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355Y1 -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 Google Patents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355Y1
KR200377355Y1 KR20-2004-0035509U KR20040035509U KR200377355Y1 KR 200377355 Y1 KR200377355 Y1 KR 200377355Y1 KR 20040035509 U KR20040035509 U KR 20040035509U KR 200377355 Y1 KR200377355 Y1 KR 200377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ontainer body
syringe
hol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원
Original Assignee
최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원 filed Critical 최기원
Priority to KR20-2004-0035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3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17Body fluid, devices for protection therefrom, e.g. aids, hepatitus
    • Y10S128/919Syringe, means to protect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주사침을 주사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주사침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아울러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선단에 주사침이 결합되어 있는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로부터 주사침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게 한 홈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주사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대공을 형성하고 그 대공으로부터 연락되며 등각 분할되는 다방향으로 형성한 소공들로 이루어져 주사침을 분리할 수 있게 한 분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SEPARATION AND COLLECT VESSEL OF INJECTION NEEDLE}
본 고안은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로부터 주사침을 간단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주사침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한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사기는, 선단에 주사침이 결합되어 있다. 즉, 주사기의 선단에 약액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위한 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목부에 약액을 환자의 신체로 주입시키기 위한 주사침이 결합된다.
이러한 주사기는 다른 환자를 시술할 때,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1회용으로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한번 사용한 주사침은 주사기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주사침은 외부의 균이 주사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사기의 목부에 압착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결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사침을 분리하기 위해 주사침과 주사기를 손으로 잡고 강한 힘을 가하여 분리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주사기와 주사침을 잡고 강한 힘을 가하여 분리하려고 할 때,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신체의 소정 부분이 주사침의 첨예부에 찔리거나 긁히게 되어 2차 감염이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침을 주사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주사침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아울러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단에 주사침이 결합되어 있는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로부터 주사침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게 한 홈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주사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대공을 형성하고 그 대공으로부터 연락되며 등각 분할되는 다방향으로 형성한 소공들로 이루어져 주사침을 분리할 수 있게 한 분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공들은 대공으로부터 2~4개의 개수 중에서 어느 하나로 등각 분할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공은 용기본체의 상면에 함몰되는 요홈을 구비하여 그 요홈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에는 뚜껑을 막을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 고안에 따른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표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주사침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용기본체(110)는 주사기(10)로부터 분리된 주사침(12)을 수거할 수 있는 내부공간(112)을 갖는다. 이 용기본체(110)는 수지재로 이루어짐이 좋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10)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이 좋은데, 그 직사각형상의 폭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용기본체(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1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홈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용기본체(110)를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견고하게 잡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요홈(120)에 의해 용기본체(110)를 견고한 상태로 잡을 수 있는데, 이는 주사기(10)로부터 주사침(12)을 분리시 용기본체(110)를 견고한 상태로 잡을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사기(10)로부터 주사침(12)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공(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공(130)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면에 형성함이 좋다. 즉,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면에 함몰되게 요홈(114)을 구비하고 그 요홈(114)에 상기 분리공(13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요홈(114)을 막기 위해 뚜껑(140)을 더 구비한다. 이 뚜껑(140)은 상기 요홈(114)에 강제적으로 끼워지게 하여 한번 결합되면 쉽게 빠지지 않게 하며, 뚜껑(140)을 빼낼 때에는 소정의 힘을 가하여 강제적으로 빼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분리공(130)은 대공(132)과 소공(13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대공(132)은 주사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고, 상기 소공(134)은 대공(132)으로부터 연락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대공(132)에서 등각 분할되는 다방향으로 형성되어 주사침을 분리할 수 있게 한 구멍이다.
이러한 소공(13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공(132)의 양측으로 위치하게 형성함이 좋은데, 이는 상기 대공(132)에 주사침(12)을 삽입한 후 소공(134)으로 이동시켜 주사침(12)을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소공(134)이 대공(132)의 양측으로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음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한 방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대공(132)과 소공(134)으로 이루어진 상기 분리공(130)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공(134)을 대공(132)으로부터 3방향으로 등각 분할되게 형성할 수 있고, 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공(134)을 대공(132)으로부터 4방향으로 등각 분할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소공(134)은 대공(132)으로부터 2~4개의 개수로 등각 분할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은 소공(134)을 5개 혹은 6개로 등각 분할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공(132)에 대하여 상기 소공(134)을 여러 방향으로 다수 개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소공(134)을 이용한 주사침의 분리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대공(132)에 주사침을 삽입한 후 사용자가 편리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공(134)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대공(132)과 소공(134)으로 이루어진 상기 분리공(130)에 의해 주사기(10)로부터 주사침(12)을 분리하는 상태는 도 5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10)로부터 주사침(12)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주사기(10)에 결합되어 있는 주사침(12)을 분리공(130)의 대공(132)에 삽입한 후, 이를 소공(134)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주사기(10)를 어느 일측으로 제치되게 되면 지랫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주사침(12)은 주사기(1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주사기(10)로부터 주사침(12)을 분리하기 위해, 주사기(10)를 일측으로 제칠 때에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한 홈부(120)를 이용하여 그 용기본체(110)를 견고하게 잡을 수 있음으로 더욱 쉽게 주사침(12)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주사침(12)은 용기본체(110)의 내부공간(112)에 곧바로 수용됨에 의해 분리된 주사침(12)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용기본체(110)를 수지재로 제작함에 의해 그 용기본체(110)에 분리공(130)을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공정을 간단히 하여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사침을 주사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주사침을 별도의 수거작업 없이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함과 아울러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고안은 주사침을 분리시 사용자의 필요한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도 고안에 따른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표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주사침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용기본체 120 - 홈부
130 - 분리공 132 - 대공
134 - 소공 140 - 뚜껑

