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113A -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113A
KR20190135113A KR1020180060142A KR20180060142A KR20190135113A KR 20190135113 A KR20190135113 A KR 20190135113A KR 1020180060142 A KR1020180060142 A KR 1020180060142A KR 20180060142 A KR20180060142 A KR 20180060142A KR 20190135113 A KR20190135113 A KR 20190135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unit
rod
syring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철 filed Critical 최영철
Priority to KR102018006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113A/ko
Publication of KR2019013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61M2005/3279Breaking syringe nozzles or needle hu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61M2005/3282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using mechanical means, e.g. 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한 주사기의 폐기시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와, 주사기의 주사바늘이 저면을 관통해 돌출하게 위치하는 탑재부와, 돌출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주사바늘 분리부와, 탑재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Needle separate collection device }
본 발명은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한 주사기의 폐기시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사용 후 지정된 약제의 정확한 투입과 병원균의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재사용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 후에는 위생상 하나의 주사바늘을 한사람에게만 사용할 수 있도록 주사기로부터 분리해서 제거하게 되는데, 주사바늘을 주사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주사 바늘의 상부를 당기거나 돌려서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주사바늘을 분리할 때에는 주사기에 주사바늘이 꽉 끼워진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주사바늘이 분리될 때 주사기의 선단을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각종 병원균에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주사바늘의 캡이 있는 경우는 먼저 주사바늘에 캡을 덮어씌우고 캡을 돌려줌으로서 주사바늘과 캡을 같이 주사기 본체 실린더의 스크류 체결부로부터 돌려 빼낸 후 폐기처분하게 되는데, 주사바늘에 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매우 작은 삽입구멍을 갖는 캡에 주사바늘을 정확히 삽입시키지 못하고 주사바늘에 손을 찔리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HIV나 B형 간염 바이러스 등이 주사바늘을 통해 이차 감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53553호에서는 주사바늘이 허브로부터 분리되는 힘을 한 쌍의 기어 맞물림 동작에 의해 분리하는 장치가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한 쌍 기어의 맞물림에만 의존하여 그 힘의 전달이 약할 뿐 아니라, 주사바늘이 잘 분리되지 않아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불어, 한 쌍의 기어 맞물림에만 의존함에 따라 절곡작업이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주사바늘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기는 그 사용처에 따라 주사바늘의 길이와 두께, 직경, 즉 규격이 다양한 바, 각각의 규격에 상관없이 분리가능하여야 하나, 주사바늘의 규격에 따라 이에 맞는 별도의 분리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53553(1997.10.13.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수평이동하는 커팅날을 구비한 주사바늘 분리부를 이용하여 주사기 본체에서 주사바늘을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몸체와 허브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와 주사바늘로 이루어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여 수거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와, 탑재부와, 주사바늘 분리부와, 구동부를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함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진다.
탑재부는, 회동축부에 의해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주사바늘이 저면을 관통해 직립하게 위치하는 통 형상을 가진다.
주사바늘 분리부는, 탑재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정한 위치에 놓인 주사바늘의 최상단을 수평이동하는 커팅날의 펀치력을 이용해 절단하여, 주사바늘을 주사기 본체에서 분리한다.
구동부는, 하우징부의 내부공간 일측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회동축부로 전달하여 회전시킴으로 탑재부를 설정한 각도로 기울여 주사기 본체를 낙하시킨다.
한편, 하우징부는, 분리된 주사바늘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모이는 바늘 수거통과, 회동축부의 회전에 따라 90°이상 기울어진 탑재부를 타고 자중에 의해 낙하한 주사기 본체가 모이는 본체 수거통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주사바늘 분리부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지지되어 주사바늘의 일측과 접하면서 지지하는 다이와, 다이에 대응하게 주사바늘의 타측에 위치하여 커팅날을 이용해 주사바늘을 타격하면서 절단하는 절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 절단유닛은, 커팅날과, 커팅날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드와, 로드를 제어에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절단유닛은, 로드와 실린더를 하우징부내에서 지지하면서 로드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 절단유닛은, 커팅날과, 커팅날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커팅날과 연결된 전단 일측에 후크걸리를 돌출형성한 제1로드와, 제1로드를 하우징부내에 지지하면서 제1로드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와, 후크걸리와 지지부재 사이의 제1로드에 구비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단에 후크걸리에 걸리는 후크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언덕을 형성하며,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이를 형성한 구동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랙기어이와 맞물리게 하우징부에 고정결합하고, 회동축부의 회전에 따라 구동부와의 기어연결구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을 포함한다.
