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463A -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463A
KR20210082463A KR1020217013322A KR20217013322A KR20210082463A KR 20210082463 A KR20210082463 A KR 20210082463A KR 1020217013322 A KR1020217013322 A KR 1020217013322A KR 20217013322 A KR20217013322 A KR 20217013322A KR 20210082463 A KR20210082463 A KR 20210082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s
section
weft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바우어
Original Assignee
뉴텍스 홈 데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텍스 홈 데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뉴텍스 홈 데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8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7UV radiation protec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9/00Gauze or leno-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노(leno) 직기에 의해 제조된 격자 직물 프레임워크(framework)를 기반으로 하는,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anti-glare) 보호용 직물(10)로서, 상기 직물(10)은,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차광 섹션(20) 및 반투명 섹션(30)을 가지고, 상기 직물(10)은,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30)에, 반투명 섹션(30)과 연관되고 격자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위사(weft threads)(31), 및 상기 제1 위사(31)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탠딩사(standing threads)(35), 및 레노 직물 방식으로 상기 제1 위사(31) 및 상기 스탠딩사(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레노사(39)를 가지며, 상기 직물(10)은, 적어도 하나의 차광 섹션(20)에 다수의 스탠딩사(35) 및 다수의 레노사(39)로서, 상기 차광 섹션(20)의 레노사(39)는 상기 스탠딩사(35)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상기 스탠딩사(35)와 대부분 연결되지 않는 다수의 스탠딩사(35) 및 다수의 레노사(39), 및 차광 섹션(20)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위사(31)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제2 위사(22)를 갖는다.

Description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레노(leno) 직기에 의해 제조된 격자 직물 프레임 워크(framework)를 기반으로 하는,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anti-glare) 보호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직물은, 청구항 1의 특징 조합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차광 섹션 및 반투명 색션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텍스타일(Textile) 구조, 특히 직물은 내부 블라인드 또는 다크닝(darkening) 커튼과 함께 사용되는 최신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매우 복잡한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DE 10 2014 106 602 A1에서, 조명(light)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배열이 개시된다. 이 배열은 서로의 위에 겹쳐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더욱이, 효과 영역 구조와 발산 영역 구조가 제공된다.
알려진 최신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 역할을 할 수 있는 직물을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며, 여기서 직물은, 차광 섹션에서, 이러한 차광 섹션들이 공기 중에 거의 자유롭게 서 있도록 형성되는 효과를 생성하도록 의도된다. 이는 차광 섹션 사이에서 외부를 향한 명확한 시야가 허용되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직물,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과 관련된, 청구항 1의 주요 구성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과제는 청구항 10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직물이 레노 직기에 의해 제조된 격자 직물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하며, 상기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차광 섹션 및 반투명 섹션을 포함한다. 즉, 격자 직물 프레임워크는 차광 섹션과 반투명 섹션이 항상 교대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섹션 및 반투명 섹션은 종 방향 연장에서 상호 교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차광 섹션은 직물의 횡 방향 연장에서 상호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차광 섹션은 특정한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어 원형 형태 및/또는 직사각형 형태 및/또는 나선형 형태 및/또는 삼각형 형태 및/또는 다각형 형태 등이 가능하다. 또한, 차광 섹션은 구상의(figurative) 표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직물은 주로 차광 섹션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반투명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차광 섹션에서 형성된다. 즉, 반투명 섹션은 차광 섹션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구분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차광 섹션은 반투명 섹션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로서, 내부 커튼, 패널, 이중 블라인드 또는 블라인드는 특히 창문, 유리문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앞에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중 블라인드로서 직물의 특히 바람직한 사용에서, 두 개의 직물 층 또는 두 개의 직물 섹션은 서로에 대해 배열될 수 있으므로, 직물의 평면도에서 반투명 섹션은 이들 앞에 배열된 차광 섹션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반투명 섹션은 완전한 차광 및/또는 완전한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가 가능하도록 차광 섹션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반투명 섹션은 조절된 차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차광 섹션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커버되는 것이 가능하다.
차광 섹션은 조밀(dense) 섹션 또는 불투명(opaque) 섹션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차광 섹션은 반드시 DIN EN 14500 / 14501에 따라 정의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반투명 섹션은 투명 섹션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에서, 직물은:
- 반투명 섹션과 연관되고 격자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위사(weft threads), 및
- 상기 제1 위사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탠딩사(standing threads), 및
- 레노 직물 방식으로 상기 제1 위사 및 상기 스탠딩사를 연결하는 다수의 레노사
를 갖는다.
