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144B1 -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144B1
KR101194144B1 KR1020097020016A KR20097020016A KR101194144B1 KR 101194144 B1 KR101194144 B1 KR 101194144B1 KR 1020097020016 A KR1020097020016 A KR 1020097020016A KR 20097020016 A KR20097020016 A KR 20097020016A KR 101194144 B1 KR101194144 B1 KR 101194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ight
stitch rows
light shielding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576A (ko
Inventor
구니하루 가즈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즈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즈마
Publication of KR2010001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광량을 투과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블라인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투과성 시트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시트재(1)는 표면지(2), 이면지(3) 및 차광층(4)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의 구성사를 수지 가공에 의해 고착시켜 표면지(2)와 이면지(3) 사이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표면지(2) 및 이면지(3)는 날실 방향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된 스티치열이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인접하는 스티치열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를 편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층(4)은 표면지(2) 및 이면지(3)의 스티치열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차광층(4)이 씨실 방향으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광투과성 시트재, 스티치열, 삽입사, 차광층, 쇄편

Description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LIGHT TRANSMISSIVE SHEE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나 자동차 등의 차내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나 셰이드에 사용되는 광투과성의 편물제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블라인드나 셰이드는 실내나 차내에 입사하는 외광을 차광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차광 부재의 재료로서는, 금속판, 수지판, 포백 등의 다양한 재료가 용도에 따라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직물이나 편물로 이루어지는 포백은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종형 블라인드용 파형 스크린으로서, 허니콤 형상의 공극을 갖는 입체적 편물제 시트재를 사용한 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표면 편지(front knitted fabric) 및 이면 편지(back knitted fabric)를 연결사로 연결하여, 표면 편지와 이면 편지 사이에 연결사의 입모 부분에 의한 입모층을 형성한 이중 커튼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한 쌍의 지조직(ground weave)을 소정 간격으로 유지 가능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사열부(yarn row)를 설치하고, 사열부는 지조직에 편조된 실이 다수 배열되어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서는, 쇄편사와 삽 입사에 의해 프론트와 백의 편조직이 소정 간격을 둔 이격 상태로 편성되고, 프론트와 백 사이에 별도의 실을 경사 방향으로 걸친 편성 부분을 형성한 블라인드용 편지(knitted fabric)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2876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72841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54050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7-2633호 공보
상술한 특허 문헌에서는 차광 부분을 실에 의해 직편조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특허 문헌 4와 같이 차광 부분이 광을 투과하지 않도록 형성하면, 외광을 실내에 들이고 싶을 때에 일일이 접어 올릴 필요가 있어, 조작성의 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특허 문헌 2 및 3에서는 차광 부분을 가동하도록 구성하여 외광을 들이고 싶을 때에는 가동 부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지만, 천 제품이므로 폭이 넓어지면 중앙 부분이 느슨해지거나, 반복 회전시키면 가동 부분이 열화되는 등의 내구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입체적 편물제 시트재의 각도에 따라서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허니콤 형상의 공극으로부터 입사하게 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광량을 입사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특허 문헌 4에서는 프론트측의 편조직의 쇄편열에 대해 씨실 방향(weft direction)으로 가로지른 삽입사를 편조하고 있지만, 백측의 편조직에는 이러한 삽입사를 편조하고 있지 않아, 편지 전체의 강도가 약해 변형되기 쉬우므로, 투과하는 광량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분한 광량을 투과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블라인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투과성 시트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투과성 시트재는 날실 방향(warp direction)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되는 복수의 스티치열을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스티치열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를 편조하여 형성된 표면지(obverse fabric) 및 이면지(reverse fabric)를 구비하고,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된 차광층을 씨실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고,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각각 인접하는 차광층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로부터 가로지른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에 각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고, 전체의 구성사를 수지 가공에 의해 고착시켜 표면지와 이면지 사이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지 및 상기 이면지는 한 쌍의 상기 삽입사가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씨실 방향으로 어긋나게 걸쳐서 편성되어 있고, 날실 방향의 상기 스티치열 및 씨실 방향의 상기 삽입사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가로질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블라인드는, 상기한 광투과성 시트재를 사용하여 상기 스티치열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띠 형상으로 형성된 슬랫이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투과성 시트재의 제조 방법은 날실 방향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되는 복수의 스티치열을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인접하는 스티치열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를 편조하여 한 쌍의 삽입사를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씨실 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쳐서 형성된 표면지 및 이면지를 구비하는 동시에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된 차광층을 씨실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편지를 편성하고, 편성된 편지에 수지 재료를 함침하고, 수지 재료를 함침한 편지에 씨실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날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삽입사가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씨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표면지 및 이면지 사이를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하여 수지 재료를 고화하고,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각각 인접하는 차광층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로부터 어긋난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에 각 차광층이 형성되도록 편지 전체의 구성사를 고착시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 사이에는 가는 삽입사 이외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는 것은 없어, 그 사이의 공극으로부터 충분한 광량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광층은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광층의 면 방향을 따라서 스티치열 사이로부터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경우가 없어, 차광층의 면 방향에 있어서 충분한 광량이 투과하게 된다.
