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434B1 -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434B1
KR102334434B1 KR1020190125103A KR20190125103A KR102334434B1 KR 102334434 B1 KR102334434 B1 KR 102334434B1 KR 1020190125103 A KR1020190125103 A KR 1020190125103A KR 20190125103 A KR20190125103 A KR 20190125103A KR 102334434 B1 KR102334434 B1 KR 10233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glio
motor
shaft
shielding fil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487A (ko
Inventor
김태정
Original Assignee
김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정 filed Critical 김태정
Priority to KR102019012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9Control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disengaged by a contact of a part mounted on the clutch with a stationarily-moun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5/00Clutches with wedging balls or rollers or with other wedgeable separate clutching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세차장 부지에 태양 직사광선에 의한 더위와 햇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쉽게 차광작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세차장 작업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지면(1) 구획공간에 하나 이상의 배수홈(1a)과, 상기 지면(1)의 상측에는 전측에 음각부와 양각부를 구비한 방음판(3)과, 상기 방음판(3)의 후측에는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칸막이프레임(2)과,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사이 상단 전·후측에는 지지브라켓(210)(220)과, 상기 지지브라켓(210)(2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4)과,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후단에는 종프레임(53)을 고정설치하되, 그 사이에는 횡프레임(52)을 구비하고, 상기 횡프레임(52)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프레임(51)과, 상기 수직프레임(51)의 상부측에는 차광막(6)을 개방 및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광장치(5)과, 상기 차광장치(5)를 개방 및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박스(J)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공터 또는 구획공간에 쉽고 간편하게 자동차 세차장 구조를 구비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회전롤 형태로 차광막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작동구조를 견고히 구성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끓어짐이나 처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Rotating roll type automatic shading device installation for car wash}
본 발명은 자동차 세차장용 차광막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세차장 부지에 태양 직사광선에 의한 더위와 햇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퀘적한 세차작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쉽게 차광작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세차장 작업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에서 쉽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자가용을 주류로 이용하고 있고, 상기 자가용은 사용중에 외관이 이물질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실내·외 청소가 필요할 때에는 집앞 또는 공터 등에서 차량의 세워둔 상태에서 세차를 하였지만 최근에는 주거공간의 변모에 의해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차량을 세차할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협소하여 주변 차량에 피해를 줄 수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실내·외 청소를 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특히 자동차 세차장은 야외 일정한 구획공간에 칸막이를 일정하게 구비하여 차량을 개별적으로 세차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용수노즐에 의해 차량을 세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 세차장은 대부분이 야외에서 설치되어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더위와 햇볕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막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 세차장에 설치되는 차광막과 유사한 태양의 직사광선에 의한 더위와 햇볕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련된 다양한 기술분야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앞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47438호(공개일자: 2007.07.24.)에서 “후미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선단에 장축(22)을 설치하여 상기 장축(22)을 롤링시킴으로서 보온덮개(1)가 개폐되게 한 통상의 터널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축(22) 일단부에 제1모터(21)를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1모터(21)는 비닐하우스골조(61)의 천장에 안테나식의 지지봉(23)을 현수하여 그 끝에 연결 설치하고, 천장 중앙에는 제2모터(33)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견인축(34)을 설치하되, 상기 견인축(34)에 일정한 간격으로 견인줄권취드럼(31) 및 브레이크드럼(32)을 장착하여 견인줄권취드럼(31)에 권취된 견인줄(4) 끝이 보온덮개(1) 선단에 연결 설치되게 하여 제1 및 제2모터(21)(33)와 견인줄(4), 그리고 견인줄권취드럼(31)과 브레이크드럼(32)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보온덮개(1)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 시스템”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24169호(공개일자: 2016.05.25.)에서는 “다수의 수직방향지지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 설치된 수평방향지지부의 양측 선단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구동부의 작동으로 온실의 종방향을 따라 순환이동하는 고리체인의 지지 및 이동 안내와 더불어 보온커텐의 양단을 떠받쳐 개폐이동을 안내하도록 무부하 자전하되, 상기 보온커텐이 완전히 펼쳐진 채로 개폐되도록하는 한 쌍의 예인롤러; 상기 예인롤러 각각의 일측에 근접하도록 상기 수평방향지지부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예인롤러의 위치고정과 아울러 양방향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유동방지구; 및, 상기 예인롤러 각각의 타측에 관통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리체인의 지지 및 이동 안내에 따른 상기 보온커텐의 개폐작용이 원활하도록 하는 가이드베어링;로 구성되되, 상기 예인롤러는, 상기 수평방향지지부에 관통결합된 상태로, 자전이 가능한 복수의 사이클휠과, 상기 사이클휠들에 양단이 결속됨에 따라, 상기 사이클휠과 함께 동시 회전하여 위에 떠받친 상기 보온커텐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한 캠버드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 개폐장치용 예인가이더”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3200호(공개일자: 2019.07.24.)