그리고,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주사바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로드의 경사언덕과 접하도록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비된 해제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탑재부는, 내부 일측에 주사기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주사기의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폐기처분할 수 있어 사용한 주사기의 폐기시 자원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탑재부에 단지 주사기를 넣는 동작만으로 주사바늘의 분리가 가능해 폐기시 주사바늘에 의한 감염 위험을 제거하여 안전하면서도 빠른 주사기 폐기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분리된 주사바늘과 주사기를 선택적 폐기처리 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폐기처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의료용 폐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주사기의 규격에 관계없이 감염이 우려되는 주사바늘을 자동으로 원활하게 분리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수동으로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를 수거하는 작업을 생략하여 전체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서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의 수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서 주사바늘의 수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주사바늘 분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주사바늘 분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부 또는 상방은 장치를 설치한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하부 또는 하방은 이에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수평이동하는 커팅날(131)을 구비한 주사바늘 분리부(130)를 이용하여 주사기(10)의 본체(11)에서 주사바늘(1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리 제거한 주사바늘(12)은 별도의 바늘 수거통(150)을 통해 모아 처리하며, 주사바늘(12)을 제거한 주사기 본체(11) 또한 별도의 본체 수거통(160)을 통해 모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크게 하우징부(110)와, 탑재부(120)와, 주사바늘 분리부(130)와,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주사기(10)는 몸체(11a)와 허브(11b)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11)와, 허브(11b)에 끼워진 주사바늘(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사기(10)에서 주사바늘(1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하우징부(110)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함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하우징부(110)의 내부공간상에 탑재부(120)와 주사바늘 분리부(130) 및 구동부(140)를 설계에 따라 배치한다.
한편, 하우징부(110)는 탑재부(120)로 폐기할 주사기(10)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111)를 가지며, 외부 일측에는 내부 제어부(미도시)를 구성하는 제어기판(미도시)과 연결되어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작동상태 여부 및 폐기한 주사기(10)의 수량, 날짜 등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12)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의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된 수량, 날짜, 요일 등의 데이터는 설정에 따라 자동 변경 표시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탑재부(120)는,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한 회동축부(A)에 의해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작업자가 투입한 주사기(10)의 주사바늘(12)이 저면을 관통해 외부로 돌출위치되며, 이로 인해 주사기(10)는 통 형상의 탑재부(120)에 직립하게 위치한다.
탑재부(120)의 저면에는 주사바늘(12)이 관통가능한 크기의 관통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관통공은 주사기 본체(11)를 구성하는 허브(11b) 일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데, 이러한 구조는 후술에서 설명할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다이(132)가 주사바늘(12)의 일측을 지지함이 용이하게 해 커팅날(131)이 가능한 주사바늘(12)의 최상단을 절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탑재부(120)는 후술될 구동부(140)의 운전 조작에 따라 회동축부(A)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동축부(A)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동한다.
그리고, 후술될 주사바늘 분리부(130)에 의해 주사바늘(12)이 분리 제거된 주사기 본체(11)는 회동축부(A)의 회동에 따라 기울어진 탑재부(120)에서 떨어져 별도의 본체 수거통(160)에 모아진다.
바람직하게 회동축부(A)는 하우징부(110)의 내부공간상에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의 탑재부(120) 하부측에 설치한다.
이어서,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탑재부(12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정한 위치에 놓인 주사바늘(12)의 최상단을 수평이동하는 커팅날(131)의 펀치력(F)을 이용해 절단함으로 주사바늘(12)을 주사기 본체(11)에서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지지되어 주사바늘(12)의 일측과 접하면서 지지하는 다이(132)를 가진다.
