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656B1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656B1
KR101576656B1 KR1020140057839A KR20140057839A KR101576656B1 KR 101576656 B1 KR101576656 B1 KR 101576656B1 KR 1020140057839 A KR1020140057839 A KR 1020140057839A KR 20140057839 A KR20140057839 A KR 20140057839A KR 101576656 B1 KR101576656 B1 KR 10157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able
heat source
driv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789A (ko
Inventor
방명석
Original Assignee
방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명석 filed Critical 방명석
Priority to KR102014005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6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에 형성된 결합공 내경과 서로 이격되게 삽입되는 불판축을 통해 회전몸체가 회전시 상기 불판부의 하중에 의한 불판축이 결합공과의 자유회전과 더불어 제1불판과 서로 포개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불판에 의해 불판부에 구비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조리 가능하고,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불판부와 결합하는 결합편의 수직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구비된 불판부가 구이몸체에 형성된 개방공을 통해 경사면에 거치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불판부에 조리가 필요한 음식물의 구비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의 분리가 용이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전체적으로 상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열원이 구비되는 구이부와, 상기 열원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반사시켜 그 반사된 열기가 상기 구이부 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열반사수단과, 상기 구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에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구이부 내부를 번갈아가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구동수단과, 두 분체가 포개져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음식물이 골고루 열원에 의해 조리될 수 있게 하중에 의해 항시 수직을 유지하도록 양측이 상기 회전부와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외면이 상기 회전부와 형상맞춤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상기 불판부가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방지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이기{roaster}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에 형성된 결합공 내경과 서로 이격되게 삽입되는 불판축을 통해 회전몸체가 회전시 상기 불판부의 하중에 의한 불판축이 결합공과의 자유회전과 더불어 제1불판과 서로 포개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불판에 의해 불판부에 구비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조리 가능하고,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불판부와 결합하는 결합편의 수직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구비된 불판부가 구이몸체에 형성된 개방공을 통해 경사면에 거치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불판부에 조리가 필요한 음식물의 구비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의 분리가 용이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사용자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조개, 새우 및 육류를 열원에 의해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캠핑이 활성화된 근래에는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가능한 구이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구이기는 크게 음식물에 간접적으로 열원을 제공하여 음식을 조리하거나 또는 음식물에 열원을 근접시켜 직접적인 열원에 의해 조리(직화)하는 방식으로 분리되며, 하나의 구이기로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도출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17818호인 '직화 구이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 내에 배설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측편에 배설되어 거치부에 거치된 육류의 조리에 요구되는 열기를 제공하는 열원부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열원부의 거리 조절을 통해 거치부에 거치된 육류의 조리방법을 다양하게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열원의 간격을 조절하여 음식물을 간접 또는 직접적(직화)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열원의 이동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것은 물론, 조리되는 음식물이 열원부와 비교적 가까운 곳에만 국부적으로 열원이 제공되어 전체적으로 골고루 조리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과 열원부가 이동시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기준으로 수평길이방향의 폭이 좁아져 상기 거치부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열원의 이동이 없이도 많은 양의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조리할 수 있어 안정적인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전체적으로 상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열원이 구비되는 구이부와, 상기 열원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반사시켜 그 반사된 열기가 상기 구이부 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열반사수단과, 상기 구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에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구이부 내부를 번갈아가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구동수단과, 두 분체가 포개져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음식물이 골고루 열원에 의해 조리될 수 있게 하중에 의해 항시 수직을 유지하도록 양측이 상기 회전부와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외면이 상기 회전부와 형상맞춤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상기 불판부가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방지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이부는 상부에 상기 개방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회전부가 관통삽입되는 축공 이 천공형성된 함 형상의 구이몸체와, 상기 구이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함과,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공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상기 구이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함 형상의 기름받이함 및 상기 구이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열반사수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다수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이몸체는 상부에 서로 대칭되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플렌지와, 일단이 상기 플렌지와 이어지고, 타단에는 상기 불판부가 거치되거나 또는 조리된 음식물을 거치할 수 있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구이몸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구이몸체 바닥면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수용함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가이드홈 및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함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열반사수단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반사수단은 상기 구이부에 삽입되는 반사몸체 및 상기 반사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열원의 열기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반사수단은 상기 반사판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을 갖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구이기와 회전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불판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천공형성되며, 서로 이웃하게 상기 회전몸체 외부에 한 쌍으로 결합편이 돌출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내면이 상기 결합공의 내경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편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이 회전시에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결합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불판부가 결합한 상기 결합편의 수직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결합편과 