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757A -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757A
KR20170004757A KR1020150095539A KR20150095539A KR20170004757A KR 20170004757 A KR20170004757 A KR 20170004757A KR 1020150095539 A KR1020150095539 A KR 1020150095539A KR 20150095539 A KR20150095539 A KR 20150095539A KR 20170004757 A KR20170004757 A KR 2017000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urrent value
driving
lens modu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원
김동원
김병록
신경범
박효진
김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to KR102015009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757A/ko
Priority to CN201610498547.8A priority patent/CN106444217A/zh
Publication of KR2017000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를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소자(VCM)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을 공개한다. 상기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의 상태를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초기전류값으로부터 영(0)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영(0)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렌즈모듈의 프리로드 전류값보다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 큰 값을 갖는다.

Description

렌즈 AF 구동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lens auto focus driver}
본 발명은 전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모듈을 사용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렌즈가 안착면에 안착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및 이로 인한 소음을 경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기기들이 한 개의 통합 사용자 기기(이하, 간단히 사용자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통합되고 있다. 이때, 렌즈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듈도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부분 장착되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렌즈로 촬영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시장이 커지고 있다.
상술한 장치들에는 모두 렌즈가 장착되는데, 촬상면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맞추어 초점을 이동하는 자동초점(auto focus; AF) 기술이 렌즈에 적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 기술은, 렌즈에 결합되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에조 소자 또는 보이스 코일 액추에이터(보이스 코일 모듈)(VCM)와 같이 전기를 물리적인 힘으로 변환하는 '구동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소자는 전류를 입력으로 받고,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류로부터 생성된 힘에 의해 렌즈가 가속 또는 감속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속과 감속을 잘 제어해야 빠른 자동초점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렌즈와 상기 하우징 간을 연결하는 장착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와 상기 장착 연결부 사이에는 렌즈에 대해 작용하는 마찰력 또는 렌즈의 광축방향 변위에 따라 달라지는 탄성복원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물리 요소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할 때에, 이러한 물리적인 힘 때문에 상기 렌즈의 시간에 따른 광축방향 변위가 언더 댐핑, 크리티컬 댐핑, 또는 오버 댐핑 현상을 겪을 수 있다.
즉, 렌즈를 '시작 위치(초기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로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전류를 스텝 파형의 형태로 급격하게 변화시키게 되는 경우 언더 댐핑을 겪게 되며, 그 결과 렌즈가 상기 목표 위치를 지나쳐 더 멀리 이동했다가 다시 시작 위치 쪽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반복하는 소위 기계적 진동(mechanical ring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전원이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차단된 경우, 초점 조절을 위해 이동하는 이동렌즈 및 상기 이동렌즈와 함께 병진 이동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렌즈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안착면(안착부) 상에 안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상기 안착면 상에서 대기하는 모드를 대기모드라고 지칭하고,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상기 안착면에서 떨어져서 촬영을 준비하거나 촬영하고 있는 상태는 액티브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예컨대 전원 오프, 촬영 모드 종료, 및 사진 확인 모드로 변경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기기의 카메라 모듈은 대기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대기모드가 되면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광축 방향을 따라 카메라 모듈의 안착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의 변위가 오버 댐핑 현상과 같은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상기 기계적 진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안착면에 상당히 큰 충격량을 가하도록 부딪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충격으로 인해 장치가 손상되거나, 충격으로 인한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모듈을 상기 액티브모드로부터 대기모드로 전환할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카메라 모듈의 안착면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은, 이동렌즈모듈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소자(VCM)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은, 렌즈구동 제어장치(1)가,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상태를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초기전류값(Ii)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1값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영(0)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값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가져야 하는 광축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값이다.
이때, 상기 대기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렌즈 안착부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오버슈트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계속해서 상기 렌즈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최소전류값(IX1)보다 같거나 큰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렌즈구동 제어장치는, 이동렌즈모듈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소자(VCM)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구동소자 구동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 제어장치이다. 이때, 상기 구동소자 구동부는,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상태를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초기전류값(Ii)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1값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영(0)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값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가져야 하는 광축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값이다.
