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41B1 -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 Google Patents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141B1
KR101572141B1 KR1020150105194A KR20150105194A KR101572141B1 KR 101572141 B1 KR101572141 B1 KR 101572141B1 KR 1020150105194 A KR1020150105194 A KR 1020150105194A KR 20150105194 A KR20150105194 A KR 20150105194A KR 101572141 B1 KR101572141 B1 KR 10157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slope
projec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빛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474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721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빛과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빛과창
Priority to KR102015010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으로, 차광경사의 경로 특성에 불구하고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의 직조 폭 및 위치 설정에 대한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조방법을 제시하여 우수한 차광효율을 가진 삼중구조블라인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사이에 여러 개의 차광막이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는 블라인드원단을 직조함에 있어, 투광표면의 직조에 전용되는 표면경사로 투광표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고, 투광이면의 직조에 전용되는 이면경사로 투광이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며, 차광막들의 직조에 전용되는 4개 이상의 각 차광경사로 차광경사 개수만큼의 차광막들을 직조하도록 하되, 각 차광경사가 이면연결부, 차광막, 그리고 표면연결부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하여 각 연결부의 위사와 직조되도록 하고, 상기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표면과 투광이면을 순차 통과시키면서 각 차광경사 순위의 숫자에 차광경사 개수의 숫자를 계속 더한 순번의 차기 차광막들을 연속 직조하도록 하되, 차광경사의 통과 지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차광막을 띄어 넘는 지점으로 하여 차광경사가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한 블라인드원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weaving method of the triple structure fabric blinds and fabric blinds}
본 발명은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그리고 차광막을 분리한 상태로 직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의 직조위치와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에 따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이하 '삼중원단'이라 함)이라 함은 경사와 위사의 교차로 직조되는 것으로,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사이에 여러 개의 차광막이 삼중원단의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는 것이다.
위 삼중원단은 직조 후 입체형상으로 발현된 후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상단을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지지대 내의 봉에 연결하고,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하단에 중량체를 장착하면 창문 등을 완전 또는 일부 개폐하는 롤 스크린 형태의 블라인드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완전 개폐는 삼중원단을 봉에 감거나 혹은 창문 등 전면에 전개함으로써 달성되고, 일부 개폐는 삼중원단이 창문 등의 전면에 전개되었을 때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중 어느 하나를 들어올려 차광막이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대하여 직각방향이 되도록 하거나(측면형상이 사다리형태로 하거나) 또는 들어 올려진 어느 하나의 투광표면 또는 투광이면을 내려 차광막이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전부를 가리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삼중원단에 대한 직조방법이 현재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는데, 대부분 직조 시 투광표면, 투광이면, 그리고 차광막을 연결경사를 이용하여 포개어지는 형태로 일체화하고, 직조 후 연결경사를 절단하여 투광표면과 투광이면이 서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입체형상 삼중원단이 되도록 한다.
통상적인 삼중원단의 직조방법은,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그리고 차광막을 각자의 경사와 위사로 직조하되, 투광표면에는 표면연결부를, 투광이면에는 이면연결부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광막의 양끝은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에 직조한다. 위와 같이 직조할 때 연결경사를 이면연결부, 표면연결부, 차광막을 순차적으로 경유시키면서 각 연결부 및 차광막의 위사와 직조 되도록 하여 투광표면, 차광막, 투광이면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일체화되도록 한다(이하 '선행직조방법 1'이라 함). 이 경우 연결경사는 이면연결부 최하단에서 표면연결부 최상단으로 건너가는 형태가 된다.
그러나 선행직조방법 1은 연결경사의 경로 특성(하 방향 진행은 가능하지만 상 방향 진행은 불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면결부 최하단과 표면연결부 최상단을 수평으로 위치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즉, 이면결부 최하단과 표면연결부 최상단을 포개어지게 할 수 없으므로 삼중원단을 블라인드로 사용할 때 이면결부 최하단과 표면연결부 최상단 간에는 틈이 생성되게 되고, 이 틈은 차광의 완벽한 차광을 이룰 수 없도록 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위 설명에서 '수평으로 위치'라는 기재의 의미는 투광표면을 정면에 위치시켜 보았을 때 전방의 표면연결부 최상단과 후방의 이면연결부 최하단이 일 직선상에 놓이는 상태이며, 또 '포개어지게'라는 기재의 의미는 후방의 이면연결부 최하단이 표면연결부 최상단 아래에 놓이는 상태이다.