에서는 “여러 동의 비닐하우스 양 측면의 하부 또는 상부 환기창 대형비닐하우스의 다수개의 창문부에 설치되는 온실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에 있어서, 하나의 센서(500)에 의해 다수개의 비닐권취용모터(1)와, 상기 비닐권취용모터(1)와 감속기(2)가 일체화된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일측에 설치된 통공(102)과, 상기 통공(102)에 삽입되어 비닐권취용모터(1) 및 감속기(2)가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비닐하우스 개폐부 전면의 보조지지대(200)와, 상기 비닐권취용 모터(1)는 감속기(2)에 의해 연결되어 비닐을 권취와 인출을 반복하는 권취축(3)과, 상기 권취축(3)의 일단 끝 부분에 연결된 삼각면체형상의 스텝리미트캠(4)와, 상기 삼각면체형상의 스텝리미트캠(4)의 꼭짓점 부분이 접지되는 스텝리미트스위치(10)와, 상기 권취축(3)의 일단 끝단부에 설치된 유성기어(5)와, 상기 유성기어(5)에 연결된 켐축(6)과, 상기 켐축(6)에 설치된 최고, 최저한계리미트캠(19,19-1), 상기 최고, 최저한계리미트캠(19,19-1), 과 접지되며, 비닐하우스 양측면에 개폐되는 상하부 와 비닐하우스 창문의 개폐되는 상하부에 설치된 최고점리미트(20) 및 최하점리미트(30)와, 비닐권취용 모터(1)에 연결된 정회전스위치(MC1), 역회전스위치(MC2) 및 타임스위치(MC3)와, 상기 센서(500), 스텝리미트스위치(10), 최고점리미트(20), 최하점리미트(30), 정회전스위치(MC1), 역회전스위치(MC2) 및 타임스위치(MC3)의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제어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가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388호(공개일자 : 2006.06.14.) “터널형 비닐하우스(10) 내부에 설치 사용되는 보온덮개(1)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개폐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온덮개(1)의 내부에 발포수지로 된 단열보온재를 내장설치한 구성과, 보온덮개(1) 선단에 통상의 장축(1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장축(11) 일단을 천장에 현수된 안테나식 지지대(12) 끝에 장착된 모터(13)에 연결 설치하며, 장축(11) 일단부(즉 모터와 연결된 쪽)에 두 가닥의 견인 로우프(14)(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권취부(15)(15')를 가진 권취드럼(15a)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부(15)(15') 각각에 끝단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의 견인로우프(14)(1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게 하고, 보온덮개(1) 선단 장축(11)에 천장의 인장스프링(2)과 연결된 로우프(21)를 연결구성하여서된 보온덮개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0747438호에서는 터널 보온덮개 권치식 자동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고 그 구조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장축에 보온덮개가 롤링 된 다음 상기 장축 일단부에 제1모터가 연결되어 비닐하우스골조의 천장에 안테나식의 지지봉을 현수하여 그 끝에 연결설치하고, 상기 제2모터의 정역쇠전에 의해 견일줄이 견인줄권치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의 유기적인 회전작동에 의해 보온덮개가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지만, 작동구조가 복잡하고 자동차 세차장에 적용시키기에는 구조적으로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1624169호에서는 커텐 개폐장치용 예인가이더가 있고 상기 예인가이더는 보온커텐이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기위해 예인롤러, 유동방지구, 가이드베어링 구비하지만, 커텐견인에 따라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분야일 뿐 자동차 세차장에 적용되는 회전형 차광막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2003200호에서는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조지지대, 권취축, 스텝리미트스위치, 정위치 스위치, 역회전스위치, 타임스위치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판을 구비하고 있지만, 작동구조가 복잡하고 자동차 세차장에 적용시키기에는 구조적으로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388호에서는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온덮개(1) 선단에 통상의 장축(1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장축(11) 일단을 천장에 현수된 안테나식 지지대(12) 끝에 장착된 모터(13)에 연결 설치하며, 장축(11) 일단부(즉 모터와 연결된 쪽)에 두 가닥의 견인 로우프(14)(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권취부(15)(15')를 가진 권취드럼(15a)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권취부(15)(15') 각각에 끝단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의 견인로우프(14)(1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게 하고, 보온덮개(1) 선단 장축(11)에 천장의 인장스프링(2)과 연결된 로우프(21)를 연결구성하여서된 보온덮개개폐장치로 이루어진 구성하고 있지만, 작동구조가 복잡하고 자동차 세차장에 적용시키기에는 구조적으로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47438호(공개일자 : 2007. 07. 2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24169호(공개일자 : 2016. 05. 2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3200호(공개일자 : 2019. 07. 24.)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388호(공고일자 : 2006. 06. 14.)
없음
본 발명은 야외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세차장 부지에 태양 직사광선에 의한 더위와 햇볕을 쉽게 사용자가 제어하여 차광막을 개방 및 개폐할 수 있는 차광장치를 구비하여 세차장 작업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차광장치에는 작동 및 수동 제어는 물론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에 있어서, 지면(1) 구획공간에 하나 이상의 배수홈(1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지면(1)의 상측에는 전측에 음각부와 양각부를 구비한 방음판(3)을 구비한 것과, 상기 방음판(3)의 후측에는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칸막이프레임(2)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사이 상단 전·후측에는 지지브라켓(210)(22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지지브라켓(210)(2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4)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후단에는 종프레임(53)을 고정설치하되, 그 사이에는 횡프레임(52)을 구비하고, 상기 횡프레임(52)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프레임(51)을 구비한 것과, 상기 수직프레임(51)의 상부측에는 차광막(6)을 개방 및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광장치(5)를 구비한 것과, 상기 차광장치(5)를 개방 및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박스(J)를 구비한다.