Claims (3)

  1. 선단에 주사침이 결합되어 있는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로부터 주사침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양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게 한 홈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주사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대공을 형성하고 그 대공으로부터 연락되며 등각 분할되는 다방향으로 형성한 소공들로 이루어져 주사침을 분리할 수 있게 한 분리공을 포함하는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들은 대공으로부터 2~4개의 개수 중에서 어느 하나로 등각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은 용기본체의 상면에 함몰되는 요홈을 구비하여 그 요홈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에는 뚜껑을 막을 수 있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KR20-2004-0035509U 2004-12-14 2004-12-14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KR200377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09U KR200377355Y1 (ko) 2004-12-14 2004-12-14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09U KR200377355Y1 (ko) 2004-12-14 2004-12-14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355Y1 true KR200377355Y1 (ko) 2005-03-11

Family

ID=4367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09U KR200377355Y1 (ko) 2004-12-14 2004-12-14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3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298A (ko) * 2014-12-12 2016-06-23 김영수 주사바늘 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298A (ko) * 2014-12-12 2016-06-23 김영수 주사바늘 처리기
KR101663709B1 (ko) * 2014-12-12 2016-10-17 김영수 주사바늘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9145B2 (en) Insertion devices for infusion devices
US5007535A (en) Syringe tray
KR200199396Y1 (ko) 채혈용 침의 안전 구조를 갖는 란세트
CA2112759C (en) Needle disposal container and disposal system
JP6031285B2 (ja) 廃棄容器
CA2841931A1 (en) Flange extender for use with a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657150B1 (ko)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JPS62112531A (ja) 採血針処理具用のキャップ
KR20170003370A (ko) 감염성 폐기물의 밀폐용기
KR200377355Y1 (ko) 주사침 분리 및 수거용기
AU2019302139B2 (en) Injection instrument set
WO2013146868A1 (ja) 廃棄容器
KR200257312Y1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KR101733295B1 (ko) 주사바늘 제거장치
KR102192906B1 (ko) 주사기용 캡 분리기
EP0541624B1 (en) Device for removal and containment of used needles
CN220520100U (zh) 一种安瓿瓶抽液防护装置
KR102228673B1 (ko) 니들의 분리가 용이한 치과용 안전주사기
JP3039408U (ja) 使用済注射針分離収納容器
CN215018218U (zh) 粘针板
KR102574845B1 (ko) 시료 보관용기
CN213220077U (zh) 一种污染杯
CN218890013U (zh) 一种方便取下针头的利器盒
JP3183799U (ja) 注射器の針部材取り外し器具ユニット
CN213535878U (zh) 一种新型锐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