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296B1 - 전동기 제어반 - Google Patents

전동기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296B1
KR101541296B1 KR1020130104769A KR20130104769A KR101541296B1 KR 101541296 B1 KR101541296 B1 KR 101541296B1 KR 1020130104769 A KR1020130104769 A KR 1020130104769A KR 20130104769 A KR20130104769 A KR 20130104769A KR 101541296 B1 KR101541296 B1 KR 10154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unit
hole
guide
mo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228A (ko
Inventor
정승재
Original Assignee
정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재 filed Critical 정승재
Priority to KR102013010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2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회로 개폐 및 감시제어 기구 등이 단위 회로마다 구비된 단위 장치(unit)를 폐쇄된 케이스에 집합적으로 조립 수납된 장치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단위 장치 박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장착되는 단위 장치를 지지하는 바닥판재, 상기 단위 장치 박스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재와 함께 단위 장치 박스를 이루는 측면판재, 상기 바닥판재와 대향하여 상기 바닥판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재 및 상기 측면판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단위 장치 박스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고정판재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단계적으로 인/입출 되도록 제어하는 인/입출제어수단을 포함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터 제어반 내로 인출 및 인입되는 단위 장치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는 이송장치를 통해 인/출입이 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는 효과와, 외부로 반출시에 라쳇 레버와 스토퍼에 의한 1,2차 인출제어를 통해 다수개의 커넥터와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하고,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전동기 제어반의 단위 장치(unit)를 내부로 인입 또는 외부로 반출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되고, 특히 외부로 반출시에 1,2차 인출제어를 통해 다수개의 커넥터와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전동기 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제어반은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이하 'MCC'라 약칭함)는, 전동기의 개폐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 회로 개폐 및 감시제어 기구 등이 단위 회로마다 구비된 단위 장치(unit)를 폐쇄된 케이스에 집합적으로 조립 수납된 장치이다.
상기 전동기 제어반(MCC)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전원측에 연결된 전원측 전로(電路)부, 상기 전원측 전로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부하측에 전달하는 단위 장치(unit)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위 장치가 인/입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있는 단위 장치들을 인/입출을 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내부에 다 단으로 설치되는 고정판재와, 상기 고정판재 상에는 후면 내부 쪽에 단위 장치가 부착된 단위 장치 박스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판재와 단위 장치 박스 사이에는 인/입출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이동부재 및 전,후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동기 제어반(MCC)에 설치되는 단위 장치 중 예를 들어 제어유닛은 통상적으로 후면 내부는 모터제어를 위한 배선용 차단기(MCCB), 마그네트 스위치(Mg/SW), 변류기(CT), 과전류계전기 등이 구비되어 있고, 외부는 주모선에서 제어유닛에 전원을 연결하는 1차 커넥터와 제어유닛과 모터 부하 간의 연결을 위한 2차 커넥터 및 제어배선 연결용 3차 커넥터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최초 단위 장치(제어유닛 등) 박스 조립시 또는 유지보수, 시운전, 정격세팅 및 교체 등에 의해 작업자가 다수개의 커넥터의 결합 또는 해지를 수동으로 빈번하게 해야하는데, 단위 장치의 박스의 하단 좌,우측면에 구비된 바퀴가 이에 대응되는 가드레일에서 빠지는 등의 원활하지 못한 동작에 의하여 인/출입에 애로 상황이 발생하고, 상기 1,2,3차 커넥터를 단위 장치에서 분리하는 경우 수동으로 별도로 위치한 스토퍼와 안전제어장치의 걸쇠를 일일이 풀어줘야 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분리하는 과정(오른손으로 잡아당기면서 왼손으로 풀어주는 동작 수행 등)에서 사고 등의 안전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기 제어반의 단위 장치(unit)를 내부로 인입 또는 외부로 반출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되고, 특히 외부로 반출시에 1,2차 인출제어를 통해 다수개의 커넥터와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전동기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은, 회로 개폐 및 감시제어 기구 등이 단위 회로마다 구비된 단위 장치(unit)를 폐쇄된 케이스에 집합적으로 조립 수납된 장치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단위 장치 박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장착되는 단위 장치를 지지하는 바닥판재, 상기 단위 장치 박스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재와 함께 단위 장치 박스를 이루는 측면판재, 상기 바닥판재와 대향하여 상기 바닥판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재 및 상기 측면판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단위 장치 박스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고정판재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단계적으로 인/입출 되도록 제어하는 인/입출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에 의하면, 모터 제어반 내로 인출 및 인입되는 단위 장치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는 이송장치를 통해 인/출입이 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는 효과와, 외부로 반출시에 라쳇 레버와 스토퍼에 의한 1,2차 인출제어를 통해 다수개의 커넥터와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하고,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a, 1b는 종래 전동기 제어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판재에 구비한 스토퍼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쳇 레버가 단위 장치 박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판재에 구비한 스토퍼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전동기 제어반은, 단위 장치 박스(100), 바닥판재(200), 측면판재(300), 고정판재(400), 라쳇 레버(rachet lever, 500), 랙 기어(rack gear, 600), 이송장치(700) 및 인/입출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바닥판재(200)는 케이스(도 1 참조) 내부에 형성된 단위 장치 박스(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장착되는 단위 장치를 지지한다.
