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000B1 - 주사바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000B1
KR101808000B1 KR1020170095808A KR20170095808A KR101808000B1 KR 101808000 B1 KR101808000 B1 KR 101808000B1 KR 1020170095808 A KR1020170095808 A KR 1020170095808A KR 20170095808 A KR20170095808 A KR 20170095808A KR 101808000 B1 KR101808000 B1 KR 10180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jection needle
roller
housing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호
Original Assignee
임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호 filed Critical 임태호
Priority to KR102017009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바늘이 삽입되었거나 상기 주사바늘이 분리되었음을 인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의 주사바늘 인지에 따라 가동을 개시하며, 일정 위치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주사기 본체로부터 상기 주사바늘을 분리시키는 분리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과 상기 분리 유닛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주사바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바늘 제거장치{NEEDLE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사바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주사바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하여 특정한 기관이나 조직에서 병원체가 증식하고, 그곳에 특유의 병변을 일으키는 것이 1차 감염 또는 초 감염임에 비하여, 전술한 1차 감염에 의한 병소의 병원체가 혈관이나 림프관이나 기관이나 소화관 또는 요관 등을 따라 같은 기관의 다른 부위나 다른 기관으로 운반되어 감염을 일으키는 것이 2차 감염이다.
의료기관에서 주사는 환자에게 행해지는 치료 처방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의료 행위이지만 의료진들의 주사바늘로 인한 자상 사고 경험은 약 70%에 달하며 연간 11만건의 주사바늘 찔림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혈액으로 인한 감염질병이 20가지 이상인 점을 감안할 때 의료진들의 주사바늘로 인한 자상 사고 예방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 등록실용실안 제20-0132638호의 "주사바늘 분리장치"(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1은 주사기 바늘이 관통하는 구멍과 상기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일면으로 경사면을 갖는 쐐기를 구비하는 상부카바와, 상기 카바와 결합되어 하부에서 폐기되는 주사바늘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통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1과 같은 일반적인 주사바늘 분리장치들은 작업자가 일회용 주사기 본체의 주사바늘이 직접적으로 작업자는 의료진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만을 단순히 배제시키기 위한 타입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여전히 수차례 주사바늘에 작업자 또는 의료진의 피부가 노출되어 자상 사고를 입을 우려가 다분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249725호의 "주사바늘분리처리기"(이하 선행기술2)와 같이 일체의 분리 제거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도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2는 주사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주사바늘을 맞물리는 기어 사이를 통과시켜 주사바늘을 압착시킨 후 절곡 또는 절단시킴으로써 분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사바늘을 절곡 또는 절단시키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압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주사바늘의 압착과 절단 및 절곡에 많은 힘과 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실안 제20-0132638호 등록특허 제10-12497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바늘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사바늘이 삽입되었거나 상기 주사바늘이 분리되었음을 인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의 주사바늘 인지에 따라 가동을 개시하며, 일정 위치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주사기 본체로부터 상기 주사바늘을 분리시키는 분리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과 상기 분리 유닛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주사기 본체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안착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사바늘의 삽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하며 편심 회전하는 제2 제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제2 제거 롤러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제2 제거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 유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1 제거 롤러가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2 제거 롤러가 장착되는 종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밀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주사바늘이 삽입되었거나 상기 주사바늘이 분리되었음을 인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의 주사바늘 인지에 따라 가동을 개시하며, 일정 위치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주사기 본체로부터 상기 주사바늘을 분리시키는 분리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과 상기 분리 유닛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의 주사바늘에 찔려 2차 감염에 노출되는 의료 종사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여 처치 곤란한 주사바늘의 효율적인 처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주사기 본체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안착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사바늘의 삽입을 감지하게 됨으로써, 주사바늘이 확실하게 분리 유닛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정확한 안착 위치를 결정하므로,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주사바늘의 분리 제거 동작 제어를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하며 편심 회전하는 제2 제거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제2 제거 롤러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제2 제거 롤러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주사바늘이 주사기 본체로부터 확실하고 안전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하여 의료 폐기물의 효율적인 분리 수거 및 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 유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1 제거 롤러가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2 제거 롤러가 장착되는 종동 샤프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이 분리 제거되는데 필요한 동작 매커니즘을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과 설계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구동 샤프트와 상기 종동 샤프트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밀착 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만일의 사태에서 주사바늘이 주사기 본체로부터 분리 제거되지 않고 미끄러져버리는 오작동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도 높은 제품을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b)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iii-iii 선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b)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iii-iii 선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에 감지 유닛(100) 및 분리 유닛(200)이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감지 유닛(100)과 분리 유닛(200)이 내장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감지 유닛(100)은 주사바늘(400)이 삽입되었거나 주사바늘(400)이 분리되었음을 인지하는 것이다.
