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302B1 -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302B1
KR101562302B1 KR1020090038113A KR20090038113A KR101562302B1 KR 101562302 B1 KR101562302 B1 KR 101562302B1 KR 1020090038113 A KR1020090038113 A KR 1020090038113A KR 20090038113 A KR20090038113 A KR 20090038113A KR 101562302 B1 KR101562302 B1 KR 101562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lass panel
zone belt
scrib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153A (ko
Inventor
홍경호
박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3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302B1/ko
Priority to CN2009102599878A priority patent/CN101880126A/zh
Priority to TW098145281A priority patent/TW201038460A/zh
Publication of KR2010011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열 이상의 벨트들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크라이빙 공정 중에 글래스 패널을 지지 및 이송시키는 스크라이빙 존 벨트;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브레이킹 존 벨트; 및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 설치되는 브릿지를 포함하되, 상기 브릿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의 이격된 부분에 배치된 제1 브래킷과,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에 의하면, 브릿지가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 설치되고, 브릿지의 제2 브래킷이 브레이킹 존 벨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글래스 패널로부터 더미 부분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글래스 패널의 손상 및 작업장 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글래스 패널, 스크라이빙, 브레이킹, 브릿지, 마찰감소부재, 토션 스프링, 부상부재, 실린더

Description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UMMY OF GLASS PANEL FROM FALLING DOWN}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이 브레이킹 공정을 위해 이송되는 도중 스크라이빙 영역의 스크라이빙 존 벨트(Scribing Zone Belt)와 브레이킹 영역의 브레이킹 존 벨트(Braking Zone Belt) 사이에서 더미부가 글래스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용되는 LCD나 유기EL패널, 무기EL패널, LED, 투과형 프로젝터 기판, 반사형 프로젝터 기판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마더 글래스 패널(Mother Glass Panel, 또는 "모 기판"이라 하며, 이하 '글래스 패널'이라 함)을 소정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글래스 패널의 절단공정은, 글래스 패널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등으로 이루어진 공구를 이용하여 글래스 패널의 표면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과, 상기 글래스 패널에 형성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중심으로 절단하는 브레이킹(Breaking) 공정을 포함한다.
이 경우, 스크라이빙 장치에 의해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진 글래스 패널은 스크라이빙 영역의 스크라이빙 존 벨트로부터 브레이킹을 위해 브레이킹 영역의 브레이킹 존 벨트로 이송된다.
이하,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의 종래구조 및 이들에 의한 글래스 패널의 이송상태를 도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a)와 (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의 종래구조 및 글래스 패널의 이송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1)은 스크라이빙 존 벨트(2)에 의해 브레이킹 존 벨트(3)로 이송되어 브레이킹 공정이 실시되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2)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갖는 2열 이상의 벨트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스크라이빙 시 글래스 패널(1)을 잡아주기 위한 글래스 척(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3)는 폭방향으로 나뉘어지지 않은 메시형의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1)이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2)와 브레이킹 존 벨트(3) 사이의 틈(4)을 통과할 때 글래 스 패널(1)에 국부적인 굽힘응력이 작용함으로써 후속적인 브레이킹 공정에서 분리되어 폐기되어야 할 더미 부분(dummy part, 5)이 예기치 못하게 분리되어 낙하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글래스 패널(1)의 이송 도중에 더미 부분(5)이 글래스 패널(1)로부터 분리되면, 분리된 경계부분(또는, 에지부분)에서 치핑(Chipping) 등이 발생하거나 절단면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더미 부분(5)이 낙하한 작업장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글래스 패널이 손상되면 제품의 수율 저하로 이어지고, 더미 부분이 낙하한 바닥이 오염되면 이를 청소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래스 패널이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를 지나갈 때 글래스 패널로부터 더미 부분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패널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장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는, 2열 이상의 벨트들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크라이빙 공정 중에 글래스 패널을 지지 및 이송시키는 스크라이빙 존 벨트;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브레이킹 존 벨트; 및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 설치되는 브릿지를 포함하되,
상기 브릿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의 이격된 부분에 배치된 제1 브래킷과,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브래킷은,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결합된 마찰감소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마찰감소부재의 상단은 제2 브래킷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은 힌지축과 토션 스프링을 개재하여 제1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글래스 패널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과 마찰감소부재는 테프론 또는 PE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외면에 테프론 코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은 브레이킹 존 벨트의 이음부에서만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래킷의 저면은 브레이킹 존 벨트의 후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곡선형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는 글래스 패널과 마주보는 상면에 다수의 미세 분사홀이 형성된 부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미세 분사홀로 압축공기 또는 가스를 분사하는 기체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미세 분사홀과 연통되는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공급장치는 