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709B1 - 주사바늘 처리기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709B1
KR101663709B1 KR1020140179052A KR20140179052A KR101663709B1 KR 101663709 B1 KR101663709 B1 KR 101663709B1 KR 1020140179052 A KR1020140179052 A KR 1020140179052A KR 20140179052 A KR20140179052 A KR 20140179052A KR 101663709 B1 KR101663709 B1 KR 10166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otating body
syringe
fixing
injec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298A (ko
Inventor
김영수
손재원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4017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7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2005/3201Coaxially assembled needle cannulas placed on top of another, e.g. need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주사바늘을 잡지 않고 용이하게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신속하게 주사바늘을 분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분리된 주사바늘은 밀봉된 상태로 수거되기 때문에 수거자가 주사바늘을 취급시에 감염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기 위한 주사바늘 처리기에 있어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가 결합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사바늘이 수거되는 수거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주사바늘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바늘 처리기{separator for injection and suction needle}
본 발명은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주사바늘을 잡지 않고 용이하게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신속하게 주사바늘을 분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분리된 주사바늘은 밀봉된 상태로 수거되기 때문에 수거자가 주사바늘을 취급시에 감염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사기는 치료받고 있는 환자들을 다른 병원균으로부터 2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사용을 못하도록 되어있어 한 번 사용하고 폐기시키는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주사기는 프라스틱재의 주사기몸체와 금속재의 주사바늘 및 주사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프라스틱재의 보호 캡으로 이루어져 살균 처리된 상태로 비닐지로 밀폐 포장되어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공급되어 대량으로 소모되고 있는 일회용 소모품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는 현재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일회용 주사기를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주사기를 밀폐된 상태로 포장하고 있는 비닐지를 제거하고, 보호 캡이 끼워져 있는 주사바늘을 주사기몸체에 끼워 일체를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바늘에 끼워져 있는 보호 캡을 제거하고 주사기에 주사액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흡입 충진시킨 후 다시 보호 캡을 끼운 상태에서 주사실 또는 병실로 이동하여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주사부위를 먼저 소독처리 하고 주사바늘에 끼워져 있는 보호 캡을 제거한 후,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치과용 주사기의 경우, 주사기 몸체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된 앰플을 삽입하여 사용하며, 주사기의 단부에 주사바늘을 나사방식으로 고정하게 되고, 주사바늘의 후단부가 앰플의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주사바늘을 통하여 분사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주사기가 아닌 채혈을 위한 주사기의 경우 주사기 몸체의 단부에 나사형식으로 주사바늘을 연결하게 되고,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주사바늘의 후단부에 진공상태의 채혈용 튜브를 연결하여 환자의 혈액을 채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거나, 환자의 혈액을 채혈한 주사기는 주사바늘에 보호 캡을 끼운 다음 주사기 폐기실 또는 폐기통으로 이동하여 프라스틱재인 보호 캡과 주사기몸체는 프라스틱재 수거용 폐기 통에 버리고, 금속재인 주사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수거용 폐기 통에 버려 주사기의 각 부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 수거하여 폐기하게 된다.
이때, 주사바늘에 끼워져 있는 보호 캡을 여러 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끼우거나 분리할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이 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먼저 일회용 주사기를 직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종사자들은 환자에게 사용되어 병원균에 노출된 주사바늘에 찔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주사바늘에 의해 환자를 치료하고 있던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 종사자들이 감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폐기실 또는 폐기 통에 분리 수거된 일회용 주사기의 각 부품들을 수거해 가는 분리수거 취급자들은 어떤 병에 걸려 치료를 받고있는지도 모르는 다수의 환자들에게 사용된 주사바늘을 수거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만지다 보면 본인도 모르게 각종 병원균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수거작업을 하게됨으로 각종 병원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49725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주사기를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삽입공(1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삽입공(15a)의 둘레영역에는 상기 주사기삽입공(15a)을 통해 주사기를 삽입할 때 주사기바디부로부터 허브를 분리하기 위한 허브분리턱(1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기 삽입공(15a)의 하측에는 바늘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통과공의 둘레영역에는 주사바늘이 상기 바늘통과공을 통과할 때 허브로부터 주사바늘을 분리하기 위한 바늘분리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사바늘이 분리된 허브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허브활강로(15e)가 형성되어 있는 주사기탑재부를 갖는 장치바디부(10)와; 각각 외표면에 널링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바늘분리기어바디부(21)를 가지고, 상기 널링영역의 최소이격거리가 주사바늘의 외경보다 작은 값이 되고 허브가 상기 주사기삽입공(15a)을 통과하도록 주사기를 상기 주사기탑재부에 장착할 때 주사바늘의 종단이 상기 널링영역의 사이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바디부(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20)와; 각각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형태의 바늘처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바늘처리기어바디부(31)를 가지고, 상기 바늘분리기어(20)를 통과하는 주사바늘이 상기 바늘처리영역의 사이에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바디부(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30)와; 상기 널링영역의 사이에 진입한 주사바늘이 상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30)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2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상기 바늘처리영역의 사이에 진입한 주사바늘이 상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3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249725호에 기재된 기술은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분리시에 주사바늘에 찔리는 등의 사고를 통하여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주사기와 분리시 주사바늘 뿐만 아니라 주사바늘을 형성하는 허브에서 다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허브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이 허브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바늘을 강하게 가압하여 당겨주어야 