상기 차광장치(5)는 상기 종프레임(53)의 양측 상면에는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이 축삽되는 유니트베어링(52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의 편측에는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가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박스(J)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580)에는 차광막(6)이 일측 끝단이 고정지지 되어 상기 제어박스(J)에 의해 상기 제1감속모터(501)의 정역회전에 의해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롤러(58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고리(552-1)와 구동축(672)의 외면에 구비된 권치축봉(671)의 편측에 고정설치된 텐션로프(R)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55)에 구비된 제2감속모터(502)는 제어박스(J)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상기 구동축(672)이 전·후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종프레임(53)의 상면 중앙으로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9103049999-pat00001
”형 안내레일(L)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레일(L)의 내측 양측에는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레일(L)에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에 축삽고정되는 구동축(67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672)의 외면에는 차광막(6)의 타측 끝단이 고정지지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의 고정고리(552-1)에는 정역회전에 따라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될 때 펼쳐진 상태의 상면 텐션을 유지하고 과도한 텐션에 의한 상기 텐션로프(6)의 끝어짐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유닛(510)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좌·우대칭으로 구동롤러(L-3)를 구비한 지지블럭(L-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L-2)의 상측에는 구동축(672)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어박스(J)는 사용자가 제어부(30)의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광막(6)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정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의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작동시간을 세팅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강제로 정역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1모터 정지버튼(331)과 제2모터 정지버튼(332)을 구비하고,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정역작동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L)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상기 안내레일(L)의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에 의해 이동에 따라 물리적으로 위치를 측정하여 1차 정지되도록 구비하되, 1차 정지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를 선택하여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30)에는 휴대폰에 설치된 휴대폰 블루투스 묘듈 제어웹(350)에 의해 상기 제어부(30)의 원격 또는 근거리에서 통신하여 제어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묘듈(340)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레일(L)에는 강한 바람에 차광막(6)의 과도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프레임(53)의 양측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들뜸가이드바(695)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레일(L)의 편측 또는 양측에는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시에 견인과 권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차조절바(690)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프레임(2)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을 구비하고, 상기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 사이에는 방음판(2a)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경사브라켓(2f)의 외면에는 통공파이프(2d)를 구비하되, 상기 통공파이프(2d)의 상측에는 꺾임수직브라켓(2c)를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되, 그 연결관(573-1)의 외면에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면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을 구비하되, 그 회전덮개판(573)의 중심 외주면에는 원형으로 1개 또는 4개의 통공(573-2)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573-2)에는 볼(563)이 끼워진 다음 스프링(562)에 의해 탄성가압력이 생성되도록 렌치볼트(561)를 나사결합시켜 가압이 조절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덮개판(573)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이 삽설되어 공회전하는 회전몸체(551)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몸체(551)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551)의 전측에는 상기 볼(563)이 반원형 형태로 끼움되어 걸림되는 음각홈(555-2)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5-2)의 외주면에는 편측에 음각레일홈(553)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53)은 상기 돌출원형턱(573-4)의 외면에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렌치(574)가 내부에 끼워져 간격유지봉(575)에 의해 상기 음각레일홈(553)에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유닛(510-1)은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되, 그 연결관(573-1)의 외면에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면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8)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 회전덮개판(573-8)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이 삽설되어 공회전하는 원형 회전몸체(551-1)를 구비하되, 그 회전몸체(551-1)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몸체(551-1)의 편측 외주면에는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통공(551-5)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통공(551-5)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에 반원형음각홈(55-1)에 맞물려 걸림고정되는 간격유지봉(575)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 스프링(574-2)에 의해 탄성가압력이 생성되도록 고정렌치(574-1)에 의해 나사결합시켜 가압이 조절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유닛(510-2)은 중심이 통공된 회전축(55)을 양측에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고정고리(582-3)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회전축(55) 사이에는 원형 회전지지판(592)을 구비하되, 그 양측 중심에는 지지축봉(59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봉(591)의 편측 외주면에는, 반원형 음각홈(55-3)을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3)에는 수직으로 연결구멍(55-5)을 구비하되, 그 중심에 삽설되는 볼(563-1)을 가압하는 스프링(574-6)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574-6)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구멍(55-5)에 나사결합되어 일정한 장력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되는 조절렌치(574-4)를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3)의 내측 외주면에는 음각레일홈(591-5)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91-5)의 수직으로는 구멍(55-7)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레일홈(591-5)에는 이탈방지봉(575-2)이 삽설되어 지지렌치(574-3)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과 원형 회전지지판(592) 사이에는 마찰베어링(593)이 끼워지도록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은 야외 공터 또는 구획공간에 쉽고 간편하게 자동차 세차장 구조를 구비한 상태에서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회전롤 형태로 차광막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작동구조를 견고히 구성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끓어짐이나 처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쉽게 자동차 세차장의 상측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공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도로서 차광막이 개방 및 개폐된 실시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4는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차광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박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클러치유닛의 응용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칸막이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음판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 구획공간에 하나 이상의 배수홈(1a)을 구비한 것과,
