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368B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368B1
KR101594368B1 KR1020130105542A KR20130105542A KR101594368B1 KR 101594368 B1 KR101594368 B1 KR 101594368B1 KR 1020130105542 A KR1020130105542 A KR 1020130105542A KR 20130105542 A KR20130105542 A KR 20130105542A KR 101594368 B1 KR101594368 B1 KR 10159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laundry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549A (ko
Inventor
김태완
이길남
유상희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368B1/ko
Priority to US14/472,631 priority patent/US9359715B2/en
Priority to AU2014218474A priority patent/AU2014218474B2/en
Priority to BR102014021666-9A priority patent/BR102014021666B1/pt
Priority to RU2014135776/12A priority patent/RU2578579C1/ru
Priority to JP2014179054A priority patent/JP6563183B2/ja
Priority to CN201410446068.2A priority patent/CN104420148B/zh
Priority to EP14183331.9A priority patent/EP2843126B1/en
Priority to EP14183332.7A priority patent/EP2843120B1/en
Priority to ES14183332.7T priority patent/ES2642053T3/es
Publication of KR2015002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 D06F33/06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substantially mechanic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터브에 재공급하는 순환과정(process), 상기 터브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과정, 상기 순환과정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에 터브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과정,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과정이 구비된 건조단계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을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 중 제1모션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세탁물)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와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은 세탁물이 저장된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시킨 후 가열(제습한 후 가열)하여 수용공간에 재공급하는 구조이고, 배기식 건조시스템은 수용공간에 공급된 열풍을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 배기시키는 시스템이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수용공간에서 배출된 뒤 수용공간으로 재공급되는 공기의 제습을 위해 냉각수를 공급해야 하므로 냉각수 공급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냉각의 효율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많은 양의 냉각수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가 외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짐에도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 및 냉각수의 절감이 가능한 신개념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효율을 높인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중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냉각수 급수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터브에 재공급하는 순환과정(process), 상기 터브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과정, 상기 순환과정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에 터브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과정,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과정이 구비된 건조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을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 중 제1모션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이 세탁물의 자중보다 더 큰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process); 상기 제1회전수보다 더 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는 일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물을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의 개시 전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의 진행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는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2회전수로 회전되는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2회전수로 회전되는 동안에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의 실행 전 수행되는 제2모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이 세탁물의 자중보다 더 큰 제3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드럼이 1회전(1 revolution)을 완료하기 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1회전을 완료하기 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은 세탁물이 상기 드럼 높이의 절반 이상 상승된 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1회전을 완료하기 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궤적 최저점을 기준으로 세탁물이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된 경우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 및 냉각수의 절감이 가능한 신개념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효율을 높인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중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각수 급수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흡기덕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유로전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물공급부 및 급수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제1모션 및 제2모션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대상물(세탁물) 및 세탁수가 저장되는 의류수용부(2, 3),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 의류수용부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의류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83), 의류수용부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81), 의류수용부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1)을 포함하며, 프론트패널(11)에는 의류수용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의류수용부에서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3)가 구비된다.
투입구(13)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4, 도 6 참고)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프론트패널(11)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인 컨트롤패널(17)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7)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즉, 컨트롤패널(17)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전원공급명령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179),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가 구현 가능한 의류처리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175)가 구비된다.
입력부(175)를 통해 선택되는 '의류처리방법'은 세탁물에 수분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가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각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계열적 제어명령 또는 비시계열적 제어명령의 집합이다.
상술한 '의류처리방법'은 통상 의류처리코스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등으로 불리워지며, 이와 같은 의류처리방법은 의류처리장치(100)에 다수 개가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패널(17)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방법, 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7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77)에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 관한 정보'는 입력부(175)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방법의 명칭,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방법에 설정된 시간, 실행 중에 있는 의류처리방법의 완료예정시각 또는 잔여시간,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방법의 실행을 위해 의류처리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사항 등을 포함하는 개념(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이다.
캐비닛(1)에 구비되는 의류수용부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터브지지부(21)에 의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전방면에는 투입구(13)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22)가 구비된다.
터브투입구(22)와 투입구(13) 사이에는 가스켓(23)이 구비되며, 가스켓(23)은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터브(2)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드럼(3)은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된 구동부(M, 도 6 참고)에 의해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터브투입구(22)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31) 및 드럼(3)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33)을 포함한다.
순환덕트(7)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터브(2) 외부로 인출하여 다시 터브(2)로 안내하는 유로로 터브의 상부 원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순환덕트(7)와의 결합을 위해 터브(2)에는 제1연통부(26) 및 제2연통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26)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덕트(7)로 안내하는 유로이고, 제2연통부(27)는 순환덕트(7)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터브(2)로 안내하는 유로가 된다.
