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911Y1 - 장식용 원단 - Google Patents

장식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911Y1
KR200442911Y1 KR20070006586U KR20070006586U KR200442911Y1 KR 200442911 Y1 KR200442911 Y1 KR 200442911Y1 KR 20070006586 U KR20070006586 U KR 20070006586U KR 20070006586 U KR20070006586 U KR 20070006586U KR 200442911 Y1 KR200442911 Y1 KR 200442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chamber
yarn
longitudinal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6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900U (ko
Inventor
김기헌
Original Assignee
김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헌 filed Critical 김기헌
Priority to KR20070006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91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투광부와 차광부로 구성된 장식용 원단에 있어서, 투광부(2)의 위사(8)를 종방실(10)과 횡방실(12)로 짠 한 쌍의 가닥으로 형성하되 종방실(10)로 일정간격마다 루프(14)를 형성하고 횡방실(12)이 각 루프(14)를 상하 교대로 통과되게 하여서 개구부(16)들을 형성하고, 개구부(16) 내로는 경사(6)가 유입되도록 제직하여서 경사(6)의 빠짐과 위사(8)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장식, 원단

Description

장식용 원단{DECORATIVE TEXTILE}
도 1은 종래 고안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타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도 3b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투광부 (4)--차광부
(6)--경사 (8)--위사
(10)--종방실 (12)--횡방실
(14)--루프(Loop) (16)--개구부
본 고안은 투광부와 차광부로 구성된 장식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광부 원단의 경사방향 절단부에 갖는 경사의 빠짐과 위사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 장식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장식용 원단의 차광부(104)는 경사(106)와 위사(108)로 제직되어 코팅형성되나, 투광부(102)는 빛이 직접투과되는 공간부를 갖기 위하여 이미 일반화된 기술인 후레이종광을 통해 단순꼬임제직한 위사(108)에 경사(106)를 통과시켜 밀도를 엉성하게 제직하여 사용하고 있다.
투광부(102)의 경사(106) 빠짐현상을 방지하고 원단의 경사방향 절단 후 절단된 부분 위사(108)의 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단의 사용용도에 따라 수지가공이나 코팅을 하여 화학약품으로 경사(106)와 위사(108)가 접착되게 하여 사용하고, 아주 가는실이 들어가는 부분에는 가끔씩 굵은실을 넣어 수지나 코팅의 접착효과를 상승시켜 사용하나 위사(108)의 단순꼬임으로 인해 쉽게 풀리게 되고 또한 경사(106)가 쉽게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투광부에 갖는 경사의 빠짐과 위사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 장식용 원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광부(2)의 위사(8)를 종방실(10)과 횡방실(12)로 짠 한 쌍의 가닥으로 형성하되 종방실(10)로 일정간격마다 루프(14)를 형성하고 횡방실(12)이 각 루프(14)를 상하 교대로 통과되게 하여서 개구부(16)들을 형성하고, 개구부(16) 내로는 경사(6)가 유입되도록 제직하여서 경사(6)의 빠짐과 위사(8)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의 타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b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장식용 원단은 투광부(2)와 차광부(4)를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구성하되 종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구성된다.
투광부(2)는 경사(6)와 위사(8)가 메쉬(Mesh)형태로 제직되면서 구성된다.
위사(8)는 두개 이상의 실로 꼬임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서는 두개의 실을 사용하여 꼬임형성된 위사(8)로 사용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3a에서와 같이 위사방향으로 종방실(10)과 횡방실(12)의 두개 실이 서로 꼬임이면서 제직되는 한 쌍의 가닥으로 짠 위사(8)와, 위사(8)에 경사(6)가 삽입 교차하면서 제직 형성된다.
즉 위사(8)의 종방실(10)은 파동의 종파형태로 유입하여 제직하는 실이고, 횡방실(12)은 파동의 횡파형태로 유입하여 제직하기 위한 실이다.
종방실(10)은 위사방향으로 파동의 종파형태로 유입하되, 종방실(10)은 일정간격마다 횡방실(12)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루프(Loop)(14)를 연속반복되게 형성하고, 상기 각 루프(14) 안으로 종방실(10)과 동일한 위사방향으로 파동의 횡파형태로 형성된 횡방실(12)이 통과하면서 종방실(10)과는 꼬임되어 한쌍의 가닥으로 짜지는 위사(8)를 제직하도록 형성한다. 즉 횡방실(12)이 종방실(10)의 각 루프(14)을 상하 교대로 통과하면서 종방실(10)의 상,하측에 횡방실(12)이 교호적으로 꼬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가닥으로 꼬임 형성되는 종방실(10)의 각 루프(14)를 횡방실(12)이 상하 교대로 통과하면서 각 루프(14) 사이를 지나가는 횡방실(12)에는 개구부(16)들이 형성된다. 이때 각 개구부(16) 내로는 경사(6)가 유입되면서 도 3b에서와 같이 제직된 방향대로 조여지면 위사(8)의 종방실(10),횡방실(12)이 경사(6)와 견고하게 조임이되어 등간격으로 매듭이 지어지면서 망 구조의 장식용 원단의 투광부(2)가 제직되어 완성된다.
경사(6)는 도 3a 및 도 3b에서처럼 실이 하나의 가닥으로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도 4에서처럼 후레이조직으로 두개의 실이 서로 꼬이면서 하나의 가닥으로 유입되는 경사(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두개의 실이 꼬임이 이루어지는 경사(6') 틈새에 가는 위사(8)가 끼워져 종방실(10)과 횡방실(12)로 구성된 위사(8) 사이에 수개 내지 수십개로 촘촘하게 제직하여 탄력성을 갖으면서 벌레 및 먼지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직할 수가 있는 것이다.
차광부(4)는 경사(6)와 위사(8')를 촘촘하게 제직하거나 위사(8')를 굵은실로 제직한 다음 사용용도에 따라 수지가공이나 코팅처리하여 화학약품으로 경사(6)와 위사(8')가 접착되게하여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종방실(10)과 횡방실(12)이 서로 꼬임 형성되어 한 쌍의 가닥으로 제직되는 위사(8)는 경사(6)와의 교차 제직으로 된 투광부(2)가 외부의 빛이 통과하도록 투광역할이 가능하면 만족하며, 필요에 따라서 투광부(2)에 형성되는 위사(8)는 두개 내지 다수개의 위사(8)가 한조가 되어 경사(6)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게 제직 형성하여 경사(6)와 위사(8)가 더욱 견고히 결합하도록 하면서 투광부(2)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사(6)와 교차 제직되는 종방실(10)과 횡방실(12)이 한 쌍의 가닥으로 형성되는 위사(8)는 원단의 크기 및 사용용도에 따라 위사(8)는 경사(6)에 다수개의 가닥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1∼30 쌍의 가닥으로 경사(6)에 위사(8)을 제직 형성토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투광부(2)와 차광부(4)를 각각 횡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종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구성하면 본 고안의 장식용 원단이 완성된다.
위와 같이 투광부(2)의 종방실(10)과 횡방실(12)로 짜여진 한 쌍의 가닥 위사(8)를 꼬임 형성시켜 쉽게 풀리지 않게 함으로써 위사(8)의 개구부(16) 사이로 유입하여 조임되게 제직되는 경사(6)를 쉽게 빠지지 않게 함은 물론 위사(8)도 쉽게 풀리지 않게 한다.
투광부(2)의 경사(6)와 위사(8)가 교차하는 부분 또는 투광부(2) 전체에 접착액등을 사용하면 더욱 견고하게 된다.
또한 차광부(4) 없이 투광부(2) 만으로도 본 고안의 장식용 원단을 만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식용 원단의 투광부에 위사의 종방실과 횡방실이 서로 꼬임이 이루어지면서 종방실과 횡방실 꼬임 사이로 경사가 결합되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잦은 사용에도 경사가 쉽게 빠지지 않고 또한 위사가 쉽게 풀리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투광부와 차광부로 구성된 장식용 원단에 있어서,
    투광부(2)의 위사(8)를 종방실(10)과 횡방실(12)로 짠 한 쌍의 가닥으로 형성하되 종방실(10)로 일정간격마다 루프(14)를 형성하고 횡방실(12)이 각 루프(14)를 상하 교대로 통과되게 하여서 개구부(16)들을 형성하고, 개구부(16) 내로는 경사(6)가 유입되도록 제직하여서 경사(6)의 빠짐과 위사(8)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2. 위사(8)를 종방실(10)과 횡방실(12)로 짠 한 쌍의 가닥으로 형성하되 종방실(10)로 일정간격마다 루프(14)를 형성하고 횡방실(12)이 각 루프(14)를 상하 교대로 통과되게 하여서 개구부(16)들을 형성하고, 개구부(16) 내로는 경사(6)가 유입되도록 제직하여서 경사(6)의 빠짐과 위사(8)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방실(10)과 횡방실(12)이 한 쌍의 가닥으로 꼬임 제직되는 위사(8)는 다수 위사(8)들이 한조가 되어서 경사(6)에 교차 제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방실(10)과 횡방실(12)이 한 쌍의 가닥으로 형성된 위사(8)는 경사(6)에 1∼30 쌍의 가닥으로 교차 제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원단.
KR20070006586U 2007-04-20 2007-04-20 장식용 원단 KR200442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586U KR200442911Y1 (ko) 2007-04-20 2007-04-20 장식용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586U KR200442911Y1 (ko) 2007-04-20 2007-04-20 장식용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00U KR20080004900U (ko) 2008-10-23
KR200442911Y1 true KR200442911Y1 (ko) 2008-12-22