측면판재(300)는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재(200)와 함께 단위 장치 박스(100)를 이룬다.
고정판재(400)는 상기 바닥판재(200)와 대향하여 상기 바닥판재(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킨다.
라쳇 레버(500)는 상기 바닥판재(200)의 중앙 삽입공(210)에 체결되어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를 왕복시킨다.
랙 기어(600)는 상기 고정판재(400)에 체결되어 상기 라쳇 레버(500)와 연동하여 라쳇 레버(5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킨다.
이송장치(700)는 상기 바닥판재(200)와 고정판재(400)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를 왕복운동으로 인/출입시킨다.
인/입출제어수단(800)은 상기 측면판재(300)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고정판재(400)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410,420)에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단계적으로 인/입출 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811), 상기 몸체(811)의 상부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1차 절곡한 후 다시 상방으로 2차 절곡 형성하여 상기 1차 절곡면(812)에 '―' 형상으로 제1 관통 홀(813)을 형성하고, 상기 2차 절곡면(814)을 상기 측면판재(300)의 하부 일측면에 나사 체결하는 체결부(815)로 구성된 스토퍼 가이드(810) 및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몸체(810)에 체결되어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고정판재(400)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410,420)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스토퍼(8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820)는 끝단의 하방으로 상기 고정판재(400)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410,420)에 체결되는 걸림 턱(821)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삽입공(410 또는 420)에 체결되어 있는 걸림 턱(821)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가이드 홀(822) 및 스토퍼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홀(825)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 가이드 홀(822)은 '∧' 형상으로 스토퍼(820)를 관통 형성하며, 상기 관통 형성한 제1 가이드 홀(822)에 링(823)이 삽입되고, 상기 링(823)을 관통하여 고정볼트(824)가 상기 스토퍼 가이드(810)의 몸체(811)에 체결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홀(825)은 '―' 형상으로 스토퍼(820)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관통 형성한 제2 가이드 홀(825)에 링(826)이 삽입되고, 상기 링(826)을 관통하여 고정볼트(827)가 상기 스토퍼 가이드(810)의 몸체(811)에 체결된다.
또한, 도 3에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820)는 상기 걸림 턱(821)이 형성된 끝단의 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면(828)에 내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제2 관통 홀(829)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관통 홀(829)을 관통한 고정볼트(832)가 스프링(830)을 통과하여 스프링 고정 와셔(831)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스토퍼 가이드(810)의 체결부(815)의 제1 관통 홀(813)을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쳇 레버가 단위 장치 박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위 장치의 1차 인출을 위해 라쳇 레버(50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 기어(600)에 의해 바닥판재(200)에 체결되어 있는 가이드 바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장치(700, 예를 들어 볼 캐스터 등)가 상기 라쳇 레버(50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된다.
이때, 측면판재(300)에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820)의 걸림 턱(821)이 스프링(830)에 의해 상기 고정판재(400)에 형성된 삽입공(410)에 삽입되면서 1차 인출을 제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2차 인출을 위해 상기 라쳇 레버(50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서 상기 스토퍼(820)를 내측으로 밀면 제1 가이드 홀(822)에 의해 상기 삽입공(410)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턱(821)이 들어 올려져 삽입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장치(700)에 의해 라쳇 레버(50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토퍼(820)의 걸림 턱(821)이 스프링(830)에 의해 상기 고정판재(400)에 형성된 삽입공(420)에 삽입되면서 2차 인출을 제한한다.
이때, 제2 가이드 홀(825)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볼트(827)에 의해 스토퍼(820)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거리를 제한하여 스토퍼(820)가 내측으로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외부 인출을 위해 상기 라쳇 레버(500)의 손잡이를 다시 잡아당기면서 상기 스토퍼(820)를 내측으로 밀면 제1 가이드 홀(822)에 의해 상기 삽입공(420)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 턱(821)이 들어 올려져 삽입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장치(700)에 의해 라쳇 레버(500)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단위장치 박스(100)가 외부로 완전히 인출된다.
한편, 상기 단위 장치 박스(100)를 인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출 과정과 정반대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단위 장치 박스 200 : 바닥판재
300 : 측면판재 400 : 고정판재
500 : 라쳇 레버 600 : 랙 기어
700 : 이송장치 800 : 인/입출제어수단
810 : 스토퍼 가이드 811 : 몸체
812 : 1차 절곡면 813 : 제1 관통 홀
814 : 2차 절곡면 815 : 체결부
820 : 스토퍼 821 : 걸림 턱
822 : 제1 가이드 홀 823, 826 : 링
824, 827, 832 : 고정볼트 825 : 제2 가이드 홀
828 : 절곡면 829 : 제2 관통 홀
830 : 스프링 831 : 스프링 고정 와셔