상기 지면(1)의 상측에는 전측에 음각부와 양각부를 구비한 방음판(3)을 구비한 것과,
상기 방음판(3)의 후측에는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칸막이프레임(2)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사이 상단 전·후측에는 지지브라켓(210)(22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지지브라켓(210)(2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4)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후단에는 종프레임(53)을 고정설치하되, 그 사이에는 횡프레임(52)을 구비하고, 상기 횡프레임(52)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프레임(51)을 구비한 것과,
상기 수직프레임(51)의 상부측에는 차광막(6)을 개방 및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광장치(5)를 구비한 것과,
상기 차광장치(5)를 개방 및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박스(J)를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장치(5)는,
상기 종프레임(53)의 양측 상면에는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이 축삽되는 유니트베어링(52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의 편측에는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가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박스(J)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580)에는 차광막(6)이 일측 끝단이 고정지지 되어 상기 제어박스(J)에 의해 상기 제1감속모터(501)의 정역회전에 의해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롤러(58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고리(552-1)와 구동축(672)의 외면에 구비된 권치축봉(671)의 편측에 고정설치된 텐션로프(R)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55)에 구비된 제2감속모터(502)는 제어박스(J)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상기 구동축(672)이 전·후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종프레임(53)의 상면 중앙으로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9103049999-pat00002
”형 안내레일(L)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레일(L)의 내측 양측에는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레일(L)에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에 축삽고정되는 구동축(67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672)의 외면에는 차광막(6)의 타측 끝단이 고정지지 되도록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5)의 고정고리(552-1)에는,
정역회전에 따라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될 때 펼쳐진 상태의 상면 텐션을 유지하고 과도한 텐션에 의한 상기 텐션로프(6)의 끝어짐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유닛(510)을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좌·우대칭으로 구동롤러(L-3)를 구비한 지지블럭(L-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L-2)의 상측에는 구동축(672)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박스(J)는,
사용자가 제어부(30)의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광막(6)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정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의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작동시간을 세팅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강제로 정역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1모터 정지버튼(331)과 제2모터 정지버튼(332)을 구비하고,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정역작동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L)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상기 안내레일(L)의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에 의해 이동에 따라 물리적으로 위치를 측정하여 1차 정지되도록 구비하되, 1차 정지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를 선택하여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30)에는 휴대폰에 설치된 휴대폰 블루투스 묘듈 제어웹(350)에 의해 상기 제어부(30)의 원격 또는 근거리에서 통신하여 제어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묘듈(340)을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L)에는,
강한 바람에 차광막(6)의 과도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프레임(53)의 양측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들뜸가이드바(695)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레일(L)의 편측 또는 양측에는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시에 견인과 권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차조절바(690)를 구비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프레임(2)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을 구비하고,
상기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 사이에는 방음판(2a)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경사브라켓(2f)의 외면에는 통공파이프(2d)를 구비하되, 상기 통공파이프(2d)의 상측에는 꺾임수직브라켓(2c)을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되, 그 연결관(573-1)의 외면에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면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을 구비하되, 그 회전덮개판(573)의 중심 외주면에는 원형으로 1개 또는 4개의 통공(573-2)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573-2)에는 볼(563)이 끼워진 다음 스프링(562)에 의해 탄성가압력이 생성되도록 렌치볼트(561)를 나사결합시켜 가압이 조절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덮개판(573)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이 삽설되어 공회전하는 회전몸체(551)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몸체(551)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551)의 전측에는 상기 볼(563)이 반원형 형태로 끼움되어 걸림되는 음각홈(555-2)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5-2)의 외주면에는 편측에 음각레일홈(553)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53)은 상기 돌출원형턱(573-4)의 외면에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렌치(574)가 내부에 끼워져 간격유지봉(575)에 의해 상기 음각레일홈(553)에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한다.
도 10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1)은,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되, 그 연결관(573-1)의 외면에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면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8)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 회전덮개판(573-8)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이 삽설되어 공회전하는 원형 회전몸체(551-1)를 구비하되, 그 회전몸체(551-1)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몸체(551-1)의 편측 외주면에는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통공(551-5)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통공(551-5)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에 반원형음각홈(55-1)에 맞물려 걸림고정되는 간격유지봉(575)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 스프링(574-2)에 의해 탄성가압력이 생성되도록 고정렌치(574-1)에 의해 나사결합시켜 가압이 조절되도록 구비한다.
