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170B1 -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170B1
KR101588170B1 KR1020150111361A KR20150111361A KR101588170B1 KR 101588170 B1 KR101588170 B1 KR 101588170B1 KR 1020150111361 A KR1020150111361 A KR 1020150111361A KR 20150111361 A KR20150111361 A KR 20150111361A KR 101588170 B1 KR101588170 B1 KR 10158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yringe
gear
separating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근
Original Assignee
홍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근 filed Critical 홍기근
Priority to KR102015011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170B1/ko
Priority to CN201680004136.7A priority patent/CN107106788B/zh
Priority to PCT/KR2016/008667 priority patent/WO20170267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61M2005/327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된 주사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된 주사기의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함에 따라 주사기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스부와 주사기 탑재부, 구동부, 주사바늘 분리부 그리고 수거부로 구성되고, 주사기의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으로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감염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고 수동으로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를 수거하는 작업을 생략하여 전체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Automatic needle separat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사용된 주사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된 주사기의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함에 따라 주사기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사용 후 지정된 약제의 정확한 투입과 병원균의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재사용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 후에는 위생상 하나의 주사바늘을 한사람에게만 사용할 수 있도록 주사기로부터 분리해서 제거하게 되는데, 주사바늘을 주사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주사 바늘의 상부를 당기거나 돌려서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주사바늘을 분리할 때에는 주사기에 주사바늘이 꽉 끼워진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주사바늘이 분리될 때 주사기의 선단을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각종 병원균에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주사바늘의 캡이 있는 경우는 먼저 주사바늘에 캡을 덮어씌우고 캡을 돌려줌으로서 주사바늘과 캡을 같이 주사기 본체 실린더의 스크류 체결부로부터 돌려 빼낸 후 폐기처분하게 되는데, 주사바늘에 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매우 작은 삽입구멍을 갖는 캡에 주사바늘을 정확히 삽입시키지 못하고 주사바늘에 손을 찔리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HIV나 B형 간염 바이러스 등이 주사바늘을 통해 이차 감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문헌 0001)에서와 같이 주사바늘 분리장치와 같은 고안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나, 주사기 몸체의 체결부에 주사바늘을 끼워 체결하는 일반적인 주사바늘에만 사용되고 그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크류형 주사바늘과 같이 주사기 몸체에 나사식으로 돌려서 체결하는 주사바늘의 경우 이를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장치는 없는 실정이며 일일이 손으로 분리 제거해야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 0002) 에서는 주사바늘이 허브로부터 분리되는 힘을 한 쌍의 기어 맞물림 동작에 의해 분리하는 장치가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한 쌍 기어의 맞물림에만 의존하여 그 힘의 전달이 약할 뿐 아니라, 주사바늘이 잘 분리되지 않아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불어, 보통 사용된 주사바늘임을 나타내면서 분리수거가 용이하도록 주사바늘을 압착 절곡하여 수거하게 되는데, 한 쌍의 기어 맞물림에만 의존함에 따라 절곡작업이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주사바늘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기는 그 사용처에 따라 주사바늘의 길이와 두께, 직경, 즉 규격이 다양한 바, 각각의 규격에 상관없이 분리가능하여야 하나, 주사바늘의 규격에 따라 이에 맞는 별도의 분리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한 발명으로,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이전에 주사바늘분리처리기 (특허문헌 0003)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0003)은 주사기에 있어 주사기 몸체와 허브 그리고 주사바늘을 각각 분리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불량율을 줄이면서 주사바늘을 허브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분리된 주사바늘과 허브는 별도의 수거통을 통해 모아 수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허브와 주사바늘을 각각 분리하여 모아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처리기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었으며,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만을 별도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선택적 작업이 한번 더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주사기로부터 허브와 바늘은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었으나, 주사바늘과 허브가 분리된 주사기 몸체를 자동으로 분리 수거하는 기능이 없어 작업자가 일일이 주사기를 꺼내어 수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어느정도 다양한 규격의 주사바늘을 분리수거 할 수는 있으나, 기기의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되는 기어가 주사바늘의 두께에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처리할 수 있는 주사기의 종류는 어느 정도 한정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132638호(1998.09.29.