제2연통부(27)는 가스켓(23)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연통부(27)는 가스켓(23)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되고, 순환덕트(7)의 공기 배출구는 가스켓(23)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연통부(26)와 같이 제2연통부(27)가 터브의 원주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제2연통부(27)가 가스켓(27)에 구비되면 순환덕트(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드럼투입구(31)를 통해 드럼(3)의 중심부에 공급할 수 있어 세탁물과 공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터브(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열부는 순환덕트(7) 내부에 구비되는 팬(71) 및 히터(73)로 구비될 수 있다. 팬(71)은 제1연통부(26)를 통해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덕트(7)로 유입시킬 뿐만 아니라 순환덕트(7)로 유입된 공기를 제2연통부(27)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며 히터(73)는 팬(71)을 통해 제2연통부(27)로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제1연통부(26)와 제2연통부(27)는 캐비닛(1)이 지지되는 지면에 나란한 터브의 단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히터(73)는 순환덕트(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순환덕트(7)가 형성하는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순환덕트(7)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가열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히터(73)로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흡기덕트(81)를 통해 공급하고, 터브(2)에 공급된 열풍 중 일부는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흡기덕트(81)는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팬(71)으로 유입되는 유로 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기덕트(81)에 별도의 공기 유입 수단을 구비시키지 않고, 순환유로(71)에 구비된 팬(71) 만으로 터브(2) 내부의 공기 순환 및 터브(2) 외부의 공기를 순환덕트로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도 2는 흡기덕트(81)가 제1연통부(26)를 통해 터브(2) 외부의 공기를 순환덕트(7)로 유입시키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팬(71)이 회전하면 제1연통부(26)에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므로 터브(2) 내부의 공기 및 터브(2) 외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로 유입될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흡기덕트(81)는 흡기덕트(81)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수단(밸브 등)이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흡기덕트(81)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흡기덕트(81)는 제1연통부(26)에 연통하는 연통부(811), 연통부에서 순환덕트(7)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813)로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813)는 연통부(811)에서 터브(2)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연장부(813)는 연통부(811)에서 순환덕트(7)를 향해 연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세탁물의 세탁 중 세제에 의해 유발된 거품이 흡기덕트(81)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흡기덕트(81)에는 연장부(813)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F2)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필터(F2)는 순환덕트(7)에 구비되고 연장부(813)는 필터(F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흡기덕트(81)는 일단은 터브(2)에 고정되고 타단은 순환덕트(7)에 고정된다.
이는 순환덕트(7)가 터브(2)의 상부 원주면에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특징이다.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시스템의 관점에서 보면, 순환덕트(7)와 터브(2)는 거의 동일한 진동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흡기덕트(81)가 터브(2)와 순환덕트(7)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도 흡기덕트(81)의 내구성 유지가 가능하다.
만약, 순환덕트(7)가 터브(2)의 상부 원주면에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캐비닛(1)에 고정된 구조라면 순환덕트(7)는 터브(2)의 진동과 별개로 진동할 것이므로 별도의 진동흡수장치가 없으면 흡기덕트(81)의 내구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것이다.
배기덕트(83)는 순환덕트(7)를 통해 터브(2)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한 터브(2)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배기덕트(83)가 터브(2)의 상부 원주면에 구비된 제3연통부(28)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팬(71)에 의해 터브(2)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면 터브(2) 내부는 정압(positive pressure) 상태이므로 터브(2) 내부 공기 중 일부는 배기덕트(83)를 통해 대기압 상태인 터브(2) 외부로 배출되고, 터브(2) 내부 공기 중 나머지는 부압(negative pressure)상태인 제1연통부(26)를 통해 순환덕트(7)로 이동할 것이다.
순환덕트(7)를 통해 터브(2)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만이 배기덕트(8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덕트(83)의 단면적은 제1연통부(26)의 단면적(또는 순환덕트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브(2)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배기덕트(83)가 배출 가능한 유량과 흡기덕트(81)가 흡입 가능한 유량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배기덕트(83)는 터브(2) 내부와 캐비닛(1) 외부를 연통시켜 배기덕트(83)로 유입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부(6)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배기덕트(8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습도가 높은 공기이기 때문에 배기덕트(83)가 캐비닛(1)의 외부와 직접 연통하도록 구비되면 배기덕트(83)에서 배출된 공기가 실내 벽에 응결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6)가 구비되므로 배기덕트(83)가 배수부에 연결된다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덕트(83)와 배수부(6)의 연결점에는 배기덕트와 배수부(6)의 개폐를 제어하는 유로전환부(9)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기덕트(8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터브(2)로 재유입되는 것을 막고, 배수부(6)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터브(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배수부(6)는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유로(61) 및 펌프(63), 펌프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를 유로전환부(9)로 안내하는 제2배수유로(65), 유로전환부(9)로 유입된 물을 하수구와 같은 옥외 연통부(미도시)로 안내하는 제3배수유로(67)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덕트(83)와 배수부(6)의 연결점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9)는 터브(3)에 설정된 최고 수위(H, 도 6 참고)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제3배수유로(67)와 같이 옥외 연통부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악취가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3배수유로 내부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이하, water trap)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워터트랩이 구비된 배수부에 본 발명에 구비된 배기덕트(83)를 연결하면 세탁물의 건조 시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터브(2)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배수부에 배기덕트(83)를 연결할 경우, 제어부는 팬의 회전수 제어를 통해 워터트랩을 제거할 수 있는 압력으로 공기를 배출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유로전환부(9)가 터브(3)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면, 배기덕트(83)가 사이펀현상(siphon)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워터트랩은 유로전환부(9)와 펌프(63) 사이(제2배수유로)에 형성되어 악취가 터브(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83)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전환부(9) 및 제3배수유로(67)를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워터트랩을 제거하기 위한 팬(71)의 회전수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는 터브(2)에 설정된 최고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되더라도 세탁수가 배수부(6)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전환부(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9)는 배기덕트(83)와 제2배수유로(65)의 연결점에 구비되는 전환부 바디(91), 배기덕트(83)와 전환부 바디(91)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관(93), 제2배수유로(65)를 전환부 바디(91)에 연결하는 유로연결관(95), 제3배수유로(67)를 전환부 바디(91)와 연결하는 배출관(9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덕트연결관(93)과 유로연결관(95)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덕트연결관(93)은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로연결관(95)은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환부 바디(91) 내부에는 덕트연결관(93)을 개폐하는 전환밸브(99)가 구비된다. 전환밸브(99)는 덕트연결관(93)을 개폐하는 밸브바디(991), 밸브바디(991)를 전환부 바디(9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밸브 회전축(993)을 포함한다.
