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037B1 -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037B1
KR101578037B1 KR1020150067623A KR20150067623A KR101578037B1 KR 101578037 B1 KR101578037 B1 KR 101578037B1 KR 1020150067623 A KR1020150067623 A KR 1020150067623A KR 20150067623 A KR20150067623 A KR 20150067623A KR 101578037 B1 KR101578037 B1 KR 10157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rive
lens
drive curren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333A (ko
Inventor
현경원
김동원
김병록
신경범
박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to KR102015006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0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037B1/ko
Priority to PCT/KR2016/003399 priority patent/WO2016182202A1/ko
Priority to CN201680027745.4A priority patent/CN107636530B/zh
Priority to JP2018511570A priority patent/JP6591662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공개한다.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가 각각 1회 이상 포함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다.

Description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fast Auto Focus control of lens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의 위치를 빠르게 이동하여 안정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기기들이 한 개의 통합 사용자 기기(이하, 간단히 사용자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통합되고 있다. 이때, 렌즈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듈도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부분 장착되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렌즈로 촬영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시장이 커지고 있다.
상술한 장치들에는 모두 렌즈가 장착되는데, 촬상면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맞추어 촛점을 이동하는 자동초점(auto focus; AF) 기술이 렌즈에 적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 기술은 렌즈에 결합되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에조 소자 또는 보이스 코일 액추에이터(보이스 코일 모듈)(VCM)와 같이 전기를 물리적인 힘으로 변환하는 '구동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소자는 전류를 입력으로 받고,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류에 따른 힘에 의해 렌즈가 가속 또는 감속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속과 감속을 잘 제어해야 빠른 자동초점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렌즈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 렌즈가 연결되는 장착 연결부에는 렌즈에 작용하는 마찰력 또는 탄성복원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물리 요소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할 때에 이러한 물리적인 힘 때문에 상기 렌즈의 변위가 언더 댐핑, 크리티컬 댐핑, 또는 오버 댐핑 현상을 겪을 수 있다. 즉, 렌즈를 '시작 위치(초기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전류를 스텝 파형의 형태로 변화시키게 되는 경우 렌즈가 상기 목표 위치보다 더 멀리 이동했다가 다시 시작 위치 쪽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반복하는 소위 기계적 진동(mechanical ring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적 진동에 의해 렌즈가 상기 목표 위치에 안착하는데 걸리는 세틀링 시간(settling time)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전류를 스텝 파형으로 변화시키는 대신에 램프 파형 형태로 변화시키는 기술 및 다양한 스텝 파형으로 변화시키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렌즈를 시작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로 옮기기 위해 상기 구동소자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시작하는 '제어시작시점(간단히, 시작시점)'부터, 상기 렌즈의 위치가 상기 목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 허용오차를 벗어나지 않는 최초의 '안정화 시점'까지 걸리는 '안정화 과도 기간'(간단히, '과도 기간' 또는 '세틀링 시간' 또는 '안착 시간')이 짧을 수록 빠른 자동초점 기능이 수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자동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목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허용오차를 벗어나지 않아야지만,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 촛점 거리에 대하여 안정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과도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는 빠른 자동초점 기술은 쾌적한 사용자 촬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상기 과도 기간은,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존재하는 기계적인 공진주파수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 공진주파수는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에 따른 고유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렌즈의 무게 및 촛점 거리 이동에 필요한 렌즈의 변위와 같은 요소들은 카메라 모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설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설계에는 일정한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상기 공진주파수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공진주파수는 사용 환경에 따라 조금씩 변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주어진 공진주파수를 전제로 하여, 상기 공진주파수에도 불구하고 과도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렌즈를 목표 위치까지 빠르게 이동하여 짧은 시간 내에 렌즈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은,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및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은,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 및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보다 크고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보다 작은 과도 구동 