대응되게 상기 회전몸체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이 수직방향으로 입/출입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조절편 및 상기 결합편에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편이 수직이동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절공에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편의 수직길이가 단계별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볼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재 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상기 제2구동부재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재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고정축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삽입공이 천공형성된 구동편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구동축이 돌출형성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판부는 전체적으로 띠 형태를 갖도록 내부에 제1망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회전부와 축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상기 불판부가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불판축이 돌출형성된 제1불판 및 전체적으로 띠 형태를 갖도록 상기 제1불판과 회전에 의해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제1망과 함께 음식물을 가압하는 제2망이 형성된 제2불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판부는 상기 제1불판과 상기 제2불판 사이에 구비된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불판 또는 상기 제2불판에 돌출형성된 돌기 및 상부가 상기 제1불판 또는 상기 제2불판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가 상기 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에 형성된 결합공 내경과 서로 이격되게 삽입되는 불판축을 통해 회전몸체가 회전시 상기 불판부의 하중에 의한 불판축이 결합공과의 자유회전과 더불어 제1불판과 서로 포개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불판에 의해 불판부에 구비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불판부와 결합하는 결합편의 수직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구비된 불판부가 구이몸체에 형성된 개방공을 통해 경사면에 거치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불판부에 조리가 필요한 음식물의 구비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회전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구동수단 중 제1구동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구동수단 중 제2구동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구동수단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불판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대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구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열원수용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작용관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열반사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회전방지캡이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8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작용관계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제2불판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1)는 크게 회전부(100), 구동수단(200), 불판부(300), 구이부(400), 열반사수단(500) 및 회전방지캡(600)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200)에 의해 구이부(40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판부(300)가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부(100)가 회전시에 불판부(300)가 자유회전 또는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부재(110), 결합부재(120), 개폐수단(130) 및 길이조절수단(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부재(110)는 구동수단(2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이기(10)에 설치되어 불판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몸체(111) 및 회전축(113)을 포함한다.
회전몸체(111)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를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양측은 각각 구이몸체(410)에 형성된 축공(410a)과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113)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몸체(111)는 사용자가 불판부(300)를 통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구비하거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이몸체(410) 상부에 형성된 개방공(410b)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다수의 불판부(300)가 교번되게 구이몸체(410) 내부에서 개방공(410b)을 통해 노출될 수 있게 번갈아가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중인 음식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일시적으로 회전몸체(111)의 회전을 정지시켜 개방공(410b)을 통해 노출된 불판부(300)에서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분리하거나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구비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축(113)은 회전몸체(111)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구이몸체(410)에 형성된 축공(410a)에 관통삽입되어 회전몸체(111)가 구동수단(200)에 의해 구이몸체(41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이때 구동수단(200)과 결합하는 어느 하나의 회전축(113)은 구동수단(200)과 치(齒) 결합하여 구동수단(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몸체(1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공(1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재(120)는 회전부재(110) 외부에 불판부(30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편(121) 및 결합공(123)을 포함한다.
결합편(121)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회전몸체(111)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조절편(141)의 개방된 상부로 입/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하부가 상기 회전몸체(111) 외면과 서로 이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편(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몸체(111)를 통해 다수의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결합편(121)은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어느 하나의 불판부(30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찌꺼기(기름 등)가 기름받이함(417)으로 자유낙하 하여 다른 불판부(30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123)은 불판부(300) 양측에 형성된 불판축(3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편(121) 상부에 천공형성된다. 이때, 결합공(123)은 불판축(313)과 이격되게 관통삽입되어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불판부(300)가 항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자유회전 할 수 있게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수단(130)은 탄성력에 의해 결합공(123)을 개폐하여 불판부(3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편(131) 및 탄성부재(133)를 포함한다.
회전편(131)은 일측이 결합공(123)의 내경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결합편(121)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 된다. 이때 회전편(131) 타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편(131)을 회전시킬 수 있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33)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편(131)이 회전시 별도의 완력을 가하지 않아도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편(131)이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탄성부재(133)는 회전편(131)이 탄성 복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이형스프링, 토션스프링 및 압축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조절수단(140)은 사용자가 회전부(100)와 결합한 불판부(300)의 수직길이를 조절하여 개방공(410b)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판부(300)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구비 또는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조절편(141) 및 완충부재(143)를 포함한다.
