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52B1 -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52B1
KR101924452B1 KR1020170067333A KR20170067333A KR101924452B1 KR 101924452 B1 KR101924452 B1 KR 101924452B1 KR 1020170067333 A KR1020170067333 A KR 1020170067333A KR 20170067333 A KR20170067333 A KR 20170067333A KR 101924452 B1 KR101924452 B1 KR 10192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combi
warp yarns
opening
shie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남
성한경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제일윈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윈도텍스 filed Critical (주)제일윈도텍스
Priority to KR102017006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제직기에서 복수개로 배열된 경사를 일측 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로 구분 후 위사를 교차시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차광부와 망사부가 교대로 반복되는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동시 제작하면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경사는 제직되지 않고 일지점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에서만 고정 또는 걸리게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로 구성하여 마주보는 일측 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 간의 사행도와 빛샘현상을 줄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과 이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햇빛 차단을 위한 차광부 및 햇빛을 받아 들이기 위한 망사부가 교대로 일체 제직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상기 경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마주보게 일체 제직된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간 차광부의 개폐 작동을 위해 연결된 비제직구간부를 포함하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로 구성한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와 그 제직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One batch woven combination blind fabric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mbination roll blind using the one batch woven combination blind fabrics}
본 발명은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하나의 제직기에서 2개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동시 제직하면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경사를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로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사행도 문제를 해결하면서, 빛샘 현상을 줄이고, 제품제조의 편이성과 효율성을 개선한 콤비 블라인드지와 그 일체 제직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에는 차광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블라인드(blind)의 종류로는 버티컬 블라인드,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 로만 쉐이드, 롤 블라인드 등이 있는데, 이러한 블라인드는 다양한 다양한 방법으로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롤 블라인드는 설치 및 사용의 간편함으로 인해 사무실이나 가정등에서 커튼 대신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 작동 구조는 상부의 조정 박스의 롤을 감으면 원단이 감아 올라가면서 차광이나 통풍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롤 블라인드 중 최근에는 채광 및 통풍이 가능한 망사부와 차광 목적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차광부가 일정 폭으로 반복되는 콤비 블라인드지 원단을 구성한 콤비 롤 블라인드가 많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콤비 롤 블라인드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위치시킨 후 필요에 따라 콤비 블라인드지의 망사부 및 차광부간의 겹치는 정도에 따라 차광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콤비 롤 블라인드는 다시 제작 방식에 따라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한 종류는 한 장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제직후 하부의 중량봉을 중심으로 승하강시켜 전면과 후면에 위치한 각 망사부 및 차광부간의 겹침 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콤비 롤 블라인드가 있다.
또 다른 종류는 각각 제직된 마주보는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와 각 콤비 블라인드지간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망사형태 이음막 을 각각 트리플 쉐이드 방식으로 전후면의 콤비 블라인드지와 일체로 제직하고,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 중 어느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 하부에만 중량봉을 설치한 후 승강줄을 이용하여 승하강시키게 구성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는 승하강 작동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로부터 이음막을 통해 장력이 인가될때만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이음막의 장력 인가방향이 상부 또는 하부인지 여부에 따라 각 망사부 및 차광부간의 겹침 정도가 조절하도록 구성한 콤비 롤 블라인드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콤비 롤 블라인드는 한 장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두겹으로 겹쳐서 제작하기 때문에, 사행도(틀어짐) 현상이 발생할 경우 두 장을 겹칠 때 망사부와 차광부가 똑같이 일치하지 않는 불량발생 원인이 있었고, 원단 두장을 겹치기 때문에 일체형 제직보다 제작 원가가 더 들며, 제품 제작시 원단 두 장을 재단하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일체형 원단보다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 제직된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에 망사형태 이음막을 트리플 쉐이드 방식으로 제작하는 경우, 중간의 이음막 부분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임에도 필요 이상으로 제직되어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고, 경사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층간분리를 위해 반드시 후공정을 통해 층분리가 되는 경사를 끊어내거나, 샤링공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38517(2016.07.05.)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57305(2013.04.17.)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26569(2011.03.25.)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34514(2014.11.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제직기에서 복수개로 배열된 경사를 일측 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로 구분 후 위사를 교차시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차광부와 망사부가 교대로 반복되는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동시 제작하면서, 어느 하나 이상의 경사는 제직되지 않고 일지점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에서만 고정 또는 걸리게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로 구성하여 마주보는 일측 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 간의 사행도와 빛샘 현상을 줄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 제직된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 중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하부에만 중량봉을 설치하여 승하강시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고리부가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일 구간의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의 비제직구간부를 움직이면서 차광 또는 채광 상태가 반전되도록 구성된 콤비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 제직된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 중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하부에만 중량봉을 설치하여 승하강시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고리부가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일 구간의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의 비제직구간부를 움직이면서 차광 또는 채광 상태가 반전되도록 구성된 콤비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햇빛 차단을 위한 차광부 및 햇빛을 받아 들이기 위한 망사부가 교대로 일체 제직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상기 경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마주보게 일체 제직된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간 차광부의 개폐 작동을 위해 연결된 비제직구간부를 포함하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로 구성하되,
