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90B1 -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90B1
KR101588990B1 KR1020147023507A KR20147023507A KR101588990B1 KR 101588990 B1 KR101588990 B1 KR 101588990B1 KR 1020147023507 A KR1020147023507 A KR 1020147023507A KR 20147023507 A KR20147023507 A KR 20147023507A KR 101588990 B1 KR101588990 B1 KR 10158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movable frame
operating mechanis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604A (ko
Inventor
게이지 고토
시게루 이나바
히로시 도토리
다케아키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Breake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반내 이동 기기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내 이동 기기를 직동 이송시키기 위한 직동 가이드 레인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반내 이동 기기가 장착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직동 가이드 레인 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직동 가이드체와,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된 캠 팔로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레버 삽입부가 형성된 조작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캠 팔로어와 맞물려지는 캠 가이드 레인이 형성된 캠과,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레버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캠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EXTERNAL MANIPULATION MECHANISM FOR INTERNAL MOVING DEVICE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반내(盤內) 이동 기기를 반(盤)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실용신안등록공개 소62-17721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으며, 이 전기 기기의 이동 장치는, 전기 기기가 고정된 가동 프레임의 양 외측면에 마련된 가동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와, 이것에 대응하여 고정 프레임의 양 내측면에 마련된 고정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를 서로 활동(滑動, 미끄러져 움직임)하도록 조합시켜 가동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에 수납하고, 한 쌍의 고정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에 그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 지지축의 일방의 축단(軸端)에 캠을, 타방의 축단에 그 둘레 가장자리에 필요한 톱니를 가지는 캠 기어를 서로 대칭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고정 프레임에 캠 기어의 톱니와 맞물려지는 치차를 마련함과 아울러, 치차를 조작 핸들에 의해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캠 기어가 캠 지지축과 함께 회동하도록 하며, 가동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의 양 외측면에 마련된 수평 방향의 캠 핀의 롤러가 각각 캠과 캠 기어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서 전동(轉動)하는 것에 의해, 캠 핀이 고정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캠 핀 안내 홈의 내부로 안내되어, 가동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가 고정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를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전후로 활동(滑動)하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의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로서는, 일본특허공개 2011-1054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으며, 이 회로 차단기의 차단기 본체 이송 장치는, 크래들(cradle)의 후방에 설치된 마운트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가 이송 가능하게 재치(載置)되는 캐리지(carriage)와, 캐리지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입 및 인출 핸들과, 인입 및 인출 핸들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지의 이송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동 수단과, 인입 및 인출 핸들을 지지하기 위한 거더 어셈블리(girder assembly)로 구성되어 있다. 인입 및 인출 핸들은, 상자체의 전방의 벽체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와, 리드 스크루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자체의 전방의 벽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너트와, 이송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자체에 고정되는 U자 모양의 브라켓과, 리드 스크루를 정역(正逆)회전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특허 문헌 1:일본실용신안등록공개 소62-177213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특허공개 2011-10544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는, 가동 프레임의 양 외측면에 마련된 가동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와 대응하여 고정 프레임의 양 내측면에 마련된 고정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에 그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 지지축을 마련하고, 이 캠 지지축의 일방의 축단에 캠을, 타방의 축단에 그 캠 기어를 서로 대칭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고정 프레임에 캠 기어의 톱니과 맞물려지는 치차를 마련함과 아울러, 치차를 조작 핸들에 의해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캠 기어를 캠 지지축과 함께 회동시키고, 가동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의 양 외측면에 마련된 수평 방향의 캠 핀의 롤러가 각각 캠과 캠 기어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서 전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반내 이동 기기의 양측에 가동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와 고정 프레임측 이동 안내체를 각각 마련할 필요가 있음과 아울러, 구동력의 입력측은 편측(片側)의 캠 기어측이며, 캠 기어의 구동력과 캠에 전달하기 위한 캠 지지축 등 구성 부품이 많아 복잡한 구조로 되어 버려, 고가의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가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는, 차단기 본체가 재치되는 캐리지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입 및 인출 핸들을 마련하고, 이 인입 및 인출 핸들은 상자체의 전방의 벽체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는 리드 스크루와, 이 리드 스크루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자체의 전방의 벽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이송 너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리드 스크루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리드 