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572B1 -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572B1
KR100815572B1 KR1020070043786A KR20070043786A KR100815572B1 KR 100815572 B1 KR100815572 B1 KR 100815572B1 KR 1020070043786 A KR1020070043786 A KR 1020070043786A KR 20070043786 A KR20070043786 A KR 20070043786A KR 100815572 B1 KR100815572 B1 KR 10081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slope
intermediate layer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후성
유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4112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155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표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와, 표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직조된 표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면층과; 기본적으로 이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이면부와, 이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 이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직조된 이면층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만으로 직조되어 상기 표면접결부 및 이면접결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연결된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면부 및 표면부의 표면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가 위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경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입체직물, 다층직물, 연결사

Description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3D Fabric and Prepar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사진행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종광번호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전모 후의 단면 개념도.
도 5a 및 5b는 도 1의 실시예에에 의한 직물의 제직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7은 본 발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직물의 입체형상 발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사진행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의한 직물의 연결경사의 제거 상태도.
도 10은 도 8에 의한 직물의 표면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2a 및 12b는 종래기술에 의한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표면층 110 : 표면 접결부
120 : 표면부 200 : 이면층
210 : 이면 접결부 220 : 이면부
300 : 중간층 310,320 : 제1, 제2중간층
400 : 돌출부
본 발명은 3차원적 입체형상 발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규한 제직방법에 의해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제직이 가능하며 평면형상과 3차원 입체형상간의 형상변화가 가능한 특히 블라인드용으로 응용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이라 함은 어떤 원료로부터 제조되어 제직(weaving), 편성(knitting), 프레이팅(plaiting) 또는 브레이딩(braiding)의 방법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섬유의 교차(interlock)방법에 의해 펠트(felt) 직물이 만들어진다. 직물의 기본적인 표준 종류는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로 구분될 수 있다.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이란 수직 방향의 경사와 수평 방향의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interlace)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내의(under wear)와 외의(outer wear)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직물이며 대부분 사용된다. 한편 편성물(knitted)은 1계통의 실이 편환(loop)을 만들고 이들 편환이 전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조합하여 편성을 구성한다. 편성물은 신속하게 제편되며, 착용하면 축 늘어지고 탄력성이 있다. 또한 펠트(felt)라 함은 1단의 섬유를 열, 습기, 압력, 타격에 의해 교차(interlock)케 하여 펠트를 구성하며, 실은 여기에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이트(plaited), 브레이드(braid), 레이스(lace)는 여러 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주행하며, 1계통의 실이 교차하여 요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부직포(nonwoven)는 접착 재료의 응용, 또는 표면의 화학작용을 통한 부착 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의 열에 의해 섬유의 웹(web) 또는 시트(sheet)가 서로 부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또한 접착직물(laminated)은 1장 또는 2장의 직물에 폼(foam)을 접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푹신푹신한 촉감과 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몰드직물(molded)은 몰드 면적은 이것이 추출되었던 원평면보다도 그 표면이 크다. 몰드 제품(의류)은 푹신하거나 또는 파일(pile) 형태로 또는 편평하게 되어 있다. 이 제품은 착용감이 좋고 신체의 기능에도 잘 맞으며, 그 모양이 잘 변하지 않는다.
직물은 2차원적 입체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측면을 활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나 기타 접합법에 의해 3차원적 입체형상을 구현하다.
