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961B1 -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961B1
KR101704961B1 KR1020160006993A KR20160006993A KR101704961B1 KR 101704961 B1 KR101704961 B1 KR 101704961B1 KR 1020160006993 A KR1020160006993 A KR 1020160006993A KR 20160006993 A KR20160006993 A KR 20160006993A KR 101704961 B1 KR101704961 B1 KR 10170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aving
paper
weft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6000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지(120)와 이면지(130)를 동시에 제직하되, 피치마다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위사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50)와 상기 연결부(150) 사이의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에는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위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각형 형상의 단위 셀을 갖는 직물지를 블라인드로 사용하여 은은한 실내 채광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단위 셀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나 방음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접합을 통한 단위 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하여, 접착제로 인한 환경오염과 접합상태의 분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도록 제직되므로 3차원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 접합에 필요한 노동력과 투입시간 등을 제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넷째, 블라인드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접힘부, 연결부 및 차양부를 구비하여 직물의 유연성과 동시에 형태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A FABRIC FOR WINDOW SHADES AND THE WEAVING METHOD}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열이나 음향차단효과를 가질 수 있는 블라인드용 3차원 입체형상 직물지를 하나의 직기로 제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이란 어떤 원료로부터 제조되어, 제직, 편성, 플레이팅 또는 브레이딩의 방법에 의해 구성되며, 섬유의 교차방법에 의해 펠트직물이 만들어진다.
직물의 기본적인 종류는, 직물, 편성물, 펠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로 구분할 수 있다. 협의의 직물이란 수직방향의 경사와 수평방향의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짜여진 천으로 가장 기본적인 직물 조직이다. 교차점이 많은 조직이 튼튼한 옷감을 만들며, 짜여지는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이 있다. 평직은 경사와 위사가 짜여지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촘촘하며 경사와 위사가 한 올씩 교차한다. 교차점이 많기 때문에 강도가 강하고 실의 미끄러짐이 가장 작은 직물을 생산한다. 대표적인 직물로는 프레스코 오간디, 태프타, 머슬린 등이 있다. 능직은 경사와 위사를 각각 두 올 이상씩 건너뛰어 사선이 나타나게 하는 직물이다. 약간 부드럽고 쉽게 구겨지지 않는다. 조직과 밀도에 따라 매끄럽고 치밀하며 내구성이 강하다. 종류로는 데님, 드릴, 개버딘, 트윌 등이 있다. 수자직은 경사가 네올 또는 그 이상의 위사 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매끄럽고 균일하며 광택이 있다. 종류로는 새틴, 다마스크, 애틀라스 등이 있다. 이러한 협의의 직물은 내의와 외의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한편 편성물(knitted)은 1계통의 실이 편환(loop)을 만들고, 이들 편환이 전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조합하여 편성을 구성한다. 편성물은 신속하게 제편되며, 착용하면 늘어지고 탄력성이 있다. 또한, 펠트란 1단의 섬유를 열, 습기, 압력, 타격에 의해 교차케 하여 펠트를 구성하며, 실은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트(plaited), 브레이드(braid)는 여러 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주행하며, 1계통의 실이 교차하여 요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마직막으로 부직포는 접착재료의 응용, 또는 표면의 화학작용을 통한 부착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의 열에 의해 섬유의 웹 또는 시트가 서로 부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푹신한 촉감과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입체감이 2차원적이어서 그 측면을 활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봉제나 접합으로 3차원적 입체감을 살리게 된다. 이러한 3차원적 입체감을 살려 산업용 부분에서 응용한 미국 등록특허 제3384519호에서는, 원단을 이중으로 형성시킨 후 가운데에 이동형 블레이드를 형성시킨 후 상기 원단과 블레이드를 접합이나 본딩으로 접착시켜서 사용하는 블라인드가 제안되었다. 상기 방법은 블레이드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메시형 직물을 통해 빛이 내부로 들어오고, 다시 블레이드가 수직으로 이동할 경우 빛을 차단하여 결국 광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직물의 부드러움과 메시구조를 통하여 차양을 제어하는 장점은 있으나, 블레이드와 직물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는 이유로 실내환경오염원이 될 수 있고, 나아가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외선에 의한 점착제의 물성저하로 접합상태가 저하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열효과가 높고 차광효과가 뛰어난 허니콤 구조로 형성된 블라인드는 많은 제품이 생산되고있는 실정이나, 지금까지 출시된 허니콤 구조의 블라인드는 대부분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정형태의 소재를 서로 접합하여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거나 허니콤 셀을 접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은 상기와 같이 환경오염원이 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성저하로 