밸브바디(991)는 자중(dead weight)에 의해 덕트연결관(93)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2배수유로(65)를 통해 세탁수가 전환부 바디(91)로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덕트연결관(93)을 폐쇄한다.
한편, 유로전환부(9)가 상술한 구조만으로 구비되면 터브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덕트연결관(93)을 통해 터브(2)로 유입되는 것은 막을 수 있지만 터브(2)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로연결관(95)을 통해 터브(2)로 재공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배수유로(65)에 워터트랩이 발생되므로 배기덕트(83)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터브(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세탁물의 건조 전 세탁수의 배출이 없었던 경우라면 제2배수유로(65)에 워터트랩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전환부(9)는 유로연결관(95)을 개폐하는 유로밸브(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밸브(951)는 제2배수유로(65)를 통해 세탁수가 전환부 바디(91)로 유입될 때에만 유로연결관(95)을 개방하도록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에 필요한 물을 터브(2)에 공급하는 물공급부(4), 터브(2)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부(4)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과 터브(2)를 연결하는 급수유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41)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제공급부(5)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53), 세제저장부(53)와 터브(2)를 연결하는 터브공급관(55)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급수유로(43)는 세제저장부(5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급수밸브(41)를 개방시키기만 하면 세제저장부(53)에 저장된 세제 및 세탁에 필요한 물을 터브(2)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제저장부(53)는 프론트패널(11)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공급부(5)에는 세제저장부(53)가 프론트패널(11)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세제저장부(53)를 지지하는 바디(51)가 더 구비되고, 프론트패널(11)에는 세제저장부(53)가 인출되는 저장부 관통홀(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제저장부(53) 내부는 바디(51)와 연통되어야 하고, 터브공급관(55)은 바디(51)와 터브(2)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부(미도시)는 터브(2)의 냉각(터브 내부의 공기 응축)에 필요한 물을 터브(2)에 공급할 수 있도록 물공급부(4)를 제어(건조효율 향상)할 수 있다.
다만, 터브(2) 내부의 습한 공기가 세제공급부(5) 내에서 응축될 수 있고, 세탁물의 건조 중 터브(2)에 물을 공급하면 드럼(3)에 저장된 세탁물이 젖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공급관(55)과 터브(2)를 연통시키는 급수가이더(25)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급수가이더(25)는 워터트랩을 형성(항상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터브와 세제공급부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여 터브(2) 내부의 공기가 세제공급부(5)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물공급부(5)를 통해 터브(2)로 공급되는 물이 터브(2) 내주면을 따라 터브(3)의 바닥면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드럼(3) 내부의 세탁물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가이더(25)는 터브(3)의 상부 원주면에 구비된 제4연통부(29)에 구비될 수 있다.
제4연통부(2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터브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급수가이더(29)는 제4연통부(29)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랩바디(251), 트랩바디(251)의 원주면과 제4연통부(29)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고정판(253), 제4연통부(29)에 고정되며 터브공급관(5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트랩바디(251)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관(255)을 포함한다.
안내관(255)은 물을 트랩바디(251)로 안내하는 안내관 바디(255a), 안내관 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안내관 바디(255a)를 제4연통부(29)에 고정시키는 플랜지(255b)로 구비될 수 있다.
안내관 바디(255a)는 외주면이 트랩바디(251)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지름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물이 배출되는 안내관 바디(255a)의 하부면은 트랩바디(251)의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길이로 구비된다.
플랜지(255b)는 안내관 바디(255a)의 외주면과 제4연통부(29)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키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연통부(29)의 상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유로(43)를 통해 세제저장부(53)에 공급된 물은 터브공급관(55), 안내관 바디(255a)를 통해 트랩바디(251)로 공급되고, 트랩바디(251)로 공급된 물은 트랩바디(251)의 내주면과 안내관 바디(255a) 외주면 사이의 공간, 트랩바디(251) 외주면과 제4연통부(29)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터브(2)로 유입된다.