이를 응용한 산업용 부분에서 미국특허 제3,384,519호에서는 원단(85,85)을 이중으로 형성시킨 후 가운데에 이동형 블래이드(87)를 형성시킨 후 상기 원단과 블래이드를 접합이나 본딩으로 접착시켜서 사용하는 블라인드가 제안되었다. (도 12a 참조) 상기 방법은 블래이드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메시형 직물을 통해 빛이 내부로 들어오고, 다시 블래이드가 수직으로 이동할 경우 빛을 차단하여 결국 광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직물의 부드러움과 메시구조를 통하여 차양을 제어하는 장점은 있으나 블래이드와 직물이 점착제 내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이유로 실내환경오염원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외선에 의한 점착제의 물성저하로 접합상태가 저하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699769호에서는 롤 스크린 및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경사 및 위사의 연결 수단에 의해 하나의 원단으로 재직하되, 상기 블라인드는 통풍과 빛 조절용 전면 망사형 커튼지(12) 및 후면 망사형 커튼지(13)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 커튼지(14)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전면 망사형 커튼지(12), 후면 망사형 커튼지(13), 차광 커튼지(14)는 전방 연결 매듭(15) 및 후방 연결 매듭(16)과 함께 재직되는 재직 연결 위사(1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라인드와 상기 원단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의 재직 연결 위사(17)는 경사와 일체로 직조되어 결합되면서 차광 커튼지(14)와, 전면 망사형커튼지(12)와, 후방 망사형 커튼지(13)를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과; 상기 재직 연결 위사(17)는 후방 연결 매듭(16)에서 만들어진 후, 전방 연결 매듭(16)에 형성되는 요부홈(18)을 통과하면서 재직되는 수단과; 상기 전방 연결 매듭(12)과 일체로 결합되는 재직연결 위사(17)의 끝 부분은 다시 후방 연결 매듭(13)의 경사와 반복적으로 재직되면서 수 개의 연결 매듭을 형성하는 수단;을 통하여 상기 차광 커튼지를 전면 망사형 커튼지와 후면 망사형 커튼지 사이에 재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다층직물로서 전방 망사형 커튼지와 후면 망사형 커튼지가 결국 위사로 모두 연결되기 때문에 위사를 제거하지 않는다면 3차원적 입체형상발현을 실현시킬 수 없고, 더욱이 전방연결매듭(15)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전면 망사형 커튼지(12), 차광 커튼지(14) 및 위사(17)가, 후방연결매듭(13)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후면 망사형 커튼지(12), 차광커튼지(14) 및 위사(1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지 전면 망사형 커튼지(12), 후면 망사형 커튼지(13), 차광 커튼지(14)는 전방 연결 매듭(15) 및 후방 연결 매듭(16) 모두가 함께 재직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특허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제직의 기본이론에 어긋나는 것이다. 제직이라 함은 직기를 사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직물을 짜는 것이다. 제직을 함에 있어서는 정경기에 경사를 감고 이를 통경한 후 직기에서 상기 경사를 상하로 이동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이 사이를 위사가 입출하여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된 형태인 직물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특허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위사가 상하운동(개구운동)을 하여야 하는데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제직방법이어서 불완전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물만으로 3차원적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적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로서 입체형상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 또는 심색성이 변화할 수 있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섬도사로서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형상의 변화에 따라 차광제어가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용도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블라인드로서 사용가능 하도록 직물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형태안정성이 유지되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표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와, 표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직조된 표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면층과; 기본적으로 이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이면부와, 이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 이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직조된 이면층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만으로 직조되어 상기 표면접결부 및 이면접결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연결된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면부 및 표면부의 표면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가 위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경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의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이 표면접결부와 연결되되, 상기 표면접결부의 동일 수직상에 존재하는 이면접결부의 다음 순차의 이면접결부에 연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경사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고,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중간층을 형성하고, 이 후 이면경사와 함께 직조되어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면부가 제1중간층(310)의 경사가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고 상기 이면부 영역에서는 이면경사만이 관여하여 직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중간층의 연결경사가 제2이면 접결부와 제3이면 접결부 사이의 이면부 임의의 지점에서 제2표면 접결부 및 제3표면 접결부 사이의 표면부으로 상승하여 제3 표면 접결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위사와 교차없이 제직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표면 접결부와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이면층에서 제 1이면 접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이면 접결부는 이면경사와 제2중간층의 경사로 형성되고, 이 후 이면부는 이면경사만으로 직조되고,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중간경사가 