조절편(141)은 회전몸체(111)에 구비되는 결합편(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결합편(121)이 삽입되는 중공부(141a)가 형성된다. 이때 조절편(141) 일측에는 완충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안테나와 같이 단계별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결합편(121)의 수직길이가 조절되게 다수의 조절공(141b)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천공형성되며, 결합편(121) 외면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조절편(141)에서 상기 결합편(121)의 입/출입이 용이하도록 파지가능한 돌출손잡이(1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143)는 결합편(121)에 탄성 복원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결합편(121)을 수직방향으로 입/출입시에 조절공(141b)에 단계별로 걸리도록 하여 결합편(121)의 수직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프링(143a) 및 볼(143b)을 포함한다.
스프링(143a)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복원 가능하도록 결합편(121)에 설치되며, 일측이 결합편(121)과 고정결합하고, 타측에는 볼(143b)이 구비된다. 이때 결합편(121)에는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143a)이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공(12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143b)은 스프링(143a) 타측에 구비되며, 결합편(121)이 수직이동시에 스프링(143a)의 탄성력에 의해 외면이 다수의 조절공(141b)과 단계별로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00)은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몸체(41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이몸체(4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100)가 회전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구동부재(210) 또는 제2구동부재(2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구동부재(21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부(1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구동편(211) 및 회전손잡이(217)를 포함한다.
구동편(211)은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회전축(113)에 형성된 치합공(115)에 고정삽입할 수 있게 치(齒) 결합하는 고정축(213)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회전손잡이(217)가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15)이 천공형성된다. 이때 고정축(213)은 일 예로 돌출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회전축(113) 외면과 치 결합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회전손잡이(217)는 일측이 삽입공(215)에 관통삽입되어 구동편(2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가 외면을 파지하여 구동편(211)을 회전시켜 회전몸체(111)를 외력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회전손잡이(21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구동부재(2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부(1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모터(221) 및 제어부(22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21)는 구이몸체(410) 외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회전축(113)에 형성된 치합공(115)과 치 결합할 수 있도록 구동축(223)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구동모터(221)는 제어부(225)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게 가속/감속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25)는 구동모터(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이기(10) 외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22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22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에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전원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미도시)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이 없이도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동수단(2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몸체(111)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회전축(113) 중 어느 하나에 제1구동부재(210)를 결합하고, 나머지 하나에 제2구동부재(220)를 함께 결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구동부재(210,220)가 함께 설치된 경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구동부재(210)를 회전시 제2구동부재(220)의 구동모터(221)는 외력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불판부(300)는 도 2,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20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100)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구이기(10)에서 제공되는 열원(H)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불판(310), 제2불판(320) 및 잠금부재(3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불판(31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이 각각 결합공(123)에 삽입설치되는 불판축(313)이 돌출형성되고, 내부에는 제2망(321)과 함께 음식물을 가압하는 제1망(311)이 형성된다. 이때 불판축(313)은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불판부(300)의 하중에 의해 항시 수직하게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결합공(123)과 이격되게 관통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불판(310) 하부에는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불판부(300)의 하중이 하부방향으로 향하여 항시 수직하게 자유회전이 용이하도록 무게추(315)가 구비된다.
또한 제2불판(320)은 제1불판(310)과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가 경첩 등을 통해 제1불판(310)과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제2불판(320)이 회전시에 제1망(311)과 함께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2망(321)이 구비된다. 이때 음식물을 가압하는 제1망(311) 및 제2망(321)은 열원(H)에 의해 불판부(300)에 가압된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어 조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시에 발생하는 찌꺼기(기름 등)가 불판부(30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메쉬(Mesh)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불판(320)은 회전몸체(111)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개방공(410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제1불판(310)과 서로 회전되어 끝단이 돌출부(412)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올려놓거나 또는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도 19 참조)
또한 잠금부재(340)는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회전에 의해 서로 포개진 제1불판(310)과 제2불판(32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돌기(341) 및 후크(343)를 포함한다.