또한,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각각 인접하는 차광층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로부터 어긋난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에 각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면지 및 이면지의 대향 배치된 스티치열의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은 차광층에 의해 거의 차단되어 높은 블라인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차광층의 면 방향과 스티치열의 대향 방향 사이의 광량의 차가 커서 보는 방향에 따라서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하게 표출하게 되어,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의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전체의 구성사를 수지 가공에 의해 고착시켜 표면지와 이면지 사이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성형되어 있으므로, 시트재에 가동 부분이 없어져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예를 들어 블라인드의 슬랫이나 차내용 선셰이드로서 사용해도 형붕괴가 발생하거나 열화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쇄편으로 편성한 스티치열을 연결사로 연결하는 조직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두께 방향의 압축이나 꼬임에 대해서도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표면지 및 이면지는 한 쌍의 삽입사를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씨실 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쳐서 편성함으로써 날실 방향의 스티치열 및 씨실 방향의 삽입사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편성되고, 또한 날실 방향의 스티치열에는 삽입사가 편조되는 동시에 씨실 방향으로 삽입사가 이중으로 걸쳐지므로, 표면지 및 이면지의 광투과성을 확보하면서 그 강도를 향상시켜 보형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삽입사를 서로 교차하도록 씨실 방향으로 어긋나게 걸쳐서 편조되어 있으므로, 편지 전체를 씨실 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여 삽입사를 긴장 상태로 하면 표면지 및 이면지 전체를 격자 형상으로 용이하게 정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블라인드는 광투과성 시트재를 사용하여 스티치열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띠 형상으로 형성된 슬랫을 복수 배열하고 있으므로, 각 슬랫을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각 슬랫의 차광층의 면 방향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광을 투과시키거나, 스티치열의 대향 방향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여 광을 차단할 수 있어, 높은 블라인드 효과를 갖는 동시에 충분한 광의 투과에 의해 명암의 콘트라스트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광투과성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슬랫의 회전 방향에 의해, 두꺼운 커튼과 같은 중후감과 감촉 및 레이스 커튼과 같은 경량감과 투과성을 표출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대응 가능한 새로운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표면지 및 이면지에 관한 편조직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관한 편조직도이다.