제1이면 접결부와 제2이면 접결부 사이의 이면부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으로 이동하여 제1표면 접결부 및 제2표면 접결부 사이의 임의의 표면부에서 제2표면 접결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표면 접결부를 형성한 제2중간층의 경사가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직조되고 다시 이면경사와 함께 제3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사가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으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가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이 15:85 내지 50:50 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기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로서 더 처리하여 이루어진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 처리가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이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보다 직물의 밀도가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0.2 내지 2mm의 간격으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표면경사와 중간경사가 종광에 따라 개구운동을 하여 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는 표면접결형성단계; 이 후 이면경사와 중간경사가 개구운동을 하여 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는 이면접결형성단계; 상기 접결부가 모두 형성되면, 표면경사만이 관여하여 표면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는 표면부형성단계;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중간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는 제1중간층형성단계; 이면층에서는 이면 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를 직조하는 이면부형성단계; 상기 이면접결부를 형성한 중간경사가 이 후 이면부에서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되 다음 이면접결부가 시작되기 전 이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가 미리 설계된 길이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이면층 및 표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이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접결형성단계는 표면경사와 제1중간경사가 종광에 따라 개구운동을 하여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도록 위사와 교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면접결형성단계가 이면경사와 제2중간경사가 개구운동을 하여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도록 위사와 교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형성단계가 제1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중간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는 제1중간층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접결형성단계가 제2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중간경사와 표면경사로 직조되는 제2표면 접결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면접결형성단계가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중간경사 및 이면경사로 직조되는 제2이면접결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경사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하여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고,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표면 접결부와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이면층에서는 제1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면 접결부는 이면경사와 제2중간층의 경사로 형성되고,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어 이 영역에서는 이면층의 경사만으로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다가 상기 이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으로 상승하는 단계; 상기 제2중간층의 연결경사는 제1표면 접결부 및 제2표면 접결부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면부로부터 상승하여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다가 제2이면 접결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표면층의 제2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표면경사와 함께 직조하고 이후 제2중간경사만으로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중간층을 형성한 경사는 이면층을 형성하는 경사와 함께 직조하여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중간층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고 다음 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는 영역까지 이면경사만이 관여하여 이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면층 및 표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광번호로서, 표면층(100)의 경사를 1/3, 이면층(200)의 경사를 2/4, 제1중간층(310)의 경사를 5/7, 제2중간층(320)의 경사를 6/8라 할 때, 표면부(120) 및 이면부(220)는 기본적으로 각각 1/3, 2/4로 직조되고, 표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111, 115)는 1/3/5/7로, 제2접결부(113)는 1/3/6/8로 직조되고, 이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211, 315)는 2/4/6/8로, 제2접결부(213)는 2/4/5/7로 직조되고, 제1 및 제2중간층은 각각 5/7과 6/8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사가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으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가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이 15:85 내지 50:50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모단계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처리단계가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0.2 내지 2mm의 간격으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물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을 이용한 의류 또는 산업용 소재 또는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다.
