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20B1 -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20B1
KR100991820B1 KR1020070101002A KR20070101002A KR100991820B1 KR 100991820 B1 KR100991820 B1 KR 100991820B1 KR 1020070101002 A KR1020070101002 A KR 1020070101002A KR 20070101002 A KR20070101002 A KR 20070101002A KR 100991820 B1 KR100991820 B1 KR 10099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film
transparent
films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949A (ko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우 filed Critical 박재우
Priority to KR102007010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투시막(30)(40) 각각에 경사, 위사 제직부(32)(42)를 등 간격 형성하여 상부 제직부와 하부 제직부 사이에 경사만 표출되도록 하되,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 상단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에 순차적으로 제직 되도록 하여 제1,2투시막(30)(40) 제직부(32)(42) 상 하단을 제3경사(51)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이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제직단계와; 상기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상 하단을 연결하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 절단부(51a)를 절단하여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가 분리되도록 하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분리단계를 거쳐 블라인드 타입 커튼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 원가절감 , 생산성 향상, 투시막의 투시 모아레 현상 상쇄, 미려한 외관 등의 효과를 가지는 블라인드 커튼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블라인드, 경사, 위사, 투시막, 불투시막

Description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manufacture method of blind a curtain and blind a curtain}
본 발명은 양측 투시막 사이에 수개의 불투시막이 구성되는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투시막과 불투시막을 경사, 위사의 제직으로 일체화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블라인드 커튼지의 생산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투시막에 대한 투시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 되지 않아 상품성이 우수함은 물론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블라인드 커튼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삼중 구조(양측 투시막, 불투시막)의 블라인드 커튼지는 커튼지 상단은 지지대 내의 권취봉에 연결되고 하단에는 중량체가 장착되어 권취봉의 정,역회전으로 창문 등을 완전 또는 일부 개폐하는 롤 스크린 커튼지 종류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두 장의 투시막이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배열되고, 상기 양측 투시막 사이에 수 개의 불투시막이 등 간격 마련된 다음 불투시막 양 끝 단이 양측 투시막과 일체화된 것이며, 그 작용은 양측 투시막 중 어느 하나를 들어올려 불투시막이 투시막에 대하여 직교방향이 되도록 하면 투시막을 통해 투시할 수 있게 되고, 또 들어 올려진 일측 투시막을 내려 양측 투시막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면서 불투시막을 투시막과 거의 평행되게 하면(불투시막의 경사각을 수직에 가깝게 하면) 불투시막이 투시막 전부를 가리게 되어 투시막을 통한 투시는 차단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의 블라인드 커튼지는 일측 투시막의 들어 올려지는 정도에 따라 투시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측 투시막을 적게 들어올리면 투시막 사이의 불투시막 경사각이 완만하게 되어 투시막 일부를 가리게 되고, 반대로 일측 투시막을 많이 들어올리면 불투시막 기울기가 급하게 되어 투시막 대부분을 가리게 되므로 일측 투시막의 들어 올려지는 정도에 따라 투시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블라인드 커튼지는 대부분 투시막과 불투시막의 연결을 접착제 혹은 열 접착방식으로 하기 때문에 그 연결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인력의 낭비도 커 생산 원가가 상승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투시막과 불투시막의 연결부분이 온도 변화, 직사광선, 습도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초래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투시막과 불투시막을 경사, 위사의 연결로 일체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기는 하나, 이 방법은 투시막과 불투시막의 연결에 대한 원시적 문제점은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경사, 위사의 연결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직 후 실제로 블라인드 커튼지화(불투시막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난이 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블라인드 커튼지는 투시막을 망 형태로 하였기 때문에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그 외관이 너무 단조로워 실내 인테리어 기능까지 요구되는 커튼으로는 미흡하였으며, 나아가 양측 투시막 사이의 불투시막 상면에 이물질(파리와 같은 곤충, 먼지 등)이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기가 매우 난이 하였는데, 그 이유는 투시막이 망 형태이기 때문에 투시막 사이의 불투시막 상면으로 손을 비롯한 이물질제거기구 도입을 오직 커튼지 끝단을 통해서만 할 수 있기 때문이고,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방식은 커튼지 폭이 넓을 경우에는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일반적인 블라인드 커튼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외관도 보다 미려하게 되는 새로운 개념의 블라인드 커튼지를 제안하고자 함을 해결과제로 하여 발명된 것이다.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은,