하므로,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가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분리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사바늘이 수거되는 수거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거통은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수거통에 주사바늘이 차게 되면 수거통을 분리한 후, 수거통의 상부를 밀봉하여 수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사바늘에 찔려 감염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도록 하는 분리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주사바늘을 분리부의 상부로 삽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회전체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사바늘을 분리하고, 다시 타측으로 회전하여 주사바늘을 하부로 인출하여 수거통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주사바늘을 잡지 않고도 용이하게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도록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기 위한 주사바늘 처리기에 있어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가 결합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사바늘이 수거되는 수거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주사바늘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주사바늘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고정부재는 가이드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한 쌍의 원호를 형성하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나선홈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면에 탄성바가 구비된 역회전 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고정부재에는 각각 역회전제어돌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제어돌부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바에 대응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역회전제어돌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가 주사기에 나사결합된 주사바늘을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선홈에 삽입된 가이드돌부는 제1,2고정부재가 서로 접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역회전 방지돌부가 탄성바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제1,2고정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체만 회전하여 상기 나선홈에 의해 가이드돌부가 제1,2고정부재가 이격되게 가이드하여, 제1,2고정부재 사이에 고정된 주사바늘이 하부에 구비된 수거통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분리부의 측부에는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회전체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는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회전체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에는 상기 종동기어와 접하도록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리부의 상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작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판의 중심부에는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주사기에 의해 작동판이 가압되면 작동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판의 하면에는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관통공으로 단부가 노출되는 분리판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판의 일측 단부는 작동판의 가장자리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사바늘처리부의 하부에는 안착부와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가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분리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사바늘이 수거되는 수거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거통은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수거통에 주사바늘이 차게 되면 수거통을 분리한 후, 수거통의 상부를 밀봉하여 수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사바늘에 찔려 감염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도록 하는 분리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주사바늘을 분리부의 상부로 삽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회전체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사바늘을 분리하고, 다시 타측으로 회전하여 주사바늘을 하부로 인출하여 수거통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주사바늘을 잡지 않고도 용이하게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사바늘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주사바늘 처리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본체의 내측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회전체의 내측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작동판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하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본체의 내측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회전체의 내측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작동판의 하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사바늘 처리기의 하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주사기(400)에서 주사바늘(410)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거통(14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100)는 주사기(400)에서 주사바늘(410)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200)와 상기 분리부(200)가 설치되는 몸체(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부(200)에서 분리한 주사바늘(410)은 상기 수거통(140)에 수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분리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5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150)의 일측에는 상태등(152)이 형성되어 본 발명인 주사바늘 처리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를 형성하는 몸체(110)의 하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연결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수거통(14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116)의 암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부(142)가 형성되어, 나사결합으로 착탈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리부(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220)와 상기 회전체(22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주사바늘(410)을 고정하는 고정부(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232)와 제2고정부재(2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고정부재(232,234)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 주사바늘(4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고정부재(232,234)에는 서로 관통되도록 가이드홈(239)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39)에는 가이드바(미도시)가 삽입되어 제1,2고정부재(232,234)가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제1,2고정부재(232,234)가 서로 이격되고 접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235)의 형상은 사용하는 주사바늘(4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20)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한 쌍의 