이때, 상기 대기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렌즈 안착부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오버슈트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계속해서 상기 렌즈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최소전류값(IX1)보다 같거나 큰 값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은, 이동렌즈모듈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렌즈구동 제어장치가,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대기모드에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가져야 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값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기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렌즈 안착부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오버슈트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계속해서 상기 렌즈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최소전류값(IX1)보다 같거나 큰 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오버슈트에 의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광축방향 속도가 영(0)이 되는 시점에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전류를 상기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변화시키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제2초기전류값으로 변화시켜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을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할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카메라 모듈의 안착면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광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이동렌즈모듈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VCM의 입력 전류의 크기에 따른 이동렌즈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VCM에 입력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d는 안착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했을 경우 이동렌즈의 시간에 따른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 시의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 시의 전류의 파형과 렌즈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광축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부 구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5)은 경통(400), 이동렌즈모듈(200), 카메라 모듈의 안착면(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렌즈모듈(200)은 이동렌즈(210) 및 이동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가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은 이동렌즈(210) 외에도 도 1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추가적인 렌즈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이동렌즈(210)는 이동렌즈모듈(200)의 '광학부'로 지칭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5)이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도 1과 같이 광축(300)방향으로 이동렌즈모듈(200)이 카메라 모듈(5)의 안착면(350)으로 이동하여, 안착면(3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는 이와 다를 수 있다.
도 2는 이동렌즈모듈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동부(250, 251)는 탄성력을 주는 소자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230)의 일 단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가동부(250, 252)에 작용하는 힘은 구동소자(VCM)(450)가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230)는 카메라 모듈의 설계자가 인위적으로 제공한 것일 수 있다. 탄성부(230)에 y축 방향으로 아무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의 탄성부(230)의 길이는 l0일 수 있다.
도 2에서 이동렌즈모듈(200)은 안착면(350)에 안착된 상태(예컨대, power off와 같은 대기모드)이며, 탄성부(230)가 -y방향으로 FS1만큼의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FS1 > 0). 이때의 탄성부(230)의 길이는 l1일 수 있다(단, l1 < l0).
VCM(450)의 입력전류가 0이면, VCM이 이동렌즈모듈(200)에 대하여 +y 방향으로 가하는 힘 F는 0이 된다. 이 경우 안착면(350)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이동렌즈모듈(200)의 위치는 y=0 보다 작은 곳에 있어야 한다(상기 탄성력 이외의 중력과 같은 다른 힘을 고려하지 않음). 그러나 안착면(350)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동렌즈(210)는 안착면(350)의 위치인 y=0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이동렌즈모듈(200)은 안착면에 부딪히게 되며, 이때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이동렌즈모듈(200)이 손상될 수 있으며 상기 충돌에 의해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VCM의 입력 전류의 크기에 따른 이동렌즈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VCM에 입력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d는 안착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했을 경우 이동렌즈의 시간에 따른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렌즈의 위치를 설명한다.
도 3c의 가로축은 시간(t)의 흐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VCM에 입력되는 전류(I)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3a는 액티브모드 상태로, 렌즈의 위치는 y=y1>0이고 이때의 VCM의 입력 전류는 도 3c와 같이 I1일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전원의 오프(OFF) 명령이 발생한 시점(t0)에서 VCM의 입력 전류는 0으로 순간적으로 변하게 되며, 따라서 VCM에서 출력되는 힘은 0이 된다(F=0).
VCM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가 0이 되면 도 3b와 같이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며, 렌즈의 위치는 y=0이 된다. 이때, t0시점에서 바로 안착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 3d와 같은 오버슈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y=0 위치에 안착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t1 시점에 이동렌즈가 안착면에 부딪히게 되고, 그 결과 도 3d에 나타낸 t1 시점 이후의 오버슈트 리플들은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t1 시점에 렌즈가 안착면에 부딪히게 되는데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렌즈모듈의 손상과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기기(1)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및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사용자기기(1)는 전원 스위치부(10), 플레이(PLAY) 버튼(11), 처리부(20), 파워부(30), 렌즈구동 제어장치(40), 및 VCM 및 카메라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은, 예컨대 도 4의 처리부(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원오프, 또는 플레이모드 진입 명령이 처리부(20)에 전달되면, 처리부(20)는 사용자기기(1)를 상기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미하는 '대기모드'에서는, 처리부(20)가 사용자기기(1)를 상기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하더라도, 파워부(30)가 렌즈구동 제어장치(40)와 VCM및카메라모듈(50)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때, 처리부(20)는 VCM을 직접 제어하지는 않을 수 있다.