제1경사(31) 및 제2경사(41) 그리고 제1,2경사(31)(41) 사이의 제3경사(51)에 각각 위사를 투입하여 경사, 위사의 평직으로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을 제직하는 것에 있어서,
제1,2투시막(30)(40) 각각에 경사, 위사 제직부(32)(42)를 등 간격 형성하여 상부 제직부와 하부 제직부 사이에 경사만 표출되도록 하되,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 상단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에 순차적으로 제직 되도록 하여 제1,2투시막(30)(40) 제직부(32)(42) 상 하단을 제3경사(51)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이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제직단계와;
상기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상 하단을 연결하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 절단부(51a)를 절단하여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가 분리되도록 하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분리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에서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에 제직 되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부에 제직될 때 위사 여러 가닥을 건너 띄게 제직 되도록 하여 제2투시막(40) 외부로 노출되는 제3경사(51)의 절단 부(51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블라인드 커튼지는,
제1,2투시막(30)(40) 사이에 수개의 불투시막(50)이 등 간격 마련되어 각 불투시막(50) 양단이 제1,2투시막(30)(40)과 일체화되는 것에 있어서, 제1,2투시막(30)(40) 각각에 경사, 위사 제직부(32)(42)가 등 간격 형성되어 상기 각 제직부(32)(42) 사이에 여러 가닥의 제1경사(31) 또는 제2경사(41)만이 표출되고, 상기 제1,2투시막(30)(40) 사이의 불투시막(50) 상단은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에, 하단은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에 제직에 의해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되고, 또한 상기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사이에 표출되는 제1경사(31) 또는 제2경사(41) 중앙부에 여러 가닥의 위사를 제직한 위사제직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설명하였지만 위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제1,2투시막(30)(40)을 제직부(32)(42)에만 위사를 투입하여 제직하므로 기초불라인드 커튼지(10) 제조에 대한 위사 절감(=원가절감)과 그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를 생산한 다음 불투시막(50) 제직용 제3경사(51)의 절단부(51a)만을 절단함으로써 완성된 블라인드 커튼지(2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며, 나아가서는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을 제직으로 일체화하므로 그 일체부에 대한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수명이 오래가는 블라인드 커튼지(20)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1,2투시막(30)(40)의 투시작용이 여러 가닥의 제1경사(31) 혹은 제2경사(41) 사이 공간 및 경사군(G) 사이 공간에 의해 투시되므로 투시에 대한 모아레 현상이 없어짐과 동시에 불투시막(50) 상면에 벌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경사 사이로 이물질제거기구를 용이하게 투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위생적인 블라인드 커튼지(20)를 제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투시막(30)(40)이 종래와 같이 망 형상이 아닌 머리빗 형태(경사만 표출되도록 한 것)로 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고 심플하게 되는 효과도 있으며, 또한 상기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사이에 표출되는 제1경사(31) 또는 제2경사(41) 중앙부에 여러 가닥의 위사를 제직한 위사제직부(60)를 형성하면 위 경사(31)(41)들을 일체화하면서도 투시의 작용은 그대로 유지되는 투시막(30)(40)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그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1,2투시막(30)(40)을 제1,2경사(31)(41)로 제직하되, 그 제직부(32)(42)에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 제직되도록 함으로써 제1,2투시막(30)(40) 및 불투시막(50)을 일체화할 수 있는데,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및 불투시막(50)의 경사,위사 제직 구조는 하기와 같이 된다.
제1투시막(30) 또는 제2투시막(40)의 제직부(32)(42)는 첨부도면 도 6에서와 같이 제1경사(31) 혹은 제2경사(41) 여러 가닥이 한 조로 되는 경사군(G)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위사와 제직되면서 상기 경사군(G) 사이에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가 제직되는 구조로 되고, 불투시막(50)은 제1투시막(30) 또는 제2투시막(40)의 제직부(32)(42)를 거치는 제3경사(51)와 위사로 제직되는 구조로 된다.