트랩바디(251)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항상 저장되고, 안내관 바디(255a)의 하부면(플랜지가 구비되지 않은 면)은 트랩바디(251)에 저장된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터브(2) 내부의 습한 공기는 세제공급부(5)로 공급되지 못한다.
또한, 상술한 급수가이더(25)는 드럼(3)의 회전중심(C1)을 지나는 수직선(X)으로부터 터브(2)의 너비방향(Y)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4연통부(29)에 구비되므로 건조 중 터브(2) 내부로 물을 공급하더라도 드럼(3)에 저장된 세탁물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드럼(3)의 원주면에 접하는 수직선(X1)과 터브(2)의 높이방향을 따라 터브의 원주면에 접하는 수직선(X2) 사이에 급수가이더(25)가 위치되도록 제4연통부(29)가 구비된다면 상술한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위치에 급수가이더(25)를 구비시키기 어렵다면 급수가이더(25)에 구비된 공급유로를 상술한 위치에 구비시킴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바디(251)를 제4연통부(29)에 고정시키는 고정판(253)은 트랩바디(251)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고, 하나의 고정판(253)과 다른 하나의 고정판(253) 사이에 구비된 공간은 트랩바디(251)의 물을 터브(2)로 유입시키는 유로가 된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판과 다른 하나의 고정판 사이에 구비된 공간 중 일부는 폐쇄면(259)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공간은 개방면(257)으로 구성하되 개방면(257)이 드럼(3)의 원주면에 접하는 수직선(X1)과 터브(2)의 원주면에 접하는 수직선(X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면 건조 중 터브(2)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개방면(257)은 제4연통부(29)의 중심(C2)을 지나고 터브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직선(Z)을 기준으로 드럼의 회전중심(C1)을 지나는 수직선(X)에서 먼 방향에 위치되는 반원 또는 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방면(257)이 호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개방면(257)의 길이는 트랩바디(251) 원주면 길이의 1/4 이상 1/2 미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도의 관점에서 보면, 호 형상 개방면(257)은 제4연통부(29)의 중심(C2)을 기준으로 중심각이 45도 이상 180도 미만이 되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술한 개방면(257)의 형상적, 위치적 특징들은 건조 중 급수 시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 급수시간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구현하는 건조시스템(세탁물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팬(71)이 작동하면 터브(2) 내부의 공기는 제1연통부(26)를 통해 순환덕트(7)로 유입되고, 순환덕트(71)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73)에 의해 가열된 뒤 제2연통부(27)를 통해 터브(2)로 공급된다. 터브(2)로 공급된 공기는 드럼(3)에 저장된 세탁물과 열교환한 뒤 제1연통부(26)를 향해 이동한다.
터브(2)는 캐비닛(1) 내부의 공기(또는 캐비닛 관통홀(19) 등을 통해 캐비닛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므로 터브(2) 표면의 온도는 터브(2)의 중심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드럼(3)에서 배출된 뒤 공기는 제1연통부(26)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므로 공기에 함유된 수분 중 일부는 터브(2) 내주면에 응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터브(2), 순환덕트(7), 팬(71) 및 히터(73)는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제습된 공기의 가열, 가열된 공기를 터브에 재공급하는 순환식 건조시스템(제1열교환유로 및 가열부)을 형성한다.
한편,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 중 일부는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제1연통부(26)를 통해 순환덕트(7)로 회수되며 이 과정에서 흡기덕트(81)를 통해 유입되는 터브(2) 외부의 공기와 혼합된다.
드럼(3)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연통부(26)로 이동하는 동안 터브(2)와 열교환하여 제습되지만 포량(드럼에 저장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순환덕트(7)로 회수되는 공기는 충분한 양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배기덕트(83)와 흡기덕트(81)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본 발명은 터브(2)에서 제1연통부(26)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를 배기덕트(83)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순환덕트(7)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의 양을 줄이고, 흡기덕트(8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공기(터브 외부의 공기)를 터브(2)에서 순환덕트(7)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히터(73)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흡기덕트(81), 팬(71), 히터(73) 및 배기덕트(83)는 터브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터브 내부에서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 중 일부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식 건조시스템(제2열교환유로 및 가열부)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환식 건조시스템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결합된 건조시스템을 통해 세탁물의 양이나 세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에 상관없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의 구현을 위해 상술한 배기덕트(83) 및 흡기덕트(81)는 건조 중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고, 흡기덕트(81)를 통해 순환덕트(7)로 유입되는 공기량(흡기량)과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배기량)은 거의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기량과 배기량이 동일할 때 건조효율이 가장 높지만 흡기량과 배기량을 일치시키기 어렵다면, 배기량이 흡기량에 비해 더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흡기량이 배기량에 비해 더 크면 터브(2)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의 양이 증가하고,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은 터브(2)가 제습해야 하는 공기량이 증가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흡기량이 배기량에 비해 더 크도록 흡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구비되면 냉각수의 사용 없이 세탁물을 건조할 때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배기량은 흡기량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건조시스템은 포량에 따라 건조시간이 증가될 위험이 있으나 본 발명은 물공급부(4)의 제어를 통해 본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즉, 본 발명이 구현하는 건조시스템은 제어부(미도시)가 세탁물의 건조 중 터브(2) 내주면에 물이 공급되도록 물공급부(4)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건조 중 물공급부(4)를 통해 터브(2)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물을 터브(2)에 공급하면 터브(2) 내주면이 급격히 냉각되므로 순환덕트(7)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는 낮게 유지(순환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건조도를 높게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공급부(4)를 통해 터브(2)로 공급되는 물은 급수가이더(25)에 의해 터브 내주면을 따라 배수부(6)로 이동되므로 드럼(3)에 저장된 세탁물이 물에 젖어 건조시간이 증가될 위험도 매우 낮다.