렌즈구동 제어장치(40)는 렌즈의 진동을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DAC, 및 구동소자(VCM)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제어부는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VCM에 제공되어야 하는 전류의 값에 관련된 값을 갖는 디지털 제어신호를 DAC에 전달하며, DAC는 입력된 디지털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구동소자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소자 구동부는 VCM을 구동하기에 충분한 구동전류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 시의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구동전류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렌즈구동 제어장치(40)는 액티브모드에서의 초기전류를 VCM에 제공한다. 시점(t0)에, 렌즈구동 제어장치(40)는 전원 스위치부(10)로부터 또는 처리부(20)로부터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렌즈구동 제어장치(40)는 VCM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초기전류값(Ii)에서 영(0)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전류의 값인 중간목표전류값(IX)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영(0)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중간목표전류값(IX)은 프리로드 전류값(IP)보다 미리 결정된 정도 이상 클 수 있다.
프리로드 전류값(IP)이란, 이동렌즈모듈을 안착부(350)로부터 떨어트리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동렌즈모듈이 안착부(350)에 접촉해 있는 상태에서는 상술한 탄성부(230)에 의해 이동렌즈모듈이 안착부(350)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동렌즈모듈을 안착부(350)로부터 떨어트리기 위해서는 구동소자(VCM)(450)가 상기 이동렌즈모듈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반대방향의 힘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소자(450)에 상기 프리로드 전류값 이상의 전류를 흘려주어야 한다. 카메라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소자(450)에 프리로드 전류값이 인가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렌즈모듈을 안착부(350)에서 신속이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준비작업일 수 있다.
구동전류를 초기전류(Ii)에서, 프리로드 전류값이 아닌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감소시킨 후 일정 시간 유지하는 이유는 이동렌즈모듈이 안착부(350)에 부딪힐 때의 충격을 감소시키며, 충격 소음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전류가 중간목표전류값(IX)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는 상기 중간목표전류값(IX)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목표전류값(IX)은 상기 오버슈트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오버슈트에 따른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최대 하강지점이 상기 렌즈가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전환 시의 전류의 파형과 렌즈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좌측 세로축은 구동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며, 우측 세로축은 렌즈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은 초기전류값이 Ii이고 중간목표전류값이 IX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Ip는 상술한 프리로드 전류값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표시한 전류값 Im은 상기 프리로드 전류값의 최소값, 즉, 구동소자(450)에 구동전류가 제공될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떨어트리기 시작하는 순간의 전류값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소자(450)에 입력되는 구동전류가 각각 상기 Ii, IX, IP, 및 Im을 유지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이동렌즈모듈의 광축에 따른 위치는 각각 PYi, PYX, PYP, 및 PYm일 수 있다. PYm는 이동렌즈모듈을 안착부로부터 떨어트리기 시작하는 순간의 전류값에 대응하기 때문에, PYm는 안착부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의 위치는 0으로 표시하였다.
이때, Ii>Ip>=Im일 수 있다. 그리고 IX>Im일 수 있다.
도 6에서 참조번호 601은 구동전류를 의미하고, 참조번호 602은 이동렌즈모듈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6와 같이 구동전류 값이 중간목표전류값(IX)을 유지하는 동안, 중간목표전류값(IX)에 대응하는 이동렌즈모듈의 위치(PYX)를 중심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한다. 이때, 오버슈트에 의한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와 안착부의 위치(PYm) 간의 최소거리는 D1이 될 수 있다.