상기 비제직구간부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와는 일정 간격의 차광부마다 위사와 제직된 고정부에서 고정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와는 일정 간격의 차광부마다 위사가 형성한 고리부를 통과하여 움직일 수 있게 반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경사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를 중심으로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로 그룹화하여 연속으로 반복 배열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끝까지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또는 걸림이 반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일정 길이까지만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길이는 위사와 제직하되, 고정 및 걸림 작용이 끝난 지점부터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의 경사가 개폐작동용 경사로 사용되어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고, 상기 고리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되 마주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 중앙부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의 차광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양태로, 하나의 제직기에 콤비 블라인드지의 폭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경사를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배열된 경사들 중 복수개의 경사들을 선택하여 가운데를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로 분류하고, 이를 기준으로 양측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경사로 분류하여 단위 그룹화하는 단계와;
이후 제직기에서 위사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경사 중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를 번갈아 선택하여 차광부와 망사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2장의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동시 제직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후 제직기가 일측 및 타측 콤비블라인드지에 차광부 및 망사부를 각각 일체 제직하면서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는 제직하지 않고 비제직구간부로 남겨 놓는 단계와;
이후 제직기가 상기 단계를 수행하면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정 간격 차광부마다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를 선택하여 위사와 교차 제직하여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이후 제직기가 상기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고정부 형성 위치와 일정 간격 떨어진 마주보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정 간격 차광부마다 위사가 일 지점의 경사와 선택된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를 건너 띄어 타 지점 경사와 제직시켜 고리부를 형성하여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가 고리부에 걸려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이후 상기 제직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분류된 경사의 단위 그룹은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를 중심으로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로 그룹화하여 연속으로 반복 배열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끝까지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또는 걸림이 반복되도록 제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일정 길이까지만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길이는 위사와 제직하되, 고정 및 걸림 작용이 끝난 지점부터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의 경사가 개폐작동용 경사로 사용되어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제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고, 상기 고리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되 마주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 중앙부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의 차광부에 형성되게 제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제직시 단빔 또는 이중빔으로 구성하여 제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구비한 후, 권취롤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된 체결부에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각각 고정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하단에는 중량봉을 설치하며, 권치롤의 일측단에는 블라인드 케이스에 축결합된 권치롤을 회전시키는 승강줄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권취롤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 중 먼저 감기는 쪽 체결부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고정시키고, 나중에 감기는 쪽 체결부에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2개의 콤비 블라인드지가 동시에 일체로 제직됨으로서 사행도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원단의 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원단 생산원가가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이를 사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제작과정에서의 생산성과 작업성이 개선되었다는 장점과,
또한 일체 제직시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간을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를 일체 제직하여 연결함으로써 종래 트리플 쉐이드방식으로 다층직원단을 제직시 교차되는 경사(중간에 사용되는)를 끊어내는 필수 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성과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는 장점과,
또한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는 사행도가 거의 없는 고품질의 콤비 블라인드지 2장을 겹쳐서 제작함으로써 빛샘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블라인드의 품질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의 그룹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의 경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및 위사 간의 위치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제직구간부에서의 경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및 위사 간의 위치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에서의 경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및 위사 간의 위치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의 제조방법 순서를 보인 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채광상태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차광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의 그룹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의 경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및 위사 간의 위치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제직구간부에서의 경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및 위사 간의 위치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에서의 경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및 위사 간의 위치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제직기에서 경사(100)와 위사(200)를 교차시켜 햇빛 차단을 위해 조밀하게 제직된 차광부(300)와 햇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성기게 제직된 망사부(400)가 교대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동시에 평직으로 일체 제직된다. 차광부(300)의 면적 즉, 상하 높이는 보통 망사부(400) 면적 즉, 상하 높이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 않고 동일 높이 즉, 동일 면적을 가질 경우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거나 마주보는 간격이 클 경우 빛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직시 상기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간에는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제직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가 형성되어 마주보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간을 연결하면서 각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차광부(300)와 망사부(400)를 반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수단으로 사용되게 구성된다.