그리고, 다이(132)에 대응하게 주사바늘(12)의 타측에 위치하여 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 커팅날(131)을 이용해 주사바늘(12)을 타격하면서 절단하는 절단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커팅날(131)을 주사바늘(12)의 최상단 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절단유닛(133)은 어느 하나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후술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동부(14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공간 상에 설치되며, 하우징부(110)의 내부공간 일측에 구비된 모터(141)의 회전력을 기어박스(142)를 통해 회동축부(A)로 전달하여 회전시킴으로 탑재부(120)를 설정한 각도로 기울여 주사기 본체(11)를 자유 낙하시킨다.
구동부(140)의 기어박스(142)는 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트레인 구조를 가지며 공지의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일 예로 도시에서는 모터(141)의 축회전이 기어박스(142)를 통해 베벨기어(143)로 전달되고, 베벨기어(143)는 수직회전을 수평회전으로 전환하여 일체형의 회동축부(A)를 전.후 방향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구동부(140)의 회전력은 후술의 주사바늘 분리부(130)에 전달되며 커팅날(131)을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이용된다.
<제1 실시예>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에 적용한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12)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이(132)와, 주사바늘(12)의 타측에서 수평이동하여 주사바늘(12)을 절단하는 커팅날(131)을 구비한 절단유닛(133)을 포함한다.
이때, 절단유닛(133)은 커팅날(131)과, 커팅날(131)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드(133a)와, 구동부재로서 로드(133a)를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133b)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하우징부(110)에는 로드(133a)와 실린더(133b)를 지지하면서 로드(133a)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133c)를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부(130)를 구비한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작업자는 폐기하고자 하는 주사기(10)를 하우징부(110)의 개폐도어(111)를 열고 탑재부(120) 상에 떨어뜨린다.
이때, 탑재부(120)는 하부가 곡면을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지며, 주사기(10)는 주사바늘(12)이 저면의 관통공을 통과해 탑재부(120)의 내부공간상에 직립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탑재부(120)의 내부 일측에는 주사기(10)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디스플레이부(112)에는 탑재부(120)에 주사기(10)가 위치함을 표시하고 카운팅하여 몇번째 처리 주사기(10)인지 표시한다.
한편, 주사기(10)가 탑재부(120)에 위치하면 센서에 의해 자동 또는 작업자의 작업진행 버튼의 누름에 따라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절단유닛(133)은 실린더(133b)를 주사바늘(12)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드(133a)를 수평이동시키고 재차 순간적으로 다시 로드(133a)를 주사바늘(12) 측으로 수평이동시킨다.
이때, 커팅날(131)은 다이(132)와 함께 가위의 작동구조와 동일하게 순간적으로 주사바늘(12)를 절단하게 되고, 주사바늘(12)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하여 바늘 수거통(150)에 떨어져 모아진다.
한편, 주사바늘(12)의 절단 분리와 동시에 센서에 의한 제어신호 또는 설정한 타임시간에 따라 구동부(140)의 모터(141)는 회전하고 기어박스(142)의 기어연결 구조에 따라 회동축부(A)는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동축부(A)와 일체형의 탑재부(120) 또한 회동축부(A)와 함께 회전하는데, 바람직하게 탑재부(120)는 도 2를 참조하면, 회동축부(A)의 회전에 따라 90°이상 기울어진다.
그리고, 탑재부(120)에 위치한 주사기 본체(11)는 자중에 의해 탑재부(120)의 내주면을 타고 낙하하여 본체 수거통(160)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주사기(10)의 탑재부(120) 투입과, 주사바늘(120)의 절단분리에 의한 수거, 그리고 탑재부(120)의 회동에 따른 주사기 본체(11)의 수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에 적용한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12)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이(132)와, 주사바늘(12)의 타측에서 수평이동하여 주사바늘(12)을 절단하는 커팅날(131)을 구비한 절단유닛(133)을 포함한다.
이때, 절단유닛(133)은 커팅날(131)과, 커팅날(131)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커팅날(131)과 연결된 전단 일측에 후크걸리(133-1a)를 돌출형성한 제1로드(133-1)와, 제1로드(133-1)를 하우징부(110a)내에 지지하면서 제1로드(133-1)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133-2)와, 후크걸리(133-1a)와 지지부재(133-2) 사이의 제1로드(133-1)에 구비된 압축스프링(133-3)을 포함한다.
또한, 절단유닛(133)은, 전단에 후크걸리(133-1a)에 걸리는 후크(133-4a)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언덕(133-4b)를 형성하며,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이(133-4c)를 형성한 구동로드(133-4)를 포함한다.
