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41B1 -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41B1
KR102072541B1 KR1020180088963A KR20180088963A KR102072541B1 KR 102072541 B1 KR102072541 B1 KR 102072541B1 KR 1020180088963 A KR1020180088963 A KR 1020180088963A KR 20180088963 A KR20180088963 A KR 20180088963A KR 102072541 B1 KR102072541 B1 KR 10207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hole
rack gear
connection rele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to KR102018008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2)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10);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에 장착된 구동모터(30);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와 상기 발판(20)이 회전할 때에 상기 발판(20)이 상기 베이스 패널(10)을 기준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전달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Vehicle subsidiary foot panel with automatic mode and manual mode exchang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합차나 버스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자동 및 수동 전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나 승합차 등과 같은 다인승차량은 차체가 높아 탑승객들의 승하차시 용이하지 못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특히, 유치원이나 각종 학원 등과 같이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은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에는 어린이들이 차량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신체에 맞는 보조발판장치를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의 일례로, 차량의 승강구 하측에 차량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는 보조발판장치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51311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 보조발판장치는 차량의 출입구 저면에 슬라이드블록이 고정되어 있고, 보조발판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차량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바아가 구비되어 있고, 차량의 저면에는 구동모터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와 보조발판에는 피니언기어와 랙기어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차량의 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보조발판을 차량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한다.
한편, 기존에 차량의 도어가 설치된 계단 부분에 고정 지지패널이 설치되고, 고정 지지패널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발판 기단부의 가이드 바아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샤프트 회전에 의해 발판이 차량의 차체에서 옆으로 인출되는 구조의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그런데, 차량의 탑승구에서 발판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자동으로 탑승구 쪽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발판이 차량의 탑승구에서 돌출된 상태로 방치되거나 차량의 탑승구 아래로 들어가서 자동으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차량 배터리를 사용하여 보조발판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터리가 소진되거나 구동모터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이러한 보조발판장치의 발판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수납되지 못하는 작동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발판이 자동 모드에서 제대로 인출되거나 수납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차량 운행 등에 있어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생기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1042호(1999.07.26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2041호(1998.08.17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9700호(1998.10.2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차나 버스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하고 편안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면서도 하면서도 필요시 자동 및 수동 전환이 편리하게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10); 상기 베이스 패널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발판; 상기 발판에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샤프트와 상기 발판이 회전할 때에 상기 발판이 상기 베이스 패널을 기준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전달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랙기어; 상기 구동모터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랙기어의 일단부측에 구비된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에 결합된 회동 기준핀;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의 타단부에 인접 배치된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에서 상기 랙기어의 타단부에 연결된 픽싱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을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후단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좌우 측단부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싱 고정구는,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을 통과하여 상기 랙기어의 타단부에 연결된 픽싱볼트; 상기 픽싱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를 상기 회동 기준핀을 기준으로 당겨주는 픽싱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패널은 상기 랙기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전방 패널 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은 상기 전방 패널 벽부에 구비되고, 상기 픽싱너트는 상기 전방 패널 벽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픽싱볼트에 결합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된 보조 회동 기준핀; 상기 랙기어의 양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이 삽입된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은 상기 랙기어의 양쪽 측단부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의 일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커넥션 픽싱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패널의 내부 공간부에는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바아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바아에는 각각 이동블록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록에는 마운팅 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패널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가 상기 베이스 패널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랙기어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블록에는 상기 가이드 바아와 나란하도록 가이드 바아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아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을 기준으로 인출되는 상기 발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바아에는 볼트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에 구비된 전단 발판벽부에 결합된 연결볼트가 상기 가이드 바아의 