값, 점도 지수, -35℃에서의 CCS 점도 및 인화점이 각각 상기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점도 그레이드가 동일한 종래의 윤활유 기유와 비교하여,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을 고수준으로 양립시킬 수 있고, 특히, 저온 점도 특성이 우수하고, 점성 저항이나 교반 저항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유동점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며, 요소 어덕트값의 관계, 점도 지수, 인화점 및 수율 등의 경제성의 균형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유동점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그 윤활유 기유를 사용한 윤활유 전체의 저온 유동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동점이란, JIS K 2269-1987에 준거하여 측정된 유동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15℃에서의 밀도(ρ15)는, 하기 수학식 1의 ρ 값 이하인 것, 즉 ρ15≤ρ인 것이 바람직하다.
ρ=0.0025×kv100+0.816
상기 식에서,
kv100은 윤활유 기유의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s)이다.
또한, ρ15>ρ이 되는 경우, 점도-온도 특성 및 열·산화 안정성, 또한 휘발 방지성 및 저온 점도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ρ15는, 바람직하게는 0.8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3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15℃에 있어서의 밀도란, JIS K 2249-1995에 준거하여 15℃에서 측정된 밀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아닐린점(AP(℃))은, 하기 수학식 2의 A의 값 이상인 것, 즉 AP≥A인 것이 바람직하다.
A=4.3×kv100+100
상기 식에서,
kv100는 윤활유 기유의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s)이다.
또한, AP<A가 되는 경우, 점도-온도 특성 및 열·산화 안정성, 또한 휘발 방지성 및 저온 점도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 당해 첨가제의 효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AP는, 바람직하게는 11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9℃ 이상이며, 씰재 수축에 대한 영향 완화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8℃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아닐린점이란, JIS K 2256-1985에 준거하여 측정된 아닐린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NOACK 증발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이다. NOACK 증발량이 하한값 이하인 경우, 저온 점도 특성의 개선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NOACK 증발량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윤활유 기유를 내연 기관용 윤활유 등에 사용한 경우에, 윤활유의 증발 손실량이 많아지고, 거기에 따른 촉매 피독이 촉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NOACK 증발량이란, ASTM D 5800-95에 준거하여 측정된 증발 손실량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증류 성상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증류로, 초유점(IBP)이 290 내지 450℃, 종점(FBP)이 430 내지 5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관해서, 그 초유점(IBP)은, 바람직하게는 410 내지 470℃, 보다 바람직하게는 420 내지 460℃, 더욱 바람직하게는 430 내지 450℃이다. 또한, 10% 유출 온도(T10)는, 바람직하게는 440 내지 495℃,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485℃, 더욱 바람직하게는 460 내지 475℃이다. 또한, 50% 유출점(T50)은, 바람직하게는 470 내지 530℃, 보다 바람직하게는 480 내지 520℃, 더욱 바람직하게는 490 내지 510℃이다. 또한, 90% 유출점(T90)은, 바람직하게는 485 내지 545℃, 보다 바람직하게는 495 내지 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 내지 525℃이다. 또한, 종점(FBP)은, 바람직하게는 490 내지 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40℃,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내지 530℃이다. 또한, T90-T10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이다. 또한, FBP-IBP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이다. 또한, T10-IBP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이다. 또한, FBP-T90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 IBP, T10, T50, T90, FBP, T90-T10, FBP-IBP, T10-IBP, FBP-T90을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저온 점도의 한층 개선과, 증발 손실의 한층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T90-T10, FBP-IBP, T10-IBP 및 FBP-T90의 각각에 관해서는, 이들의 증류 범위를 지나치게 좁게 하면, 윤활유 기유의 수율이 악화되어 경제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IBP, T10, T50, T90 및 FBP란, 각각 ASTM D 2887-9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유출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있어서의 잔존 금속분은, 제조 프로세스상 부득이하게 혼입되는 촉매나 원료에 포함되는 금속분에 유래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잔존 금속분은 충분히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Al, Mo, Ni의 함유량은, 각각 1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금속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윤활유 기유에 배합되는 첨가제의 기능이 저해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잔존 금속분이란, JPI-5S-38-200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금속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RBOT 