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공보 제20-1997-0053553(1997.10.1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9725(2013.03.2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주사기의 규격에 관계없이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을 분리하여 폐기처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사바늘을 분리 수거함과 동시에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가 자동으로 별도 수거됨으로써 작업자가 주사기를 손으로 잡고 별도 분리 수거하던 작업을 생략하여 전체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 및 허브로 이루어진 주사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일측에 축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이 저면을 관통하면서 끼워져 주사기가 안착되는 주사기 탑재부와; 케이스부의 내부에 구동모터와, 구동모터 축과 연결된 제1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구동부와; 제1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하면서 주사기 탑재부를 관통한 주사바늘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맞물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와, 바늘분리기어를 통과한 주사바늘을 재차 끌어당겨 주사기와 분리시키는 맞물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로 구성된 주사바늘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케이스부는 일측에, 주사바늘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주사바늘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위치로 착탈가능한 바늘수거통을 가지는 주사바늘 수거부와, 주사기 탑재부에서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위치로 착탈가능한 주사기 수거통을 가지는 주사기 수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에 주사기 탑재부, 구동부와 주사바늘 분리부를 지지하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일 실시예로 지지대는, 케이스부 내부공간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판과, 수평 지지판에 결합되고 경사기울기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경사 브라켓과, 경사 브라켓과 수직하게 결합되어 구동부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브라켓과, 모터지지브라켓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주사바늘 분리부와 주사기 탑재부를 지지하는 기어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는,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가 주사기 탑재부에서 이탈하여 지정된 위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일측에 경사기울기를 가지는 활강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주사기 탑재부는, 주사바늘 분리부와 간격을 가지며 위치고정되고 관통된 중공을 가지는 고정브라켓과, 저면에 바늘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고정브라켓의 중공 내부에 안착되어 축회전하는 회전 바디로 구성된다.
이때, 회전 바디는, 주사바늘 분리부에 의해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가 자유운동하면서 이탈되어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로 측면에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제2 동력전달부재는, 바늘분리기어 또는 바늘처리기어의 연장된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평기어와, 제1 평기어와 맞물리는 제2 평기어와, 제2 평기어와 동일축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베벨 축기어와, 베벨 축기어와 맞물려 축회전하고 고정브라켓의 중공 하부에 위치되며 회전 바디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베벨 회전기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 축과 연결되고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 중 하나의 축과 연결된 원동풀리와, 원동풀리와 맞물리면서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 중 하나의 축과 연결된 종동풀리와, 원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된다.
또한, 바늘분리기어와 바늘처리기어의 기어 이는 파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는 구동모터 축과 연결된 제1 분리기어와, 제1 분리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분리기어로 구성된다.
이때, 제2 분리기어는 주사바늘의 규격에 따라 그 축이 탄성부재에 의해 밀려 제1 분리기어와 간격조절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주사기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을 별도 분리하여 모아 폐기처분할 수 있음으로 인해 사용된 주사기의 폐기시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주사바늘에 의한 상처 감염 위험을 제거하여 안전하게 운반 및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된 주사바늘과 주사기를 선택적 폐기처리 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폐기처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의료용 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주사기의 규격에 관계없이 감염이 우려되는 주사바늘을 자동으로 원활하게 분리하고 수거함과 동시에 주사기를 자동으로 별도 수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수동으로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를 수거하는 작업을 생략하여 전체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부와 주사기 탑재부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부와 주사기 탑재부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와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11)로 이루어진 주사기(10)를 자동으로 분리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크게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110)와, 사용된 주사기(10)를 안착공간 상에 포함하여 축회전하는 주사기 탑재부(120)와, 동력을 발생하고 전달하는 구동부(130)와, 상기 주사기의 주사바늘(11)을 끌어당겨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와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를 통해 주사기(10)로 부터 분리하는 주사바늘 분리부(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주사바늘(11)이 제거된 주사기(10) 즉, 주사기 몸체(13)와 허브(12)를 수거하는 주사기 수거부(160)와, 상기 분리 제거된 주사바늘(11)을 수거하는 주사바늘 수거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구동부(1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12)와, 온오프스위치(미도시.), 그리고 살균램프(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사기 탑재부(110)는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10)가 이탈되기 용이하도록 경사 기울기를 가지고 기울어져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주사기 탑재부(110)에 안착된 주사기(10)의 주사바늘(11)을 구동부(13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주사바늘 분리부(140)가 끌어당겨 상기 주사기(10)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금속 부분의 주사바늘(11)은 자중에 의해 떨어져 주사바늘 수거부(150)에 수거되어 처리된다.