돌기(341)는 제2불판(320) 외면 상부에 돌출형성된다.
후크(343)는 상부가 제1불판(310)과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하며, 하부에는 돌기(341)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돌기(341) 외면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제1불판(310)과 제2불판(320)이 서로 이탈되지 않게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잠금부재(340)는 제1불판(310) 또는 제2불판(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미도시)의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이부(400)는 도 2 및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열원(H)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이몸체(410), 열원수용함(416), 기름받이함(417), 삽입홈(418) 및 지지부재(419)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이몸체(410)는 회전부(100) 및 불판부(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속이 빈 사각의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구이몸체(410)는 플렌지(411), 돌출부(412), 제1가이드홈(413) 및 제2가이드홈(415)을 포함한다. 이때 구이몸체(4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열원(H)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온도에 의해 낮아지거나 또는 상기 구이몸체(410) 외면에 내부에서 발생한 열기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렌지(411)는 구이몸체(410) 상부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연장형성되어 돌출부(412)의 경사면(412a)에 거치한 음식물의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플렌지(411) 상면에는 경사면(412a)에 거치한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수용될 수 있는 기름받이홈(4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12)는 일단이 플렌지(41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구이몸체(410)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돌출부(412)는 상면에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불판부(300)에서 분리하고 난 이후에 일시적으로 거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시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거치한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기름받이홈(411a)에 수용될 수 있도록 경사면(4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9 참조)
아울러, 경사면(412a)은 기름받이홈(411a)과 서로 이어지게 형성되어 경사면(412a)을 타고 내려오는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용이하게 기름받이홈(411a)으로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413)은 열원수용함(416)의 외면과 대응하는 지름 폭을 갖도록 구이몸체(41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가이드홈(413)은 열원수용함(416)에 수용된 열원(H)이 구이몸체(410) 내부에 골고루 그 열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이몸체(410) 바닥면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열원수용함(416) 내부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열원(H)(석탄, 번개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이몸체(410)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가이드홈(413)은 길이방향 중심에 격벽(413a)을 더 형성하여 구이몸체(410) 양측에서 각각 입/출입하는 열원수용함(416)이 상기 구이몸체(410) 내부에서 올바른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가이드홈(415)은 기름받이함(417)의 외면과 대응하는 지름 폭을 갖도록 한 쌍의 제1가이드홈(413)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제2가이드홈(415)은 구이몸체(4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구이몸체(410) 외부에 형성되어 기름받이함(417)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원수용함(416)은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구이몸체(410) 내부에 각각 형성된 제1가이드홈(413)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열원수용함(4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몸체(410) 일측 외부에서 제1가이드홈(413)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구이몸체(410) 양측 외부에서 각각 상기 제2가이드홈(415)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열원(H)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열원수용함(416)은 제1가이드홈(413)에 수납되어 구이몸체(410) 양측에서 각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가이드홈(413)에 형성된 격벽(413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름받이함(417)은 상술한 열원수용함(416)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구이몸체(410)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입/출입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홈(415)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불판부(300)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시에 발생하는 기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삽입홈(418)은 열반사수단(500)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이몸체(410) 내부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418)은 제1가이드홈(413)과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열원(H)수용함(416)에 수용된 열원(H)의 열기를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삽입되는 열반사수단(500)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구이몸체(410) 내부에 구비되는 열반사수단(500)의 경사각을 서로 달리하게 되면 불판부(300)에 가압된 음식물의 어느 특정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열반사수단(500)을 삽입홈(418)에 삽입하면 불판부(300)에 가압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동일한 열기에 의해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삽입홈(418)은 구이몸체(410) 내부에 다수의 열반사수단(5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기호나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따라 열원(H)에 의한 상기 구이몸체(410) 내부의 온도를 빨리 상승시키거나 또는 천천히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온도 상승의 시간은 빠른 조리의 음식물이나 천천히 조리되어야 하는 음식물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419)는 구이몸체(41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상승시켜 야외활동에 사용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계별로 길이 조절 가능한 본 형상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을 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지지부재(419)는 사각의 함 형상을 갖는 구이몸체(410) 하부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며, 일단이 구이몸체(41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타단은 단계별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타단 길이를 연장시켜 지면에 고정한다. 