여기서 제1투시막(30) 또는 제2투시막(40)의 제직부(32)(42)를 구성하는 경사군(G)의 제1경사(31) 혹은 제2경사(41)와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 개수와 간격은 제직할 때 얼마든지 조절가능하나, 제1경사 또는 제2경사의 간격과 개수는 제1,2투시막(30)(40)이 투시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이어야 할 것이며, 그 반면에 불투시막(50)은 불투시 작용을 발휘하여야하므로 위사를 조밀하게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2투시막(30)(40) 각각에 제직부(32)(42)를 등 간격 형성하여 제직부 사이에 제1경사(31) 또는 제2경사(41)만 표출되도록 하면 투시막(30)(40)의 투시 작용이 제1경사(31) 혹은 제2경사(4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루 어지게 되고, 또 본 발명은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에 순차적으로 제직함으로써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의 일체화를 달성하므로 일체화가 용이함은 물론 그 일체부(제직부)도 견고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을 일체화한 후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를 통과하는 제3경사(51)를 절단하면 제1,2투시막(30)(40) 사이에서 불투시막(50)이 유동(수평 혹은 근 수직)할 수 있는 블라인드 커튼지(20)를 제조할 수 있는데, 위 제1,2투시막(30)(40) 분리 단계는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연결을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 상단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을 동일 선상에 위치한 다음 그 상,하단을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로 연결함으로써 절단 위치가 쉽게 설정되는 제3경사(51)의 절단부(51a)를 절단하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에서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에 제직 되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부에 제직할 때 제2투시막(40)의 위사 여러 가닥을 건너 띄게 제직하면 제3경사(51)의 절단부(51a)를 제2투시막(40) 외부로 노출할 수 있게 되어 제3경사(51)의 절단을 보다 신속,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 즉,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제직 단계와 분리단계 를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커튼지(20)는,
제1투시막(30) 제직용 제1경사(31) 및 불투시막(50) 제직용 제3경사(51)가 함께 제직된 제직부(32)가 등 간격 형성되어 상,하 제직부 사이에 여러 가닥의 제1경사(31)만 표출되는 제1투시막(30)과; 제2투시막(40) 제직용 제2경사(41) 및 불투시막(50) 제직용 제3경사(51)가 함께 제직된 제직부(42)가 등 간격 형성되어 상,하 제직부 사이에 여러 가닥의 제2경사(41)만 표출되는 제2투시막(40)과; 불투시막(50) 제직용 제3경사(51)가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에 제직됨으로써 상단은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와, 하단은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와 일체화되는 불투시막(50)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예시로서,
(가)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 측면 계략도(이해를 돕기 위해 양측 투시막의 간격을 실제보다 크게 도시하였음)
(나)는 블라인드 커튼지 측면 계략도
(다)는 (나)의 작용예시도
도 2의 (가)는 도 1의 (가) 일부분 확대 예시도로서 제3경사의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
(나)는 도 1의 (가) 일부분 확대 예시도로서 제1,2경사의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다)에 대한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투시막 일부 정면 예시도
(나)는 (가)의 또 다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또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투시막의 제직부 확대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불투시막 일부 확대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초블라인드 커튼지 20 : 블라인드 커튼지
30 : 제1투시막 31 : 제1경사
32 : 제직부 40 : 제2투시막
41 : 제2경사 42 : 제직부
50 : 불투시막 51 : 제3경사
51a : 절단부 60 : 위사제직부
G : 경사군

Claims (4)

  1. 제1경사(31) 및 제2경사(41) 그리고 제1,2경사(31)(41) 사이의 제3경사(51)에 각각 위사를 투입하여 경사, 위사의 평직으로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을 제직하는 것에 있어서,
    제1,2투시막(30)(40) 각각에 경사, 위사 제직부(32)(42)를 등 간격 형성하여 상부 제직부와 하부 제직부 사이에 경사만 표출되도록 하되,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 상단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에 순차적으로 제직 되도록 하여 제1,2투시막(30)(40) 제직부(32)(42) 상 하단을 제3경사(51)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2투시막(30)(40)과 불투시막(50)이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제직단계와;
    상기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상 하단을 연결하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 절단부(51a)를 절단하여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가 분리되도록 하는 기초블라인드 커튼지(10)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에 제직 되는 불투시막(50)의 제3경사(51)를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 하단부에 제직될 때 위사 여러 가닥을 건너 띄게 제직 되도록 하여 제2투시막(40) 외부로 노출되는 제3경사(51)의 절단부(51a)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3. 제1,2투시막(30)(40) 사이에 수개의 불투시막(50)이 등 간격 마련되어 각 불투시막(50) 양단이 제1,2투시막(30)(40)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제1,2투시막(30)(40) 각각에 경사, 위사 제직부(32)(42)를 등 간격 형성하여 상기 각 제직부(32)(42) 사이에 여러 가닥의 제1경사(31) 또는 제2경사(41)만이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2투시막(30)(40) 사이의 불투시막(50) 상단은 제1투시막(30)의 제직부(32)에, 하단은 제2투시막(40)의 제직부(42)에 제직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커튼지.