이때,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는 주사바늘(11)의 굵기에 따라 간격을 상기 주사바늘(11)이 인입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주사기(10)의 규격에 관계없이 상기 주사바늘(11)을 분리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 탑재부(110)에 남은 주사기(10) 즉, 주사기 몸체(13)와 허브(12)는 플라스틱 부분으로, 상기 주사기 탑재부(110)가 축회전함에 따라 일측 개구부(122b)를 통해 탑재부로부터 이탈되어 자중에 의해 떨어지게 되고, 상기 주사기 수거부(160)에 담겨 수거되어 처리된다.
이와 같이 규격에 관계없이 주사기(10)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을 별도의 작업과정 없이 자동으로 분리하고 수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전체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재차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부(110)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 지지대(170)에 의해 위치 고정된 구동부(130)와 주사바늘 분리부(140)가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으로, 상기 내부공간은 필요에 따라 상기 주사기 수거부(160)와 주사바늘 수거부(150)가 포함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170)는 케이스부(110) 내부공간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판(174)과, 상기 수평 지지판(174)에 결합되고 경사기울기를 가지는 경사 브라켓(173)과, 상기 경사 브라켓(173)과 수직하게 결합되어 구동부(13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브라켓(171)과, 상기 모터지지브라켓(171)이 연장되어 주사바늘 분리부(140)를 지지하는 기어지지브라켓(172)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130)와 주사바늘 분리부(140)는 지지대(170)에 의해 기울어진 주사기 탑재부(120)와 동일 경사 기울기를 가지도록 케이스부(110) 내부공간 상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의 지지대(170)는 내부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 필요에 따라 그 형상과 위치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도시된 일 실시예로, 상기 주사바늘 수거부(15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상에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 수거부(160)는 케이스부(110)의 외부공간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10)는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2)와 온오프스위치(미도시.)가 외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112), 구동부(130) 및 주사기 탑재부(120)와 회로연결된 회로기판(180)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내부 공간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80)은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온오프스위치가 온상태로 조작된 후, 스위칭회로를 통해 구동모터(131)와 살균램프(미도시.)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발광램프(미도시.)를 통해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주사바늘 수거부(150)는 케이스부(110)의 일면상에 설치된 개폐 도어(113)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공간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늘수거통(151)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늘수거통(151)은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20)에 의해 분리된 주사바늘(11)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떨어지는 위치에 놓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사기 수거부(16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사기 수거통(161)으로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부(110)는 주사기 탑재부(120)에서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10)가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 측에 경사기울기를 가지는 활강로(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사기 수거통(161)은 상기 활강로(111)를 통해 미끄러지면서 낙하하는 주사기(10)를 담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
일 실시예로, 상기 주사기 수거부(160)는 상기 활강로(111)의 단부측에 형성된 끼움공(111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거치대(162)와, 상기 거치대(162)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망 형상의 주사기 수거통(16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 수거통(161)은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통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수거부(150)와 주사기 수거부(160)는 다양한 실시예로 활용될 수 있는데,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측에 별도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자중에 의해 주사바늘(11) 또는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가 떨어져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차후 모아진 내용물을 작업자가 모아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 상에 위치되는데, 모터지지브라켓(171)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 축과 연결된 제1 동력전달부재(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132)는 일 실시예로 상기 구동모터(131) 축과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 중 하나의 축과 타측이 연결된 원동풀리(132-1)와, 상기 원동풀리(132-1)와 맞물리면서 상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 중 하나의 축과 연결된 종동풀리(132-2)와, 상기 원동풀리(132-1)와 종동풀리(132-2)를 연결하는 벨트(132-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30)의 모터축은 상기 주사기 분리부(140)의 바늘분리기어(141)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모터지지브라켓(171)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원동풀리(132-1)와 종동풀리(132-2)는 톱니를 가지는 형태이며, 상기 벨트(132-3)은 타이밍벨트 형태이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31)가 회전하면 벨트(132-2)에 의해 원동풀리(132-1)와 