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349B1 -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349B1
KR101831349B1 KR1020170024926A KR20170024926A KR101831349B1 KR 101831349 B1 KR101831349 B1 KR 101831349B1 KR 1020170024926 A KR1020170024926 A KR 1020170024926A KR 20170024926 A KR20170024926 A KR 20170024926A KR 101831349 B1 KR101831349 B1 KR 10183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s
opening
doo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이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수 filed Critical 이근수
Priority to KR102017002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t least two axes of rotation without additional frame withi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 창호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구부의 폭에 구애됨이 없이 통일된 규격을 갖는 다수의 문짝이 연동 되도록 결합되어 도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 하부레일의 끝단에는 랙과 피니언을 갖는 힌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상, 하로 구분된 힌지부재가 동기화가 되도록 동기화축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문짝이 균형 잡힌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문짝(110)의 상, 하측에 2개가 한 조로 배치된 한 쌍의 브래킷(120), 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120)에는 사선으로 쇼트링크(131)와 롱링크(132)가 결합된 링크부재(130)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130)의 일측단부에는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비되되 상, 하측레일 (151)(152) 내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문짝(1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문짝이 절첩되어 수납되면 건물 내부에서 문짝을 가리는 역할과 동시에 개구부와 수납형도어의 규격 불일치로 인한 틈새를 막아주는 가림막(160)과, 상기 다수의 문짝(110)과 한 쌍의 브래킷(120) 중에 일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가변식 힌지부재(170)와 상, 하측레일(151)(152)의 타측단부에는 다수의 문짝(110)이 개방할 때 문짝(110)을 제동하는 리딩부 스토퍼(180) 및 상, 하측레일(151)(152)의 각각에는 랙 기어(174)를 가리는 것과 동시에 각각의 문짝과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수단을 갖는 가림판넬(151a)(152a)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힌지부재(170)는 동기화축(171)을 수용하는 동기화축 하우징(172)과; 상기 동기화축(171)의 상, 하측단부에는 피니언기어(173) 및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비되되, 상기 상, 하측구동부(141)(142)는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에 마련된 가이드홈(151b)(152b)에 배치되고,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73)와 맞물리는 랙 기어(174)가 상기 가림판넬(151a)(152a)에 고정되며, 상기 동기화축 하우징(172) 외부에는 수용된 동기화축(171)의 이탈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이탈방지 겸 소음방지링(1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Adjustable folding door installed at the opening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스템 창호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개구부의 폭에 구애됨이 없이 통일된 규격을 갖는 다수의 문짝이 연동 되도록 결합되어 도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 하부레일의 끝단에는 랙 기어와 피니언을 갖는 힌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상, 하로 구분된 힌지 부재가 동기화가 되도록 동기화축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문짝이 균형 잡힌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축물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으로서, 사람이나 물체의 이동 통로이며, 폐쇄할 때는 그 반대의 기능을 서로 유지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적 수단을 갖는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181958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트인 내측 공간을 갖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문들과, 상기 문들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 조립체는 상기 문들의 일 측면에 각각 설치되되 각각의 링크 조립체의 양측단부와 중앙에는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링크 조립체 중에 최상측에 위치한 제1링크부재 상측단에 마련된 축은 세로부재 상측단에 구비된 가이드편의 장공에 끼워지고, 제2링크부재와 복수의 제4링크부재의 각각 하단에는 세로부재에 마련된 세로가이드홈에서 안내가 되도록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창호는 환기와 방범에 유리하고, 사생활 노출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며, 아이들의 추락 사고가 방지되며, 필요에 따라 사람이 탈출 가능하며, 문이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으며, 공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상, 하 수직개폐형태로 주로 창문용으로 적용 가능하나 다양한 폭을 갖는 개구부에서는 개별적으로 검측한 뒤 제작·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창호는 링크 조립체의 하자 발생시 사각 형상의 프레임을 감싸고 있는 벽체 및 다용도 창호 전체를 해체한 후 재설치 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과도한 시간과 비용 발생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제1705600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그 기술적 특징은 다수의 문짝의 상, 하측 가장자리에 2개가 한 조로 배치된 한 쌍의 브래킷;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상, 하측면에서 각선으로 2개의 롱링크와 양측단부의 쇼트링크가 결합된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일측단부 상, 하측에 결합된 상, 하측 구동부를 갖는 구동부;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중에 좌측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브래킷의 상, 하측에 결합된 한 쌍의 힌지롤러부; 상기 구동부와 한 쌍의 힌지롤러부를 수용하며 천정에는 상측 가이드프레임이 고정되고 바닥면에는 하측 가이드프레임이 고정된 가이드프레임부; 상기 다수의 문짝이 상호 절첩된 상태의 폭 보다 더 넓게 마련되어 다수의 문짝이 건물 내부에서 가릴 수 있도록 건물의 일측에 있는 벽면 프레임과 결합된 