상기 볼트 결합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는 차량의 탑승구에서 발판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자동으로 탑승구 쪽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발판이 차량의 탑승구에서 돌출된 상태로 방치되거나 차량의 탑승구 아래로 들어가서 자동으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수동 모드로 전환하여 발판을 차량의 탑승구 밑으로 밀어넣거나 차량의 탑승구 아래에서 밖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 등에 있어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생기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주요 효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와 하부 커버판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커버판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를 차량의 탑승구 아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의 자동 모드에서 발판의 인출과 수납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의 수동 모드에서 발판의 인출과 수납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치합된 자동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치합된 상태가 해제된 수동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치합된 자동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치합된 상태가 해제된 수동 모드를 보여주는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2)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는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10)과, 이러한 베이스 패널(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발판(20)과, 상기 발판(20)에 장착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와 발판(20)이 회전할 때에 발판(20)이 베이스 패널(10)을 기준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전달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은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의 저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차량(2)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미도시)에 베이스 패널(10)의 양측이 체결구로 고정됨으로써, 차량(2)의 탑승구(3) 저면에 베이스 패널(10)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 패널(10)은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및 양쪽 측단 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및 양쪽 측단 벽부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패널(10)은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및 양쪽 측단 벽부에 상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편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데, 지지편은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및 측단 벽부의 일부를 절곡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지지편에 하부 커버판(12)이 접촉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커버판(12)에는 지지편의 체결구홀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커버판(12)의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를 베이스 패널(10)의 지지편의 체결구홀에 조여줌으로써 하부 커버판(12)을 베이스 패널(10)의 아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커버판(12)에 의해 베이스 패널(10) 내부의 공간부가 밑으로 개방되어 있지 않고 막혀 있게 된다. 즉, 베이스 패널(10)은 하부 커버판(12)이 밑에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막혀 있는 공간부가 확보된 판 구조를 이룬다. 정리하면, 베이스 패널(10)에는 하부 커버판(12)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커버판(12)에 의해 베이스 패널(10) 내부의 공간부에 수납된 구동모터(30)와 베이스 패널(10)의 공간부로 진입하는 가이드 바아(18)의 일부를 막아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는 인출 가이드홀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인출 가이드홀이 연통되어 있다. 인출 가이드홀은 원형홀 형태이다. 이러한 인출 가이드홀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10)의 양쪽 측단 벽부 사이의 전후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인출 가이드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는 베이스 가이드 바아(14)가 구비된다.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에 연결되나다. 베이스 가이드 바아(14)는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 가이드 바아(14)는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 복수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베이스 가이드 바아(14)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두 개의 베이스 가이드 바아(14)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에는 각각 이동블록(1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블록(16)의 내부에는 전단부와 후단부로 연통된 슬라이드홀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이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에 각각 이동블록(1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 두 개의 이동블록(16)이 내장된 상태에서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동블록(16)에는 슬라이드홀의 옆에 배치되도록 바아 결합홀이 구비된다. 바아 결합홀은 이동블록(16)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슬라이드홀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록(16)은 전후단으로 연통된 슬라이드홀이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상기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이동블록(16)의 바아 결합홀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 형성된 인출 가이드홀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정렬된다.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사이의 영역에 인출 가이드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인출 가이드홀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 가이드홀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연통되는데, 인출 가이드홀의 중심부와 이동블록(16)의 바아 결합홀의 중심부가 동일 축선상에 정렬된다. 이때, 베이스 가이드 바아(14)는 단면 원형 바아 형상이고 이동블록(16)의 베이스 가이드 바아(14)홀도 원형홀이고, 바아 결합홀도 원형홀이며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 인출 가이드홀도 원형홀이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인출 가이드홀에 가이드 바아(1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바아(18)는 단면 원형 바아 형상이다. 또한, 가이드 바아(18)의 후단부측 일부는 이동블록(16)에 형성된 바아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가이드 바아(18)가 이동블록(16)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블록(16)이 베이스 패널(10) 내부의 공간부에 두 개가 나란하게 배열되므로, 두 개의 가이드 바아(18)가 베이스 패널(10)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베이스 패널(10)의 인출 가이드홀을 따라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로 인출되거나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로 수납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가이드 바아(18)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서 앞으로 나오고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바아(18)의 전방 패널 벽부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체결구 결합홀은 볼트홀 형태이다.