본 명세서서 "직물"이라 함은 협의의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 모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을 예로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설명함에서 있어서 경사와 위사가 모두 교차하여 직조됨은 당연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경사만 직조된다'는 표현은 당연히 위사와 교차됨을 의미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위사와 교차되지 않는다는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경사의 진행으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3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는 도 1과 같이 제직되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표면층(100)과 이면층(200)을 이격시켜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표면층(100), 이면층(200), 상기 표면층(100)과 이면층(200)을 연결하는 중간층(300)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100)은 표면접결부(110)와 표면부(120)가, 이면층(200)에는 이면접결부(220)와 이면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부(120) 및 이면부(220)는 각각 표면층 및 이면경사(이하 '표면경사' 및 '이면경사'라 함)만으로 제직되고, 또 표면접결부(110) 및 이면접결부(210)는 상기 표면경사와 이면경사 및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층(300)은 서로 다른 경사로 이루어진 제1중간층(310)과 제2중 간층(320)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하 '제1중간경사' 및 '제2중간경사'라 함)
기본적으로 표면부(120)와 이면부(220)는 다른 경사의 관여없이 독립된 경사(표면경사 및 이면경사)로서 제직된다. 도 2에 도시된 A 구간부터 각각의 경사가 관여하는 층을 중심으로 제직의 원리를 설명하면, 표면경사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제1중간경사)가 함께 직조되고 제1표면 접결부(111)를 형성한다. 이후 제1중간경사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중간층(300) 중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고 나면, 이면경사와 함께 직조되어 이면층(200)에 제2이면 접결부(213)를 형성한다. 이 후 제1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며 상기 영역(B 구간의 이면부)에서 이면경사만이 관여하여 이면부(220)를 형성한다. 이 후 제3표면 접결부(115)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상기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제1중간경사(연결경사, 311)는 제3이면 접결부(215)의 시작점과 제3표면 접결부(115)를 서로 연결하고 이 후 표면경사와 함께 제3표면 접결부(115)를 형성한다. 이 후 과정은 제1표면 접결부(111)를 형성한 후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1표면 접결부(111)와 서로 다른 층에 동일한 위치에서, 이면층(200)에서는 제1이면 접결부(211)가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이면층(200)은 이면경사만으로 제직되는바 이는 표면층과 동일하다. 상기 제1이면 접결부(211)는 이면경사와 제2중간경사로 형성된다. 이후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며 이 영역에서는 이면경사만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220)를 형성한다.(A 구간) 이 후 상기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된 제2중간경사(연결경사, 321)는 제2이면 접결부(213)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표면층(100)의 제2표면 접결부(113)를 형성하기 위해 표면경 사와 함께 직조된다. 이 때 연결경사(321)는 제2표면 접결부(113)와 제2이면 접결부(221332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표면 접결부(113)와 제2이면 접결부(213)는 서로 다른 층에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직조될 수 있다. 제2표면 접결부(113)를 형성한 제2중간경사는 중간층(여기서는 B영역의 제2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중간경사만으로 직조되고 다시 이면경사와 함께 제3이면 접결부(215)를 형성한다. 이 후 제직은 A 영역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3은 종광번호로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단순화한 것으로, 표면경사를 1/3, 이면경사를 2/4, 제1중간경사를 5/7, 제2중간경사를 6/8라 할 때, 표면부(120) 및 이면부(220)는 기본적으로 각각 1/3, 2/4로 직조되고, 표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111, 115)는 1/3/5/7로, 제2접결부(113)는 1/3/6/8로 직조된다. 이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211, 215)는 2/4/6/8로, 제2접결부(213)는 2/4/5/7로 직조된다. 또한 제1중간층(310) 및 제2중간층(320)은 각각 5/7과 6/8로 직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을 실제 제직의 순서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A 구간의 제1표면 접결부(111)부터 시작된다. 즉 표면경사와 제1중간경사가 상기 종광에 따라 개구운동을 하여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1회 교차한다.(제1표면접결형성단계) 이 후 이면경사와 제2중간경사가 개구운동을 하여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한다.(제1이면접결형성단계) 상기 제1표면접결형성단계와 제1이면접결형성단계는 미리 설계된 접결부의 길이(예를 들면 1cm)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각각의 접결부를 모두 직조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접결부(111, 211)가 모두 형성되면, 표면경사만이 관여하여 A 구간의 표면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고(표면부형성단계), 제1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중간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한다.(제1중간층형성단계) 또한 이면층에서는 이면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220)를 직조하기 시작한다.(이면부형성단계) 상기 표면부형성-제1중간층형성-이면부형성이 순서가 순차반복적으로 계속되면서 미리 설계된 길이만큼 각각의 제2접결부의 직전까지 계속된다.