한편, 선행직조방법 1을 통하여 직조한 삼중원단을 입체형상 블라인드로 발현할 때에는 표면연결부 또는 이면연결부에 배치된 절단위사를 제거하면서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 사이를 경유하는 연결경사가 절단되도록 한다. 그런데 위 발현방법은 표면연결부 또는 이면연결부에 제거된 절단위사 굵기 만큼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외관이 좋지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15579호와 같이 차광막을 경유/직조되는 연결경사를 표면연결부 또는 이면연결부에 직조하면서 표면연결부 또는 이면연결부에 직조하지 않고 통과시켜 투광표면 또는 투광이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이하 '선행직조방법 2'라 함), 노출된 연결경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입체형상 블라인드로 발현되도록 하는 삼중원단도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위 선행직조방법 2 역시 선행직조방법 1에서 제기되는 문제(이면연결부 최하단과 표면연결부 최상단을 포갤 수 없는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선행직조방법 1 및 선행직조방법 2는 경사 경로의 특성으로 인해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의 직조 폭 및 직조 위치에 대한 융통성이 전혀 없어 차광의 완벽함을 도모할 수 없고, 또 그 직조방법 하에서는 근본적으로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KR 등록특허 제0815579호 KR 등록특허 제0699769호 KR 등록특허 제0893364호 KR 등록특허 제1289089호
본 발명은 선행직조방법 1,2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삼중원단을 입체형상 블라인드로 발현시켜 사용할 때 차광의 완벽함을 이룰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 경로의 특성은 유지시키면서도 직조의 융통성은 발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삼중구조 원단 직조방법은, 여러 개의 표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표면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상기 투광표면과 마주보고 여러 개의 이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이면과; 상기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되, 상기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에 양끝이 연결되는 차광막들로 구성되는 삼중원단을 직조함에 있어, 투광표면의 직조에 전용되는 표면경사로 투광표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고, 투광이면의 직조에 전용되는 이면경사로 투광이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며, 차광막들의 직조에 전용되는 4개 이상의 각 차광경사로 차광경사 개수만큼의 차광막들을 직조하도록 하되, 각 차광경사가 이면연결부, 차광막, 그리고 표면연결부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하여 각 연결부의 위사와 직조되도록 하고, 상기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표면과 투광이면을 순차 통과시키면서 각 차광경사 순위의 숫자에 차광경사 개수의 숫자를 계속 더한 순번의 차기 차광막들을 연속 직조하도록 하되, 차광경사의 통과 지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차광막을 띄어 넘는 지점으로 하여 차광경사가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차광막으로 구현되는 삼중원단 구간에서 각 차광막을 각각의 차광경사로 직조하므로 각 차광경사는 자신이 직조하는 차광막 양단이 연결되는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 직조에만 관여하고, 직 하부의 차기 표면연결부 및 차기 이면연결부 직조에는 관여하지 않으므로 각 연결부의 직조 폭과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표면연결부의 최상단과 이면연결부의 최하단이 포개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광경사를 이면연결부, 차광막, 표면연결부를 순차 경유시키더라도(경사 경로의 특성에 불구하고)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의 직조에 대한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광효율이 우수한 고 품질의 삼중구조 블라인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각 경사들의 경로를 중점으로 하여 표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 역시 각 경사들의 경로를 중점으로 하여 표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조방법으로 직조하여 입체형상으로 발현하기 전 입체예시도로서, 투광이면 방향에서 본 일측 부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조방법으로 직조한 후 입체형상으로 발현한 블라인드원단 입체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직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직조방법은, 투광표면과 상기 투광표면과 마주보는 투광이면 사이에 여러 개의 차광막을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 배열하는 삼중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나, 통상적인 직조방법 즉, 여러 개의 표면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표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고, 여러 개의 이면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이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며, 일단은 상기 표면연결부 상단에, 타 단은 상기 이면결부 하단에 직조/연결되는 차광막을 직조하는 통상적인 직조방법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위 방법에 의해 직조된 삼중원단은 여러 개의 표면연결부를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직조한 투광표면과; 상기 투광표면과 마주보고 여러 개의 이면연결부를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직조한 투광이면과; 상기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사이에 게재되어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배열되고 일단은 표면연결부 상단에, 하단은 이면연결부 하단에 직조되는 여러 개의 차광막으로 구성된다. 위 설명에서 직조는 경사와 위사가 교차되는 것이므로 아래부터 기재되는 모든 ‘직조’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위 직조방법을 바탕에 따른 본 발명은, 표면경사, 이면경사, 그리고 4개 이상의 차광경사를 준비하여 표면경사는 투광표면의 직조에만, 이면경사는 투광이면의 직조에만, 차광경사들은 차광막들의 직조에만 관여하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차광경사는 하나의 차광막을 직조하므로 차광경사 개수만큼의 차광막들이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사이에 구현되고, 이를 구현하는 차광경사들은 각각 투광이면의 이면연결부, 차광막, 그리고 투광표면의 표면연결부를 차례로 경유하여 각 연결부에 직조된다.