수명은, 바람직하게는 350mi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mi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70min 이상이다. RBOT 수명이 각각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윤활유 기유의 점도-온도 특성 및 열·산화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는 당해 첨가제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RBOT 수명이란, 윤활유 기유에 페놀계 산화 방지제(2,6-디-3급-부틸-p-크레졸; DBPC)를 0.2질량% 첨가한 조성물에 관해서, JIS K 2514-1996에 준거하여 측정된 RBOT값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점도-온도 특성, 저온 점도 특성 및 인화점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점성 저항이나 교반 저항이 낮고, 또한 열·산화 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개선된 것이며, 마찰 저감 효과의 향상, 나아가서는 에너지 절약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첨가제가 배합된 경우에는 당해 첨가제의 기능(유동점 강하제에 의한 저온 점도 특성 향상 효과, 산화 방지제에 의한 열·산화 안정성 향상 효과, 마찰 조정제에 의한 마찰 저감 효과, 마모 방지제에 의한 내마모성 향상 효과 등)을 보다 고수준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는, 여러 가지 윤활유의 기유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용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승용차용 가솔린 엔진, 이륜차용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가스 엔진, 가스 히트 펌프용 엔진, 선박용 엔진, 발전 엔진 등의 내연 기관에 사용되는 윤활유(내연 기관용 윤활유), 자동 변속기, 수동 변속기, 무단 변속기, 종감속기 등의 구동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윤활유(구동 전달 장치용유), 완충기, 건설 기계 등의 유압 장치에 사용되는 유압 작동유, 압축기유, 터빈유, 공업용 기어유, 냉동기유, 녹 방지유, 열매체유, 가스 홀더 씰유, 축수유, 초지기용유, 공작 기계유, 미끄러짐 안내면유, 전기 절연유, 절삭유, 프레스유, 압연유, 열처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용도에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사용함으로써, 각 윤활유의 점도-온도 특성, 열·산화 안정성, 에너지 절약성, 연비 절약성 등의 특성의 향상, 및 각 윤활유의 장수명화 및 환경 부하 물질의 저감을 고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를 다른 기유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와 다른 기유를 병용하는 경우, 이들 혼합 기유 중에 차지하는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의 비율은,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와 병용되는 다른 기유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유계 기유로서는, 예를 들면 100℃에서의 동점도가 1 내지 100㎟/s인 용제 정제 광유, 수소화 분해 광유, 수소화 정제 광유, 용제 탈랍 기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합성계 기유로서는, 폴리α-올레핀 또는 그 수소화물, 이소부텐 올리고머 또는 그 수소화물, 이소파라핀,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디에스테르(디트리데실글루탈레이트,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디트리데실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등), 폴리올에스테르(트리메틸올프로판카프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페라르고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톨페라르고네이트 등),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디알킬디페닐에테르, 폴리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폴리α-올레핀으로서는, 전형적으로는, 탄소수 2 내지 32,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6의 α-올레핀의 올리고머 또는 코올리고머(1-옥텐 올리고머, 데센 올리고머, 에틸렌-프로필렌 코올리고머 등)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폴리α-올레핀의 제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염화알루미늄 또는 3플루오르화 붕소와, 물, 알콜(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카복실산 또는 에스테르와의 착체를 포함하는 프리델·크래프츠 촉매와 같은 중합 촉매의 존재하, α-올레핀을 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윤활유 분야에서 종래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유 첨가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산화 방지제, 무회분산제, 금속계 청정제, 극압제, 마모 방지제, 점도 지수 향상제, 유동점 강하제, 마찰 조정제, 유성제, 부식 방지제, 방청제, 항유화제, 금속 불활성화제, 씰 팽윤제, 소포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첨가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이 유동점 강하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에 의한 유동점 강하제의 첨가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되기 때문에, 우수한 저온 점도 특성(-40℃에서의 MRV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600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mPa·s 이하)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우선, 용제 정제 기유를 정제하는 공정에 있어서 감압 증류로 분리한 유분을, 푸르푸랄로 용제 추출한 후 수소화 처리하고, 계속해서,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 용제로 용제 탈랍하였다. 용제 탈랍시에 제거되어, 슬랙 왁스로서 수득된 왁스분(이하, 「WAX 1」이라고 한다.)를, 윤활유 기유의 원료유로서 사용하였다. WAX 1의 성상을 표 1에 기재한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1
다음에, WAX 1을 원료유로 하고, 수소화 처리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원료유 중의 노르말파라핀의 분해율이 10질량% 이하가 되도록, 반응 온도 및 액 공간 속도를 조정하였다.