상기 발판(20)은 가이드 바아(18)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바아(18)가 베이스 패널(10)의 인출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드됨에 따라 차량(2)의 탑승구(3)에서 차체 바깥으로 인출되고 차체 안쪽 영역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20)이 가이드 바아(18)에 연결되어 있어서 가이드 바아(18)가 베이스 패널(10) 전방 패널 벽부에서 인출되고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감에 따라 발판(20)도 베이스 패널(10)에서 차량(2)의 차체 바깥으로 인출되고 베이스 패널(10)로 다시 수납된다.
상기 발판(20)의 내부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브라켓이 가이드 바아(18)에 연결됨으로써 가이드 바아(18)와 함께 발판(20)이 베이스 패널(10) 쪽으로 수납되고 베이스 패널(10)에서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선단부에 바아 연결편이 구비되므로, 브라켓을 측면에서 볼 때에 브라켓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바아 연결편에는 체결구홀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바아(18)의 일부가 발판(20)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바아 연결편에 구비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이 체결구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구를 가이드 바아(18)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주면 가이드 바아(18)에 발판(20)이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두 개의 가이드 바아(18)에 발판(20)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두 개의 브라켓이 상기와 같이 연결되어서, 두 개의 가이드 바아(18)가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서 전방 패널 벽부 바깥으로 인출되거나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로 들어가면, 상기 발판(20)이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서 차량(2)의 차체 바깥으로 나오거나 차량(2)의 차체 영역으로 들어가는 작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16)에는 마운팅 브라켓(32))이 결합되어 있다. 마운팅 브라켓(32)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두 개의 이동블록(16)의 저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차량(2)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를 차량(2)의 탑승구(3) 저면 위치에 고정할 때에 베이스 패널(10)의 상면부가 차량(2)의 탑승구(3) 저면을 향하고 베이스 패널(10)의 저면이 지면을 향하게 되고 상기 이동블록(16)의 저면도 지면을 향하게 되는데, 상기 마운팅 브라켓(32)이 두 개의 이동블록(16)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마운팅 브라켓(32)의 저면도 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마운팅 브라켓(32)의 상면은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마운팅 브라켓(32)의 상면과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 사이에는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 바아(18)를 베이스 패널(10)의 인출 가이드홀에서 슬라이드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2)에 구동모터(30)가 장착된다. 마운팅 브라켓(32)의 상면과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의 안쪽면과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데, 구동모터(30)가 모터 브라켓과 체결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32)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0)가 마운팅 브라켓(32)과 베이스 패널(10) 사이에 확보된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즉, 구동모터(30)가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서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고 베이스 패널(10) 내부의 공간부에 내장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는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10)이 차량(2)의 차체 저면에 장착되었을 때에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을 수평 방향이라 하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로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41)는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랙기어(41)의 복수개의 기어이빨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43)는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에 구비된다. 피니언 기어(43)의 중심부가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에 감속기어군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에 동축적으로 피니언 기어(43)의 중심부가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이 랙기어(41)의 기어이빨에 치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어 어셈블리의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전달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기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들이 치합되어 있는 동력 전달 상태와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들이 치합된 상태를 해제는 동력 전달 해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 회동 기준핀(54),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 픽싱 고정구(58)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은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랙기어(41)의 일단부측에 구비된다. 상기 랙기어(41)에 양면으로 연통된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은 랙기어(41)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은 랙기어(41)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장홀 형상이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에는 회동 기준핀(54)이 구비되고, 회동 기준핀(54)은 랙기어(41)의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에 결합된다.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에 회동 기준핀(54)이 고정되고, 상기 회동 기준핀(54)이 랙기어(41)에 형성된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과 회동 기준핀(54)은 랙기어(41)가 회동될 수 있는 힌지부를 구성한다. 상기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상기 랙기어(41)를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랙기어(41)의 기어이빨과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이 서로 치합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상기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상기 랙기어(41)를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랙기어(41)의 기어이빨이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에 치합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이 구비된다.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은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다.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의 안쪽면에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가 인접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이 구비되므로,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이 랙기어(41)의 타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은 베이스 패널(10)의 좌우 측단부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이 베이스 패널(10)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경로인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픽싱 고정구(58)는 베이스 패널(10)의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에서 랙기어(4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이 구비되는데, 상기 픽싱 고정구(58)가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에서 랙기어(41)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픽싱 고정구(58)는 픽싱볼트(58A)와 픽싱너트(58B)로 구성된다.