이때, D1이 실질적으로 0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이동렌즈모듈을 빠르게 안착면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안착면과 충돌에 의한 충격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전류값이 초기전류값에서 중간목표전류값으로 하강하는 구간의 파형은 도 6과 같이 선형일 수도 있지만, 계단형일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7에서는 도 6의 상기 D1이 실질적으로 0이 되도록 설계한 예를 나타낸다. 이때, 상술한 IX를 IX1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렌즈모듈이 상기 위치(PYm)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광축방향 속도는 실질적으로 0이 되며, 이동렌즈모듈은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상기 안착면에 안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구동전류의 값을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서 0으로 떨어트리게 되면 이동렌즈모듈이 안착면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IX>Im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IX가 반드시 별도로 결정되어 있는 IP보다 반드시 크거나 또는 반드시 작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IP는 Im보다 상당히 큰 값으로 설계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8에 따른 실시에에서는, 구동전류의 크기를 초기전류값(Ii)에서 중간목표전류값(IX)으로 떨어트리기는 과정에서, 구동전류의 크기를 특정한 값을 갖는 제2의 초기전류값(Ii2)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전류의 크기는 제2의 초기전류값(Ii2)을 가진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는 구동전류의 크기가 제2의 초기전류값(Ii2)을 갖는 동안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안정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의 초기전류값(Ii2)의 크기는 초기전류값(Ii)보다 작을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대기모드라는 것은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의 위치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8)

  1. 이동렌즈모듈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렌즈구동 제어장치가,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상태를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초기전류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1값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값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가져야 하는 광축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값인,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렌즈 안착부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오버슈트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계속해서 상기 렌즈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최소전류값보다 같거나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3. 이동렌즈모듈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구동소자 구동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 제어장치로서,
    상기 구동소자 구동부는,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상태를 액티브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초기전류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1값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값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가져야 하는 광축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값인,
    렌즈구동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렌즈 안착부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오버슈트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계속해서 상기 렌즈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최소전류값보다 같거나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 제어장치.
  5. 이동렌즈모듈을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를 변화시키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으로서,
    렌즈구동 제어장치가,
    상기 구동소자에 입력되는 구동전류의 값을, 대기모드에서 상기 이동렌즈모듈이 가져야 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렌즈모듈을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값보다 큰 중간목표전류값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구동전류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렌즈모듈은 렌즈 안착부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은, 상기 오버슈트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계속해서 상기 렌즈 안착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최소전류값보다 같거나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위치가,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를 기준으로 오버슈트가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소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오버슈트에 의해 상기 이동렌즈모듈의 광축방향 속도가 영이 되는 시점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전류를 상기 중간목표전류값으로 변화시키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제2초기전류값으로 변화시켜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KR1020150095539A 2015-07-03 2015-07-03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KR20170004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39A KR20170004757A (ko) 2015-07-03 2015-07-03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CN201610498547.8A CN106444217A (zh) 2015-07-03 2016-06-30 镜头af驱动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39A KR20170004757A (ko) 2015-07-03 2015-07-03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57A true KR20170004757A (ko) 2017-01-11

Family

ID=5783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539A KR20170004757A (ko) 2015-07-03 2015-07-03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4757A (ko)
CN (1) CN1064442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03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지니틱스 충격에 의한 발진을 방지하는 af 구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33568A1 (en) * 2020-04-24 2021-10-28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Drive control apparatus, driv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drive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338A (ja) * 2012-06-06 2013-12-19 Nikon Corp 光学装置
JP6555857B2 (ja) * 2013-10-11 2019-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742980B2 (en) * 2013-11-01 2017-08-22 Canon Kabushiki Kaisha Focus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335482B2 (ja) * 2013-11-13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578037B1 (ko) * 2015-05-14 2015-12-17 주식회사 지니틱스 빠른 af를 위한 렌즈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03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지니틱스 충격에 의한 발진을 방지하는 af 구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44217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442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JP4986551B2 (ja) レンズ駆動制御装置
JP5037719B1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6591662B2 (ja) 速い自動焦点のためのレンズ駆動制御方法及びこれのための装置
CN107076959B (zh) 控制聚焦透镜组装件
US2016017886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Camera Lens with Magnetostrictive Elements
JP5551207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170004757A (ko) 렌즈 af 구동제어방법
KR101999358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60110032A (ko) 카메라 모듈 구동 장치
KR101999361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579586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770937B1 (ko) 음성 코일 구동 수단과 전류 인가 방법
KR1017644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CN113940054B (zh) 成像设备和信息终端
KR20150008883A (ko) 렌즈 링잉 및 진동에 대한 능동적 댐핑을 전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28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2803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2007271996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8539689A (ja) モバイルカメラのための小型ステッピング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KR102460759B1 (ko) 폴디드 줌 ois 회로 및 카메라 장치
KR102103561B1 (ko) 카메라 모듈
KR102270272B1 (ko) 카메라 모듈
CN115706489A (zh) 致动器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
KR102217464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4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7

Effective date: 2018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