도 5는 더블 라셀편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시트재의 성형 가공에 관한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별도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블라인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블라인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블라인드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블라인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블라인드의 슬랫을 회전시킨 경우의 차광 작용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별도의 블라인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블라인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하는 블라인드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블라인드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시트재
2 : 표면지
20 : 스티치열
21 : 삽입사
3 : 이면지
30 : 스티치열
31 : 삽입사
4 : 차광층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다양한 한정이 행해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가 명기되어 있지 않는 한, 이들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도 2의 (a)] 및 단면도[도 2의 (b)]이다. 시트재(1)는 표면지(2), 이면지(3) 및 차광층(4)으로 이루어져, 전체의 구성사를 수지 가공에 의해 고착시켜 표면지(2)와 이면지(3) 사이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표면지(2)는 날실 방향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된 스티치열(20)이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인접하는 스티치열(20)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21)를 편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지(2)는 날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티치열(20)과, 인접하는 스티치열(20) 사이에 씨실 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쳐지도록 배열된 삽입사(21)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면지(3)는 날실 방향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된 스티치열(30)이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인접하는 스티치열(30)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31)를 편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지(3) 는 날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티치열(30)과, 인접하는 스티치열(30) 사이에 씨실 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쳐지도록 배열된 삽입사(31)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표면지(2) 및 이면지(3)의 편조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인접하는 스티치열(20) 사이에는 한 쌍의 삽입사(21a 및 21b)가 씨실 방향으로 가로질러 소정의 길이씩 교대로 스티치열(20)에 편조되어 있고, 날실 방향의 스티치열(20) 및 씨실 방향의 삽입사(21)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편성되어 있다. 한 쌍의 삽입사(21a 및 21b)는 씨실 방향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가로질러 스티치열(20)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날실 방향의 스티치열(20)에는 삽입사(21a 및 21b)가 이중으로 편조되는 동시에 씨실 방향으로 삽입사(21)가 교차하도록 이중으로 걸쳐지므로, 편지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켜 보형성을 높여, 표면지(2) 및 이면지(3)의 광투과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재(1)를 스티치열(20)을 따라서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스티치열(20) 및 삽입사(21)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 형상이 거의 변형되는 일은 없어 광투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지(2)의 스티치열(20)은 이면지(3)의 스티치열(30)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표면지(2) 및 이면지(3)는 겹치도록 배치된다.
차광층(4)은 표면지(2)의 스티치열(20)과 이면지(3)의 스티치열(30)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차광 층(4)이 씨실 방향으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차광층(4)을 형성하는 연결사는 조밀하게 배열되어 차광성을 갖게 하고 있고, 연결사에 권축(crimp)사 등의 부피가 큰 실을 사용함으로써 차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광층(4)은,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된 표면지(2)의 스티치열(20) 및 이면지(3)의 스티치열(30)로부터 1개 어긋난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인접하는 차광층(4)의 한쪽이 대향 배치된 표면지(2)의 스티치열(2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대향 배치된 이면지(3)의 스티치열(30)에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전체면에 차광층(4)이 표출되어, 시트재(1)의 전체면이 차광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차광층(4)의 면 방향을 따른 각도로부터 보면, 차광층(4) 사이로부터 투과하는 광에 의해 명암의 콘트라스트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편조직도이다. L1 및 L2는 표면지(2)의 삽입사(21)이고, L3은 쇄편에 의해 편성되는 표면지(2)의 스티치열(20)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사(21)인 L1 및 L2가 인접하는 스티치열(20)에 소정 길이씩 교대로 편조되어, 인접하는 스티치열(20) 사이에서 교차하도록 걸쳐진다.
L4 및 L5는 양단부의 귀부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사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 공정에서 편성된 편지의 양단부를 반송 핀에 고정하여 돌출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L6은 연결사이고, 스티치열(20 및 30)의 스티치에 교대로 편조된다.
L7은 쇄편에 의해 편성되는 이면지(3)의 스티치열(30)이고, L8 및 L9는 이면지(3)의 삽입사(31)이다. 표면지(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삽입사(31)인 L8 및 L9 는 인접하는 스티치열(30)에 소정 길이씩 교대로 편조되어, 인접하는 스티치열(30) 사이에서 교차하도록 걸쳐져 있다.
도 5는 편성하기 위한 더블 라셀편기에 관한 개략 구성도이다. 표면지(2)를 편성하기 위해, 프론트 니들(50), 트릭 플레이트(51) 및 스티치 콤(52)이 설치되어 있고, 이면지(3)를 편성하기 위해, 백 니들(60), 트릭 플레이트(trick plate)(61) 및 스티치 콤(stitch comb)(6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L1 내지 L9)를 스윙하면서, 프론트 니들(50) 및 백 니들(60)에 의해 표면지(2) 및 이면지(3)를 편성하여, 연결사를 교대로 양 니들을 걸어 편조된다.
