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956A -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956A
KR20100104956A KR1020090023710A KR20090023710A KR20100104956A KR 20100104956 A KR20100104956 A KR 20100104956A KR 1020090023710 A KR1020090023710 A KR 1020090023710A KR 20090023710 A KR20090023710 A KR 20090023710A KR 20100104956 A KR20100104956 A KR 2010010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layer
layer
inclination
fabric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일선
장후성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956A/ko
Publication of KR2010010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 및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간층은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1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중간층은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2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어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입체직물, 다층직물, 연결위사

Description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3D Fabric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적 입체형상 발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규한 제직방법에 의해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제직이 가능하며 평면형상과 3차원 입체형상간의 형상변화가 가능하며 특히 블라인드용으로 응용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이라 함은 어떤 원료로부터 제조되어 제직(weaving), 편성(knitting), 프레이팅(plaiting) 또는 브레이딩(braiding)의 방법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섬유의 교차(interlock)방법에 의해 펠트(felt) 직물이 만들어진다. 직물의 기본적인 표준 종류는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로 구분될 수 있다.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이란 수직 방향의 경사와 수평 방향의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interlace)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내의(under wear)와 외의(outer wear)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직물이며 대부분 사용된다. 한편 편성물(knitted)은 1계통의 실 이 편환(loop)을 만들고 이들 편환이 전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조합하여 편성을 구성한다. 편성물은 신속하게 제편되며, 착용하면 축 늘어지고 탄력성이 있다. 또한 펠트(felt)라 함은 1단의 섬유를 열, 습기, 압력, 타격에 의해 교차(interlock)케 하여 펠트를 구성하며, 실은 여기에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이트(plaited), 브레이드(braid), 레이스(lace)는 여러 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주행하며, 1계통의 실이 교차하여 요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부직포(nonwoven)는 접착 재료의 응용, 또는 표면의 화학작용을 통한 부착 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의 열에 의해 섬유의 웹(web) 또는 시트(sheet)가 서로 부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또한 접착직물(laminated)은 1장 또는 2장의 직물에 폼(foam)을 접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푹신푹신한 촉감과 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몰드직물(molded)은 몰드 면적은 이것이 추출되었던 원평면보다도 그 표면이 크다. 몰드 제품(의류)은 푹신하거나 또는 파일(pile) 형태로 또는 편평하게 되어 있다. 이 제품은 착용감이 좋고 신체의 기능에도 잘 맞으며, 그 모양이 잘 변하지 않는다.
직물은 2차원적 입체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측면을 활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나 기타 접합법에 의해 3차원적 입체형상을 구현하다.
이를 응용한 산업용 부분에서 미국특허 제3,384,519호에서는 원단(85,85)을 이중으로 형성시킨 후 가운데에 이동형 블래이드(87)를 형성시킨 후 상기 원단과 블래이드를 접합이나 본딩으로 접착시켜서 사용하는 블라인드가 제안되었다. (도 7 참조) 상기 방법은 블래이드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메시형 직물을 통해 빛이 내부로 들어오고, 다시 블래이드가 수직으로 이동할 경우 빛을 차단하여 결국 광량을 조절 할 수 있고 이를 직물의 부드러움과 메시구조를 통하여 차양을 제어하는 장점은 있으나 블래이드와 직물이 점착제 내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이유로 실내환경오염원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외선에 의한 점착제의 물성저하로 접합상태가 저하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표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와, 표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직조된 표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면층과; 기본적으로 이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이면부와, 이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 이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직조된 이면층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만으로 직조되어 상기 표면접결부 및 이면접결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연결된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면부의 표면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가 위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경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제안한 상기 직물을 위사를 전모시키는 방식으로 제직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 또는 접착 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물만으로 3차원적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적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로서 입체형상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 또는 심색성이 변화할 수 있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섬도사로서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형상의 변화에 따라 차광제어가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용도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블라인드로서 사용가능 하도록 직물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형태안정성이 유지되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 및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간층은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1연결위사가 서로 작 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중간층은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2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어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고, 표면층과 이면층은 각각 표면부 및 이면부와 접결부로 형성되어, 종광번호로서, 표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이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3/4,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은 1/2. 