이렇게 차광경사 개수만큼의 차광막들을 직조한 후에는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표면과 투광이면을 순차 통과시키고, 이어서 각 차광경사 순위의 숫자에 차광경사 개수의 숫자를 더한 순번의 차기 차광막을 연속 직조하도록 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예컨대, 4개의 차광경사를 준비한 다음 제1 내지 제4차광경사로 순번을 부여하고, 위 차광경사들에 의해 직조되는 차광막들을 제1 내지 제4차광막으로 순번을 부여할 경우 제1차광경사는 자신의 순번 1에 차광경사 개수 4를 더한 5번째, 9번째, 13번째....의 차광막을, 제2차광경사는 6번째, 10번째, 14번째....의 차광막을, 제3차광경사는 7번째, 11번째, 15번째.....의 차광막을, 제4차광경사는 8번째, 12번째, 16번째....의 차광막을 직조하므로 4개의 차양경사로 차광막을 개수의 제한 없이 연속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표면과 투광이면을 순차 통과시킬 때 각 차광경사들의 통과 지점을 한 개 이상의 차광막을 띄어 넘는 위치의 지점으로 하여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외부로 직조되지 않는 차광경사들이 표출(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각 차광경사의 통과 지점은 삼중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직조하였을 때 자신이 직조한 차광막을 제외한 3번째 차광막 상단이 될 것이고, 차광경사들의 통과지점은 두 개 이상의 차광막을 띄어 넘는 위치가 이상적이다.
이와 같은 직조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 1은, 표면경사(50), 이면경사(60) 그리고 제1 내지 제4차광경사(71 내지 74)를 준비한다.
준비된 위 경사들을 직조기에 투입하여 표면경사(50)로는 투광표면(10)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고, 이면경사(60)로는 투광이면(20)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고, 차광경사들 중 제1차광경사(71)로는 제1차광막(31)을 직조하도록 한 다음 제5차광막(35)을 직조하도록 하며, 제2차광경사(72)로는 제2차광막(32)을 직조하도록 한 후 제6차광(36)막을 직조하도록 하고, 제3차광경사(73)로는 제3차광막(33)을 직조하도록 한 다음 제7차광막(37)을 직조하도록 하며, 제4차광경사(74)로는 제4차광막(34)을 직조하도록 한 후 제8차광막(38)을 직조하도록 한다. 이때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이면(20)의 이면연결부(21)와 투광표면(10)의 표면연결부(11)를 연속 경유시켜 각 차광막 양단이 위 연결부에 직조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차광경사(71)(72)를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후 제4차광막(34) 및 제8차광막(38)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그 과정에서 제1차광경사(71)는 제5차광막(35)을, 제2차광경사(72)는 제6차광막(36)을 직조하도록 하며, 위 제3 및 제4차광경사(73)(74)는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다음 제6차광막(36)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제3차광경사(73)는 제7차광막(37)을, 제4차광경사(74)는 제8차광막(38)을 직조하도록 하여 차광막 8개(31 내지 38))가 한 조로 되는 삼중원단 구간(G)을 직조하도록 한다.