이하에서 격자 직물 프레임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에서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추가로 개발된 직물 프레임워크로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스레드(threads)의 병렬 배열로서, 수학적 병렬 배열은 이해되지 않는다. 오히려, 직물에 대한 전형적인, 서로에 대한 스레드의 일반적인 방향(orientation)이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스레드는 서로 접촉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제1 위사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스탠딩사로서, 특히 위사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배열된 스탠딩사가 이해되어야 한다. 직각 배열에서, 수학적 직사각형 배열을 주장해서는 안된다. 오히려 서로에 대한 스레드의 대략적인 방향을 나타낸다.
특히, 레노사와 스탠딩사는 위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호 교대로 배열된다. 즉, 레노사와 스탠딩사는 날실(warp thread) 쌍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은 실질적으로 격자 직물로 형성되어, 각각의 경우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위사 사이에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날실 쌍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격자 개구(opening)가 형성된다. 격자 개구로 인해, 반투명 섹션은 반투명 효과를 갖는다. 날실 쌍 서로 간의 간격과 위사 서로 간의 간격은 격자 개구의 크기를 정의한다.
차광 섹션에서, 직물은 다수의 스탠딩사 및 다수의 레노사를 가지며, 여기서 차광 섹션의 레노사는 실질적으로 스탠딩사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대부분 스탠딩사와 루프(loop)를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차광 섹션의 레노사는 스탠딩사와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다. 차광 섹션의 일부 루프는 단지 구조 및/또는 패턴화된 돌파구(breakthroughs)를 형성할 수 있는 것에만 요구된다. 즉, 직물은 차광 섹션에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인접한 반투명 섹션에서와 동일한 수의 레노사 및 동일한 수의 스탠딩사를 갖는다.
그러나, 레노사는 반투명 섹션에서와 같이 사용되지 않는다. 차광 섹션에서, 레노사는 반드시 또는 우세하게 루프를 형성하지 않으며, 특히 스탠딩사와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레노사와 스탠딩사의 상호 평행한 배열은 엄격하게 수학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스탠딩사와 레노사의 대략적인 방향 또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반투명 섹션의 이전에 형성된 날실 쌍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차광 섹션과 연관된 제2 위사는 제1 위사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 및/또는 제조된 차광 섹션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위사는 레노사와 스탠딩사에 의해 상호 교대로 짜여진다. 후속하는 제2 위사의 경우, 이는 상호 교대로 수행된다.
제2종의 위사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제2 위사는, 차례로(in turn) 제1종의 위사로 지칭될 수 있는 제1 위사와 다른 재료로 구성된다. 제2 위사에 의해, 특히 제2 위사와 관련하여 상응하는 재료 선택에 의해, 차광 섹션은 다소 불투명한 직물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섹션과 연관된 제1 위사는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에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투명 섹션에서 상이한 제1 위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차광 섹션과 연관된 제2 위사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섹션에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 섹션에서 상이한 제2 위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명칭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단지 이러한 위사가 반투명 섹션의 위사인지 또는 차광 섹션의 위사인지를 명확히 한다.
제1 위사는 반투명 섹션 위사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 위사는 차광부 위사로도 지칭될 수 있다.