제직기로 상기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를 일체 제직시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빔 또는 이중빔 중 어느 것을 사용해 제직해도 상관 없다. 이하 설명시 일반적인 제직기 구성이나 평직 제직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는 위사(200)와 제직되지 않은 비제직구간부(31)로 구성되되, 상기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는 일정 간격의 차광부(300) 마다 위사(200)와 제직된 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와는 일정 간격의 차광부(300) 마다 위사(200)가 형성한 고리부(21)를 통과하여 움직일 수 있게 반복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2)의 형성 간격은 이웃하는 연속된 차광부(300)마다 형성하지 않고 적어도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순번에 형성된 차광부(300)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차광부(300)를 건너뛰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21)의 간격도 이웃하는 연속된 차광부(300)마다 형성하지 않고 적어도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순번에 형성된 차광부(300)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차광부(300)를 건너뛰어 형성할 수 있다. 단, 마주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에 형성된 고정부(32)와 고정부(32) 사이 중앙부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의 차광부(30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체 제직된 콤비블라인드지는 최소한 5개의 경사(100)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가운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기준으로 좌우로 나뉘어져 일측 2개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제직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제직한다. 여기서 제직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경사(100)와 위사(200)가 하나씩 교차되는 평직으로 제직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제직기에서 5개의 경사(100) 중 2개의 경사(100)를 선택하여 위사(200)를 교차시켜 평직으로 제직한 후, 다시 타측 2개의 경사(100)를 선택하여 위사(200)를 교차시켜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상하로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를 동시에 분리 제직하게 된다.
이처럼 하나의 제직기에서 동시에 상부와 하부에 콤비 블라인드지를 제직하게 되면 마주보는 콤비 블라인드지간에 사행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설사 일부 사행도가 발생하더라도 거의 동일한 사행도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마주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차광부(300)와 망사부(400) 간에 빛샘현상 발생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콤비 롤 블라인드 제작시 콤비 블라인드지간에 사이 간격을 두지 않고 겹침 방식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더욱더 제작시 품질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는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동시 제직시 대부분의 위사(200)와 제직하지 않아 대부분이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간에 경사(100) 형태로 남아 있게 된다.
다만,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는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간을 상하로 움직여 차광 또는 채광 상태로 반전시키기 작동을 해야 하므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에 반복 형성된 차광부(300) 일지점마다 위사(200)와 제직하여 고정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에 반복 형성된 차광부(300) 일지점마다 경사(100)와 제직되지 않은 위사(200)가 형성한 고리부(21) 틈새를 통해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반복 제직된다.
이를 위해 차광부(300) 일지점에 고정시 일측 2개의 경사(100)에 위사(200)를 교차시킬 때 같이 함께 선택하여 제직하여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에 고정시키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에 걸리게 할때는 타측 2개의 경사(100)와 함께 선택하여 제직하지 않고 위사(200)를 통과시켜 고리부(21)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위사(200)에 제직되어 고정되지 않고 걸림상태로지지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경사(100)와 제직되지 않고 통과한 위사(200)는 이웃하는 타측 블라인드지용 경사(100)와 제직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고리부(21)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에 형성된 고정부(32)와 고정부(32) 사이 비제직구간부(31)간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실시예에서는 5개의 경사(100)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가운데 위치한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기준으로 일측 2개의 경사(100)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제직하고, 타측 2개의 경사(100)는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제직시. 이와 같이 배열된 경사 그룹을 전체 경사(100)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연속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1개의 그룹을 구성하는 경사(100)는 5개만 고정된 것이 아니고 더 많은 숫자의 경사(100)를 묶어서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중심으로 좌우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100)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100)로 그룹화하여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룹화 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100) 구간은 그냥 위사(200)와 교차하여 제직하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중심으로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100)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100)로 그룹화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화 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100) 구간은 그냥 위사(200)와 교차하여 제직하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모든 경사(100)를 그룹화하여 연속배열하면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의 개수가 조밀하게 형성되게 되고, 그렇지 않고 일부 경사(100)들만 그룹화하여 배열하면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가 