종동풀리(132-2)가 순차적 회전하고,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와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가 각각 맞물리면서 순차적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는, 주사바늘(11)을 가진 주사기(10)가 안착공간상에 저면을 관통하면서 끼워지듯이 안착되는데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주사기(10)가 안착된 부분이 제2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축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주사바늘(11)이 제거된 주사기(10)가 외부로 이탈됨이 용이하도록 경사기울기를 가지면서 상기 케이스부(110)의 상부측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는, 고정브라켓(121)과 상기 고정브라켓(121)에 끼워져 회전하는 회전 바디(122)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바디(122)가 원할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12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21)은,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와 간격을 가지며 위치고정되고 관통된 중공(121a)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가 고정되는 기어지지브라켓(172)의 상단부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바디(122)는, 실질적으로 주사바늘이 포함된 주사기(10)가 끼워져 안착되어 회전하는 곳으로,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중공(121a) 내부에 제2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저면은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의 상단부와 주사바늘(11) 길이보다 짧은 간격(a, 도5)을 가지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외부에 베어링(1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바디(122)의 하부에는 주사바늘(11)이 관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의 바늘관통공(1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바디(122)는 고정브라켓(121)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주사바늘(11)이 제거되어 분리됨에 따라 상기 회전 바디(122)의 내측 안착공간상에서 자유운동하게 되는 주사기(10)가 기울기와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바디(122)를 이탈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일 측면에 개구부(122b)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122b)를 통해 빠져나간 플라스틱 부분의 주사기(10)는 상술한 케이스부(110)의 활강로(111)를 타고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주사기 수거부(160)의 수거통(161)으로 들어가 모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바디(122)의 바늘관통공(122a) 상측에는 필요에 따라 주사기삽입센서(미도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삽입센서는 상기 회전바디(122)에 주사기(10)가 삽입되어 안착됨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수광소자 또는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주사기(10)가 안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회로기판(18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회로기판(180)은 컨트롤러(112)를 통하거나 직접 구동부(130)의 구동모터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사기삽입센서(미도시.)는 주사기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작동을 제어하여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133)는, 상기 회전바디(122)가 회로기판(180)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후술될 주사바늘 분리부(140)와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가 주사기(10)에서 주사바늘(11)을 붙잡아 잡아 끌면서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바디(122)도 같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133)는, 상기 바늘분리기어(141) 또는 바늘처리기어(142)의 연장된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평기어(133-1)와, 상기 제1 평기어(133-1)와 맞물리는 제2 평기어(133-2)와, 상기 제2 평기어(133-2)와 동일축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베벨 축기어(133-3)와, 상기 베벨 축기어(133-3)와 맞물려 축회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바디(122)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베벨 회전기어(13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1)가 회전하면 이는 제1 동력전달부재(132)를 통해 주사바늘 분리부(140)의 바늘분리기어(141)와 바늘처리기어(142)를 회전시키고,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의 회전력이 제2 동력전달부재(133)를 통해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 바디(1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어서, 재차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주사바늘 분리부(140)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는 실질적으로 주사기(10)에서 주사바늘(11)을 끌어당겨 분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크게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와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는 상단부가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 바디(122) 저면과 상기 주사바늘(11) 길이보다 짧은 간격(a, 도5)을 가지도록 기어지지브라켓(172)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 바디(122)의 바늘관통공(122a)을 관통하여 돌출된 주사바늘(11)이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 사이에 위치되고 이를 잡아 끌어 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는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의 동일선상 하측에 위치되는데,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한 주사바늘(11)의 길이보다 작도록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한 주사바늘(11)을 재차 끌어당겨 주사기와 완전히 분리시키고, 상기 주사바늘(11)은 주사바늘 수거부(150)의 수거통(151)에 자중에 의해 떨어져 낙하한다.