나선홈(224)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고정부재(232,234)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나선홈(224)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부(236)가 돌출 형성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체(220) 역시 상면과 하면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230)의 상면 일부와 하면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하면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탄성바(216)가 돌출 형성되는 역회전 방지부재(2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2고정부재(232,234)는 하부로 역회전제어돌부(237)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제어돌부(237)은 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역회전제어돌부(237)의 일측에는 마주보는 역회전제어돌부(237)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절개부(238)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238)은 상기 탄성바(2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체(220)가 주사바늘(410)을 분리하기 위한 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회전체(2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230)는 관성력에 의해 멈춰저 있지만 회전체(220)의 나선홈(224)의 단부와 가이드돌부(236)가 접하게 되면 고정부(230)가 같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역회전제어돌부(237)의 절개부(238)와 접하는 부분 중에서 원호부와 탄성바(216)가 접하게 되므로 고정부(230)는 회전체(220)와 함께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홈(224)의 일측 단부는 중심부와 가까워 지도록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중심부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체(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가이드돌부(236)는 나선홈(224)의 단부 중 중심부와 가까워지는 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1,2고정부재(232,234)는 서로 접하게 되어 주사바늘(410)은 고정홈(235)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주사바늘(410)은 주사기(400)에서 분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체(220)가 주사바늘(410)이 주사기(400)에 고정되는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제1,2고정부재(232,234)의 하부에 형성되는 역회전제어돌부(237)에 형성되는 절개부(238)에 의해 역회전제어돌부(237)의 원호부분이 아닌 평평한 부분이 탄성바(216)와 접하게 되어 탄성바(216)에 걸리게 되므로 고정부(230)은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회전체(220)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220)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부(230)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236)는 나선홈(224)을 따라 이동하여 나선홈(224)의 단부와 접하게 되어 역회전제어돌부(237)에 회전체(220)의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역회전제어돌부(237)의 평평한 부분과 탄성바(216)의 단부가 접하게 더이상 회전체(220)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홈(224)의 일측 단부는 중심부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체(220)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고정부(230)의 가이드돌부(236)는 나선홈(224)의 단부 중에서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단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1,2고정부재(232,234)는 서로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고정부재(232,234)의 고정홈(235)에 삽입 고정된 주사바늘(410)은 제1,2고정부재(232,234)가 이격됨에 따라 제1,2고정부재(232,234)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여 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거통(140)의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리부(200)의 측부에는 모터 수용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14)에는 상기 회전체(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00)의 상부에는 구동기어(3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20)의 외주면에는 종동기어(222)가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체(220)가 노출되도록 개방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310)와 종동기어(222)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벨트(320)를 사용하여 연결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모터(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체(22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벨트(320)의 측부에는 벨트(3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롤러(33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10)와 종동기어(2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32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부를 통하여 직접 접하도록 설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300)를 제어하는 스위치(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위치(120)가 작동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3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설정된 회전수만큼 정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다시 구동모터(30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주사기(400)에서 분리된 주사바늘(410)이 수거통(140)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200)의 상부에는 원판 형상의 작동판(130)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판(130)은 하우징(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바(132)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데, 상기 작동판(130)의 중심부에는 상기 주사바늘(410)이 삽입되는 관통공(135)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주사바늘(410)을 작동판(130)의 관통공으로 삽입하게 되면, 주사기(400)의 하부는 작동판(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주사기(400)의 하부에 의해 작동판(13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13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120)를 작동시키는 레버(122)가 위치하게 되어 작동판(13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판(130)에 의해 레버(122)가 하부로 회전하게 되어 스위치(120)가 작동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주사바늘(410)을 작동판(130)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작동판(130)을 하부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주사바늘(410)을 주사기(40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판(130)의 하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410)이 삽입되는 관통공(135)으로 단부가 노출되는 분리판(160)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리판(160)의 일측 단부는 작동판(130)의 하면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비틀림 스프링(164)가 구비되어 분리판(160)의 단부가 주사바늘(41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160)의 중심부에는 장공(16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62)에는 삽입돌부(166)가 삽입되어 분리판(160)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130)의 관통공(135)로 주사바늘(410)을 삽입하게 되면 분리부(200)에 의해 주사바늘(410)이 회전하여 분리되게 되는데, 주사기(400)가 치과에서 사용되는 주사기(400)일 경우 주사기(400) 내부에 앰플이 들어있어, 앰플이 단부에 구비되는 고무패킹에 주사바늘(410)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므로 주사바늘(410)이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160)이 주사바늘(410)과 주사기(400) 사이로 삽입되어 주사기(4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주사바늘(410)은 분리판(160)에 걸리게 되어 주사기(400)와 주사바늘(410)이 분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처리부