접합상태가 분리되는 문제점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제3384519호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직물지를 블라인드로 사용하여 은은한 실내 채광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단위 셀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나 방음효과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접합을 통한 단위 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하여, 접착제로 인한 환경오염과 접합상태의 분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도록 제직되므로 3차원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 접합에 필요한 노동력과 투입시간 등을 제거할 수 있어 경제적일 수 있는,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블라인드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절첩부, 연결부를 구비하여 직물의 유연성과 동시에 형태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은, 표면지와 이면지를 동시에 제직하되, 피치마다 상기 표면지와 상기 이면지를 위사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상기 표면지와 상기 이면지에는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위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 최초 연결부를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연결부 경사의 양단 방향으로 제1표면지와 제1이면지를 제직하는 단계와 (3) 상기 단계(2)에서 제직된 상기 제1표면지와 상기 제2이면지에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절첩부를 제직하는 단계, (4) 상기 단계(3)에서 제직된 절첩부 경사의 양단 방향으로 제2표면지와 제2이면지를 제직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4)에서 제직된 제2표면지와 제2이면지에 피치마다 연결부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시 상기 단계(2)부터 순차 반복적으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제직방법은, (1)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고 상기 표면지와 상기 이면지를 제직하는 단계와 (2)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표면지와 상기 이면지의 경사를 겹쳐서 두고, 겹쳐진 경사와 인접하는 겹쳐진 경사에 위사가 상하로 교차 반복되도록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연결부의 제직방법은, 1가닥 이상 내지 상기 표면지와 이면지 위사의 1/2이하의 위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각형 형상의 단위 셀을 갖는 직물지를 블라인드로 사용하여 은은한 실내 채광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단위 셀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나 방음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접합을 통한 단위 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하여, 접착제로 인한 환경오염과 접합상태의 분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도록 제직되므로 3차원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 접합에 필요한 노동력과 투입시간 등을 제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넷째, 블라인드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연결부와 접철부를 구비하여 직물의 유연성과 동시에 형태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 제직방법에 따라 생산된 직물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단위 셀 부분을 간략히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표면지, 이면지, 절첩부 및 연결부의 제직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연결부를 간략히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펼침 및 접힘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 제직방법에 따라 생산된 직물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단위 셀 부분을 간략히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표면지, 이면지, 절첩부 및 연결부의 제직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연결부를 간략히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펼침 및 접힘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은, 표면지(120)와 이면지(130)를 동시에 제직하되, 피치마다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위사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50)와 상기 연결부(150) 사이의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에는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위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최초 연결부(150)를 제직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연결부(150) 경사의 양단 방향으로 제1표면지(122)와 제1이면지(132)를 제직하는 단계; (3) 상기 단계(2)에서 제직된 상기 제1표면지(122)와 상기 제2이면지(132)에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절첩부(140)를 제직하는 단계; (4) 상기 단계(3)에서 제직된 절첩부(140) 경사의 양단 방향으로 제2표면지(124)와 제2이면지(134)를 제직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4)에서 제직된 제2표면지(124)와 제2이면지(134)에 피치마다 연결부(150)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시 상기 단계(2)부터 순차 반복적으로 제직하게 된다.
상술한 용어를 설명하면, 상기 최초 연결부는 최초로 제직되는 연결부를 말한다. 상기 단계(1)에서 상기 단계(5)까지 거친 후 다시 상기 단계(2)로 되돌아가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제직할 때에는, 상기 단계(2)의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연결부"의 의미는 "상기 단계(5)에서 제직된 상기 연결부"의 의미로 한다.