이렇게 차광경사들의 경로를 이용하여 하나의 삼중원단 구간(G)을 직조할 때 차광경사들을 계속 연속시키면서 위 경로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면 위 삼중원단 구간(G)을 연속시킬 수 있어 삼중원단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2는, 표면경사(50), 이면경사(60) 그리고 제1 내지 제6차광경사(71 내지 76)를 준비한다.
준비된 위 경사들을 직조기에 투입하여 표면경사(50)로는 투광표면(10)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고, 이면경사(60)로는 길이의 제한 없이 투광이면(20)을 직조하고, 차광경사들 중 제1차광경사(71)로는 제1차광막(31)을 직조하도록 한 다음 제7차광막(37)을 직조하도록 하며, 제2차광경사(72)로는 제2차광막(32)을 직조하도록 한 후 제8차광막(38)을 직조하도록 하고, 제3차광경사(73)로는 제3차광막(33)을 직조하도록 한 다음 제9차광막(39)을 직조하도록 하며, 제4차광경사(74)로는 제4차광막(34)을 직조하도록 한 후 제10차광막(40)을 직조하도록 하도록 하고, 제5차광경사(75)로는 제5차광막(35)을 직조하도록 한 후 제11차광막(41)을 직조하도록 하며, 제6차광경사(76)로는 제6차광막(36)을 직조하도록 한 다음 제12차광막(42)을 직조하도록 한다. 이때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이면(20)의 이면연결부(21)와 투광표면(10)의 표면연결부(11)를 연속 경유시켜 각 차광막 양단이 위 연결부(11)(21)에 직조되도록 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어서, 제1 및 제2차광경사(71)(72)는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후 제5차광막(35) 및 제11차광막(41)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그 과정에서 제1차광경사(71)는 제7차광막(37)을, 제2차광경사(72)는 제8차광막(38)을 직조하도록 하며, 위 제3 및 제4차광경사(73)(74)를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다음 제7차광막(37)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제3차광경사(73)는 제9차광막(39)을, 제4차광경사(74)는 제10차광막(40)을 직조하도록 하고, 위 제5 및 제6차광경사(75)(76)를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다음 제9차광막(39)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제5차광경사(75)는 제11차광막(41)을, 제4차광경사(74)는 제12차광막(42)을 직조하도록 하여 차광막 12개(31 내지 42)가 한 조로 되는 삼중원단 구간(G1)을 직조하도록 한다.
위 실시 예 2 역시 이렇게 차광경사들의 경로를 이용하여 하나의 삼중원단 구간(G1)을 직조할 때 차광경사들을 계속 연속시키면서 위 경로를 반복적으로 진행하면 위 삼중원단 구간(G1)을 연속시킬 수 있어 삼중원단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직조방법과 그 방법에 따른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를 실현하여 삼중원단을 직조하면,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 외부(표면)로 차광경사(71 내지 76)들이 표출(노출)된다. 이러한 원단을 직조한 후에는 투광표면(10)으로 표출된 차광경사 또는 투광이면(20)으로 표출된 차광경사 중 어느 한쪽의 표출 차광경사를 제거하면 실질적으로 블라인드로 사용할 수 있는 입체적 형상을 가진 원단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 사이에 위치한 차광경사는 어느 한쪽의 표출 차광경사를 제거함으로써 투광표면(10) 또는 투광이면(20)에서 자연스럽게 빠지는 차광경사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본 발명은 삼중원단 구간(G)(G1)을 구현하는 각 차광막을 각각의 차광경사로 직조하므로 즉, 각 차광경사는 자신이 직조하는 차광막 양단이 연결되는 표면연결부(11) 및 이면연결부(21) 직조에만 관여하고, 직 하부의 차기 표면연결부 및 차기 이면연결부 직조에는 관여하지 않으므로 투광표면(10)의 표면연결부(11) 및 투광이면(20)의 이면연결부(21)의 폭을 각기 임의조절할 수 있으므로 삼중원단을 입체적으로 발현시켜 블라인드로 사용할 때 표면연결부(11) 최상단과 이면연결부(21) 최하단의 포개질 수 있어 완벽한 차광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직조하면 투광표면과 투광이면 사이에 여러 개의 차광막이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는 블라인드원단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투광표면을 투광이면으로, 투광이면을 투광표면으로 변경표기한 후 차양경사들의 경로를 위 변경에 따른다하더라도 여전히 본 발명에서 향유하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표면경사(50), 이면경사(60) 차광경사(71 내지 76)들은 직조의 원리에 비추어 원단의 폭 방향으로 연속 반복됨이 당연하고, 그 연속 반복은 원단의 직조 폭을 결정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장하여 도시한 부분이 있음을 밝힌다.