한편, 물의 절약을 위해 물공급부(4)를 통해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컨트롤패널(17)에는 터브에 물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제1모드 선택부(171), 터브에 물을 공급하지 않고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제2모드 선택부(17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1 (b) 참고).
한편, 상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순환덕트(7), 흡기덕트(81) 및 배기덕트(83)의 연결관계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터브(2)는 흡기덕트(81)를 통해 터브(2) 외부(캐비닛의 내부 또는 캐비닛의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고,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순환덕트(7, 연결덕트)를 통해 터브(2) 내부의 공기 중 일부를 흡기덕트(81)로 안내한다.
팬(71)과 히터(73)는 흡기덕트(81) 내부에 구비되며, 순환덕트(7)는 팬(71)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덕트(81)의 유로에 연결된다(순환덕트는 팬과 흡기덕트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됨).
본 실시예 역시 순환식 건조시스템은 제1열교환유로 및 가열부(71, 73)에 의해 형성되는데, 제1열교환유로는 터브(2), 순환덕트(7, 연결덕트), 팬(7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터브(2)에 안내하는 흡기덕트(81)의 일부 유로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기식 건조시스템은 제2열교환유로 및 가열부(71, 73)에 의해 형성되는데, 제2열교환유로는 흡기덕트(81), 터브(2) 및 배기덕트(8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역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터브(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단계(S30), 건조단계의 진행 중 드럼(3)을 기 설정된 모션(motion)에 따라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S50)로 구비될 수 있다.
건조단계(S30)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터브(2) 외부로 배출시킨 후 터브(2)에 재공급하는 순환과정(S31), 터브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를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과정(S33), 순환과정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에 터브 외부의 공기를 혼합시키는 흡기과정(S35), 터브(2)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과정(S37)를 포함한다.
순환과정(S31)은 팬(71)이 작동함으로써 터브(2)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이며, 팬(71)의 작동과 함께 개시된다. 순환과정(S31)에서는 터브(2) 내부의 모든 공기가 순환덕트(7)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터브(2)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순환과정(S31)을 통해 터브(2)로 재공급되지만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과정(S33)을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과정(S33)은 배기덕트(83)를 통해 진행되므로 배기과정(S33)을 통해 터브(2)에서 배출된 공기는 유로전환부(9) 및 제3배수유로(67)를 거쳐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이동한다.
흡기과정(S35)은 흡기덕트(81)를 통해 진행되며, 흡기덕트(81)는 순환덕트(7)와 터브(2)를 연결하는 제1연통부(26)에 구비되므로 팬(71)의 작동에 의해 순환과정(S31)이 개시되면 흡기과정(S35)도 개시된다고 볼 수 있다.
가열과정(S37)은 순환과정(S31) 및 흡기과정(S35)을 통해 순환덕트(7) 내부에서 혼합된 공기를 히터(73)가 가열하는 과정이다.
상술한 건조단계(S30)를 통해 본 발명은 가열된 공기의 공급,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의 제습,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의 재가열,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의 배기, 재가열된 공기를 세탁물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션실행단계(S50)는 건조단계(S30)의 진행 중 실행되는데, 제1모션과 제2모션 중 어느 하나만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모션의 실행과정(S53)과 제2모션의 실행과정(S51)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1모션 실행과정(S53)은 제1모션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으로 제1모션은 드럼(3)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되 세탁물이 드럼(3)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분리(낙하되지는 않음)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터브(2)로 공급되는 열풍과 세탁물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모션이다.
제1모션 실행과정(S53)은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이 세탁물의 자중보다 더 큰 제1회전수(기준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S531), 제1회전수보다 더 큰 회전수로 설정된 제2회전수로 드럼(3)을 회전시키는 과정(S533), 상기 두 과정(S531, S533)을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S531)과 제2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S533)에서 드럼(3)은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제1회전수 및 제2회전수는 세탁물이 드럼(3)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이므로 제1모션 실행과정(S53) 중 세탁물은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움직임을 보기에 될 것이다.
즉, 드럼(3)이 제1회전수로 회전하면 세탁물(L)은 드럼(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고(도 8 (b)), 드럼(3)이 제2회전수로 회전하면 세탁물(L)은 드럼(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지만 제1회전수로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드럼(3) 내주면에 더욱 밀착된다(도 8 (a)).
제1회전수보다 제2회전수가 크기 때문에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은 제1회전수로 드럼이 회전할 때보다 제2회전수로 드럼이 회전할 때가 더 크기 때문이다.