Family

ID=4150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6586U KR200442911Y1 (ko) 2007-04-20 2007-04-20 장식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9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23B1 (ko) * 2015-02-13 2016-10-07 이영수 꼬임을 이용한 후레이원단 전용 무늬형성방법 및 그 제직장치
KR102071226B1 (ko) * 2019-10-23 2020-01-30 윤효상 차광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00U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29378A (ru) Трехслойные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е многочисленные контурные связующие элементы
CA2483167A1 (en) Woven terry fabric with non-moisture-transporting synthetic filament yarns
MY175197A (en) Industrial fabric
WO2008138589A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webes und hierbei hergestelltes gewebe
ES2185331T3 (es) Construccion de tela y costura.
BRPI1004135A2 (pt) tecelagem de papel tecido
KR950006064A (ko) 커튼용 겉대기 직물 및 그를 사용한 커튼 부착 수단
KR200442911Y1 (ko) 장식용 원단
TWM522957U (zh) 織布
US7117899B1 (en) Pile mesh fabric
JP4011916B2 (ja) メッシュ織物
KR100942594B1 (ko) 지오그리드용 직물지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N211420436U (zh) 涤竹纤维双斜弹力面料
DE50211709D1 (de) Gewebtes sicherheitsgurtband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EP1705273A2 (en) Textile fabrics for clothing
KR200314778Y1 (ko) 레노조직을 제직하기 위한 쟈카드직기용 종광
CN103806163A (zh) 经纬线正反捻输送带用交织浸胶芯布
JP2006506557A5 (ko)
US20120148822A1 (en) Curtain fabric
CN209749346U (zh) 种植双孢菇的黑单丝平纹网布
CN214563382U (zh) 一种锦纶高弹丝与涤纶丝混合交织的织带
CN211968647U (zh) 一种纺织用复合抗菌网布
JP2012224964A (ja) 炭素繊維補強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