상기 최초로 제직되는 연결부(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부(140)와 마찬가지로 위사를 넣지않고 제직된다. 왜냐하면, 상기 최초로 제직되는 연결부(150)는 상기 절첩부(140)와 마찬가지로 접철의 기능을 가질 뿐이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최초로 제직되는 연결부(150) 이외의 상기 연결부(150)가, 위사를 넣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100)의 3차원 입체형상이 만들어 지는 것에 반해, 최초로 제직되는 연결부(150)는, 경사 양단방향으로 위사를 넣어 제직되는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가 별도의 위사를 넣는 연결작업 없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상기 표면지(1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100)의 3차원 입체형상에 있어서 전면 직물지를 말하고, 상기 이면지(130)는 상기 블라인드용 직물지(100)의 3차원 입체형상에 있어서 후면 직물지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는 3차원 입체형상의 면이 되며, 차양막의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는, 상기 연결부(150)나 상기 절첩부(140)보다 위사가 많이 사용되어 제직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50)나 상기 절첩부(140)에서 자연스럽게 절첩될 수 있어 상기 블라인드용 직물지(100)가 3차원 입체형상을 이룰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지(120)나 상기 이면지(130)는 상기 연결부(150)나 상기 절첩부(140)보다 원단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표면지(120)나 상기 이면지(130)를 2중직이나 3중직 또는 4중직 등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150)나 상기 절첩부(140)는 그보다 얇게 1중직 등으로 하여, 상기의 절첩효과와 더불어, 외부의 시선을 막아주는 기능, 햇빛을 가려주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의 두께가 두꺼우면 3차원 입체형상 내부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차단되는 효과가 커져 단열이나 방음의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절첩부(140)는,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100)에서 상기 연결부(150)와 함께 3차원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 절첩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첩부(140)와 상기 연결부(150)의 원단두께는 상기 표면지와 상기 이면지의 원단두께보다 얇게 제직하여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첩부(140)나 상기 연결부(150)에서 원단이 절곡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과 함께 설명한다.
첫째, 상기 절첩부(140)와 상기 연결부(150)의 제직밀도를 상기 표면지(120)나 상기 이면지(130)의 제직밀도보다 낮게 제직하는 방법.
둘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부(140)는, 위사가 없이 경사만으로 제직하는 방법.
셋째, 상기 절첩부(140)와 상기 연결부(150)의 위사를 상기 표면지(120)나 상기 이면지(130)의 위사보다 얇은 위사를 사용하여 제직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방법 이외에도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의 원단 두께보다 상기 절첩부(140)의 원단두께를 얇게 하여 원단이 절곡될 수 있으면 그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150)는, 3차원 입체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연결부(150)에서 3차원 입체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첫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50)에서 3차원 입체형상은, (1)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고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제직하는 단계와 (2)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의 경사(152,154)를 겹쳐서 두고, 겹쳐진 경사(152,154)와 인접하는 겹쳐진 경사(152,154)에 위사(156)가 상하로 교차 반복되도록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둘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50)에서 3차원 입체형상은, (1)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고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제직하는 단계와 (2)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의 경사(152,154)를 서로 번갈아 배치하고, 서로 번갈아 배치된 경사(152,154) 간 위사(156)가 상하로 교차되도록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셋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결부(150)에서 3차원 입체형상은,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의 상기 연결부(150)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겹쳐서, 상기 연결부(150)에 박음질을 통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세번째 방법은 상기 블라인드용 직물지(100)의 상기 표면지(120), 상기 이면지(130), 상기 절첩부(140) 및 3차원 입체형상을 위한 연결을 제외한 상기 연결부(150) 제직된 뒤에 별도로 박음질 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형성되어 펼치면 셀 내부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과 방음 등의 효과를 발생시키며, 접을 땐 절첩부에서 접혀지며 부피가 줄어들도록 동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용 직물지 제직방법으로 제직된 직물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형상의 단위 셀을 갖는 블라인드로 사용하여 은은한 실내 채광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단위 셀을 가짐으로써 단열효과나 방음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접합을 통한 단위 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하여, 접착제로 인한 환경오염과 접합상태의 분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직 자체로 단위 셀 구조를 갖도록 제직되므로 3차원 입체형상을 만들기 위해 접합에 필요한 노동력과 투입시간 등을 제거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블라인드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절첩부(140), 연결부(150) 및 차양부(120)를 구비하여 직물의 유연성과 동시에 형태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블라인드용 직물지(단면이 단위 셀로 연결되는 직물지)