10 : 투광표면 11 : 표면연결부
20 : 투광이면 21 : 이면연결부
31 내지 42 : 차광막 50 : 표면경사
60 : 이면경사 71 내지 76 : 제1차광경사 내지 제6차광경사
G, G1 : 삼중원단 구간

Claims (4)

  1. 여러 개의 표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표면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상기 투광표면과 마주보고 여러 개의 이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이면과; 상기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되, 상기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에 양끝이 연결되는 차광막들로 구성되는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을 직조함에 있어,
    투광표면의 직조에 전용되는 표면경사로 투광표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고,
    투광이면의 직조에 전용되는 이면경사로 투광이면을 길이의 제한 없이 직조하도록 하며,
    차광막들의 직조에 전용되는 4개 이상의 각 차광경사로 차광경사 개수만큼의 차광막들을 직조하도록 하되, 각 차광경사가 이면연결부, 차광막, 그리고 표면연결부를 차례로 경유하도록 하여 각 연결부의 위사와 직조되도록 하고,
    상기 각 차광경사들을 투광표면과 투광이면을 순차 통과시키면서 각 차광경사 순위의 숫자에 차광경사 개수의 숫자를 계속 더한 순번의 차기 차광막들을 연속 직조하도록 하되, 차광경사의 통과 지점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차광막을 띄어 넘는 지점으로 하여 차광경사가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2. 여러 개의 표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표면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상기 투광표면과 마주보고 여러 개의 이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이면과; 상기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되, 상기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에 양끝이 연결되는 차광막들로 구성되는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을 직조함에 있어,
    표면경사(50), 이면경사(60) 그리고 제1 내지 제4차광경사(71)(72)(73)(74)를 준비하여 표면경사(50)는 투광표면(10)을, 이면경사(60)는 투광이면(20)을, 제1차광경사(71)는 제1차광막(31)을, 제2차광경사(72)는 제2차광막(32)을, 제3차광경사(73)는 제3차광막(33)을, 제4차광경사(74)는 제4차광막(34)을 각 직조하도록 하되, 각 차광경사들(71)(72)(73)(74)을 투광이면(20)의 이면연결부(21)와 투광표면(10)의 표면연결부(11)를 연속 경유시켜 각 차광막(31)(32)(33)(34)(35)(36)(37)(38)들 양단이 위 각 연결부(11)(21)에 각 직조되도록 하고,
    그 후 제1 및 제2차광경사(71)(72)를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후 제4차광막(34) 및 제8차광막(38)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제1차광경사(71)는 제5차광막(35)을, 제2차광경사(72)는 제6차광막(36)을 직조하도록 하고, 위 제3 및 제4차광경사(73)(74)는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후 제6차광막(36)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제3차광경사(73)는 제7차광막(37)을, 제4차광경사(74)는 제8차광막(38)을 직조하도록 하여 차광막 8개(31)(32)(33)(34)(35)(36)(37)(38)가 한 조로 되는 삼중원단 구간(G)을 구현하고, 계속 차광경사(31)(32)(33)(34)들을 위 경로와 동일하게 연속 반복시켜 위 삼중원단 구간(G))이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 직조하도록 함으로써 투광표면(10) 및 투광이면(20) 외부로 직조되지 않는 차광경사들이 표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3. 여러 개의 표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표면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상기 투광표면과 마주보고 여러 개의 이면연결부가 등 간격 형성되는 투광이면과; 상기 투광표면 및 투광이면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등 간격 구성되되, 상기 표면연결부 및 이면연결부에 양끝이 연결되는 차광막들로 구성되는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을 직조함에 있어,
    표면경사(50), 이면경사(60) 그리고 제1 내지 제6차광경사(71)(72)(73)(74)(75)(76)를 준비하여 표면경사(50)는 투광표면(10)을, 이면경사(60)는 투광이면(20)을, 제1 차광경사(71)는 제1차광막(31)을, 제2차광경사(72)는 제2차광막(32)을, 제3차광경사(73)는 제3차광막(33)을, 제4차광경사(74)는 제4차광막(34)을, 제5차광경사(75)는 제5차광막(35)을, 제6차광경사(76)는 제6차광막(36)을 각 직조하도록 하되, 각 차광경사들(71)(72)(73)(74)(75)(76)을 투광이면(20)의 이면연결부(21)와 투광표면(10)의 표면연결부(11)를 연속 경유시켜 각 차광막(71)(72)(73)(74)(75)(76)들 양단이 위 각 연결부(11)(21)에 각 직조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차광경사(71)(72)를 각 표면연결부(11)에서 돌출시킨 후 제5차광막(35) 및 제11차광막(41)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순차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제1차광경사(71)는 제5차광막(35)을, 제2차광경사(72)는 제8차광막(38)을 직조하도록 하고,
    위 제3 및 제4차광경사(73)(74)는 각 표면연결부에(11)서 돌출시킨 후 제7차광막(37)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제3차광경사(73)는 제9차광막(39)을, 제4차광경사(74)는 제10차광막(40)을 직조하도록 하며,
