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357B1 -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357B1
KR101249357B1 KR1020100132356A KR20100132356A KR101249357B1 KR 101249357 B1 KR101249357 B1 KR 101249357B1 KR 1020100132356 A KR1020100132356 A KR 1020100132356A KR 20100132356 A KR20100132356 A KR 20100132356A KR 101249357 B1 KR101249357 B1 KR 10124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slope
grou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857A (ko
Inventor
류일선
Original Assignee
류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일선 filed Critical 류일선
Priority to KR102010013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3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혀지는 표면층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으로 제직되는 다층의 직물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와 표면접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와 이면접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작동경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작동경사는 상기 표면접결부에서 다른 경사와 같이 제직되어 형성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Roman shade typ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창의 내측에 설치되어 태양 광을 차단하는 로만셰이드에 사용될 수 있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제직이 가능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하면서도 형태안정성 및 차광효과가 뛰어난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창의 내벽에 설치되어 태양 광의 광량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창가리개는 가정, 호텔, 레스토랑 기타 건물 등에서 내부의 사생활 보호 및 태양 광차단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직물로 제조되는 커튼과 일정 폭을 가지는 판형상의 슬릿이 지면과 수직형태인 버티컬 블라인드 또는 일정 폭을 가지는 판형상의 슬릿이 지면과 수평형태인 베네시안 블라인드 그리고 일정폭의 원단을 제단하고 롤로 감아서 창문에 고정시켜 사용자가 롤을 풀어서 창문을 가리거나 롤을 감아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만든 롤 스크린(Roll Screen) 또는 판넬 스크린(Panel Screen)과 반으로 접혀지는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가 부착되어 이면부로 구성되어 이면부의 양 측면에 승강줄을 형성하거나 표면부의 지지봉을 삽입하여 지지봉 양 끝단에 승강줄을 형성하여 표면부 및 이면부를 조절하는 로만셰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창가리개 중 직물로 제조되는 커튼은 직물로서 실내 분위기를 품위있게 하고 포근한 감을 주지만 설치 비용이 비싸고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으로 가정집 이외의 장소에서는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및 관리가 쉬운 버티컬 블라인드, 롤 스크린, 로만셰이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판매되는 로만셰이드는 대부분 접혀지는 표면부와 표면부가 접합되는 이면부가 별도로 제조되어 표면부 또는 이면부에 승강줄을 연결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만셰이드는 표면부와 이면부를 접착제 등으로 접합할 경우에는 사용기간이 오래될 수 록 접합면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제봉 등으로 접합할 경우에는 제조공정이 복합하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면부와 이면부에 승강줄을 추가로 연결하는 공정으로 작업이 복잡하고 제조기간이 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모든 구성부가 일체형의 로만셰이드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직되는 직물의 밀도에 차이를 두어 차광조절이 가능한 로만셰이드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로만셰이드용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혀지는 표면층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으로 제직되는 다층 직물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와 표면접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와 이면접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작동경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경사는 상기 표면접결부에서 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와 같이 제직되어 형성되며, 상기 직물을 제직하는 경사는 상기 표면부, 표면접결부 및 이면부, 이면접결부를 동시에 순차적으로 제직하고, 상기 표면접결부를 형성한 경사는 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으로 이동하되, 상기 표면층을 형성한 일부 경사는 연결경사를 형성한 후 이면층으로 이동하여 이면층을 형성하고, 이면층을 형성한 경사 일부는 이면층을 형성 후 표면층으로 이동하여 표면층을 형성하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직물을 형성한 후, 상기 연결경사는 제직 후 커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면부는 메쉬(mesh)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경사가 별도의 위사와 교차되어 이면층의 표면에 노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직 후 상기 돌출부를 제거함으로서 연결경사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를 포함하여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는 50~100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면부를 형성하는 위사는 20~300데니어(Denier), 표면부, 표면접결부, 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위사는 300~1600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경사는 500~800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혀지는 표면층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으로 제직되는 다층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와 표면접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와 이면접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작동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표면부에서 시작하는 경사를 1군,2군, 이면부에서 시작하는 경사를 3군,4군, 작동경사를 5군라고 할때, 상기 경사 1군,2군은 표면부를 형성하고 경사 5군과 표면접결부를 형성하고 연결경사로 이면층으로 이동하며, 상기 경사 3군,4군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를 형성하고 경사 4군은 이면층으로 이동한 경사 1군과 다시 이면부를 형성하며, 경사3군은 경사 2군과 표면부를 형성하는 제직공정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직물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 5군는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서 위사에 교차없이 진행되고 표면접결부 형성시에만 다른 경사와 함께 제직되고, 직물 제직후 상기 연결경사를 커팅하는 커팅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 각 군의 경사 수는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팅공정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만셰이드형 직물은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접혀지는 표면층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 및 표면층을 작동시키는 작동경사를 일체형으로 제조하여 직물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하고 제조공정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층, 이면층 및 작동경사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직물의 형태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작업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층과 이면층의 직물밀도에 차이를 두어 차광효과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사진행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층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층을 편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층을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서 "직물"이라 함은 협의의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 모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을 예로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설명함에서 있어서 경사와 위사가 모두 교차하여 직조됨은 당연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경사만 직조된다'는 표현은 당연히 위사와 교차됨을 의미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위사와 교차되지 않는다는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로만셰이드형 직물은 도 1과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평면형태의 직물로 제직되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표면층 100, 이면층 200을 이격하여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는 표면층 100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 200, 상기 표면층 100과 이면층 200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간격으로 작동경사 300로 구성되도록 다층으로 제직된다.
