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827B1 -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 Google Patents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827B1
KR101585827B1 KR1020150040203A KR20150040203A KR101585827B1 KR 101585827 B1 KR101585827 B1 KR 101585827B1 KR 1020150040203 A KR1020150040203 A KR 1020150040203A KR 20150040203 A KR20150040203 A KR 20150040203A KR 101585827 B1 KR101585827 B1 KR 10158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groove
sides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필
Original Assignee
정금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필 filed Critical 정금필
Priority to KR102015004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일측에는 레일홈(131)이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W)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레일프레임(130)과,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각 레일프레임(130)과 교차되게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13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14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각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고정된 차양막(150)을 개폐시키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수평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레일홈(131)이 형성된 장착판(13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1)가 체결된 제1판부(210); 상기 제1판부(2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며 지지되는 끼움부(22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제1판부(210)와 대향하는 끼움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4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며,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장착판(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2롤러(231)가 체결된 제2판부(230);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Roller Apparatus For Open-Close Type Awning And, Open-Close Type Awn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이동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레일프레임의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각 이동프레임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차양막을 개폐시키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이나 음식점에는 실외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하는 어닝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늘을 제공하는 차양막을 필요에 따라 접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개폐형 어닝이 개시된 바 있다.
기존의 개폐형 어닝은 기둥을 이루는 지주프레임과, 각 지주프레임 사이에 연장되어 전방과 후방 위치에 이격배치된 횡프레임과, 각 횡프레임 사이에 연장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프레임이 어닝의 골조를 형성하였다.
또한, 각 레일프레임에는 전방과 후방을 연하여 다수 개의 이동프레임이 이격배치되고, 각 이동프레임 사이에는 차양막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단에는 레일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프레임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차양막을 개폐시키는 롤러장치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롤러장치는 양측의 동일축선상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프레임 내부의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차양막이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발생되는 상하 가압력이 롤러장치로 전달되어 개폐동작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양막에 강풍이 불어 상기 차양막을 고정시키는 이동프레임을 통해 상기 롤러장치에 상향 가압력이나 하향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의 롤러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레일프레임의 내부 프레임판을 가압하여 프레임판 사이가 벌어지가나 프레임판에 울퉁불퉁하게 굴곡이 형성되면서 장치의 내구성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이후에 차양막 개폐동작시 벌어지거나 굴곡진 부분을 롤러가 통과하면서 유동되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704호(2012.10.09), 권회식 어닝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프레임의 상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지지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장착되어 개폐동작시 레일프레임의 상판에 각 롤러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상향 가압력이나 하향 가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텐션 발생 구조로 구비되어 프레임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일측에는 레일홈(131)이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W)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레일프레임(130)과,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각 레일프레임(130)과 교차되게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13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14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각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고정된 차양막(150)을 개폐시키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수평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레일홈(131)이 형성된 장착판(13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1)가 체결된 제1판부(210); 상기 제1판부(2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며 지지되는 끼움부(22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제1판부(210)와 대향하는 끼움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4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며,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장착판(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2롤러(231)가 체결된 제2판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는 측방으로 연장된 회전축(212,232)이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 위치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14)과, 상기 롤러공(2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축홈(2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 위치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34)과, 상기 롤러공(234)의 양측에 상기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상부가 지지되는 상부축홈(23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축홈(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212)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축홈부(243)가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21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하는 제1지지체(240); 및 상기 제2판부(23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축홈(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롤러(23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축홈부(253)가 형성되어 상기 제2롤러(23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하는 제2지지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제1롤러(211)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축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체(240)에는 전방과 후방 위치의 각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부(24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제2롤러(231)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2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체(250)에는 전방과 후방 위치의 각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축홈부(2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40)는 전,후방의 각 상부축홈부(243)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제1판부(210)에 고정체결되며,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면 전방과 후방의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텐션을 제공하고, 상기 제2지지체(250)는 전,후방의 각 하부축홈부(253)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제2판부(230)에 