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00B1 -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00B1
KR102594000B1 KR1020210063280A KR20210063280A KR102594000B1 KR 102594000 B1 KR102594000 B1 KR 102594000B1 KR 1020210063280 A KR1020210063280 A KR 1020210063280A KR 20210063280 A KR20210063280 A KR 20210063280A KR 102594000 B1 KR102594000 B1 KR 10259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unit
wire rope
frame
s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718A (ko
Inventor
차현우
Original Assignee
차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우 filed Critical 차현우
Priority to KR102021006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하는 처짐 방지장치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양막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차양막의 처짐을 방지토록 한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수단의 동작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단위 차양막의 펼침 및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단위 차양막의 처짐을 받쳐주는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차양막에 고정되는 차양막 연결 고정구,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연결링 및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 및 차양막 연결 고정구를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단위차양막의 처짐을 탄력 지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The support apparatus of blind for blocking sunlight}
본 발명은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하는 처짐 방지장치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양막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차양막의 처짐을 방지토록 한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 선거 유세 등 많은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 특정 공연 내지 강연 등을 관람하는 데 있어서, 그 장소가 야외 무대일 경우에는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한 여름에는 지나치게 태양광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강우 또는 강설시에는 모자, 우산 등이 필요하는 등 많은 불편과 제약이 따르기 마련이었다.
또한, 영화나 각종 영상물을 시청할 때에도 햇빛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시청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야외에서 행사나 기타 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천막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천막은 실외에서의 각종 행사 및 작업을 하는 경우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동형 천막과 그 크기가 매우 큰 대형 천막으로 구분되어 진다.
이동형 천막의 경우 내측 수용공간이 좁아 행사장이나 작업장 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아니하고 소규모 가족단위의 인원이 캠핑이나 낚시 등을 즐길때 사용하는 것이고, 대형 천막의 경우에는 지면에 직접 고정되고 견고한 프레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다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내부의 수용공간이 비약적으로 증대되어 각종 행사를 진행하거나 각종 작업 등을 그 내부에서 할 수 있다.
상기한 대형 천막은 통상적으로 수직 입설되는 지지기둥의 하단을 지면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기한 지지기둥의 선단에는 다수의 지지대를 방사상으로 하향 결합하여 방사상의 지지대 상측에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의 차양막을 고정하여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대형 천막에 있어, 이러한 대형 천막은 대부분 차광이나 비 또는 눈 등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기둥 상측에 지붕형의 천막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제작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통상적으로 간이 작업장이나 대형 행사장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등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막과 같은 구조물은 행사가 끝나거나 혹은 저녁과 같이 차양이 필요치 않은 시간에도 계속적으로 설치 상태가 유지됨으로서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을뿐만 아니라 철거 역시 매우 복잡하여 실용성에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천막은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데, 이때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올려진 천막은 자체무게로 인해 처짐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바람에 많은 저항을 받아 천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이 고여 천막이 내려앉는 등의 각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97000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양막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차양막의 처짐을 방지토록 한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로프와 연결고리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한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양막의 하단에 별도의 처짐 방지수단을 더 설치하여 차양막의 처짐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로프에서 처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와이어로프 양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로프의 처짐까지 효과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수단의 동작으로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단위 차양막의 펼침 및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단위 차양막의 처짐을 받쳐주는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차양막에 고정되는 차양막 연결 고정구,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연결링 및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 및 차양막 연결 고정구를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단위차양막의 처짐을 탄력 지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 차양막의 아래에는 실린더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하며 상기 단위 차양막을 위로 밀어올려 상기 단위차양막의 펼침 상태에서의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상의 처짐방지용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하는 처짐 방지장치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차양막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차양막의 펼침 상태에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연결고리에 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을 설치하여 와이어로프와 연결고리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여 연결고리의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양막의 하단에 별도의 처짐 방지수단을 더 설치하여 차양막의 처짐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에서 처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와이어로프 양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로프의 처짐까지 효과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처짐 방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단위 차양막의 접힘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햇빛 차단용 차양막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처짐 방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단위 차양막의 접힘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햇빛 차단용 차양막(100)은 야외 작업장이나 공연장 혹은 각종 야외 장소에서 햇빛을 차단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로서, 기둥부재인 4개의 수직 프레임(5), 상기 수직프레임(50)의 상면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지지하는 전면부 지지프레임(10) 및 후면부 지지프레임(12)으로 지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전, 후면부 지지프레임(10, 12) 사이에는 차양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차양수단은 이동프레임(22),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부 지지프레임(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이동프레임(22) 및 고정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며 그 양단은 상기 이동프레임(22) 및 고정프레임(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전 후 이동 동작에 따라 펼쳐지거나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차양막 그리고 상기 차양막의 펼침 및 접혀짐을 가이드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2) 및 고정프레임(20)에 각각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로프(34)로 구성한다.