듬성 듬성 성기게 형성되게 되고, 임의의 위칭에 배열하면 해당 경사(100)에서만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경사(100)의 그룹화 배열 구성은 제작시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가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간의 차광부(300) 및 망사부(400) 겹침을 반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장력만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는 끝까지 고정부(32)와 고리부(21)를 통한 고정 또는 걸림이 반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정 길이까지만 고정부(32)와 고리부(21)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길이는 위사(200)와 보통의 평직방식으로 제직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및 걸림이 중단된 지점부터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의 경사(100)가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로 사용되어 고정부(32)와 고리부(21)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 중 하나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에 의한 장력을 균일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일체 제직된 콤비블라인드지는 고리부(21)가 형성된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를 승하강 시키게 되면 고리부(21)가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고정시킨 일측 콤비블라인드지의 고정부(32)와 고정부(32) 사이 구간의 비제직구간부(31)를 움직이게 되며, 이때 차광부(300)와 망사부(400) 간의 반전이 일어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의 제조방법 순서를 보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 제직 방법은, 하나의 제직기에서 제직을 위해 복수개로 배열된 경사(100)를 일측 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100)로 구분 후 위사(200)를 교차시켜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차광부(300)와 망사부(400)가 교대로 반복되는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를 동시 제작하면서, 배열된 경사(100) 중 일정 간격 또는 임의 간격에 위치한 경사(100)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로 구성하여 차광부(300) 및 망사부(400)로 제직하지 않다가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에 반복 형성된 차광부(300) 일지점마다 위사(200)와 제직하여 고정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에 반복 형성된 차광부(300) 일지점마다 경사(100)와 제직되지 않은 위사(200)가 형성한 고리부(21) 틈새로 통과시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반복 제직하여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로 사용토록 구성하여 사행도와 빛샘현상을 줄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방법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하나의 제직기에 콤비 블라인드지의 폭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경사(100)를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가진다.(S10)
이후 배열된 경사(100)들 중 복수개의 경사(100)들을 선택하여 가운데는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용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준으로 일측 경사(100)들은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분류하고 타측 경사(100)들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분류하여 경사(100)를 단위 그룹화하는 단계를 가진다.(S20)
이후 제직기에서 위사(200)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경사(100) 중 일측 경사(100)와 타측 경사(100)를 번갈아 선택하여 차광부(300)와 망사부(400)가 교대로 형성되는 2장의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의 동시 제직을 시작하는 단계를 가진다.(S30)
이후 제직기가 일측 및 타측 콤비블라인드지에 차광부(300) 및 망사부(400)를 각각 일체 제직하면서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3)는 제직하지 않고 비제직구간부(31)로 남겨 놓는 단계를 가진다.(S40)
이후 제직기가 상기 S40 단계를 수행하면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의 일정 간격 차광부(300)마다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3)를 선택하여 위사(200)와 교차 제직하여 고정부(32)를 형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S50)
이후 제직기가 상기 S40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고정부(32) 형성 위치와 일정 간격 떨어진 마주보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의 일정 간격 차광부(300)마다 위사(200)가 일 지점의 경사(100)와 선택된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3)를 건너 띄어 타 지점 경사(100)와 제직시켜 고리부(21)를 형성하여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3)가 고리부(21)에 걸려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가진다.(S60)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 고리부(21)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에 형성된 고정부(32)와 고정부(32) 사이 비제직구간부(31)간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S40 내지 S60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가진다.(S70)
이후 상기와 같이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되어 제직된 후 경사(100)의 시작부와 끝단부를 잘라 서로간을 분리하는 단계를 거치면 2장의 콤비 블라인드지가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3)에 의해 연결된 일체 제직 콤비 블라인드지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S20 단계에서 분류된 경사(100)의 단위 그룹은 전체 경사(100)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연속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1개의 그룹을 구성하는 경사(100)는 5개만 고정된 것이 아니고 더 많은 숫자의 경사(100)를 묶어서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기준으로 나머지 경사(100)를 그룹화하여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룹화 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100) 구간은 그냥 위사(200)와 교차하여 제직하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를 기준으로 나머지 경사(100)를 그룹화한 후 임의의 위치에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화 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100) 구간은 그냥 위사(200)와 교차하여 제직하면 된다.