도 10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2)은,
중심이 통공된 회전축(55)을 양측에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고정고리(582-3)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회전축(55) 사이에는 원형 회전지지판(592)을 구비하되, 그 양측 중심에는 지지축봉(59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봉(591)의 편측 외주면에는,
반원형 음각홈(55-3)을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3)에는 수직으로 연결구멍(55-5)을 구비하되, 그 중심에 삽설되는 볼(563-1)을 가압하는 스프링(574-6)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574-6)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구멍(55-5)에 나사결합되어 일정한 장력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되는 조절렌치(574-4)를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3)의 내측 외주면에는 음각레일홈(591-5)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91-5)의 수직으로는 구멍(55-7)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레일홈(591-5)에는 이탈방지봉(575-2)이 삽설되어 지지렌치(574-3)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과 원형 회전지지판(592) 사이에는 마찰베어링(593)이 끼워지도록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공간에 콘크리트 형태로 타설되어 그 상측에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지면(1) 상측에 하나 이상의 배수홈(1a)을 구비한다음,
그 상측에는 전측으로 차량이 진입하여 방음과 진입을 차단하는 방음판(3)을 구비한 차량의 전측으로 세차중에 발생되는 세차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하여 작동하고,
상기 방음판(3)의 후측에는 차량의 진입시 양측면을 칸막이 형태로 차단하여 소음과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칸막이프레임(2)을 하나 이상 설치하도록 하며,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상측 전·후측에는 지지브라켓(210)(220)을 구비하여 견고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지지브라켓(210)(220) 사이 상단에는 힘살부형태로 보강프레임(4)을 구비하여 견고하면서도 튼튼하게 각 칸막이프레임(2)을 고정시킬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칸막이프레임(4)의 후단에는 종프레임(53)을 각각 구비하되, 그 후측에는 상기 종프레임(53)이 고정설치되는 횡프레임(52)를 구비하여 차광막(6)을 개방 및 개폐시에 견고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종프레임(53)의 후측에는 수직프레임(51)을 양측에 구비하여 견고하면서도 튼튼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종프레임(53)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차광장치(5)를 구비하여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차광장치(5)는 별도로 구비된 제어박스(J)에 의해 통제되거나 제어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차광장치(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프레임(53)의 상측 양측의 유니트베어링(520)에 축삽되어 회전되는 회전축(55)와 구동축(580)을 구비하여 정역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정역회전되는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은 그 편측에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에 의해 개방개폐시 제어박스(J)의 제어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구동축(580)에는 차광막(6)이 일측 끝단에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한 다음 상기 제1감속모터(501)의 정역회전에 따라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롤러(581)를 구비하여 풀림과 감김시 차광막(6)이 권치되거나 풀림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회전축(55)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여 그 고정고리(552-1)에 구동축(672)와 텐션로프(R)로 연결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55)에 고정설치된 제2감속모터(502)에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차광막(6)이 당김 되거나 풀림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구동축(672)은 상기 종프레임(53)의 상측에 구비된 안내레일(L)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에 고정설치되어 슬라이딩 좌·우 이동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좌·우 대칭으로 구동롤러(L-3)을 구비한 지지블럭(L-2)이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9103049999-pat00003
”형 안내레일(L)에 삽설되어 이동되므로 상기 구동축(672)이 이동중에 강한 바람에 의한 들뜸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차광막(6)을 개방 및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L)의 내측 양측에는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을 구비하여 상기 권취축봉(671)과 좌·우 이동에 따라 양측에 접촉 유무에 따라 제어박스(J)의 제어가 조절되도록 작동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박스(J)는,
외부에 노출되는 개압스위치(310), 개폐스위치(320),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 제1모터 정지버튼(331) 및 제2모터 정지버튼(33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제어부(30)를 통해 제어되는 제1감속모터(501), 제2감속모터(502), 제1 모터 정지버튼(331), 제2모터 정지버튼(332) 및 블루투스묘듈(340)을 구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광막(6)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사용자가 개방스위치(310)를 선택하면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신호를 통해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상기 수직프레임(5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연결설치된 구동축(580)과 회전축(55)이 회전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구동축(580)에 구비된 구동롤러(581)에 의해 차광막(6)이 회전되면서 감겨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구동롤러(581)을 통해 감겨지는 차광막(6)의 반대 측에는 회전축(55)에 감겨진 텐션로프(R)가 풀림이 되면서 상기 텐션로프(R)에 연결고정된 슬라이딩견인블럭(L-1)이 상기 수직프레임(51)의 방향으로 안내레일(L)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어 차광막(6)이 개방되도록 작동하며,