상기 통기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상부재의 상면 높이는 제2 브래킷 및 마찰감소부재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지지 프레임을 글래스 패널의 이송방향 앞뒤로 이동시키도록 공압 또는 유압의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래킷에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상기 제2 브래킷을 중심으로 좌우에 하나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브릿지가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 설치되고, 브릿지의 제2 브래킷이 브레이킹 존 벨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글래스 패널로부터 더미 부분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글래스 패널의 손상 및 작업장 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브래킷이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토션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제1 브래킷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킹 존 벨트의 이음부가 제2 브래킷에 접촉되는 순간에는 제2 브래킷이 상측으로 젖혀지다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하측으로 위치 복원되어 글래스 패널의 원활한 이송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래킷의 상면에는 마찰감소부재가 장착되므로, 글래스 패널의 이송시에 글래스 패널과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글래스 패널의 이송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찰감소부재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제1 브래킷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글래스 패널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상호간의 마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브래킷과 마찰감소부재가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또는 PE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글래스 패널과의 마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칩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압축공기나 가스를 분사하여 부상부재의 미세 분사홀을 통해 토출시키므로, 부상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글래스 패널의 마찰을 한층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에 실린더가 설치되므로, 브릿지의 배치 위치를 이송방향을 따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글래스 패널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으로 정의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중 브릿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에 브레이킹 존 벨트가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 방지장치(1000)는, 스크라이빙 공정 중에 글래스 패널(G)을 지지 및 이송시키는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G)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브레이킹 존 벨트(200), 상기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G)의 더미부(D)가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와 브레이킹 존 벨트(200) 사이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와 브레이킹 존 벨트(200) 사이에 설치되는 브릿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벨트들이 적어도 2열 이상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릿지(300) 중 후술하는 제1 브래킷(320)이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의 상기 이웃하는 벨트들 사이의 간격, 즉 열과 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의 열과 열 사이에는 글래스 패널(G)의 스크라이빙 공정시 글래스 패널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글래스 패널을 지지하는 별도의 글래스 척(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 프레임(310), 상기 지지 프레임(310)의 상면에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제1 브래킷(320), 상기 제1 브래킷(320)에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송방향 앞쪽 단부가 브레이킹 존 벨트(200)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브래킷(330)을 포함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래킷(320)은 받침부(324)와, 상기 받침부(324)의 상면에 결합된 마찰감소부재(3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부(324)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과 같이 경량이면서도 강도를 가지고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브레이킹 존 벨트(200)와 마주보는 쪽에 제2 브래킷(330)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절개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절개부(321)의 양 내측벽에는 힌지축(322)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322)에 제2 브래킷(330)이 토션 스프링(331)을 개재한 상태로 탄성적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브래킷(330)의 저면은 브레이킹 존 벨트(200)가 회전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브레이킹 존 벨트(200)의 이송방향 후단부의 곡률과 대응하도록 곡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브래킷(330)의 저면에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브레이킹 존 벨트(200)의 이음부(210)가 접촉할 경우 제2 브래킷(330)은 소정량 상측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331)은, 브레이킹 존 벨트(200)의 이음부(210)가 상기 제2 브래킷(330)으로부터 벗어나면 탄성에 의해 제2 브래킷(330)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 복원된 제2 브래킷(330)의 상면은 제1 브래킷(320)의 마찰감소부 재(325)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래킷(320)을 구성하는 받침부(324)의 상면에는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로부터 이송되는 글래스 패널(G)과의 사이에서 최소한의 마찰을 유지하도록 마찰감소부재(325)가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감소부재(325)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신품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1 브래킷(32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323)에 강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를 통해 삽입홈(323)에 고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감소부재(325)는 제1 브래킷(3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돌출되어지며, 상기 마찰감소부재(325)의 상단은 글래스 패널(G)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제2 브래킷(33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마찰감소부재(325)의 상단과 제2 브래킷(330)의 상면 사이에 미세한 높이차가 있어도 글래스 패널의 이송에는 영향이 없다.
