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618B1 -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618B1
KR101565618B1 KR1020090055771A KR20090055771A KR101565618B1 KR 101565618 B1 KR101565618 B1 KR 101565618B1 KR 1020090055771 A KR1020090055771 A KR 1020090055771A KR 20090055771 A KR20090055771 A KR 20090055771A KR 101565618 B1 KR101565618 B1 KR 101565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needle
wall
sewing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138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헥크네르
게르드 란그렉
도르잔 클자르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0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은 바늘플레이트 절제부를 갖는 바늘플레이트 및 재봉바늘이 부착된 바늘막대를 갖는데, 바늘막대는 바늘플레이트 위에서 상하운동하도록 구동된다. 피이더(17)는 공급운동을 하도록 바늘플레이트 절제부 내에 배치된다. 상기 피이더(17)는 직물과 마찰접촉하여 공급운동을 하도록 설계되며 바늘운동영역에 인접한 공급부(28)를 갖는다. 또한, 피이더(17)는 공급부(28)를 피이더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하는 베이스체(30)를 갖는다. 피이더 벽(32)은 공급부(28) 아래에 바늘운동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피이더 벽(32)은, 피이더(17)가 설치되었을 때 피이더 벽(32)이 재봉과정 중에 바늘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형성공구의 반대쪽의 바늘측에서 연장되도록 설계된다. 바늘운동영역에 대한 피이더 벽(32)의 거리는 조정장치(33)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이더 및 그 피이더를 구비하는 재봉틀이 만들어지는데, 바늘의 파손 및/또는 불량 스티치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재봉틀, 바늘플레이트, 피이더, 스티치, 재봉바늘

Description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Feeder for feeding fabric during the operation of 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이 피이더는 직물과 마찰 접촉하고 바늘플레이트의 바늘플레이트 절제부 내에서 공급 운동을 하도록 설계되고 바늘 운동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피이더 캐리어에 견고히 연결시키는 베이스체, 및 상기 공급부 아래에 상기 바늘 운동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재봉과정 중에 바늘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 형성공구의 반대쪽의 바늘측에서 연장되는 피이더 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타입의 피이더를 포함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이런 타입의 피이더는 예를 들어 일본특개 2004-174120호에 공지되어 있다.
재봉틀의 작동중에, 재봉바늘은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가죽 등의 묵직한 재료를 취급할 때는 파손되기까지 한다. 게다가, 재봉바늘이 직물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재봉바늘에 의해 안내되는 바늘실의 루프가 바늘실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 형성공구에 의해 바르게 잡혀지지 않기 때문에 불량 스티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타입의 피이더를 바늘의 파손 및/또는 불량 스티치의 가능성을 줄이는 방식으로 개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늘 운동영역에 대한 피이더 벽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피이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 가능한 피이더 벽은, 작동중의 재봉바늘을 예를 들어 묵직한 직물에 의해 발생하는 원치 않는 휘어짐에 대하여, 재봉과정에서 바늘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형성공구의 반대측에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피이더 벽은 재봉바늘이 피이더 벽의 방향으로 조금만 휘어지는 경우라도 피이더 벽이 재봉바늘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조정되어, 재봉바늘이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조정 가능한 피이더 벽은 바늘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형성공구의 반대측으로 실루프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서 실루프가 스티치형성공구에 의해 확실하게 잡혀진다. 재봉틀은 단일 바늘 또는 이중 바늘의 재봉틀이 될 수 있다. 재봉틀이 이중바늘 재봉틀로서 설계된 경우, 두 개의 피이더 벽이 마련될 수 있는데, 피이더가 이중바늘 재봉틀에 설치되었을 때 두 개의 피이더 벽은 어떤 경우라도 스티치형성공구, 예를 들어 후크와 관련된 것의 반대측에, 즉 멀리 떨어져서 배치된다. 두 개의 피이더 벽 대신에, 이중바늘 재봉틀은 또한 공통 피이더벽을 구비할 수 있는데, 그 양측면은 어느 경우라도 이중바늘 재봉틀의 두 개의 바늘 중에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조정장치에 의해 거리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면 바늘운동영역에 대한 피이더 벽의 거리를 특히 미세하게 따라서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일단계 또는 다단계의 거리 조정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캐리어에 고정된 조정부, 및 조정 가능한 지지력으로 캐리어에 고정된 조정부에 지지됨과 동시에 피이더 벽에 지지되는 조정체를 포함하는 조정장치를 저비용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조정체가 지지되는 지지부와 베이스체측으로의 전이부 사이에 벽두께가 감소된 피이더 벽의 감쇠부는 피이더 벽이 정해진 대로 휘어져서 조정될 수 있게 하는 고형 죠인트(solid joint)이다.