분리 유닛(200)은 감지 유닛(100)의 주사바늘(400) 인지에 따라 가동을 개시하며, 일정 위치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주사바늘(400)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에는 도 2와 같이 하우징(300)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주사기 본체(500)가 안착될 상면에 구비되어 분리 유닛(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주사바늘(400)을 삽입하여 주사기 본체(500)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안착홀(31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감지 유닛(100)은 안착홀(3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주사바늘(400)의 삽입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 유닛(100)은 위치 감지 센서 또는 주사 바늘(400)의 형체를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포토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류를 채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분리 유닛(200)은, 하우징(300)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제거 롤러(210)와, 하우징(300) 내부에서 제1 제거 롤러(210)와 접촉 또는 이격하며 편심 회전하는 제2 제거 롤러(2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주사바늘(400)은 도 1(a)와 같이 제1 제거 롤러(210)와 제2 제거 롤러(220)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제거 롤러(210)와 제2 제거 롤러(2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분리 유닛(200)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 제거 롤러(210, 220)의 원활한 가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제1 제거 롤러(210)가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211)와, 구동 샤프트(21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제2 제거 롤러(220)가 장착되는 종동 샤프트(22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 유닛(200)은, 구동 샤프트(211)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구비한 모터(230)와, 구동 샤프트(211)의 타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하는 제1 기어(240)와, 종동 샤프트(221)의 타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하며, 제1 기어(24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분리 유닛(200)은, 주사바늘(400)과의 접촉 마찰력을 증대시켜 주사바늘(400)이 제1, 2 제거 롤러(210, 220) 사이에서 미끄러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제거 롤러(210) 및 제2 제거 롤러(220)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밀착코팅층(이하 미도시)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밀착코팅층은 제1 제거 롤러(210)와 제2 제거 롤러(220)가 회전하여 상호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접촉 마찰력이 주사기 본체(500)와 주사바늘(400) 사이의 체결력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주사바늘(400)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유닛(200)은, 주사바늘(400)과의 접촉 마찰력을 증대시켜 주사바늘(400)이 제1, 2 제거 롤러(210, 220) 사이에서 미끄러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제거 롤러(210) 및 제2 제거 롤러(220) 각각의 외주면에 널링(knurling) 구조(이하 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널링 구조는 제1 제거 롤러(210)와 제2 제거 롤러(220)가 회전하여 상호 접촉할 때 제1, 2 제거 롤러(210, 220) 상호간의 접촉력이 맞물림 수준으로 발생하되, 주사기 본체(500)와 주사바늘(400) 사이의 체결력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주사바늘(400)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분리 유닛(2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동 샤프트(211)와 종동 샤프트(221)를 상호 연결하며, 구동 샤프트(211)와 종동 샤프트(221)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밀착 수단(2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밀착 수단(260)은, 코일 스프링(263)으로 서로 연결된 제1, 2 부싱(261, 262)을 포함한다.
제1 부싱(261)은 구동 샤프트(21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구동 샤프트(211)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이며, 제2 부싱(262)은 종동 샤프트(22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종동 샤프트(221)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이다.
코일 스프링(263)은 제1 부싱(261)과 제2 부싱(262) 각각의 외주면을 상호 연결하며, 제1 부싱(261)과 제2 부싱(262) 각각의 외주면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밀착 수단(260)은, 하우징(300)의 상면 내측에 형성되어 제1 부싱(261)과 제2 부싱(262) 각각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이동자(261m) 및 제2 이동자(262m)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격허용 레일(2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2 이동자(261m, 262m) 및 유격허용 레일(270)은, 주사바늘(400)이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분리될 때, 주사기 본체(500)에 주사바늘(400)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며 비교적 직경이 큰 연결편(이하 미도시)이 제1, 2 제거 롤러(210, 220) 사이를 통과할 때 구동 샤프트(211)와 종동 샤프트(221)를 통하여 분리 유닛(200) 전체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것을 일정 정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일련의 주사바늘(400) 분리 및 제거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컨트롤러(600)는 하우징(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감지 유닛(100) 및 모터(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 유닛(100)에 의하여 주사바늘(400)이 삽입됨을 감지하면 모터(230)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고, 감지 유닛(100)에 의하여 주사바늘(400)이 분리 제거됨을 감지하면 모터(230)에 가동 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에 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작업자는 안착홀(310)에 주사기 본체(500)를 거치시키되 주사바늘(400)이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면, 감지 유닛(100)이 주사바늘(400)의 하우징(300) 내 투입을 알아차리고, 컨트롤러(600)에 주사바늘(400) 투입 정보를 전달한다.