이때 지지부재(419)의 타단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이 용이하도록 원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9)의 회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이 아닌 약 10 내지 15도 정도 구이몸체(410) 외측 방향으로 더 회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반사수단(500)은 열원수용함(416)에 수용된 열원(H)이 구이몸체(410) 내부에 골고루 전달할 수 있도록 반사시켜주기 위한 구성으로 반사몸체(510), 반사판(520) 및 발열체(530)를 포함한다. 이때 열반사수단(50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이몸체(410)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418)에 삽입되거나 또는 구이몸체(410)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다수의 열반사수단(500)이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반사몸체(510)는 일 예로, 전면에 반사판(520)이 구비되는 홈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가 삽입홈(418)에 삽입되어 구이몸체(4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반사몸체(510)는 필요에 따라 삽입홈(418)과 탈부착 가능하게 다수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418)에 수용되는 수에 따라 구이몸체(410) 내부의 온도를 빨리 또는 천천히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판(520)은 반사몸체(510) 전면에 형성된 홈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열원(H)수용함(416)에 수용된 열원(H)을 반사시킨다. 이때 반사판(520)은 구이몸체(410) 상부방향(특히, 돌출부의 경사면을 따라)으로 열원(H)을 반사시켜 상기 구이몸체(410) 내부에서 고온의 온도가 대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체(530)는 반사판(520) 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반사몸체(510)에 구비되며, 열원(H)을 통해 발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발열체(530)는 일 예로, 사용자가 직화구이와 같은 형태의 음식물로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수기되게 회전하는 불판부(300)에 가압된 음식물에 열원(H)과 함께 발열체(530)의 열기를 더 보충하여 가열함으로써, 반사판(520)에 의해 반사된 열원(H)으로 조리하는 것보다 더욱 빠르게 직화구이의 형태로 조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캡(600)은 제1불판(310)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불판축(313)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회전부(100)가 회전시에 불판부(300)가 자유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회전방지캡(600)은 외면이 결합공(123) 내부에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상기 결합공(123)의 내면에 걸려 불판부(300)가 결합부재(120)와 자유회전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결합공(123)은 회전방지캡(600)의 외면과 대응하게 사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1)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회전부(100)에 형성된 결합공(123) 내경과 서로 이격되게 삽입되는 불판축(313)을 통해 회전몸체(111)가 회전시 상기 불판부(300)의 하중에 의한 불판축(313)이 결합공(123)과의 자유회전과 더불어 제1불판(310)과 서로 포개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불판(320)에 의해 불판부(300)에 구비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음식물이 구비된 불판부(300)가 구이몸체(410)에 형성된 개방공(410b)을 통해 경사면(412a)에 거치가능하도록 노출되어 상기 구이몸체(410) 외부에서 불판부(300)에 조리가 필요한 음식물의 구비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불판축(313)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방지캡(600)을 통해 회전몸체(111)가 회전시에 불판부(300)가 결합부재(120)와 자유회전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
100: 회전부 110: 회전부재
111: 회전몸체 113: 회전축
115: 치합공 120: 결합부재
121: 결합편 123: 결합공
130: 개폐수단 131: 회전편
133: 탄성부재 140: 길이조절수단
141: 조절편 143: 완충부재
200: 구동수단 210: 제1구동부재
211: 구동편 213: 고정축
215: 삽입공 217: 회전손잡이
220: 제2구동부재 221: 구동모터
223: 구동축 300: 불판부
310: 제1불판 311: 제1망
313: 불판축 315: 무게추
320: 제2불판 321: 제2망
340: 잠금부재 341: 돌기
343: 후크 400: 구이부
410: 구이몸체 411: 플렌지
412: 돌출부 413: 제1가이드홈
415: 제2가이드홈 416: 열원수용함
417: 기름받이함 418: 삽입홈
419: 지지부재 500: 열반사수단
510: 반사몸체 520: 반사판
530: 발열체 600: 회전방지캡
H: 열원

Claims (14)

  1. 전체적으로 상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속이 빈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열원이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개방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회전부가 관통삽입되는 축공 이 천공형성된 함 형상의 구이몸체와,
    상기 구이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함과,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공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상기 구이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함 형상의 기름받이함과,
    상기 구이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열반사수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다수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는 구이부;
    상기 열원에서 제공되는 열기를 반사시켜 그 반사된 열기가 상기 구이부 내부에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열반사수단;
    상기 구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에 상기 개방공과 상기 구이부 내부를 번갈아가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속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구동수단;
    두 분체가 포개져 음식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음식물이 골고루 열원에 의해 조리될 수 있게 하중에 의해 항시 수직을 유지하도록 양측이 상기 회전부와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외면이 상기 회전부와 형상맞춤으로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상기 불판부가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방지캡;을 포함하되,