한편, 구동로드(133-4)는 제1로드(133-1)와 수평되게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단유닛(133)은, 랙기어이(133-4c)와 맞물리게 하우징부(110)에 고정결합하고, 회동축부(A)의 회전에 따라 기어연결구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133-5)을 구비한다.
그리고, 절단유닛(133)은, 상기 피니언(133-5)의 회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구동로드(133-4)의 경사언덕(133-4b) 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해제턱(133-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다이(132)와 커팅날(131)을 포함한 커팅유닛(133)으로 구성한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상술의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탑재부(120)의 회동축부(A)에 의한 회동전부터 주사바늘(12)을 절단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 것은 아니다.
탑재부(120)가 90°회동하였을 때 저면을 관통한 주사바늘(12)은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다이(132)와 커팅날(131)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탑재부(120)가 기울어지면서 90°가 되었을 때 주사바늘(12)은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다이(132)와 커팅날(131) 사이에 위치되며, 이때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작동되어 커팅날(131)에 의해 주사바늘(12)을 절단하고 주사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부(130)를 구비한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도 1과 함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작업자는 폐기하고자 하는 주사기(10)를 하우징부(110)의 개폐도어(111)를 열고 탑재부(120) 상에 떨어뜨린다.
이때, 탑재부(120)는 하부가 곡면을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지며, 주사기(10)는 주사바늘(12)이 저면의 관통공을 통과해 탑재부(120)의 내부공간상에 직립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탑재부(120)의 내부 일측에는 주사기(10)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디스플레이부(112)에는 탑재부(120)에 주사기(10)가 위치함을 표시하고 카운팅하여 몇번째 처리 주사기(10)인지 표시한다.
한편, 주사기(10)가 탑재부(120)에 위치하면 센서에 의해 자동 또는 작업자의 작업진행 버튼의 누름에 따라 구동부(140)는 동작하고 이에 따라 회동축부(A)가 회전한다.
그리고, 회동축부(A)의 회전에 따라 탑재부(120) 또한 설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바람직하게 회동축부(A)는 탑재부(120)를 탑재된 주사기(10)의 주사기 본체(11)가 떨어지기 용이하게 90°이상, 구체적으로 120°이상 기울어질 수 있게 회전한다.
이때, 구동부(140)에 의해 회동축부(A)가 회전함에 따라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절단유닛(133)을 구성하는 피니언(133-5)이 구동부(14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한다.
연결된 기어구조에 의해 피니언(133-5)은 회동축부(A)와 동시에 또는 시간적 간격 차이를 가지고 구동한다.
피니언(133-5)은 회동축부(A)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43)과 연결된 기어트레인 구조 및 필요에 따라 벨트 연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데, 이러한 기어연결구조에 의한 동력전달과정 및 구조는 통상의 알려진 공지기능 혹은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피니언(133-5)은 회전하면서 구동로드(133-4)의 랙기어이(133-4c)와 맞물려 구동로드(133-4)를 주사바늘(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구동로드(133-4)가 수평이동됨에 따라 구동로드(133-4)의 후크(133-4a)에 후크걸리(133-1a)가 걸린 제1로드(133-1) 역시 커팅날(131)을 포함하여 주사바늘(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로드(133-1)의 후크걸리(133-1a)와 지지부재(133-2) 사이의 압축스프링(133-3)은 압축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로드(133-4)는 주사바늘(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언덕(133-4b)이 해제턱(133-6)과 접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경사언덕(133-4b)이 형성하는 경사기울기에 따라 후크(133-4a)와 후크걸리(133-1a)의 후크걸림은 해제되는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축부(A)에 의해 탑재부(120)가 90°회동하였을 때 탑재부(120)의 저면을 관통한 주사바늘(12)은 주사바늘 분리부(130)의 다이(132)와 커팅날(131)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주사바늘(12)이 온전히 다이(132)와 커팅날(131) 사이에 위치할 때, 이미 설정된 구조에 따라 해제턱(133-6)이 경사언덕(133-4b)을 타고 올라감에 따라 후크(133-4a)와 후크걸리(133-1a)의 후크걸림이 해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시에 압축스프링(133-3)의 압축력은 해제되고 주사바늘(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던 제1로드(133-1)는 압축스프링(133-3)의 압축력에 의해 주사바늘(12) 측으로 수평이동한다.