Claims (5)

  1. 회로 개폐 및 감시제어 기구 등이 단위 회로마다 구비된 단위 장치(unit)를 폐쇄된 케이스에 집합적으로 조립 수납된 장치인 전동기 제어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단위 장치 박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장착되는 단위 장치를 지지하는 바닥판재;
    상기 단위 장치 박스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재와 함께 단위 장치 박스를 이루는 측면판재;
    상기 바닥판재와 대향하여 상기 바닥판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재; 및
    상기 측면판재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단위 장치 박스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고정판재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단계적으로 인/입출 되도록 제어하는 인/입출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인/입출제어수단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1차 절곡한 후 다시 상방으로 2차 절곡 형성하여 상기 1차 절곡면에 '―' 형상으로 제1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2차 절곡면을 상기 측면판재의 하부 일측면에 나사 체결하는 체결부로 구성된 스토퍼 가이드 및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단위 장치 박스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고정판재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끝단의 하방으로 상기 고정판재에 형성한 다수개의 삽입공에 체결되는 걸림 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 장치 박스를 인출 또는 인입시에 상기 삽입공에 체결되어 있는 걸림 턱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한 제1 가이드 홀 및 스토퍼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가이드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홀은 '∧' 형상으로 스토퍼를 관통 형성하며, 상기 관통 형성한 제1 가이드 홀에 링이 삽입되고, 상기 링을 관통하여 고정볼트가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몸체에 체결하며,
    상기 제2 가이드 홀은 '―' 형상으로 스토퍼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관통 형성한 제2 가이드 홀에 링이 삽입되고, 상기 링을 관통하여 고정볼트가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몸체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걸림 턱이 형성된 끝단의 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면에 내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제2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관통 홀을 관통한 고정볼트가 스프링을 통과하여 스프링 고정 와셔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체결부의 제1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제어반.
KR1020130104769A 2013-09-02 2013-09-02 전동기 제어반 KR10154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69A KR101541296B1 (ko) 2013-09-02 2013-09-02 전동기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69A KR101541296B1 (ko) 2013-09-02 2013-09-02 전동기 제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28A KR20150026228A (ko) 2015-03-11
KR101541296B1 true KR101541296B1 (ko) 2015-08-05

Family

ID=5302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69A KR101541296B1 (ko) 2013-09-02 2013-09-02 전동기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253B (zh) * 2018-05-21 2023-12-29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白城供电公司 一种电控箱的输送机控制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55B1 (ko) 2006-01-05 2006-07-28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55B1 (ko) 2006-01-05 2006-07-28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모터 콘트롤 센터의 제어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28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217B2 (en) Inverter apparatus
KR100505052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KR101191159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US8993901B2 (en) Inverter stack
EP2453539A2 (en) Undercarriage and keylock assembly for use with a circuit breaker
EP2775606B1 (en) Inverter device
CN1364331A (zh) 用于模制外壳断路器的抽出式装置
KR101541296B1 (ko) 전동기 제어반
KR20150011130A (ko) 전동기 제어반
EP2259396A2 (en) Assembly for locking a component on a rail
KR101541294B1 (ko) 전동기 제어반
EP2067223B1 (en) Modular electrical device, particularly for switches, sockets and other electrical components to be applied to a wall
WO2013065602A1 (ja) 運搬用カート
JP5821534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US707863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n electric switch
KR101627678B1 (ko) 저압 전동기 제어반 유닛의 3단 인출입 장치
CN102347154A (zh) 一种微型开关机械互锁机构
KR100954559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CN210806410U (zh) 一种低压成套开关柜
CN204632710U (zh) 保险模块
EP2874173B1 (en) Flexible cable assembly providing local lockout
CN220325106U (zh) 高低压配电柜
WO2019048067A1 (de) Relaissock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