컨트롤러(600)는 분리유닛(200)의 모터(230)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고, 모터(230)의 가동에 따라 구동 샤프트(211)는 회전을 시작하고, 구동 샤프트(211)에 장착된 제1 기어(240)는 함께 맞물린 제2 기어(250)를 돌리며, 제2 기어(250)가 장착된 종동 샤프트(221)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 샤프트(211)와 종동 샤프트(221)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다음으로, 구동 샤프트(211) 및 종동 샤프트(221)에 각각 장착된 제1 제거 롤러(210) 및 제2 제거 롤러(2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주사바늘(400)을 두고 맞닿아 접촉하게 된다.
계속하여, 모터(230)가 가동하면 제1, 2 제거 롤러(210, 220)는 계속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사바늘(400)에 압착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전술한 압착력이 주사바늘(400)과 주사기 본체(500) 상호간의 체결력을 넘어서는 시점에서, 주사바늘(400)은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감지 유닛(100)이 주사바늘(400)의 분리 사실을 감지하여 컨트롤러(600)에 정보를 전달하면, 컨트롤러(600)는 모터(230)의 가동 정지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모터(230)는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 제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주사바늘(400)이 삽입되었거나 주사바늘(400)이 분리되었음을 인지하는 감지 유닛(100); 감지 유닛(100)의 주사바늘(400) 인지에 따라 가동을 개시하며, 일정 위치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주사바늘(400)을 분리시키는 분리 유닛(200); 및 감지 유닛(100)과 분리 유닛(200)이 내장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주사바늘(400)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500)의 주사바늘(400)에 찔려 2차 감염에 노출되는 의료 종사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여 처치 곤란한 주사바늘(400)의 효율적인 처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리 유닛(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주사바늘(400)을 삽입하여 주사기 본체(500)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안착홀(310)을 더 포함하며, 감지 유닛(100)은 안착홀(3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주사바늘(400)의 삽입을 감지하게 됨으로써, 주사바늘(400)이 확실하게 분리 유닛(200)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정확한 안착 위치를 결정하므로,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주사바늘(400)의 분리 제거 동작 제어를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유닛(200)은, 하우징(300)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제거 롤러(210)와, 하우징(300) 내부에서 제1 제거 롤러(210)와 접촉 또는 이격하며 편심 회전하는 제2 제거 롤러(220)를 포함하며, 주사바늘(400)은 제1 제거 롤러(210)와 제2 제거 롤러(220)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제거 롤러(210)와 제2 제거 롤러(22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주사바늘(400)이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확실하고 안전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하여 의료 폐기물의 효율적인 분리 수거 및 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유닛(200)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제1 제거 롤러(210)가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211)와, 구동 샤프트(21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제2 제거 롤러(220)가 장착되는 종동 샤프트(221)를 더 구비함으로써,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주사바늘(400)이 분리 제거되는데 필요한 동작 매커니즘을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제작과 설계 및 조립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유닛(200)은, 구동 샤프트(211)와 종동 샤프트(221)를 상호 연결하며, 구동 샤프트(211)와 종동 샤프트(221)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밀착 수단(260)을 더 구비함으로써, 만일의 사태에서 주사바늘(400)이 주사기 본체(500)로부터 분리 제거되지 않고 미끄러져버리는 오작동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도 높은 제품을 수요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주사기 본체로부터 주사바늘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바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감지 유닛
200...분리 유닛
210...제1 제거 롤러
211...구동 샤프트
220...제2 제거 롤러
221...종동 샤프트
230...모터
240...제1 기어
250...제2 기어
260...밀착 수단
261...제1 부싱
261m...제1 이동자
262...제2 부싱
262m...제2 이동자
263...코일 스프링
270...유격허용 레일
300...하우징
310...안착홀
400...주사바늘
500...주사기 본체
600...컨트롤러

Claims (5)

  1. 주사바늘이 삽입되었거나 상기 주사바늘이 분리되었음을 인지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의 주사바늘 인지에 따라 가동을 개시하며, 일정 위치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 또는 이격하면서 주사기 본체로부터 상기 주사바늘을 분리시키는 분리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과 상기 분리 유닛이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하며 편심 회전하는 제2 제거 롤러와,