이후 B 구간을 설명하면 A 구간과 관여하는 경사만이 차이있을 뿐 제직방법은 동일하다. 제2표면 접결부(113)는 상기 제2중간경사와 표면경사가(제2표면 접결형성단계), 제2이면 접결부(213)는 제1중간경사 및 이면경사로 직조된다(제2이면접결형성단계). 이후 표면부는 표면경사로(표면부형성단계), 제2중간층(320)은 제2중간경사로(제2중간층형성단계), 이면부는 이면경사로서(이면부형성단계) 상기 A 구간과 동일하게 순차반복적으로 제직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경사와 위사의 1회 교차만을 기본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위사의 섬도나 조직의 구성에서 따라 그 횟수는 각 층마다 달라질 수 있고, 또한 표면층으로부터 형성되는 순서를 설명하였으나, 중간층이나 이면층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도 5a 및 도 5b 참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직된 직물은 연결경사(311, 321)에 의해 표면층과 이면층이 결합되어 있어 3차원적 입체형상을 발현할 수 없다. 따라서 3차원적 입체형상발현을 위해서는 상기 연결경사(311, 321)를 제거하여야 한다. 도 4는 연결경사(311, 321)를 제거한 상태의 직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결경사가 제거됨으로 서 표면층(100)과 이면층(200)은 중간층(300)으로 서로 교차된 형태로 연결되어 3차원적 입체적 형상발현이 가능해진다. 이를 접결부로 설명하면 제1표면 접결부(111)는 제2이면 접결부(213)와 제1중간층(310)으로 연결되고, 제2표면 접결부(113)는 제3이면 접결부(215)와 제2중간층(320)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기본적인 제직원리는 동일하다. 그러나 연결경사(311, 321)의 접결지점이 차이가 있다. A 구간을 시작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이면 접결부(211)를 형성한 제2중간경사는 이면부(220)가 형성되는 구간(a)에서 위사와 교차없이 제직됨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2중간경사가 제2이면 접결부(213)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표면경사와 함께 제2표면 접결부(113)를 형성하도록 표면층(100)으로 이동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부(220)만이 형성되는 구간의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100)으로 이동하고, 상기 표면층으로 이동한 제2중간경사는 표면부(120) 구간(b)에서 위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된다. 이 후 제2표면 접결부(113)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표면경사와 함께 제직됨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제1중간경사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제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제직된 직물은 표면층 및 이면층 모두에 위사와 교차되지 아니한 경사가 표면에 노출되게 된다. 이 점에서 이면층에만 위사와 교차되지 아니한 경사가 노출되는 상기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직된 직물은 연결경사(311, 321)에 의해 표면층과 이면층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3차원적 입체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경사(311, 321)를 제거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우 연결경사를 제거할 때 절단된 연결경사가 섬유의 랜덤이동현상에 의해 직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경사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예로서 전모(剪毛, shearing, 털깍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면층(200)에서 위사와 교차되지 않고 노출된 경사를 절단한 후 흡입식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은 직물에 입체적 형상을 발현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표면층을 상승시켜 직물에 입체적 형상을 발현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전모단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모단계를 수행기 전에 열처리로서 직물에 스티프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열처리 전에 전모단계를 수행할 경우 다층직물이 밀착된 상태에서 커팅과 같은 과격한 작용이 직물에 가해지므로 직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저융점사를 사용하여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 등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289414호에서 제안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형성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공중합시켜서 제조한 코폴리에스터계 바인더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LM(Low Melting)사로서 상기 LM사는 코어(core)부가 지지역할을 하고 시드(sheath)부가 열처리시 융착되는 부분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587122호에서 제안된 저융점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되며, 상기 저융점 성분이 섬유방향으로 섬유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유리전이온도가 60℃ 이상이고 50∼70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80∼99중량%와 폴리올레핀 20∼1중량%와의 혼합물로 구성된 열융착성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경사 및/또는 위사를 저융점사와 난연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형성된 복합섬유(시스-코어형, 분할형, 다중해도형 등)나 혹은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혼방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업용 소재로서 특히 커튼지나 블라인드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융점부와 난연부 또는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비율은 15:85 내지 50:50중량%가 바람직하다. 난연부(사)가 상기 비율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열처리시 저융점부(사)가 융착되는 정도가 낮아 직물에 스티프한 성질 부여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술한 제직방법과 기본적으로 표면층, 이면층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하는 원리는 동일하나 제직 중 중간층의 경사의 진행에 차이가 있다.
우선 A 구간의 진행을 설명하면 표면층(100)의 표면부(120)는 다른 경사의 관여 없이 표면경사만으로 제직되고 이 후 제2표면 접결부(113)는 표면경사와 제2중간경사로 직조된다. 한편 제2중간층(320)은 제2중간경사만으로 직조되는 것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이 후 제2중간층(320)의 연결경사(321)는 표면층상에 노출되어 돌출부(400)를 형성하는데, 도 8의 부분확대도와 같이 2개의 위사가 연결경사(321)를 위아래에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사들과 교차된 연결경사(321)는 이 후 이면경사와 함께 B 구간의 이면층(200)을 형성하고 제3이면 접결부(215)에서도 이면경사와 함께 직조된다. 한편 다시 A 구간의 이면층(200)은 이면경사와 제1중간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구간을 형성하고 제2이면 접결부(213) 역시 이면경사와 제1중간경사로서 형성한다. 이 후 상기 제1중간경사는 B 구간에서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고 표면경사와 만나 제3표면 접결부(115)를 형성하며, 별도의 위사들과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노출(400)된 후 제3이면 접결부(215) 이후에서 이면경사와 만나 이면층을 함께 형성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면층(200)의 이면부(220)는 이면경사와 제1 또는 제2중간경사들이 관여하여 이면부(220)와 이면접결부(210)를 형성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제2 또는 제1중간경사가 관여하여 교대로, 반복적으로 이면층을 형성한다.