피이더 벽이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감쇠부의 벽두께가 50% 감소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베이스체의 인접부로부터 피이더 벽을 분리하는 통로벽은 조정 중에 피이더 벽의 편향성을 향상시킨다. 통로홈은 구체적으로는 일단부가 폐쇄된 홈인데, 이 홈은 피이더 벽이 이 통로벽에도 불구하고 베이스체의 인접부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피이더 벽의 개량된 편향성은 특히 조정체가 두 개의 통로홈 사이의 피이더 벽의 자유단부에 지지되는 조정장치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조정체가 캐리어에 고정된 조정부의 나사 속에 나사결합되는 세팅 나사가 되며, 세팅 나사의 자유단부는 피이더 벽에 지지되는 는 조정장치의 설계로 인해 조정이 용이해진다.
캐리어에 고정된 조정부의 실시예는 상기 조정부가 베이스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특히 안정하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에 고정된 조정부는 피이더로부터 분리된 구성요소가 아니다. 조정부는 베이스체의 일체부가 될 수 있다. 캐리어에 고정된 조정부의 피이더 벽에 대한 가동성은 고형 죠인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고형 죠인트는 피이더 벽과 피이더 베이스체 사이의 전이영역의 감쇠부가 될 수 있다. 피이더를 다수개의 부분으로 설계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정부는 나머지 피이더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부분이다. 피이더의 베이스체에 피봇죠인트를 통해 연결된 피봇동작 가능한 요소로서 조정부를 설계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바늘플레이트 절제부를 구비한 바늘플레이트, 재봉바늘이 부착될 수 있으며, 스티치 플레이트 위에서 상하 운동하도록 구동되는 바늘막대, 및 공급운동을 하도록 바늘플레이트 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피이더를 포함하는 재봉틀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피이더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에 상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재봉틀(1)은 베이스 플레이트(2), 베이스플레이트(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탠드(3), 및 절곡아암(4)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4)은 헤드(5)로 끝난다. 아암(4)에는 아암 샤프트(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아암 샤프트(6)는 헤드(5) 속의 실 레버(8)를 구비한 크랭크 드라이브(7)를 구동시킨다. 크랭크 드라이브(7)는 헤드(5) 속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바늘막대(9)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 된다. 바늘막대(9)는 그 하단부에 재봉바늘(10)을 갖는다. 재봉바늘(10)은 크랭크 드라이브(7)에 의해 상하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 때 바늘 운동영역을 통과하는 재봉바늘(10)은 이하에 설명할 것이다. 실 긴장(tensioning)장치 및 실 레버(8)를 통해 보빈(12)에 의해 공급되는 바늘실(13)은 재봉바늘(10)의 눈(eye) 속에 안내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는 직물편(15)이 놓여지는 지지플레이트(14), 즉 바늘 플레이트가 장착된다. 지지플레이트(14)는 피이더 또는 피이드독(feed dog)(17)이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피이드독 개구, 즉 바늘 플레이트 절제부(16)를 갖는다. 피이더(17)는 바늘(10)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바늘구멍(18)을 갖는다. 피이더(17)는 베이스 플레이트(2) 아래에서 구동되는 피이드 및 리프트 드라이브를 통해 구동된다.