한편,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와 바늘처리기어(142)의 기어 이는 바람직하게는 파형의 단면을 가지는데,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와 바늘처리기어(142)를 번갈아 통과하면서 주사바늘(11)은 압착되고 상기 파형의 단면에 의해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는 주사기 탑재부(120)를 관통하여 돌출된 주사바늘(11)을 용이하게 잡아 끌 수 있도록 동일 기울기를 가지면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압착되고 절곡된 주사바늘(11)은 사용된 주사기(10)에서 분리된 것이며 폐기 대상임을 나타내게 되고 구부러진 절곡형상임에 따라 수거가 용이하다.
한편, 주사기(10)의 주사바늘(11)은 일반적으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바늘의 외경 굵기가 0.2 ~ 3.4 mm 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굵기의 주사바늘(11)을 분리 제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굵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맞물리는 바늘분리기어(141)의 간격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한 주사바늘(11)은 1차적으로 압착되고 바늘분리기어의 기어 이 형상에 따라 파형으로 절곡된 바늘로 동일 두께의 주사바늘이 이어지는 바늘처리기어(142)에 맞물려 통과하게 되는 바, 다양한 규격의 주사바늘(11)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 간의 간격(a') 조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는, 구동부(130)의 구동모터 축과 연결된 제1 분리기어(141a)와, 상기 제1 분리기어(141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분리기어(14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분리기어(141b)는 주사바늘(11)의 굵기에 따라 그 축이 탄성부재(190)에 의해 밀려 위치이동되어 상기 제1 분리기어(141a)와의 간격(a', 도5)이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90)는 주사바늘(11)의 굵기에 따라 용이하게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이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분리기어(141b) 축은 기어지지브라켓(172) 판 상의 고정공(172a)상에 끼워져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공(172a)은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공(172a)상에 놓여진 제2 분리기어(141b)축을 상기 탄성부재(190)를 이용하여 제1 분리기어(141a) 측으로 밀어 놓는다.
그리고, 굵기가 두꺼운 주사바늘(11)이 맞물리는 제1 분리기어(141a)와 제2 분리기어(141b)에 위치되면서 인입되면, 상기 주사바늘(11)의 굵기에 따라 제2 분리기어(141b) 축이 밀려 굵은 주사바늘(11)이 인입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기어(141b)는 상기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제1 분리기어(141a) 측으로 밀리는 바, 상기 주사바늘(11)의 굵기에 관계없이 상기 주사바늘(11)은 주사기(10)에서 분리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6(a)(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도 5와 도 6(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분리수거 작업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장치의 사용자는 주사바늘 수거부(150)와 주사기 수거부(160)를 케이스부(110)의 정상 위치에 놓여있는지 확인하고 컨트롤러(112)와 온오프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확인하여 사용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사용된 주사기(10)는 주사바늘(11)이 결합된 상태로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 바디(122) 안착공간상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주사바늘(11)은 바늘관통공(122a)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10)는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 바디(122) 내에 세워져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관통공(122a)은 상기 회전 바디(122)의 저면을 관통해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놓이는데, 상기 돌출된 주사바늘(11)은 주사바늘 분리부(120)의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의 맞물린 부분에 끼워질 수 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80)의 제어부 지시에 따라 장치의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를 작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131)는 제1 동력전달부재(132)를 통해 기어지지브라켓(172)에 고정된 바늘분리기어(141)와 바늘처리기어(142)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와 바늘처리기어(142)가 작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2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 바디(122) 또한 수평 축회전하게 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되는 맞물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는, 회전바디(122)의 바늘관통공(122a)를 관통하여 돌출한 주사바늘(11)을 잡아 끌어당기게 되고, 상기 주사바늘(11)은 바늘분리기어(141)의 기어 이에 의해 절곡되면서 하부의 바늘처리기어(142) 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11)의 두께, 즉 주사기(10)의 규격에 따른 주사바늘(11)의 굵기에 따라 상기 맞물리는 바늘분리기어(141)의 제2 분리기어(141b)는 그 축이 밀려 이동되고, 주사바늘(11)은 그 굵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한 주사바늘(11)은 이어지는 맞물리는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에 의해 다시한번 압착 절곡되면서 상기 주사기(10)와 완전히 분리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완전히 분리된 주사바늘(11)은 상기 바늘처리기어(142)의 하부에 위치된 주사바늘 수거부(150)의 바늘수거통(151)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떨어진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11)이 제거된 주사기(10) 즉 주사기 몸체(13)와 허브(12)는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 바디(122)가 회전함에 따라 안착공간에서 자유운동하다가 회전 바디의 기울기와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 바디(122)의 개구부(122b)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고, 이탈된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10)는 케이스부(110)의 활강로(111)를 타고 자중에 의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10)는 활강로(111) 하부측에 위치된 주사기 수거부(160)의 주사기 수거통(161)으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사용된 주사기(10)를 장치의 주사기 탑재부(120)에 꽂아 두면 별도의 작업 없이 자동으로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와 금속부분인 주사바늘(11)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은 각각 별도의 수거부(150, 160)에 분리 처리된다.