그리고, 커팅날(131)은 다이(132)와 함께 가위의 작동구조와 동일하게 순간적으로 주사바늘(12)를 절단하게 되고, 주사바늘(12)은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하여 바늘 수거통(150)에 떨어져 모아진다.
한편, 탑재부(120)는 회동축부(A)에 의해 90°를 넘어 계속 회동되어 설정된 각도까지 기울어진다.
그리고, 탑재부(120)에 위치한 주사기 본체(11)는 자중에 의해 탑재부(120)의 내주면을 타고 낙하하여 본체 수거통(160)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주사기로부터 주사바늘(12)의 분리가 완료되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따라 구동부(140)는 역방향으로 조작된다.
그리고, 구동부(140)의 반대측으로의 구동에 따라 피니언(133-5)는 구동로드(133-4)를 탑재부(120) 측으로 수평이동시키고 구동로드(133-4)의 후크(133-4a)는 재차 후크걸리(133-1a)에 걸린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주사기(10)의 탑재부(120) 투입과, 탑재부(120)의 회동, 그리고 탑재부(120)가 90°회동되었을 때 주사바늘(120)의 절단분리, 그리고 연속되는 탑재부(120)의 회동에 따른 주사기 본체(11)의 수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 분리부(130)에 의해 절단 분리된 주사바늘(12)은 하우징부(110)의 하부에 작업자가 착탈가능하게 하우징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바늘 수거통(150)에 자중에 의해 떨어져 모이게 된다.
그리고, 주사바늘(12)이 분리된 주사기 본체(11)는 기울어진 탑재부(120)의 개구된 상부와 대응하도록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작업자가 착탈가능하게 하우징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본체 수거통(160)에 자중에 의해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00)는 폐기되는 주사기(10)의 주사바늘(12)에 의한 상처 감염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여 안전하게 주사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일일이 주사기(10)로부터 주사바늘(12)을 분리 수거하는 작없을 생략하여 분리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주사기 11 : 주사기 본체
12 : 주사바늘 100 :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110 : 하우징부 120 : 탑재부
130 : 주사바늘 분리부 131 : 커팅날
132 : 다이 133 : 절단유닛
133a : 로드 133b : 실린더
133c : 지지부재 133-1 : 제1로드
133-1a : 후크걸리 133-2 : 지지부재
133-3 : 압축스프링 133-4 : 구동로드
133-4a : 후크 133-4b : 경사언덕
133-4c : 랙기어이 133-5 : 피니언
133-6 : 해제턱 140 : 구동부
141 : 모터 142 : 기어박스
143 : 베벨기어 150 : 바늘 수거통
160 : 본체 수거통 A : 회동축부

Claims (7)

  1. 몸체(11a)와 허브(11b)를 가지는 주사기 본체(11)와 주사바늘(12)로 이루어진 주사기(10)에서 주사바늘(12)을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장치에서,
    함체 형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부(110)와;
    회동축부(A)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개구된 상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주사기(10)의 주사바늘(12)이 저면을 관통해 직립하게 위치하는 통 형상의 탑재부(120)와;
    상기 탑재부(12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정한 위치에 놓인 주사바늘(12)의 최상단을 수평이동하는 커팅날(131)의 펀치력(F)을 이용해 절단하여, 상기 주사바늘(12)을 주사기 본체(11)에서 분리하는 주사바늘 분리부(130)와;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공간 일측에 구비된 모터(141)의 회전력을 기어박스(142)를 통해 상기 회동축부(A)로 전달하여 회전시킴으로 상기 탑재부(120)를 설정한 각도로 기울여 상기 주사기 본체(11)를 낙하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10)는,
    분리된 상기 주사바늘(12)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모이는 바늘 수거통(150)과,
    회동축부(A)의 회전에 따라 90°이상 기울어진 탑재부(120)를 타고 자중에 의해 낙하한 주사기 본체(11)가 모이는 본체 수거통(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분리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주사바늘(12)의 일측과 접하면서 지지하는 다이(132)와,
    상기 다이(132)에 대응하게 상기 주사바늘(12)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팅날(131)을 이용해 상기 주사바늘(12)을 타격하면서 절단하는 절단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133)은,
    커팅날(131)과, 상기 커팅날(131)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로드(133a)와, 상기 로드(133a)를 제어에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133b)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133)은,
    상기 로드(133a)와 실린더(133b)를 상기 하우징부(110)내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로드(133a)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133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133)은,
    커팅날(131)과,
    상기 커팅날(131)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커팅날(131)과 연결된 전단 일측에 후크걸리(133-1a)를 돌출형성한 제1로드(133-1)와,
    상기 제1로드(133-1)를 상기 하우징부(110)내에 지지하면서 상기 제1로드(133-1)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부재(133-2)와,