상기 표면층 100은 표면부 110와 표면접결부 130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 200은 이면부 210와 이면접결부 230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 100과 이면층 200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경사 300는 표면부 110 및 이면부 210 형성시에는 위사와 교차없이 표면부 110, 이면부 210 사이로 진행하다가 상기 표면접결부 130 형성시에만 다른 경사같이 위사와 교차되어 같이 제직된다.
상기 직물을 제직하는 경사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부 110, 표면접결부 130 및 이면부 210, 이면접결부 230를 동시에 순차적으로 제직한다.
상기 직물을 제직하는 경사는 상기 표면부 110, 표면접결부 130 및 이면부 210, 이면접결부 230를 동시에 순차적으로 제직하고, 상기 표면접결부 130를 형성한 경사는 연결경사 400를 형성하여 이면층으로 이동한다.
상기 표면층 100을 형성한 일부 경사는 연결경사 400를 형성한 후 이면층 200으로 이동하여 이면층 200을 형성하고, 이면층 200을 형성한 일부 경사는 이면접결부 210를 형성 후 표면층 100으로 이동하여 표면층을 형성하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직물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표면부 110, 표면접결부 130를 형성하는 경사 중 일부는 표면접결부 130 형성 후 이면층 200으로 이동하여 이면부 210를 형성하게 되고, 이면부 210, 이면접결부 230를 형성하는 경사 중 일부는 이면접결부 230 형성 후 표면층으로 이동하여 표면부 110를 형성하게 된다. 다른층으로 이동하지 않는 나머지 경사는 동일 층을 계속 형성하다가 이후의 접결부를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사의 반복적인 동작으로 직물을 제직하고, 직물 제직후, 상기 연결경사 400를 커팅하면 표면부 110가 이면접결부 230 끝단에만 연결되고 도 2 내지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면부 110 및 표면접결부 130가 이면층 200과 분리되어 표면층 100이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로만셰이드형 직물의 제조방법을 경사에 번호를 부여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표면부 110에서 시작하는 경사를 1군,2군, 이면부 210에서 시작하는 경사를 3군,4군, 작동경사 300를 5군라고 할 때, 상기 경사 1군,2군은 표면부 110를 형성하고 경사 5군와 표면접결부 130를 형성하고 연결경사 400로 이면층 200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경사 3군,4군은 이면부 210 및 이면접결부 230를 형성하고 경사 4군은 이면층 200으로 이동한 경사 1군과 다시 이면부 210를 형성하고, 경사3군은 경사 2군과 표면부 110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경사 1군, 4군은 이면부 210, 이면접결부 230를 형성한 후, 경사 1군은 이면층을 계속 형성하고, 경사 4군은 표면층 100으로 이동하며, 경사 2군, 3군은 표면부 110, 표면접결층 130을 형성하고 연결경사로 이면층 200과 접해진 후, 경사 2군은 이면층 200으로 이동하고 경사 3군은 표면층 1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각각의 경사군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 반복적으로 각 층을 이동하여 직물을 제조하며, 상기 경사 5군는 표면층 100과 이면층 200 사이에서 위사에 교차없이 진행되고 표면접결부 130 형성시에만 다른 경사와 함께 제직된다.