이로 인해, 폐기되는 주사기(10)의 주사바늘(11)에 의한 상처 감염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여 안전하게 주사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10)를 수거하는 작업을 생략하여 전체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주사기 11 : 주사바늘
100 :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110 : 케이스부 111 : 활강로
120 : 주사기 탑재부 121 : 고정 브라켓
122 : 회전 바디 122a : 바늘관통공
130 : 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2 : 제1 동력전달부재 133 : 제2 동력전달부재
140 : 주사기 분리부 141 : 바늘분리기어
142 : 바늘처리기어 150 : 주사바늘 수거부
160 : 주사기 수거부 170 : 지지대
180 : 회로기판 190 : 탄성부재

Claims (10)

  1.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11)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로 이루어진 주사기(10)를 분리하여 수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110)와;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축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11)이 저면을 관통하면서 끼워져 주사기(10)가 안착되되, 상기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를 축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해 외부로 이탈시키는 주사기 탑재부(120)와;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 축과 연결된 제1 동력전달부재(132)로 구성된 구동부(130)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13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를 관통한 주사바늘(11)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맞물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와,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한 주사바늘(11)을 재차 끌어당겨 주사기와 분리시키는 맞물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로 구성된 주사바늘 분리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사기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부분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110)는 일측에,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20)에 의해 분리된 주사바늘(11)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위치로 착탈가능한 바늘수거통(151)을 가지는 주사바늘 수거부(150)와,
    상기 주사기 탑재부(110)에서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10)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위치로 착탈가능한 주사기 수거통(161)을 가지는 주사기 수거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 구동부(130)와 주사바늘 분리부(140)를 지지하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170)는,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공간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판(174)과, 상기 수평 지지판(174)에 결합되고 경사기울기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경사 브라켓(173)과, 상기 경사 브라켓(173)과 수직하게 결합되어 구동부(13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브라켓(171)과, 상기 모터지지브라켓(171)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주사바늘 분리부(140)와 주사기 탑재부(120)를 지지하는 기어지지브라켓(1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110)는,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10)가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에서 이탈하여 지정된 위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일측에 경사기울기를 가지는 활강로(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는,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와 간격을 가지며 위치고정되고 관통된 중공(121a)을 가지는 고정브라켓(121)과,
    저면에 바늘관통공(122a)이 형성되고, 제2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중공(121a) 내부에 안착되어 축회전하는 회전 바디(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디(122)는,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40)에 의해 주사바늘(11)이 제거된 주사기(10)가 자유운동하면서 이탈되어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로 측면에 개구부(122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133)는,
    상기 바늘분리기어(141) 또는 바늘처리기어(142)의 연장된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평기어(133-1)와,
    상기 제1 평기어(133-1)와 맞물리는 제2 평기어(133-2)와,
    상기 제2 평기어(133-2)와 동일축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베벨 축기어(133-3)와,
    상기 베벨 축기어(133-3)와 맞물려 축회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21)의 중공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바디(122)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베벨 회전기어(13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132)는,