다음에, 상기의 수소화 처리에 의해 수득된 피처리물에 관해서, 귀금속 함유량 0.1 내지 5중량%로 조정된 제올라이트계 수소화 탈랍 촉매를 사용하여, 315 내지 325℃의 온도 범위에서 수소화 탈랍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의 수소화 탈랍에 의해 수득된 피처리물(라피네이트)에 관해서, 수소화 생성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정제를 실시하였다. 그 후 증류에 의해 경질분 및 중질분을 분리하고, 표 2에 기재하는 조성 및 성상을 갖는 윤활유 기유를 수득하였다. 또한, 표 2에는, 비교예 1로서, WAX 1을 사용하여 수득되는 종래의 윤활유 기유의 조성 및 성상을 함께 기재한다. 또한, 표 1 중, 「요소 어덕트물 중의 노르말파라핀 유래 성분의 비율」은, 요소 어덕트값의 측정시에 수득된 요소 어덕트물에 관해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득된 것이다(이하, 동일하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2
[실시예 2,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는, WAX 1을 더욱 탈유하여 수득된 왁스분(이하, 「WAX 2」이라고 한다.)을, 윤활유 기유의 원료로서 사용하였다. WAX 2의 성상을 표 3에 기재한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3
다음에, WAX 1 대신에 WAX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수소화 처리, 수소화 탈랍, 수소화 정제 및 증류를 실시하고, 표 4에 기재하는 조성 및 성상을 갖는 윤활유 기유를 수득하였다. 또한, 표 4에는, 비교예 2로서, WAX 2를 사용하여 수득되는 종래의 윤활유 기유의 조성 및 성상을 함께 기재한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4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파라핀 함량이 95질량%이며, 20에서 80까지의 탄소수 분포를 갖는 FT 왁스(이하, 「WAX 3」이라고 한다.)를 사용하였다. WAX 3의 성상을 표 5에 기재한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5
다음에, WAX 1 대신에 WAX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수소화 처리, 수소화 탈랍, 수소화 정제 및 증류를 실시하고, 표 6에 기재하는 조성 및 성상을 갖는 윤활유 기유를 수득하였다. 또한, 표 6에는, 비교예 3으로서, WAX 3을 사용하여 수득되는 종래의 윤활유 기유의 조성 및 성상을 함께 기재한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6
[비교예 4 내지 6]
비교예 4는 통상의 용제 정제-용제 탈랍 처리에 의해 수득된 윤활유 기유, 비교예 5는 수소압이 높은 연료유 수소화 분해 장치를 사용하고, 연료유 수소화 분해 장치로부터 수득되는 보텀 유분(HDC 보텀)을 이성화 탈랍하여 수득된 윤활유 기유, 비교예 6은 비교예 5와 같이 수소압이 높은 연료유 수소화 분해 장치를 사용하고, 연료유 수소화 분해 장치로부터 수득되는 보텀 유분(IIDC 보텀)을 용제 탈랍하여 수득된 기유이다.
Figure 112010062952470-pct00007

Claims (3)

  1.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에서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 인화점이 2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기유.