상기 픽싱볼트(58A)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 형성된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픽싱너트(58B)는 픽싱볼트(58A)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41)를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당겨준다. 상기 베이스 패널(10)은 랙기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전방 패널 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은 전방 패널 벽부에 구비되고, 상기 픽싱너트(58B)는 전방 패널 벽부의 바깥쪽에서 픽싱볼트(58A)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픽싱너트(58B)를 픽싱볼트(58A)를 기준으로 조여주면, 상기 픽싱너트(58B)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의 바깥쪽 면에 가압되고 상기 픽싱볼트(58A)를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 쪽으로 당겨주는데, 상기 픽싱볼트(58A)에 랙기어(41)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픽싱볼트(58A)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랙기어(41)도 상기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베이스 패널(10)의 앞쪽으로 당겨주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보조 회동 기준핀(54SP)과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다.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에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이 구비된다.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베이스 패널(10)의 전단 패널 벽부와 후단 패널 벽부 사이의 경로에 구비되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베이스 패널(10)의 상면 패널의 안쪽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은 랙기어(41)의 양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은 랙기어(41)의 상하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이 랙기어(41)에 형성된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에 삽입된다.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은 랙기어(41)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이 랙기어(4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의 일단부에는 커넥션 픽싱홀(56FH)이 더 구비된다. 커넥션 픽싱홀(56FH)은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넥션 픽싱홀(56FH)은 랙기어(4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라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션 픽싱홀(56FH)은 랙기어(4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차량(2)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는 차량(2)의 탑승구(3) 앞으로 인출되고 차량(2)의 탑승구(3) 밑으로 들어가는 발판(20)을 자동으로 인출시키거나 밀어넣는 자동 모드와 발판(20)을 수동으로 인출시키거나 밀어넣는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 모드에서는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 치합된다. 상기 랙기어(41)의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기어이빨이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에 치합된다. 자동 모드에서는 랙기어(41)가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랙기어(41)의 기어이빨이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에 치합된다.
이때, 상기 픽싱너트(58B)가 픽싱볼트(58A)에 조여져서 베이스 패널(10)의 전단 패널 벽부에 밀착되는 한편, 상기 픽싱볼트(58A)는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의 좌우 내측단을 구성하는 커넥션 내측단과 릴리스 내측단 중에서 상기 커넥션 내측단에 걸려져 있다. 동시에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당겨져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 회동 기준핀(54)은 상기 랙기어(41)의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전방 내측단과 후방 내측단 중에서 후방 내측단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커넥션 픽싱홀(56FH)에 들어가서 가압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 모드에서는 랙기어(41)가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43)에 치합되어 있어서,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에 구비된 피니어 기어가 회전하면서 베이스 패널(10)에 장착된 랙기어(41)를 따라 구동모터(30)와 피니언 기어(43)가 전후진되는데, 상기 구동모터(30)가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32)은 베이스 패널(10)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이동블록(16)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록(16)은 베이스 패널(10) 내부 공간부의 베이스 가이드 바아(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16)에는 가이드 바아(18)가 연결되어 있고, 가이드 바아(18)에는 발판(2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모터(30)와 피니언 기어(43)가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와 후방 패널 벽부 사이에서 전후진 작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아(18)와 이에 연결된 발판(20)이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서 인출되고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패널 벽부에서 후방 패널 벽부 방향으로 수납될 수 있다. 자동 모드에서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발판(20)이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밖으로 나오거나 차량(2)의 탑승구(3) 아래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동 모드에서 수동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단 패널 벽부의 바깥면에 가압 밀착되어 있는 픽싱너트(58B)를 풀어준다. 그러면, 상기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당겨져 있는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 회동 기준핀(54)은 상기 랙기어(41)의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전방 내측단과 후방 내측단 중에서 후방 내측단에 가압 밀착된 상태도 해제되고,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커넥션 픽싱홀(56FH)에 가압 밀착된 상태 역시 해제된다.