    위 제5 및 제6차광경사(75)(76)는 각 표면연결부에(11)서 돌출시킨 후 제9차광막(39) 상단의 투광표면(10)과 투광이면(20)을 통과시켜 제5차광경사(75)는 제11차광막(41)을, 제4차광경사(74)는 제12차광막(42)을 직조하도록 하여
    차광막 12개(31)(32)(33)(34)(35)(36)(37)(38)(39)(40)(41)(42)가 한 조로 되는 삼중원단 구간(G1)을 구현하고, 계속 차광경사((71)(72)(73)(74)(75)(76)들을 위 경로와 동일하게 연속 반복시켜 위 삼중원단 구간(G1)이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 직조하도록 함으로써 투광표면(10) 및 투광이면(20) 외부로 직조되지 않는 차광경사들이 표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의 방법에 의해 직조한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KR1020150105194A 2015-07-24 2015-07-24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KR10157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194A KR101572141B1 (ko) 2015-07-24 2015-07-24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194A KR101572141B1 (ko) 2015-07-24 2015-07-24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141B1 true KR101572141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194A KR101572141B1 (ko) 2015-07-24 2015-07-24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1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97B1 (ko) 2016-03-18 2017-10-11 신장희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966007B1 (ko) 2018-04-12 2019-04-04 주식회사 성현섬유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KR20200074892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빛과창 다중구조 블라인드 원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2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2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97B1 (ko) 2016-03-18 2017-10-11 신장희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966007B1 (ko) 2018-04-12 2019-04-04 주식회사 성현섬유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KR20200074892A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빛과창 다중구조 블라인드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171B1 (ko) 입체형상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2141B1 (ko)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0991820B1 (ko)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KR101908622B1 (ko) 차광기능을 향상시킨 고밀도 이중직물 및 그 제직방법
WO2009131351A2 (ko)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KR101257305B1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908979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KR100991330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20100030642A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및 그 고정 구조가 적용된 블라인드
KR101137485B1 (ko) 차광부와 채광부로 구성된 블라인드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37347B1 (ko)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KR101924452B1 (ko)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US2021993A (en) Woven fabric
KR20100061638A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CN209003502U (zh) 能消除摩尔纹的光线可调窗帘布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KR101170021B1 (ko) 블라인드 커튼지
KR101156515B1 (ko) 콤비커튼용 원단 및 그 직조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커튼지
KR20210082463A (ko)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157789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20180043593A (ko) 콤비 블라인드 원단
KR101363745B1 (ko) 밀도가 다른 투시창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직방법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65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601

Effective date: 2018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898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130

Effective date: 201909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000013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011

Effective date: 201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