9/10, 11/12 경사가, 제1중간층은 5/6, 9/10, 15/16 경사가, 제2중간층은 7/8, 11/12, 13/14 경사가, 이면층은 3/4, 13/14,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이 3이상의 서로 다른 중간증(제n중간층, 여기서 n은 3이상의 정수)을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중간층은 제n이면접결부, 제n중간층, 제n±1표면접결부의 경사와 제n연결위사가 작용하여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 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가 서로 다른 종류인 경우 부분정경법이나 2이상의 정경빔으로 제직되는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에 직조되는 위사와 연결위사는 서로 다른 종류와 번수의 원사인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중간층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1연결위사가 직조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중간층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2연결위사가 직조되지 않은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층은 1, 9, 11번 경사로, 제1중간층은 5, 9, 15번 경사로, 제2중간층은 7, 11, 13번 경사로, 이면층은 13, 13, 15번 경사로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층은 2, 10, 12번 경사로, 제1중간층은 6, 10, 16번 경사로, 제2중간층은 8, 12, 14번 경사로, 이면층은 4, 14, 16번 경사로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약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은 15:85 내지 50:50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기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로서 더 처리하여 이루어진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 처리는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보다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를 포함하며, 표면층은 표면부 및 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와 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고; 상기 표면층이 형성된 후 제1중간층은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존부 또는 일부와 제1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고, 상기 제2중간층은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2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고, 이후 이면층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와 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광번호로서, 표면부(120)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이면부(220)를 형성하는 경사를 3/4,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100)은 1/2. 9/10, 11/12 경사가, 제1중간층(310)은 5/6, 9/10, 15/16 경사가, 제2중간층(320)은 7/8, 11/12, 13/14 경사가, 이면층(200)은 3/4, 13/14,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 정제어, 복합방사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약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은 15:85 내지 50:50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모단계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처리단계는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보다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및 제조방법은 종래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제직하면서도 2차원적 형상에 불과하던 직물을 3차원적 입체형상으로 형상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2차원 형상과 3차원 형상으로 변환을 통하여, 직물의 디자인, 심색성, 차광효과를 각각 달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 코팅공정없이 형태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1회 직조를 통해 3차원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직물 특유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형태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어 산업용 소재나 의류용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접착방식이 아닌 제직방식으로 표면층과 이면층의 접결부를 형성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며 표면층과 이면층의 연결상태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을 차광재로 사용할 경우 저융점사가 사용되어 제직된 후 일정온도에서 열처리됨으로 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광재로서 중요한 특징인 드레이프성이 우수하면서 원래의 소재감을 상실하지 않고, 온도 및 습도에 의한 변형이 없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은 난연성이 우수하며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서 “직물”이라 함은 협의의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 모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화살표 방향이 위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3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는 도 1과 같이 제직되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표면층(100)과 이면층(200)을 이격시켜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을 제직하기 위해, 통상의 정경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비제한적인 예로서 표면층과 접결부에 서로 다른 경사를 사용할 경우 부분정경법이나 2이상의 정경빔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표면층(100), 이면층(200), 상기 표면층(100)과 이면층(200)을 연결하는 중간층(300)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100)은 표면접결부(110)와 표면부(120)가, 이면층(200)에는 이면접결부(220)와 이면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층(300)은 제1중간층(310) 및 제2중간층(320)이 서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300)은 직물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제2, ... 제n중간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본 발명은 이를 포함한다.
