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699B1 -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 Google Patents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699B1
KR102614699B1 KR1020230085126A KR20230085126A KR102614699B1 KR 102614699 B1 KR102614699 B1 KR 102614699B1 KR 1020230085126 A KR1020230085126 A KR 1020230085126A KR 20230085126 A KR20230085126 A KR 20230085126A KR 102614699 B1 KR102614699 B1 KR 102614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erminal
pulley
fram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민
Original Assignee
박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민 filed Critical 박준민
Priority to KR102023008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33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flexible canopy material to the support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고, 이동 방향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감겨 방향이 전환되며, 일부가 상기 차광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와이어; 및 상기 프레임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와이어를 감아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양막을 개폐할 수 있으며, 롤러지지대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한 쪽 방향으로 빗물이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An awning with a pulley}
본 발명은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 도르래를 이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터미널바를 이동시켜 차양막을 개폐할 수 있으며, 롤러지지대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한 쪽 방향으로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이다.
카페나 음식점 같은 상가에는 매장 내로 투과되는 햇빛을 줄이기 위한 차양막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야외 행사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에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한 차양막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차양막은 자동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수동의 경우 원단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직접 끌어서 차양막을 설치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 차양막의 경우 리모콘이 없거나 장치에 문제가 생기면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수동의 경우 직접 원단을 끌어서 설치하므로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5827호(2016.01.22,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하여 차양막을 개폐할 수 있어 힘이 들지 않으며, 수동뿐만 아니라 자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고, 이동 방향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에 감겨 방향이 전환되며, 일부가 상기 차광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바닥면과 접촉하며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가로 틀을 형성하는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 사이를 연결하며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홈이 파여있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차광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의 홈을 통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레일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터미널바; 상기 터미널바가 상기 레일 하단의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터미널바와 상기 레일을 연결시키는 롤러지지대; 및 햇빛을 가려주며 상기 터미널바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바 사이에서 연속되는 웨이브 형태로 연결되는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한 터미널바에 상기 이송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르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상기 기둥 및 가로바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와이어는, 상기 기둥 및 가로바에 위치한 상기 복수 개의 도르래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방향을 전환하며 하나로 순환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측 가로바에 위치하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송와이어를 감아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타측 가로바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와이어는, 상기 도르래 및 회전바를 하나의 순환 구조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로바는, 상단에 설치되어 하단의 부품을 보호하는 천정커버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측 가로바에 위치하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송와이어를 감아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상기 기둥 및 가로바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와이어는, 상기 차광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기둥 및 가로바에 위치한 상기 복수 개의 도르래에 방향을 전환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하나로 순환하는 제1이송와이어와, 상기 타측 가로바에 설치된 도르래 및 상기 회전바를 하나의 순환 구조로 연결하는 제2이송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관 및 수직관으로 형성된'ㄱ'자 형의 빗물흐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은, 상면이 절개되어 빗물을 포집하여 일방향으로 흐르게하고, 상기 수직관은, 상기 수평관에서 일방향으로 흐른 빗물을 포집하여 지면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바는, 상단에 형성되는'T'자 형의 복수개의 터미널관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관은 내부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바를 이동시킬 때 상기 터미널바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은 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하여 차양막을 설치하므로 힘이 들지 않으며, 일측 롤러지지대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빗물이 한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둥, 라운드브라켓, 가로바, 기둥철판, 기둥캡이 도시된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가로바, 사각레일브라켓, 레일, 대각조인트가 도시된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레일, 롤러지지대, 터미널바, 터미널바막음부재가 도시된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롤러지지대의 부품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회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천정커버프로파일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천정커버프로파일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차광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실시예에서 롤러지지대의 양측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롤러지지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제3실시예에 빗물흐름관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터미널관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차광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탄성부재가 