다음, 상기 랙기어(41)를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피니언 기어(43)의 바깥쪽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피니언 기어(43)와 랙기어(41)가 치합된 상태를 해제한다.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의 옆쪽으로 벗어나도록 회동되어, 랙기어(41)의 기어이빨이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과 치합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가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의 치합이 해제된 릴리스 모드가 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전단부)에 연결된 픽싱볼트(58A)에는 픽싱너트(58B)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픽싱너트(58B)를 사람이 손으로 잡고서 픽싱볼트(58A)가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랙기어(41)를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랙기어(41)의 기어이빨이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과 치합된 상태가 해제되는 릴리스 모드에서는 상기 픽싱볼트(58A)가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의 릴리스 내측단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픽싱볼트(58A)에서 풀어주었던 픽싱너트(58B)를 다시 조여준다. 그러면, 픽싱너트(58B)가 베이스 패널(10)의 전단 패널 벽부에 다시 가압 밀착되는 한편, 상기 픽싱볼트(58A)는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의 좌우 내측단을 구성하는 커넥션 내측단과 릴리스 내측단 중에서 상기 릴리스 내측단에 걸려져 있다. 동시에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다시 당겨져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 회동 기준핀(54)은 상기 랙기어(41)의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전방 내측단과 후방 내측단 중에서 후방 내측단에 다시 가압 밀착되고,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커넥션 픽싱홀(56FH)을 벗어나서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에 가압 밀착된다. 상기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 치합된 상태가 해제된 릴리스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릴리스 상태가 수동 모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수동 모드에서는 베이스 패널(10)을 기준으로 발판(20)을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바깥쪽으로 끌어내거나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안쪽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상기 발판(20)이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앞으로 나와 있는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발판(20)을 차량(2)의 탑승구(3) 아래로 밀어넣을 수 있고, 발판(20)이 차량(2)의 탑승구(3)에서 아래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발판(20)을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바깥으로 당겨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2)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는 차량(2)의 탑승구(3)에서 발판(20)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자동으로 탑승구(3) 쪽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발판(20)이 차량(2)의 탑승구(3)에서 돌출된 상태로 방치되거나 차량(2)의 탑승구(3) 아래로 들어가서 자동으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수동 모드로 전환하여 발판(20)을 차량(2)의 탑승구(3) 밑으로 밀어넣거나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밖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차량(2) 운행 등에 있어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생기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가 치합되어 구동모터(30)의 작동에 의해 발판(20)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픽싱너트(58B)가 픽싱볼트(58A)에 조여져서 베이스 패널(10)의 전단 패널 벽부에 밀착되고,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당겨져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 회동 기준핀(54)은 랙기어(41)의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후방 내측단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커넥션 픽싱홀(56FH)에 들어가서 가압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판(20)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와 치합되는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 모드에서 발판(20)의 인출과 수납 작동에 있어서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가 치합이 해제되어 수동으로 발판(20)을 차량(2)의 탑승구(3) 아래에서 바깥으로 인출하거나 차량(2)의 탑승구(3) 아래로 다시 밀어넣을 때에는 상기 픽싱너트(58B)가 픽싱볼트(58A)에 조여져서 베이스 패널(10)의 전단 패널 벽부에 밀착되고,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는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당겨져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 회동 기준핀(54)은 랙기어(41)의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후방 내측단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커넥션 픽싱홀(56FH)을 벗어나서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에 가압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판(20)이 수동으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가 다시 치합되는 경우가 없이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서 치합이 해제된 상태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동 모드에서 발판(20)의 수동 인출과 수납 작동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특히,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커넥션 픽싱홀(56FH)을 벗어나서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랙기어(41)가 보조 회동 기준핀(54SP)에 걸려져 있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상기 랙기어(41)의 기어이빨이 피니언 기어(43)의 기어이빨에서 벗어난 치합 