표면지(2) 및 이면지(3)의 편성사로서는, 레이온으로 대표되는 재생 섬유, 솜으로 대표되는 천연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 나일론으로 대표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혹은 이들의 혼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어, 장섬유사 또는 방적사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 섬유, 나일론으로 대표되는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권축사와 같은 부피가 큰 실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을 사용함으로써, 차광층으로서 면 형상으로 편성한 경우에 차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성된 편지를 수지 가공에 의해 구성사를 고착시켜 성형하기 위한 공정이다. 편지는 필요에 따라서 염색 및 정련해 둔다. 그리고, 시트재(1)로 되는 편지를 롤러에 의해 반송하여, 수지액을 저류하는 액조(100) 내로 반입하여 편지에 수지 재료를 함침시킨다. 함침시키는 수지 재료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함침된 편지를 압착 롤러(101)에 의해 압착하여 여분의 수지액을 제거하고, 건조기(102) 내로 반입한다. 건조기(102)에서는 편지의 양 측단부의 귀부를 핀에 걸어 돌출 설치한 상태로 건조시킨다. 건조 공정에서는, 150℃에서 2 내지 3분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편지의 양 측단부를 인장하여 돌출 설치한 상태로 건조시키므로,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 교차하도록 걸쳐진 삽입사가 긴장 상태로 되어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날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씨실 방향으로 삽입사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표면지 및 이면지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된 상태로 구성사가 고착하여 성형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별도의 실시 형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그 정면도[도 8의 (a)] 및 단면도[도 8의 (b)]이다. 시트재(1')는 표면지(2'), 이면지(3') 및 차광층(4')으로 이루어지고,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체의 구성사를 수지 가공에 의해 고착시켜 표면지(2')와 이면지(3') 사이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층(4')은 표면지(2') 및 이면지(3')의 스티치열(20' 및 30')에 1개 걸러서 연결하여 2개 어긋나게 한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에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차광층(4')의 간격은 도 1의 경우에 비해 넓어지지만, 차광층(4')이 그만큼 폭이 넓어지는 동시에 인접하는 차광층(4')이 연결되는 스티치열을 대향 배치함으로써,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전체면에 차광층(4')이 표출되어 간극 없이 차광되게 된다. 그리고, 차광층(4')의 면 방향을 따른 각도로부터 보면, 차광층(4')의 간격이 넓어진 만큼 투과하는 광량이 증가하여 명암의 콘트라스트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편지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편조직도에 있어서 L6의 연결사의 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차광층(4')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9는 블라인드(200)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A-A 단면도이다. 블라인드(200)는 시트재(1)를 스티치열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띠 형상으로 절단하여 작성한 슬랫(201)을 상하 방향으로 현수하여 복수 배열하고 있다. 각 슬랫(201)은 상단부를 공지의 회전 조작 기구(202)에 설치하여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입사광(S)에 대해 블라인드(20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층의 면 방향을 입사광(S)의 입사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써, 블라인드(200)의 정면에서 보면 전체면으로부터 광이 투과하게 된다.
도 11은 입사광(S)에 대해 블라인드(200)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B-B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슬랫(201)을 도 8의 상태로부터 약 90도 회전시켜 블라인드(200)를 폐쇄한 상태로 하면, 차광층이 입사광(S)을 차광하게 되어, 블라인드(200)의 정면에서 보면 입사광(S)이 전체면에서 차광되게 된다.
도 13은 블라인드(200)의 슬랫(201)을 회전시킨 경우의 차광 작용에 관한 설명도이다. 블라인드(200)는 종형 블라인드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고, 종래의 종형 블라인드와 레이스 커튼의 양쪽의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낮과 같이 실외가 밝은 상태에서는, 실내로부터 실외를 블라인드를 투과하여 볼 수 있지만, 실외로부터는 블라인드에 의해 실내를 보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리고, 실외로부터는 공기가 유입 가능하고 광도 입사할 수 있어 블라인드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도 13의 (a)에서는 슬랫(201)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직교하는 방향(회전 각도 0도)으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블라인드(200)를 정면에서 본 경우 외광은 차광층에 의해 차광되어 입사되지 않지만, 차광층의 면 방향으로부터의 외광이 실내로 입사하므로 두꺼운 커튼과 같이 어렴풋이 밝은 상태로 된다.