도 2 및 3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시된 A 지점부터 각각의 경사가 관여하는 층을 중심으로 제직의 원리를 설명하면, 표면층(100)은 표면부(120) 및 표면접결부(110)를 형성하는 경사와 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될 수 있다. 상기 표면부 및 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종류와 번수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이 형성된 후 제1중간층(310)은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 존부 또는 일부와 제1연결위사(321)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된다. 한편 제2중간층(320)은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32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2연결위사(323)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된다. 이 경우 제1연결위사(321)는 제2중간층(320)이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경사와 직조되지 않고, 제2연결위사(323)는 제1중간층(310)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경사와 직조되지 않는다. 만일 제3, 제4, ... 제n중간층을 별도로 형성한다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n이면접결부, 제n중간층, 제n±1표면접결부의 경사와 제n연결위사가 작용하여 직조될 수 있다. 한편 이면층(200)은 이면부(220) 및 이면접결부(210)를 형성하는 경사와 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될 수 있다.
상기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을 형성하는 위사는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표면층, 이면층과 중간층이나 상기 접결부를 형성하는 위사를 서로 다른 종류나 번수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제1중간층(3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와 제1연결위사(321)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제2중간층(32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제2중간층(32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와 제2연결위사(323)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와 제1연결위사(321)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제2중간층(32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 제2중간층(32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와 제2연결위사(323)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제1중간층(3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 사 일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와 제1연결위사(321)가 서로 작용하고, 제2중간층(32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 제2중간층(32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 일부와 제2연결위사(323)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중간층(310)은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와 제1연결위사(321)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된다. 한편 제2중간층(320)은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320)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와 제2연결위사(323)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직물의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서 나타낸 것으로, 실제 직물에 있어서는 직물설계 예를 들어 표면부의 크기에 따라 사용될 경사의 수가 결정될 것이나, 보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표면부(120)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이면부(220)를 형성하는 경사를 3/4,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100)은 1/2. 9/10, 11/12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한 번은 1, 9, 11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2, 10, 12번 경사가 관여한다. 다음으로 제1중간층(310)은 5/6, 9/10,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번은 5, 9, 15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6, 10, 16번 경사가 관여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중간층(320)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1연결위사(321)가 직조되지 아니하고 노출된다. 다음으로 제2중간층(320)은 7/8, 11/12, 13/14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번은 7, 11, 13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8, 12, 14번 경사가 관여한다. 이 경우 역시 제1중간층(310)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2연결위사(323)가 직조되지 아니하고 노출된다. 마지막으로 이면층(200)은 3/4, 13/14,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한 번은 3, 13, 15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4, 14, 16번 경사가 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직물의 또 다른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서 나타낸 것으로, 실제 직물에 있어서는 직물설계 예를 들어 표면부의 크기에 따라 사용될 경사의 수가 결정될 것이나, 보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표면부(120)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3/4, 이면부(220)를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1중간층(310)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2표면접결부(113)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1표면접결부(111)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2이면접결부(213)를 형성하는 경사를 17/18, 제1이면접결부(211)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100)은 1/2, 3/4, 11/12, 13/14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한 번은 1, 3, 11, 13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2, 4, 11, 13번 경사가 관여한다. 다음으로 제1중간층(310)은 1/2, 7/8, 11/12, 13/14,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번은 1/2, 13/14 경사가 전부 상승한 상태에서 7, 12, 15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역시 1/2, 13/14 경사가 전부 상승한 상태에서 8, 12, 15번 경사가 관여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중간층(320)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1연결위사(321)가 직조되지 아니하고 노출된다. 다음으로 제2중간층(320)은 3/4, 9/10, 11/12, 14/15, 17/18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번은 3/4, 11/12 경사가 모두 상승한 상태에서 9, 14, 17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역시 3/4, 11/12 경사가 모두 상승한 상태에서 10, 14, 17번 경사가 관여한다. 이 경우 역시 제1중간층(310)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2연결위사(323)가 직조되지 아니하고 노출된다. 마지막으로 이면층(200)은 모든 경사가 관여하는데, 5/6, 15/16, 17/18을 제외한 모든 경사가 상승한 상태에서 5, 16, 18번 경사가 관여하고, 역시 다음 순서에는 5/6, 15/16, 17/18을 제외한 모든 경사가 상승한 상태에서 6, 15, 17번 경사가 관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입체직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위에서는 표면층, 제1중간층, 제2중간층, 이면층으로 형성되는 순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제직기나 원사의 조건,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직된 직물은 연결위사(321, 323)에 의해 표면층과 이면층이 결합되어 있어 3차원적 입체형상을 발현할 수 없다. 따라서 3차원적 입체형상발현을 위해서는 상기 연결위사를 제거하여야 한다. 도 5는 상기 연결위사를 제거한 상태의 직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결위사가 제거됨으로서 표면층(100)과 이면층(200)은 중간층(300)으로 서로 교차된 형태로 연결되어 3차원적 입체적 형상발현이 가능해진다.
