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740B1 -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740B1
KR101566740B1 KR1020130159333A KR20130159333A KR101566740B1 KR 101566740 B1 KR101566740 B1 KR 101566740B1 KR 1020130159333 A KR1020130159333 A KR 1020130159333A KR 20130159333 A KR20130159333 A KR 20130159333A KR 101566740 B1 KR101566740 B1 KR 10156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lift
intake
intak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073A (ko
Inventor
최병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740B1/ko
Priority to US14/341,557 priority patent/US9476331B2/en
Priority to CN201410415150.9A priority patent/CN104727883A/zh
Publication of KR2015007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6Cutting-out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엔진; 상기 실린더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다수의 실린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휴지 상태일 때,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상기 배기 밸브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여, 실린더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ntrol Apparatus of Engine having Variable Valve Lif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가 휴지 상태일 때, 가변 밸브 리프트를 이용하여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여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실린더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축(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실린더에 흡입된다. 또한, 캠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실린더에서 배출된다.
그런데, 최적의 흡기밸브/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오프닝/클로징 타임이 달라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밸브를 구동시키는 캠의 형상을 복수 개로 설계하거나, 밸브가 엔진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variable valve lift; VVL)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상기 VVL 장치와 유사한 개념으로 CDA 장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실린더 디액티베이션(Cylinder De-Activation 이하,CDA) 즉, CDA 장치는 제동시나 정속 주행시에 전체 실린더 중 일부를 휴지(deactivation)시키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CDA 작동 중에는 휴지 대상이 되는 실린더로의 연료 공급과 흡/배기 밸브들의 작동이 정지하게 된다.
실린더가 휴지상태이면,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모두 차단된다. 이때, 실린더내에 폭발 가스를 가두거나 흡기 공기를 가두는 방식이 있다. 실린더 내에 폭발 가스 또는 흡기 공기를 가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휴지의 초기 상태(도 1의 화살표 표시 시점)에서 실린더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면, 실린더의 외부로 압력이 누설되어 실린더 내에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일이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실린더를 활성화했을 때, 실린더 내의 압력을 원래 상태로 회복해야 하므로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실린더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엔진에서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실린더 내에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일이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엔진; 상기 실린더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다수의 실린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휴지 상태일 때,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상기 배기 밸브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의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밸브는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흡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흡기 밸브는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엔진; 상기 실린더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다수의 실린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휴지 상태일 때,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상기 흡기 밸브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의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는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배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배기 밸브는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은, 엔진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각각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전 정보로부터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배기 밸브는 차단하고 상기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밸브를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두 개의 흡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흡기 밸브는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은, 엔진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각각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전 정보로부터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흡기 밸브는 차단하고 상기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를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두 개의 배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배기 밸브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여, 실린더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실린더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실린더 내부 압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의 밸브 위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는, 엔진(10)과, 흡기 밸브(16), 그리고 가변 밸브 리프트(20)(variable valve lift: VVL),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10)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한다. 상기 엔진(10)에는 연료가 연소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12)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2)에는 연소될 연료가 포함된 혼합가스를 제공하는 흡기 밸브(16)와 연소된 가스를 방출하는 배기 밸브(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흡기 밸브(16) 및 배기 밸브(18)는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된 밸브 개폐기구에 의해 실린더(12)를 개폐한다.
상기 흡기 밸브(16)와 배기 밸브(18)는 각각 두 개가 구비되어, 엔진(10)의 실린더(12)로 유입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극대화하여 엔진(10)의 출력을 높인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는, 상기 흡기 밸브(16)가 개폐될 때, 상기 흡기 밸브(16)의 리프트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엔진(10)의 부하 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에 의해 상기 흡기 밸브(16)의 리프트가 조절된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는 일반적으로 유압을 이용하여 흡기 밸브(16)의 리프트를 운전영역에 따라 로우 리프트 모드 또는 하이 리프트 모드로 조절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단 모드 또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2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엔진(10)의 부하 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16) 및 배기 밸브(18)의 리프트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20)를 구비한 엔진(10)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엔진에 구비된 실린더(12)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있어, 엔진의 부하 상태 등에 따라 일부 실린더(12)를 휴지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킨다. 실린더 휴지 기능은 흡기 밸브(16)와 배기 밸브(18)을 차단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제어부는, 실린더(12)가 휴지 상태일 때, 상기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를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를 통해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한다.
이와 같이, 실린더(12) 휴지 상태에서 상기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면 실린더(12) 휴지 상태에서 실린더(12) 내에 가두는 폭발 가스 또는 흡기 공기를 실린더(1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2)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2) 휴지가 시작되고 장시간이 경과된 후, 실린더(12)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실린더(12)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두 개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 중에서 어느 하나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만을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네 개의 밸브 중에서 하나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만을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나머지 흡기 밸브(16) 및 배기 밸브(18)는 차단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만을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면, 밸브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의 밸브 위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가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할 때, 상기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12)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4)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의 개방 시기가 피스톤(14)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되면,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되는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에 의해 압축일과 팽창일이 같아진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4)에 인가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차량의 운전 정보로부터 실린의 휴지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실린더(12)가 휴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실린더(12)로 연료를 분사하지 않는다(S20). 그리고 해당 실린더(12)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를 차단한다(S22).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차단되지 않은 배기 밸브(18) 또는 흡기 밸브(16)는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20)를 통해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한다.
만약, 상기 실린더(12)가 활성화 상태이면, 휴지 상태였던 각 실린더(12)에 연로를 분사하고 이에 따라 점화를 실시한다(S30). 그리고 휴지 상태에서 닫혀있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를 개방하고(S32),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 중이던 흡기 밸브(16) 또는 배기 밸브(18)를 하이 리프트 모드로 운전한다(S3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함으로써, 실린더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실린더 휴지 상태에서 실린더에 가두는 폭발 가스 또는 흡기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린더 활성화될 때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엔진
12: 실린더
14: 피스톤
16: 흡기 밸브
18: 배기 밸브
20: 가변 밸브 리프트
30: 제어부