도 9는 종광번호로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단순화한 것으로, 표면층(100)의 경사를 1/3, 이면층(200)의 경사를 2/4, 제1중간층(310)의 경사를 5/7, 제2중간층(320)의 경사를 6/8라 할 때, 표면층은 기본적으로 1/3으로 직조되고, 표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111, 115)는 1/3/5/7로, 제2접결부(113)는 1/3/6/8로 직조된다. 한편 이면층에서는 제1이면 접결부(211)까지는 이면층과 상기 접결부가 2/4/6/8로서, 이후 제2이면 접결부(213)까지는 이면층과 상기 접결부가 2/4/5/7로서, 이후 제3이면 접결부(215)까지는 이면층과 상기 접결부가 다시 2/4/6/8로 형성되고 이러한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제1 및 제2중간층은 각각 5/7과 6/8로 직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직물도 상기 연결경사(311, 321)에 의해 표면층과 이면층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결경사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전모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으나, 상기 표면층에 노출된 경사(400)를 제거함으로 보다 편리하게 연결경사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층에 노출된 연결경사는 위사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사들은 폭 방향을 연속적으로 상기 연결경사(제거용 위사)와 함께 노출되어 있다.(도 10참조) 상기 표면에 노출된 제거용 위사를 상승시켜 제거할 경우 상기 위사에 함께 교차되어 있는 연결경사도 함께 상승되고 각각의 접결부에서 절단이 일어나 상기 위사와 함께 연결경사는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들은 상기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은 각각 조직의 밀도를 달리하여 제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층과 이면층을 메시구조로 직조하고 중간층을 이보다 더 밀한 구조로 형성할 경우 상기 직물에서 입체적 형상이 발현되지 아니한 경우(도 1과 같은 경우)에는 직물을 경계로 내외부가 서로 노출되지 않 는 구조이나, 도 7과 같이 입체적 형상을 발현할 경우 중간층이 표면층 및 이면층에 대하여 수직형태로 이동하고 이로서 표면층과 이면층의 메시구조로 인하여 직물의 내외부가 서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된다. 이는 차광이나 보안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의류소재로서도 새로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면층 및 이면층에서 경사와 위사의 간격을 0.2 내지 2mm로 위치시키면 더욱 바람직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상기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의 조직구조나 디자인을 달리하여 제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및 제조방법은 종래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제직하면서도 2차원적 형상에 불과하던 직물을 3차원적 입체형상으로 형상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2차원 형상과 3차원 형상으로 변환을 통하여, 직물의 디자인, 심색성, 차광효과를 각각 달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 코팅공정없이 형태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1회 직조를 통해 3차원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직물 특유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형태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어 산업용 소재나 의류용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접착방식이 아닌 제직방식으로 표면층과 이면층의 접결부를 형성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며 표면층과 이면층의 연결상태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을 차광재로 사용할 경우 저융점사가 사용되어 제직된 후 일정온도에서 열처리됨으로 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광재로서 중요한 특징인 드레이프성이 우수하면서 원래의 소재감을 상실하지 않고, 온도 및 습도에 의한 변형이 없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은 난연성이 우수하며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38)

  1.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표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와, 표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직조된 표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면층과;
    기본적으로 이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이면부와, 이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 이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직조된 이면층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만으로 직조되어 상기 표면접결부 및 이면접결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연결된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면부 및 표면부의 표면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가 위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경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은
    표면접결부와 연결되되, 상기 표면접결부의 동일 수직상에 존재하는 이면접결부의 다음 순차의 이면접결부에 연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경사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되어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고,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중간층을 형성하고, 이 후 이면경사와 함께 직조되어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부는 제1중간층의 경사가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고 상기 이면부 영역에서는 이면경사만이 관여하여 직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층의 연결경사는 제2이면 접결부와 제3이면 접결부 사이의 이면부 임의의 지점에서 제2표면 접결부 및 제3표면 접결부 사이의 표면부으로 상승하여 제3 표면 접결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위사와 교차없이 제직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 접결부와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이면층에서는 제1이면 접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이면 접결부는 이면경사와 제2중간층의 경사로 형성되고, 이 후 이면부는 이면경사만으로 직조되고,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는 3 차원 입체형상 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경사는 제1이면 접결부와 제2이면 접결부 사이의 이면부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으로 이동하여 제1표면 접결부 및 제2표면 접결부 사이의 임의의 표면부에서 제2표면 접결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8. 제7항에 있어서,