  4. 제 3항에 있어서, 제1,2투시막(30)(40)의 제직부(32)(42) 사이에 표출되는 제1경사(31) 또는 제2경사(41) 중앙부에 여러 가닥의 위사를 제직한 위사제직부(60)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커튼지.
KR1020070101002A 2007-10-08 2007-10-08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KR10099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002A KR100991820B1 (ko) 2007-10-08 2007-10-08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002A KR100991820B1 (ko) 2007-10-08 2007-10-08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49A KR20090035949A (ko) 2009-04-13
KR100991820B1 true KR100991820B1 (ko) 2010-11-04

Family

ID=4076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002A KR100991820B1 (ko) 2007-10-08 2007-10-08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93B1 (ko) 2009-12-03 2012-04-20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275675B1 (ko) 2012-04-05 2013-06-17 류일선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37129A (ko) 2015-09-25 2017-04-04 김승영 전면에 밴드를 갖는 입체형상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CN108603314A (zh) * 2016-02-09 2018-09-28 阿尔巴尼复合物工程股份有限公司 使用多个经线柱和综丝柱织造多层产品
KR102115593B1 (ko) * 2019-03-27 2020-05-26 주식회사 나경 베네시안 블라인드용 블라인드 슬레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베네시안 블라인드용 블라인드 슬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91B1 (ko) * 2009-11-23 2010-10-18 김옥자 일측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988592B1 (ko) * 2009-11-23 2010-10-18 김옥자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012543B1 (ko) * 2010-05-25 2011-02-07 신장희 전모 공정이 포함된 결속띠가 없는 다층 블라인드 및 그 제직방법
KR101220582B1 (ko) * 2012-07-17 2013-01-10 김상웅 셔틀콕용 날개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41A (ja)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JP2006336146A (ja) 2005-06-02 2006-12-14 Braun Kk 立体織物
KR100815577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9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41A (ja)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JP2006336146A (ja) 2005-06-02 2006-12-14 Braun Kk 立体織物
KR100815577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9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93B1 (ko) 2009-12-03 2012-04-20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KR101275675B1 (ko) 2012-04-05 2013-06-17 류일선 로만셰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37129A (ko) 2015-09-25 2017-04-04 김승영 전면에 밴드를 갖는 입체형상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CN108603314A (zh) * 2016-02-09 2018-09-28 阿尔巴尼复合物工程股份有限公司 使用多个经线柱和综丝柱织造多层产品
KR102115593B1 (ko) * 2019-03-27 2020-05-26 주식회사 나경 베네시안 블라인드용 블라인드 슬레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베네시안 블라인드용 블라인드 슬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49A (ko) 200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20B1 (ko) 블라인드 커튼지 제조방법 및 그 커튼지
KR100893364B1 (ko) 블라인드 커튼지 제직방법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8008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1257305B1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JP5312500B2 (ja) 遮光用ブライ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1330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1137485B1 (ko) 차광부와 채광부로 구성된 블라인드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6336146A (ja) 立体織物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0791759B1 (ko) 다양한 형상의 타공 무늬를 갖는 이중 롤 블라인드
KR101572141B1 (ko) 삼중구조 블라인드원단 직조방법 및 그 블라인드원단
KR101373937B1 (ko) 블라인드 커튼지 및 그 제직방법
KR101170021B1 (ko) 블라인드 커튼지
KR101318073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KR101253526B1 (ko)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용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70026B1 (ko)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용 커튼지
KR101157789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20120108115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지와 그 제조방법
KR102081072B1 (ko) 콤비 블라인드
JP2011231420A (ja) メッシュ織物
KR101156515B1 (ko) 콤비커튼용 원단 및 그 직조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커튼지
KR20130086444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0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