또한 제직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빔 또는 이중빔으로 구성하여 제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직과정에서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는 끝까지 고정부(32)와 고리부(21)를 통한 고정 또는 걸림이 반복되도록 제직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길이까지만 고정부(32)와 고리부(21)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길이는 위사(200)와 보통의 평직방식으로 제직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및 걸림이 중단된 지점부터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의 경사(100)가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로 사용되어 고정부(32)와 고리부(21)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 중 하나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에 의한 장력을 균일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2)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300)마다 구성하고, 상기 고리부(21)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300)마다 구성하되 마주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에 형성된 고정부(32)와 고정부(32) 사이 중앙부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의 차광부(300)에 형성하게 제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채광상태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의 차광상태로의 전환 작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비 롤 블라인드는 상기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구비한 후,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 고정부(32)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 체결부(41)가 형성된 권취롤(4)에 각각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체결부(41)간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게 형성하면 차광부(300) 조절범위를 크게 가질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권취롤(4)에 형성된 체결부(41) 중 먼저 감기는 쪽 체결부(41)에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를 고정시키고, 나중에 감기는 쪽 체결부(41)에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를 고정시킨다.
또한 중량봉(5)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 하부에만 설치하여 장력이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에 인가되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권취롤(4) 일측단에 형성되는 승강줄(6)을 풀거나 잡아당길 때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작동의 주체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끝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블라인드 케이스(미도시됨)에 축결합된 권취롤(4)의 일측단에 설치된 승강줄(6)을 돌리면 권치롤이 회전하면서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먼저 감기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승시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감길 때 권취롤(4)의 타지점에 고정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는 권취롤(4)에 감기기 전까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와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에 형성된 고리부(21)는 일측 콤비블라인드지의 고정부(32)와 고정부(32) 사이에 형성된 비제직구간부(31)를 움직이면서 마주하는 차광부(300) 간의 개폐 면적을 조절하게 된다. 즉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가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망사부(400)를 가리게 되면 차광부(300) 면적이 커지면서 차광 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반대의 경우 채광면적이 늘어나게 되면서 조절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권치롤에 겹쳐져서 감긴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를 끝까지 풀 경우 먼저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가 권치롤에서 완전 풀리면서 아직 권취롤(4)에서 감긴채로 회전하고 있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와 이격되어 멀어지게 된다.
이후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도 완전히 권취롤(4)에서 풀리게 되면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간은 차광 상태 또는 채광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 승강줄(6)을 감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가 권취롤(4)에 감기면서 타측 콤비블라인드지와 겹치지 전까지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3)의 비제직구간부(31)를 통해 고리부(21)가 승강하면서 차광 또는 채광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시 본 발명에 따른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1)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2)는 일체 제직된 관계로 사행도가 적게 발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빛샘 발생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차광 또는 채광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 (2) :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
(3) :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 (4) : 권취롤
(5) : 중량봉 (6) : 승강줄
(21) : 고리부 (31) : 비제직구간부
(32) : 고정부 (41) : 체결부
(100) : 경사 (200) : 위사
(300) : 차광부 (400) : 망사부

Claims (13)

  1. 경사와 위사를 교차시켜 햇빛 차단을 위한 차광부 및 햇빛을 받아 들이기 위한 망사부가 교대로 일체 제직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상기 경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마주보게 일체 제직된 일측 및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간 차광부의 개폐 작동을 위해 연결된 비제직구간부를 포함하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로 구성하되,
    상기 비제직구간부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와는 일정 간격의 차광부마다 위사와 제직된 고정부에서 고정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와는 일정 간격의 차광부마다 위사가 형성한 고리부를 통과하여 움직일 수 있게 반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를 중심으로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로 그룹화하여 연속으로 반복 배열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끝까지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또는 걸림이 반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일정 길이까지만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길이는 위사와 제직하되, 고정 및 걸림 작용이 끝난 지점부터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의 경사가 개폐작동용 경사로 사용되어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고, 상기 고리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되 마주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 중앙부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의 차광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6. 하나의 제직기에 콤비 블라인드지의 폭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경사를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S10)와;