사용자가 차광막(6)을 개폐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사용자가 개폐스위치(320)을 선택하면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신호를 통해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에 연결설치된 구동축(580)과 회전축(55)이 지지브라켓(210)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구동축(580)의 구동롤러(581)에 감겨져있는 차광막(6)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풀림 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구동롤러(581)을 통해 풀림되는 차광막(6)은 반대 측에는 회전축(55)에 감겨지면서 텐션로프(R)를 당기게 되고 상기 텐션로프(R)에 연결고정된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상기 수직프레임(51)의 방향으로 안내레일(L)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어 차광막(6)이 개폐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어박스(J)의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를 통해 사용자가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임의시간동안 작동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작업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개폐시간 세팅부(330)에서는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제1모터 정지버튼(331)과 제2모터 정지버튼(332)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또, 상기 안내레일(L)의 내측에는 양측에 슬라이딩견인블럭(L-1)을 좌·우이동에 따라 수동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를 설치하여 슬라이딩견인블럭(L-1)의 위치를 감지하여 강제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선택적으로 정지시켜 개방 및 개폐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1차적으로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에 의해 감지되어 정지되면 사용자가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를 선택하여 임의로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30)에는 휴대폰 블루투스 묘듈 제어웹(350)과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를 조절할 수 있는 블루투스묘듈(340)에 의해 상기 감속장치(5)를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상기 제2감속모터(502)와 제1감속모터(501)가 차광막(6) 개방 및 개폐시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회전될 때,
상기 구동축(580)에 권치되어 있는 차광막(6)의 풀림이나 감김시에 발생되는 차광막(6)의 풀림 및 당김 속도차이로 인해 권취축봉(671)과 텐션로프(R)의 끓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에 구비하여 작업중에 발생될 수 있는 텐션로프(R)의 끔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회전축(55)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외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축(55)과 고정지지되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정역 회전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단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을 구비하여 그 중심 외주면으로 1개 또는 4개의 통공(573-2)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573-2)에 볼(563)과 스프링(562)을 끼워넣어 렌치볼트(561)에 의해 나사결합에 의한 가압에 의해 스프링(562)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항시 볼(563)을 가압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회전덮개판(579)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여 그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에 삽설되도록 끼워져 공회전되는 회전몸체(551)에 고정고리(552)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텐션로프(R)가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회전몸체(551)의 전측 음각홈(579)에 삽설면에는 상기 볼(563)이 끼워져 걸림되는 음각홈(555-2)를 구비하되, 그 음각홈(555-2)의 외주면의 편측에는 음각레일홈(553)을 구비하여 그 음악레일홈(553)이 끼워지는 간격유지봉(575)가 상기 돌출원형턱(573-4)의 외면에 삽설되어 고정렌치(574)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하여 정역회전에도 외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작동하며,
또, 도 10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1)은,
회전축(55)의 외면에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여 고정렌치(571)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는 회전덮개판(573-8)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덮개판(573-8)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에 삽설되어 공회전되는 회전몸체(551-1)을 구비하되, 그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여 상기 텐션로프(R)가 고정설치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음각홈(579)에 삽설된 회전몸체(551-1)의 외면에는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통공(551-5)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통공(551-5)에 맞물리는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반원형음각홈(55-1)을 구비하여 상기 간격유지봉(575)이 끼워지면서 회전몸체(551-1)와 회전덮개판(573-8)이 이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반원형음각홈(55-1)에는 간격유지봉(575)이 삽설되어 그 상측에 고정렌치(574-2)에 가압되는 스프링(574-2)의 장력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봉(575)이 항시 반원형음각홈(55-1)을 가압하여 텐션로프(R)에 과도한 텐션이 발생되면 상기 간격유지봉(575)이 이격되어 공회전 하도록 작동하고,
또, 도 10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유닛(510-2)은,
중심이 통공된 양측 회전축(55) 사이에는 원형 회전지지판(592)을 구비하되 그 양측으로 지지축봉(591)을 구비하여 축삽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전지지판(592)과 회전축(55) 사이에는 마찰베어링(593)이 끼워져 원활한 회전과 공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지지축봉(591)의 편측은 렌치볼트로 고정하여 고정지지 되도록 구비하되, 그 반대측 지지축봉(591)에는 고정고리(582-3)를 구비한 회전축(55)이 끼워져 공회전과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편측 지지축봉(591)의 외면 편측에는 반원형 음각홈(55-3)을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여 상기 음각홈(55-3)에 맞물리는 볼(563-1)이 상기 회전축(55)에 구비된 연결구멍(55-5)을 통해 삽설된 스프링(574-6)과 조절렌치(574-4)의 가압력에 의해 볼(563-1)이 상기 음각홈(55-3)을 가압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회전축(55)과 맞물려 정역회전되도록 작동하면서도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고,
,
상기 음각홈(55-3)의 내측 외주면에는 음각레일홈(591-5)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91-5)의 수직으로는 구멍(55-7)을 지지축(55)에 구비하여 상기 음각레일홈(591-5)에는 이탈방지봉(575-2)이 삽설되어 지지렌치(574-3)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여 회전작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6)이 이동중에 외부 바람이나 태풍에도 과도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프레임(53)의 양측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들뜸가이드바(695)를 설치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안내레일(L)의 편측 또는 양측에는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와 권취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단차조절바(690)를 구비하여 감김과 풀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프레임(2)은 지면(1)에 고정설치되는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을 구비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는 방음판(2a)을 하나 이상 구비하되, 상기 경사브라켓(2f)의 외면에는 통공파이프(2d)를 구비하여 각종배선을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공파이프(2d)의 상측에는 꺾임수직브라켓(2c)을 구비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L: 안내레일 L-1: 슬라이딩견인블럭