    제2표면 접결부를 형성한 제2중간층의 경사는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직조되고 다시 이면경사와 함께 제3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및 복합방사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은 15:85 내지 50:50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3. 제1항 내지 제8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기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로서 더 처리하여 이루어진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 처리는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보다 직물의 밀도가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0.2 내지 2mm의 간격으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8. 다층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표면경사와 중간경사가 종광에 따라 개구운동을 하여 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는 표면접결형성단계;
    이 후 이면경사와 중간경사가 개구운동을 하여 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는 이면접결형성단계;
    상기 접결부가 모두 형성되면, 표면경사만이 관여하여 표면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사와 교차하는 표면부형성단계;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중간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는 제1중간층형성 단계;
    이면층에서는 이면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를 직조하는 이면부형성단계;
    상기 이면접결부를 형성한 중간경사가 이 후 이면부에서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되 다음 이면접결부가 시작되기 전 이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가 미리 설계된 길이만큼 순차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이면층 및 표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접결형성단계는 표면경사와 제1중간경사가 종광에 따라 개구운동을 하여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도록 위사와 교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접결형성단계는 이면경사와 제2중간경사가 개구운동을 하여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도록 위사와 교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형성단계는 제1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1중간경사만이 위사와 교차하는 제1중간층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접결형성단계는 제2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중간경사와 표면경사로 직조되는 제2표면 접결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접결형성단계는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중간경사 및 이면경사로 직조되는 제2이면접결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4. 다층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경사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가 함께 직조하여 제1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고,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는 단독으로 직조되어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표면 접결부와 동일한 수직 위치에서 이면층에서는 제1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면 접결부는 이면경사와 제2중간층의 경사로 형성되고,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어 이 영역에서는 이면층의 경사만으로 위사와 교차하여 이면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중간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다가 상기 이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표면층으로 상승하는 단계;
    상기 제2중간층의 연결경사는 제1표면 접결부 및 제2표면 접결부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이면부로부터 상승하여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다가 제2이면 접결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표면층의 제2표면 접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표면경사와 함께 직조하고 이후 제2중간경사만으로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중간층을 형성한 경사는 이면층을 형성하는 경사와 함께 직조하여 제2이면 접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중간층의 경사는 위사와 교차없이 직조되고 다음 이면 접결부를 형성하는 영역까지 이면경사만이 관여하여 이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면층 및 표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종광번호로서, 표면층의 경사를 1/3, 이면층의 경사를 2/4, 제1중간층의 경사를 5/7, 제2중간층의 경사를 6/8라 할 때,
    표면부 및 이면부는 기본적으로 각각 1/3, 2/4로 직조되고,
    표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는 1/3/5/7로, 제2접결부는 1/3/6/8로 직조되고,
    이면층의 제1 및 제3접결부는 2/4/6/8로, 제2접결부는 2/4/5/7로 직조되고,
    제1 및 제2중간층은 각각 5/7과 6/8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6. 제18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및 복합방사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28. 제18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 물의 제조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은 15:85 내지 50:50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30. 제18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모단계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는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32. 제18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33. 제18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보다 직물의 밀도가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34. 제18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0.2 내지 2mm의 간격으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
  35. 제18항 내지 제25항, 제27항, 제29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3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직물 또는 제18항 내지 제25항, 제27항, 제29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로 형성된 의류.
  3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직물 또는 제18항 내지 제25항, 제27항, 제29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로 형성된 소재.
  3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직물 또는 제18항 내지 제25항, 제27항, 제29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로 형성된 블라인드.