해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은 랙기어(41)의 기어이빨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랙기어(41)의 기어이빨 쪽으로 더 전진하도록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이 랙기어(41)의 기어이빨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랙기어(41)의 위에서 볼 때에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전단부가 후단부에 비하여 랙기어(41)의 기어이빨 쪽으로 더 전진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은 장홀 형상이면서 동시에 상기 랙기어(41)의 기어이빨 쪽으로 경사진 홀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픽싱너트(58B)를 조여서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를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쪽으로 당겨줌과 동시에 상기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 치합된 자동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진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에 의해서 상기 랙기어(41)의 후단부쪽이 상기 피니언 기어(43)쪽으로 더 강한 힘으로 전진하여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 더 견고한 힘으로 치합되기 때문에, 차량(2)의 운행 중에 생기는 진동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랙기어(41)의 후단부쪽이 피니언 기어(43)에서 벗어나서 랙기어(41)와 피니언 기어(43)의 치합이 해제되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차량(2)의 운행 중에 생기는 진동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랙기어(41)의 후단부쪽이 피니언 기어(43)와 치합 해제되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발판(20)의 자동 모드에서의 작동 신뢰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의 후단부에는 랙기어(4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SH)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 치합된 자동 모드에서 상기 픽싱너트(58B)를 조여서 픽싱볼트(58A)와 랙기어(41)를 베이스 패널(10)의 전방 쪽으로 당겨주면,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SH)에 상기 회동 기준핀(54)이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을 벗어나서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SH)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SH)에 회동 기준핀(54)이 가압 밀착되고,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은 랙기어(41)에 형성된 커넥션 기준홀에 가압 밀착되면서 랙기어(41)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앞쪽에서는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이 랙기어(41)를 지지하고, 상대적으로 뒤쪽에서는 상기 회동 기준핀(54)이 랙기어(41)를 지지하는 전후방 이중 랙기어(41)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랙기어(41)가 피니언 기어(43)에 치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2)의 운행 중에 생기는 진동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랙기어(41) 전체가 피니언 기어(43)와 치합 해제되는 경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발판(20)의 자동 모드에서의 작동 신뢰성을 완벽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41)가 뒤쪽의 회동 기준핀(54)과 앞쪽의 보조 회동 기준핀(54SP)에 각각 보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SH)과 커넥션 픽싱홀(56FH)에 의해 이중으로 걸려지게 되므로, 진동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랙기어(41) 전체가 피니언 기어(43)와 치합 해제되는 경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차량 3. 탑승구
10. 베이스 패널 12. 하부 커버판
14. 베이스 가이드 바아 16. 이동블록
18. 가이드 바아 20. 발판
30. 구동모터 32. 마운팅 브라켓
41. 랙기어 43. 피니언 기어
52.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 52SH. 보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
54. 회동 기준핀 54SP. 보조 회동 기준핀
56.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 56SH.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
56FH. 커넥셕 픽싱홀 58. 픽싱 고정구
58A. 픽싱볼트 58B. 픽싱너트

Claims (8)

  1.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10);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에 장착된 구동모터(30);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와 상기 발판(20)이 회전할 때에 상기 발판(20)이 상기 베이스 패널(10)을 기준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전달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랙기어(41);
    상기 구동모터(30)의 상기 회전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랙기어(41)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43);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랙기어(41)의 일단부측에 구비된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에 결합된 회동 기준핀(54);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에 인접 배치된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에서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에 연결된 픽싱 고정구(58);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기준홀(52)은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은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좌우 측단부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싱 고정구(58)는,
    상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을 통과하여 상기 랙기어(41)의 타단부에 연결된 픽싱볼트(58A);
    상기 픽싱볼트(58A)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41)를 상기 회동 기준핀(54)을 기준으로 당겨주는 픽싱너트(58B);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션 릴리스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구비된 보조 회동 기준핀(54SP);