수축된 상태의 일부분해사시도이고, (b)는 탄성부재가 인장된 상태의 일부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기둥, 라운드브라켓, 가로바, 기둥철판, 기둥캡이 도시된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가로바, 사각레일브라켓, 레일, 대각조인트가 도시된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레일, 롤러지지대, 터미널바, 터미널바막음부재가 도시된 일부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롤러지지대의 부품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회전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1)은 프레임부(100), 차광부(200),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둥(110), 가로바(120), 레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110)은 바닥면과 접촉하며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4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바(120)는 기둥(110) 사이를 연결하여 가로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면에 위치한 기둥(110)을 연결하는 제1가로바(121)와 후면에 위치한 기둥(110)을 연결하는 제2가로바(12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30)은 제1가로바(121)와 제2가로바(122) 사이를 연결하며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홈이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차광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의 홈을 통해 차광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전면에 위치한 두 기둥(110) 사이 상단에 제1가로바(121)를 위치시킨 후, 라운드브라켓(113)으로 두 기둥(110)과 제1가로바(121)를 각각 결합시켜 전면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면에 위치한 두 기둥(110) 사이 상단에 제2가로바(122)를 위치시킨 후, 라운드브라켓(113)으로 두 기둥(110)과 제2가로바(122)를 각각 결합시켜 후면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110), 라운드브라켓(113), 가로바(120)가 결합된 부분에 기둥철판(123)을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둥(110)은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베이스(114)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면과 베이스(114)를 고정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둥(110)은 상단에 기둥캡(115)을 더 포함하여 관으로 형성된 기둥(110)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기둥캡(115)을 포함하지 않고 상단이 막혀 있는 형태의 기둥 또는 내부가 비어있지 않은 기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가로바(121) 및 제2가로바(122) 사이에 레일(130)을 위치시킨 후 사각레일브라켓(124)으로 가로바(120)와 레일(130)이 수직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레일(130)은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레일(130)에 터미널바(210)를 결합시키기 위해 여기서는 레일(130) 양 측을 모두 결합시키지 않고, 제1가로바(121) 또는 제2가로바(122)와 일측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부(200)는 프레임부(100)에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고, 이동 방향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것으로, 터미널바(210), 롤러지지대(220), 원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바(21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레일(130)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단에 형성된 일자홈(211), 하단에 형성된 2단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지지대(220)는 터미널바(210)가 레일(130) 하단의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터미널바(210)와 레일(13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롤러부(221), 제1결합부(222), 제2결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롤러부(221)가 레일(1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1결합부(222)를 레일(130) 하단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으며, 제2결합부(223)를 일자홈(211)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터미널바(210)는 레일(130)에 수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레일(130) 내부에 형성된 롤러부(221)로 인해 터미널바(210)는 레일(130) 하단을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터미널바(210)가 레일(130)에 결합되면, 가로바(120)와 결합되지 않은 타측 레일(130)은 제1가로바(121) 또는 제2가로바(122)에 사각레일브라켓(124)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레일(130)은 일측이 가로바(120)에 결합되고, 타측이 레일(130)에 결합되는 대각조인트(131)를 더 포함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가로바(120)와 레일(130) 사이에 대각조인트(131)를 대각으로 연결함으로써, 가로바(120)와 레일(130)에 흡수되는 열을 대각조인트(131)로 이동시켜 가로바(120)와 레일(13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원단(230)은 햇빛을 가려주며 터미널바(210)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터미널바(210) 사이에서 연속되는 웨이브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원단(230)은 터미널바(210)의 2단홈(212)에 슬라이딩 결합된 후, 원단(230)이 터미널바(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터미널바막음부재(213)로 터미널바(210)의 측면을 막을 수 있다.
구동부(300)는 프레임부(100)에 고정되는 도르래(310) 및 일부가 터미널바(210)에 고정되어 터미널바(2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와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310)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기둥(110) 및 가로바(12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로바(121)의 중심측, 제2가로바(122)의 중심측, 제2가로바(122) 일측에 연결된 기둥(110)의 상단 및 중단에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가로바(122)의 중심 및 제2가로바(122) 일측에 연결된 기둥(110) 상단에 위치한 도르래(310)는 두 개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와이어(320)는 상기 4개의 도르래(310)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방향을 전환하며 하나로 순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가로바(121)와 제2가로바(122) 사이를 가로지르는 이송와이어(320)의 일부가 최전방 터미널바(210)에 결합되어 있어, 기둥(110)측에 위치한 이송와이어(320)를 일방향으로 당기면 이송와이어(320)가 순환하며 최전방 터미널바(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기둥(110)에 와이어고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송와이어(320)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천정커버프로파일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구동부를 제외한 모든 구성 및 결합이 동일할 수 있으므로 구동부에 관한 설명 외에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1)은 제1실시예 구동부(300)의 도르래(310), 이송와이어(320)에 회전바(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바(330)는 일측 가로바(120)의 중심측에 위치하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와이어(320)를 감아 차광부(2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르래(310)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타측 가로바(120)에 고정될 수 있고, 이송와이어(320)는 도르래(310) 및 회전바(330)를 하나의 순환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송와이어(32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부가 최전방 