가림막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롤러부에는 양측단에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 하측으로는 길이방향의 가이드돌기를 갖는 힌지하우징;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안내되는 복수의 롤러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와 동일 선상 끝단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제동되는 돌기 및 상기 롤러의 반대측 끝단에는 힌지연결구멍이 천공된 것을 포함하는 힌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술적 특징과 같이, 시스템 창호 설계에 따라 실내의 벽면이 폭이 다양한 크기로 되어 있으나 이에 구애됨이 없이 통일된 규격을 갖는 다수의 문짝으로 구성된 수납형 도어의 설치가 가능함과 아울러 수납형 도어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이 조립과 분립이 용이한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수납형 도어의 사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 하측의 힌지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롤러가 문짝의 하중을 그대로 전달받을 수밖에 없어 문짝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문짝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쏠림 현상에 의해 롤러가 힌지 하우징의 가이드돌기와의 마찰이 발생 되어 부드러운 작동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롤러가 문짝의 상, 하측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면 상호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문짝이 불균형으로 개/폐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상, 하측레일의 일측끝단에는 랙 기어와 피니언기어를 갖는 힌지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상, 하로 구분된 힌지부재가 동기화가 되도록 동기화축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문짝이 균형 잡힌 상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문짝(110)의 상, 하측에 2개가 한 조로 배치된 한 쌍의 브래킷(120) 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120)에는 사선으로 쇼트링크(131)와 롱링크(132)가 결합된 링크부재(130)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130)의 일측단부에는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비되되 상, 하측레일 (151)(152) 내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문짝(1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문짝이 절첩되어 수납되면 건물 내부에서 문짝을 가리는 역할과 동시에 개구부와 수납형도어의 규격 불일치로 인한 틈새를 막아주는 가림막(160)과, 상기 다수의 문짝(110)과 한 쌍의 브래킷(120) 중에 일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가변식 힌지부재(170)와 상, 하측레일(151)(152)의 타측단부에는 다수의 문짝(110)이 개방할 때 문짝(110)을 제동하는 리딩부 스토퍼(180) 및 상, 하측레일(151)(152)의 각각에는 랙 기어(174)를 가리는 것과 동시에 각각의 문짝과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수단을 갖는 가림판넬(151a)(152a)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힌지부재(170)는 동기화축(171)을 수용하는 동기화축 하우징(172)과; 상기 동기화축(171)의 상, 하측단부에는 피니언기어(173) 및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비되되, 상기 상, 하측구동부(141)(142)는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에 마련된 가이드홈(151b)(152b)에 배치되고,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73)와 맞물리는 랙 기어(174)가 상기 가림판넬(151a)(152a)에 고정되며, 상기 동기화축 하우징(172) 외부에는 수용된 동기화축(171)의 이탈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이탈방지 겸 소음방지링(1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 하측으로 구분된 가변식 힌지부재가 같은 속도 및 같은 이동거리로 문짝이 이동할 때 균형 있게 이동할 수 있으며, 문짝이 한쪽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납형 도어의 전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변식 힌지부재의 발췌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상, 하측레일과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도 4c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d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4d의 c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100)는 다수의 문짝(110), 한 쌍의 브래킷(120), 링크부재(130), 상, 하측구동부(141)(142), 상, 하측레일(151)(152), 가림막(160), 가변식 힌지부재(170) 및 리딩부 스토퍼(180)로 크게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문짝(110) 중에 리딩부에 있는 문짝(110)에는 문짝(110)을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111)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문짝(110)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 유리창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브래킷(120)은 문짝(110)의 상, 하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120)에 사선으로 결합되는 링크부재(130)는 쇼트링크(131)와 롱링크(132)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구동부(141)는 상측레일(151)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측 구동부(142)는 하측레일(152)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문짝(110)이 절첩되어 수납되면 건물 내부에서 문짝의 노출을 가리는 동시에 틈새 발생시 틈새를 가려주는 가림막(160)이 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변식 힌지부재(170)는 상기 다수의 문짝(110)과 한 쌍의 브래킷(120) 중에 일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문짝(110)과 브래킷(120)의 끝단에는 동기화축(171)이 수용할 수 있도록 동기화축 하우징(172)이 마련되고, 상기 동기화축(171)의 상, 하측단부에는 피니언기어(173)가 연결되며,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73)와 맞물리는 랙 기어(174)가 결합되되 상기 랙 기어(174)의 일측단부에는 벽면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체(174a)고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축 하우징(172)의 내측에는 수용된 동기화축(171)의 이탈과 소음을 방지하는 다수의 이탈방지 겸 소음방지링(175)이 더 마련되어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의 타측단부에는 다수의 문짝(110)중에 리딩부에 있는 문짝(110)을 제동하는 리딩부 스토퍼(18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의 