    구동모터(131) 축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 중 하나의 축과 연결된 원동풀리(132-1)와, 상기 원동풀리(132-1)와 맞물리면서 상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 중 하나의 축과 연결된 종동풀리(132-2)와, 상기 원동풀리(132-1)와 종동풀리(132-2)를 연결하는 벨트(13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분리기어(141)와 바늘처리기어(142)의 기어 이는 파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는 구동모터 축과 연결된 제1 분리기어(141a)와, 상기 제1 바늘분리기어(141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분리기어(141b)로 구성되되,
    상기 제2 분리기어(141b)는 주사바늘(11)의 규격에 따라 그 축이 탄성부재(190)에 의해 상기 제1 분리기어(141a)와 간격조절(a')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0150111361A 2015-08-07 2015-08-07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158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61A KR101588170B1 (ko) 2015-08-07 2015-08-07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N201680004136.7A CN107106788B (zh) 2015-08-07 2016-08-05 注射针头自动分类回收装置
PCT/KR2016/008667 WO2017026756A1 (ko) 2015-08-07 2016-08-05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61A KR101588170B1 (ko) 2015-08-07 2015-08-07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170B1 true KR101588170B1 (ko) 2016-01-26

Family

ID=5530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361A KR101588170B1 (ko) 2015-08-07 2015-08-07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88170B1 (ko)
CN (1) CN107106788B (ko)
WO (1) WO2017026756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756A1 (ko) * 2015-08-07 2017-02-1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1783894B1 (ko) 2016-08-01 2017-10-10 박중현 주사기 폐기 장치
KR101808000B1 (ko) 2017-07-28 2017-12-12 임태호 주사바늘 제거장치
CN110025858A (zh) * 2019-03-25 2019-07-19 浙江圣利机械设备有限公司 注射穿刺器械分离机
WO2020009428A1 (ko) * 2018-07-03 2020-01-09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분리판
KR20200093421A (ko)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200093294A (ko)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424324B1 (ko) * 2022-04-25 2022-07-22 김종성 분리 배출기능을 갖는 주사기 절단장치
CN115254881A (zh) * 2022-07-08 2022-11-01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核医学放射性污染注射器销毁筛分一体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765B (zh) * 2017-09-19 2020-08-04 李奇元 一种医疗临床使用便携式针头回收器
CN107485764B (zh) * 2017-09-19 2020-07-31 三门县隽斜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医疗临床金属针头收集装置
CN107928936B (zh) * 2017-11-28 2020-12-04 浙江华福医用器材有限公司 一种医护人员用医疗车
CN109954187A (zh) * 2019-03-21 2019-07-02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注射器用针刺伤安全防护复帽装置
CN109865738B (zh) * 2019-04-12 2021-07-23 吉林大学 一种注射针头废弃物回收处理装置
CN111227953B (zh) * 2019-05-29 2023-12-15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锐器预处理装置
CN111166972B (zh) * 2020-01-13 2023-03-24 深圳新融典科技有限公司 一种废弃针头处理装置
CN111166973B (zh) * 2020-03-26 2020-10-09 湖南慧泽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注射针头安全回收设备
CN112057707B (zh) * 2020-09-27 2022-03-15 林湫泠 安全式胰岛素笔针头自动收集盒
CN112547764B (zh) * 2020-11-23 2021-08-17 吉林大学 一种医院麻醉科用注射器回收处理设备
CN112705553B (zh) * 2020-12-15 2022-06-21 青岛市黄岛区中心医院 一种环保型医用一次性物品处理装置
CN112546358B (zh) * 2020-12-31 2021-06-11 四川大学华西医院 全自动废弃医用针头处理装置
CN113578922B (zh) * 2021-07-27 2022-06-03 青岛市中心医院 一种医用废弃针头针管分离装置
CN113730734B (zh) * 2021-10-13 2023-12-22 宁波财经学院 一种注射器批量回收处理装置
CN114632227B (zh) * 2022-03-25 2023-11-24 刘国增 一种麻醉科针头收集处理器
CN115155148B (zh) * 2022-06-09 2023-09-01 北京科技大学 一种超精密自动过滤微量反应溶液装置
CN115068749B (zh) * 2022-06-13 2023-07-18 成都工业学院 一种自动分离和收集注射器针头针筒的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553U (ko) 1996-03-20 1997-10-13 이평환 일회용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 회수장치
KR0132638Y1 (ko) 1995-09-06 1998-12-01 함돈호 주사바늘 분리장치
JPH11178867A (ja) * 1997-12-24 1999-07-06 Eastern Giken Kk 使用済注射針廃棄装置における係止構造