고정체결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향 가압력이 가해지면 전방과 후방의 양측이 하향 절곡되어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형 어닝은, 상하로 연장배치된 복수의 지주프레임(110);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L)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횡프레임(120); 각 횡프레임(120) 사이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폭방향(W)으로 이격배치되며, 일측에는 레일홈(131)이 길게 형성된 레일프레임(130);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각 레일프레임(130)과 교차되게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동프레임(140); 각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장착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차양막(15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레일홈(131)이 형성된 장착판(13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1)가 체결된 제1판부(210)와, 상기 제1판부(2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며 지지되는 끼움부(22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제1판부(210)와 대향하는 끼움부(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장착판(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2롤러(231)가 체결된 제2판부(230)를 포함하는 롤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에 의하면, 레일프레임의 상판을 중심으로 상하로 지지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장착되어 개폐동작시 레일프레임의 상판에 각 롤러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상향 가압력이나 하향 가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텐션 발생 구조로 구비되어 프레임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이 설치된 상태의 개폐형 어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을 생략한 상태의 개폐형 어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이 롤러장치에 지지되어 레일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와 각 프레임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어닝(100)은, 레일프레임(130)의 장착판(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지지되는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가 장착되어 개폐동작시 레일프레임(130)의 장착판(132)에 각 롤러(211,231)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상향 가압력이나 하향 가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텐션 발생시킴으로써, 프레임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닝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프레임(110), 횡프레임(120), 레일프레임(130), 이동프레임(140), 차양막(150) 및 롤러장치(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지주프레임(110)은 개폐형 어닝(100)의 기둥을 이루는 프레임구조물로서,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연장배치되며 복수 개가 개폐형 어닝(100)의 각 모서리 또는 각 모서리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110)의 각 면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되어 각 프레임들간의 T볼트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횡프레임(120)은 개폐형 어닝(100)의 보를 이루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이격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최후단의 횡프레임(120)은 설치건물의 외벽(160)에 고정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이동프레임(140)를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130)은 접이식으로 개폐되는 차양막(15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구조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횡프레임(120) 사이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폭방향(W)으로 이격배치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31)이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프레임(110), 횡프레임(120) 및 레일프레임(130)이 상호 체결되면서 개폐형 어닝(100)의 골조를 형성하며, 각 프레임 사이에는 T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간의 지지력이 제공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40)은 레일프레임(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양막(150)을 접철시키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각 레일프레임(13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가 종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여기서, 이동프레임(140)의 하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배치되며 반원통형상의 덮개(143)가 장착되어 이동프레임(140)의 노출된 하부를 커버하면서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143)의 내부에 LED 등의 조명을 장착하여 조명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하부면에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레일홈(131)이 형성되고, 레일프레임(130)의 하부에는 각 이동프레임(140)이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상부면에 레일홈(131)이 형성되고, 각 이동프레임(140)는 레일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레일프레임(130)의 상부에 이동프레임(140)이 배치된 구조를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양막(150)은 각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장착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차양부재로서, 상기 이동프레임(140)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차양막(150)이 고정될 수 있는 끼움홈(142)이 형성되어 이 끼움홈(142)에 각 차양막(150)의 양단이 폭방향(W)으로 삽입되며 끼움결합되면서 상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장치(200)는 레일프레임(130) 상에서 이동프레임(140)이 레일홈(1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차양막(15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이동프레임(140)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제1판부(210), 끼움부(220) 및 제2판부(2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판부(210)는 수평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레일홈(131)이 형성된 장착판(13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1)가 체결된다.
상기 끼움부(220)는 제1판부(2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되게 하향 연장형성되며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어 롤러장치(200)가 레일홈(131)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220)의 폭두께는 레일홈(131)의 개구된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면서 양측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판부(230)는, 상기 제1판부(210)와 대향하는 끼움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4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며,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장착판(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2롤러(231)가 체결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140)의 일측에는 제2판부(2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향 개구된 결합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제2판부(230)는 외부 형상이 상기 결합홈(141)의 내부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동프레임(140)의 내부와 맞물리면서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부(210)의 측부에는 상기 결합홈(141)의 측벽에 형성된 거림턱에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장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판부(210)와 제2판부(230)에 체결된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는 제1판부(2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지지체(240)와 제2판부(2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지지체(25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는 측방으로 연장된 회전축(212,232)이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14)과, 상기 롤러공(2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축홈(21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240)는 제1판부(2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축홈(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212)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축홈부(243)가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21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한다.