각각에는 상기 랙 기어(174)의 노출을 가리는 가림판넬(151a)(152a)이 절곡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문짝(110)이 절첩되어 가림막(160)에 수납된 상태에서, 우측단부에 손잡이(111)를 잡아당기면 상, 하측 레일(151)(152) 내에 있는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동되면서 다수의 브래킷(120)은 수평으로 슬라이드 되고, 다수의 롱링크(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쇼트링크(132) 또한 양측의 브래킷(120)의 슬라이드 진행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어 수납형 도어(100)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 상, 하측 레일(151)(152)내에 있는 상, 하측 구동부(141)(142)는 상, 하측 레일(151)(152)의 가이드홈(151b)(152b)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다수의 문짝(110)이 흔들림 없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리딩부에 위치한 문짝(110)의 끝단이 수납형 도어의 개구부의 끝단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10)을 더 잡아당겨 리딩부 스토퍼(180)에 제동되면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기어(174)을 따라 피니언기어(173)가 이동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고안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110: 문짝
120: 한 쌍의 브래킷 130: 링크부재
131: 쇼트링크 132: 롱링크
141: 상측 구동부 142: 하측 구동부
151: 상측레일 151a: 상측 가림판넬
152: 하측레일 152a: 하측 가림판넬
160: 가림막 170: 가변식 힌지부재
171: 동기화축 172: 동기화축 하우징
173: 피니언기어 174: 랙 기어
175: 이탈방지 겸 소음방지링 180: 리딩부 스토퍼

Claims (4)

  1. 다수의 문짝(110)의 상, 하측에 2개가 한 조로 배치된 한 쌍의 브래킷(120), 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래킷(120)에는 사선으로 쇼트링크(131)와 롱링크(132)가 결합된 링크부재(130)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130)의 일측단부에는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비되되 상, 하측레일 (151)(152) 내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문짝(1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문짝이 절첩되어 수납되면 건물 내부에서 문짝을 가리는 역할과 동시에 개구부와 수납형도어의 규격 불일치로 인한 틈새를 막아주는 가림막(160)과, 상기 다수의 문짝(110)과 한 쌍의 브래킷(120) 중에 일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가변식 힌지부재(170)와 상, 하측레일(151)(152)의 타측단부에는 다수의 문짝(110)이 개방할 때 문짝(110)을 제동하는 리딩부 스토퍼(180) 및 상, 하측레일(151)(152)의 각각에는 랙 기어(174)를 가리는 것과 동시에 각각의 문짝과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수단을 갖는 가림판넬(151a)(152a)을 갖는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힌지부재(170)는 동기화축(171)을 수용하는 동기화축 하우징(172)과; 상기 동기화축(171)의 상, 하측단부에는 피니언기어(173) 및 상, 하측 구동부(141)(142)가 구비되되,상기 상, 하측구동부(141)(142)는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에 마련된 가이드홈(151b)(152b)에 배치되고, 상기 상, 하측레일(151)(152)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73)와 맞물리는 랙 기어(174)가 상기 가림판넬(151a)(152a)에 고정되며, 상기 동기화축 하우징(172) 외부에는 수용된 동기화축(171)의 이탈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설치된 이탈방지 겸 소음방지링(1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24926A 2017-02-24 2017-02-24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KR10183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926A KR101831349B1 (ko) 2017-02-24 2017-02-24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926A KR101831349B1 (ko) 2017-02-24 2017-02-24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349B1 true KR101831349B1 (ko) 2018-02-23

Family

ID=6138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926A KR101831349B1 (ko) 2017-02-24 2017-02-24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3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350A (ja) * 2002-12-27 2004-07-29 Isao Masuda ドアシステム及び自動復帰ヒンジ
JP2012026267A (ja) * 2011-11-07 2012-02-09 Shibutani:Kk 折り戸
KR101705600B1 (ko) * 2016-07-29 2017-02-13 이근수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350A (ja) * 2002-12-27 2004-07-29 Isao Masuda ドアシステム及び自動復帰ヒンジ
JP2012026267A (ja) * 2011-11-07 2012-02-09 Shibutani:Kk 折り戸
KR101705600B1 (ko) * 2016-07-29 2017-02-13 이근수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77243A (ja) 開閉装置
US20190323275A1 (en) Folding barn style door and hardware
KR101831349B1 (ko)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가변식 수납형 도어
US7128120B2 (en) Assembly of sashes for sliding glass doors
KR101705600B1 (ko) 건축물 개구부에 설치되는 수납형 도어
EP3564473B1 (en) Perimeter frame for glass doors
KR102488712B1 (ko) 열림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접이식 도어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EP3191674B1 (en) Folding panel assembly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754902A (en) Folding screen
KR200382345Y1 (ko) 격자형 자바라
EP3902968B1 (en) Mount for scissor-type guide
US2204923A (en) Comfort window
US1029871A (en) Curtain-support.
EP4071315A1 (en) System for partitioning a space
US1730781A (en) Combined window sash and screen construction
JP5373540B2 (ja) 間仕切装置
WO2017142428A1 (en) Sliding door
JP3914515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建具
JP3207023U (ja) 折りたたみ式室内ドア
JP2023043791A (ja) 自動ドア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JP2023043792A (ja) 自動ドア及びその施工方法
JP3815459B2 (ja) 複合建具
JP2754441B2 (ja) 出窓用雨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