제1회전수와 제2회전수를 세탁물(L)이 드럼 내주면에 밀착되어 드럼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회전수로 설정한 것은 드럼(3) 내부에 열풍이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1모션에 의해 터브로 공급되는 열풍에 접촉 가능한 세탁물의 표면적이 극대화되므로 터브(2)로 공급되는 열풍과 세탁물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질 것이다.
한편, 제1회전수와 제2회전수를 달리 설정한 것은 드럼(3)에 구비된 관통홀(33)들이 세탁물에 의해 개폐하기 위함이다. 즉, 제2회전수로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열풍을 드럼(3) 내부에 가두고, 제1회전수로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드럼(3) 내부의 공기를 터브(2)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드럼(3)으로 유입된 열풍 중 일부는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뒤 터브(3)로 배출되지만, 드럼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드럼(3)에 구비된 관통홀(33)을 통해 세탁물과 열교환 없이 곧바로 터브(2)로 배출되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과 세탁물의 열교환 효율이 낮아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상술한 문제를 드럼의 회전수 제어로 해결할 수 있다.
세탁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세탁물은 드럼 내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될 것이고, 드럼(3)이 제2회전수로 회전하면 세탁물이 큰 원심력에 의해 드럼(3) 내주면에 밀착될 것이므로 제2회전수로 드럼이 회전하면 드럼(3) 내부의 열풍이 관통홀(33)을 통해 터브(2)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이 제1회전수로 회전하면 세탁물은 비교적 작은 원심력에 의해 드럼(3)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드럼(3) 내부의 열풍은 관통홀(33)을 통해 터브(2)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물과 열풍의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제2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S533)에 설정된 시간은 제1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S531)에 설정된 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드럼(3)에서 터브(2)로 열풍이 배출되는 시간(터브로 배출되는 열풍의 양)에 따라 순환덕트(7)로 이동하는 공기의 응축효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과 제2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은 일정한 비율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제1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과 제2회전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 비가 1:3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2모션 실행과정(S51)은 제2모션에 따라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으로, 제2모션은 드럼(3)의 회전과 드럼의 회전중단을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중심(C1)을 지나는 수평선(Y)의 상부에서 수평선(Y)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모션이다(세탁물의 교반 및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모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션 실행과정(S51)은 제3회전수로 드럼(3)을 회전시키는 과정(S511), 드럼(3)이 1회전(1 revolution)을 완료하기 전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S513), 상기 두 과정(S511, S513)을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S515)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회전수는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이 세탁물의 자중(dead weight)보다 더 크도록 설정되며, 제3회전수는 제1회전수 또는 제2회전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S513)은 세탁물이 드럼 높이의 절반(h) 이상 상승된 때 개시되므로 제2모션 실행과정의 진행 중 세탁물은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움직임(movement)을 보이게 될 것이다.
즉, 제3회전수로 드럼을 회전(S511)시키면 세탁물(L)을 드럼(3)의 내주면에 밀착된 채 드럼(3)과 함께 회전(도 9 (a))하고, 세탁물(L)이 드럼 높이의 절반(h) 이상 상승한 때 드럼의 회전을 중단(S513)시키면 세탁물은 수평선(Y)의 상부에서 수평선(Y)의 하부에 위치된 드럼(3)의 내주면을 향해 낙하(도 9 (b))한다.
제2모션에 의해 드럼(3)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노출되는 세탁물의 표면적은 증가하고, 세탁물(L)이 드럼(3) 내주면에 부딪치면 세탁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본 발명은 열풍과 세탁물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건조효율의 증가).
또한, 제2모션은 세탁물이 드럼(3)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드럼(3) 내부에서 서로 엉키는 것도 방지한다.
상술한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S513)은 드럼(3) 회전방향(드럼의 회전 중단 과정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드럼회전 방향)과 반대방향 토크(torque)를 드럼(3)에 공급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는 세탁물에 보다 큰 충격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S513)은 드럼(3)의 회전궤적 최저점(B)을 기준으로 세탁물이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된 경우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2모션은 도 9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도 9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드럼을 제3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과정(S511)과 드럼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과정(S513)은 기 설정된 시간이나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S515)되는데, 제3회전수는 제2모션이 반복될 때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모션이 다수 회 실행될 때 먼저 실행되는 제2모션에 설정된 제3회전수는 이어지는 제2모션에 설정된 제3회전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도 9 (d) 참고).
