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82B1 -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482B1
KR102297482B1 KR1020190155186A KR20190155186A KR102297482B1 KR 102297482 B1 KR102297482 B1 KR 102297482B1 KR 1020190155186 A KR1020190155186 A KR 1020190155186A KR 20190155186 A KR20190155186 A KR 20190155186A KR 102297482 B1 KR102297482 B1 KR 10229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needle
injection needle
collection devic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421A (ko
Inventor
홍기근
Original Assignee
홍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05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7481B1/ko
Application filed by 홍기근 filed Critical 홍기근
Priority to KR102019015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6Means imparting rotational movement to the needle or needle hub in order to assist in its disconnection from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8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by application of rotational movement to the needle hub, e.g. by use of electrically driven toothed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주사기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폐 주사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자동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폐 주사기를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 및 허브로 분리하는 분리수거모듈을 구성하되, 주사기 탑재부는 센서블럭과 회전호퍼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Automatic needle separat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폐 주사기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폐 주사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자동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사용 후 지정된 약제의 정확한 투입과 병원균의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재사용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 후에는 위생상 하나의 주사바늘을 한사람에게만 사용할 수 있도록 주사기로부터 분리해서 제거하게 되는데, 주사바늘을 폐 주사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주사 바늘의 상부를 당기거나 돌려서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주사바늘을 분리할 때에는 주사기에 주사바늘이 꽉 끼워진 상태에서 이를 분리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주사바늘이 분리될 때 주사기의 선단을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각종 병원균에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주사바늘의 캡이 있는 경우는 먼저 주사바늘에 캡을 덮어씌우고 캡을 돌려줌으로서 주사바늘과 캡을 같이 주사기 본체 실린더의 스크류 체결부로부터 돌려 빼낸 후 폐기처분하게 되는데, 주사바늘에 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매우 작은 삽입구멍을 갖는 캡에 주사바늘을 정확히 삽입시키지 못하고 주사바늘에 손을 찔리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HIV나 B형 간염 바이러스 등이 주사바늘을 통해 이차 감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588170호를 통해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11)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로 이루어진 폐 주사기(10)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110)와; 상기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축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11)이 저면을 관통하면서 끼워져 주사기(10)가 안착되되, 상기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를 축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해 외부로 이탈시키는 주사기 탑재부(120)와;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 축과 연결된 제1 동력전달부재(132)로 구성된 구동부(130)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13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를 관통한 주사바늘(11)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맞물린 한 쌍의 바늘분리기어(141)와, 상기 바늘분리기어(141)를 통과한 주사바늘(11)을 재차 끌어당겨 주사기와 분리시키는 맞물린 한 쌍의 바늘처리기어(142)로 구성된 주사바늘 분리부(140); 를 포함하여 주사기의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부분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발명한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병원내 고정된 지정위치에 비치되어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병원에서 간호사들이 사용하는 메디컬 카트에 구비되어 사용한다.
이에 더하여, 본 출원인은 투입된 폐 주사기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주사바늘만을 제거하여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자동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8170호 (2016. 01. 1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공급된 폐 주사기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주사바늘만을 제거하여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자동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케이스부와 주사기 탑재부와 구동부 및 주사바늘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모듈을 포함하고, 주사기 탑재부의 하부를 관통한 폐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잡아당겨 폐 주사기를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 및 허브로 분리처리 한다.
이를 위해, 주사기 탑재부는, 센서블럭과 회전호퍼를 포함한다.
센서블럭은, 낙하한 폐 주사기의 허브가 안착하는 허브안착홈과, 허브안착홈의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한 바늘관통공과, 주사바늘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위치하는 센서홀을 포함하여, 케이스부의 내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회전호퍼는, 센서블럭의 상부에 안착되어 위치되되, 낙하한 폐 주사기를 안내하도록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며 다수개로 분할된 블럭형상으로, 제어에 따라 회전하면서 분할된 블럭들이 분리되거나 합쳐짐에 따라 허브안착홈의 개구된 상부를 좁히거나 넓힌다.