스크루의 나사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송 너트측의 치수(높이 방향)를 낮게 억제할 수 없으므로, 이동 기기인 차단기의 대차부(台車部)는 높이가 높게 되어 버려 이동 기기의 종류를 통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이동 기기와 접속되는 고정 프레임측도 전용품을 만들지 않으면 안되어 반(盤)을 구성하는데 있어서의 표준화에 큰 방해가 되고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반내 이동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는, 반내(盤內) 이동 기기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내 이동 기기를 직동(直動, 직선 이동) 이송시키기 위한 직동 가이드 레인(lane)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반내 이동 기기가 장착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직동 가이드 레인 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직동 가이드체와,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된 캠 팔로어(follower)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레버 삽입부가 형성된 조작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캠 팔로어와 맞물려지는 캠 가이드 레인이 형성된 캠과,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레버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캠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반내 이동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台車)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에 장착하고 반(盤)의 고정 프레임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와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와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가동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가동 프레임과 캠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도중의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에서 조작 레버의 장착 전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에서 조작 레버의 장착 도중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에서 조작 레버의 장착 후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도중의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도중의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 1 ~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 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에 장착하고 반(盤)의 고정 프레임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와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대차와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가동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가동 프레임과 캠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도중의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에서 조작 레버의 장착 전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에서 조작 레버의 장착 도중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에서 조작 레버의 장착 후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도중의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접속 도중의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계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서의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의 상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서, 1은 반(盤)의 고정 프레임, 2는 반내의 고정 프레임(1) 사이에 삽입 혹은 반내의 고정 프레임(1)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예를 들면 3상(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단기 본체, 3은 차단기 본체(2)에 마련된 주회로 접속 단자, 4는 차단기 본체(2)가 재치(載置)된 대차(台車), 5는 대차(4)의 차바퀴, 6은 정면 커버, 7은 정면 커버(6)에 장착된 손잡이, 8은 대차(4)의 가이드가 되는 차바퀴 레일부이다. 또, 차바퀴 레일부(8)에는 후술하는 외부 조작 기구(10)의 맞물림체(19)가 맞물려지는 걸림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10은 반내 이동 기기인 차단기 본체(2)를 외부 조작에 의해 반(盤)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외부 조작 기구이며, 이 외부 조작 기구(10)는 차단기 본체(2)가 재치된 대차(4)의 하부측에 장착되며, 다음의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1은 외부 조작 기구(10)의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프레임, 12는 이 베이스 프레임(11)에 형성된 직동(直動, 직선 이동) 가이드 레인(lane), 13은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측에 배치된 가동 프레임이며, 이 가동 프레임(13) 상에 차단기 본체(2)가 재치된 대차(4)가 재치된다. 가동 프레임(13)과 대차(4)는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대차 고정용 구멍(14)과 대차(4)에 마련된 장착 구멍(4a)을 이용하여 볼트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15는 가동 프레임(13)에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직동 가이드체이며, 직동 가이드체(15)는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전후로 직동한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가동 프레임(13)이 재치되며, 직동 가이드체(15)는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에 위치하도록 가동 프레임(13)에 장착되고, 직동 가이드체(15)는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전후로 직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6은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부에 배치된 외부 조작 기구(10)의 조작부이며, 후술하는 조작 레버의 레버 연결부가 삽입되는 레버 삽입부(17)가 형성되어 있다. 18은 조작부(16)의 양측으로 신장하여 배치된 지지체이며, 이들 지지체(18)의 단부에는 상술한 차바퀴 레일부(8)에 형성된 걸림 구멍(9)에 맞물려지는 맞물림체(19)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체(19)가 걸림 구멍(9)에 맞물려지는 것에 의해, 외부 조작 기구(10)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20은 캠이며, 이 캠(20)은 베이스 프레임(11)의 하면측에 핀(20a)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follower, 21)와 맞물려지는 캠 가이드 레인(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캠 팔로어(21)는 캠 가이드 레인(22) 내에 위치하도록 가동 프레임(13)에 장착되고, 캠 팔로어(21)는 캠 가이드 레인(22) 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캠(20)의 일단부는 캠 연결부(23)로서 구성되며, 조작부(16) 내의 레버 삽입부(17) 부근까지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다.