나아가, 드럼 회전 과정(S511)에 설정된 제3회전수는 제2모션이 반복될 때마다 증가하다가 기 설정된 횟수의 제2모션이 반복된 뒤에는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2모션의 실행이 반복될 때마다 제3회전수를 점진적으로 높이면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가 용이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2모션을 실행하는 과정(S51)은 제1모션을 실행하는 과정(S53)보다 먼저 실행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모션을 통해 세탁물이 드럼(3) 내부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모션의 실행 시 세탁물(3)이 드럼 내주면에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모션을 실행하는 과정(S53)에 설정된 시간은 제2모션을 실행하는 과정(S51)에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드럼(3) 내부로 공급되는 열에너지가 드럼(3)의 내부에 잔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탁물과 열풍의 열교환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술한 건조단계(S30) 및 모션실행단계(S50) 만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냉각수 공급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단계(S70)는 모션실행단계(S50)의 진행 중 터브(2) 내주면에 물을 공급하여 드럼(3)에서 배출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터브(2)의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냉각수 공급단계(S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조단계(S30)의 개시 전 냉각수 공급단계(S70)의 진행여부를 설정하는 모드선택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드선택단계(S10)는 사용자가 컨트롤패널(17)에 구비된 제1모드 선택부(171), 제2모드 선택부(173)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모드 선택부(171)는 모션실행단계(S50)의 진행 중 냉각수 공급단계(S70)를 실행하는 제어방법(일명, '터보건조모드')을 선택하는 수단이고, 제2모드 선택부(173)는 냉각수 공급단계(S70)를 실행하지 않고 모션실행단계(S50)를 진행하는 제어방법(일명 '바람건조모드')을 선택하는 수단이다.
한편, 모드선택단계(S10)는 드럼(3)에 저장된 세탁물의 양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냉각수 공급단계(S70)가 구비된 제1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어느 경우에나 본 발명 제어방법은 건조단계(S30)의 개시와 함께 제1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40)한다.
제1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제2모드가 선택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2모션 실행과정(S51)과 제1모션 실행과정(S53)만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그러나 제1모드가 선택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모션이 실행(S53)되는 동안 냉각수 공급단계(S70)를 실시하게 된다.
건조단계(S30)의 개시 초기에는 세탁물과 열풍의 열교환율이 낮다. 세탁물의 건조도는 세탁물이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거의 변화가 없다가 세탁물이 일정한 온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어야함 하기 때문이며, 건조단계(S30)의 후반으로 갈수록 드럼(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는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조단계(S30)의 개시와 함께 진행되는 제2모션이 실행될 때(S51) 보다 건조단계(S30)의 개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때 개시(제2모션의 실행이 종료된 뒤 개시)되는 제1모션의 실행(S53) 시 터브를 냉각시키는 것이 세탁물의 건조에 보다 유리하다.
나아가, 냉각수 공급단계(S70)는 제1모션에 구비된 단계들 중 드럼이 제2회전수로 회전하는 과정(S533) 중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물공급부(4)를 통해 터브(2)로 공급된 물이 우연히 드럼(3)을 향해 이동하게 되더라도 드럼(3) 내부의 세탁물을 적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드럼의 회전수가 높으면 드럼의 외주면에 충돌한 물은 드럼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기 때문).
이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건조단계(S30) 및 모션실행단계(S50)의 진행시간이 건조시간 설정단계(S20)에서 설정된 건조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80)하여 건조단계(S30) 및 모션실행단계(S50)를 종료하게 된다.
건조시간 설정단계(S20)는 건조단계(S30)의 개시 전 진행됨이 바람직한데, 건조시간 설정단계(S20)는 제어부(미도시)가 세탁물의 양에 근거하여 건조시간을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을 건조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프론트패널
13: 투입구 14: 도어 17: 컨트롤패널
2: 터브 26: 제1연통부 27: 제2연통부
28: 제3연통부 29: 제4연통부 3: 드럼
4: 물공급부 41: 급수밸브 43: 급수유로
5: 세제공급부 51: 바디 53: 세제저장부
55: 터브공급관 25: 급수가이더 251: 트랩바디
253: 고정판 255: 안내관 257: 개방면
259: 폐쇄면 6: 배수부 61: 제1배수유로
63: 펌프 65: 제2배수유로 67: 제3배수유로
7: 순환덕트(연결덕트) 71: 팬71 73: 히터
81: 흡기덕트 83: 배기덕트83 9: 유로전환부
91: 전환부바디 93: 덕트연결관 95: 유로연결관
951: 유로밸브 97: 배출관 99: 전환밸브

Claims (12)

  1.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 상기 터브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인출하여 다시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순환덕트,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터브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터브에 재공급하는 순환과정(process), 상기 터브로 공급된 공기 중 일부를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과정, 상기 순환과정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에 터브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과정,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과정이 구비된 건조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을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 중 제1모션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이 세탁물의 자중보다 더 큰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process);
    상기 제1회전수보다 더 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물을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의 개시 전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의 진행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는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2회전수로 회전되는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2회전수로 회전되는 동안에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물을 상기 건조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에 공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의 실행 전 수행되는 제2모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세탁물에 유발되는 원심력이 세탁물의 자중보다 더 큰 제3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드럼이 1회전(1 revolution)을 완료하기 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1회전을 완료하기 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은
    세탁물이 상기 드럼 높이의 절반 이상 상승된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1회전을 완료하기 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과정은
    상기 드럼의 회전궤적 최저점을 기준으로 세탁물이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된 경우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105542A 2013-09-03 2013-09-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42A KR101594368B1 (ko) 2013-09-03 2013-09-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472,631 US9359715B2 (en) 2013-09-03 2014-08-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BR102014021666-9A BR102014021666B1 (pt) 2013-09-03 2014-09-01 Método de controle de um aparato de tratamento de roupa