L-2: 지지블럭 L-3: 구동롤러
J: 제어박스 R: 텐션로프
1: 지면 1a: 배수홈
2: 칸막이프레임 2a: 방음판
2b: 후측수직브라켓 2c: 꺾임수직브라켓
2d: 통공파이프 2f: 경사브라켓
3: 방음판 4: 보강프레임
5: 차광장치 6: 차광막
30: 제어부 51: 수직프레임
52: 횡프레임 53: 종프레임
55: 회전축 55-1: 반원형음각홈
55-3: 음각홈 55-5: 연결구멍
55-7: 구멍 70: 제2모터리미트스위치
75: 제1모터리비트스위치 210,220: 지지브라켓
310: 개방스위치 320: 개폐스위치
330: 세팅부 331: 제1모터 정지버튼
332: 제2모터 정지버튼 340: 블루투스 묘듈
350: 휴대폰 블루투스 묘듈 제어웹 501: 제1감속모터
502: 제2감속모터 510,510-1,510-2: 클러치유닛
520: 유니트베어링 551,551-1: 회전몸체
551-5: 수직통공 552, 552-1: 고정고리
553: 음각레일홈 555-2: 음각홈
561: 렌치볼트 562: 스프링
563,563-1: 볼 573-1: 돌출형 연결관
571: 고정렌치 573: 회전덮개판
573-1: 연결관 573-2: 통공
573-4: 돌출원형턱 573-8: 회전덮개판
574: 고정렌치 574-2: 스프링
575-2: 이탈방지봉 574-3: 지지렌치
574-4: 조절렌치 574-6: 스프링
575: 간격유지봉 579: 음각홈
580: 구동축 581: 구동롤러
590: 구동축 591: 지지축봉
592: 회전지지판 591-5: 음각레일홈
672: 구동축 690: 단차조절바
695: 들뜸가이드바

Claims (10)

  1. 지면(1) 구획공간에 하나 이상의 배수홈(1a)을 구비하고, 상기 지면(1)의 상측에는 전측에 음각부와 양각부를 구비한 방음판(3)을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3)의 후측에는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을 구비하고, 상기 후측수직브라켓(2b)과 경사브라켓(2f) 사이에는 방음판(2a)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경사브라켓(2f)의 외면에는 통공파이프(2d)를 구비하되, 상기 통공파이프(2d)의 상측에는 꺾임수직브라켓(2c)를 구비된 칸막이프레임(2)을 구비하고,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사이 상단 전·후측에는 지지브라켓(210)(22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210)(2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4)을 구비하고, 상기 각 칸막이프레임(2)의 후단에는 종프레임(53)을 고정설치하되, 그 사이에는 횡프레임(52)을 구비하며, 상기 횡프레임(52)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프레임(5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51)의 상부측에는 차광막(6)을 개방 및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광장치(5)를 구비하며, 상기 차광장치(5)를 개방 및 개폐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박스(J)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광장치(5)는 상기 종프레임(53)의 양측 상면에는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이 축삽되는 유니트베어링(52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과 구동축(580)의 편측에는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가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는 외부에 설치된 제어박스(J)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구동축(580)에는 차광막(6)이 일측 끝단이 고정지지 되어 상기 제어박스(J)에 의해 상기 제1감속모터(501)의 정역회전에 의해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롤러(58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에는 정역회전에 따라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될 때 펼쳐진 상태의 상면 텐션을 유지하고 과도한 텐션에 의한 텐션로프(R)의 끝어짐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유닛(510)의 외면 편측에 고정고리(552-1)를 구비한 것과,
    상기 고정고리(552-1)와 구동축(672)의 외면에 구비된 권치축봉(671)의 편측에 고정설치된 텐션로프(R)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55)에 구비된 제2감속모터(502)는 제어박스(J)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상기 구동축(672)이 전·후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종프레임(53)의 상면 중앙으로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21502926898-pat00018
    ”형 안내레일(L)을 구비하되, 상기 안내레일(L)의 내측 양측에는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레일(L)에 삽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에 축삽고정되는 구동축(67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672)의 외면에는 차광막(6)의 타측 끝단이 고정지지 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되, 그 연결관(573-1)의 외면에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면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을 구비하되, 그 회전덮개판(573)의 중심 외주면에는 원형으로 1개 또는 4개의 통공(573-2)을 구비하며,
    상기 통공(573-2)에는 볼(563)이 끼워진 다음 스프링(562)에 의해 탄성가압력이 생성되도록 렌치볼트(561)를 나사결합시켜 가압이 조절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덮개판(573)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이 삽설되어 공회전하는 회전몸체(551)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몸체(551)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551)의 전측에는 상기 볼(563)이 반원형 형태로 끼움되어 걸림되는 음각홈(555-2)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5-2)의 외주면에는 편측에 음각레일홈(553)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53)은 상기 돌출원형턱(573-4)의 외면에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렌치(574)가 내부에 끼워져 간격유지봉(575)에 의해 상기 음각레일홈(553)에 걸림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좌·우대칭으로 구동롤러(L-3)를 구비한 지지블럭(L-2)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L-2)의 상측에는 구동축(672)이 고정설치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J)는,
    사용자가 제어부(30)의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광막(6)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정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의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작동시간을 세팅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개폐조절시간 세팅부(330)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를 강제로 정역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1모터 정지버튼(331)과 제2모터 정지버튼(332)을 구비하고,