24는 외부 조작 기구(10)의 조작 레버이며, 조작 레버(24)의 일단부는 레버 연결부(25)로서 구성되고, 조작 레버(24)의 레버 연결부(25)는 조작부(16)의 레버 삽입부(17)에 삽입되어, 조작부(16) 내의 레버 삽입부(17) 부근까지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는 캠(20)의 캠 연결부(23)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 레버(24)는 조작부(16) 내의 레버 삽입부(17)의 폭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지지체(18)에는 외부 조작 기구(10) 전체를 대차(4)의 하부측에 배치 혹은 대차(4)의 하부측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조작 기구 손잡이(26)가 예를 들면 도 7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지지체(18)의 맞물림체(19)가 차바퀴 레일부(8)에 형성된 걸림 구멍(9)에 맞물려진 상태를 나타내며, 외부 조작 기구(10)가 반내에 확실히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은 차단기 본체(2)의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차단기 본체(2)를 접속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레버(24)를 접속 조작 방향(P)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4)와 연결된 캠(20)이 차단기 본체(2)의 상부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한다.
캠(20)이 반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하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전방측(반(盤)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안쪽 방향, 차단기 본체(2)의 접속 방향ㆍ삽입 방향을 말함)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전방측으로 직동한다.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직동 가이드체(15)가 장착된 가동 프레임(13)도 전방측으로 직동한다. 이 가동 프레임(13)이 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프레임(13)과 고정 상태의 차단기 본체(2)가 재치된 대차(4)도 전방측으로 직동한다.
조작 레버(24)를 접속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차단기 본체(2)의 접속 위치의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차단기 본체(2)를 인출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레버(24)를 인출 조작 방향(Q)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4)와 연결된 캠(20)이 차단기 본체(2)의 상부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한다.
캠(20)이 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하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후방측(반(盤)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바로 앞 방향, 차단기 본체(2)의 인출 방향을 말함)으로 이동한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후방측으로 직동한다.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직동 가이드체(15)가 장착된 가동 프레임(13)도 후방측으로 직동한다. 이 가동 프레임(13)이 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프레임(13)과 고정 상태의 차단기 본체(2)가 재치된 대차(4)도 후방측으로 직동한다.
조작 레버(24)를 인출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차단기 본체(2)의 인출 위치의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외부 조작 기구(10)의 동작을 도 8 ~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차단기 본체(2)가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차단기 본체(2)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는 차단기 본체(2)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 조작 레버(24)의 레버 연결부(25)는 조작부(16)의 레버 삽입부(17)에 삽입되며, 조작부(16) 내의 레버 삽입부(17) 부근까지 연장하여 배치되어 있는 캠(20)의 캠 연결부(23)와 연결되어 있다.
도 8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4)를 접속 조작 방향(P)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4)와 연결된 캠(20)이 핀(20a)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한다. 도 11은 차단기 본체(2)의 접속 도중에 상당하는 상태이며, 캠(20)이 핀(20a)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하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전방측으로 직동한다.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직동 가이드체(15)가 장착된 가동 프레임(13)도 전방측으로 직동한다.
도 11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4)를 접속 조작 방향(P)으로 더 회동시켜 접속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접속 위치인 최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최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최전방측으로 직동한다.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맨 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직동 가이드체(15)가 장착된 가동 프레임(13)도 접속 위치인 최전방측으로 직동하여 도 12의 상태가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접속 위치의 상태로부터 인출 위치로 되돌리려면, 조작 레버(24)를 인출 조작 방향(Q)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4)와 연결된 캠(20)이 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한다.
캠(20)이 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하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후방측으로 직동한다.