도 13의 (b)에서는 도 12의 (a)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랫(201)이 반개 상태로 되어, 블라인드(200)를 정면에서 본 경우 차광층의 면 방향이 외광의 입사 방향과 일치하여, 입사하는 광량이 커진다. 그로 인해, 레이스 커튼과 같은 광투과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3의 (c)에서는 슬랫(201)이 전체 개방 상태로 되어(회전 각도 약 90도), 블라인드(200)를 정면에서 본 경우 슬랫(201)의 표면의 면 방향이 외광의 입사 방향과 일치하여, 외광이 거의 차광되지 않고 입사하게 되고, 실내가 커튼을 당긴 경우와 같은 밝은 상태로 된다.
도 13의 (d)에서는 도 13의 (c)의 상태로부터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랫(201)이 반개 상태로 되어, 블라인드(200)의 정면에서 본 경우 차광층의 면 방향이 외광의 입사 방향과 직교하여 외광을 차광하게 되지만, 슬랫(201) 사이로부터 외광이 입사하여 실내의 밝기가 도 13의 (a)보다 밝고 도 13의 (b)보다도 어두 운 상태로 된다.
도 13의 (e)에서는 도 13의 (a)의 상태로부터 슬랫(201)이 반전(회전 각도 약 180도)된 상태에서, 도 13의 (a)와 마찬가지로 블라인드(200)의 정면에서 본 경우에 외광은 차광층에 의해 차광되어 입사되지 않지만, 차광층의 면 방향으로부터 외광이 실내로 입사하여 두꺼운 커튼과 같은 어렴풋이 밝은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블라인드의 슬랫에 본 발명에 관한 시트재를 사용함으로써, 슬랫을 회전시켜 명암의 콘트라스트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두꺼운 커튼과 같은 감촉 및 레이스 커튼과 같은 투과성을 실현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광조절하거나 차광하는 것이 가능한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재의 면 방향에 대한 차광층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차광성 및 광투과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차광층의 각도를 면 방향에 대해 크게 하면 광투과성이 높아지고, 면 방향에 대해 작게 하면 차광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블라인드(300)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C-C 단면도이다. 블라인드(300)는 시트재(1)를 스티치열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띠 형상으로 절단하여 작성한 슬랫(301)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고 있고, 횡형 블라인드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는 입사광(S)에 대해 블라인드(30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층의 면 방향을 입사광(S)의 입사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써, 블라인드(300)의 정면에서 보면 전체면으로부터 광이 투과되게 된다.
도 16은 입사광(S)에 대해 블라인드(300)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은 D-D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슬랫(301)을 회전시켜 블라인드(300)를 폐쇄한 상태로 하면, 차광층이 입사광(S)을 차광하게 되어, 블라인드(300)의 정면에서 보면 입사광(S)이 전체면에서 차광되게 된다.
블라인드(300)에 있어서도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로 명암의 콘트라스트를 크게 할 수 있어, 인테리어 디자인으로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실시예]
도 5에 도시하는 더블 라셀편기를 사용하여, 도 7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편지를 편성하였다. 표면지 및 이면지의 편성사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110데시텍스의 장섬유사를 사용하고, 연결사로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300데시텍스의 울리 가공사를 사용하였다. 편성은 9게이지로 행하고, 편량(basis weight) 26.55㎏으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수지액으로서 아크릴계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도 6에 도시하는 수지 가공을 행하여, 편지 전체의 구성사를 고착시켜 성형하였다. 성형된 시트재는 차광층의 면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차광층 사이로부터 충분한 광량이 투과하지만, 시트재를 회전시켜 정면에서 보면 차광층이 전체면에 표출되어 광을 차광하고,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시트재는 차광성과 광투과성 사이의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크기 때문에, 블라인드나 셰이드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내에 설치하는 선셰이드에 사용하면, 창의 내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차내에 입사하는 광량을 차광할 수 있다.