지지플레이트(14)의 아래에는 후크팁(21)을 구비한 후크체(20)를 포함하는 후크(19)가 배치된다. 상기 후크체(20)는 바늘막대(9)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회전축선(22)을 갖는 샤프트에 견고히 연결된다. 상기 샤프트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나사결합된 장착지지대(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장착지지대(23)에는 구동샤프트(24)가 장착되는데, 상기 구동샤프트(24)는 장착지지대(23)의 내부에 배치된 기어 구동부에 연결된다. 구동샤프트(24)는 벨트구동부(25)를 통하여 아암 샤프트(6)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는 재봉틀(1)의 스티치형성영역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보여주는데, 이 도면은 재봉바늘(10)이 바늘구멍(18)으로부터 상사점의 방향으로 철수된 후의 상태 를 보여준다. 스티치구멍(18) 아래에서는 바늘실(13)이 이후의 인터레이싱 과정 중에 보빈 실(thread)(27)과 인터레이스되는 바늘 실(thread) 루프(26)를 형성한다. 상기 보빈 실(27)은 후크체(20) 내에 위치하는 보빈 하우징, 즉 실 스풀 하우징에 의해 스티칭 형성영역에 공급된다. 도 2에서, 재봉방향은 방향화살표(N)로 지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피이더(17)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상기 피이더(17)는 직물(15)과 마찰접촉하도록 바늘구멍(18)의 양측에 톱니방식으로 설계된 표면을 갖는 상측 공급부(28)를 갖는다. 공급부(28)는 피이드독 개구(16), 즉 바늘플레이트 절제부 내에서 공급운동을 한다. 공급부(28)는 링형상으로 바늘구멍(18)을 둘러싸기 때문에, 공급부(28)는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늘운동영역(29)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공급부(28)는 피이더(17)용 피이드 및 리프트 구동부의 일부인 캐리어바(31) 형태의 피이더 캐리어에 베이스체(30)를 통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피이더벽(32)은 공급부(28) 아래에 바늘운동영역(29)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피이더(17)가 설치되었을 때(도 2 참조), 피이더벽(32)은 재봉과정 중에 바늘(10)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형성공구로부터, 즉 후크(19)의 후크팁(21)의 반대쪽의 바늘(10)측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바늘(10)은 피이더벽(32)과 후크(19)의 선택적 바늘보호플레이트 사이의 하사점에 위치한다.
피이더벽(32)의 바늘운동영역(29)으로부터의 거리(A)(도 6 참조)는 조정장치(33)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장치(33)는 거리(A)를 연속적으로 조정하 도록 설계되어 있다. 조정장치(33)는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를 갖는다. 상기 조정부(34)는 피이더(17)가 설치되었을 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피이더(17)의 베이스체(30)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웨브(web)로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조정장치(33)는 세팅 나사로서 작용하는 육각소켓나사 형태의 조정체(35)를 더 갖는다. 조정체(35)는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의 대응 암나사(36) 속에 나사 결합된다. 조정체(35)의 자유단부(37)는 바늘운동영역(29)의 반대쪽의 피이더벽(32)측에 지지된다. 암나사(36) 내의 조정체(35)의 나사삽입 깊이에 따라서, 조정체(35)는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에 지지됨과 동시에 피이더 벽(32)에 지지되는데, 그 지지력은 조정될 수 있다.
피이더벽(32)은 조정체(35)가 지지된 지지부(38)와 공급부(28) 쪽으로의 전이부(39)(도 6 참조) 사이에 벽두께가 감소된 감쇠부(40)를 갖는다. 감쇠부(40)에서, 피이더벽(32)의 벽두께는 대략 절반으로 줄어든다.
피이더 벽(32)은 통로홈(42)에 의해 인접부(41)로부터 분리되어있다(도 4 참조). 조정체(35)는 두 개의 통로홈(42) 사이에서 피이더 벽(32)의 지지부(38), 즉 피이더 벽(32)의 자유단부에 지지된다.
피이더 벽(32)을 조정할 때, 조정체, 즉 육각형 소켓나사(35)는 바늘(10)이 하사점에 있을 때 피이더 벽(32)을 지나갈 수 있을 때까지만 나사결합되며, 이 때 그 피이더 벽(32)은 바늘운동영역(29)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에 따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중립위치와 비교하면, 조정된 피이더 벽(32)은 지지부(38)의 영역에서 작용하는 조정체(35)의 힘에 의해 바늘운동영역(29) 쪽으로 감쇠부(34)를 중심으로 피봇동작하였다. 따라서, 감쇠부(40)는 고형 죠인트로서 작용한다.
바늘(10)이 후크(19)로부터 멀리 휘어진 경우, 예를 들어 가죽 등의 묵직한 재료를 천공시킬 때, 상기 바늘(10)의 바람직하지 못한 편향운동은 조정된 피이더 벽(32)에 접하는 바늘(10)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피이더 벽(32)은 후크(19)의 선택적 바늘보호플레이트에 의해 주어지는 지지영향의 반대방향으로 바늘(10)에 대한 대응 지지대로서 작용한다.