    상기 제1 제거 롤러 및 상기 제2 제거 롤러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주사바늘과의 접촉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밀착코팅층과,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1 제거 롤러가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단부에 상기 제2 제거 롤러가 장착되는 종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부싱과, 상기 종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 부싱과, 상기 제1 부싱과 상기 제2 부싱 각각의 외주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 부싱과 상기 제2 부싱 각각의 외주면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싱과 상기 제2 부싱 각각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이동자 및 제2 이동자와, 상기 제1 이동자 및 제2 이동자가 상호 근접 또는 이격하는 것을 허용하는 유격허용 레일을 포함하는 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제2 제거 롤러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거 롤러와 상기 제2 제거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상기 주사기 본체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안착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안착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주사바늘의 삽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제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5808A 2017-07-28 2017-07-28 주사바늘 제거장치 KR10180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08A KR101808000B1 (ko) 2017-07-28 2017-07-28 주사바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808A KR101808000B1 (ko) 2017-07-28 2017-07-28 주사바늘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000B1 true KR101808000B1 (ko) 2017-12-12

Family

ID=6094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08A KR101808000B1 (ko) 2017-07-28 2017-07-28 주사바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2391A (zh) * 2021-04-06 2021-07-09 张琳 一种麻醉科用麻醉器材处理装置
KR20210106829A (ko) * 2020-02-21 2021-08-31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의료폐기물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바늘 분리 수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25B1 (ko) 2012-09-10 2013-04-03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101588170B1 (ko) 2015-08-07 2016-01-2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25B1 (ko) 2012-09-10 2013-04-03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101588170B1 (ko) 2015-08-07 2016-01-2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829A (ko) * 2020-02-21 2021-08-31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의료폐기물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바늘 분리 수거 방법
KR102338909B1 (ko) * 2020-02-21 2021-12-10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의료폐기물수거함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바늘 분리 수거 방법
CN113082391A (zh) * 2021-04-06 2021-07-09 张琳 一种麻醉科用麻醉器材处理装置
CN113082391B (zh) * 2021-04-06 2022-05-17 张琳 一种麻醉科用麻醉器材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000B1 (ko) 주사바늘 제거장치
US8708928B2 (en) Biopsy apparatus having integrated fluid management
CN104507388B (zh) 传感器盒和插入件
CA2403282C (en) Pressure sensitive mat with breathing tube apparatus
EP1688087A1 (en) A single use lancet device
US824538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ic shoe cover stripping
WO2009130630A3 (en) Identifying possible medical conditions of a patient
MX2012005026A (es) Montaje impulsor de biopsia que tiene un circuito de control para conservar la energia de bateria.
ATE537861T1 (de) Feuchtigkeitssensor
CN102022308A (zh) 紧凑型蠕动医用泵
JPH07148176A (ja) 針カニューレのための安全シールド組立体
JP2005261967A (ja) 採血システム
EP2082707A3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performance of a gastric restriction system
WO2005079440A3 (en) Improved injection devicew for administering a vaccine
CN102613977B (zh) 凸轮致动的医疗穿刺装置
EP3220978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agent
US20100056976A1 (en) Venous line disconnection / venous needle dislodgement clamp
JP4802534B2 (ja) 医療用ローラポンプおよび血液体外処理装置
CN104220118A (zh) 针组件移除装置和处理装置
EP2830677B1 (en) Device for monitoring blood leakage from wounds
EP2680780A1 (en) Protective barriers for medical devices
KR100902373B1 (ko) 무통 사혈기의 사혈침이 내장된 일회용 캡
US20130281915A1 (en) Vacuum enabled device with micro-needle insert for acne treatment
KR20130021611A (ko) 신발 벗기 보조장치
US20130267915A1 (en) Medical grade cleansing and numbing agent combination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