Claims (4)

  1. 날실 방향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되는 복수의 스티치열을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스티치열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를 편조하여 형성된 표면지 및 이면지를 구비하고,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된 차광층을 씨실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고,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각각 인접하는 차광층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로부터 어긋난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에 각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고, 전체의 구성사를 수지 가공에 의해 고착시켜 표면지와 이면지 사이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되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시트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 및 상기 이면지는 한 쌍의 상기 삽입사가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씨실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걸쳐서 편성되어 있고, 날실 방향의 상기 스티치열 및 씨실 방향의 상기 삽입사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시트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투과성 시트재를 사용하여 상기 스티치열이 길이 방향으로 되도록 띠 형상으로 형성된 슬랫이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4. 날실 방향으로 쇄편에 의해 편성되는 복수의 스티치열을 씨실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인접하는 스티치열에 교대로 소정 길이씩 삽입사를 편조하여 한 쌍의 삽입사를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씨실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걸쳐서 형성된 표면지 및 이면지를 구비하는 동시에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 사이에 교대로 연결사를 편조하여 날실 방향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된 차광층을 씨실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편지를 편성하고, 편성된 편지에 수지 재료를 함침하고, 수지 재료를 함침한 편지에 씨실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날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삽입사가 인접하는 스티치열 사이에서 씨실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표면지 및 이면지 사이를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하여 수지 재료를 고화하고,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이 각각 인접하는 차광층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 배치된 표면지 및 이면지의 스티치열로부터 어긋난 위치의 스티치열 사이에 각 차광층이 형성되도록 편지 전체의 구성사를 고착시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시트재의 제조 방법.
KR1020097020016A 2007-04-02 2007-08-21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4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96884 2007-04-02
JP2007096884 2007-04-02
JP2007204807A JP4074884B1 (ja) 2007-04-02 2007-08-06 光透過性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7-204807 2007-08-06
PCT/JP2007/066144 WO2008120406A1 (ja) 2007-04-02 2007-08-21 光透過性シ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76A KR20100014576A (ko) 2010-02-10
KR101194144B1 true KR101194144B1 (ko) 2012-10-23

Family

ID=3938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016A KR101194144B1 (ko) 2007-04-02 2007-08-21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56373B2 (ko)
EP (1) EP2138671A4 (ko)
JP (1) JP4074884B1 (ko)
KR (1) KR101194144B1 (ko)
CN (1) CN101371002B (ko)
WO (1) WO2008120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699B1 (ko) * 2009-12-03 2012-12-14 류일선 베네치안 블라인드
CN102753010B (zh) * 2010-02-05 2015-04-08 卢德维格·斯文森股份公司 温室屏风
KR20120018378A (ko) * 2012-01-20 2012-03-02 차기철 입체형상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6022818B2 (ja) * 2012-06-15 2016-11-09 株式会社カズマ 遮光シート
US9512672B2 (en) * 2012-11-19 2016-12-06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with coordinated vane sets
ITRM20130721A1 (it) * 2013-12-24 2015-06-25 Vifra S R L Schermo termico regolabile
JP6362454B2 (ja) * 2014-07-07 2018-07-25 新日鉄住金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メッシュ状繊維強化複合材
CN105986362A (zh) * 2015-02-16 2016-10-05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梯带及其编织方法
AU2015394604B2 (en) * 2015-05-08 2019-08-01 Mirka Ltd. Abrasive belt grinding product
WO2017106906A1 (en) * 2015-12-22 2017-06-29 Gale Pacific Limited A knitted fabric
FI3462839T4 (fi) 2016-05-30 2023-08-31 Energiaa säästävä kasvihuoneen verhous
US11866862B2 (en) * 2017-11-14 2024-01-09 Gale Pacific Limited Knitted fabric
US11879189B2 (en) * 2021-04-07 2024-01-23 Ball Fabrics, Inc. Visual barrier windscreen, including knitted interlocking chains forming wind passage holes, and associate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41A (ja)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KR200405898Y1 (ko) 2005-10-27 2006-01-11 채용식 직물과 세막대로 구성된 블라인드용 슬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2900A (en) * 1936-05-25 1939-01-03 Milton J Hinlein Ladder unit for venetian blinds
US2371039A (en) * 1942-09-05 1945-03-06 Patchogue Plymouth Mills Corp Two-way lace curtain
US3864944A (en) * 1970-12-30 1975-02-11 Union Carbide Corp Method for making a double faced warp knit fabric
SE427858B (sv) * 1979-11-19 1983-05-09 Svensson Ludvig Ab Dubbel eller flerdubbel upprullningsbar och draperbar vexthusgardin
US4399671A (en) * 1979-11-19 1983-08-23 Ludvig Svensson (Holland) B.V. Green-house curtain
JPS5947062B2 (ja) * 1980-08-27 1984-11-1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立体経編体
SE436164B (sv) * 1982-11-10 1984-11-19 Svensson Ludvig Bv Vexthusgardin
US4626465A (en) * 1984-07-03 1986-12-02 Ludwig Svensson International B.V. Curtain fabrics for greenhouses and shade halls
US4811573A (en) * 1986-07-03 1989-03-14 W.S. Libbey Co. Two face stitch bonded fabric
JPH0727356Y2 (ja) * 1992-12-08 1995-06-21 鹿島建設株式会社 室内環境向上装置
US5320155A (en) 1992-12-14 1994-06-14 Bressler Terry L Vertical blind and slat structure therefor
FR2702958B1 (fr) 1993-03-24 1995-05-24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au moins un agent tensio-actif non-ionique du type alkylpolyglycoside et/ou polyglycérolé et au moins un copolymère réticulé d'anhydride maléique/alkyl (C1-C5) vinyléther.