  2. 노르말파라핀을 함유하는 원료유에 관해서, 수득되는 피처리물의 요소 어덕트값이 4질량% 이하, 40℃의 동점도가 25 내지 50㎟/s, 점도 지수가 140 이상, -35℃에서의 CCS 점도가 15,000mPa·s 이하, 인화점이 250℃ 이상이 되도록, 수소화 분해/수소화 이성화를 실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기유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따르는 윤활유 기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조성물.
KR1020107021811A 2008-03-25 2009-03-23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 KR101596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8570 2008-03-25
JP2008078570A JP5800449B2 (ja) 2008-03-25 2008-03-25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454A KR20110056454A (ko) 2011-05-30
KR101596225B1 true KR101596225B1 (ko) 2016-02-22

Family

ID=4111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811A KR101596225B1 (ko) 2008-03-25 2009-03-23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27385B2 (ko)
EP (1) EP2264131B1 (ko)
JP (1) JP5800449B2 (ko)
KR (1) KR101596225B1 (ko)
CN (1) CN101981166B (ko)
CA (1) CA2719591C (ko)
WO (1) WO2009119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48202A1 (en) * 2006-04-11 2007-10-25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Compositions useful as inhibitors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US8603953B2 (en) * 2007-03-30 2013-12-10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Operating oil for buffer
WO2008123246A1 (ja) * 2007-03-30 2008-10-16 Nippon Oil Corporation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CN103013634A (zh) * 2007-12-05 2013-04-03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润滑油组合物
JP5483662B2 (ja) 2008-01-15 2014-05-07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806794B2 (ja) * 2008-03-25 2015-11-10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2010090251A (ja) 2008-10-07 2010-04-22 Nippon Oil Corp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EP2341122B2 (en) 2008-10-07 2019-04-03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Lubricant base oil
WO2010041692A1 (ja) 2008-10-07 2010-04-15 新日本石油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396866B (zh) 2009-06-04 2016-07-06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润滑油组合物
CN103805319B (zh) 2009-06-04 2016-01-06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润滑油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5829374B2 (ja) 2009-06-04 2015-12-0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EP2439258A4 (en) 2009-06-04 2013-03-13 Jx Nippon Oil & Energy Corp OIL COMPOSITION
JP5689592B2 (ja) 2009-09-01 2015-03-2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US20120157359A1 (en) * 2010-12-21 2012-06-21 Chevron U.S.A. Inc. Lubricating oil with improved wear properties
JP5756337B2 (ja) * 2011-05-06 2015-07-2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756336B2 (ja) * 2011-05-06 2015-07-2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918556B2 (ja) * 2012-02-07 2016-05-18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CN104145008B (zh) * 2012-03-02 2016-05-04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冷冻机用工作流体组合物、冷冻机油以及其制造方法
CN102618365B (zh) * 2012-03-09 2013-10-30 广西大学 船舶用燃气轮机中减速机润滑油组合物
JP5872946B2 (ja) * 2012-03-30 2016-03-01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960031B2 (ja) * 2012-11-08 2016-08-02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及び製造ラインの管理方法
JP5913174B2 (ja) * 2013-03-27 2016-04-27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基油の製造方法、潤滑油基油及び潤滑油組成物
WO2015060399A1 (ja) * 2013-10-23 2015-04-30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
US10227536B2 (en) * 2014-12-01 2019-03-12 Uop Llc Methods for alternating production of distillate fuels and lube basestocks from heavy hydrocarbon feed
JP6676247B2 (ja) * 2015-05-26 2020-04-08 株式会社サンダテック 冷間圧造成形機
JP6666691B2 (ja) * 2015-11-04 2020-03-18 シェルルブリカンツジャパン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6737450B2 (ja) * 2015-11-13 2020-08-12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及び潤滑方法
CN109563418B (zh) * 2016-08-03 2022-03-18 埃克森美孚研究工程公司 用于生产高性能基础油料的萃余油加氢转化