또한, 편향운동이 피이더 벽(32)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조정된 피이더 벽(32)은 도 2에 도시한 루프상승위치에 형성된 바늘실 루프(26)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후크(19)로부터 멀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하는 재봉바늘(10)의 두께에 따라서, 피이더 벽(32)은 조정체(35)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내부의 상세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재봉틀의 측면도.
도 2는 재봉바늘, 후크 및 직물용 피이더를 갖는 도 1에 따른 재봉틀의 스티치 형성영역의 확대상세도.
도 3은 바늘운동영역의 반대측에서 비스듬하게 본 피이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대략 반대측인 관찰방향에서 본 피이더의 사시도.
도 5는 피이더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VI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Claims (10)

  1. 재봉틀(1)의 작동 중에 직물(15)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17)로서,
    직물(15)과 마찰접촉하고 바늘플레이트(14)의 바늘플레이트 절제부(16) 내에서 공급운동을 하도록 설계되며 바늘운동영역(29)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28);
    공급부(28)를 피이더 캐리어(31)에 견고히 연결하는 베이스체(30); 및
    상기 공급부(28) 아래에 바늘운동영역(29)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피이더(17)가 설치되었을 때 재봉과정 중에 바늘(10)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형성공구(19)의 반대쪽의 바늘(10)측에서 연장되는 피이더 벽(32)을 포함하는 피이더(17)에 있어서,
    재봉바늘(10)이 피이더 벽(32)의 방향으로 조금만 휘어지는 경우라도 피이더 벽(32)이 재봉바늘(10)을 지지하도록, 피이더 벽(32)의 거리(A)를 바늘운동영역(29)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33)는 거리(A)를 연속적으로 조정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33)는,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 및
    상기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와 피이더 벽(32)에 조정 가능한 지지 력으로 지지되는 조정체(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더 벽(32)은 상기 조정체(35)가 지지되는 지지부(38)와 상기 베이스체(30)측으로의 전이부(39) 사이에 벽두께가 감소된 감쇠부(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더 벽(32)의 벽두께는 상기 감쇠부(40)에서 절반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더 벽(32)은 통로홈(42)에 의해 상기 베이스체(30)의 인접부(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체(35)는 상기 두 개의 통로홈(42) 사이의 피이더 벽(32)의 자유단부(38)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체(35)는 상기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의 나사(36) 속에 나사결합되는 세팅 나사이고, 상기 세팅나사의 자유단부(37)는 상기 피이더 벽(3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1)에 고정된 조정부(34)는 상기 베이스 체(3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더.
  10. 바늘플레이트 절제부(16)를 갖는 바늘플레이트(14);
    재봉바늘(10)이 부착되며, 스티치 플레이트(14) 위에서 상하로 운동하도록 구동되는 바늘막대(9); 및
    재봉틀(1)의 작동 중에 직물(15)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17)를 포함하는 재봉틀로서,
    상기 피이더(17)는,
    직물(15)과 마찰접촉하고 바늘플레이트(14)의 바늘플레이트 절제부(16) 내에서 공급운동을 하도록 설계되며 바늘운동영역(29)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부(28);
    공급부(28)를 피이더 캐리어(31)에 견고히 연결하는 베이스체(30);
    상기 공급부(28) 아래에 바늘운동영역(29)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피이더(17)가 설치되었을 때 재봉과정 중에 바늘(10)과 상호 작용하는 스티치형성공구(19)의 반대쪽의 바늘(10)측에서 연장되는 피이더 벽(32), 및
    재봉바늘(10)이 피이더 벽(32)의 방향으로 조금만 휘어지는 경우라도 피이더 벽(32)이 재봉바늘(10)을 지지하도록, 피이더 벽(32)의 거리(A)를 바늘동영역(29)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33)를 포함하고,
    상기 피이더(17)는 공급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바늘플레이트 절제부(16) 속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90055771A 2008-06-24 2009-06-23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 KR101565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0000.4 2008-06-24
DE102008030000A DE102008030000A1 (de) 2008-06-24 2008-06-24 Transporteur zum Transport von Nähgut während des Betriebs einer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38A KR20100002138A (ko) 2010-01-06
KR101565618B1 true KR101565618B1 (ko) 2015-11-03