    상기 구이몸체는
    상부에 서로 대칭되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플렌지;
    일단이 상기 플렌지와 이어지고, 타단에는 상기 불판부가 거치되거나 또는 조리된 음식물을 거치할 수 있는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구이몸체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
    상기 구이몸체 바닥면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수용함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가이드홈; 및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함이 상기 구이몸체 외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열반사수단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수단은
    상기 구이부에 삽입되는 반사몸체; 및
    상기 반사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열원의 열기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수단은
    상기 반사판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을 갖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구이기와 회전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불판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천공형성되며, 서로 이웃하게 상기 회전몸체 외부에 한 쌍으로 결합편이 돌출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내면이 상기 결합공의 내경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편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이 회전시에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어 상기 결합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불판부가 결합한 상기 결합편의 수직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결합편과 대응되게 상기 회전몸체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이 수직방향으로 입/출입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조절편; 및
    상기 결합편에 탄성 복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편이 수직이동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절공에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편의 수직길이가 단계별로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볼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재; 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재 및 상기 제2구동부재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재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회전축과 결합하는 고정축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삽입공이 천공형성된 구동편;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하는 구동축이 돌출형성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부는
    전체적으로 띠 형태를 갖도록 내부에 제1망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회전부와 축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에 상기 불판부가 자유회전 할 수 있도록 불판축이 돌출형성된 제1불판; 및
    전체적으로 띠 형태를 갖도록 상기 제1불판과 회전에 의해 서로 포개지도록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제1망과 함께 음식물을 가압하는 제2망이 형성된 제2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부는
    상기 제1불판과 상기 제2불판 사이에 구비된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1불판 또는 상기 제2불판에 돌출형성된 돌기; 및
    상부가 상기 제1불판 또는 상기 제2불판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가 상기 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KR1020140057839A 2014-05-14 2014-05-14 구이기 KR10157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39A KR101576656B1 (ko) 2014-05-14 2014-05-14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39A KR101576656B1 (ko) 2014-05-14 2014-05-14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89A KR20150130789A (ko) 2015-11-24
KR101576656B1 true KR101576656B1 (ko) 2015-12-21

Family

ID=5484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39A KR101576656B1 (ko) 2014-05-14 2014-05-14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43Y1 (ko) * 2003-03-29 2003-07-04 이영구 육류구이장치
JP2003274841A (ja) * 2002-03-27 2003-09-30 Nichiwa Denki Kk コンベアオーブン
KR200433842Y1 (ko) * 2006-09-14 2006-12-20 박차철 음식물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388U (ko) * 2011-01-17 2012-07-25 김국환 야외 구이기용 꼬지 회전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841A (ja) * 2002-03-27 2003-09-30 Nichiwa Denki Kk コンベアオーブン
KR200318943Y1 (ko) * 2003-03-29 2003-07-04 이영구 육류구이장치
KR200433842Y1 (ko) * 2006-09-14 2006-12-20 박차철 음식물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89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97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KR101464629B1 (ko)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US5590584A (en) Barbecue
JP6467509B2 (ja) 双方向加熱調理器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AU2013231203B2 (en) Cooking appliance
KR20150000697U (ko) 적외선 가열조리기
KR200460018Y1 (ko) 다목적 조리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101576656B1 (ko) 구이기
KR101576657B1 (ko) 자유회전 가능한 불판이 구비된 구이기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200475884Y1 (ko) 이동식 숯불 꼬치 구이기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2183629B1 (ko) 조리용 기름 비산 방지장치
KR101605617B1 (ko) 멀티 전기오븐
KR101610858B1 (ko) 불판
KR101575728B1 (ko) 구이기용 회전장치
US20110239871A1 (en) Toaster with functions of baking breads and cooking foods
KR101856684B1 (ko) 전기 구이기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101786969B1 (ko) 프라이팬 겸용 석쇠
KR200474910Y1 (ko) 회전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