더불어,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34)과, 상기 롤러공(234)의 양측에 상기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상부가 지지되는 상부축홈(23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체(250)는 제2판부(2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축홈(233)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롤러(231)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축홈부(253)가 형성되어 상기 제2롤러(23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한다.
한편, 상기 제1지지체(240)와 제2지지체(250)는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와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제1롤러(211)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축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체(240)에는 전방과 후방 위치의 각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부(243)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제2롤러(231)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2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체(250)에는 전방과 후방 위치의 각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축홈부(253)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은 제1판부(210)의 하부축홈(213)에 하부가 안착되고 제1지지체(240)의 상부축홈부(243)에 상부가 지지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은 제2판부(230)의 상부축홈(233)에 상부가 지지되고 제2지지체(250)의 하부축홈부(253)에 하부가 안착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체(240)는 각 전,후방의 상부축홈부(243) 사이에 중앙부가 제1판부(210)에 고정체결되며,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면 전방과 후방의 양측이 샹향으로 절곡되어 텐션을 제공한다.
또한,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체(250)는 각 전,후방의 하부축홈부(253) 사이에 중앙부가 제2판부(230)에 고정체결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향 가압력이 가해지면 전방과 후방의 양측이 하향 절곡되어 텐션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어닝(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레일프레임(130)의 장착판(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지지되는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가 장착되어 개폐동작시 레일프레임(130)의 장착판(132)에 각 롤러(211,231)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상향 가압력이나 하향 가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텐션 발생 구조로 구비되어 프레임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개폐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개폐형 어닝 110...지주프레임
120...횡프레임 130...레일프레임
140...이동프레임 150...차양막
200...롤러장치 210...제1판부
220...끼움부 230...제2판부
240...제1지지체 250...제2지지체

Claims (5)

  1.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일측에는 레일홈(131)이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W)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레일프레임(130)과,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각 레일프레임(130)과 교차되게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13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14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각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고정된 차양막(150)을 개폐시키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에 있어서,
    수평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레일홈(131)이 형성된 장착판(13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1)가 체결된 제1판부(210);
    상기 제1판부(2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며 지지되는 끼움부(22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제1판부(210)와 대향하는 끼움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4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며,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장착판(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2롤러(231)가 체결된 제2판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는 측방으로 연장된 회전축(212,232)이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 위치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14)과, 상기 롤러공(2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축홈(2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 위치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34)과, 상기 롤러공(234)의 양측에 상기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상부가 지지되는 상부축홈(23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축홈(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212)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축홈부(243)가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21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하는 제1지지체(240); 및
    상기 제2판부(23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축홈(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롤러(23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축홈부(253)가 형성되어 상기 제2롤러(23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하는 제2지지체(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제1롤러(211)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축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체(240)에는 전방과 후방 위치의 각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부(24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 위치에 복수 개의 제2롤러(231)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축홈(2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체(250)에는 전방과 후방 위치의 각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축홈부(253)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240)는 전,후방의 각 상부축홈부(243)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제1판부(210)에 고정체결되며,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면 전방과 후방의 양측이 상향으로 절곡되어 텐션을 제공하고,
    상기 제2지지체(250)는 전,후방의 각 하부축홈부(253) 사이의 중앙부가 상기 제2판부(230)에 고정체결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향 가압력이 가해지면 전방과 후방의 양측이 하향 절곡되어 텐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5. 상하로 연장배치된 복수의 지주프레임(110);
    각 지주프레임(110) 사이에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L)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횡프레임(120);
    각 횡프레임(120) 사이에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폭방향(W)으로 이격배치되며, 일측에는 레일홈(131)이 길게 형성된 레일프레임(130);
    폭방향(W)으로 연장되어 각 레일프레임(130)과 교차되게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동프레임(140);
    각 이동프레임(140) 사이에 장착되어 지붕을 형성하는 차양막(15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30)의 레일홈(131)이 형성된 장착판(13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1롤러(211)가 체결된 제1판부(210)와, 상기 제1판부(210)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레일홈(131)에 삽입되며 지지되는 끼움부(220) 및, 수평배치되어 상기 제1판부(210)와 대향하는 끼움부(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 위치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장착판(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제2롤러(231)가 체결된 제2판부(230)를 포함하는 롤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제1롤러(211)와 제2롤러(231)는 측방으로 연장된 회전축(212,232)이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양측 위치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14)과, 상기 롤러공(214)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211)의 회전축(212)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축홈(2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판부(230)의 양측 위치에는 상하로 개구된 롤러공(234)과, 상기 롤러공(234)의 양측에 상기 제2롤러(231)의 회전축(232) 상부가 지지되는 상부축홈(23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판부(2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축홈(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212)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축홈부(243)가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21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하는 제1지지체(240); 및
    상기 제2판부(23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축홈(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롤러(231)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축홈부(253)가 형성되어 상기 제2롤러(231)를 회전가능하게 커버하는 제2지지체(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어닝.