반투명 섹션의 전체 위사는 동일한 재료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반투명 섹션의 복수의 위사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차광 섹션의 전체 위사는 동일한 재료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차광 섹션의 복수의 위사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위사 사이의 간격은 제1 위사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제2 위사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제1 위사 사이의 간격보다 몇 배 더 작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위사는 제2 위사 사이를 통해 빛의 양이 없거나 아주 적은 양만 비추도록 서로 인접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레노사 및/또는 스탠딩사는 필라멘트, 특히 모노필라멘트인 것이 가능하다. 레노사 및 스탠딩사는 유사하게 또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레노사 및/또는 스탠딩사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게, 특히 수정처럼 맑은(crystal-clear) 방식으로 투명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레노사 및/또는 스탠딩사는 어둡게 투명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필라멘트, 특히 모노필라멘트를 염색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구현예에서, 제1 위사는 투명한, 특히 수정처럼 맑은 재료, 또는 어둡게 투명한 색상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위사와 관련한 적절한 재료 선택은 특히 투명한(diaphanous) 반투명 섹션 또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1 위사와 관련한 정확한 재료 선택으로 인해, 특히 많은 빛이 외부에서 실내로 입사될 수 있는 이러한 반투명 섹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제2 위사는 텍스타일 재료 및/또는 천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천연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인피(bast) 재료, 천연 섬유 재료, 대나무 재료, 짚(straw) 재료 등이 가능하다. 이는 원단이 구매자의 인테리어 디자인에 맞게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직물의 기능과는 별도로, 이는 미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위사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차광 섹션은 특히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은 복수의 차광 섹션 및 차광 섹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투명 섹션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모든 차광 섹션 및 모든 반투명 섹션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직물의 종 방향 연장에서, 차광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반투명 섹션보다 더 큰 연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이 이중 블라인드용 직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반투명 섹션은 시야 방향에서 반투명 섹션 앞에 위치한 차광 섹션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기초하고,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레노 직기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제조는 도비(dobby) 직조기 또는 자카드(Jacquard) 직조기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레노사 및/또는 스탠딩사는 저 융점(low-melting) 성분을 갖는 필라멘트이다. 제1 단계에서, 직조 공정은 본 구현예의 레노 직기에서 수행된다. 제2 단계, 즉 장비 공정에서는, 필라멘트 교차점을 고정하기 위해 용융 작업이 시작된다(triggered). 이에 따라 직물은 강화된다. 제2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프레임(clamping frame)에서 수행된다. 클램핑 프레임에서, 용융 및 고정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레노사 및/또는 스탠딩사는 저 융점 성분을 갖지 않는 필라멘트이다. 제1 단계에서, 직조 작업은 본 구현예의 레노 직기에서 수행된다. 제2 단계, 즉 장비 공정에서는, 습식 화학 마무리 작업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직물은 강화된다. 제2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풀라 천(Foulard)에서 수행된다. 화학적 강화는 풀라 천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서의 화학적 강화는 아크릴 및/또는 아세테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 및/또는 강화 수지에 의해 수행된다. 제3 단계에서, 화학적으로 강화된 직물의 건조 및 고정 공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구현예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도면은 특히 이중 블라인드용 직물로서 사용되는 직물(1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직물(10)은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차광 섹션(20) 및 두 개의 반투명 섹션(30)이 형성된다. 실제로, 직물은 복수의 차광 섹션과 그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반투명 섹션을 모두 갖는다.
반투명 섹션(30)에서, 직물은 바람직한 격자 간격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위사(31)를 갖는다. 또한, 스탠딩사(35) 및 레노사(39)가 인식될 수 있다. 하나의 스탠딩사(35)와 하나의 레노사(29)는 각각의 경우에 날실 쌍(40)을 형성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스탠딩사(35)와 레노사(39)는 모두 수정처럼 맑은 투명한 모노필라멘트로 제조된다. 반투명 섹션(30)에서, 레노사(39)는 이들이 레노 직물의 방식으로 제1 위사(31) 및 스탠딩사(35)와 얽히도록 배열된다. 수정처럼 맑은 투명한 모노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56dtex PES일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사용은 또한 제시된 도면과 독립적인 다른 구현예에서도 가능하다.
반투명 섹션(30)은 상응하는 격자 개구(50)를 갖는다. 스탠딩사(35) 및 레노사(39)의 재료와 함께, 격자 개구(50)는 반투명 효과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위사(31)는, 예를 들어, 용융 필라멘트 얀(yarn), 특히 50dtex를 갖는 PES 용융 필라멘트 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재료의 사용은 또한 제시된 도면과 독립적인 다른 구현예에서도 가능하다.
차광 섹션(20)에서, 레노사(39)는 더 이상 뒤틀리도록 배열되지 않고 스탠딩사(3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진다(run). 루프 및 (큰) 격자 개구는 형성되지 않는다.
평행하게 이어지는 스탠딩 및 레노사 사이에 제2 위사(22)가 짜여진다. 제2 위사(22)는 제1 위사(31)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제2 위사(22)의 재료 두께는 제1 위사(31)의 재료 두께보다 몇 배 더 크다.
함께 짜여진(interwoven) 상태에서, 제2 위사(22)는 서로 인접한다. 표시상의 이유로 이는 도면에서 정확하게 도시될 수 없다. 그러나, 차광 섹션(20)이 반투명 섹션(30)보다 훨씬 더 불투명하고 덜 반투명하도록 형성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더욱이, 차광 섹션(20)은 반투명 섹션(30)보다 직물(10)의 종 방향(L)으로 더 큰 연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물(10)이 이중 블라인드 직물로서 사용될 때, 이는 차광 섹션(20)이 반투명 섹션(30)의 정면에 위치하거나 배열되어, 반투명 섹션(30)이 차광 섹션(2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아래의 차광 섹션(20)을 따르는 반투명 섹션(30)은, 차례로, 위에 형성된 반투명 섹션(30)으로부터 시작하여, 차광 섹션(20)을 가로 질러 다음 반투명 섹션(30)까지 연장되는 스탠딩사(35) 및 레노사(39)를 갖는다.