한편, 상기 글래스 패널(G)의 이송시에 글래스 패널의 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마찰감소부재(325)는 글래스 패널과의 사이에서 최소한의 마찰을 유지하도록 일정 이하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테프론 또는 PE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1 브래킷(32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면에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글래스 패널(G)과 마찰감소부재(325) 사이의 마찰을 더욱 감소 시키도록 글래스 패널과 접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발생된 칩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찰감소부재(325)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홈(323)의 단면 형상도 마찰감소부재(325)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글래스 패널(G)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마찰감소부재(325)는 제2 브래킷(330)을 중심으로 좌우 측에 하나씩,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글래스 패널(G)이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와 브레이킹 존 벨트(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과할 경우, 상기 제1, 제2 브래킷(320,330)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부상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상부재(400)는 상기 지지 프레임(3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부상부재(400)는 알루미늄 분말 등을 발포시켜 통기성이 있도록 하며 글래스 패널과 마주보는 상면에는 다수의 미세 분사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글래스 패널(G)이 있는 위쪽으로만 압축공기 또는 가스가 분사되도록 상기 부상부재(400)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부상부재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통상의 플레이트 상면에 다수개의 미세 분사홀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31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홀(311)에는 압축공기탱크 및 분사노즐 등 외부의 기체공급장 치(5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공급장치(500)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통기홀(311)로 공급되고, 상기 통기홀(311)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부상부재(40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어 미세 분사홀(410)로 토출됨으로써 글래스 패널을 받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에 의한 지지에 의해 마찰력이 더욱 저감된 상태에서 글래스 패널이 이송되고, 이송중 글래스 패널의 횡방향 처짐(하측방향 처짐)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압축공기 대신 질소 등의 가스가 공급될 수도 있다.
결국, 글래스 패널(G)이 이송하는 동안 상기 부상부재(400)의 상면과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 분사홀(410)로 토출된 압축공기 또는 가스의 분사압에 의해 글래스 패널이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결국에는 제2 브래킷(330)과 마찰감소부재(32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글래스 패널이 횡방향을 따라 처지는 현상 없이 최소한의 마찰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스크라이빙 존 벨트(100) 및 브레이킹 존 벨트(200)의 교체, 유지보수, 상기 벨트의 역주행 테스트 등의 경우에 상기 지지 프레임(310)을 글래스 패널의 이송방향 기준,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310)의 측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의 다수의 실린더(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60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거리만큼 지지 프레임(310)을 이동시켜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의 (a)와 (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의 종래구조 및 글래스 패널의 이송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 브릿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에 브레이킹 존 벨트가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100: 스크라이빙 존 벨트
200: 브레이킹 존 벨트
210: 이음부
300: 브릿지
310: 지지 프레임
311: 통기홀
320: 제1 브래킷
321: 절개부
322: 힌지축
323: 삽입홈
324: 받침부
325: 마찰감소부재
330: 제2 브래킷
331: 토션 스프링
400: 부상부재
410: 미세 분사홀
500: 기체공급장치
600: 실린더
G: 글래스 패널
D: 더미부

Claims (14)

  1. 2열 이상의 벨트들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스크라이빙 공정 중에 글래스 패널을 지지 및 이송시키는 스크라이빙 존 벨트;
    스크라이빙 공정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브레이킹 존 벨트; 및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와 브레이킹 존 벨트 사이에 설치되는 브릿지를 포함하되,
    상기 브릿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라이빙 존 벨트의 이격된 부분에 배치된 제1 브래킷과, 상기 브레이킹 존 벨트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힌지결합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결합된 마찰감소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마찰감소부재의 상단은 제2 브래킷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힌지축과 토션 스프링을 개재하여 제1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글래스 패널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과 마찰감소부재는 테프론 또는 PE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외면에 테프론 코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브레이킹 존 벨트의 이음부에서만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의 저면은 브레이킹 존 벨트의 후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곡선형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는 글래스 패널과 마주보는 상면에 다수의 미세 분사홀이 형성된 부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미세 분사홀로 압축공기 또는 가스를 분사하는 기체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미세 분사홀과 연통되는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공급장치는 상기 통기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의 상면 높이는 제2 브래킷 및 마찰감소부재의 상단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지지 프레임을 글래스 패널의 이송방향 앞뒤로 이동시키도록 공압 또는 유압의 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14.