US5613540A (en) * 1994-08-05 1997-03-25 Verosol Usa Inc. Window shade cord safety shroud
JPH09228764A (ja) 1996-02-21 1997-09-02 Toso Co Ltd 縦型ブラインド用波形スクリーン
US5619869A (en) * 1996-03-08 1997-04-15 Guilford Mills, Inc. Warp knitted textile fabric with pattern of pleated fabric sections
US5735145A (en) * 1996-05-20 1998-04-07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oration Weft knit wicking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9836447B4 (de) * 1998-03-13 2006-05-11 Weiss, Albert Rolloherstellung
US6477865B1 (en) * 1999-12-16 2002-11-12 Asahi Doken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marquisette style knitted fabric
JP2002054050A (ja) 2000-08-07 2002-02-19 Agehara Orimono Kogyo Kk 調光性布帛
US7836936B2 (en) * 2004-04-14 2010-11-23 Lace Lastics Co., Inc. Frayless frangible connection for fabric and vertical bli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7415845B1 (en) * 2007-07-20 2008-08-26 Claus Graichen Window shade
JP5947062B2 (ja) 2012-02-29 2016-07-06 株式会社コーセー 細胞増殖促進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抗シワ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41A (ja)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KR200405898Y1 (ko) 2005-10-27 2006-01-11 채용식 직물과 세막대로 구성된 블라인드용 슬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0406A1 (ja) 2008-10-09
CN101371002B (zh) 2012-08-08
CN101371002A (zh) 2009-02-18
EP2138671A1 (en) 2009-12-30
JP2008274510A (ja) 2008-11-13
KR20100014576A (ko) 2010-02-10
US20100132896A1 (en) 2010-06-03
JP4074884B1 (ja) 2008-04-16
US8056373B2 (en) 2011-11-15
EP2138671A4 (en)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144B1 (ko)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20140015177A (ko) 이중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로만쉐이드
KR101402863B1 (ko) 이중 로만쉐이드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로만쉐이드
JP2001172841A (ja) 二重カーテン地
CN103025939B (zh) 遮蔽系统
US20150247267A1 (en) Variable transparency fabric, window shad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CN108642639B (zh) 一种具有光变叠影功能的弹性织带及其制备方法
JP4917694B2 (ja) 再帰反射織物及び当該織物を用いた再帰反射衣服
KR20160016294A (ko) 블라인드 직물지
JPWO2012063340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3290553B1 (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JP2002054050A (ja) 調光性布帛
JP5731797B2 (ja) 玉虫色調編成体
KR101537347B1 (ko)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JP3158587U (ja) 再帰反射織物及び当該織物を用いた再帰反射衣服
WO2006078755A2 (en) Venetian blind tape
KR100982888B1 (ko) 제직과 봉제로 만들어지는 커튼지의 제조 방법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101173355B1 (ko) 이중직을 포함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지와 그것의 제직방법
KR200359573Y1 (ko) 복층식 롤블라인드
JPH0949178A (ja) ぼかし調の意匠布帛
KR100932657B1 (ko) 자카드방식으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