대표적인 직물(10)은 본 발명에 따라 레노 직기에서 제조된다.
참조 번호
10 직물
20 차광 섹션
22 제2 위사
30 반투명 섹션
31 제1 위사
35 스탠딩사
39 레노사
40 날실 쌍
50 격자 개구
L 종 방향

Claims (10)

  1. 레노(leno) 직기에 의해 제조된 격자 직물 프레임워크(framework)를 기반으로 하는,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anti-glare) 보호용 직물(10)로서, 상기 직물(10)은,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차광 섹션(20) 및 반투명 섹션(30)을 가지고,
    상기 직물(10)은,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30)에
    - 반투명 섹션(30)과 연관되고 격자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위사(weft threads)(31), 및
    - 상기 제1 위사(31)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탠딩사(standing threads)(35), 및
    - 레노 직물 방식으로 상기 제1 위사(31) 및 상기 스탠딩사(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레노사(39)
    를 가지며,
    상기 직물(10)은, 적어도 하나의 차광 섹션(20)에
    - 다수의 스탠딩사(35) 및 다수의 레노사(39)로서, 상기 차광 섹션(20)의 레노사(39)는 상기 스탠딩사(35)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상기 스탠딩사(35)와 대부분 연결되지 않는 다수의 스탠딩사(35) 및 다수의 레노사(39), 및
    - 차광 섹션(20)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위사(31)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제2 위사(22)
    를 갖는,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레노사(39) 및/또는 스탠딩사(35)는 필라멘트, 특히 모노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노사(39) 및/또는 스탠딩사(35)는 투명하고, 특히 수정처럼 맑거나(crystal-clear) 또는 어둡게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위사(31)는 투명한, 특히 수정처럼 맑은(crystal-clear) 재료, 또는 어둡게 투명하도록 착색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위사(22)는 텍스타일(textile) 재료 및/또는 천연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위사(22)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투명 섹션과 연관된 제1 위사(31)는 적어도 하나의 반투명 섹션(30)에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광 섹션과 연관된 제2 위사(22)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섹션(20)에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의 종 방향 연장에서, 차광 섹션(20)은 각각 반투명 섹션(30)보다 큰 연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에 따른 직물(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직물(10)의 제조는 레노 직기, 특히 자카드(Jacquard) 직조기 또는 도비(dobby) 직조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13322A 2018-11-05 2019-02-18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210082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7460.2 2018-11-05
DE102018127460 2018-11-05
DE102018131135.4 2018-12-06
DE102018131135.4A DE102018131135A1 (de) 2018-11-05 2018-12-06 Geweb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Sicht- und/oder Blendschu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rfindungsgemäßen Gewebes
PCT/EP2019/053909 WO2020094260A1 (de) 2018-11-05 2019-02-18 Geweb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sicht- und/oder blendschu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rfindungsgemässen geweb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463A true KR20210082463A (ko) 2021-07-05

Family

ID=7046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322A KR20210082463A (ko) 2018-11-05 2019-02-18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55612A1 (ko)
EP (1) EP3877577A1 (ko)
KR (1) KR20210082463A (ko)
CN (1) CN112888818A (ko)
DE (1) DE102018131135A1 (ko)
WO (1) WO2020094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9214A (zh) * 2021-11-18 2022-02-18 海宁市金雅特纺织有限公司 一种医用隔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3862A (en) * 1923-05-03 1925-09-15 Kirsch Charles Wendel Shade-fastening means for window-shade rollers
US2029675A (en) * 1934-12-15 1936-02-04 Philip M Schlamp Window shade
US2021993A (en) * 1935-07-08 1935-11-26 Modern Curtain Co Inc Woven fabric
US3961434A (en) * 1974-11-18 1976-06-08 Everbrite Electric Signs, Inc. Animated sign
JPS5293775U (ko) * 1975-12-29 1977-07-13
US5033529A (en) * 1990-07-20 1991-07-23 Biltrite Nightingale Interiors, Inc. Panel fabric fastening system
US5133140A (en) * 1990-10-24 1992-07-28 Uniek Plastics, Inc. Frame with fabric securing toothed strips or moldings and method
US5320154A (en) * 1990-12-13 1994-06-14 Hunter Dougla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window covering
US5456304A (en) * 1990-12-13 1995-10-10 Hunter Dougla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5335246A (en) * 1992-08-20 1994-08-02 Nexus Telecommunication Systems, Ltd. Pager with reverse paging facility