터미널바(210)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바(3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송와이어(320)의 순환 방향이 전환되며 차광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바(330)는 리모콘 또는 스위치와 같은 동작 장치로 작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1)은 가로바(120) 상단에 천정커버프로파일(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정커버프로파일(125)은 하단에 설치되는 도르래(310), 터미널바(210) 등이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회전바(330)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해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천정커버프로파일(125)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레일(130)의 일부만 보호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닌 레일(130)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천정커버프로파일이 추가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차광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1)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를 결합한 형태로서, 구동부(3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의 구동부(300)는 도르래(310), 이송와이어(320) 및 회전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310)는 제1가로바(121)의 중심측, 제2가로바(122)의 중심측, 제2가로바(122) 일측에 연결된 기둥(110)의 상단 및 중단에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바(330)는 제2가로바(122)의 중심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송와이어(320)는 수동 조작을 위한 제1이송와이어(321) 및 자동 조작을 위한 제2이송와이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이송와이어(321)는 제1가로바(121), 제2가로바(122), 기둥(110) 상단, 기둥(110) 중단에 위치한 도르래(310)에 방향을 전환하며 순차척으로 연결되어 하나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제2이송와이어(322)는 제1가로바(121)에 위치한 도르래(310) 및 회전바(330)를 하나의 순환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110) 중단에 위치한 도르래(310)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제외한 도르래(310)는 두 개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송와이어(321) 및 제2이송와이어(322)의 일부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부가 최전방 터미널바(210)에 결합되어 있어, 기둥(110)측에 위치한 제1이송와이어(321)를 당기면 1이송와이어(321)가 일방향으로 순환하며 차광부(2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리모콘 또는 스위치와 같은 동작 장치로 회전바(330)를 동작시키면 회전바(3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이송와이어(322)의 순환 방향이 전환되며 차광부(2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로바(120) 상단에 천정커버프로파일(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천정커버프로파일(125) 하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이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회전바(330)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해 전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둥(110)에 와이어고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송와이어(320)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2는 제1실시예에서 롤러지지대의 양측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의 롤러지지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2,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또한 롤러지지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3 실시예에 따른 롤러지지대(220)는 일측 제1결합부(222)와 타측 제1결합부(223)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220)는 타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220)와 제1결합부(222)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 우천 시 원단(230)에 떨어진 빗물이 일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원단(230)에 빗물로 인한 하중이 실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롤러지지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제3실시예에 빗물흐름관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롤러지지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빗물흐름관이 더 포함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1,2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또한 빗물흐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는 빗물흐름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빗물흐름관(140)은 'ㄱ'자 형으로 형성되며, 원단(23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원단(230) 하단으로 침투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수평관(141)과 수직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관(141)은 일측 기둥(110)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면이 절개되어 원단(230)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포집할 수 있다.
수직관(142)는 수평관(141)에서 포집된 빗물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수평관(141)의 일측과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지면 부근에 위치한 배출구(1421)를 통해 빗물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터미널관이 추가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차광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6의 (a)는 탄성부재가 수축된 상태의 일부분해사시도이고, (b)는 탄성부재가 인장된 상태의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에 터미널관이 더 포함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1,2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또한 터미널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제1,2,3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바(210)는 터미널관(214) 및 탄성부재(2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관(214)은 터미널바(210)의 상단에 'T'자 형으로 형성되는 관으로, 터미널관(214)의 양단은 인접한 터미널바(210)에 형성되는 터미널관(214)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터미널관(214)은 관 내부에 스프링, 고무줄과 같은 탄성을 가진 물체인 탄성부재(214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또는 수동으로 터미널바(210)를 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최전방 터미널바(210)부터 차례로 전방으로 끌려나가기 때문에 복수의 터미널바(210) 간격은 일정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단(230)이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지 않아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터미널바(210) 상단에 터미널관(214)과 탄성부재(2141)를 설치함으로써, 터미널바(2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단(230)을 웨이브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미널바(210)가 전방으로 끌려나갈 때 최전방 터미널바(210)가 가장 먼저 끌려나가게 되며, 이때 최전방에 위치한 터미널관(214) 내부의 탄성부재(2141)가 늘어날 수 있다.
최전방 터미널바(210)가 계속해서 끌려나감에 따라 탄성부재(2141)는 한계치까지 늘어나게 되며, 이후로는 최전방 터미널바(210)와 인접한 터미널바(210)가 전방으로 끌려나갈 수 있다.