110: 최상단 연결부 120: 표면지
122: 제1표면지 124: 제2표면지
130: 이면지 132: 제1이면지
134: 제2이면지 140: 절첩부
150: 연결부 152: 연결부의 표면지 경사
154: 연결부의 이면지 경사 156: 연결부의 위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표면지(120)와 이면지(130)를 동시에 제직하되,
    피치마다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위사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50)와
    상기 연결부(150) 사이의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에는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위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첩부(140)를 포함하고,
    (1) 최초 연결부(150)를 제직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연결부(150) 경사의 양단 방향으로 제1표면지(122)와 제1이면지(132)를 제직하는 단계;
    (3) 상기 단계(2)에서 제직된 상기 제1표면지(122)와 상기 제2이면지(132)에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절첩부(140)를 제직하는 단계;
    (4) 상기 단계(3)에서 제직된 절첩부(140) 경사의 양단 방향으로 제2표면지(124)와 제2이면지(134)를 제직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4)에서 제직된 제2표면지(124)와 제2이면지(134)에 피치마다 연결부(150)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시 상기 단계(2)부터 순차 반복적으로 제직하며,
    상기 연결부(150)의 제직방법은,
    (1) 피치마다 위사를 넣지 않고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를 제직하는 단계와
    (2) 상기 단계(1)에서 제직된 상기 표면지(120)와 상기 이면지(130)의 경사(152,154)를 겹쳐서 두고, 겹쳐진 경사(152,154)와 인접하는 겹쳐진 경사(152,154)에 위사(156)가 상하로 교차 반복되도록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 제직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50)의 위사(156)는, 상기 표면지(120)와 이면지(130)의 위사보다 적은 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 제직방법.
  6. 제3항의 방법에 의해 제직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
  7.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직되는, 블라인드용 직물지.
KR1020160006993A 2016-01-20 2016-01-20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KR10170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93A KR101704961B1 (ko) 2016-01-20 2016-01-20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93A KR101704961B1 (ko) 2016-01-20 2016-01-20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961B1 true KR101704961B1 (ko) 2017-02-08

Family

ID=5815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993A KR101704961B1 (ko) 2016-01-20 2016-01-20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9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4519A (en) 1963-10-28 1968-05-21 Griesser Ag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ous cloth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same
KR20100115605A (ko) * 2009-04-20 2010-10-28 류일선 허니콤 구조를 갖는 창가리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4519A (en) 1963-10-28 1968-05-21 Griesser Ag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ous cloth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same
KR20100115605A (ko) * 2009-04-20 2010-10-28 류일선 허니콤 구조를 갖는 창가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463B2 (ja)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KR101562043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58754B (zh) 三维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1596239B1 (ko) 빛반사기능과 차광기능을 갖는 에너지절감형 이중직물 및 그 제직방법
KR10116093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4961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와 그 제직방법
KR101060719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870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9293B1 (ko) 원단,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원단을 이용한 차광 구조물
KR101140791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8334B1 (ko) 망사 허니콤 블라인드
JP5220798B2 (ja) メッシュ織物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KR102170511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JP4979161B2 (ja) プリーツ加工に適した複合繊維ネット
KR101060721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353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9357B1 (ko)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91746B1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갖는 입체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KR20100104956A (ko)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29625A (ja) 嵩高蜂巣織物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