상기 연결위사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예로서 전모(剪毛, shearing, 털깍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표면층(100)에서 경사와 교차되지 않고 노출된 위사를 절단한 후 흡입식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은 직물에 입체적 형상을 발현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표면층을 상승시켜 직물에 입체적 형상을 발현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전모단계를 수행하기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모단계를 수행기 전에 열처리로서 직물에 스티프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열처리 전에 전모단계를 수행할 경우 다층직물이 밀착된 상태에서 커팅과 같은 과격한 작용이 직물에 가해지므로 직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저융점사를 사용하여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 등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약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289414호에서 제안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형성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공중합시켜서 제조한 코폴리에스터계 바인더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LM(Low Melting)사로서 상기 LM사는 코어(core)부가 지지역할을 하고 시드(sheath)부가 열처리시 융착되는 부분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587122호에서 제안된 저융점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되며, 상기 저융점 성분이 섬유방향으로 섬유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유리전이온도가 60℃ 이상이고 50~70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80~99중량%와 폴리올레핀 1~20중량%와의 혼합물로 구성된 열융착성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경사 및/또는 위사를 저융점사와 난연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형성된 복합섬유(시스-코어형, 분할형, 다중해도형 등)나 혹은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혼방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업용 소재로서 특히 커튼지나 블라인드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융점부와 난연부 또는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비율은 약 15:85 내지 50:50중량%가 바람직하다. 난연부(사)가 상기 비율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열처리시 저융점부(사)가 융착되는 정도가 낮아 직물에 스티프한 성질 부여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들은 상기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은 각각 조직의 밀도를 달리하여 제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층과 이면층을 메시구조로 직조하고 중간층을 이보다 더 밀한 구조로 형성할 경우 상기 직물에서 입체적 형상이 발현되지 아니한 경우(도 1과 같은 경우)에는 직물을 경계로 내외부가 서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나, 도 5와 같이 입체적 형상을 발현할 경우 중간층이 표면층 및 이면층에 대하여 수직형태로 이동하고 이로서 표면층과 이면층의 메시구조로 인하여 직물 의 내외부가 서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된다. 이는 차광이나 보안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의류소재로서도 새로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면층 및 이면층에서 경사와 위사의 간격을 0.2 내지 2mm로 위치시키면 더욱 바람직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상기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의 조직구조나 디자인을 달리하여 제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사진행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전모 후의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직물의 입체형상 발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위사의 제거 상태도.