한편, 주사기 탑재부는,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과 회전바디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은, 장착홀을 형성하고 케이스부 내부에 주사바늘 분리부와 설정의 간격을 가지며 내부 프레임에 고정결합한다.
회전브라켓은, 고정브라켓의 장착홀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구동부의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호퍼를 가이드하여 회전시킨다.
회전바디는, 관 형상으로 회전브라켓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축회전하고,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주사기 탑재부는, 주사바늘이 분리된 주사기를 축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시킨다.
한편, 일 실시예로, 센서블럭은, 상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호퍼는, 다수개로 분할된 블럭의 각 하부에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사면이 분리되도록 벌어지거나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센서블럭의 허브안착홈은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는, 분리수거모듈의 주사기 탑재부가 안정적으로 폐 주사기를 지지하면서 주사바늘만을 제거할 수 있어, 분리수거 불량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분리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한 분리수거모듈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한 분리수거모듈을 구성하는 주사기 탑재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한 분리수거모듈의 주사기 탑재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주사기 탑재부를 구성하는 센서블럭과 회전호퍼를 보여주는 실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 따른 주사기 탑재부를 구성하는 센서블럭과 회전호퍼에 의한 폐 주사기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적용한 분리수거모듈에 의해 분리한 주사기의 이탈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 또는 상방은 장치가 놓여진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능의 구성과 명칭에 대하여는 동일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는, 투입되어 공급된 폐 주사기(10)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폐 주사기에서 주사바늘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자동 분리 처리하는 분리수거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를 구성하는 분리수거모듈(100)은, 크게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부(110) 상에 폐 주사기(10)가 안착되는 주사기 탑재부(120')를 구성하고, 주사기 탑재부(120')의 하부로 동력전달부재(133)를 포함한 구동부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한 주사바늘 분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분리수거모듈(100)은, 케이스부(110) 상에 축회전하도록 구성한 주사기 탑재부(120')에 공급되어 주사기 탑재부(120')의 하부를 관통한 폐 주사기(10)의 주사바늘(11)을 주사바늘 분리부(140)의 맞물리는 기어를 이용해 하방으로 잡아당겨 폐 주사기(10)를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11)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로 분리하여 처리한다(도 10 참조).
그리고, 분리한 주사바늘(11)은 케이스부(110) 내부에 구비된 바늘 수거부의 수거통(151)에 자연 낙하함으로 모아져 처리하고, 주사바늘(11)이 제거된 주사기(10)-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는 주사기 탑재부(120')의 개구부(120'-3a)를 통해 하중에 의해 외부 이탈되어 활강로(111)를 타고 주사기수거부(160)의 수거통(161)에 자연 낙하함으로 모아져 처리한다(도 3 참조).
바람직하게 주사기 탑재부(120')는 케이스부(110)의 일측에 경사도를 가지며 축회전되도록 구비되는데,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를 축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해 개구부(120'-3a)를 통해 외부로 이탈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리수거모듈(100)의 주사기 탑재부로 안착한 폐 주사기(10)에서 주사바늘을 당겨 처리하는 과정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8170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분리수거모듈(100)은, 투입된 폐 주사기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주사바늘(11)을 제거하여 자동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주사기 탑재부(120')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수거모듈(100)에 적용한 주사기 탑재부(120')는, 투입된 폐 주사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주사바늘 분리부(140)를 통해 주사바늘(11)을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센서블럭(120'-4)과 회전호퍼(120'-5)를 포함한다.
그리고, 주사기 탑재부(120')는 고정브라켓(120'-1), 회전브라켓(120'-2), 회전바디(120'-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주사기 탑재부(120')의 고정브라켓(120'-1)은 중공의 장착홀(120'-a)을 형성한 것으로, 분리수거모듈(100)의 케이스부(110) 내부에 주사바늘 분리부(140)와 간격을 가지며 케이스부(110) 내부 프레임에 고정결합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20'-1)은 장착홀 상에서 주사기 탑재부(120')를 구성하는 상술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지지되며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브라켓(120'-2)은 고정브라켓(120'-1)의 장착홀(120'-a)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동력부의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회전한다.