상기 차양막은 소정의 폭을 가진 단위차양막(28) 여러 장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맞댐 부위에 연결밴드(30)를 재봉 처리하거나 혹은 서로 맞댄 상태에서 곧 바로 재봉 처리하여 다수개의 단위차양막(28)을 서로 연결하여 차양막을 구성하게 된다.
서로 맞대여지는 두 개의 단위차양막(28)의 단부와, 상기 단위차양막(28)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밴드(30)에는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구멍(29)이 천공되고, 상기 구멍(29)으로는 단위차양막을 와이어로프에 연결 구성함과 더불어 텐션력을 부여하여 단위차양막의 처짐을 방지시키는 처짐 방지장치(110)가 설치된다.
상기 처짐 방지장치(110)는 단위차양막(28)을 와이어로프(32)에 연결 구성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단위차양막(28)이 상기 와이어로프(32)를 타고 이동하며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텐션력으로 단위차양막을 위로 끌어 당겨 단위차양막의 펼침 상태에서의 처짐을 방지시키는 수단이다.
또한 처짐 방지장치는 스프링의 텐션력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에서 처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와이어로프 양쪽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로프의 처짐까지 효과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처짐 방지장치(110)는 와이어로프 연결링(112),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 및 상기 와이어로프연결고리(112) 및 차양막 연결고정구(114)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116)으로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은 와이어로프(32)에 끼워지며 단위차양막(28)이 구동수단의 동작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시 상기 와이어로프(32)를 타고 이동하며 단위차양막(28)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는 서로 맞대여져 있는 두 개의 단위차양막(28)의 맞댐부에 연결 고정된다.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는 도 2, 3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걸고리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 형상의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는 단위차양막(28)의 맞댐부에 연결밴드(30)를 밀착시킨 다음, 상기 단위차양막(28)의 맞댐부 및 연결밴드(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9)에 끼워진 상태로 걸려지도록 하여 단위차양막(28)을 연결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16)은 일단은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 및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를 서로 각각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이다.
상기 스프링(116)은 와이어로프 연결링(112)과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 및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를 탄력적으로 당겨주게 되며, 이 과정에서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단위차양막(28)이 위쪽 방향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서 단위차양막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16)을 통한 단위차양막(28)의 처짐 방지는 바람에 의한 저항으로 단위차양막(28)의 손상 및 빗물 고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힘 및 펼침 동작시 단위차양막(28)의 엉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16)의 외경에는 커버(118)가 씌워진다. 상기 커버(118)는 스프링(116)을 보호하며 단위차양막(28)의 접힘 및 펼침 과정에서 스프링(118)의 뒤틀림이나 엉킴을 방지하여, 스프링(118)의 장력이 아래의 단위차양막(28)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힘으로 온전히 작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5)의 양측에는 승강프레임(130)이 각각 더 설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130)에는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은 상기 승강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42)의 로드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42)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하며 상기 단위차양막(28)을 밀어올려 단위차양막(28)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42) 및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은 상기 승강프레임(130)상에서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42) 및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은 전술한 처짐 방지장치(110)와 함께 단위차양막(28)의 처짐을 방지하여 바람에 의한 단위차양막(28)의 손상 및 빗물 고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짐 방지용 프레임(140)은 단위차양막(28)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실린더(142)의 구동으로 처짐 방지용 프레임(140)을 승강시켜 단위차양막(28)을 받쳐주도록 하되, 단위차양막(28)이 접힘 동작시에는 실린더(142) 및 처짐방지용 프레임을 지지하고 있는 승강프레임(130)을 승강실린더(132)의 구동으로 하강시켜 단위차양막(28)의 접힘 동작시 상기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에 단위차양막(28)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구동수단인 모터(40)의 동력으로 단위차양막(28)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전면부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며 구동수단인 샤프트(4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휠(46), 상기 후면부 지지프레임(12)에 지지되는 피동휠(48), 상기 구동휠(46) 및 피동휠(48)에 감겨지며 상기 구동휠(46)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 이동하는 이동와이어(50), 상기 이동와이어(50)에 브라켓(24)으로 연결되며 전술한 차양부재의 이동프레임(22)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와이어(50)의 