Family

ID=4109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771A KR101565618B1 (ko) 2008-06-24 2009-06-23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138619B1 (ko)
JP (1) JP2010005393A (ko)
KR (1) KR101565618B1 (ko)
CN (1) CN101613913B (ko)
AT (1) ATE551457T1 (ko)
DE (1) DE102008030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7696B (zh) * 2010-06-09 2015-03-11 Vsm集团股份公司 送料器移动补偿
CN102995303B (zh) * 2011-09-09 2015-04-01 曾贤长 送布机构的导引结构
CN105088546B (zh) * 2015-09-30 2018-11-3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上送料牙与针板之间的调节结构
TWI660085B (zh) * 2016-11-30 2019-05-21 龍帝實業有限公司 縫紉機之上網線起縫不漏線的裝置及方法
JP2023092035A (ja) * 2021-12-21 2023-07-03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1912A (en) 1962-11-14 1967-05-30 Saurer Ag Adolph Gas turbine plant
US4159004A (en) 1978-04-28 1979-06-26 The Singer Company Work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2000271364A (ja) 1999-01-21 2000-10-03 Juki Corp ミシンの布送り機構
GB0206039D0 (en) 2001-03-15 2002-04-24 Siemens Medical Solutions Monolithic structure with asymmetric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039A (en) * 1922-12-08 1923-11-01 Union Special Machine Co Improvements in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CH258271A (de) * 1947-05-16 1948-11-30 Gegauf Eugen Stoffvorschubeinrichtung an Überwendlingnähmaschinen.
US3320912A (en) * 1965-02-18 1967-05-23 Singer Co Convertible work-feeding devices for sewing machines
DE4316410C2 (de) * 1992-06-19 1994-10-06 Union Special Gmbh Nähmaschine mit einer Nähgutvorschubeinrichtung
JP2004174120A (ja) 2002-11-29 2004-06-24 Juki Corp ミシンの送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1912A (en) 1962-11-14 1967-05-30 Saurer Ag Adolph Gas turbine plant
US4159004A (en) 1978-04-28 1979-06-26 The Singer Company Work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2000271364A (ja) 1999-01-21 2000-10-03 Juki Corp ミシンの布送り機構
GB0206039D0 (en) 2001-03-15 2002-04-24 Siemens Medical Solutions Monolithic structure with asymmetric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8619B1 (de) 2012-03-28
CN101613913A (zh) 2009-12-30
EP2138619A1 (de) 2009-12-30
KR20100002138A (ko) 2010-01-06
ATE551457T1 (de) 2012-04-15
CN101613913B (zh) 2013-01-30
DE102008030000A1 (de) 2009-12-31
JP2010005393A (ja)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618B1 (ko) 재봉틀의 작동 중에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더
KR101410571B1 (ko) 재봉틀 및 이 형태의 재봉틀을 이용한 봉합 시작부의 재봉방법
KR100878862B1 (ko) 다수의 바늘을 가진 이중환 재봉 미싱의 침사 제어장치
KR101419409B1 (ko) 재봉기
RU23836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ширины штопки для швейной машины
JP2008259571A (ja) ミシン
KR20140000955U (ko) 재봉기용 실 당김 블레이드, 이러한 종류의 실 당김 블레이드를 갖는 실 절단 어셈블리 및 재봉기
JP3822838B2 (ja) 糸カッターを備えた二糸ロックステッチミシン
EP1889957B1 (en) Full rotary hook
KR100351576B1 (ko) 복수 바늘의 이중 체인 스티치 재봉틀
JP2017176308A (ja) ミシン
JP4722503B2 (ja) ミシン
CZ288603B6 (cs) Zařízení pro odstřihování nitě pro šicí stroj
EP2524987B1 (en) Sewing machine
CN1093192C (zh) 链式缝缝纫机的线控制装置
CN108796855B (zh) 产生具有目标线缝突出部的线缝起始顶线的组件和缝纫机
US4660485A (en) Rotating needle guard
JP2009045460A (ja) ミシンの作動の間に生地を送るフィーダー
JP5160356B2 (ja) ミシン
JP3593606B2 (ja) 糸繰り装置付ミシン
US5848572A (en) Skip stitch prevention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5089122B2 (ja) ミシンの全回転釜
JP2007075250A (ja) ミシン
US7600481B2 (en) Upper loop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4862322B2 (ja) 鳩目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芯糸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