    상기 제1감속모터(501)와 제2감속모터(502)의 정역작동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L)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견인블럭(L-1)은 상기 안내레일(L)의 제1모터리미트스위치(75)와 제2모터리미트스위치(70)에 의해 이동에 따라 물리적으로 위치를 측정하여 1차 정지되도록 구비하되, 1차 정지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개방스위치(310)와 개폐스위치(320)를 선택하여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30)에는 휴대폰에 설치된 휴대폰 블루투스 묘듈 제어웹(350)에 의해 상기 제어부(30)의 원격 또는 근거리에서 통신하여 제어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묘듈(3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L)에는,
    강한 바람에 차광막(6)의 과도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프레임(53)의 양측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들뜸가이드바(695)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레일(L)의 편측 또는 양측에는 차광막(6)의 개방 및 개폐시에 견인과 권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단차조절바(6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회전축(55)의 외면에는 돌출형 연결관(573-1)을 구비하되, 그 연결관(573-1)의 외면에는 고정렌치(57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돌출형 연결관(573-1)의 후면에는 원형 회전덮개판(573-8)을 구비하며,
    상기 원형 회전덮개판(573-8)의 외면에는 음각홈(579)을 갖는 돌출원형턱(573-4)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79)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이 삽설되어 공회전하는 원형 회전몸체(551-1)를 구비하되, 그 회전몸체(551-1)의 외주면에는 고정고리(552-1)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몸체(551-1)의 편측 외주면에는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통공(551-5)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통공(551-5)에는 상기 회전축(55)의 외면에 반원형음각홈(55-1)에 맞물려 걸림고정되는 간격유지봉(575)을 구비하되 그 상측에 스프링(574-2)에 의해 탄성가압력이 생성되도록 고정렌치(574-1)에 의해 나사결합시켜 가압이 조절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닛(510)은,
    중심이 통공된 회전축(55)을 양측에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고정고리(582-3)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회전축(55) 사이에는 원형 회전지지판(592)을 구비하되, 그 양측 중심에는 지지축봉(591)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봉(591)의 편측 외주면에는,
    반원형 음각홈(55-3)을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3)에는 수직으로 연결구멍(55-5)을 구비하되, 그 중심에 삽설되는 볼(563-1)을 가압하는 스프링(574-6)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574-6)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구멍(55-5)에 나사결합되어 일정한 장력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되는 조절렌치(574-4)를 구비하고,

    상기 음각홈(55-3)의 내측 외주면에는 음각레일홈(591-5)을 구비하되, 그 음각레일홈(591-5)의 수직으로는 구멍(55-7)을 구비하며,
    상기 음각레일홈(591-5)에는 이탈방지봉(575-2)이 삽설되어 지지렌치(574-3)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5)과 원형 회전지지판(592) 사이에는 마찰베어링(593)이 끼워지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25103A 2019-10-10 2019-10-10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KR10233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03A KR102334434B1 (ko) 2019-10-10 2019-10-10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03A KR102334434B1 (ko) 2019-10-10 2019-10-10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87A KR20210042487A (ko) 2021-04-20
KR102334434B1 true KR102334434B1 (ko) 2021-12-01

Family

ID=7574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03A KR102334434B1 (ko) 2019-10-10 2019-10-10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15B1 (ko) * 2007-02-16 2008-03-31 우병준 차양장치
KR101306797B1 (ko) 2012-03-15 2013-09-10 주식회사 세진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6-01-22 정금필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38B1 (ko) 2006-01-13 2007-08-10 주식회사 탑이엔지 터널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 시스템
KR200418388Y1 (ko) 2006-03-09 2006-06-14 주식회사 탑이엔지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KR101320445B1 (ko) * 2012-03-30 2013-10-23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개폐식 차양막
KR101624169B1 (ko) 2014-04-25 2016-05-25 박재우 커텐 개폐장치용 예인가이더
KR102003200B1 (ko) 2018-01-05 2019-07-24 김영진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15B1 (ko) * 2007-02-16 2008-03-31 우병준 차양장치
KR101306797B1 (ko) 2012-03-15 2013-09-10 주식회사 세진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6-01-22 정금필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87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935B2 (en) Rigid retractable patio or window awning and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KR101122713B1 (ko)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CN209429633U (zh) 一种用于地坑式立体车库的升降安全门结构及立体车库
KR100994363B1 (ko) 확장이 가능한 이동식 경비초소
CN205172096U (zh) 一种升降双向横移无避让地下立体车库
KR20090030187A (ko) 주거용 주차 리프트
KR102334434B1 (ko)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CN201040480Y (zh) 改进的轿车防护罩
CN108824868B (zh) 一种用于室外智能停车场的翻转式停车导向遮阳机构
KR101122739B1 (ko)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JPH09209327A (ja) シャッター式防水フェンス装置
CN203514895U (zh) 一种可移动式的草坪生态停车装置
CN106522132B (zh) 一种低耗电的自动式限制车辆泊车的装置
JP2010102912A (ja) 建物の屋外用給電設備
JP3180953U (ja) オーニング装置
CN203254943U (zh) 一种能够安装在汽车顶端的智能防暴晒降温和防霜装置
KR200288421Y1 (ko) 주차 장치
CN217269241U (zh) 一种钢结构雨棚
CN220831057U (zh) 一种保温被卷放限位装置
CN103556857A (zh) 一种可移动式的草坪生态停车装置
KR100736739B1 (ko) 버스 차량용 선 바이저
CN216033647U (zh) 一种房车加宽型侧窗结构
CN201169937Y (zh) 全自动钢制合并车库
CN201056865Y (zh) 伸缩移动车库
KR101342506B1 (ko) 캠핑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