회전 이동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2)을 전, 후방으로 끌고 가며 이동시키는 연결고리(26)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모터(40)의 동력으로 구동휠(46)이 회전하면 이동와이어(50)가 구동휠(46) 및 피동휠(48) 사이에서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와이어(5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고리(26)는 차양부재의 이동프레임(22)을 전, 후방으로 끌고 가며 이동시키게 됨으로서 이동프레임(22)과 고정프레임(24) 사이에 설치된 다수개의 단위 차양막(28)은 차양이 필요한 시간에는 펼쳐짐과 더불어 차양이 필요하지 않은 시간에는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모터(40)와 구동휠(46)의 연결은 상기 모터(40)의 축에 감속기(42)로 연결되는 샤프트(44)가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44)는 상기 구동휠(46)에 결합되어, 모터(40)의 동력으로 구동휠(4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40)의 동력으로 구동휠(46)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휠(46)과 피동휠(48)을 연결하는 이동와이어(50)는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와이어(50)에 브라켓(24)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고리(26)는 차양부재인 이동프레임(22)에 걸려진 상태로 상기 이동프레임(22)을 전, 후 방향으로 끌고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2)에 부착되어 있는 단위차양막(28)은 펼쳐지거나 접혀지며 차양이 필요한 시간 야외 장소에 그늘을 만들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단위차양막(28)은 접힘 동작시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와이어로프(34)를 타고 이동하는 고리를 기점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접힘시 단위차양막(28)들이 서로 엉키지 않은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접혀진 단위 차양막(28)의 재사용시에 단위차양막(28)의 펼침 동작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차양막을 구성하는 여러장의 단위차양막(28)은 그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그 맞댐 부위에 연결밴드(30)를 재봉 처리하여 다수개의 단위차양막(28)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차양막을 구성하게 되는 데, 이때 서로 맞대여지는 단위차양막(28)의 맞댐부와, 상기 단위차양막(28)의 맞댐부 사이에 삽입된 연결밴드(30)에 구멍(29, 31)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29, 31)으로 처짐 방지장치(110)인 차양막 연결 고정대(114)를 끼워넣고, 그리고 처짐 방지장치(110)의 와이어로프 연결링(112)을 상기 와이어로프(34)에 연결 구성하게 되면 단위차양막(28)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때, 각 처짐 방지장치(110)가 접힘 기준점이 되어 단위차양막(28)이 지그재그로 접혀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단위차양막(28)들을 엉킴없이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양막은 차양이 필요한 시간에 야외 장소에 그늘을 만들고자 할 때, 모터(40)로 전원을 인가하면 샤프트(44)가 회전하며 작동수단인 구동휠(46)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와이어(50)는 구동휠(46)의 동작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와이어(50)에 브라켓(24)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고리(26)는 차양부재인 이동프레임(22)에 걸려진 상태로 상기 이동프레임(22)을 전, 후 방향으로 끌고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2)에 부착되어 있는 단위차양막(28)은 접혀진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펼쳐지며 차양이 필요한 시간 야외 장소에 그늘을 만들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차양막(28)을 연결하는 연결밴드(30)와 와이어로프(34)를 연결하고 있는 처짐 방지장치(110)가 상기 와이어로프(34)를 타고 이동하며 단위차양막(28)의 펼침 동작을 가이드한다.
다음, 이동프레임(22)이 후면부 지지프레임(12)에 거의 근접하고 나면 상기 후면부 지지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8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 도시 함)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는 감지센서(80)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모터(40)를 정지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단위차양막(28)의 펼침 동작이 완료되고 나면 처짐 방지장치(110)를 구성하는 스프링(116)은 와이어로프 연결링(112)과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 및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를 탄력적으로 당겨주게 되며, 이 과정에서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에 연결되어 있는 단위차양막(28)은 펼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16)의 텐션력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당겨지며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5)의 양측 승강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있는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은 실린더(142)의 구동으로 승강하며 단위차양막(28)을 위로 밀어 올려 주도록 하여 장시간의 사용에도 차양막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양이 더 이상 필요치 않은 시간에 차양막을 접어야 할때에는 실린더를 구동시켜 처짐 방지용 실린더(140)를 하강시킨 다음, 모터(40)로 전원을 인가하면 이동와이어(50)는 처음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2)에 부착되어 있는 단위차양막(28)은 펼쳐진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접혀지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단위차양막(28)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때, 와이어로프(34)를 타고 이동하는 처짐방지장치(110)를 접힘 기준점으로 하여 지그재그로 접혀지도록 하여 서로 엉킴 없이 접어 보관할 수 있다.