US5809059A (en) * 1996-11-21 1998-09-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 spectrum channel assignment
US6189592B1 (en) * 1998-03-19 2001-02-20 Harmonic Design, Inc. Roll up shade doubled fabric having patterns thereon
US6643278B1 (en) * 1999-03-23 2003-1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hopping with reduced packet interference
US6672361B2 (en) * 2001-03-13 2004-01-06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rchitectural covering
JP4197482B2 (ja) * 2002-11-13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の送信方法、基地局の送信装置及び通信端末
AU2004203256B2 (en) * 2003-09-08 2009-01-29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ttachment of an architectural covering
CN101466281A (zh) * 2006-06-08 2009-06-2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纺织品和制造这种纺织品的方法
WO2009128639A2 (ko) * 2008-04-15 2009-10-22 Kim Hyun-Soo 롤 블라인드용 커튼지의 제직방법
US8281716B2 (en) * 2008-12-24 2012-10-09 Printing Research, Inc. Anti-marking jackets comprised of fluoropolymer and methods of using in offset printing
US8578853B2 (en) * 2008-12-24 2013-11-12 Printing Research, Inc. Anti-marking jackets comprised of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s of using in offset printing
US8220388B2 (en) * 2008-12-24 2012-07-17 Printing Research, Inc. Multiple layer anti-marking jackets and methods of using in offset printing
TWI445878B (en) * 2010-07-01 2014-07-21 Blinds with a looped blind sheet for adjusting opacity
US8424453B2 (en) * 2010-09-01 2013-04-23 Printing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nti-marking jackets
US8677899B2 (en) * 2011-01-31 2014-03-25 Printing Research, Inc. Reversible anti-marking jackets and methods of using
JP2012174634A (ja) * 2011-02-24 2012-09-10 Sharp Corp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光学部材
US9346258B2 (en) * 2012-05-02 2016-05-24 Printing Research, Inc. Method for cleaning anti-marking jackets
CA2900218C (en) * 2013-03-15 2021-10-26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US9322210B2 (en) * 2013-08-19 2016-04-26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KR101359513B1 (ko) *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CN104514480B (zh) * 2013-09-30 2016-06-01 江门嘉东装璜制品有限公司 能够补偿高度的环圈式斑马帘及其补偿高度的方法
DE102014106602A1 (de) 2014-05-12 2015-11-12 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nkendorf Anordnung zur Erzeugung von Lichteffekten mit Beschattungsfunktion
US9499977B2 (en) * 2014-11-10 2016-11-22 Wenger Corporation Motorized acoustical banner
SG11201805717TA (en) * 2016-02-11 2018-07-30 Saudi Arabian Oil Co Tool- less spring attachment to c-channel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5612A1 (en) 2021-11-18
CN112888818A (zh) 2021-06-01
WO2020094260A1 (de) 2020-05-14
DE102018131135A1 (de) 2020-05-07
EP3877577A1 (de)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1026569B1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194144B1 (ko)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85504A1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KR102368052B1 (ko) 망구멍의 크기와 간격이 일정규격으로 유지되고 망지의 섬유탄력성과 견고성이 향상되게 한 합성섬유 방충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485B1 (ko) 차광부와 채광부로 구성된 블라인드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6294A (ko) 블라인드 직물지
KR20210082463A (ko) 특히 프라이버시 및/또는 눈부심 방지 보호용 직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373937B1 (ko) 블라인드 커튼지 및 그 제직방법
KR101081211B1 (ko) 투광조절용 블라인드지의 제직방법
US2021993A (en) Woven fabric
KR101796499B1 (ko)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JP5220798B2 (ja) メッシュ織物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2810405A (en) Material in glass fibre and new industrial product resulting therefrom
KR100932657B1 (ko) 자카드방식으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KR100982888B1 (ko) 제직과 봉제로 만들어지는 커튼지의 제조 방법
Wilson Woven structures and their characteristics
KR101170021B1 (ko) 블라인드 커튼지
KR101173355B1 (ko)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200442911Y1 (ko) 장식용 원단
KR101696141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지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