Claims (12)

  1.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엔진;
    상기 실린더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다수의 실린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휴지 상태일 때,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상기 배기 밸브는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의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는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흡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흡기 밸브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4. 연료의 연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엔진;
    상기 실린더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다수의 실린더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휴지 상태일 때,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상기 흡기 밸브는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의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밸브는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배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배기 밸브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7. 엔진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각각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전 정보로부터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배기 밸브는 차단하고 상기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흡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를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두 개의 흡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흡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흡기 밸브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
  10. 엔진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린더를 각각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및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를 통해 상기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의 리프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전 정보로부터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흡기 밸브는 차단하고 상기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배기 밸브의 개방 시기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과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밸브를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가 휴지 상태이면, 상기 두 개의 배기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배기 밸브를 로우 리프트 모드로 운전하고, 다른 하나의 배기 밸브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방법.
KR1020130159333A 2013-12-19 2013-12-19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6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333A KR101566740B1 (ko) 2013-12-19 2013-12-19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4/341,557 US9476331B2 (en) 2013-12-19 2014-07-25 Control apparatus of engine having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CN201410415150.9A CN104727883A (zh) 2013-12-19 2014-08-21 具有可变气门升程装置的发动机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333A KR101566740B1 (ko) 2013-12-19 2013-12-19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73A KR20150072073A (ko) 2015-06-29
KR101566740B1 true KR101566740B1 (ko) 2015-11-06

Family

ID=5339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333A KR101566740B1 (ko) 2013-12-19 2013-12-19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6331B2 (ko)
KR (1) KR101566740B1 (ko)
CN (1) CN1047278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4616B4 (de) * 2015-07-31 2018-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gasturboaufgeladenen Brennkraftmaschine mit Teilabschaltung
WO2017127574A1 (en) * 2016-01-19 2017-07-27 Eaton Corporation Cylinder recharging strategies for cylinder deactivation
US9879616B2 (en) * 2016-04-20 2018-01-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lift state of a valve actuator and for adjusting the number of active cylinders in an engine to improve fuel economy
DE102017220294A1 (de) * 2017-11-14 2019-05-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Verbrennungsmotors
GB201719042D0 (en) * 2017-11-17 2018-01-03 Oxford Two Stroke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8215649A1 (de) * 2018-09-14 2020-03-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mpensation einer Gasfederwirkung bei Zylinderabschaltung mit Abgaseinschluss
DE102019204092A1 (de) * 2019-03-26 2020-10-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ubkolbenbrennkraftmaschine mit Zylinderabschaltung und variablem Ventiltrieb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Hubkolbenbrennkraftmaschine
CN111980811A (zh) * 2020-08-25 2020-11-24 姬腾飞 降低机油耗的发动机停缸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4136A (ja) * 1982-04-07 1983-10-13 Nissan Motor Co Ltd 気筒数制御エンジン
JPH07119502A (ja) 1993-10-28 1995-05-09 Nippondenso Co Ltd 減筒機構における弁の制御方法
JP2002295274A (ja) 2001-03-29 2002-10-09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4176714A (ja) * 2002-11-12 2004-06-24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制御装置
KR100947383B1 (ko) * 2007-12-14 2010-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시스템
JP5407992B2 (ja) 2010-03-31 2014-02-05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20120124774A (ko) 2011-05-04 201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73A (ko) 2015-06-29
US9476331B2 (en) 2016-10-25
US20150176444A1 (en) 2015-06-25
CN104727883A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740B1 (ko)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4814063B2 (ja) 内燃機関の、少なくとも1つの非作動のシリンダの吸気および/または排気の制御方法
KR101908516B1 (ko) 내연 기관의 실린더를 정지 및 활성화시키는 방법
JP4858398B2 (ja) 予混合圧縮着火機関
RU2017118388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частоты смены режима цилиндров
JP200509829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3087660A5 (ko)
JP6335290B2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ノッキング制御方法
JP200520111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170022915A1 (en) Cylinder deactivation apparatus of eng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70154B2 (en) Transition from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combustion mode to spark ignited combustion
CN104775918A (zh) 具有扩大的气门开度的双燃料发动机
JP4396507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JP2016121633A (ja) 排気ガス昇温方法及び排気ガス昇温装置
TWI827500B (zh) 四衝程引擎
JP2007170310A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KR20150073580A (ko) 가변 밸브 리프트를 구비한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083762A (ja) 可変気筒内燃機関の制御装置
CN108952975B (zh) 用于运行外源点火式内燃机的方法和设备
JP2019049239A (ja) 筒内圧力抑制装置
JP2016125449A (ja) 可変ミラーサイクルエンジン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7154858A (ja) 火花点火式ガソリンエンジン
JP2007177770A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JP2020084767A (ja) 内燃機関システム
JP2020045859A (ja) 燃料噴射制御装置およ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