전류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과도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하여 토글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과도 구동 전류 레벨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하여 토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은,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 및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보다 크고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보다 작은 과도 구동 전류 레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과도 전류 레벨을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렌즈를 목표 위치까지 빠르게 이동하여 짧은 시간 내에 렌즈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구동제어장치 및 AF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제1비교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비교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3비교예 및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상술한 제3실시예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영역(A)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구동제어장치 및 AF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AF를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2)은 AF 구동제어장치(렌즈구동 제어장치)(1) 및 AF 명령부(AF Command Part)(10), 구동소자(렌즈 구동소자)(ex: VCM)(50), 및 렌즈(6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구동 제어장치(AF 구동 제어장치)(1)는 진동 제어부(ringing controller)(20),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30), 및 구동소자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구동 제어장치(1)는 독립적인 IC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AF 명령부(10)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제1위치(초기 위치, 또는 시작 위치)에서 제2위치(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명령하는 '명령신호'를 노드(N1)을 통해 진동 제어부(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20)는 렌즈를 상기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소자(VCM)(50)에 제공되어야 하는 전류의 값에 관련된 값을 갖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노드(N2)를 통해 DAC(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디지털 제어신호는 상기 초기 위치에 관련된 초기 구동 전류(Ii)에 관한 값에서부터 상기 목표 위치에 관련된 목표 구동 전류(Id)까지 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진동 제어부는 렌즈 위치 이동시 발생하는 물리적인 진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렌즈의 목표 위치 자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AC(30)는 입력된 상기 디지털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바꾸어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아날로그 제어신호는 노드(N3)을 통해 구동소자 구동부(40)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소자 구동부(40)는 입력된 상기 아날로크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소자(VCM)(5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구동전류'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전류는 노드(N4)를 통해 구동소자(VCM)(50)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소자 구동부(40)는 이를 위하여 연산증폭기와 같은 증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소자(VCM)(50)에서 출력하는 구동전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비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구동소자(VCM)(50)는 입력된 상기 구동전류를 기초로 운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렌즈(60)에 연결되어 있어서 렌즈(6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소자(50)는 상기 구동부 이외에도 운동하지 않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예시한 VCM은 동일한 동작 방식을 갖는 다른 종류의 구동소자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는 제1비교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구동전류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2의 (b)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렌즈의 광축 방향에 따른 상기 렌즈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도 1의 노드(N4)에 흐르는 구동전류가 초기 구동 전류(Ii)에서 목표 구동 전류(Id)로 '스텝 파형'의 형태로 변하도록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시작시점(t0)에서 초기 구동 전류(Ii)에서 목표 구동 전류(Id)로 즉시 변하게 된다.
도 2의 (b)는 도 2의 (a)와 같이 구동전류가 변화할 때의 렌즈의 광축에 따른 위치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60)의 위치의 변위는 구동소자(VCM)(50)의 구동부의 위치의 변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렌즈(60)의 위치의 변위는 구동소자(VCM)(50)의 구동부의 위치의 변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구동전류가 초기 구동 전류(Ii) 값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때에는 렌즈(60)가 렌즈 초기 위치(Li)를 유지할 수 있고, 구동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Id) 값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때에는 렌즈(60)가 렌즈 목표 위치(Ld)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전류가 변화하기 시작한 후의 일정 기간 동안에는 렌즈(60)의 위치가 광축을 따라 진동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진동에 의해 렌즈가 목표 위치에 안착하는데 까지 걸리는 과도 기간(DT)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보통 이러한 과도 기간은 상기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고유 진동주파수의 주기(1/fN)의 수 배 내지 수십 배에 달할 수 있다. 