    상기 후크걸리(133-1a)와 상기 지지부재(133-2) 사이의 제1로드(133-1)에 구비된 압축스프링(133-3)과,
    전단에 상기 후크걸리(133-1a)에 걸리는 후크(133-4a)를 형성하고, 일측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언덕(133-4b)를 형성하며, 후방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이(133-4c)를 형성한 구동로드(133-4)와,
    상기 랙기어이(133-4c)와 맞물리게 상기 하우징부(110)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회동축부(A)의 회전에 따라 구동부(140)와의 기어연결구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133-5)과,
    상기 피니언(133-5)의 회전에 따라 주사바늘(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로드(133-4)의 경사언덕(133-4b)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해제턱(133-6)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120)는,
    내부 일측에 주사기(10)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0180060142A 2018-05-28 2018-05-28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190135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42A KR20190135113A (ko) 2018-05-28 2018-05-28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42A KR20190135113A (ko) 2018-05-28 2018-05-28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13A true KR20190135113A (ko) 2019-12-06

Family

ID=6883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142A KR20190135113A (ko) 2018-05-28 2018-05-28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1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64B1 (ko) * 2018-12-31 2020-05-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200126640A (ko) * 2019-04-30 2020-11-09 김영수 주사바늘 처리기
KR20210106829A (ko) * 2020-02-21 2021-08-31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의료폐기물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바늘 분리 수거 방법
KR20220109791A (ko) * 2021-01-29 2022-08-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늘이 구비된 의료기구용 안전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553U (ko) 1996-03-20 1997-10-13 이평환 일회용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553U (ko) 1996-03-20 1997-10-13 이평환 일회용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 회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64B1 (ko) * 2018-12-31 2020-05-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200126640A (ko) * 2019-04-30 2020-11-09 김영수 주사바늘 처리기
KR20210106829A (ko) * 2020-02-21 2021-08-31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의료폐기물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바늘 분리 수거 방법
KR20220109791A (ko) * 2021-01-29 2022-08-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늘이 구비된 의료기구용 안전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5113A (ko)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1588170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A2479349C (en) Biopsy device and biopsy needle modul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iopsy device
KR101619207B1 (ko) 주사기의 탈거가 확실한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417752B1 (ko)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US5351381A (en) Device for removing a hypodermic needle from a syringe body and for distorting the hypodermic needle
EP0313212B1 (en) Device for removing needles or needle/sheath combinations from hypodermic syringes
JP2005529632A (ja) 真空生検装置
CN111376318B (zh) 注射器切割及分离排出装置
DK2420279T3 (en) Kanylenålsfjerner
EP2942074B1 (en) Machine for recycling sharp, pointed objects
CN208784751U (zh) 一种血糖采血检测一体化装置
CN210785779U (zh) 一种多功能医用利器盒
CN214434533U (zh) 脚踏式注射针头切割与锐器收集车
KR101684286B1 (ko) 주사바늘 분리기
CN210228811U (zh) 注射穿刺器械分离机
CN109395211B (zh) 一种胰岛素笔针头的拆卸方法
CN108465142B (zh) 针头分离器
CN211156951U (zh) 一种利器回收护理车
CN215938610U (zh) 一种锐器盒
CN215351281U (zh) 一种针管便捷分离的一体式医用锐器盒
CN219184166U (zh) 一种自拔针头利器桶
CN210417818U (zh) 利器收纳装置
CN215273392U (zh) 一种带有针头分离机构的利器盒
CN216021402U (zh) 一种儿科用锐器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