KR101205653B1 (ko) * 2012-02-16 2012-11-27 김영수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725B1 (ko) 2012-09-10 2013-04-03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20150027479A (ko) * 2013-09-04 2015-03-12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304Y1 (ko) * 2001-03-10 2001-10-06 창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주사바늘 제거장치
US7024761B2 (en) * 2001-08-28 2006-04-11 Saraito, S.L. Device for destroying sharp, pointed objects which is fitt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unscrewing injecting needles and similar
CN2542260Y (zh) * 2002-04-05 2003-04-02 富求达医疗器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以回收的针尖分离器
CN2860644Y (zh) * 2005-11-29 2007-01-24 刘峰 一次性医用锐器回收装置
JP2007151811A (ja) * 2005-12-05 2007-06-21 Univ Of Tokyo 注射針処理器
KR101588170B1 (ko) * 2015-08-07 2016-01-2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638Y1 (ko) 1995-09-06 1998-12-01 함돈호 주사바늘 분리장치
KR970053553U (ko) 1996-03-20 1997-10-13 이평환 일회용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 회수장치
JPH11178867A (ja) * 1997-12-24 1999-07-06 Eastern Giken Kk 使用済注射針廃棄装置における係止構造
KR101205653B1 (ko) * 2012-02-16 2012-11-27 김영수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725B1 (ko) 2012-09-10 2013-04-03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20150027479A (ko) * 2013-09-04 2015-03-12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756A1 (ko) * 2015-08-07 2017-02-1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1783894B1 (ko) 2016-08-01 2017-10-10 박중현 주사기 폐기 장치
KR101808000B1 (ko) 2017-07-28 2017-12-12 임태호 주사바늘 제거장치
WO2020009428A1 (ko) * 2018-07-03 2020-01-09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분리판
KR20200093421A (ko)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200093294A (ko)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297482B1 (ko) * 2019-01-28 2021-09-01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297481B1 (ko) * 2019-01-28 2021-09-02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N110025858A (zh) * 2019-03-25 2019-07-19 浙江圣利机械设备有限公司 注射穿刺器械分离机
CN110025858B (zh) * 2019-03-25 2023-11-17 浙江圣利机械设备有限公司 注射穿刺器械分离机
KR102424324B1 (ko) * 2022-04-25 2022-07-22 김종성 분리 배출기능을 갖는 주사기 절단장치
CN115254881A (zh) * 2022-07-08 2022-11-01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核医学放射性污染注射器销毁筛分一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756A1 (ko) 2017-02-16
CN107106788B (zh) 2021-02-23
CN107106788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170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EP0441628B1 (en) Hypodermic needle/syringe assemblies and device for removing needles therefrom
WO2013122286A1 (ko)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US8201314B2 (en) Hypodermic needle extra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device
CN114728290B (zh) 用于处理医疗废弃物的废弃物销毁装置
US5351381A (en) Device for removing a hypodermic needle from a syringe body and for distorting the hypodermic needle
KR200472067Y1 (ko) 주사바늘 자동처리기
EP1614439B1 (en) Needle removal device
KR100792598B1 (ko) 주사 바늘을 자동으로 빼는 수단이 제공된 날카롭고뾰족한 도구를 처리하는 장치
KR20190135113A (ko)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US6909251B2 (en) Medical needle removal device
KR200480998Y1 (ko) 약물 주입용 인젝터
CN107007912A (zh) 一种胰岛素注射器用器针自动分离锐器盒
KR101684286B1 (ko) 주사바늘 분리기
CN210301730U (zh) 一种针灸拔针器
KR102297482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1663709B1 (ko) 주사바늘 처리기
CN216725435U (zh) 一种医疗护理用利器盒
CN218420587U (zh) 废弃锐器存放处理器
KR102297481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000028006A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자동절단기
KR101949677B1 (ko) 주사액 배합장치
CN110037919B (zh) 一种针灸拔针器
CN209080698U (zh) 一种配药垃圾收集装置
CN213047438U (zh) 一种吸唾管自动供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