KR1020150040203A 2015-03-23 2015-03-23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KR10158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203A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5-03-23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203A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5-03-23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827B1 true KR101585827B1 (ko) 2016-01-22

Family

ID=5530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203A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5-03-23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8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67A (ko) * 2016-05-13 2017-11-22 유재춘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1865482B1 (ko) 2016-12-19 2018-06-07 이재권 신축식 어닝
KR20210042487A (ko) * 2019-10-10 2021-04-20 김태정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KR102259010B1 (ko) 2020-07-13 2021-06-04 손성구 절첩식 태양광 패널 스카이 어닝
KR102614699B1 (ko) 2023-06-30 2023-12-14 박준민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82B1 (ko) * 2008-06-26 2010-01-26 이갑규 자동 접이식 캐노피장치
KR101345274B1 (ko) * 2012-06-27 2013-12-26 김옥기 스카이 어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82B1 (ko) * 2008-06-26 2010-01-26 이갑규 자동 접이식 캐노피장치
KR101345274B1 (ko) * 2012-06-27 2013-12-26 김옥기 스카이 어닝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704호(2012.10.09), 권회식 어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867A (ko) * 2016-05-13 2017-11-22 유재춘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2009362B1 (ko) * 2016-05-13 2019-08-09 유재춘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KR101865482B1 (ko) 2016-12-19 2018-06-07 이재권 신축식 어닝
KR20210042487A (ko) * 2019-10-10 2021-04-20 김태정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KR102334434B1 (ko) 2019-10-10 2021-12-01 김태정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KR102259010B1 (ko) 2020-07-13 2021-06-04 손성구 절첩식 태양광 패널 스카이 어닝
KR102614699B1 (ko) 2023-06-30 2023-12-14 박준민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827B1 (ko)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KR101653114B1 (ko) 스카이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카이 어닝
CN104196380B (zh) 一种窗用内外平开悬窗五金系统
KR101551173B1 (ko) 슬라이딩 및 스윙식 기능성 방 도어
KR20210148577A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CA2783523A1 (fr) Element de separation pour cabine de plateforme comprenant un mecanisme a bielles de deplacement d'un ouvrant
CN204024267U (zh) 一种窗用内外平开悬窗五金系统
US6668899B1 (en) Laterally moving supports for horizontal blinds
JP3093174B2 (ja) 折畳み自在のゴミ収集ステ−ション
KR101819387B1 (ko) 하이브리드 어닝장치
KR101819863B1 (ko) 개폐식 어닝 장치
KR101795961B1 (ko) 개폐식 어닝 조립체
EP2375186A1 (fr) Dispositif de poursuite du soleil, destiné notamment à équiper une construction
FR3011265A1 (fr) Menuiserie a vantail coulissant autoporteur.
JP2005068920A (ja) 開口部装置
USD682381S1 (en) Combined awning and tent
FR3070712B1 (fr) Dispositif motorise de manœuvre destine a la manœuvre d'un ecran mobile a toile enroulable d'un dispositif de couverture de fenetre ou d'ecran de projection
KR100937685B1 (ko) 슬랫 구조체
JP2007056506A (ja) 引込戸
CN205531995U (zh) 一种门中门组件及具有门中门组件的门或窗
KR101596708B1 (ko) 선루프 디플렉터 끼임방지구조
KR101488336B1 (ko) 롤 블라인드 샤프트 결합구조
EP2017105A1 (fr) Store d'occulta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à barre de tirage basculante, et véhicule correspondant
JP3323795B2 (ja) 折畳み自在ボックス体の省スペース折畳み構造
KR101831349B1 (ko)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