    상기 랙기어(41)의 양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회동 기준핀(54SP)이 삽입된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은 상기 랙기어(41)의 양쪽 측단부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커넥션 릴리스 전환홀(56SH)의 일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커넥션 픽싱홀(56FH)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는 전후단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바아(14)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바아(14)에는 각각 이동블록(1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록(16)에는 마운팅 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패널에는 상기 구동모터(3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 샤프트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43)가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내부 공간부에 구비된 랙기어(41)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16)에는 상기 가이드 바아(14)와 나란하도록 가이드 바아(18)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아(18)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0)을 기준으로 인출되는 상기 발판(2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18)에는 볼트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발판(20)에 구비된 전단 발판(20)벽부에 결합된 연결볼트가 상기 가이드 바아(18)의 상기 볼트 결합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KR1020180088963A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KR10207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63A KR102072541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63A KR102072541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541B1 true KR102072541B1 (ko) 2020-02-03

Family

ID=6962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63A KR102072541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01B1 (ko) * 2021-05-07 2021-10-13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고속열차 출입문 발판용 설해 방지장치
KR20220030530A (ko) 2020-09-03 2022-03-11 노상섭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041A (ko) 1996-08-29 1998-07-25 세키자와 다다시 승산 회로, 이 승산 회로를 구성하는 가산 회로, 이 승산 회로의 부분곱 비트 압축 방법 및 이 승산 회로를 적용한 대규모 반도체 집적 회로
KR19980059700A (ko) 1996-12-31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도어 우니도우 레귤레이터용 모터 고정구조
JPH1159276A (ja) * 1997-08-27 1999-03-02 Toyooki Kogyo Co Ltd 車両に装備されるスロープ板装置
KR19990031042A (ko) 1997-10-08 1999-05-06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및 구동축 연결구조
KR101535027B1 (ko) * 2014-06-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스텝
KR101603984B1 (ko) * 2015-02-13 2016-03-16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200485722Y1 (ko) * 2017-05-29 2018-02-12 이용준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041A (ko) 1996-08-29 1998-07-25 세키자와 다다시 승산 회로, 이 승산 회로를 구성하는 가산 회로, 이 승산 회로의 부분곱 비트 압축 방법 및 이 승산 회로를 적용한 대규모 반도체 집적 회로
KR19980059700A (ko) 1996-12-31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도어 우니도우 레귤레이터용 모터 고정구조
JPH1159276A (ja) * 1997-08-27 1999-03-02 Toyooki Kogyo Co Ltd 車両に装備されるスロープ板装置
KR19990031042A (ko) 1997-10-08 1999-05-06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및 구동축 연결구조
KR101535027B1 (ko) * 2014-06-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스텝
KR101603984B1 (ko) * 2015-02-13 2016-03-16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200485722Y1 (ko) * 2017-05-29 2018-02-12 이용준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530A (ko) 2020-09-03 2022-03-11 노상섭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102312201B1 (ko) * 2021-05-07 2021-10-13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고속열차 출입문 발판용 설해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541B1 (ko) 차량용 자동 수동전환 보조발판장치
US7429155B2 (en) Wheelchair-fixing device, wheelchair-loadable vehicle, and wheelchair system
US6572172B1 (en) Rotating vehicle seat
KR101558800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JP5096521B2 (ja) 真空遮断器の引込/引出装置
KR101583993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JP2001122003A (ja) シートとボディとの電気的接続構造および同方法
RU2700293C2 (ru) Устан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EP0064184A2 (en) Drawer-type circuit breaker arrangement
RU2697641C2 (ru) Держатель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зъем для него
KR101603984B1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JP2001509359A (ja) 電力用低電圧遮断器の搬出入装置
JPWO2018029919A1 (ja) 車両用シート
CN110056260B (zh) 一种生物智能锁体
KR101082768B1 (ko) 이지 엔트리 메모리 시스템
CN210851863U (zh) 一种折叠轮和便携式用具
KR200485722Y1 (ko)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CN107264355A (zh) 分体翼式扶手双棘爪闩锁机构
CN216546515U (zh) 一种具有拼接功能的平衡车
KR101588990B1 (ko) 반내 이동 기기의 외부 조작 기구
CN204050068U (zh) 一种应用于担架床的锁紧装置
CN210617946U (zh) 自动折叠伸缩式车用杯托
JPS62194955A (ja) 自動車用コンソ−ルボツクス
KR20220030530A (ko)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JP2016164047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