KR1020070043786A 2007-02-08 2007-05-04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117 2007-02-08
KR1020070013117 2007-02-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199A Division KR100815579B1 (ko) 2007-02-08 2007-04-12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572B1 true KR100815572B1 (ko) 2008-03-20

Family

ID=394112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787A KR100815577B1 (ko) 2007-02-08 2007-05-04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70043786A KR100815572B1 (ko) 2007-02-08 2007-05-04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787A KR100815577B1 (ko) 2007-02-08 2007-05-04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1557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64B1 (ko) 2008-04-23 2009-04-17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KR100936113B1 (ko) * 2009-03-09 2010-01-11 김동식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KR101012543B1 (ko) 2010-05-25 2011-02-07 신장희 전모 공정이 포함된 결속띠가 없는 다층 블라인드 및 그 제직방법
KR101136993B1 (ko) 2009-12-03 2012-04-20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160937B1 (ko) 2009-03-19 2012-07-03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0021B1 (ko) 2009-03-11 2012-07-31 주식회사 빛과창 블라인드 커튼지
KR101212699B1 (ko) 2009-12-03 2012-12-14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229870B1 (ko) 2009-09-29 2013-02-05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9357B1 (ko) * 2010-12-22 2013-04-01 류일선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53539B1 (ko) * 2010-08-10 2013-04-11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8520B1 (ko) 2012-04-20 2014-03-12 김상진 블라인드용 입체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입체직물지
US8950462B2 (en) 2006-11-24 2015-02-10 Ki Cheol Cha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1572141B1 (ko) 2015-07-24 2015-11-26 주식회사 빛과창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CN112030307A (zh) * 2020-08-25 2020-12-04 盐城工学院 一种消防服面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820B1 (ko) 2007-10-08 2010-11-04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KR101020210B1 (ko) 2008-05-19 2011-03-0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101061024B1 (ko) * 2008-11-11 2011-09-05 오휘진 채광조절블라인드
WO2010107186A2 (ko) * 2009-03-19 2010-09-2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33834A (ko) * 2009-06-12 2010-12-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사를 포함하는 원단
KR101275675B1 (ko) 2012-04-05 2013-06-17 류일선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3270B1 (ko) 2013-04-16 2014-06-27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타입의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블라인드지
KR20170006376A (ko) 2015-07-08 2017-01-18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
KR101691745B1 (ko) 2015-07-15 2016-12-30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91746B1 (ko) 2015-07-17 2016-12-30 김수연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33058B1 (ko) 2015-11-24 2016-06-24 한국신소재(유) 섬유 접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1829109B1 (ko) * 2015-12-29 2018-02-13 권구중 3차원 입체형상 직물
AU2018256598A1 (en) 2017-11-06 2019-05-23 Hunter Douglas Inc. Multi-layer fabric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069B1 (ko) 1991-12-19 1999-12-01 후리쯔 더블유. 반데 그래프트 건축물 개구용 덮개 어셈블리
JP2001172841A (ja)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JP2002054050A (ja) 2000-08-07 2002-02-19 Agehara Orimono Kogyo Kk 調光性布帛
KR20070031825A (ko) * 2006-11-24 2007-03-20 차기철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069B1 (ko) 1991-12-19 1999-12-01 후리쯔 더블유. 반데 그래프트 건축물 개구용 덮개 어셈블리
JP2001172841A (ja)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JP2002054050A (ja) 2000-08-07 2002-02-19 Agehara Orimono Kogyo Kk 調光性布帛
KR20070031825A (ko) * 2006-11-24 2007-03-20 차기철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재직되는 블라인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462B2 (en) 2006-11-24 2015-02-10 Ki Cheol Cha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WO2009131351A2 (ko) * 2008-04-23 2009-10-29 Park Jae Woo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WO2009131351A3 (ko) * 2008-04-23 2010-02-11 Park Jae Woo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KR100893364B1 (ko) 2008-04-23 2009-04-17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KR100936113B1 (ko) * 2009-03-09 2010-01-11 김동식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KR101170021B1 (ko) 2009-03-11 2012-07-31 주식회사 빛과창 블라인드 커튼지
KR101160937B1 (ko) 2009-03-19 2012-07-03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870B1 (ko) 2009-09-29 2013-02-05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6993B1 (ko) 2009-12-03 2012-04-20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212699B1 (ko) 2009-12-03 2012-12-14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012543B1 (ko) 2010-05-25 2011-02-07 신장희 전모 공정이 포함된 결속띠가 없는 다층 블라인드 및 그 제직방법
KR101253539B1 (ko) * 2010-08-10 2013-04-11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9357B1 (ko) * 2010-12-22 2013-04-01 류일선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8520B1 (ko) 2012-04-20 2014-03-12 김상진 블라인드용 입체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입체직물지
KR101572141B1 (ko) 2015-07-24 2015-11-26 주식회사 빛과창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CN112030307A (zh) * 2020-08-25 2020-12-04 盐城工学院 一种消防服面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577B1 (ko)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572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90818A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KR10116093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870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2674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719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0791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721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353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4956A (ko)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