상기 하나의 표면부와 표면접결부의 길이를 1구간이라 할때 본 발명을 직조하는 작동경사를 제외한 모든 경사는 2구간의 표면층, 2구간의 이면층을 형성하는 동일한 동작으로 위사와 직조되나 각 층과 동작구간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 각 군의 경사 수는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표면층 100이나 이면층 200에 직물의 밀도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색이 다른 위사 등을 이용하여 직물 표면에 문양을 넣을 수도 있듯이 다양한 직물조직 설계를 위해 2이상의 경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만셰이드형 직물은 상기 연결경사 400가 제거됨으로서 표면층 100이 이면접결부 230 끝단에만 연결되고 표면부 110 및 표면접결부 130가 중이면층 200과 분리되어 표면층 100이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경사 400를 보다 쉽게 제거하기 위해 상기 연결경사 400를 이면층 200에 노출시켜 돌출부 5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500는 도 2의 부분확대도와 같이 연결경사 400를 2개의 색상이 다르거나 굵기가 다른 별도의 제거용 위사로 위아래에서 감싸는 형태로 돌출부 500를 형성하여 이면층 표면에 돌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노출된 연결경사 400는 위사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사들은 위사 방향을 연속적으로 상기 연결경사 400(제거용 위사)와 함께 노출되어 있다. 상기 표면에 노출된 제거용 위사를 상승시켜 제거할 경우 상기 위사에 함께 교차 되어 있는 연결경사 400도 함께 상승되어 연결경사 400을 상기 위사와 함께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경경사 400가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로만셰이드형 직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접결부 130에 접합된 작동경사 300에 의해 이면층 200과 접해있는 표면층 100을 반으로 접거나 펼 수 있다.
도 4는 작동경사에 따른 표면층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작동경사를 위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표면층이 펴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층을 편 상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층을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도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만셰이드형 직물은 표면층의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 따라 빛의 투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이면부 210를 메쉬(mesh)구조로 형성하여 도 6과 같이 표면층 100이 접힌 상태인 로만셰이드형일 경우에는 빛의 투광도를 높이고 도 5와 같이 표면층 100이 펴져 이면층 200과 접한 상태에서는 암막효과를 주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는 일반적인 굵기의 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50~100데니어(Denier)의 경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형성하는 위사는 각 구분마다 다른 위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부 110는 암막효과를 높이기 위해 굵은 위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접결부 130, 이면접결부 230는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위해 굵은 위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부, 표면접결부, 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위사는 300~1600데니어(Denier)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면부 210를 형성하는 위사는 이면부 210를 메쉬구조나 일반 직물형태등 어떤 형태로 제조하느냐에 따라 실의 굵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0~300데니어(Denier)의 위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작동경사 300는 표면층 100을 작동시키는 경사로 너무 얇은 실을 사용하면 끊어질 수 있으므로 500~800데니어(Denier)의 고강력 경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로만셰이드형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경사 커팅 전에 열처리로서 직물에 스티프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열처리 전에 연결경사를 커팅을 수행할 경우 다층직물이 밀착된 상태에서 커팅과 같은 과격한 작용이 직물에 가해지므로 직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저융점사를 포함하여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 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약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289414호에서 제안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형성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공중합시켜서 제조한 코폴리에스터계 바인더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LM(Low Melting)사로서 상기 LM사는 코어(core)부가 지지역할을 하고 시드(sheath)부가 열처리시 융착되는 부분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587122호에서 제안된 저융점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되며, 상기 저융점 성분이 섬유방향으로 섬유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유리전이온도가 60℃ 이상이고 50~70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80~99중량%와 폴리올레핀 20~1중량%와의 혼합물로 구성된 열융착성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경사 및/또는 위사를 저융점사와 난연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형성된 복합섬유(시스-코어형, 분할형, 다중해도형 등)나 혹은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혼방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업용 소재로서 특히 커튼지나 블라인드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융점부와 난연부 또는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비율은 약 15:85 내지 50:50중량%가 바람직하다. 난연부(사)가 상기 비율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열처리시 저융점부(사)가 융착되는 정도가 낮아 직물에 스티프한 성질 부여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로만셰이드형 직물을 사용처에 따라 방염 처리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표면층 110 : 표면부
130 : 표면접결부 200 : 이면층
210 : 이면부 230 : 이면접결부
300 : 작동경사 400 : 연결경사
500 : 돌출부

Claims (11)

  1. 접혀지는 표면층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으로 제직되는 다층 직물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와 표면접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와 이면접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작동경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경사는 상기 표면접결부에서 표면접결부를 형성하는 경사와 같이 제직되어 형성되며,