    이후 배열된 경사들 중 복수개의 경사들을 선택하여 가운데를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로 분류하고, 이를 기준으로 양측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으로 경사로 분류하여 단위 그룹화하는 단계(S20)와;
    이후 제직기에서 위사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경사 중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를 번갈아 선택하여 차광부와 망사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2장의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동시 제직을 시작하는 단계(S30)와;
    이후 제직기가 일측 및 타측 콤비블라인드지에 차광부 및 망사부를 각각 일체 제직하면서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는 제직하지 않고 비제직구간부로 남겨 놓는 단계(S40)와;
    이후 제직기가 상기 S40 단계를 수행하면서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정 간격 차광부마다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를 선택하여 위사와 교차 제직하여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S50)와;
    이후 제직기가 상기 S40 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고정부 형성 위치와 일정 간격 떨어진 마주보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정 간격 차광부마다 위사가 일 지점의 경사와 선택된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를 건너 띄어 타 지점 경사와 제직시켜 고리부를 형성하여 차광부 개폐 작동용 경사가 고리부에 걸려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단계(S60)와;
    이후 상기 S40 내지 S60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분류된 경사의 단위 그룹은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를 중심으로 각각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용 경사로 그룹화하여 연속으로 반복 배열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끝까지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또는 걸림이 반복되도록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일정 길이까지만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길이는 위사와 제직하되, 고정 및 걸림 작용이 끝난 지점부터는 이웃하는 다른 위치의 경사가 개폐작동용 경사로 사용되어 고정부와 고리부를 통한 고정 및 걸림 작용을 하도록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고, 상기 고리부의 형성 간격은 연속되어 이웃하지 않는 차광부마다 구성하되 마주하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에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 중앙부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의 차광부에 형성되게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 개폐작동용 경사는 제직시 단빔 또는 이중빔으로 구성하여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 블라인드지의 일체 제직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구비한 후, 권취롤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된 체결부에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와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각각 고정하고,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의 하단에는 중량봉을 설치하며, 권치롤의 일측단에는 블라인드 케이스에 축결합된 권치롤을 회전시키는 승강줄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 중 먼저 감기는 쪽 체결부에는 타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고정시키고, 나중에 감기는 쪽 체결부에는 일측 콤비 블라인드지를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KR1020170067333A 2017-05-31 2017-05-31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KR10192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33A KR101924452B1 (ko) 2017-05-31 2017-05-31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33A KR101924452B1 (ko) 2017-05-31 2017-05-31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452B1 true KR101924452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333A KR101924452B1 (ko) 2017-05-31 2017-05-31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70B1 (ko) 2020-07-27 2021-03-10 (주)리코블라인드 실내용 셀프 블라인드
CN114059214A (zh) * 2021-11-18 2022-02-18 海宁市金雅特纺织有限公司 一种医用隔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3838A (ja) 2007-04-12 2010-07-15 ウーングジ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ド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8517B1 (ko) 2016-04-15 2016-07-12 남시우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3838A (ja) 2007-04-12 2010-07-15 ウーングジ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ド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8517B1 (ko) 2016-04-15 2016-07-12 남시우 콤비 롤블라인드용 일체제직 콤비 블라인드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70B1 (ko) 2020-07-27 2021-03-10 (주)리코블라인드 실내용 셀프 블라인드
CN114059214A (zh) * 2021-11-18 2022-02-18 海宁市金雅特纺织有限公司 一种医用隔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633B2 (en) Architectural covering
KR101026569B1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20090055464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1924452B1 (ko) 일체 제직된 콤비 블라인드지 및 그 일체 제직방법, 이 콤비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콤비 롤 블라인드
ES2229682T3 (es) Sistema de pantalla alternadora de luz que comprende una red con factor de apertura variable.
JPS6245883A (ja) ブラインドとその製造方法
US5753338A (en) Honeycomb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60237740A1 (en) Ladder ta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57305B1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20160016294A (ko) 블라인드 직물지
US7455079B2 (en) Venetian blind tape
KR101849293B1 (ko) 원단,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원단을 이용한 차광 구조물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253526B1 (ko)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용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112B1 (ko)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
KR101770369B1 (ko) 이중블라인드직물 및 그 제직방법
KR101696141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지 제조방법
KR101915616B1 (ko) 블라인드용 겹문양 직물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및 블라인드
KR20100123017A (ko)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용 커튼지
CN112888818A (zh) 织物、特别是用作隐私保护和/或防眩保护的织物和用于制造根据本发明的织物的方法
KR20020059867A (ko)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KR101403695B1 (ko)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KR101120698B1 (ko) 로만쉐이드용 직물지의 제조 방법
KR101156515B1 (ko) 콤비커튼용 원단 및 그 직조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커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