도 7은 종래기술에 의한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표면층 110 : 표면접결부
120 : 표면부 200 : 이면층
210 : 이면접결부 220 : 이면부
300 : 중간층 310,320 : 제1, 제2중간층
321, 323 : 연결위사

Claims (23)

  1.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 및 표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중간층은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1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중간층은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2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어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
  2.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고, 표면층과 이면층은 각각 표면부 및 이면부와 접결부로 형성되어,
    경사번호로서, 표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이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3/4,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은 1/2. 9/10, 11/12 경사가,
    제1중간층은 5/6, 9/10, 15/16 경사가,
    제2중간층은 7/8, 11/12, 13/14 경사가,
    이면층은 3/4, 13/14,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표면층은 1, 9, 11번 경사로,
    제1중간층은 5, 9, 15번 경사로,
    제2중간층은 7, 11, 13번 경사로,
    이면층은 13, 13, 15번 경사로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표면층은 2, 10, 12번 경사로,
    제1중간층은 6, 10, 16번 경사로,
    제2중간층은 8, 12, 14번 경사로,
    이면층은 4, 14, 16번 경사로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5.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고, 표면층과 이면층은 각각 표면부 및 이면부와 접결부로 형성되어,
    경사번호로서, 표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3/4, 이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7/18,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은 1/2, 3/4, 11/12, 13/14 경사가,
    제1중간층은 1/2, 7/8, 11/12, 13/14, 15/16 경사가,
    제2중간층은 3/4, 9/10, 11/12, 14/15, 17/18 경사가,
    이면층은 모든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 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1, 3, 11, 13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2, 4, 11, 13번 경사가 관여되어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층은 1/2, 13/14 경사가 전부 상승한 상태에서 7, 12, 15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1/2, 13/14 경사가 전부 상승한 상태에서 8, 12, 15번 경사가 관여되어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층은 3/4, 11/12 경사가 모두 상승한 상태에서 9, 14, 17번 경사가 다음 순서에는 3/4, 11/12 경사가 모두 상승한 상태에서 10, 14, 17번 경사가 관여되어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은 5/6, 15/16, 17/18을 제외한 모든 경사가 상승한 상태에서 5, 16, 18번 경사가 관여하고, 다음 순서에는 5/6, 15/16, 17/18을 제외한 모든 경사 가 상승한 상태에서 6, 15, 17번 경사가 관여되어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3이상의 서로 다른 중간증(제n중간층, 여기서 n은 3이상의 정수)을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중간층은 제n이면접결부, 제n중간층, 제n±1표면접결부의 경사와 제n연결위사가 작용하여 직조되는 3차원 입체직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가 서로 다른 종류인 경우 부분정경법이나 2이상의 정경빔으로 제직되는 3차원 입체직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및 이면층에 직조되는 위사와 연결위사는 서로 다른 종류와 번수의 원사인 3차원 입체직물.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층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1연결위사가 직조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중간층에 위치한 표면부의 상부에는 제2연결위사가 직조되지 않은 3차원 입체직물.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약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부(사)와 난연부(사)의 비율은 15:85 내지 50:50중량%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의 외부에 노출된 중간층의 연결경사를 전모하기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로서 더 처리하여 이루어진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 처리는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보다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2. 다층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를 포함하며,
    표면층은 표면부 및 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와 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 조되고;
    상기 표면층이 형성된 후 제1중간층은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존부 또는 일부와 제1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고,
    상기 제2중간층은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 및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 전부 또는 일부와 제2연결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고,
    이후 이면층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와 위사가 서로 작용하여 직조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의 제조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경사번호로서, 표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2, 이면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3/4, 제1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5/6, 제2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를 7/8, 제2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9/10, 제1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1/12, 제2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3/14, 제1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를 15/16이라 할 때,
    표면층은 1/2. 9/10, 11/12 경사가,
    제1중간층은 5/6, 9/10, 15/16 경사가,
    제2중간층은 7/8, 11/12, 13/14 경사가,
    이면층은 3/4, 13/14, 15/16 경사가 개구됨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표면부의 상부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연결위사가 경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연결위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는 3차원 입체직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23710A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4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10A KR20100104956A (ko)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10A KR20100104956A (ko)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56A true KR20100104956A (ko) 2010-09-29

Family

ID=4300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710A KR20100104956A (ko)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9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37A1 (ko) * 2014-10-29 2016-05-06 오성희 3차원 입체직물의 접철이 가능한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37A1 (ko) * 2014-10-29 2016-05-06 오성희 3차원 입체직물의 접철이 가능한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57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2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KR101562043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093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870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719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2674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0791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721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353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4956A (ko)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