여기서 과도 기간(DT)은, 상기 구동전류의 제어를 시작하는 제어시작시점부터, 렌즈의 위치가 목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허용오차를 벗어나지 않는 최초의 안정화 시점(ts)까지의 시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정의는 예시이며, 상황에 맞게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초기 구동 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보다 작은 경우의 예를 들었으나, 그 반대의 예, 즉 초기 구동 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보다 큰 경우의 예도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제2비교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에서는 초기 구동 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보다 작은 경우의 예를 설명하지만, 그 반대의 예도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a), (b), (c), 및 (d)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구동전류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제2비교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비교예에서, 제어시작시점(t0)에서,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로부터, 목표 구동 전류(Id)보다 작은 과도 구동 전류(Im1)까지 '단일 스텝' 형태로 변동된다. 여기서 상기 단일 스텝이란 구동전류의 변화가 스텝 형태로 1회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제1시점(t1)에서 구동전류는 과도 구동 전류(Im1)로부터 목표 구동 전류(Id)까지 단일 스텝 형태로 변동된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에서, 제어시작시점(t0)에서,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로부터 과도 구동 전류(Im1)까지 '멀티 스텝' 형태로 변동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과도 구동 전류(Im1)는 초기 구동 전류(Ii)와 목표 구동 전류(Id)의 사이의 미리 결정된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 스텝'이란 구동전류의 변화가 스텝 형태로 2회 이상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제1시점(t1)에서 구동전류는 과도 구동 전류(Im1)로부터 목표 구동 전류(Id)까지 '멀티 스텝' 형태로 변동되기 시작한다. 제2시점(t2)에서 구동전류는 목표 구동 전류(Id)에 도달한다. 제1실시예에서 제2시점(t2)은 제어종료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는 구동전류가 항상 증가하거나 항상 감소하게 됨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서, 제어시작시점(t0)부터 제2시점(t2)까지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와도 다르고 목표 구동 전류(Id)와도 다른 값을 갖는 한 개 이상의 과도 구동 전류의 값을 갖도록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제어시작시점(t0)부터 제2시점(t2)까지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과도 구동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도 구동 전류의 레벨은 초기 구동 전류(Ii)의 레벨과 목표 구동 전류(Id)의 레벨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제어시작시점(t0)부터 제2시점(t2)까지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과도 구동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도 구동 전류의 레벨은 초기 구동 전류(Ii)의 레벨과 목표 구동 전류(Id)의 레벨의 바깥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2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전류 제어구간에서 구동전류는 증가 및 감소를 각각 1회 이상 겪을 수 있다. 도 3의 (c)에서는 구동전류가 초기 구동 전류(Ii)에서 [제1] 과도 구동 전류(Im1), 제2 과도 구동 전류(Im2), 제3 과도 구동 전류(Im3), 제4 과도 구동 전류(Im4), 및 제5 과도 구동 전류(Im5)를 거쳐 목표 구동 전류(Id)에 도달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제1] 과도 구동 전류(Im1) 내지 제5 과도 구동 전류(Im5)의 레벨 간의 상대적인 크고 작음에는 아무런 제약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제2시점(t2)은 제어종료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3의 (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시작시점(t0)에서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에서 과도 구동 전류(Im1)로 변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아래의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a)에 따른 제2비교예와 동일하다. 즉, 제어시작시점(t0)과 제1시점(t1) 사이에 구동전류가 초기 구동 전류(Ii)와 과도 구동 전류(Im1)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한다. 그리고 제1시점(t1)과 제2시점(t2) 사이에 구동전류가 과도 구동 전류(Im1)와 목표 구동 전류(Id)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하여 변하도록 제어된다.
도 3의 (d)는 도 3의 (c)에 따른 제2실시예의 특별한 예인 것으로 해설할 수도 있다. 제3실시예에서 제2시점(t2)은 제어종료시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3의 (d)에 도시한 구동전류는 상승 에제와 하강 에지를 모두 갖는 파형을 갖는다. 상승 에지에서는 구동전류를 증가시켜 구동전류에 의한 전자기력이 주요하게(dominantly) 작용하여 렌즈을 움직이게 한다. 그리고 하강 에지에서는 구동전류를 감소시켜 구동전류에 의한 전자기력이 작아지게 되고 그 결과 렌즈에 작용하는 상기 탄성복원력이 주요하게 작용하여 렌즈를 움직이게 한다.
도 3의 (d)에서는 서로 다른 레벨 구간에서 토글이 반복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멀티 토글 제어' 방법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4는 제3비교예 및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에서는 초기 구동 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보다 작은 경우의 예를 설명하지만, 그 반대의 예도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a) 및 (b)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구동전류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제3비교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비교예에서, 제어시작시점(t0)에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에서 목표 구동 전류(Id)로 변한다. 그 다음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과 목표 구동 전류(Id)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하여 변하도록 제어된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실시예는 제3비교예와 비교하여 아래의 점이 다르다. 즉, 구동전류가 초기 구동 전류(Ii)에서 목표 구동 전류(Id)로 변할 때(상승 에지)에, 및/또는 구동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Id)에서 초기 구동 전류(Ii)로 변할 때(하강 에지)에, 멀티 스텝 파형으로 변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구동신호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5는 초기 구동 전류가 목표 구동 전류보다 작은 예를 나타내었는데, 이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5실시예는 상술한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를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다.