직동 가이드체(15)가 직동 가이드 레인(12) 내를 후방측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직동 가이드체(15)가 장착된 가동 프레임(13)도 후방측으로 직동하여 도 8에 나타내는 인출 위치의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외부 조작 기구(10)에서의 가동 프레임(13)이 없는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 13 ~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차단기 본체(2)가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가동 프레임(13)이 없는 상태이다. 도 14는 가동 프레임(13) 및 조작부(16)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는 가동 프레임(13) 및 조작부(16)가 없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24)의 레버 연결부(25)가 캠(20)의 캠 연결부(23)와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은 가동 프레임(13) 및 조작부(16)가 없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24)의 레버 연결부(25)가 캠(20)의 캠 연결부(23)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며, 차단기 본체(2)가 인출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가동 프레임(13) 및 조작부(16)가 없는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2)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은 가동 프레임(13) 및 조작부(16)가 없는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2)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4)를 접속 조작 방향(P)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4)와 연결된 캠(20)이 반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하고, 도 17에 나타내는 차단기 본체(2)의 접속 도중에 상당하는 상태가 된다. 도 17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24)를 접속 조작 방향(P)으로 더 회동시켜 접속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20)도 접속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더 회전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접속 위치의 상태로부터 인출 위치로 되돌리려면, 조작 레버(24)를 인출 조작 방향(Q)으로 회동시키면, 조작 레버(24)에 연결된 캠(20)이 시계 방향측으로 회전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인출 위치의 상태가 된다.
또, 도 19 ~ 도 21의 평면도에 의해 캠(20)과 가동 프레임(13)과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9는 차단기 본체(2)의 접속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며, 캠(20)은 핀(20a)을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캠(20)의 회동에 의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접속 위치인 최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최전방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도 접속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 프레임(13)에 재치된 대차(4)가 접속 위치로 이동하여, 대차(4)에 재치된 차단기 본체(2)가 접속되게 된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인출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며, 캠(20)은 핀(20a)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캠(20)의 회동에 의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인출 도중의 위치인 중간부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중간부측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도 인출 도중의 위치인 중간부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 프레임(13)에 재치된 대차(4)가 접속 위치로부터 인출 도중의 위치인 중간부측으로 이동하여, 대차(4)에 재치된 차단기 본체(2)도 접속 상태가 개방되어 인출 도중의 위치인 중간부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며, 캠(20)은 핀(20a)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더 회동하며, 캠(20)의 회동에 의해 가동 프레임(13)에 마련된 캠 팔로어(21)가 캠 가이드 레인(22)을 따라서 인출 위치로 더 이동하고 있다. 이 캠 팔로어(21)의 캠 가이드 레인(22) 내의 인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프레임(13)도 인출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 프레임(13)에 재치된 대차(4)가 인출 위치로 이동하여, 대차(4)에 재치된 차단기 본체(2)도 인출 위치로 인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 1에서의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에 의하면, 반내 이동 기기인 차단기 본체(2)가 재치된 대차(4)의 전후 방향의 이송을 조작 레버(24)의 회동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반내 이동 기기를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 조작 레버(24)는 반내 이동 기기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송이 필요할 때에 캠(20)과 연결시키고, 반내 이동 기기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송이 불필요할 때는 조작 레버(24)를 떼어내기 때문에, 주위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조작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 형태를 적절하게,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반내 이동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의 실현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5)

  1. 반내(盤內) 이동 기기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내 이동 기기를 직동(直動, 직선 이동) 이송시키기 위한 직동 가이드 레인(lane)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반내 이동 기기가 장착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직동 가이드 레인 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직동 가이드체와,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된 캠 팔로어(follower)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레버 삽입부가 형성된 조작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캠 팔로어와 맞물려지는 캠 가이드 레인이 형성된 캠과,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레버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캠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직동 가이드체는 2개 배치되며, 상기 직동 가이드 레인 내를 전후 방향으로 직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직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직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일단부는 레버 연결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캠의 일단부는 캠 연결부로서 구성되어 상기 조작부 내의 상기 레버 삽입부 부근까지 연장하여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 연결부는 상기 캠의 상기 캠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일단부는 레버 연결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캠의 일단부는 캠 연결부로서 구성되어 상기 조작부 내의 상기 레버 삽입부 부근까지 연장하여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레버 연결부는 상기 캠의 상기 캠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KR1020147023507A 2012-05-10 2012-07-24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KR101588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8144 2012-05-10