    상기 직물을 제직하는 경사는 상기 표면부, 표면접결부 및 이면부, 이면접결부를 동시에 순차적으로 제직하고, 상기 표면접결부를 형성한 경사는 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으로 이동하되,
    상기 표면층을 형성한 일부 경사는 연결경사를 형성한 후 이면층으로 이동하여 이면층을 형성하고, 이면층을 형성한 경사 일부는 이면층을 형성 후 표면층으로 이동하여 표면층을 형성하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직물을 형성한 후, 상기 연결경사는 제직 후 커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부는 메쉬(mesh)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경사가 별도의 위사와 교차되어 이면층의 표면에 노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직 후 상기 돌출부를 제거함으로서 연결경사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를 포함하여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는 50~100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부를 형성하는 위사는 20~300데니어(Denier), 표면부, 표면접결부, 이면접결부를 형성하는 위사는 300~1600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경사는 500~800데니어(Den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8. 접혀지는 표면층과 직물형태를 지지하는 이면층으로 제직되는 다층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표면부와 표면접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이면부와 이면접결부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작동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표면부에서 시작하는 경사를 1군,2군, 이면부에서 시작하는 경사를 3군,4군, 작동경사를 5군라고 할때,
    상기 경사 1군,2군은 표면부를 형성하고 경사 5군과 표면접결부를 형성하고 연결경사로 이면층으로 이동하며, 상기 경사 3군,4군은 이면부 및 이면접결부를 형성하고 경사 4군은 이면층으로 이동한 경사 1군과 다시 이면부를 형성하며, 경사3군은 경사 2군과 표면부를 형성하는 제직공정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직물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 5군는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서 위사에 교차없이 진행되고 표면접결부 형성시에만 다른 경사와 함께 제직되고, 직물 제직후 상기 연결경사를 커팅하는 커팅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 군의 경사 수는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공정 전 또는 후에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셰이드형 직물 제조방법.
KR1020100132356A 2010-12-22 2010-12-22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56A KR101249357B1 (ko) 2010-12-22 2010-12-22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56A KR101249357B1 (ko) 2010-12-22 2010-12-22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57A KR20120070857A (ko) 2012-07-02
KR101249357B1 true KR101249357B1 (ko) 2013-04-01

Family

ID=4670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356A KR101249357B1 (ko) 2010-12-22 2010-12-22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302A2 (en) 2019-04-25 2020-10-29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woven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9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2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6414A (ko) * 2009-04-22 2010-11-01 신장희 로만쉐이드용 직물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로만쉐이드용 직물지
KR20110035052A (ko) * 2009-09-29 2011-04-0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79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2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6414A (ko) * 2009-04-22 2010-11-01 신장희 로만쉐이드용 직물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로만쉐이드용 직물지
KR20110035052A (ko) * 2009-09-29 2011-04-0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302A2 (en) 2019-04-25 2020-10-29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with woven material
CN113874568A (zh) * 2019-04-25 2021-12-31 亨特道格拉斯公司 具有织造材料的建筑覆盖物
EP3959406A4 (en) * 2019-04-25 2023-05-31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COVERING COMPRISING WOVEN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57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40006B2 (en) 3D fabric and preparing thereof
KR101562043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KR10081557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509523A (ja) 製織で結合された織物ブラインド
CN103958754B (zh) 三维织物及其制造方法
CA2723450C (en) Vertical blind united by weav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249357B1 (ko)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275675B1 (ko)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60719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0369B1 (ko) 이중블라인드직물 및 그 제직방법
KR101224037B1 (ko) 2방향 로만쉐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0413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1140791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445B1 (ko) 다층 직물 구조의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141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KR101107968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창가리개
KR101136993B1 (ko) 베네치안 블라인드
JP2019138134A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装置
CN112888818A (zh) 织物、特别是用作隐私保护和/或防眩保护的织物和用于制造根据本发明的织物的方法
KR101118688B1 (ko) 복층의 허니콤 구조를 갖는 창가리개
KR101212699B1 (ko)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704961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