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에서, 상기 마찰감소부재는 상기 제2 브래킷을 중심으로 좌우에 하나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KR1020090038113A 2009-04-30 2009-04-30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KR101562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13A KR101562302B1 (ko) 2009-04-30 2009-04-30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CN2009102599878A CN101880126A (zh) 2009-04-30 2009-12-24 防止玻璃面板的空开部掉落的装置
TW098145281A TW201038460A (en) 2009-04-30 2009-12-28 Apparatus for preventing dummy part of glass panel from falling dow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13A KR101562302B1 (ko) 2009-04-30 2009-04-30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53A KR20100119153A (ko) 2010-11-09
KR101562302B1 true KR101562302B1 (ko) 2015-10-22

Family

ID=4305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113A KR101562302B1 (ko) 2009-04-30 2009-04-30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62302B1 (ko)
CN (1) CN101880126A (ko)
TW (1) TW2010384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3035B2 (en) 2014-04-10 2019-03-19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transfer guards
JP2016199376A (ja) * 2015-04-13 2016-12-0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
JP2017154890A (ja) * 2016-02-26 2017-09-0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供給装置及びシート供給装置におけるシート供給方法
CN106773159B (zh) * 2016-12-12 2018-04-1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残材去除装置
MY195170A (en) * 2017-04-10 2023-01-11 Flexible Steel Lacing Co Conveyor Transfer Guards
US11661283B2 (en) 2020-09-22 2023-05-30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Roller conveyor gap blocker
CN114313772B (zh) * 2021-11-23 2023-09-26 山西光兴光电科技有限公司 传送皮带衔接部位的防撞装置
CN114433588B (zh) * 2022-01-13 2023-01-31 深圳市汉东玻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超薄玻璃清洗机水刀过片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2662C (zh) * 2004-02-16 2008-04-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生产装置
KR100960468B1 (ko) * 2005-12-29 2010-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절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제조방법
KR100777983B1 (ko) * 2005-12-29 2007-11-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기판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53A (ko) 2010-11-09
CN101880126A (zh) 2010-11-10
TW201038460A (en)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302B1 (ko) 글래스 패널의 더미 낙하방지장치
EP2866252B1 (en) Substrate conveying system
RU2005132005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ыравнивания н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й опоре изделия, подверженного деформаци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зоне нижних внешних кромок
KR20100128589A (ko)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CN110248903B (zh) 板状玻璃的制造方法及板状玻璃的折断装置
KR101735062B1 (ko) 컨베이어 장치
JP5028919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搬送方法
KR20110058688A (ko) 기판 반송 설비
WO2013035528A1 (ja) 帯状板ガラスの割断方法及び割断装置
KR101931818B1 (ko) 곤포 용기, 곤포체 및 곤포 방법
KR101051416B1 (ko) 판유리 이송장치
JP2008074576A (ja) 基板搬送システム
JP4229670B2 (ja) 薄板状材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4590570B2 (ja) 板材の縦型搬送装置
KR20120003627U (ko) 부상 장치 및 부상 반송 장치
TWI494201B (zh) 玻璃面板之異物掉落避免裝置
JP2004168496A (ja) 板材の縦型搬送装置
KR100876558B1 (ko) 평판 이송장치의 비접촉식 이송방향 전환 장치
JP2020075381A (ja) ブレイク装置
JP6720758B2 (ja) 板状物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KR1005803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JP2015139967A (ja) ブレイク装置
KR101786800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2458915B1 (ko) 글라스 기판의 이송 시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하는 복수의 글라스 기판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글라스 기판 이송 시스템
KR101232621B1 (ko) 유리기판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