JP2012108144 2012-05-10
PCT/JP2012/068650 WO2013168300A1 (ja) 2012-05-10 2012-07-24 盤内移動機器の外部操作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604A KR20140117604A (ko) 2014-10-07
KR101588990B1 true KR101588990B1 (ko) 2016-01-26

Family

ID=4955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507A KR101588990B1 (ko) 2012-05-10 2012-07-24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619322B2 (ko)
KR (1) KR101588990B1 (ko)
CN (1) CN104126257B (ko)
DE (1) DE112012006011B4 (ko)
HK (1) HK1201642A1 (ko)
TW (1) TWI464987B (ko)
WO (1) WO2013168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6739A1 (en) * 2014-07-11 2016-01-13 ABB Technology AG Insertion-extraction-mechanism
DE112017006962T5 (de) * 2017-01-31 2019-10-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eistungsschalter
WO2019207665A1 (ja) * 2018-04-25 2019-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センタの機能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センタ
WO2024117445A1 (ko) * 2022-12-02 2024-06-06 엘에스일렉트릭 (주) 차단기의 트럭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810U (ko) * 1979-10-01 1981-05-13
JPS62177213A (ja) 1986-01-28 1987-08-04 Unitika Ltd 高分子量芳香族コ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法
JPS62177213U (ko) * 1986-04-24 1987-11-11
JPH0442711A (ja) * 1990-06-07 1992-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外部操作方式閉鎖形配電盤
JPH05190059A (ja) * 1992-01-14 1993-07-30 Toshiba Corp 引出形高圧交流電磁接触器
WO1997005680A2 (de) * 1995-07-31 1997-02-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mit steuerbarer verfahrbarkeit eines einschub-leistungsschalters
CN2279018Y (zh) * 1996-07-30 1998-04-15 张文立 抽出式开关柜限位、锁定装置
JP3704929B2 (ja) * 1997-12-17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閉鎖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KR100293424B1 (ko) * 1998-11-11 2001-08-07 이종수 기중 차단기의 외함으로부터 본체를 인입출 하기 위한 장치
CN2729973Y (zh) * 2004-07-20 2005-09-28 上海航星通用电器有限公司 低压成套开关设备中的抽屉推进机构
JP2007037285A (ja) * 2005-07-27 2007-02-08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高圧真空電磁接触器
JP5115688B2 (ja) * 2006-10-31 2013-01-0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引出し形受配電機器の鎖錠装置
KR101117975B1 (ko) * 2009-03-11 2012-03-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주회로 이송장치
KR101031965B1 (ko) * 2009-06-25 2011-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CN201674139U (zh) * 2010-05-26 2010-12-15 中煤电气有限公司 具有1/2m抽出式功能单元的低压开关柜
JP5505143B2 (ja) * 2010-07-07 2014-05-28 株式会社明電舎 配電盤引出形器具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6257B (zh) 2016-05-25
HK1201642A1 (zh) 2015-09-04
WO2013168300A1 (ja) 2013-11-14
JP5619322B2 (ja) 2014-11-05
DE112012006011B4 (de) 2019-10-31
CN104126257A (zh) 2014-10-29
KR20140117604A (ko) 2014-10-07
TW201347333A (zh) 2013-11-16
TWI464987B (zh) 2014-12-11
JPWO2013168300A1 (ja) 2015-12-24
DE112012006011T5 (de)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990B1 (ko)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KR101158604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60108493A (ko) 유압식 실린더 및 기어 배치를 사용하여 환자 지지 표면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EP2502473A1 (en) Fan tray that is installable and removable from the front and back of a network element chassis
JP2017502465A (ja) 電子モジュールの電子カードをシャーシのコネクタにプラグ接続する方法、これに関連した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関連した電子モジュール
JP2012060806A (ja) 引出形回路遮断器の出し入れ操作機構
EP2991606B1 (en) A ramp system
KR101454055B1 (ko)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구 인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닛을 구비한 장치
WO2013075646A1 (en) Flip device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EP2826116B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CN105020558A (zh) 一种显示屏的旋转机构
KR20150011130A (ko) 전동기 제어반
KR102072541B1 (ko)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541294B1 (ko) 전동기 제어반
WO2009060733A1 (ja) 配電盤
KR20140002079U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00096002A (ko) 이동체 구동 장치
KR20130004253U (ko) 차단기의 인출 장치
KR101541296B1 (ko) 전동기 제어반
KR101698108B1 (ko) 단로기의 수동 조작구조
CN105101733A (zh) 一种带照明功能的电气抽屉柜
JP2013135575A (ja) 引出形真空遮断器
JP2008113486A (ja) 引出形回路遮断器の引出装置
CN109038339B (zh) 推进机构、推进连锁装置及开关抽屉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