JP7222613B2 (ja) * 2018-05-18 2023-02-15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416A (ja) 2002-12-11 2006-09-21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高粘度指数の基材油、基油、および潤滑油組成物を用いた低ブルックフィールド粘度を有する機能性流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508B2 (ja) 1990-05-31 1998-03-09 日本石油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2724512B2 (ja) 1990-09-10 1998-03-09 日本石油株式会社 圧縮機用潤滑油組成物
JP2724510B2 (ja) 1990-07-09 1998-03-09 日本石油株式会社 油圧作動油組成物
JP3057125B2 (ja) * 1992-10-02 2000-06-26 日石三菱株式会社 高粘度指数低粘度潤滑油基油の製造方法
CN1154711C (zh) * 1996-07-15 2004-06-23 切夫里昂美国公司 基础油料润滑油的制备方法
US6974535B2 (en) * 1996-12-17 2005-12-1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ydroconversion process for making lubricating oil basestockes
US6179994B1 (en) * 1998-09-04 2001-01-30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soparaffinic base stocks by dewaxing fischer-tropsch wax hydroisomerate over Pt/H-mordenite
US6080301A (en) * 1998-09-04 2000-06-2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emium synthetic lubricant base stock having at least 95% non-cyclic isoparaffins
US6103099A (en) * 1998-09-04 2000-08-15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duction of synthetic lubricant and lubricant base stock without dewaxing
US7132042B2 (en) * 2002-10-08 2006-11-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duction of fuels and lube oils from fischer-tropsch wax
US20040129603A1 (en) 2002-10-08 2004-07-08 Fyfe Kim Elizabeth High viscosity-index base stocks, base oils and lubrica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JP2004182931A (ja) 2002-12-05 2004-07-02 Idemitsu Kosan Co Ltd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29431A1 (en) * 2002-12-11 2008-02-07 Alexander Albert G Functional fluids having low brookfield viscosity using high viscosity-index base stocks, base oils and lubrica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JP5057630B2 (ja) 2003-02-18 2012-10-24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工業用潤滑油組成物
JP5108200B2 (ja) 2003-11-04 2012-12-26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基油を含有する潤滑油組成物
JP5330631B2 (ja) * 2004-01-30 2013-10-30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5180437B2 (ja) 2005-01-07 2013-04-10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基油
KR101173532B1 (ko) * 2005-01-07 2012-08-13 자이단호진 세키유산교캇세이카센터 윤활유 기유, 내연 기관용 윤활유 조성물 및 구동 전달장치용 윤활유 조성물
US8105990B2 (en) * 2006-03-15 2012-01-31 Nippon Oil Corporation Lube base oil,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drive transmission device
KR101100635B1 (ko) * 2006-03-31 2012-01-03 자이단호진 세키유산교캇세이카센터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윤활유 조성물
JP2007297528A (ja) * 2006-05-01 2007-11-15 Napura:Kk 高引火点潤滑油組成物
US8603953B2 (en) * 2007-03-30 2013-12-10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Operating oil for buffer
WO2008123246A1 (ja) * 2007-03-30 2008-10-16 Nippon Oil Corporation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416A (ja) 2002-12-11 2006-09-21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高粘度指数の基材油、基油、および潤滑油組成物を用いた低ブルックフィールド粘度を有する機能性流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19591A1 (en) 2009-10-01
CN101981166A (zh) 2011-02-23
EP2264131A4 (en) 2011-06-22
EP2264131A1 (en) 2010-12-22
JP2009227942A (ja) 2009-10-08
JP5800449B2 (ja) 2015-10-28
WO2009119520A1 (ja) 2009-10-01
US20110049009A1 (en) 2011-03-03
CN101981166B (zh) 2013-07-31
EP2264131B1 (en) 2013-09-11
KR20110056454A (ko) 2011-05-30
CA2719591C (en) 2016-02-02
US8227385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225B1 (ko) 윤활유 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
KR101489171B1 (ko) 윤활유 기유, 이의 제조방법 및 윤활유 조성물
JP6513780B2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JP5690042B2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JP5726397B2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WO2010041591A1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JP5806797B2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JP5806795B2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JP2015127427A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JP2014205859A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JP2014205860A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潤滑油組成物
JP2014198857A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JP2014198856A (ja) 潤滑油基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