제어시작시점(t0)에서,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로부터 과도 구동 전류(Im1)까지 1회 이상 토글하여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토글이란 초기 구동 전류 레벨(Ii)과 과도 구동 전류 레벨(Im1)을 오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제1시점(t1)에서, 구동전류는 과도 구동 전류(Im1)로부터 목표 구동 전류(Id)까지 1회 이상 토글하여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토글이란 과도 구동 전류 레벨과 목표 구동 전류 레벨을 오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 제2시점(=제어종료시점)(t2)부터, 구동전류는 목표 구동 전류(Id)의 전류 레벨인 목표 구동 전류 레벨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도 구동 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와 목표 구동 전류의 사이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구동전류의 값을 변화시키기 시작하는 제어시작시점(t0)과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되는 제2시점(t2)까지의 사구간을 '구동전류 제어구간'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전류 제어구간에서 구동전류의 레벨은 초기 구동 전류 레벨, 과도 구동 전류 레벨, 및 목표 구동 전류 레벨 사이를 오갈 수 있다.
한편, 제5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구동전류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 구간 중 하나 이상을 멀티 스텝 파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를 통털어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라고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는 천이하는 두 개의 레벨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두 개의 레벨 간의 천이 시구간에,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모양을 갖는 멀티 스텝 파형이 존재할 때에, 상기 천이 시구간을 상승 에지, 하강 에지, 또는 레벨천이 에지라고 재정의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 스텝의 각각의 개별 스텝의 크기는, 상기 두 개의 레벨의 차이값을 복수 개로 분할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6a는 상술한 제3실시예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a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렌즈의 광축에 따른 상기 렌즈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101)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그래프(10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영역(A)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
이하, 도 6a와 도 6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래프(101)를 살펴보면 제5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위치는 안정화 시점 (ts_c5) 이후에는 허용오차 범위 내로 안착된다. 그러나 그래프(102)를 살펴보면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위치는 시점 (ts_c5) 이후에도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도록 진동하며, 시점((ts_c3)이 되어야 비로소 안정화 된다. 즉, 제5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의 효과가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의 효과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실시예가 제3실시예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를 도 6a에 나타낸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래프(101)은 과도 기간 전반에 걸쳐 그래프(102)보다 그 순간 기울기가 완만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래프(101)의 순간 기울기가 더 완만하게 나타난 것은, 도 5와 같이 구동전류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를 멀티 스텝 파형으로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레벨천이 에지에서 멀티 스텝 파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아이디어이다.
상술한 제5실시예에서는 구동전류가 상술한 멀티 토글 제어 방법을 따르면서도,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 구간에서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 아이디어를 구현한 것이다. 이를 확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제어시작시점(t0)과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되는 제2시점(t2)까지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1) 구동전류는 초기 구동 전류(Ii), (2) 목표 구동 전류(Id), 및 (3) 초기 구동 전류(Ii)와도 다르고 목표 구동 전류(Id)와도 다른 레벨을 갖는 한 개 이상의 과도 구동 전류의 값을 갖도록 증가하고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구동전류 제어구간에서 구동전류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를 멀티 스텝 파형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특히, 상기 한 개 이상의 과도 구동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초기 구동 전류(Ii)의 레벨과 목표 구동 전류(Id)의 레벨 사이의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한 개 이상의 과도 구동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초기 구동 전류(Ii)의 레벨과 목표 구동 전류(Id)의 레벨 바깥의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8)

  1.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은,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및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만을 포함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은,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 및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보다 크고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보다 작은 과도 구동 전류 레벨을 포함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과도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하여 토글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과도 구동 전류 레벨 사이를 1회 이상 왕복하여 토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5.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 제어장치로서,
    상기 진동 제어부는,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 제어장치.