다시 말해, 회전브라켓(120'-2)은 동력전달부재(133)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설정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회전브라켓(120'-2)은 하부에 베벨 회전기어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형상으로 동력전달부재(133)를 구성하는 베벨 축기어와 베벨 회전기어의 맞물림에 따라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술의 동력전달부재(133)는 직접적으로 주사바늘을 분리시키는 주사바늘 분리부(140)에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또한 상술의 주사기 탑재부(120')를 구성하는 회전브라켓(120'-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어트레이 또는 벨트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제1동력전달부재와 제2동력전달부재로 구분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한 동력전달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8170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상세하게 기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바디(120'-3)는 관 형상으로 회전브라켓(120'-2)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축회전하고 폐 주사기(10)가 하중에 따라 떨어져 외측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120'-3a)를 형성한다.
이러한, 회전바디(120'-3)는 필요에 따라 회전브라켓(120'-2)과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케이스부(110)에 대하여 설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한다.
한편, 센서블럭(120'-4)은 실질적으로 회전바디(120'-3)를 통과해 낙하한 폐 주사기(10)의 주사바늘(11)이 끼워져 위치하고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센서블럭(120'-4)은, 중앙부에 낙하한 폐 주사기의 허브(12)가 안착하는 허브안착홈(120'-4a)을 형성하고, 허브안착홈(120'-4a)의 내부로 중심에 하방 관통되게 형성한 바늘관통공(120'-4b)을 형성하며, 측방 일측 또는 양측에 바늘관통공(120'-4b)을 관통하면서 위치한 주사바늘(11)을 감지하는 감지센서(S)가 위치하는 센서홀(120'-4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센서블럭(120'-4)은 회전브라켓(120'-2)의 하부로 케이스부(110) 내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위치한다.
한편, 재차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주사기 탑재부(120')를 구성하는 회전호퍼(120'-5)는 낙하한 폐 주사기(10)를 센서블럭(120'-4) 측으로 안정되게 유도하고 주사바늘(11) 분리 작업의 완료 후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가 안정적으로 외부 이탈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회전호퍼(120'-5)는, 낙하한 폐 주사기를 안내하도록 상부에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경사면(120'-5b)을 가지며 다수개로 분할된 블럭형상을 가지며, 센서블럭(120'-4)의 상부에 안착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호퍼(120'-5)는, 회전브라켓(120'-2)의 하부에 지지되어 회전브라켓(120'-2)과 함께 회전하면서 센서블럭(120'-4)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에 따라 허브안착홈(120'-4a)의 개구된 상부 간격을 좁히거나 넓힌다.
회전호퍼(120'-5)를 구성하는 다수개로 분할된 블럭이 제어에 따라 회전하면서 분할된 블럭들이 분리되거나 합쳐짐에 따라 허브안착홈(120'-4a)의 개구된 상부 를 좁히거나 넓힌다.
다시 말해, 회전호퍼(120'-5)는 회전브라켓(120'-2)의 하부에 지지되어 센서블럭(120'-4)의 상면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에 따라 허브안착홈(120'-4a)의 개구된 상부를 가려 허브안착홈(120'-4a)의 크기를 좁히거나 개구된 상부에서 멀어져 허브안착홈(120'-4a)의 크기를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센서블럭(120'-4)은 상면에 회전호퍼(120'-5)가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을 제공하는 가이드홈(120'-4d)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호퍼(120'-5)는 다수개의 분리된 블럭-도시에서는 2개의 블럭으로 구분되게 표현함-으로 각각의 하부에 상술한 가이드홈(120'-4d)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20'-5a)를 형성하여, 가이드돌기(120'-5a)가 가이드홈(120'-4d)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회전호퍼(120'-5)는 블럭들이 경사면(120'-5b)이 분리되도록 벌어지거나 합쳐진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홈(120'-4d)은 타원의 궤도를 가지며, 회전호퍼(120'-5)는 회전하면서 센서블럭의 가이드홈(120'-4d)을 따라 도 8과 같이 분리된 블록이 이동한다.