AU2014218474A AU2014218474B2 (en) 2013-09-03 2014-09-0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014135776/12A RU2578579C1 (ru) 2013-09-03 2014-09-02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JP2014179054A JP6563183B2 (ja) 2013-09-03 2014-09-03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410446068.2A CN104420148B (zh) 2013-09-03 2014-09-03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EP14183331.9A EP2843126B1 (en) 2013-09-03 2014-09-0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83332.7A EP2843120B1 (en) 2013-09-03 2014-09-0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S14183332.7T ES2642053T3 (es) 2013-09-03 2014-09-03 Aparato de tratamiento de rop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42A KR101594368B1 (ko) 2013-09-03 2013-09-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49A KR20150026549A (ko) 2015-03-11
KR101594368B1 true KR101594368B1 (ko) 2016-02-16

Family

ID=5258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42A KR101594368B1 (ko) 2013-09-03 2013-09-03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59715B2 (ko)
JP (1) JP6563183B2 (ko)
KR (1) KR101594368B1 (ko)
CN (1) CN104420148B (ko)
AU (1) AU2014218474B2 (ko)
BR (1) BR102014021666B1 (ko)
RU (1) RU257857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368B1 (ko) * 2013-09-03 201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71355B2 (ja) * 2015-09-15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装置
CN107620193B (zh) * 2016-07-15 2021-02-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烘干时间控制方法
KR20180065312A (ko) * 2016-12-07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00073062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5538A (ko) * 2018-12-18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00112166A (ko)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44287A (ko) * 2021-04-19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44286A (ko) * 2021-04-19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066007A1 (zh) * 2021-10-21 2023-04-2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衣物新风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04153A1 (de) 1968-10-19 1970-04-30 Passat Maschb Gmbh Trommeltrockner fuer Waesche
DE2332147A1 (de) 1973-06-25 1975-01-23 Bauknecht Gmbh G Waschtrockner
DK69581A (da) 1981-02-17 1982-08-18 Rasmussens J Ventilation Toerretumbler,isaer til brug i vaskerier
US6578225B2 (en) * 2000-05-25 2003-06-17 Skf Autobalance Systems Ab Low-speed prebalancing for washing machines
JP4194312B2 (ja) * 2002-07-22 2008-12-10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CA2434354C (en) * 2003-07-03 2008-10-14 Camco Inc. Clothes dryer with self speed regulated motor
KR100803119B1 (ko) 2003-08-26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행정 제어방법
AU2004210559B2 (en) 2003-10-21 2010-07-2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77433B2 (en) * 2004-02-17 2015-11-25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562552B1 (ko) * 2004-07-09 2006-03-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1138694B1 (ko) * 2004-11-30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행정 제어방법
US7525262B2 (en) * 2005-01-12 2009-04-28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0712849B1 (ko) * 2005-02-03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기기의 응축 구조
KR100692582B1 (ko) * 2006-03-24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 건조방법
KR101253641B1 (ko) 2006-04-17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6021B1 (ko) * 2007-01-30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냄새제거운전방법
PL2014822T3 (pl) * 2007-07-13 2011-09-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Sposób sterowania, do sterowania bębnową suszarką do prania przy suszeniu artykułów wełnianych
JP2009106566A (ja) * 2007-10-31 2009-05-21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ITTO20080337A1 (it) 2008-05-06 2009-11-07 Indesit Co Spa Macchina asciugatrice o lava-asciugatrice
US8966944B2 (en) 2008-08-01 2015-03-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13736B2 (en) 2008-08-01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674936B1 (ko) 2009-08-11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20040380A (ko) 2010-10-19 201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세탁장치
EP2458076B1 (en) * 2010-11-29 201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otatable-drum laundry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to dry delicate laundry
KR101290164B1 (ko) 2011-01-05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EP2581483B1 (en) 2011-10-13 2017-07-19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4368B1 (ko) * 2013-09-03 201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514114B (zh) * 2013-09-03 2017-10-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18474A1 (en) 2015-03-19
BR102014021666A2 (pt) 2018-05-08
AU2014218474B2 (en) 2015-11-05
US20150059202A1 (en) 2015-03-05
JP2015047504A (ja) 2015-03-16
KR20150026549A (ko) 2015-03-11
US9359715B2 (en) 2016-06-07
BR102014021666B1 (pt) 2021-11-16
CN104420148A (zh) 2015-03-18
JP6563183B2 (ja) 2019-08-21
CN104420148B (zh) 2017-04-12
RU2578579C1 (ru) 201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36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530169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560386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1027751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US2020027079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5841957B2 (ja) 縦型洗濯乾燥機
JP567170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56038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413438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EP2843126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JP201217926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382524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041888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2016144483A (ja) 洗濯乾燥機
KR10041888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8900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JP2013102860A (ja) 洗濯乾燥機
JP2013118946A (ja) 洗濯乾燥機
KR20030020765A (ko) 건조세탁기의 오버플로우장치
KR100418895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2013118945A (ja) 洗濯乾燥機
KR20020095367A (ko) 건조세탁기용 토출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