  6.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류 레벨은,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 및 상기 초기 구동 전류 레벨보다 크고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레벨보다 작은 과도 구동 전류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7.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과도 전류 레벨을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8. 렌즈의 위치를 초기위치로부터 목표위치까지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시작되는 제어시작시점과 상기 구동전류의 변화가 종료하는 제어종료시점 사이의 '구동전류 제어구간' 동안,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목표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구동 전류 레벨과 다른 값을 가지며 상기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구동 전류 레벨과도 다른 값을 갖는 한 개 이상의 전류 레벨을 각각 1회 이상 지속하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1회 이상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각각 1회 이상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류의 레벨천이 에지(level transition edge)는 복수 회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스텝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KR1020150067623A 2015-05-14 2015-05-14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7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23A KR101578037B1 (ko) 2015-05-14 2015-05-14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16/003399 WO2016182202A1 (ko) 2015-05-14 2016-04-01 빠른 자동초점을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201680027745.4A CN107636530B (zh) 2015-05-14 2016-04-01 用于快速自动对焦的镜头驱动控制方法及用于其的装置
JP2018511570A JP6591662B2 (ja) 2015-05-14 2016-04-01 速い自動焦点のためのレンズ駆動制御方法及びこれのため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23A KR101578037B1 (ko) 2015-05-14 2015-05-14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33A KR20150063333A (ko) 2015-06-09
KR101578037B1 true KR101578037B1 (ko) 2015-12-17

Family

ID=5350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23A KR101578037B1 (ko) 2015-05-14 2015-05-14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1662B2 (ko)
KR (1) KR101578037B1 (ko)
CN (1) CN107636530B (ko)
WO (1) WO2016182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757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지니틱스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US10608563B2 (en) 2016-06-30 2020-03-31 Dongwoon Anatech Co., Ltd. Driving control device for voice coil mo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7846546A (zh) * 2016-09-18 2018-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的对焦补偿装置及其方法、摄像终端
CN106338807B (zh) * 2016-11-04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自动对焦方法、装置及终端
JP6780203B2 (ja) * 2018-10-29 2020-11-04 ビクター ハッセルブラッド アクチボラーグVictor Hasselblad Ab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082715B (zh) * 2019-12-31 2021-08-31 普冉半导体(上海)股份有限公司 音圈马达驱动器驱动电流分段控制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048B2 (ja) 1990-07-27 1998-07-23 日本電子株式会社 走査型電子顕微鏡のオートフォーカス方式
KR100831865B1 (ko) 2007-07-13 2008-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서의 오토 포커싱 방법
JP4986551B2 (ja) 2006-09-06 2012-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6450A (ja) * 1992-06-04 1993-12-17 Olympus Optical Co Ltd 光電変換装置
JPH06201974A (ja) * 1992-12-28 1994-07-22 Canon Inc レンズ駆動制御装置
JP2963006B2 (ja) * 1994-06-01 1999-10-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
JPH08148108A (ja) * 1994-11-18 1996-06-07 Nikon Corp 自動焦点調整方法
JP2002350716A (ja) * 2001-05-30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搭載したビデオカメラ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9169010A (ja) *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撮像装置、携帯端末及びaf制御方法
JP5964542B2 (ja) * 2009-07-15 2016-08-03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フォーカス制御回路
WO2013108818A1 (ja) * 2012-01-18 2013-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装置、駆動方法及び駆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撮像装置
JP6018403B2 (ja) * 2012-04-23 2016-11-02 ローム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リターン機構付き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9048B2 (ja) 1990-07-27 1998-07-23 日本電子株式会社 走査型電子顕微鏡のオートフォーカス方式
JP4986551B2 (ja) 2006-09-06 2012-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制御装置
KR100831865B1 (ko) 2007-07-13 2008-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서의 오토 포커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36530A (zh) 2018-01-26
CN107636530B (zh) 2020-07-24
JP2018520389A (ja) 2018-07-26
WO2016182202A1 (ko) 2016-11-17
KR20150063333A (ko) 2015-06-09
JP6591662B2 (ja)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037B1 (ko)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92938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2350710B1 (ko)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US8351138B2 (en) Lens driving device, flexible pie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lexible piece
WO2009116453A1 (ja) カメラシステム、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装置、および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方法
US9948226B2 (en) Apparatus for driving voice coil actuator of camera and method thereof
US968104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amping lens ringing
EP3210066B1 (en) Controlling focus lens assembly
KR100770937B1 (ko) 음성 코일 구동 수단과 전류 인가 방법
KR101339620B1 (ko) 카메라 모듈 구동 장치
EP2841988B1 (en) System and method to deploy active dampening for lens ringing and vibration
US8878981B2 (en) MEMS actuator mounted camera module having sag compensation and sag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811664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2029487B1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촬상 시스템
KR101855340B1 (ko) 저소음을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US20100220405A1 (en) Driving method of lens actuator
JP2013081294A (ja) スプリングリターン機構付き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142803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CN106444217A (zh) 镜头af驱动控制方法
JP2011133700A (ja) 焦点調節方法、焦点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KR20090035815A (ko) 음성 코일 모터
KR20220037164A (ko) 액추에이터 구동장치
KR20150090487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2015009048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2009004163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