최적의 실시예로 도시에서와 같이 회전호퍼(120'-5)는 2개의 분할된 블럭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블록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회전호퍼(120'-5)는 회전브라켓(120'-2)의 하부에 지지되어 회전이동하는데, 일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회전호퍼(120'-5)는 외측벽(120'-5c)을 가지며 이러한 외측벽(120'-5c)이 회전하는 회전브라켓(120'-2)의 테두리 하부 내측벽(120'-2b)에 걸림으로 회전호퍼(120'-5)가 회전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센서블럭(120'-4)의 허브안착홈(120'-4a)은 일측에 경사면(120'-4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사면(120'-4e)은 주사바늘이 제거된 주사기가 외부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은 후술에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술의 분리수거모듈(100)을 구성하는 주사기 탑재부(120')의 폐 주사기 처리과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공급된 폐 주사기(10)는 회전바디(120'-3)를 따라 낙하하면서 주사바늘(11)이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브라켓(120'-2)과 고정브라켓(120'-1)을 통과해 센서블럭(120'-4)의 바늘관통공(120'-4b)을 관통하여 끼워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낙하하는 폐 주사기(10)는 낙하하면서 주사바늘(11)과 허브(12)가 회전호퍼(120'-5)의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경사면(120'-5b)을 타고 센서블럭 측으로 안정적으로 유도된다.
아직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브라켓(120'-2)과 회전바디(120'-3)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회전호퍼(120'-5)는 회전브라켓(120'-2)의 하부에서 분리된 블럭이 모아져 있는 상태로 허브안착홈(120'-4a)의 개구된 상부 간격의 크기는 좁아져 있는-벌어지지 않고 모아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센서블럭(120'-4)에 구비된 감지센서(S)가 주사바늘(11)을 감지하면, 설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주사기 탑재부(120')의 회전브라켓(120'-2)과 회전바디(120'-3)는 내부 구동부의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브라켓(120'-2)과 회전바디(120'-3)의 회전에 따라 회전호퍼(120'-5)는 센서블럭(120'-4)의 가이드홈(120'-4d)을 타고 이동하면서 도 8의 (b)와 같이 회전하면서 벌어진다.
이와 같이, 회전호퍼(120'-5)가 벌어지면서 회전호퍼(120'-5)에 의해 가려졌던 센서블럭(120'-4)의 허브안착홈(120'-4a) 부분이 드러나고, 주사기(10)는 보다 더 하방으로 낙하하여 허브(12)가 허브안착홈(120'-4a)에 안착하면서, 주사바늘(11)은 바늘관통공(120'-4b)을 통과해 주사바늘 분리부(140) 측에 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주사기(10)의 허브가 허브안착홈(120'-4a)에 안착되어 측방이 지지됨에 따라 주사기는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주사바늘 분리부(140)에 의한 주사바늘(11) 분리 작업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주사바늘(11)이 제거된 플라스틱 부분의 주사기(10)-허브(12) 및 몸체(13)- 회전바디(120'-3)의 개구부(120'-3a)를 통해 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이탈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때 회전호퍼(120'-5)는 분리된 블럭들이 최대한으로 벌어져 이격된 상태이며, 주사바늘(11)이 제거된 플라스틱 부분의 주사기(10)는 개구부(120'-3a) 측으로 넘어진다.
이때, 주사기(10)의 허브(12)는 단부가 센서블럭(120'-4)의 허브안착홈(120'-4a)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20'-4e)을 타고 올라가면서 부드럽게 허브안착홈(120'-4a)에서 이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는, 분리수거모듈(100)의 주사기 탑재부(120')가 안정적으로 폐 주사기(10)를 지지하면서 주사바늘(11)만을 제거할 수 있어, 분리수거 불량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주사기를 플라스틱 부분과 금속 부분으로 분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1)는, 도 1의 종래장치에서와 같이 수동으로 폐 주사기(10)를 투입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자동투입모듈(200)을 포함한 구조일 수 있다.