이때, 최전방 터미널바(210)와 인접한 터미널바(210) 또한 전방으로 끌려나감에 따라 탄성부재(2141)가 늘어나게 되고, 탄성부재가(2141)가 한계치까지 늘어나면 다음 인접한 터미널바(210)의 탄성부재(2141)가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2141)가 터미널바(210) 간격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터미널바(21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미관이 향상된 더블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1)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더블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100: 프레임부
110: 기둥
113: 라운드브라켓
114: 베이스
115: 기둥캡
120: 가로바
121: 제1가로바
122: 제2가로바
123: 기둥철판
124: 사각레일브라켓
125: 천정커버프로파일
130: 레일
131: 대각조인트
140: 빗물흐름관
141: 수평관
142: 수직관
1421: 배출구
200: 차광부
210: 터미널바
211: 일자홈
212: 2단홈
213: 터미널바막음부재
214: 터미널관
2141: 탄성부재
220: 롤러지지대
221: 롤러부
222: 제1결합부
223: 제2결합부
230: 원단
300: 구동부
310: 도르래
320: 이송와이어
321: 제1이송와이어
322: 제2이송와이어
330: 회전바

Claims (9)

  1.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고, 이동 방향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에 감겨 방향이 전환되며, 일부가 상기 차광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바닥면과 접촉하며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가로 틀을 형성하는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 사이를 연결하며 하단에 전후 방향으로 홈이 파여있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차광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의 홈을 통해 지지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일측 가로바에 위치하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송와이어를 감아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상기 기둥 및 가로바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와이어는,
    상기 차광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기둥 및 가로바에 위치한 상기 복수 개의 도르래에 방향을 전환하며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하나로 순환하는 제1이송와이어와, 상기 타측 가로바에 설치된 도르래 및 상기 회전바를 하나의 순환 구조로 연결하는 제2이송와이어를 포함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레일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터미널바;
    상기 터미널바가 상기 레일 하단의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터미널바와 상기 레일을 연결시키는 롤러지지대; 및
    햇빛을 가려주며 상기 터미널바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바 사이에서 연속되는 웨이브 형태로 연결되는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한 터미널바에 상기 이송와이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상단에 설치되어 하단의 부품을 보호하는 천정커버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대는,
    상기 일측 레일에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와 상기 타측 레일에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의 수직방향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관 및 수직관으로 형성된'ㄱ'자 형의 빗물흐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은,
    상면이 절개되어 빗물을 포집하여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고,
    상기 수직관은,
    상기 수평관에서 일방향으로 흐른 빗물을 포집하여 지면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9.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들이 결합하여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고, 이동 방향에 따라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에 감겨 방향이 전환되며, 일부가 상기 차광부에 고정되어 상기 차광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레일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터미널바;
    상기 터미널바가 상기 레일 하단의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터미널바와 상기 레일을 연결시키는 롤러지지대; 및
    햇빛을 가려주며 상기 터미널바에 장착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바 사이에서 연속되는 웨이브 형태로 연결되는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한 터미널바에 상기 이송와이어가 고정되고,
    상기 터미널바는,
    상단에 형성되는'T'자 형의 복수개의 터미널관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관은 내부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바를 이동시킬 때 상기 터미널바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KR1020230085126A 2023-06-30 2023-06-30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KR102614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126A KR102614699B1 (ko) 2023-06-30 2023-06-30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126A KR102614699B1 (ko) 2023-06-30 2023-06-30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699B1 true KR102614699B1 (ko) 2023-12-14

Family

ID=8916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126A KR102614699B1 (ko) 2023-06-30 2023-06-30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6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582A (ko) * 2005-01-04 2007-10-26 쟈끄 람베이 광 발전 블라인드 또는 차양
JP2009019339A (ja) * 2007-07-10 2009-01-29 Takano Co Ltd オーニング装置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6-01-22 정금필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KR102012748B1 (ko) * 2018-09-28 2019-08-22 주식회사 코마스텍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KR20210020061A (ko) * 2019-06-17 2021-02-23 하성수 차양(awning)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582A (ko) * 2005-01-04 2007-10-26 쟈끄 람베이 광 발전 블라인드 또는 차양
JP2009019339A (ja) * 2007-07-10 2009-01-29 Takano Co Ltd オーニング装置
KR101585827B1 (ko) 2015-03-23 2016-01-22 정금필 개폐형 어닝용 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형 어닝
KR102012748B1 (ko) * 2018-09-28 2019-08-22 주식회사 코마스텍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KR20210020061A (ko) * 2019-06-17 2021-02-23 하성수 차양(awning)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3934C (en) Retractable sun shade
KR200441914Y1 (ko) 지붕막 장치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JP6509144B2 (ja) パーゴラ式オーニング
GB2421520A (en) Moveable cover or awning
US20120211179A1 (en) Covering System
KR20130096950A (ko)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KR102346447B1 (ko) 태양 조사량 조절이 가능한 파고라장치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2614699B1 (ko)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KR20150068749A (ko) 어닝을 이용한 전통시장용 아케이드
CN103299007B (zh) 遮阳蓬
ES2793380T3 (es) Toldo de protección contra la intemperie
JP2023524644A (ja) テラスキャノピー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AU2007264408B2 (en) Extendible roof
KR20110132935A (ko) 테니스장 커버장치
EP4139531B1 (en) Terrace canopy
ITPD20130014U1 (it) Tenda per esterni
KR102594000B1 (ko)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KR102656069B1 (ko) 차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 유닛
US6644610B1 (en) Bracket for sun shade and assembly using it
EP3992389B1 (de) Überdachung mit beschattungselementen
WO2013144561A1 (en) Multiple screen awning
SK500362022U1 (sk) Pergola s tieniacou placht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