5: 수직프레임
10: 전면부 지지프레임 12: 후면부 지지프레임
20: 고정프레임 22: 이동프레임
28: 단위차양막 30: 연결밴드
34: 와이어로프 40: 모터
50: 이동와이어 110: 처짐 방지장치
112: 와이어로프 연결링 114: 차양막 연결고정구
116: 스프링 118: 커버
130: 승강프레임 132: 승강실린더
140: 처짐 방지용 프레임 142: 실린더

Claims (2)

  1. 기둥부재인 4개의 수직 프레임(5), 상기 수직프레임(5)의 상면에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지지하는 전면부 지지프레임(10) 및 후면부 지지프레임(12), 상기 전, 후면부 지지프레임(10, 12)의 사이에 위치하며 작동수단의 동작으로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22), 상기 이동프레임(22)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부 지지프레임(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 상기 이동프레임(22) 및 고정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2) 및 고정프레임(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프레임(22)의 전 후 이동 동작에 따라 펼쳐지거나 지그재그 모양으로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차양막(28), 상기 단위 차양막(28)의 펼침 및 접혀짐을 가이드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2) 및 고정프레임(20)에 각각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로프(34)로 구성한 햇빛 차양막에서 상기 단위차양막(28)을 상기 와이어로프(34)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단위 차양막(28)의 펼침 및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34)를 타고 이동하며 상기 단위 차양막(28)의 처짐을 받쳐주는 햇빛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차양막(28)에 고정되는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
    상기 와이어로프(34)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연결링(112);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 연결링(112) 및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를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차양막 연결 고정구(11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단위차양막(28)의 처짐을 탄력 지탱하는 스프링(11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5)의 사이에 위치하는 승강실린더(132);
    상기 승강실린더(132)에 지지되며 상기 승강실린더(132)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하는 승강프레임(130);
    상기 승강프레임(130)에 설치되는 실린더(142) 및 ;
    상기 실린더(142)의 로드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142)의 구동으로 상, 하 이동하며 상기 단위차양막(28)을 위로 밀어올려 상기 단위차양막(28)의 펼침 상태에서의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2. 삭제
KR1020210063280A 2021-05-17 2021-05-17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KR10259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280A KR102594000B1 (ko) 2021-05-17 2021-05-17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280A KR102594000B1 (ko) 2021-05-17 2021-05-17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18A KR20220155718A (ko) 2022-11-24
KR102594000B1 true KR102594000B1 (ko) 2023-10-24

Family

ID=8423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280A KR102594000B1 (ko) 2021-05-17 2021-05-17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01A (ja) * 2008-11-04 2010-05-20 Spacio Kk シート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8557B2 (ja) * 1998-02-06 1999-09-13 フレ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開閉式テント
KR100970007B1 (ko) 2009-12-01 2010-07-15 대전광역시 다목적 공연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01A (ja) * 2008-11-04 2010-05-20 Spacio Kk シート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18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866B2 (en) Covering system
KR101281774B1 (ko) 커버링 시스템
US7503336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20200052520A (ko) 햇빛 차단 장치
GB2450198A (en) A retractable covering System
KR102152372B1 (ko) 와이어 파손방지기능을 갖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
CN210918008U (zh) 一种天幕篷布折叠收放装置及新型折叠式天幕篷
KR102594000B1 (ko) 햇빛 차단용 차양막 처짐 방지장치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102656069B1 (ko) 차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 유닛
KR102073895B1 (ko) 그늘막 장치
KR102481550B1 (ko)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JP2015224452A (ja) 巻き取り式タープ
KR200340383Y1 (ko) 전동식 절첩구조를 갖는 대형 파라솔
KR101830570B1 (ko)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CN202039759U (zh) 升降式易拆装窗帘
KR20210111596A (ko) 스마트 전자동 개폐형 그늘막
KR101830556B1 (ko) 자동 접이식 수직 차광장치
CN210598301U (zh) 一种牵引式自动收放篷幕装置
KR102264301B1 (ko) 파라솔용 차양수단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KR20140003970A (ko) 파라솔
KR102614699B1 (ko) 도르래를 이용한 차양막
CN213359578U (zh) 一种张拉网遮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