자동투입모듈(200)은 상술의 분리수거모듈(100)로 폐 주사기(10)를 순차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관 형상으로 내부공간에 사용한 폐 주사기(10)를 보관하는 수집관부(210)와, 수집관부(210)와 연통하고 하중에 따라 낙하하는 폐 주사기(10)를 설정의 제어에 따라 분리수거모듈(100)을 구성하는 주사기 탑재부(120')의 내부로 하나씩 순차 투입하는 연속투입부(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집관부(210)는 간호사 등의 사용자가 사용한 폐 주사기(10)를 내부에 모아 보관할 수 있는 대기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다수개의 폐 주사기(10)를 내부 공간상에 일렬로 순차 정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단일 폐 주사기(10)를 포함할 수 있는 직경-폭-을 갖는 관 형상을 가진다.
필요에 따라 수집관부(210)는 원형의 관 또는 다각의 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수집관부(210)는 분리수거모듈(100)의 상부에 대하여 경사도를 가지도록 위치고정됨에 따라 내부에 포함한 폐 주사기(10)는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구조를 가진다.
자동투입모듈(200)을 구성하는 연속투입부(220)는 수집관부(210)를 타고 낙하하는 폐 주사기(10)를 순차적으로 주사기 탑재부(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속투입부(220)는 대기관(221)내에 구비된 제1걸림바(222a)와 제2걸림바(222b)를 솔레노이드(223a)를 이용한 전기적 연결관계에 따라 작동시켜 주사기가 주사기 탑재부(120')측으로 순차적으로 낙하하여 공급되게 한다.
상술의 자동투입모듈(200)은 선택적 사용한 것으로 이를 제거한다고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10 : 폐 주사기 11 : 주사바늘
12 : 허브 13 : 몸체
100 : 분리수거모듈
110 : 케이스부 120' : 주사기 탑재부
120'-1 : 고정브라켓 120'-2 : 회전브라켓
120'-3 : 회전바디 120'-3a : 개구부
120'―4 : 센서블럭 120'―4a : 허브안착홈
120'―4b : 바늘관통공 120'―4c : 센서홀
120'-4d : 가이드홈 120'-5 : 회전호퍼
120'-5a : 가이드돌기 140 : 주사바늘 분리부
200 : 자동투입모듈

Claims (4)

  1. 케이스부(110)와 주사기 탑재부(120')와 구동부 및 주사바늘 분리부(140)를 구비한 분리수거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의 하부를 관통한 폐 주사기(10)의 주사바늘(11)을 잡아당겨 상기 폐 주사기(10)를 금속 부분인 주사바늘(11)과 플라스틱 부분인 주사기 몸체(13) 및 허브(12)로 분리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는,
    낙하한 폐 주사기의 허브(12)가 안착하는 허브안착홈(120'-4a)과, 상기 허브안착홈(120'-4a)의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한 바늘관통공(120'-4b)과, 주사바늘(11)을 감지하는 감지센서(S)가 위치하는 센서홀(120'-4c)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부(110)의 내부 프레임에 고정된 센서블럭(120'-4)과;
    상기 센서블럭(120'-4)의 상부에 안착되어 위치되되, 낙하한 폐 주사기를 안내하도록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경사면(120'-5b)을 가지며 다수개로 분할된 블럭형상으로, 제어에 따라 회전하면서 분할된 블럭들이 분리되거나 합쳐짐에 따라 상기 허브안착홈(120'-4a)의 개구된 상부를 좁히거나 넓히는 회전호퍼(120'-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탑재부(120')는,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에 주사바늘 분리부(140)와 설정의 간격을 가지며 내부 프레임에 고정결합한 고정브라켓(120'-1)과;
    상기 고정브라켓(120'-1)의 장착홀(120'-a)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구동부의 동력전달부재(133)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호퍼(120'-5)를 가이드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브라켓(120'-2)과;
    관 형상으로 상기 회전브라켓(120'-2)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축회전하고, 일측에 개구부(120'-3a)를 형성한 회전바디(120'-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주사바늘(11)이 분리된 주사기를 축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해 상기 개구부(120'-3a)를 통해 외부로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럭(120'-4)은, 상면에 가이드홈(120'-4d)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호퍼(120'-5)는, 다수개로 분할된 블럭의 각 하부에 상기 가이드홈(120'-4d)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20'-5a)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120'-4d)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120'-5b)이 분리되도록 벌어지거나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블럭(120'-4)의 허브안착홈(120'-4a)은 일측에 