또한, 상기 수거통(140)의 하부에는 안착부(172)와 다리부(174)로 이루어지는 받침대(170)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의 주사바늘 처리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주사바늘을 잡지 않고 용이하게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신속하게 주사바늘을 분리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분리된 주사바늘은 밀봉된 상태로 수거되기 때문에 수거자가 주사바늘을 취급시에 감염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사바늘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몸체
112 : 전원 스위치 114 : 모터 수용부
116 : 연결부
120 : 스위치 122 : 레버
130 : 작동판 132 : 지지바
134 : 탄성부재 140 : 수거통
142 : 결합부
150 : 커버 152 : 상태등
200 : 분리부 210 : 하우징
214 : 역회전방지부재 216 : 탄성바
220 : 회전체 222 : 종동기어
224 : 나선홈 230 : 고정부
232 : 제1고정부재 234 : 제2고정부재
235 : 고정홈 236 : 가이드돌부
237 : 역회전제어돌부 238 : 절개부
239 : 가이드홈
310 : 구동기어 320 : 벨트
330 : 장력조절롤러
400 : 주사기 410 : 주사바늘

Claims (13)

  1. 주사기에서 주사바늘을 분리하기 위한 주사바늘 처리기에 있어서,
    주사바늘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가 결합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사바늘이 수거되는 수거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주사바늘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주사바늘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고정부재는 가이드바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회전체의 내측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한 쌍의 원호를 형성하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고정부재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나선홈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면에 탄성바가 구비된 역회전 방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고정부재에는 각각 역회전제어돌부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제어돌부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바에 대응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역회전제어돌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주사기에 나사결합된 주사바늘을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선홈에 삽입된 가이드돌부는 제1,2고정부재가 서로 접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절개부에 의해 노출되는 역회전제어돌부가 탄성바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제1,2고정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체만 회전하여 상기 나선홈에 의해 가이드돌부가 제1,2고정부재가 이격되게 가이드하여, 제1,2고정부재 사이에 고정된 주사바늘이 하부에 구비된 수거통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측부에는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는 회전체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는 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는 회전체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에는 상기 종동기어와 접하도록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상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작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판의 중심부에는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주사기에 의해 작동판이 가압되면 작동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의 하면에는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관통공으로 단부가 노출되는 분리판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판의 일측 단부는 작동판의 가장자리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처리기의 하부에는 안착부와 다리부로 이루어지는 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처리기.
KR1020140179052A 2014-12-12 2014-12-12 주사바늘 처리기 KR10166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052A KR101663709B1 (ko) 2014-12-12 2014-12-12 주사바늘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052A KR101663709B1 (ko) 2014-12-12 2014-12-12 주사바늘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298A KR20160072298A (ko) 2016-06-23
KR101663709B1 true KR101663709B1 (ko) 2016-10-17

Family

ID=5635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052A KR101663709B1 (ko) 2014-12-12 2014-12-12 주사바늘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7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55Y1 (ko) * 2004-12-14 2005-03-11 최기원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JP2013533073A (ja) * 2010-08-13 2013-08-22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ヒンジを備えたコード化薬物リザーバ連結エレメン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915B2 (ja) * 1997-12-24 2002-03-25 イースタン技研株式会社 使用済注射針廃棄装置における係止構造
KR20080014206A (ko) * 2006-08-10 2008-02-14 임양래 전동식 주사침 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55Y1 (ko) * 2004-12-14 2005-03-11 최기원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JP2013533073A (ja) * 2010-08-13 2013-08-22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ヒンジを備えたコード化薬物リザーバ連結エレ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298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6383A (en) Hypodermic needle/syringe assemblies and device for removing needles therefrom
KR101588170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US4867309A (en) Safe-disposal container for used hypodermic needles and the like
EP0313212B1 (en) Device for removing needles or needle/sheath combinations from hypodermic syringes
AU2009302341B2 (en) Sharps container
US5138125A (en) Electrical needle destruction device with sterilizable assembly
JP7032745B2 (ja) 薬剤投与デバイス、及び薬剤投与システム
JPH09500307A (ja) 外科用器具の先鋭物端部フォイル
EP1396234B1 (en) Pen needle sharps port
US20160089206A1 (en) Uv led integrated fleam
KR101433829B1 (ko) 안과용 주사침 밀봉형 포장케이스
KR101809638B1 (ko) 치과용 주사기 바늘의 안전분리장치
KR101663709B1 (ko) 주사바늘 처리기
KR20230125409A (ko) 분리배출이 용이한 의료 폐기물 수거 장치
JP6041275B2 (ja) 注射針取外し容器
JP2009219833A (ja) 針ユニットの取り外し方法および医療廃棄容器
KR101893573B1 (ko)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KR200257319Y1 (ko)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CN216725435U (zh) 一种医疗护理用利器盒
US200802173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sharp medical disposables
JP2004000526A (ja) 針廃棄用の使い捨て針インサート
JP3183799U (ja) 注射器の針部材取り外し器具ユニット
CN221470587U (zh) 一种锐器处理装置
US20220249784A1 (en) Syringe needle safety system
WO2023022670A1 (en) A feces dischar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