경사면(120'-4e)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0190155186A 2019-01-28 2019-11-28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29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86A KR102297482B1 (ko) 2019-01-28 2019-11-28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85A KR102297481B1 (ko) 2019-01-28 2019-01-28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1020190155186A KR102297482B1 (ko) 2019-01-28 2019-11-28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585A Division KR102297481B1 (ko) 2019-01-28 2019-01-28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21A KR20200093421A (ko) 2020-08-05
KR102297482B1 true KR102297482B1 (ko) 2021-09-01

Family

ID=7204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86A KR102297482B1 (ko) 2019-01-28 2019-11-28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4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7256A1 (en) * 1993-12-23 1995-06-29 Inventive Services, Inc. Apparatus for destroying and sterilizing syringes
US5741230A (en) 1996-07-31 1998-04-21 Miller; Gary E. Hypodermic needle extraction disposal system and device
KR101205653B1 (ko) 2012-02-16 2012-11-27 김영수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KR101588170B1 (ko) * 2015-08-07 2016-01-2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428U (ja) * 1993-05-06 1994-11-15 再春環境工程有限公司 注射器廃棄処理装置
KR100287780B1 (ko) * 1998-10-30 2001-04-16 이기형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자동절단기
KR100914477B1 (ko) * 2007-08-23 2009-08-28 박춘성 열매의 내피 제거 장치
KR101936943B1 (ko) * 2016-11-15 2019-04-09 주식회사 뮨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7256A1 (en) * 1993-12-23 1995-06-29 Inventive Services, Inc. Apparatus for destroying and sterilizing syringes
US5741230A (en) 1996-07-31 1998-04-21 Miller; Gary E. Hypodermic needle extraction disposal system and device
KR101205653B1 (ko) 2012-02-16 2012-11-27 김영수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KR101588170B1 (ko) * 2015-08-07 2016-01-26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21A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170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N1021293C (zh) 注射针拆卸装置
KR102297482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US5947950A (en) Gear driven needle removal device
US5351381A (en) Device for removing a hypodermic needle from a syringe body and for distorting the hypodermic needle
JP7128814B2 (ja) ペン針組立品を据え付けるための装置
CN207329624U (zh) 分光分色机的收料机构
KR20190135113A (ko)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CN208098634U (zh) 一种羽毛分等级机
KR101677059B1 (ko) 과일 씨앗 제거장치
JP2022103265A (ja) 外側カバーを有するペン針組立品
JP2015150112A (ja) 抗がん剤等自動調製装置
EP2937041B1 (en) Container collecting device and urinalysis apparatus using container collecting device
KR101666179B1 (ko) 매선 시술 기구 자동 조립 장치 및 방법
US6909251B2 (en) Medical needle removal device
KR102297481B1 (ko)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EP0989798B1 (en) Magnetic bulk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s
US5287609A (en) Syringe disposal system
CN216284816U (zh) 一种不溶性微粒检测流水线
JP3414434B2 (ja) 採血管用開栓装置
CN210228811U (zh) 注射穿刺器械分离机
CN108144159B (zh) 用于安装笔式针组件的装置
JPH06261926A (ja) 医療廃棄物の針抜き装置
CN114062207B (zh) 一种不溶性微粒检测流水线
KR102294651B1 (ko) 주사바늘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